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景職牧師說敎全集12)
目 次
增補版 刊行辭....................................................................................................三
..................................................................................................................五
....................................................................................................一三
............................................................................................................一九
...................................................................................................二六
.........................................................................................................三二
.............................................................................................................四0
..........................................................................................................四九
.............................................................................................................五六
.........................................................................................................六三
.........................................................................................七一
................................................................................七九
.......................................................................................................八六
...................................................................................................九一
.........................................................................................................九九
.........................................................................一0六
...................................................................................................一一三
.................................................................................................................一一七
...........................................................................................................一二四
「放送 說敎」
...................................................................................................一三0
......................................................................................一三七
..............................................................................................................一四二
............................................................................一四六
......................................................................................一五0
..................................................................................................一五四
........................................................................................................................一五八
.........................................................................................一六二
.................................................................................................一六六
............................................................................................一七0
....................................................................................................一七四
..................................................................................................................一七八
...........................................................................................一八二
..........................................................................................................一八六
.........................................................................................................一九0
................................................................................................一九三
...............................................................................................一九六
.....................................................................................................二00
..........................................................................................................二0四
..................................................................................................二0八
..............................................................................................二一二
자....................................................................................二一六
...........................................................................................................二二0
..................................................................................................二二四
..........................................................................................................二二六
...............................................................................................................二三0
.........................................................................................二三四
...............................................................................................二三八
...................................................................................二四一
.......................................................................................................二四四
.................................................................................二四七
...........................................................................................................二五二
.........................................................................................................二五五
.............................................................................................二五八
.......................................................................................................二六二
.....................................................................................................................二六六
..........................................................................................................二七0
「特別 說敎」
).......................................................二七四
...........................................................................................................二八二
.................................................................................................二八六
................................................................................................二九四
.................................................................................................三0二
.........................................................................................三0九
...................................................................................................三一六
........................................................................三二四
...................................................................................三三0
......................................................................................三三七
................................................................................三四五
...............................................................................................三五二
....................................................................................三六0
....................................................................三六七
.........................................................................................三七二
.........................................................................................................三八一
..............................................................................................三八六
............................................................................三九三
...........................................................................................................三九八
................................................................................................................四一二
...................................................................................................四一五
?-1 기독교와 근로자 (데살로니가 후서 三장 六-十六절)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살후 三·十절하반절)
벌써 十년 전에 한국근로 전도 회를 창립케 하여 주시고 지금까지 꾸준히 근로자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며 오늘 十주년 기념 예배를 들일 수 있게 축복하여 주신 하나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하루같이 계속하여 수고하신 회장님과 여러 임원 여러분에게 또한 치하를 드립니다.
오늘 이 시간 기독교 근로자라고 하는 문제아래에서 성경의 교훈을 생각하고자 합니다.
一. 일은 인간에 천직 곧 천부의 의무입니다. 창세기 一장 二七-二八절에 기록하기를 『하나님이 자기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시고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 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 리라.』하였습니다.
여기 땅을 정복하는 것, 생물을 다스리는 것은 곧 일을 의미합니다. 창세기 二장 一五절에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동산에 두 사 그것을 다스리며 지키게 하시고』 하였습니다. 여기도 다스리는 것과 지키는 것은 모두 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이 인간을 지으신 후 에 일을 맡기셨습니다.『일하라』『일하고 먹어라』하는 것은 하나님의 명령이십니다.
이렇게 일은 하나님의 명령이므로 곧 생의 법칙입니다. 따라서 일은 인간에게 큰 축복입니다. 일은 육체의 발육과 건강에 유익합니다. 뿐만 아니라 심리적 건강에도 유익합니다. 그러므로 소위 『직업요법』이라는 치료법도 생긴 것입니다. 곧 일을 주어서 건전한 정신을 회복케 하며 병도 치료합니다. 일하지 않는 이에게 흔히 의심, 근심 등 심리적으로 불건강한 상태에 빠지기 쉽고 또 육체적으로 병도 들기 쉽습니다.
세래 요한 이 광야에서 열심히 일할 때에는 예수를 메시야로 확실히 증거 하였으나 감옥에서 갇혀 있을 때에는 불행히도 그 자신이 의심에 빠졌습니다.
일은 도덕적 생활에도 유익합니다. 일하지 않고 한가한 사람들이 흔히 극장, 화투, 댄스나 하는 곳을 차자 다니며 죄에 빠지기 쉽습니다 .일에 분주하면 나쁜 생각이 들어 올 수가 없습니다.
제가 일찍이 十여 년 전에 대서양에 있는 서인도 여러 섬 중 바아바도스(Barbados)라는 교역자 수양회 인도 차 갔던 일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들은 이야기 가운데 하나는 양봉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어떤 분이 그 섬에 와보니 사방에 들꽃이 많은 것을 보고 이곳에서 양봉을 하면 잘 되리라 생각하여 꿀벌을 갖다 놓았더니 처음에는 조금 꿀을 모아들이더니 다음에는 그 섬에서는 꿀을 저축할 필요가 없음을 알고 이 벌들이 꿀을 안 만들고 그곳 주민들을 쏘기만 하였다고 합니다
사람이 일하지 않게 되면 이렇게 되기 쉽습니다. 사실 인간은 일하는 가운데 만족이 있고 기쁨이 있고 향상과 발전이 있고 사실 일을 통하여 현대의 모든 문화가 창조되었습니다. 이렇게 하나님께서 본래 누구나 일하고 살게 만들었고 먹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말합니다. 데살로니가 후서 三장 十절『누구든지 일하기 싫어 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二. 모든 일은 신성합니다. 이것이 곧 성경의 교훈입니다. 일을 대체로 두 가지 종류로, 곧 정신적 노동과 육체적 노동으로 분류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온전히 나누기는 어렵습니다. 왜? 아무리 정신적 노동이라도 육체의 노력이 필요하고 아무리 육체적 노동이라도 정신의 노력 또한 필요합니다. 머리를 바로 쓰면서 노동을 하여야 능률이 생깁니다. 그런데 대체로 어떤 시대 어떤 사회에서나 정신적 노동은 존경하나 육체적 노동을 천히 여기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헬라의 유명한 철학자 프라토나, 로마의 유명한 학자 시세로 같은 이도 육체 노동은 종들이나 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재래 한국 사회에서도 이와 같은 관념이 많았습니다. 이 육체 노동도 꼭 같이 신성하다는 사상은 어디서 왔습니까? 그것이 성경에서 왔습니다. 성경을 보면 하나님의 아들 되시는 예수 님께서 목수 일을 하셨습니다. 제자들의 대부분은 어부와 농민들이었습니다.
초대교회의 가장 위대한 전도자 바울도 언제나 손으로 천막을 만들었습니다. 사실 초대 기독교 운동은 노동자들로부터 노동자 중심의 운동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데살로니카 전서 四장 十一절에『너희 손으로 일하기에 힘쓰라』구약 잠언 三十一장에 보면 진주보다 귀한 현숙한 여인을 묘사할 때에 『그는 양털과 삼을 구하여 부지런히 손으로 일하며 솜뭉치를 들고 손가락으로 가락을 잡으며』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모범적인 현숙한 여인은 손으로 일하는 여인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중고시대에 수도원의 생활을 보아도 수도사들이 성경만 보고 기도만 한 것이 아닙니다. 농사를 짓고 옷감을 짜고 일체의 생활을 자작 자급하였습니다. 모든 육체노동을 신성하게 생각하는 것은 기독교의 독특한 유산입니다. .
마틴 루터는 말하기를 『모든 정직한 노동은 성역과 같이 거룩하다,』하였습니다.
三. 성경은 노동자의 권리를 옹호하고 정의의 대우를 요구합니다 모세의 율법에『곡식을 밟아 먹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곧 일하는 모든 이에게 먹을 권리가 있다는 뜻입니다 .곧 생활의 보장이 있어야 합니다.
