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1:18-32 | 롬2:1-3:8 | 롬3:9-20 |
이방인의 죄 *율법 없이 범죄 함 -형벌: 유기함 | 유대인의 죄 *율법을 알면서도 범죄 함. ☀서론: 하나님의 심판 원리(1-16) ①진리대로 심판하실 것이다.(1-5) ②행한 대로 심판하실 것이다.(6-10) ③공평한 심판이 있을 것이다.(11-15) | 전 인류의 죄 *의인은 하나도 없다(3:10-14) |
진리대로 심판하리라!
(롬2:1-5-하나님의 심판 원리①)
▶본문
1.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
2.이런 일을 행하는 자에게 하나님의 심판이 진리대로 되는 줄 우리가 아노라
3.이런 일을 행하는 자를 판단하고도 같은 일을 행하는 사람아, 네가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줄로 생각하느냐
4.혹 네가 하나님의 인자하심이 너를 인도하여 회개하게 하심을 알지 못하여 그의 인자하심과 용납하심과 길이 참으심이 풍성함을 멸시하느냐
5.다만 네 고집과 회개하지 아니한 마음을 따라 진노의 날 곧 하나님의 의로우신 심판이 나타나는 그 날에 임할 진노를 네게 쌓는도다
▶해석과 설명
앞장 롬1:18-32에서 하나님은 만물을 통하여 자신을 충분히 계시하셨으나,
이방인들이 그것을 외면한 채 사악과 방종과 완고함에 빠져 있음을 언급한 바울은
이제 스스로 하나님의 선민됨을 자부하는 유대인도 역시 죄를 지었으며
심판에 예외 일 수 없음을 논증(롬2:1-3:8하고 있다.
본문은 그 가운데 도입부에 해당한다.
본장의 핵심은 앞에서 이방인들은 율법이 없이 범죄하여 심판에 이르렀으나,
유대인들은 율법을 알면서도 범죄하였은즉 그 율법으로 심판을 받게 된다는 것(12절)이다.
☀본문 요약
①진리대로 심판하실 것이다.(1-5)
◦1-2: 이런 일(판단하는 일)을 행하는 자들은 들으라
-하나님의 심판은 진리대로 이루어진다.-
◦3:하나님의 판단을 피할 줄 생각 말라.
◦4:하나님의 길이 참으심의 풍성함을 멸시치 말라.
◦5:네가 진노를 쌓고 있다. 회개치 아니하는 고집에 심판을 자초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1절)
여기서 ‘그러므로’는 내용상 롬1:18-32(이방인의 죄) 부분을 받는 접속사다.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에서 ‘판단하는’은 건전한 비판 보다는 의심하고 정죄하는 측변을 지적하는 표현으로,
이러한 삶의 태도는 율법을 준수한다는 우월의식을 가진 유대인들의 율법주의적 삶의 태도를 지적하는 것이다.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는 1장 후반부에서 바울은 이방인들의 심각한 죄들을 열거하였는데, 그것이 유대인들을 이방인들과는 다른 우월한 존재라고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유대인들 역시 스스로에 대해 율법을 지키는 자로 자부하며 의롭게 여기고 회개하기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
유대인들이 정죄 받아야 되는 까닭은 바로 이러한 행위 때문이었다.(21-23절)
이처럼 자신도 동일한 죄를 범하면서 다른 자를 판단하는 행위에 대한 비판은 예수께서도 하셨다.(마7:1)
이러한 행위는 위선적이며 뻔뻔한 반도덕적인 행위다.
특히, ‘행함이니라’에 해당하는 헬라어 ‘프랏세이스’는 현재형으로 ‘습관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해 유대인이 행하는 죄의 연속성과 습관성을 지적해 주는 것이다.
◦‘이런 일을 행하는 자에게 하나님의 심판이 진리대로 되는 줄 우리가 아노라’(2절)
‘이런 일을 행하는 자에게’
남의 잘못을 판단하면서도 자신은 위선적으로 같은 일을 계속행하는 자를 가리킨다.
‘하나님의 심판이 진리대로 되는 줄 우리가 아노라’
이 하나님의 심판이 정당한 것은 그 판단 기준이 어떤 선입견이라 환경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진리’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즉 하나님의 판단은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않고 공의롭다.
