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월 26일 지금 한국은 국민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 내수 부진을 타개하고 일자리 창출과 높은 고용의 질의 개선을 위해서 머리를 맞대고 있다. 그러나 그 문제는 단순히 한국의 문제가 아니고 인류 미래사회 발전의 한계와 전반적 위기 내용과 분리될 수 없는 문제라면, 전혀 다른 접근이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가정파괴의 조건으로 여성과 자녀들이 가정으로부터 해방되어 고부가 가치형 인적 자원으로 탈바꿈하려고 할 때, 잠정적으로 늘어나는 비정규직을 모두 정규직으로 바꾸기를 원한다면, 그 대안은 미래사회의 기업발전에 있어서 핵심인 노동시장이나 인적자원의 기능적 유연성을 신장하는 데 방해가 될 것이다. 그때는 역으로 모든 정규직을 비정규적으로 바꾸어 국가 전체 인적자원의 통합적 관리체제로 바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