예수 님도 『일꾼이 삯을 얻는 것이 마땅한 일이니라』(눅 十·七). 곧 일꾼이 적당한 대우와 권리를 의미합니다. 말라기 三장 五절에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내가 심판하기 위하여 너희에게 임할 것이라. 품꾼의 삯에 대하여 억울하게 하며 과부와 고아를 압제하며 나그네를 억울케 하는 자들에게 속히 증거 하리라.』고 하셨습니다. 신명기 二四장 一五절에 『그 품삯을 당일에 주고 해 진 후까지 끌지 말라』하셨습니다.
야고보서 五장 四절에『보라 너희 밭에 추수한 품꾼에게 주지 아니한 삯이 소리 지르며 추수한자의 우는소리가 만 군의 주의 귀에 들렸느니라.』고 하였습니다. 만일 세게 각국에서 자본주 들 혹은 기업주들이 이 성경의 교훈을 좀 더 일찍이 깨닫고 노동자의 권익을 인정하였다면 노동자들의 불평 불만을 이용하는 공산주의 운동이 성공치 못하였을 것입니다. 새 나라를 건설하는 우리 나라에서 이 근로대중의 권익보장과 사회 정의의 실현은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것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四. 성경은 모든 일을 하나님과 동사하고 하나님을 위하여 하라고 교훈 합니다.
고린도 전서 三장 九절에『우리는 하나님의 동역들이요』라고 사도 바울은 지적하였습니다. 골로새서 三장 二十二~二十四절에 『종들아(그 때에 흔히 종들이 노동을 하였습니다) 모든 일에 육신의 상전들에게 순종하되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와 같이 눈가림만 하지 말고 오직 주를 두려워하여 마음으로 성실히 하고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유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앎이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하였습니다. 여기 무슨 일이나 주를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성실하고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라고 권하면서 우리의 일하는 보상은 나중에 주님께서 받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곧 일을 통하여 주를 섬기라고 하였습니다. 무슨 일이나 하나님을 위하여 하나님과 동사하는 것, 곧 이것이 기독교 노동관(勞動觀)입니다. 이런 신앙을 가지고 일 할 때에 일은 곧 기도요 또 하나님께 들이는 산 제사인 예배인 것입니다.
바라건대 한국 근로 전도 회를 통하여 우리 근로 대중이 다 그리스도를 믿고 이러한 신앙과 정신으로 일하며 각 방면에서 우리 국가를 건설할 뿐더러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나라로 육성 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 위대한 목적을 위하여 과거에도 크게 노력하였지마는 앞날에 더욱 분발하시기를 바랍니다. (一九七四년 六월 十一일)
?-2 모세의 신앙 (히브리서 十一장 二十二-三十一절)
『믿음으로 모세는 장성하여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을 거절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더 좋아하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능욕을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히 十一·二十四-二十六)
히브리서 十一장에는 이스라엘 민족이 역사를 통하여 가장 위대한 신앙의 용사들에 대한기록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도 모세는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 자요 또 전 인류에게 율법을 수여한 아주 큰 공헌 한 인물입니다. 그런데 히브리서의 저자는 모세의 신앙을 이처럼 기록하였습니다.
이 시간 모세의 신앙을 잠깐 생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 주시기를 바랍니다.
모세의 신앙은 바른 선택 그보다도 바른 결단으로 나타났습니다.
본문에 기록된 대로 그는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을 거절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좋아하였다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대로 모세는 나면서부터 기구한 운명에 봉착하였습니다. 그는 당시 애굽에서 피압박 민족으로 살던 이스라엘 사람의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 부모가 석 달 동안 숨겨서 기르다가 부득이 더 계속할 수가 없어서 나일 강변에 버렸습니다. 때마침 바로의 딸, 곧 공주가 목욕을 하려나왔다가 우는 아기를 보고 불쌍히 여겨 아기를 데려가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그는 애굽 공주의 양자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애굽의 모든 문화와 학문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장성하게 될 때에 그의 가슴속에는 남 모르는 고민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자기가 그렇게 공주의 아들로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나 근 실상 히브리사람이요, 또 히브리 사람들은 그 때에 애굽 사람들의 종으로써 말할 수 없는 압박을 받는 것을 목도한 까닭입니다. 그리하여 그의 심령 깊은 속에는『내가 그냥 바로의 아들로 살 것이냐 혹은 사실 히브리 사람의 하나로 살 것이냐』 이 두 갈래 길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삶의 기로에서 그는 믿음으로 결단을 내렸습니다. 그것은 곧 양심이 가르치는 그대로 진실 그대로 히브리 사람으로 살고 자기 민족을 위하여 헌신하기로 결단을 한 것입니다. 이 결단은 믿음으로 하였다고 합니다. 사실 그러합니다 .이런 결단은 쉬운 것이 아닙니다. 그는 이 결단 가운데서 먼저 거절해야 할 것이 몇 가지 있었습니다.
첫째는, 공주의 아들이라 하는 직위를 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높은 지위를 얻기 위하여 애쓰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모세는 이것을 믿음으로 포기하였습니다. 그뿐 만 아닙니다.
둘째는, 그는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도 포기하였습니다. 인간이 보통으로 향락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모세는 모든 사람이 욕구 하는 향락까지도 포기하였습니다 보화 곧 돈을 탐하는 이가 얼마나 많습니까? 그러나 모세는 믿음으로 애굽의 모든 보화 끼지도 내버렸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세는 믿음으로 세상사람들이 흔히 탐구하는 소위 부귀 영화를 모두 포기하여 버렸습니다.
그러면 이런 것들을 다 내어버리고 그 대신 모세가 자기를 위하여 자취한 것이 무엇입니까? 오늘 읽은 본문이 기록한대로 그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받기를 자취했습니다. 곧 자기 민족과 함께 고난받기를 스스로 택한 것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둘째는 본문에 기록한대로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능욕을 또한 자취하였습니다. 그리스도는 자기는 무슨 좌가 없으나 만인의 죄를 대신하여 능욕을 받았습니다. 마찬가지로 자기로서는 당시에 능욕을 받을 처지가 아니나 자기 백성을 위하여 대신 능욕을 받기로 자원하였습니다. 그리고 모세는 이렇게 행동을 취한 것은 오직 믿음으로 장례를 바라보는 가운데 행하였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세는 믿음으로 현재만 보지 않고 미래를 보았고, 미래에 상주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가운데서 이러한 결단을 내린 것입니다.
이상으로 미루어 보아 모세는 믿음으로 옳고 그른 것을 분명히 판단하고 또한 어떠한 것이 영원한 가치가 있는지 그 가치 판단을 옳게 한 것입니다. 이상이 모세의 신앙의 째 특색입니다.
그는 믿음으로 모든 것을 바라보고 바로 판단하고 현재의 일시적 사회적 지위나 생의 향락이나 세상의 재물보다도 옳은 길 영원한 길을 택한 것입니다. 이 길이 아무리 고난과 능욕을 의미하나 믿음으로 장래의 상을 바라보면서 이러한 결단을 내린 것입니다. 시대와 환경은 변하나 원리와 원칙은 변치 아니합니다. 우리가 신앙생활을 옳게 하려면 언제나 마땅히 버릴 것을 버리고 취할 것을 취하는 결단이 있어야 합니다. 무엇이 옳고 그르며 어떠한 것이 영원한 가치가 있고 어떠한 것이 일시적이라고 하는 것을 분명히 깨닫고 옳은 길로의 일대결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본문을 계속하여 읽으면 모세는『믿음으로 애굽을 떠나 임금의 노함을 무서워 아니하고 곧 보이지 아니하는 자를 보는 것같이 하여 찾았으며』라고 하였습니다.
