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로마서 3:19-24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구원은 믿음으로써 얻는다. 그러나 이 때 ‘믿음‘이 믿는다는 또 하나의 ’행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성경이 말하는 믿음은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나누어주시는 의(義)에 대한 반응이다. 마치 선물을 받기 위해 내민 손과 같은 역할인 것이다. 구원은 처음부터 끝까지 은혜로 말미암는다.
Q 시각교정을 위한 화두
원인과 결과의 문제를 설명하는 속담을 함께 말해 봅시다.
지난 과에서 우리는 인간의 절대절망의 상황을 추적해 보았습니다. 이 절망의 상황은 일반인이 가진 종교심으로도, 유대인이 가진 율법으로도 벗어날 수가 없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불가능한 방법 속에서 해결책을 찾으려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는…”으로 시작하는 로마서 3:21은 이 절망적 상황에 빛을 던져줍니다.
율법 외에
21절에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라는 말씀이 나오는데, 우리말 번역 성격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영어 성경이나 원문 성경에는 ‘이제는’ 앞에 ‘그러나’ 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복음에 대해 사도바울이 앞서 “자랑스럽다,” “하나님의 능력이다”라고 얘기한 것처럼, 바울은 이제 복음에 대한 중요한 이해를 위해 ‘율법 외에’, 즉 ‘율법이 아닌 것’에 대해 말합니다. 그러면서 이 말을 ‘그러나’라는 말로 시작합니다. “율법으로는 안 된다. 약도 가지고는 안 된다. 그래서 모두가 실패했다. 모두가 지옥에 갈 수밖에 없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에게는 전혀 희망이 없다는 것입니까? 우리는 모두 지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말입니까? 아닙니다. 사도 바울은 ‘그러나’ 라는 단어를 제시함으로써 우리에게 희망이 있음을 강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에 나오는 이야기는 이미 앞서 언급했던 이야기들을 전적으로 뒤집는 반대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을 다시 봅시다. “그러나 이제는” 이라고 말해놓고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라고 합니다. 여기서 “율법 외에”라는 말은 하나님께서 율법을 폐지하셨다거나 우리가 그 율법의 요구를 안 지켜도 된다는 말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율법의 요구를 완벽하게 순종한 그리스도의 순종을 우리의 것으로 간주해주시겠다는 것입니다.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3:22-24)고 합니다.
인과율의 예외, 믿음의 법칙
율법은 원래 지키면 상을 받고, 지키지 못하면 벌을 받는 법칙입니다. 내가 행한 결과에 대해서 내가 책임을 지는 법칙이자 방법이 율법인 것입니다. 잘하면 상 받고 잘못하면 벌받는 것이 율법이라면, 은혜는 내가 행한 결과에 대해 내가 책임을 지지 않는 것입니다. 은혜는, 나에게 그 복된 결과를 가져온 것이 나로부터 출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는 단어입니다. 즉, 나에게 그럴 만한 원인이 있어서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게 자랑할 게 없다는 것입니다.
행위란 ‘행동’이라는 뜻이 아니라 ‘인과율(因果律)’이라는 의미입니다. 어떤 결과든 반드시 그 원인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법칙은 어떤 결과든 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원인을 만들기만 하면 그 결과가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믿음이란 원인 없이 결과가 생기는, 하나님의 참으로 신비로운 법칙입니다. 우리가 얻은 어떤 결과에 대해 아무런 원인이나 이유가 나에게 없을 때 그것을 은혜요, 선물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성경은 이러한 의미에서 구원의 방법으로서의 믿음이라는 법칙을 행위와 대조시키고 있습니다. 이것을 구원의 확신 쪽으로 적용해보면 그 의미가 더욱 확실해집니다.
여러분은 구원을 무엇으로 확신하십니까? “저는 예수를 믿습니다.”, “저는 죄인임을 인정하고 회개합니다." 이런 답들은 다 훌륭한 대답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구원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성경이 그토록 집요하게 지적하는 율법이요 행위 곧 인과율이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결과 그 자체만으로는 확실하지 않을 때 원인을 점검합니다. 결과가 분명치 않아 보여도 그 원인이 분명하면 우리는 결과를 확신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신의 구원을 확신하기 위해서 인과율을 동원할 때는 참으로 이상한 일이 일어납니다. 아무리 자신을 뒤져봐도 자신의 구원의 결과를 확증할 원인들이 없는 것입니다.
