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개혁가로서의 프란시스 쉐퍼 이해
쉐퍼의 사상의 흐름은 후기로 갈수록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기의 사상 활동이 강연과 토론 그리고 저술이었다면 후기에 갈수록 쉐퍼는 좀더 적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쉐퍼의 삶의 여정에 있어서 그의 성장 배경과 그리고 그의 신학 수업과 믿음의 동역자들과의 만남을 보았다. 그리고 그의 사역의 본거지였던 라브리에서의 사역의 모습과 그의 메시지를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통하여 복음 전도자요 목회자로서의 쉐퍼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쉐퍼의 전부는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20세기에 있어서 복음주의자들의 한계를 정확히 알고 있었던 쉐퍼는 복음주의의 한계를 무너뜨리며 성경의 진리를 고수하면서 사회를 향하여 절대적 진리를 선포하였던 것이다. 패커 교수의 말대로 쉐퍼는 "풍부한 감정과 더불어 문학과 예술에서 표현되는 현대의 세속세계에 자세히 귀를 기울이고 그들과 대화하였다. 이것은 대부분의 복음주의자들이 등한시하였던 그들의 하위 문화에 대한 문제였다."]성인경, 프랜시스 쉐퍼 읽기, [서울 : 예영커뮤니케이션 1997], pp.244
그리고 쉐퍼는 “하나님의 주권으로 창조된 실재의 전체성과 함께, 그리스도인의 삶이란 그에 상응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포괄적인 실재이어야 함을 강조했다.] 성인경 편, 혼돈시대 속에서의 확실성을 찾아서 ,[서울 : 일지각1996], pp..222
패커의 지적대로 쉐퍼는 복음주의 교회의 한계를 벗어나서 복음적 사회개혁의 모델을 보여 주었다.
제1편 사회개혁 운동에 대한 쉐퍼의 출발점
사회개혁운동에 대한 쉐퍼의 출발점은 철저하리만큼 개혁주의 관점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쉐퍼의 사상이 20세기의 새로운 사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의 사상 역시 못자리가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그의 문화변증적인 사상은 쉐퍼의 독창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으나 그러나 쉐퍼의 사상의 전반적인 흐름은 철하게 개혁주의 특별히 신학적으로는 칼빈과 그의 영향을 받은 청교도 사상 그리고 화란의 아브라함 카이퍼를 중심으로 한 화란 개혁주의[신 칼빈주의] 영향가운데 그의 사상적 배경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은 근대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과 국가 민족주의의 발흥 그리고 세계 전쟁 뒤의 혼란과 허무주의 그리고 이와 함께 형성된 엘리트 정부에 대한 과도한 충성 등은 절대적 권위의 상실을 가져왔고 이것은 곧 자의적 ,이성적 자율주의를 실행하는 것이요 결국은 상대적 다수의 횡포를 기준으로 삼는 사회가 되었다.
이러한 현실은 쉐퍼로 하여금 절대적 진리에 근거한 사회적 정의를 실천에 옮기는 선지자의 사명을 감당하게 하였다.
오늘날의 교회가 개혁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면서도 삶에 있어서는 개혁주의 사상과는 거리가 먼 변질되거나 퇴색된 개혁주의 사상 속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개혁주의에 가장 접근하였던 쉐퍼의 사상은 오늘 우리 교회에 의미 있는 일침을 놓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쉐퍼의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그의 신학적 사회적 배경 등을 연구할 것이다.
'좋은 말씀 > 프란시스 쉐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2]-베자 (0) | 2016.05.03 |
---|---|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1) -칼빈 (0) | 2016.04.30 |
쉐퍼의 문화변증(2) (0) | 2016.04.28 |
쉐퍼의 문화 변증(1) (0) | 2016.04.27 |
프란시스 쉐퍼 사상의 여정 - 개혁적 복음주의 신학 /신동식 (0) | 2016.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