여러분이 기억하시는 대로 모세가 마음속에 이상과 같은 결단을 내린 후에 하루는 그 가 이스라엘 백성들이 노예로서 일하는 공사장을 한 번 가보았습니다. 그때 마침 한 애굽 사람이 어떤 히브리 사람 곧 자기 형제를 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는 분개하여 죄 우를 살펴 사람이 없을 보고 그 애굽 사람을 처 죽여 모래에 감추었습니다. 이튿날 다시 나가니 두 히브리 사람이 서로 싸왔습니다. 그리하여 모세는 그 싸움을 말리며 그른 자에게 말하기를 네가 어찌하여 동포를 치느냐 하였습니다. 그랬더니 그가 말하기를 누가 너로 우리의 주제와 법관으로 삼았느냐 네가 애굽 사람을 쳐죽임 같이 나도 죽이려느냐 하였습니다. 이런 일이 있은 후에 모세는 애굽을 떠나 미디안에 가서 참고 기다렸습니다. 성경은 이것도 믿음으로 참았다고 하였습니다. 그때 모세는 그 청년의 끓는 혈기로 당장 자기 백성을 구하여 내고자 하는 정열은 마음속에 사무쳤습니다. 그리하여 그 혈기대로 계속하여 무엇이나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그때에 모세가 그냥 그 혈기대로만 하였다면 자기 백성을 구원하지 못하였을 뿐더러 자기 생명만 쓸데없이 희생되었을 것입니다. 사실 그때에 이스라엘 백성은 아직 구원받을 마음의 준비가 되지 못하였습니다. 아무리 좋은 일이나 범사에 때가 있는 것입니다. 곧 하나님의 때가 있는 것입니다. 좋은 일을 위하여 이 때를 참아 기다리는 것은 곧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그림으로 그 때에 모세가 애굽을 피하여 멀리 미디안에 가서 오래 참고 기다린 것은 그의 믿음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참고 기다리는 모세의 믿음도 우리는 또한 배워야 할 것입니다.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급한 마음으로 일을 서두르다가 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큰 목적을 품었으나 아직 때가 이르지 않은 것을 또한 바로 살펴 오래 참고 기다리는 모세의 신앙을 또한 배워야 할 것입니다 믿음으로 하나님과 동행하며 동사하는 이는 서두루지 아니합니다.
그리고 본문 二十八절에『믿음으로 모세는 유월절과 피 뿌리는 예를 정하였다.』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때가 이르러 여러분이 기억하시는 대로 오랜 후에 모세가 호렙산에서 부름을 받고 애굽에 다시 돌아와 그 민족의 해방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또한 여러 가지로 축복하여 주셨고 또한 온 민족이 한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 땅을 떠날 마지막 저녁이 되었습니다. 또 이 때는 열 가지 재앙 중 마지막 재앙이 내리는 저녁 이였습니다. 그리하여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은 이 재앙을 피하기 위하여 양을 잡아 그 피로 문설주에 바르게 하고, 그리고 그들은 떠날 모든 준비를 갖춘 후에 그 양의 고기를 불에 구워 먹으라고 하였습니다. 그날 저녁에 하나님의 말씀대로 문설주에 피가 없는 애굽 사람의 집에는 맛 아들을 비롯하여 짐승의 첫 새끼까지 죽었으나 이스라엘의 백성의 집만은 이 재앙이 넘어갔다고 하여 유월절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주의할 것은 모세가 이렇게 유월절을 준비하라고 하면서 앞으로는 매년 대대로 이 유월절을 지키라고 또 명령하였습니다.
히브리 저자는 이것이야말로 믿음으로 하였다고 기록하였습니다. 곧 모세는 떠나는 그 저녁에 앞으로 그 민족이 해방을 받을뿐더러 가나안 복지에 들어가서 평안히 살 것을 믿었습니다. 곧 자기 백성이 장차 온전한 해방을 받는 데 대하여 추호도 의심 없이 믿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모세의 믿음입니다. 역사는 모세의 믿음대로 되었습니다. 과연 유대인들은 해방되었고 오늘까지도 유월절을 지키는 것입니다.
의사 안중근은 자기가 여순 감옥에서 그 악한 일본과원들에게 처형을 당할 때 유언하기를 장차 조국이 광복 될 때에 자기 유해를 고국에 갖다 묻어달라고 유언하였습니다. 이 유언은 그의 조국에 대안 믿음입니다 역사는 그 믿음대로 되었습니다. .
우리 민족의 통일에 대한 믿음은 어떠합니까? 우리가 과연 역사의 주가 되시는 전능 하신 하나님을 믿으면 조국 통일에 대하여는 추호도 의심할 바가 없습니다. 우리에게도 모세와 같은 믿음의 신앙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二十九절에『믿음으로 저희가 홍해를 육지 같이 걸었다』하였습니다. 이 일도 우리는 잘 기억합니다.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데리고 광야를 향하여 나아갈 때에 뒤에는 애굽 군대가 따르고 앞에는 홍해가 가로 막혔습니다. 이 때에 모세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말씀 그대로 앞에 서서 지팡이를 들고 손을 바다위로 내밀며 앞으로 전진하였습니다. 물이 갈라 저서 홍해를 육지 같이 건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신앙으로 전진하는 십자군의 모습을 봅니다. 하나님께서 같이 하실 때에는 인간적 견지에서 불가능한 것이라도 가능케 하는 것입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이면 불가능한 일도 감행하는 소유자이었습니다. 어떤 장애물이든지 하나님 앞에서는 살아진다는 신앙이었습니다.
어떠한 역경이나 난관이라도 신앙으로 돌파하는 모세의 모습을 우리는 봅니다.
이와 같은 모세의 신앙을 설명하여 주는 말씀이 또한 二十七절에 있습니다. 곧『그는 보이지 아니하는 자를 보는 것같이』동행하였습니다. 하나님이 비록 육안으로 보이지 아니하나 보이는 것같이 생각하고 의논하고 언제나 동행하며 그에게 인도함을 받았습니다. 민수기 十二장 八절에『여호와께서 모세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그와 내가 대면하여 명백히 말하고』 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세는 이렇게 하나님과 가까운 생활을 하였습니다. 여기에 모세의 신앙의 핵심을 찾아봅니다.
(1) 모세의 신앙은 결단이 있는 신앙이었습니다
(2) 모세의 신앙은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며 참을 줄 아는 신앙이었습니다.
(3) 모세의 신앙은 하나님께서 시작하신 일은 반드시 이룰 줄 믿는 신앙이었습니다.
(4) 모세의 신앙은 하나님의 명령이면 어떤 난관이 있을지라도 전진하는 신앙이었습니다.
(5) 모세의 신앙은 언제나 하나님과 동행하는 신앙이었습니다.
(一九七四년 七월 二十八일)
?-3 환난에서 소망에 (로마서 5장 一-十一절)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을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로마서 五·三-四)
로마서는 기독교 신앙의 중심 되는 진리를 가르치는 서신입니다. 여기서 사도 바울은 모두 죄를 범한 죄인임을 지적하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얻는 진리를 가르칩니다. 이는 하나님과 화평(和平)을 누리는 믿음으로 이 은혜에 들어가서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뿐 아니라 이러한 이들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한다고 말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참 신앙으로 그리스도를 믿어 죄 사함을 받고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는 이들은 장차 있을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기뻐한다고 하였습니다. 환난 중에도 즐거워한다고 주장합니다.
여기 참 은혜 받은 신자의 특색이 있습니다. 그것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환난 중에는 흔히 불평하고 원망하고, 낙심하기 쉽습니다. 참 신앙의 소유자들은 즐거워한다고 지적합니다. 물론 환난을 환영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환난 자체를 즐거워한다는 말도 아닙니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 환난 중에도 장차 올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한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곧『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아는 까닭입니다.』
첫째는 환난은 인내를 낳는다고 하였습니다. 여기 인내라는 혤라 원어 Hupomone라는 말로서 참고 견딜 뿐 아니라 이겨내도록 견딘다는 뜻이 있습니다. 히브리서 十二장 一절-二절에 『이러므로 우리에게 구름 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 있으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고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 믿음의 주요 뚜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저는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럼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라고 했습니다. 여기『인내로서 경주하고 믿음의 주요, 온전케 하시는 예수를 바라보라』고 권하면서 저는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셨다고 하셨습니다. 곧 예수의 인내를, 십자가까지 참으신 그 인내를 바라보며 배우라고 권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생애를 잠깐 회고 할 때에 그는 과연 말 할 수 없는 많은 환난을 참으셨습니다. 또한 빈궁한 생활도 참으시고 오해도 참으시고 갖은 비난도 참으시고, 모욕과 핍박도 참으셨습니다. 또한 마지막 십자가의 고통도 참고 견디었습니다. 그는 과연 인내의 주님이 십니다. 인내는 그리스도의 성품의 한 특색입니다.
