좋은 말씀/신동식목사 852

부끄러움을 알아야 합니다.

부끄러움을 알아야 합니다. 청문회를 보면서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최고의 지성인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뻔뻔하게 거짓말을 하는 모습이 참으로 애처로웠습니다. 무엇이 저들로 하여금 추악한 존재로 변모시켰을까? 대학교수, 변호사, 고위 공무원 그리고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엘리트 가운데 엘리트고, 천재라는 소리를 듣는 사람도 있었는데 한 결 같이 부끄러움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었습니다. 양심이 작동하지 않는 사람은 이미 사람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양심은 우리를 사람답게 해주는 보류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양심을 버린 사람들 같았습니다. 한 노인은 끝까지 모른다고 하다가 증거가 나오니까? ‘이제 모른다고는 못하겠네요’라고 할 때 너무나 서글펐습니다. 얼마나 더 살지 모르지만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밟..

본질에 집중합시다.

본질에 집중합시다. 세계관 공부를 하면서 실존주의에 대한 대화가 있었습니다. 실존주의는 현대 세계의 문을 활짝 연 사상입니다. 장폴 사르트르, 하이데거, 카뮈, 카프카와 같은 이들이 대표적인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사상을 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존재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은 행동하는 자신이라고 말을 합니다. 그러므로 본질이 중요하지만 그 본질은 바로 존재하는 자신의 실존이 있을 때 의미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상은 결국 현대의 포스트 모더니티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제대로 하였습니다. 실존이 중요한 시대는 이제 본질 자체를 해체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정의(定義,definition)는 사라지고 서로의 의견과 이야기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X세대로 문을 열었던 우..

교회를 품어야 합니다.

교회를 품어야 합니다. 아이가 이 땅에 태어나기까지는 10개월이라는 시간 동안 엄마 품에서 자라나야 합니다. 건강한 모습으로 나오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기와 엄마 모두 힘을 합쳐서 서로 만나게 됩니다. 생명을 얻는 일에는 이렇게 수고와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생명은 결코 쉽게 얻어지지 않습니다. 이것은 영적인 생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 영혼을 얻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한 영혼이 소중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소중한 생명을 우리의 무지와 실수로 종종 잃어버릴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속상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닙니다. 탑을 세운 것은 쉽지만 무너지는 것은 한순간입니다. 더욱더 깨어 경성 하지 않으면 가슴 아픈 일을 당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가 세워지는 것만큼 복되고..

한국 교회 위기설

한국 교회 위기설 이곳저곳에서 한국 교회 위기설이 흘러나옵니다. 그 근거로 드는 것이 바로 일명 가나안 성도들의 출현입니다. 양희송은 그의 책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에서 가나안 성도가 백만 명 정도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정재영과 송인규가 조사한 통계치를 보면 현재 교회 다니는 성도 중 3명 중 1사람은 교회를 떠나려고 마음을 먹었다고 말합니다. 최윤식은 「2020 2040 한국교회 미래지도2」에서 현재 상태로 교회가 진행되면 2028년에는 한국 교회는 파산한다고 말합니다. 그야말로 이곳저곳에서 위기설이 파다합니다. 그리고 그 증거도 탄탄합니다. 이미 한국 기독교 통계는 2005년에 약 861만 명으로 집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10년이 훨씬 지난 지금 한국 교회는 그 숫자가 점점 줄고 있습니다. 이..

직분자를 세우는 이유?

직분자를 세우는 이유? 교회마다 직분자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교회도 직분자를 세웁니다. 교회가 이러한 직분자를 세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직분자가 꼭 있어야 하는 이유라도 있습니까? 이러한 질문들을 매우 중요합니다. 적어도 직분을 감당할 사람들은 이 질문에 대한 분명한 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직분자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렇다면 직분자를 왜 세우는 것일까요? 우리는 그 이유를 구약의 사건을 통하여 우선 생각하고자 합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데리고 애굽을 나왔습니다. 그리고 40년 동안 광야 생활을 하였습니다. 이 광야 공동체에 약 200만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니 소소한 것에서부터 큰일에 이르기까지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은 시시비비를 따지고자..

