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주인은 하나님, 인문학을 하나님께!
오늘은 임진왜란 후 유성룡이 저술한 《징비록》 중 ‘용인 전투 이야기’를 하나님께 드리며 ‘비전이 유혹을 이기게 합니다.’라는 주제로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임진왜란 개전 이후 파죽지세의 왜군 앞에 조선군에게는 한차례 반격의 희망이 있었습니다. 왜군의 진격로에서 벗어나 있던 전라 관찰사 이광이 뒤늦게 군사 6만을 모아 한양 근처로 진출한 것입니다. 한양 탈환을 노릴 수도,왜군의 진격을 멈출 수도 있는 숫자였습니다. 문제는 이 군대가 급조된 오합지졸이었습니다. 지휘관 이광은 문인 출신이었습니다.
이광은 눈앞에 있는 작은 승리에 도취했습니다. 전쟁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큰 싸움보다는 소규모 부대를 공격해 승리를 하여 임금에게 칭찬 받는 재미에 빠져 있었습니다. 당시 용인 주변에는 왜군이 북상하면서 남겨놓고 간, 군대라고도 할 수 없는 소규모 부대들이 흩어져 있었습니다. 이광은 땔감을 마련하는 적병 열명의 머리를 베고, 열명이 지키는 소규모 보급부대를 불태웠습니다. 작은 승리에 도취한 이광은 용인성 북쪽 문소산에 있는 작은 진지를 공격했습니다. 기껏해야 열명 안팎의 부대려니 생각하고 무작정 돌진했습니다. 하지만 이 부대는 후에 한산대첩에서 왜군을 이끈 수군 출신 장수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이끄는 부대로서, 잘 훈련된 1600명의 정예군이었습니다.
이광의 조선군은 절반만 살아 돌아왔습니다. 다음 날 한가로이 밥을 짓고 있을 때, 이번엔 왜군이 조선군 진영을 습격해서, 속절없이 무너졌습니다. 6만 명의 대군이 불과 1,600여명의 왜군에게 대패를 한 것입니다. 당시 권율을 비롯한 참모들은 왜군의 소규모 병력을 상대하지 말고 한양을 압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이광은 작은 승리에 취해서 큰 그림을 못 본 것입니다. 《징비록》에서 유성룡은 이광을 가리켜 “군사 행동을 봄놀이하듯 생각했다”라고 말했을 정도입니다.
소탐대실(小貪大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의미입니다.
바둑의 하수는 계속 단수(單手, 아다리)를 치며
돌 몇 개를 잡아 먹는 재미에 빠져 있다가, 대마(大馬)가 잡힙니다.
어느 낚시꾼이 월척을 잡아 어탁을 떠서 액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밑에 이렇게 적어 삶의 교훈을 삼았다고 합니다.
“그때 내가 미끼만 물지 않았어도 나는 바다에 있으리라. ”
카피라이터 정철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바다는 갈매기가 자신에게 하루에도 수백 번씩 키스를 한다고 믿는다.
키스의 황홀함에 취해 물고기를 도둑맞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한다.”
그렇다면 유혹의 미끼에서 벗어나는 길은 무엇일까요?
바로 주님이 주신 비전을 굳게 바라보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세례 요한에게 다가와 큰 유혹의 말을 던졌습니다.
“당신이 혹시 메시아가 아닙니까?”
요한은 그때 자신이 메시야라고 말할 수도 있었고,
아니면 은유적이고 애매한 말을 함으로써,
신비주의로 자신을 감쌀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요한은 단호하고 분명하게 아니라고 말합니다.
요한은 메시야 예수님의 길을 예비하러 온 자신의 비전을 분명히 바라보았던 겁니다.
하나님이 주신 비전으로 가득할 때, 우리는 유혹의 미끼를 이길 수 있습니다.
“내 눈을 돌이켜 허탄한 것을 보지 말게 하시고 주의 길에서 나를 살아나게 하소서” (시119:37)
'좋은 말씀 > -인문학을 하나님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선물 이야기」 / ‘하나님은 우리의 온 마음을 받고 싶어 하십니다.’ / 한재욱 목사 (0) | 2025.01.21 |
---|---|
이재기 「나를 바꾸는 아름다운 물음표」 / ‘하나님께 맡기십시오.’ / 한재욱 목사 (0) | 2025.01.04 |
키에르 케고르 「철학적 단편들」 / ‘이 낮고 낮은 땅에 오신 예수님 감사합니다.’ / 한재욱 목사 (0) | 2024.12.22 |
레오 리오니 「프레드릭」 / ‘인생의 겨울에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세요.’ (2) | 2024.12.18 |
김난도 「트렌드 코리아 2025」 / ‘주님이 내게 주신 은사에 집중하십시오.’ / 한재욱목사 (1)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