인내는 편안 곳에서는 얻지 못하는 덕입니다. 역경 중에서만 얻을 수 있는 미덕입니다.
전에 제가 들으니, 알래스카에 사는 에스키모 종족들은 내한성 곧 찬 것을 견디는 성품이 풍부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내열성 곧 더운 것을 견디는 힘은 약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그들은 항상 추운 곳에서 사는 까닭입니다. 그와 반대로 남양 군도나 아프리카에 사는 토인들은 내열성은 강하나 내한성은 약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물론 그들은 늘 더운 열대지방에 사는 까닭입니다. 대장장이의 손은 뜨거운 것을 잘 견딥니다. 그 이유는 항상 뜨거운 것을 만지는 까닭입니다. 추운 겨울에도 우리는 얼굴을 항상 내어놓고 다닙니다. 얼굴의 피부는 내한성이 강하다고 합니다. 왜냐 하면 항상 추운 공기와 접촉하는 까닭입니다. 바람이 불어야 나무 뿌리가 깊이 들어가 나무가 튼튼하다고 합니다. 고통, 질병, 실패, 슬픔, 위기, 역경, 곧 여러 가지 환난을 통해서만 이 귀한 그리스도의 성품을 곧 인내를 이루는 것입니다.
야고보서 1장 二-四절 이하에『내 형제들아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만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 이는 너의 믿음의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는 줄 너이가 앎이라.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 이는 너희로 오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함이라』고 했습니다. 환난은 인내를 온전히 이루게 합니다.
둘째는, 인내는 연단을 낳는다고 하였습니다. 새 번역에는 품격을 낳는다고 하였습니다. 곧 인내는 세련된 품격을 이룹니다. 거 칠은 바다의 노한 물결이 숙련된 수부를 만듭니다. 거 칠은 세상의 온갖 풍파는 세련된 품격을 조성합니다. 예방 주사의 원리가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예방주사란 좀 약화된 병균을 혈액 속에 집어넣어 백혈구로 하여금 싸워 훈련을 받게 하여 훈련된 백혈구는 진성(眞性)병균이 들어와도 능이 싸워 이겨냅니다. 많은 훈련을 받은 이가 승리하는 운동 선수가 됩니다. 많은 전쟁을 겪은 군인을 백전노장이라고 합니다. 위험한 전쟁의 많은 경험은 그들로 하여금 상승의 군인이 되게 합니다.
들은즉 바이올린 같은 좋은 악기를 제작할 때에 가장 좋은 나무를 택할 뿐더러 같은 나무에서도 특별히 북편에 있던 부분으로, 곧 가장 찬바람으로 맞은 부분으로 만든다고 합니다. 환난을 많이 받은 영혼이 인내와 세련된 품격을 통하여 재일 아름다운 생의 음악을 연구합니다.
셋째는『연단은 소망을 이룬다』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환난과, 인내와, 연단을 다 합하여 우리의 소망을 이룬다고 하였습니다. 그것은 무슨 뜻입니까? 또한 우리 신자들의 소망이 무엇입니까?
본문 로마서 五장 二절 말씀에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또한 로마서 八장 二十九-三十절 말씀에『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고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하셨습니다. 여기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리신 것은 그 아들을 본받게 하기 위함이요, 마지막에는 영화롭게 하기 위함이라고 하였습니다.
고린도 후서 四장 六절에는『하나님께서 예수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을 우리 마음에 비취셨느니라』곧 그리스도의 얼굴에는 하나님의 영광이 있습니다.
요한一서 三장 二절 말씀에는『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가 장래에 어떻게 될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내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그의 계신 그대로 볼 것을 인함이니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하느니라』라고 했습니다. 곧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심이 되면 우리도 그와 같이 될 소망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그리스도인의 최고 소망은 하나님의 영광으로 가득한 그리스도와 같은 인격을 이루는데 있습니다.
신앙생활의 최고 목표는 이 소망에 도달하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이러한 인격을 위한 훈련의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격을 훈련하는 데 있어서는 환난이 도움이 됩니다. 아니 꼭 필요합니다.
제강소에 불이 없이는 강철을 만들 수 없습니다. 환난이 없이는 천국의 가장 보배인 하나님의 영광으로 가득 찬 그리스도의 인격을 이룰 수 없습니다. 환난을 통하여 찌꺼기와 같은 모든 허물과 죄를 태워버리면 더 깨끗하게 됩니다. 환난을 통하여 인내의 덕과 연단으로 세련된 그리스도의 인격을 이룹니다. 검은 탄소로 빛나는 금강석으로 만드는데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하나는 뜨거운 열이고 또 하나는 강한 압력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그리스도인의 인격 조성을 위하여 제공합니다. 고통, 질병, 실패, 역경, 슬픔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환난 가운데서도 즐거워합니다.
우리 인간 생활에서 특히 신앙생활의 최고 목표는 이러한 하나님의 영광이 빛나는 그리스도인의 인격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지식이 필요하나 그것도 최고의 목표는 못 됩니다. 때로는 권력도 필요하나 그것도 최고의 목표는 못됩니다. .그러므로 인격을 희생하면서 돈을 모을 수도 없고 인격을 희생하면서 지식을 구할 수도 없습니다. 이것들이 인격 건설에 도움이 되면 좋지만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삼가야 합니다. 반대로 우리가 때때로 환난 가운데 있다고 낙심하지 맙시다.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품격을, 품격은 우리의 최고 소망, 곧 하나님의 영광이 빛나는 인격을 이루게 합니다.
우리는 개인적으로 또 민족적으로 환난이 많습니다. 환난 가운데 낙심하지 하지 말고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보며 즐거워하며 싸워 나갈 뿐입니다. 인내의 주가 되신 예수를 바라봅시다. (一九七四년)
?-4 개척자의 신앙 (로마서 十五장 二十-二十三절)
『또 내가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곳에는 복음을 전하지 않기로 힘썼노니 이는 남의 터 위에 건축하지 아니함이라』(롬 十五·二十)
一九四七년 부활절 아침에 남산공원에서 해방 후 처음으로 한·미 연합 예배로 모였습니다. 그때에 한국 교인들과 미군들 약 二~三만 명이 모였습니다. 이 예배를 마친 후 선교사 로스 목사가 원한경(元漢慶 Underwood) 박사를 바라보며『만일 당신의 아버지(元杜尤 初代 宣敎師)가 七十여 년 전 한국에 오지 않았던들 이 광경을 볼 수 있었겠는가』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사실 八十八년 전 一八八五년 四월 五일 아침에 원두우 목사 내외와 아펜셀라 목사 내외가
이곳에 상륙하지 않았던들 오늘 저녁 이 광경도 볼 수 없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을 이 땅에 보내신 하나님께 먼저 감사를 드리고 또 하나님의 부름을 받아 이곳에 오신 그들 개척 선교사들에게 감시를 드릴 수박에 없습니다.
오늘 저녁 읽은 로마서 十五장 二十절 말씀에 사도 바울은 『내가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곳에는 복음을 전하지 않기로 힘썼노니』복음이 전파되지 못 한곳에 항상 가서 전도하기에 힘썼다는 말씀이 있습니다. 또 二十三절에는 그는 꼭 서반아로 가려는 소원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당시 서반아는 유럽 서편에 잇는 나라로서 땅 끝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는 문자 그대로 땅 끝까지 가서 복음을 전파하려고 힘쓴 개척 전도자입니다.
오늘 저녁 그들의 신앙을 잠깐 생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축복을 더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로, 먼저 그들의 신앙은 원시적 곧 멀리 보는 신앙이었습니다. 그들은 미국에서 낳고 그곳에서 교육을 받았지 만은 멀리 태평양을 건너 이 극동의 한 작은 나라 한국을 본 것입니다.
