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목회단상

사랑한다는 것의 궁극

새벽지기1 2018. 11. 24. 09:54


사람이 가장 받고 싶은 것, 가장 하고 싶은 것은 단연코 사랑이다.

사람이 가장 듣고 싶어 하는 말, 가장 기분 좋아하는 말도 사랑이다.

문학, 음악, 영화를 비롯한 모든 예술이 끝없이 추구하고 물으며 말하는 것도 사랑이다.

사랑은 무엇일까?

사랑은 뭔가를 주는 행위이기 이전에 사람을 존귀하게 여기는 눈,

사람을 사람으로 대접하는 마음이다.

하나님이 사람을 바라보며 대우하듯 타인을 바라보며 대우하는 태도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사람을 존귀하게 여기는 것일까?

사람을 사람으로 대접하는 것일까?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것을 잘 챙겨주는 것일까?

그의 입장을 충분히 배려하는 것일까?

부모가 자식에게 하듯 잘 입히고, 잘 먹이고, 잘 챙겨주는 것일까?

물론 그런 것도 포함되기는 한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것은 한 사람의 자유의지를 존중하는 것이다.

사람은 다른 무엇보다도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이니까.

옳다. 사람에게 자유의지는 다른 무엇보다 소중하다.

미국의 정치가 패트릭 헨리가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고 외쳤듯

사람에게 자유는 생명과 같다.

 

사람은 자고로 자유를 가진 주체다.

파스칼은 사람을 ‘생각하는 갈대’라고 했지만

자유의지가 없는 사고는 생각하는 기계에 지나지 않고,

평화가 아무리 소중하다 해도 자유의지가 없는 평화는 무덤의 고요에 지나지 않는다.

자유는 진실로 인격적 존재가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영광이자 특권이고,

사람을 사람 되게 하는 최후의 보루다.

하여, 하나님은 결단코 사람의 자유의지를 침범하지 않는다.

어떤 상황에서도, 어떤 이유로도 사람의 자유의지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

사실 하나님에게 유일하게 제한된 성역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사람의 자유의지다.

물론 사람에게 자유의지를 주신 분은 하나님이시다.

또 그분은 전능자이시고 주권자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은 사람의 자유의지를 함부로 침범하지 않는다.

아니, 절대로 침범하지 않는다.

 

하물며 사람이랴.

창조주도 침범하지 않는 절대 성역을 사람이 어떻게 침범할 수 있겠는가?

부모라고 해서 침범할 수 있겠는가? 부부라고 해서 침범할 수 있겠는가?

월급 주는 사장이라고 해서 침범할 수 있겠는가?

권력을 위임받은 대통령이라고 해서 침범할 수 있겠는가? 가당치 않다.

자유의지는 어떤 이유로도 짓밟힐 수 없는 인간의 마지막 보루이며 최후의 성역이다.

그렇다면 사랑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의 자유의지를 존중하는 일 아닐까?

잘 입히고, 잘 먹이고, 잘 챙겨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자유의지를 존중하는 것이 훨씬 더 궁극적인 사랑, 사람에게 걸맞은 사랑 아닐까?

 

그런데 우리네 현실은 좀 다르다.

안타깝게도 자유의지를 존중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가 우리를 압도하고 있다.

하나님도 침범하지 않는 자유의지의 성역을 너무 쉽게 침탈하고 있다.

사장은 자기가 고용했다는 이유로 직원의 자유의지를 짓밟고,

선배는 선배라는 이유로 후배의 자유의지를 무시하고,

선생님은 선생님이라는 이유로 학생의 자유의지를 침탈한다.

대통령은 국가를 위한다며 국민의 자유의지를 짓밟고,

우리 모두는 ‘우리가 남이가’라는 패거리 문화로 서로의 자유의지를 짓밟는다.

인터넷 세상에서는 익명이라는 방패 뒤에 숨어서 개인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벌떼처럼 몰려다니며 서로의 인격을 짓밟는다.

심지어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내가 널 사랑하니까 너는 이렇게 해야 돼’라고 강요하기도 한다.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에는 상대방의 자유의지를 무시하고 침탈하는 문화가 깊게 배어 있다.

상대방의 자유의지가 내 것이라도 되는 양 내 맘대로 판단하고 지시하고 억압하는 습성이 깊이 내면화되어 있다.

때문에 내가 얼마나 상대방의 자유의지를 짓밟고 있는지,

상대방의 자유의지를 무시하는 것이 얼마나 심각한 죄악인지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것은 어쩌면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정(情)의 문화의 이면일 수도 있다.

서로에게 살갑게 다가가는 情의 문화가 우리 사회의 최대 강점인 것이 사실이나,

情의 문화에 드리워진 그림자가 오늘날 역으로 우리 사회를 좀먹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情은 서로를 끌어당긴다. 情은 구심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사랑은 구심력으로만 작용하는 게 아니라 원심력으로도 작용해야 한다.

그것이 情과 사랑의 차이점이다.

때문에 한 사람의 주체성을 인정해주고,

천부적인 자유의지를 존중해주는 삶의 문화를 체득하기 위해서는

情의 문화를 넘어 사랑의 문화로 나아가야 한다.

 



'좋은 말씀 > -목회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무슨 조화일까?  (0) 2019.02.05
사람만이 절망이고 희망이다  (0) 2018.11.29
사랑의 발아 지점  (0) 2018.11.21
一理, 眞理, 無理  (0) 2018.11.19
하나님은 교회를 왜 세우셨을까?  (0) 2018.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