특히 어려서부터 믿는 가정에서 자라나 신앙의 분위기에 늘 싸여 있었던 사람들은, 중간에 믿게 된 사람들처럼 “어느 날 어느 때에 예수를 영접했다.”느니, “통곡하며 회개했다.”느니 하는 등의, 원인으로 도용할 만한 체험조차 없기에 당황하게 됩니다.
인과율 외에 믿음의 법칙이 있음을 모르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구원을 인과율로 점검할 수밖에 없고, 그러고 나면 구원 얻을 이유도 없고, 그래서 구원을 얻은 결과도 없다는 사실만 확실해집니다.
성경은 말씀합니다. 하나님께서 구원이란 결과를 우리가 얻도록 하시기 위해 우리에게서 원인을 요구하시지 않고 하나님 쪽에서 준비하셨습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를 원인으로 하여 그 결과는 우리가 갖게 한 것입니다. 이런 법칙이 또 어디 있습니까? 놀라워하고 의심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구원은 ‘율법이 아닌 것’이다
고린도전서 1:18 이하에서는 십자가를 ‘하나님의 지혜’라고 말합니다. 우리의 구원의 원인은 늘 그리스도요, 그의 십자가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얻을 구원을 ‘은혜’라고 하고 “믿음으로 구원을 얻었다.”고 말합니다.
성경은 구원 문제를 얘기할 때마다 ‘자랑’이라는 리트머스 시험지를 갖다대고 분별합니다. 즉, “네 구원의 대한 자랑이 있느냐, 없느냐?”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자랑이라는 표시가 리트머스 시험지에 나타나면, “너는 지금 믿음을 원인으로 집어넣고 있구나.”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믿었기 때문에 구원을 얻었다는 것은 믿음의 대가로 구원을 얻었다는 뜻이 됩니다. 이같이 믿음을 그 원인으로 집어넣을 때는 ‘행위’가 됩니다. 율법 대신에 믿음을 집어넣었을 뿐입니다. 단어만 달라졌을 뿐이지, 법칙은 행위의 법칙을 그대로 쓰고 있는 것입니다.
성경은 ‘율법’, ‘행위’, ‘자랑’을 한편으로 설명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은혜’, ‘선물’, ‘긍휼’을 말합니다. 또한 ‘행위’에 반대되는 말로 ‘믿음’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율법’의 반대어로 ‘복음’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후자의 영역에 속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시키기 위해 ‘율법 이외의 것’이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 구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구원이 무엇인가를 정의할 때, 그것은 ‘은혜다’, ‘복음이다’, ‘긍휼이다’, ‘믿음이다’라고 이해하기에 앞서 ‘율법이 아닌 것’ 이라는 일차적인 기초를 세웠으면 합니다.
본문 되짚어보기
1. “율법 외에”라는 말은 “율법을 폐지하거나 율법을 안 지켜도 된다”는 말과는 다른 것
입니다. 그러면 “율법 외에”란 어떤 의미를 가진 말일까요?
2. 우리가 구원이라는 결과를 얻게 된 원인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3. 율법, 행위, 자랑이란 단어들과 은혜, 선물, 긍휼이란 단어들을 서로 대칭되는 것끼리 연결시켜보십시오. 또한 율법과는 대조되는 ‘은혜’라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깨달음에 깊이 더하기
‘선물’의 특징을 이야기해봅시다. 그리고 구원이 우리에게 선물임을 기억할 때 깨달을 수 있는 사실이 무엇인지 나누어봅시다.
'좋은 말씀 > 박영선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공부자료 제5강 롬4장4-8절 구원의 확신 /박영선목사 (0) | 2016.03.07 |
---|---|
성경공부자료 제4강 롬3장21-31절 믿음/박영선목사 (0) | 2016.03.05 |
성경공부자료 제2강 롬1장18-32절 인간의 상태 /박영선목사 (0) | 2016.03.02 |
성경공부자료 /제1강 롬1장16-17절 구원이란 무엇인가 /박영선목사 (0) | 2016.03.01 |
로마서 19강(롬 2:17-29), 율법에 대한 유대인의 오해 /박영선목사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