요즈음 말로 하면 그들은 청년 목사로서 멀리 한국의 신령한 밭을 비전으로 본 것입니다. 이 신령한 비전이 그들로 하여금 고향을 떠나고 친척을 떠나고 고국을 떠나 넓은 태평양을 건너 이 땅에 오게 한 것입니다 .어떤 방면이나 이 개척자에게는 이러한 비전이 있는 것입니다.
둘째로, 영국 런던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대 예배당(Westminster Abbey)에 들어가 보면 거기서 유명한 개척 선교사 리빙스턴(Livingston)의 무덤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그는 일생도안 아프리카의 검은 대륙에서 개척 전도를 하다가 홀로 기도하는 중에 운명하였습니다. 그 후 영국정부는 이 소식을 듣고 사절을 파견하여 그의 심장만을 꺼내어 그 땅에 묻고 나머지 유해는 군함으로 운반하여 이 예배당에 안장하였습니다.
나는 몇 해 전 그 예배당을 방문할 때에 그 무덤을 직접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 무덤을 덮은 대리석 위에는 요한 복음 十장 十六절 말씀이 새겨져 있습니다.『 또 이 우리 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 터이니 저희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이 구절은 그의 특별한 성경 구절입니다. 곧 리빙스턴은 아프리카 대륙에도 아직 주님의 우리 에 들어가지 아니한 많은 다른 양들을 이 구절을 통하여 비전으로 본 것입니다. 그는 이 양들을 예수 님께로 인도하기 위하여 아프리카로 간 것입니다. 이 비전이 그로 하여금 또한 개척 선교사로 만든 것입니다
예수 님은 일찍이 야곱의 우물가에서 사마리아인들이 자기에게 나오는 것을 보시고『너희가 넉 달이 지나야 추수할 때가 이르겠다 하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도다』 이 희어져 무르익은 밭을 보는 비전이 있어야 개척자가 되는 것입니다.
나는 약 一개월의 동남아 여행을 마치고 十여일 전에 돌아 왔습니다. 싱가포르에서는 十一개국에서 모인 청년 목사들의 수양회가 있었고 태국에서는 전국 부흥화가 있었습니다. 여러분 아시아의 무르익은 신령한 밭을 보십니까?. 이 대륙에 세게 인구의 약 절반이 살고 있습니다. 그들 중 신자는 三%에 불과합니다. 추수에 무르익은 넓은 밭이 우리 앞에 있습니다. 태국은 인구가 三,○○○여만 인데 신자는 약 二三,○○○명에 불과합니다. 문자 그대로 일꾼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 한국 민족의 총수는 약 五,○○○만입니다. 북한, 만주,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도 널려 있습니다. 五,○○○만의 넓은 밭의 비전을 우리는 봅니까? 이 五,○○○만의 비전을 보는, 아니 아시아 十五억의 비전을 보는 청년들이 우리 한국 교회에서 많이 일어나기를 바랍니다.
둘째로, 생각할 것은 원 두우, 아펜셀려 두 개척 선교사들의 신앙은 모범적 신앙이었습니다.
① 사실 당시의 한국은 아주 위험한 나라로 세계에 알려졌던 곳입니다. 그 당시로부터 약 二十년 전 一八六六년에 토마스 목사가 성경을 가지고 대동강을 배를 타고 올라갔다가 순교한 곳입니다. 오랫동안 쇄국주의로 매우 위험스럽게 생각되었을 것입니다. 그런 때에 이들이 자원하여 한국에 나 온 것을 보면 그들은 담대하였고 모험적 정신이 가득한 젊은 전도자들이었습니다. . .
② 개척자들에게는 이 모험적 신앙이 모두 있었습니다. 바울도 역시 이러한 분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산의 위험과 바다의 위험과 거리의 위험과 길의 위험과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사방에 다니며 개척 전도를 하였습니다. 여호수아와 갈램도 이 모험적 신앙이 있었으므로 결국은 가나안 복지를 점령하고 들어간 것입니다. 개척자들에게는 다 용감한 모험적 신앙이 있었습니다.
③ 지금부터 八년 전 독일 서백림에서 세계 복음 화 대회가 모였을 때에 내가 본 한 광경
은 잊을 수 없습니다. 그때에 남미에 있는 오커(Auka)족 대표가 단 위에 나타났습니다. 이 오카족은 남미 밀림지대에 자기네들끼리만 살던 원시 민입니다. 문명과 전혀 접촉이 없는 야만인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약 十년 전에 청년선교사 五명이 비행기를 타고 그들에게 전도하려고 들어갔다가 모두 학살을 당하였습니다. 그 후에 학살당한 청년 목사의 한 부인이 홀로 그들 종족들에게 다시 들어가 그들을 도우며 점점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그곳에도 교화가 서고 그 대표가 복음 화 대회에 온 것입니다. 청년 여자의 모험적 신앙이 결국은 최후의 승리를 거둔 것입니다. 개척 전도자에게는 이 모험적 신앙이 필요합니다. 복음 전파를 위하여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아니 생명까지 바치려는 결심을 가진 개척자들이 요구됩니다.
우리가 사는 이 二十세기는 소위 과학이 발단된 시대라고는 하나 가장 악한 사람들이 많은 기독교들을 미워하는 무신론자, 유물론자들의 가장 많은 위험한 시대입니다. 이러한 시대에 철(鐵)의 장막, 죽(竹)의 장막이라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뚫고 들어가 복음을 침투시키려면 이 모험적 신앙을 가진 젊은 개척자들이 일어나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 시대에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모험 신앙을 가진 용감한 기독 청년을 부르십니다.「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까」말씀하십니다. 이 부름에 응답할 이사야와 같은 청년들이 많이 일어나기를 바랍니다.
셋째는, 원 두우, 아펜셀러 두 선교사들의 신앙은 또한 협동적 신앙이었습니다. 한 분은 장로교요, 다른 한 분은 감리교이었으나 서로 협동하여 일하였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들이 타고 오던 배가 점점 제물포 부두에 가까이 오니 처음에는 두 선교사가 서로 먼저 내리려고 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그들이 말하기를 우리 미국의 예이는 레이디퍼스트(Lady first)인데 아펜셀러 부인을 먼저 내리게 합시다. 그리고는 두 분이 같이 내렸다고 합니다. 이 협동의 정신은 내내 그들의 모든 선교사업에 나타났습니다. 그들의 교파는 비록 다르나 모든 일에 피차에 협력하였습니다.
우선 선교사업에 피차 경쟁을 피하기 위하여 선교 구역을 정하였습니다. 원래 인천 지방은 감리교 구역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사실 해방 전 꺼지는 이 곳에는 감리교회만 있었습니다. 서울, 평양 같은 대도시 외에는 꼭 구역대로만 선교를 하였습니다. 또한 공통된 일에는 모두 장로교와 감리교가 연합하여 일하였습니다. 곧 성경을 번역하는 일 찬송가를 출판하는 일 주일 공과를 만드는 일을 연합하여 도왔습니다. 처음에는 병원 학교까지도 다 연합하여 일을 하였습니다. 또한 연합 공의 회를 조직하여 모든 것을 협력하였으며 동경 유학생들에게 전도를 위하여 이 공의회의에서 한번은 장로교 목사 그 다음은 감리교 목사를 파송하여 공동으로 전도 사업까지 하였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그 때에 장로교회는 남, 북 장로교 호주장로교, 캐나다장로교 네 교파의 선교사들이 왔으나 교회는 한 장로교회를 세웠습니다. 또 남, 북 감리교회도 두 교파에서 선교사들 이 왔으나 합하여 한 감리교회를 세웠습니다. 문자 그대로 이 개척 선교사들은 다 에큐메니칼 정신을 가졌던 것입니다. 이렇게 개척 선교사들은 지도하였지만 해방 이후 혼란기에 장로교회나 또는 감리교회가 몇 갈래로 분열된 것은 실로 서글픈 일입니다. 개척 선교사들의 협동적 신앙이 아쉽습니다.
