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의 5대 교리 제6장 칼빈주의 5대 교리 '칼빈주의 5대 교리'(five point of Cavinism)라는 말은 세 가지 점에서 오해의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는 5대 교리라는 말 때문에 많은 이들이 칼빈주의를 다섯 가지(五大) 교리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다섯가지 교리가 칼빈주의 입장을 드러내는 것은 분명하..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7.12
성도의 견인의 의미 / 존 오웬 성도의 견인의 의미 (존 오웬) 한번 구원받은 성도의 그 구원은 영원히 보장되는가? 아니면 구원으로부터 멀어져 멸망의 길로 떨어질 수 있는가? 도대체 성경은 우리 구원의 안정성과 영원성에 대하여 무엇이라 말하고 있는가? 성도의 견인(the perseverance of saints)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7.06
[스크랩] 칼빈주의 vs 알미니안 - 제임스 보이스 아르미니우스주의의 5대 강령과 칼빈주의의 5대 강령 / 제임스 보이스 제임스 보이스의 “개혁주의 핵심” [1장. 복음주의에 왜 칼빈주의가 필요한가]중에서 발췌 [아르미니우스주의의 5대 강령] 이 책의 핵심은 성경을 근거로 한 은혜의 교리에 대한 해설이다. 그러나 이 교리들을 철저하..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7.05
불가항력적인 은혜란? / 조엘 비키 불가항력적인 은혜란? 구약성경에서 나오는 ‘은혜’라는 히브리어와 그 파생어들은 ‘친절함, 은총, 인자하심’을 뜻한다. 신약성경에서 ‘은혜’를 가리키는 헬라어는 ‘선한 뜻, 인자, 은총’을 의미한다. 이 단어가 구속 사역에서 죄인들에게 적용될 때에는 당연히 받아야 할 진노..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7.02
성도의 견인 / 루이스 벌코프 성도의 견인 A. 성도의 견인론의 역사 성도의 견인은, 하나님께서 중생시키며 은혜의 신분으로 효과적으로 부르신 사람들이 그 신분에서 완전히 혹은 궁극적으로 타락하지않고 은혜의 신분에서 끝까지 견디어 내어 영원히 구원받게 될 것이라는 교리이다. 이 교리는 어거스틴에 의해 최..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7.01
성도의 견인(堅忍)과 영화(榮化) / 김효성 목사 성도의 견인(堅忍) 성도의 견인(堅忍, perseverance; 끝까지 견딤)은 예수 믿고 구원얻은 사람이 은혜의 상태 안에서 끝까지 견디어 영광에 이른다는 것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7:1은 “하나님께서 그의 사랑하시는 자 안에서 받으시고 그의 영으로 효력있게 부르시며 거룩케 하신 자들..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6.27
성도의 견인과 하나님의 은혜 (로마서8:31~39) / 최일환 목사(장안중앙교회) 31 그런즉 이 일에 대하여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32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33 누가 능히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을 고..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6.24
견인 교리와 떨어져 나가는 사람들 / 조엘 비키 예수님은 씨 뿌리는 비유에서 복음에 대한 모든 기쁜 반응이 구원적 반응은 아니라고 경고하셨다. 돌짝 밭의 마음을 가진 청중들은 복음을 받아들이고 성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고난이 오면 곧 시들고 만다. 또한 성경은 사울과 아히도벨과 가룟 유다와 후메내오와 알렉산더처럼 한때 ..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6.22
기분 좋은 견인 교리와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 / 조엘 비키 은혜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와 연합된 신자들은 은혜로 말미암아 그 안에 있음을 알게 된다. 견인과 보증은 은혜의 두 부분과 같다. 우리는 확신 안에서 성장하지 않고서는 은혜 안에서 보존될 수 없으며, 견인 없이는 믿음의 보증 안에서 자랄 수도 없다. 이 성장은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6.21
성도의 견인은 하나님의 사역일 뿐 아니라 성도의 사역이다 / 조엘 비키 성도의 견인은 하나님의 사역일 뿐 아니라 성도의 사역이다 성경적 사상에 기초한 견인과 보증의 필요성은 오늘날 감정을 강조함에 따라 혼합되어 버렸다. 무엇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우리의 감정이 우리가 생각하고 알고 믿는 것을 앞서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무섭게 성장하.. 좋은 말씀/-칼빈의5대교리 2016.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