가시나무 같은 인생이 주는 부끄러움

가시나무 같은 인생이 주는 부끄러움 사무엘하 23장은 다윗 왕의 마지막 말입니다. 모든 사역을 끝내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회고한 말씀입니다. 그러기에 그 깊이가 잘 묻어져 있는 말씀입니다.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통하여 말씀하신다고 밝힙니다. 다윗을 통하여 말씀하시는 하나님은 사람을 공의로 다스리고,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다스리는 자를 영원한 언약에 근거하여 모든 구원과 모든 소원을 이루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분명하게 계시하시기를 공의를 행하는 자를 기뻐하신다고 말씀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를 즐거워하십니다. 이러한 모습은 예수님을 통하여 성취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완벽하게 공의로 다스리신 왕이셨습니다. 그리고 온전하게 하나님을 경외하여 그의 뜻을 이루신 분이셨습니다. 그 모든 ..

지금은 기도하고 사랑으로 외쳐야 할 때 입니다.

지금은 기도하고 사랑으로 외쳐야 할 때입니다. 참으로 어려운 시기가 되었습니다. 지도자의 일탈이 엄청난 결과를 가져왔기 때문입니다. 국민의 마음이 너무나 아파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분노의 외침으로 터져 나오는 것을 봅니다. 대통령의 담화가 정직하고 진실되지 못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나라를 위하여 일하였는데 한 사람의 탐욕으로 나라를 어지럽게 만들었다는 사실 너무나 참담하였다는 대통령의 말은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꼴이 되어 버렸습니다. 국민의 마음을 전혀 읽지 못하는 자세였기 때문입니다. 국민들이 이렇게 분노하는 것은 배신감과 허탈함 때문입니다. 대통령의 지지율이 5%밖에 안 되는 것은 이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일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한탄입니다. 밤을 지새우면 공부하는 것에 대한 ..

개혁을 꿈꾸며

개혁을 꿈꾸며 종교개혁 499주년입니다. 로마 가톨릭의 비 신앙의 모습에서 다시금 성경의 가치로 회복하자는 운동이었습니다. 주님께서 가르쳐 주셨던 교회의 본모습으로 돌아가자는 개혁이었습니다. 로마 가톨릭의 타락은 단지 교회의 타락만 가져오지 않았습니다. 국가와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습니다. 거짓과 타락과 부패에 갇혀있었던 교회는 오로지 자신의 배만을 위하여 백성들의 살과 피를 뜯어먹고살던 하이에나와 같았습니다. 교회의 타락이 가져온 참담함입니다. 교회는 지속적으로 타락하였고 하나님의 말씀은 점점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배부른 돼지와 같은 교황과 신부들의 탐욕만이 자리 잡았습니다. 수도원은 온갖 추잡함으로 가득 찼습니다. 수도원 우물가에 발견된 낙태된 아이들의 모습은 참담하였습니다. 그래도 겉으로는 ..

영적 현실에 참여하는 것

영적 현실에 참여하는 것 “우리가 소속된 그리스도인의 공동체에 대해 날마다 감사하지 않고, 도리어 모든 것이 우리 기대와는 달리 너무 초라하고 보잘것없다며 불평만 한다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모두를 위해 이미 준비해 놓으신 경륜과 부유함을 따라 우리 공동체를 성장시키려는 하나님을 방해하게 합니다. 혹여 우리 공동체가 위대한 체험이나 풍성함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너무도 연약하고 믿음이 없으며 어려움만 가득하다고 할지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일은 무엇보다도 목회자나 열심 있는 성도들이 자신의 교회에 대해 종종 불평을 늘어놓곤 하는 일들에서 나타납니다. 목회자는 자기 교회에 대해 불평해서는 안 되며 무엇보다도 사람 앞에서나 하나님 앞에서 불평을 늘어놓아서는 더더욱 안 됩니다. 그..

영적 난민 구히기(6) - 영적 난민은 어떻게 시작 되었을까?

3) 성도의 문제 영적 난민으로 떠도는 원인 가운데 마지막으로 성도 자신의 문제를 보고자 합니다. 사실 난민의 위치는 강압적인 것으로 인한 방랑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적절한 비유가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의의를 제기 할 수 있지만 삶의 모든 문제에는 내적인 원인이 존재 하지 않음이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난민이 되는 상황에 자신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또한 문제 해결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적인 상황에 있어서 동일하게 자신의 문제를 잘 살펴서 난민이 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영적 난민이 되게 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정직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서서 교회의 요인도, 목사의 요인을 살펴보았습니다. 이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