예수 님께서는 마지막 저녁에 믿는 이들이 다 하나 되게 하여 달라고 기도하였습니다. 그 뜻은 다 똑같이 되라는 말은 아닙니다. 비록 각각 다른 점이 있으나 주안에서 공통한 목적을 위하여 하나가 되라는 뜻입니다. 몸에는 여러 가지 지체가 있습니다. 이, 목, 구, 비가 다 다릅니다. 그러나 한 몸 안에서 하나가 됩니다. 포도나무 가지가 각각 다릅니다. 그러나 다 포도나무 곧 예수 안에서 하나가됩니다. 우리가 신학적으로 꼭 같이 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다 그리스도에게 속하여 공통된 일에 곧 전도나 사회봉사나 민족이나 국가를 위한 큰 일에 협력할 줄 알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五월 하순에 열리는 빌리 그래함 전도대회에 대하여 한 말씀 드립니다. 이 대회는 표어그대로『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인도하려는 대 전도 전략입니다. 그러므로 서울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고 그의 협동 전도자들이 와서 지방 六대 도시와 제주도까지 특별 집회 때에는 지방에 있는 교역자들 약 만 명의 경비를 다소 도우며, 서울에서 전도 강습을 시킵니다. 내가 기대하고 바라는 것은 우리 한국교회가 특별히 서울과 인천지방에 있는 교회가 적어도 배가되기를 원합니다. 그것은 가능한 일입니다. 이번 기회에 한 사람이나 그 이상을 이 대회로 꼭 초청하고 확정을 시킨 후에 인도하여 등록하게 합시다. 이번 기회는 전도하기가 비교적 쉬운 줄로 생각됩니다. 그 까닭은 그렇게 세계적으로 유명한 분이 오고 六천명 성가대가 동원되고 십만이 넘는 대 집회이므로 한번 구경하기 위하여도 올 것입니다. 인천은 과히 멀지 않으니 조금만 힘쓰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이 전도대회를 위하여 협력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기도하여 주시고,
둘째는 모든 일에 협력 허여 주시고,
셋째로는 온 교우가 동참하기 위하여 각 교회에서 이 달 안으로 꼭 한 번씩 헌금 허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척자의 신앙을 배웁시다. 넓은 추수를 기다리는 밭을 봅시다. 모험적 신앙으로 이런 밭을 향하여 용감히 나갑시다. 이 많은 추수를 거두기 위하여 교우가 교파를 초월하여 일치협력 합시다, (一九七四년)
?-5 진리와 자유 (요한 복음 八장 三十一-三十六)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요 八· 三十一- 三十二)
『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케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 하리라』(요 八· 三十六)
주님께서 당시 믿는 유대인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곧 그의 교훈을 듣고 그대로 행하며 살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또 진리를 알게 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렇게 되면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고 이르셨습니다. 여기 진리라는 말은 그리스도의 교훈으로 깨닫는 진리 곧 그가 가르친 진리를 의미랍니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께서 가르치신 진리 곧 보여 주시는 진리는 인간을 참으로 자유케 하십니다.
이 시간 이 진리와 자유 곧 진리가 가져오는 자유에 대하여 잔간 생각하고자 합니다. 그러면 그리스도가 가르친 진리가 무엇인가. 물론 여러 가지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단히 서너 가지로 추려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하나님에 대한 진리, 둘째는 인간에 대한 진리, 셋째는 그리스도 자신이 곧 진리임을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一, 하나님에 대한 진리
주님께서는 이 우주의 창조자시오 지배자이신 전능하신 하나님이 계심을 분명히 알려 주셨습니다. 또 이 하나님은 공의와 사랑의 하나님으로서 인류를 또한 지으시고 사랑하시는 아버지이심을 분명히 가르치셨습니다. 그리하여 이 우주 곧 대 자연의 배후에는 사랑의 하나님 곧 우리 인간의 아버지께서 계심을 분명하게 하셨습니다. 이 하나님에 대한 진리야말로 우리 인간을 많은 미신과 그릇된 종교와 공포심에서 해방하여 자유를 주셨습니다. 어떻게?
(一) 우주의 창조자시오 지배자이신 하나님을 모르는 인간들은 우주 자체를 우상화하고 여러 가지 자연계의 물체를 우상화하여 혹은 태양을 숭배하며 혹은 달을 숭배하고 그 밖에 나무나 돌까지도 숭배하는 여러 가지 미신에 빠졌습니다.
(二) 그 뿐 아니라 전능하신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또한 이 자연 물체가운데 무슨 신이 있다고 오해하여, 가령 산에는 산신령이 있고 물에는 물귀신이 있고 심지어 짐승이나 뱀 속에도 무슨 신이 있다고 하여 그것들을 숭배하였습니다. 온갖 우상 숭배에 빠졌습니다. 그 결과는 사람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공포심에 싸이게 되었습니다.
(三) 그 뿐 아니라 창조주이신 전능하신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어떤 이들은 이 우주를 볼 때에 자연 법칙에 의지하여 스스로 운행되는 한 기계로 보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소위 유물론적 우주관이라 합니다. 이러한 우주관은 자연히 인간으로 하여금 절망적 운명론에 빠지게 합니다. 곧 모든 것이 그저 운명이다 생각하게 합니다.
그런데 그리스도께서는 이 우주의 창조자이시오 지배자이신 하나님이 계심을 분명히 가르쳐 주시므로 우주 자체가 신이 아니 요 단순히 피조물임을 분명히 하셨고 또한 우주 자체가 한 기계가 아니 요 운행하시는 하나님께서 계심을 나타내심으로 인간으로 하여금 모든 미신에서 해방하였고, 모든 거짓 종교에서 해방하였고 또한 인류로 하여금 온갖 공포심과 운명론에서 해방하여 자유를 주셨습니다.
이렇게 그리스도의 참 하나님에 대한 진리는 인류로 하여금 자유를 얻게 하였습니다. 영적으로 종교적으로 자유를 가져오셨습니다.
二, 인간에 대한 진리
인간에 대하여 교훈 하여주신 그리스도의 진리는 인간을 자유케 하셨습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그릇된 인간관을 가진 이들이 적지 아니합니다.
(一) 어떤 이들은 인간을 역시 너무 높이 신으로 생각한 이들이 있습니다. 그리하여 옛날로마시대에 로마 황제를 신으로 숭배하도록 강요하여 기독교도들이 핍박을 받은 시대고 있었고 또 二十세기에 들어 와서는 지금은 이러한 생각이 없어진 줄로 생각하나 일본에서는 일찍이 천황을 신으로 생각하여 여기에 반대하는 기독교도들을 또한 박해한 때도 있습니다. 대체로 범신론적 인간관을 가진 이들은 이러한 사상이 농후합니다. 우리 한국에도 소위 『인내천』이란 천도교회 사상은 이러한 부류에 속합니다.
이처럼 인간을 신으로 생각 할 때에 거짓 종교뿐 아니고 언제나 인간을 구속하는 독재사상이 대두합니다. 이러한 독재 사상으로 말미암아 얼마나 많은 인간들이 수난을 당하였으며 인권이 유린되고 자유가 박탈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二) 이와 정 반대로 인간을 또한 짐승으로 생각하는 소위 유물론적 인간관이 있습니다. 인간을 단순히 한 물질로 생각할 때에 아메바와 사람과의 분간은 없어집니다. 단순히 아메바는 단세포 생물이요 인간은 다세포 생물뿐입니다. 이러한 유물론적 인간관은 인간으로 하여금 그 본래의 가치를 상실하고 기본 인권과 또한 자유를 읽게 만듭니다.
우리가 인간을 단순히 한 물질로만 보아 인간을 대할 때에는 인간을 역시 한 짐승과 같이 대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유물론적 인간관은 유물론적 윤리와 도덕을 낳게 합니다.
짐승이란 우리에게 이로우면 아끼고 먹이고 기르나 조금이라도 유익이 없게 되면 내어버립니다. 죽이기도 합니다. 유물론적 인간관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인간의 생명을 천시하고 학대하고 때로는 임의로 학살까지 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닙니다.