◦‘이런 일을 행하는 자를 판단하고도 같은 일을 행하는 사람아,
네가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줄로 생각하느냐’(3절)
본절은 1절과 2절의 사상을 다시금 반복하면서 강조적인 문제로 주의를 환기시키는 말이다.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혹 네가 하나님의 인자하심이 너를 인도하여 회개하게 하심을 알지 못하여
그의 인자하심과 용납하심과 길이 참으심이 풍성함을 멸시하느냐’(4절)
‘그의 인자하심과 용납하심과 길이 참으심이 풍성함’은 죄인일지라도 바로 벌하시지 않고 그에게 은혜를 베푸심으로 회개할 기회를 주시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멸시하느냐?’는 헬라어 ‘카타로네오’는 ‘경멸하다’ 즉 별것 아닌 것으로 생각하여 무시한다는 의미다.
◦‘다만 네 고집과 회개하지 아니한 마음을 따라 진노의 날
곧 하나님의 의로우신 심판이 나타나는 그 날에 임할 진노를 네게 쌓는도다’(5절)
‘다만 네 고집과 회개하지 아니한 마음을 따라’
앞 절에 묘사된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대조되는 죄인들이 속성을 단적으로 적시하고 있다.
여기서 ‘진노의 날’은 ‘곧 하나님의 의로우신 심판이 나타나는 그 날’을 가리킨다.
‘임할 진노를 네게 쌓는도다’
여기서 ‘쌓는도다’에 해당하는 헬라어 ‘테사우리제이스’는 ‘점차적인 축적’을 의미한다.
즉 하나님의 진노가 범죄할 당시에 즉각적으로 내릴 수도 있었으나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에 의해 연기되면서 그 진노가 계속하여 죄인들에게 쌓였다가 진노의 날에 감자기 큰 재앙으로 임할 것이라는 의미다.
◆묵상과 적용
◦‘임할 진노를 네게 쌓는도다’
본장의 핵심은 앞에서 이방인들은 율법이 없이 범죄하여 심판에 이르렀으나,
유대인들은 율법을 알면서도 범죄하였은즉 그 율법으로 심판을 받게 된다는 것(12절)이다.
또한 본문을 통해 우리에게 주시는 교훈은
첫째, 결코 남을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다.(1-2)
특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라는 말씀이 찔린다.
유대인들이 정죄 받아야 되는 까닭은 자신도 동일한 죄를 범하면서
다른 자를 판단하는 행위 때문이었다.
나 같은 목사가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둘째, 하나님의 심판은 진리대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3)
하나님의 심판이 정당한 것은 그 판단 기준이
어떤 선입견이라 환경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진리’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셋째, 하나님의 풍성하신 은혜를 악용하지 말라는 것이다.(4)
4절에 이런 표현이 나온다.
하나님은 ‘그의 인자하심과 용납하심과 길이 참으심이 풍성’이라는 말씀이다.
유대인들의 중대한 과오는 오래 참으시는 속성을 이용하려는 것이었다.
즉, ‘하나님의 길이 참으심의 풍성함을 멸시치 말라’는 것이다.
오늘 우리 시대 성도들에게 주시는 큰 경종이다.
넷째, 우리의 악한 고집으로 하나님의 진노를 쌓지 말라는 것이다.(5)
‘임할 진노를 네게 쌓는도다’
이는 죄에 안주하는 자들에게 대단히 충격적인 의미를 주는 말씀이다.
즉 하나님의 진노가 범죄 할 당시에 즉각적으로 내릴 수도 있었으나
오래 참으심에 의해 연기되면서 그 진노가 계속하여 죄인들에게 쌓였다가
진노의 날에 감자기 큰 재앙으로 임할 것이라는 의미다.
“악한 일에 관한 징벌이 속히 실행되지 아니하므로
인생들이 악을 행하는 데에 마음이 담대하도다(전8:11)”
전도서 기자의 충고다.
“다만 네 고집과 회개하지 아니한 마음을 따라 진노의 날
곧 하나님의 의로우신 심판이 나타나는 그 날에 임할 진노를 네게 쌓는도다"(롬2:5) 아멘!
'좋은 말씀 > 리민수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평한 심판이 있으리라! (롬2:12-16-하나님의 심판 원리③) (0) | 2019.01.26 |
---|---|
행한 대로 심판하리라! (롬2:6-11-하나님의 심판 원리②) (0) | 2019.01.24 |
가장 치명적인 형벌-유기! (롬1:18-32-이방인의 죄와 형벌) (0) | 2019.01.22 |
복음에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다! (롬1:16-17-이신득의(以信得義) 원리) (0) | 2019.01.20 |
다 내가 빚진 자다! (롬1:11-15-집필 동기와 목적) (0) | 201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