그 뿐 아닙니다. 유물론적 인간관과 윤리관은 결국 유물론적 사회사상을 낳게 합니다. 그리하여 이러한 사상이 지배하는 사회는 그 형태와 조직이 한 마디로 동물과 비슷합니다. 동물원에 있는 짐승이나 산에 사는 짐승이나 다 같이 먹고는 삽니다. 그러나 한가지 다른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동물원에 사는 짐승은 자유가 없습니다.
지난달에 서서 로잔에서 세게 제二회 복음 화 대회가 모였습니다. 세계복음화 제一회는 七년 전 서백림(西伯林)에서 모였습니다. 그 때에 하루 오후는 단체로 동백림(東伯林)에 가서 구경을 하고 돌아 왔는데 그때에 우리를 안내하던 분이 버스 안에서 이런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하루는 서백림 거리에서 두 마리의 개가 서로 싸우는 것을 보았습니다. 자세히 들으니 한 개는 동백림에서 왔고 한 개는 서백림 개였습니다. 한 개는 동백림을 자랑을 하였고 다른 개는 서백림을 자랑합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서백림 개가 동백림에서 온 개에게 물었습니다. 네 말대로 동백림이 그렇게 살만하면 무엇 하러 서백림에 왔느냐 물었습니다. 그 개는 대답하기를 그 곳에도 살수는 있는데 거기서는 도무지 짖을 수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자유사회와 공산사회의 차이는 여기에 있습니다 유물론적 사상은 결국 인간으로부터 모든 자유를 박탈하고 맙니다.
(三) 그런데 그리스도께서는 인간에 대하여 분명한 진리를 가르쳤습니다. 인간은 비록 그 육체가 물질이나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하나님의 자녀임을 분명히 하셨습니다. 그리므로 인간에는 이성과 양심과 불멸의 영혼이 있는 존재임을 또한 분명히 알려 주셨습니다. 사실 인간은 불멸의 존재입니다
그리스도께서 가르치신 인간에 대한 진리야말로 인간의 존엄 사상을 가져오게 되었고 따라서 인간의 평등사상 자유사상을 낳게 하였습니다. 곧 자유 민주주의의 근본 사상의 기초를 쌓아 주신 것입니다. 이렇게 그리스도께서 가르쳐 주신 인간에 기본 진리는 인간으로 하여금 많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구속에서 해방하여 자유를 얻게 하신 것입니다.
三, 그리스도 교훈이 진리요 또 그의 가르치신 진리가 인간에게 자유를 줄 뿐 아니라 우리가 분명히 기억할 것은 그리스도 자신이 곧 진리요 또 그 진리 자신이 우리에게 자유를 주시는 사실입니다.
그는 친히 말씀하시기를 『내가 곧 진리요 길이요 생명이니』라고 하셨습니다. 그가 곧 진리이십니다.
요한 복음 一장 十四절에『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가운데 거하심에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곧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입니다 그가 곧 아버지의 독생자이십니다. 그는 곧 은혜와 진리의 충만 이십니다
예수의 제자중 하나인 빌립이 일찍이 주께 나아와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 그리하면 족하겠나이다.』하였습니다. 그때에 주님의 대답은『빌립아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네가 나를 알지 못하느냐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라고 하셨습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은 곧 참 하나님의 화신이시오 또한 계시자이며 또한 죄 없는 참 인간의 모습이십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에게서 참 하나님과 인간의 진리 그대로를 목도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오늘 읽은 요한 복음 八장 三六절에『아들아 너희를 자유케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 하리라』말씀하셨습니다. 진리이신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오신 것은 모든 인류에게 자유를 주시기 위함입니다 진리이신 우리 주님은 우리 인간을 가장 큰 구속에서 해방하여 주십니다. 곧 죄의 구속에서 해방하여 자유를 주십니다.
나는 이미 그리스도의 교훈인 진리가 어떻게 온갖 미신과 공포심에서 인간을 해방하며 또한 온갖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구속에서 해방함을 지적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인간을 구속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가장 큰 쇠사슬이 있습니다. 그것은 곧 인간의 죄입니다. 시조 아담이 자유를 잘못 쓰므로 죄를 범하고 타락한 이후에 전 인간성은 죄로 말미암아 부패해졌고 또한 그 부패한 성품에 의지하여 적고 큰 무수한 죄를 계속하여 범합니다. 그러므로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 앞에서 죄인입니다. 사람 앞에서는 혹 성자라는 말을 듣는 이도 없지 아니하나 하나님의 거룩한 법 아래서는 성경 말씀 그대로『의인은 없나니 곧 하나도 없습니다』죄의 세력은 인간성을 구속하여 지적으로 정적으로 의지적으로 모든 방면을 얽맵니다. 그러므로 바울 같은 이도『내 속 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업 아래로 나를 사로잡아 오는 것을 보는 도다 오호라 나는 곤고(困苦)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라고 탄식하였습니다.
여러분! 이 전 인류를 그 죄악의 쇠사슬에서 해방하여 주시기 위하여 진리이신 예수 님이 오셨습니다, 이러한 해방의 대 역사는 오직 진리이신 참 하나님이요 참 사람이신 그리스도만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어떤 사람이 이 죄의 쇠사슬을 풀 수 없습니다. 왜 그자신도 역시 죄의 쇠사슬에 얽매여 있는 까닭입니다. 물론 자기 자신도 풀 수 없습니다. 이 쇠사슬을 풀만한 이는 그 자신에게 죄가 없어야하고 전능하신 하나님의 능력이 있는 분이라야 가능할 것입니다, 이러한 이가 곧 진리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그리스도이십니다. 이 크신 목적을 위하여 우리주님은 이 세상에 오셔서 십자가 위에서 모든 결과를 대신 당하시고 죽으시며 또한 사망의 권세를 이기시고 부활하심으로 이 죄와 사망의 권세를 영원히 깨뜨리고 전 인류를 죄의 권세에서 해방하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어떠한 죄의 쇠사슬에 얽매였는지 주님께 나오면 죄 사함을 받고 죄의 권세에서 해방을 받아 자유를 얻습니다.
정치적 자유, 경제적 자유, 사회적 자유 등이 물론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죄에서 해방을 받아 우리 심령이 영적으로 자유를 얻어야 합니다. 신령한 견지에서 여러분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살펴보시오. 문자 그대로 죄의 종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어떤 이는 정욕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정욕이 이끄는 대로 끌려갑니다.
어떤 이는 탐심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어떤 이는 향락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어떤 이는 허영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어떤 이는 권세욕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어떤 이는 술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마리화나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어떤 이는 아편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온갖 죄와 악한 습관의 노예가 되어 있습니다. 이 영적 쇠사슬에 매여 있는 동안 그는 아무리 지식이 많을 지라도 혹은 돈이 많을 지라도 아무리 직위가 높을 지라도 자유인이 아닙니다. 그 심령은 아직까지 노예 그대로입니다. 죄의 종입니다.
오늘이 바로 우리 한국 민족에게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八월 十五일 곧 해방 기념일입니다.
一九四五년 八월 十五일에 우리 민족은 과거 三十六년 간 우리를 정치적으로 노예로 삼았던 일본 제국주의에서 해방을 받아 자유 있는 민족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정치적 해방을 감사하여 이날을 기념일로 지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 정치적 자유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사회적 자유만으로도 부족합니다. 우리 민족 하나 하나가 영적으로 죄에서 해방을 받아 자유를 얻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 민족만 아니고 일본이나 미국이나 어떤 국민이든지 다 그러합니다.
여기 모인 청년 여러분 !
여러분 하나 하가 과연 이 죄의 쇠사슬에서 해방을 받아 자유를 얻었습니까? 당신은 자유인입니까. 이 자유를 얻는 길은 오직 하나입니다. 죄를 회개하고 진리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를 당신의 구주로 삼으시오
『주의 영이 있는 곳에 자유 함이 있느니라』 (고후 三·十七)
성령의 충만함을 받으시오, 이 성령의 폭팔 시기인 EXPLO 74에 우리 하나 하나가 죄에서 해방을 받아 참 자유인이 되시오. 그리고 이 자유의 복음을 세계에 전파하시오. 그리하여 전세계 인류를 죄의 구속에서 해방합시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아들이 너희를 자유케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 하리라』 (一九七四년)
?-6 놀라운 은혜 (시편 一一六편 五-一九절)
『내 영혼아 네 평안함에 돌아갈지어다 여호와께서 너를 후대하심이로다』(시편 一一六·七)
먼저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또한 여러 교우들에 감사를 드립니다. 하나님께서는 환난과 슬픔 중에 우리 가정을 크신 위로와 은혜를 내려 주셨고 믿음의 식구 여러분들은
기도와 사랑과 온갖 봉사로서 저의 가정을 붙들어 주셨습니다. 감사한 말씀을 무엇으로 다 드릴 수 업습니다.
오늘 읽은 시편 一백十六편의 저자는 누구인지 분명치 않습니다. 하여간 이분은 큰 환난 혹은 위기에서 은혜를 받고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여 이 노래를 기록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내 영혼아 평안함에 돌아갈 찌어다 여호와께서 너를 후대하심이로다』이것이 제 심경입니다 제 마음은 평안하고 감사한 것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실로 우리 가정을 후대하였습니다.
제가 일찍이 이북에 있었을 때에 피현 테마교회에 가서 一주일간 집회를 한 적이 있습니다. 집회가 거이 끝날 무렵에 그 교회 부인들 몇 분이 제 방에 오셔서 이야기를 하다가 제게 묻기를『목사님은 가정이 없습니까? 한 주일을 거의 말씀하면서도 가정에 대한 이야기는 한마디도 업더군요 작년에 오셨던 서경 선생님은 자기 가정에 대하여 이야기를 많이 하셨는데요』저는 대답할 말이 없었습니다. 사실 제 가정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없었고 그 후에도 별로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말하자면 제 가정은 없어졌습니다. 작년말로 내 가정생활은 온전히 마쳤습니다. 그러므로 아마 지금쯤은 옛말 삼아 내 가정 이야기를 좀 하여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할 수밖에 없을듯합니다. 제가 지금 약 六十년의 가정생활을 다 마치고 회고할 때에 실로 하나님의 은혜가 너무 커서 놀라운 것뿐입니다.
저는 본래 평양에서 북으로 약 一백 리쯤 들어가서 어파 역에서 가까운 작은 농촌 흔히 「자작」이라는 마을에서 태여 났습니다. 가정은 부하지는 못하나 자작농으로 생계를 유지하였습니다. 제 아버지는 없는 가운데서 자수성가한 분으로서 그는 정직하고 부지런하고 검소한 것이 그 생활의 특색이었습니다. 제가 어릴 때 기억으로는 그는 언제나 밝기 전에 일어났고 또 저녁 어두울 때야 들에서 돌아오셨습니다. 어머니 역시 그런 분으로서 그분은 농사를 돕는 외에 목화를 심어 그 목화를 따서 도리깨로 틀어 씨를 빼고 또 그것을 물래질 하여 실을 만들고 그리고 그것을 베틀에 매고 그후에 천을 짜서 만드는 일을 하였습니다. 어릴 때에 목화밭에 나아가 목화를 따는 것을 돕던 기억이 나고 밤에 자다가 깨어 보면 언제나 어머니가 자지 않고 물레질을 하는 것을 본 기억이 지금도 새롭습니다. 이렇게 넘어 과로한 탓인지 제 어머니는 제가 九살 되던 정월 十四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런데 저의 아버지께서는 제게 대한 두 가지 결심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자기가 공부할 기회가 없었음을 평생 유감으로 생각한 나머지 내 아들은 꼭 공부를 시키겠다 생각하여 아렸을 때에 저를 학교에 보냈습니다. 그리고 그 지방에서 소학교을 마친 후에는 특별히 애국심이 많은 학교를 택하여 정주 오산하교에 보내었습니다. 오산학교는 아시다시피 애국자이신 남강(南岡)이승훈 선생이 설립하셨고 당시에는 조만식 선생이 교장으로 계셨습니다. 우리 아버지가 제게 대한 둘째 관심은 맏아들이 되는 나를 일찍이 장가 보내기로 작정한데 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 윗동네에 아주 부지런한 할머니가 있고 무명을 제일 많이 짠다는 집에서 며느리를 구하여 왔습니다. 그때 내 나이는 十三살이요. 내 아내의 나이는 十六살이었습니다. 이렇게 가정을 이룬 후에 외국 유학 관계로 여러 해 서로 떠난 적도 있지만 작년까지 말하자면 결혼생활을 六十년이나 한 모양입니다.
며칠 전에 제 아내가 세상을 떠갔을 때 제가 좀 섭섭한 뜻을 말하니 내 옆에 있든 한 권사 님이『어이구 목사님 무슨 그런 말을 하십니까? 나는 결혼 생활이란 도무지 二년밖에 못해 봤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그 말씀을 들었을 때 할 말이 없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실로 우리 가정을 축복하여주셨습니다. 여러분이 대략 아시는 대로 저는 본래 몸이 약하여 이 약점을 아는 제 아내는 일생토록 제 건강 관리를 위하여 온갖 정성을 다 바쳤습니다.
특별히 두 가지 점에 유의하였습니다. 하나는 음식을 특별히 혼식에 주력하였고 또 하나는 쉬는 시간 곧 언제나 충분히 쉴 수 있도록 저를 도왔습니다. 그리고 그 분은 살림을 전담하여 나는 사실 이때까지 일평생을 살았어도 어디에 쌀집이 있으며 쌀값이 얼마인지 모르고 살아 왔습니다. 이것도 교역자에 있어서 얼마나 다행하였는지 모릅니다. 이렇게 온전히 일을 분담하였으므로 내 자신만은 온전히 교역에 전력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가정에는 하나님께서 두 자녀를 주셨는데 딸은 목사의 아내가 되었고 아들은 목사가 되었으며 또 내 동생도 목사가 되었고 내 동생의 맏아들도 목사가 도어 부족하지마는 우리 집안에 목사가 다섯이 있게 되었습니다. 모두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실로 하나님께서는 우리 가정을 후대하였습니다. 그에게 영광과 감사를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 읽은 시편 一백十六편 十二절에는『여호와께서 제게 주신 모든 은혜를 무엇으로 보답할꼬』란 말씀이 있습니다. 이 말씀이야말로 제 심정을 여실히 표현합니다. 제가 이 세상에 태어날 무렵에 선교사 마포 삼열 목사께서 이 깊은 농촌까지 찾아와서 작은 교회를 이미 세워 놓았고 또 교회 학교까지 설립하여 놓았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어렸을 때부터 이 작은 농촌 교회에 나가 찬송을 배울 수 있었고 성경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제가 제일 먼저 배운 성경 구절이 요한 복음 三장 十六절입니다. 지금 내 유년기를 회고할 때에 마포 삼열 모사의 은혜가 얼마나 큰지 말할 수가 없습니다. 그가 만일에 우리 농촌에 교회를 세우지 아니했던들 내 일생의 방향이 어떻게 되었겠으며 그 온 지방이 되었을까 생각할 때 실로 하나님의 은혜가 감사할 뿐입니다. 제가 어렸을 때 한가지 잊을 수 없는 기억은 우리 백부이십니다. 이분은 다른 곳에 살면서 종종 우리 집을 방문 하셨는데 그분은 언제나 술에 취하여 비틀거리며 우리 대문간을 들어왔었습니다. 지금으로 말하면 알코올 중독자이었던 모양입니다. 사실 한씨 문중에 이런 술 잘 마시는 내력이 있습니다. 만일 복음이 우리 농촌에 들어오지 아니 했던들 나 역시 그런 술주정뱅이가 되었는지 모른다하는 생각이 일어날 때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합니다.
제 일생을 회고하여 보면 안되었다 하던 것이 모두 결국은 잘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신학교를 마친 후에 폐결핵에 걸러 二년간이나 병원 생활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 보면 그것이 오히려 잘 되었습니다. 나는 그 고독한 사망의 그늘의 음침한 골짜기를 지나가는 도안 내 자신을 반성하고 회개하며 곧 더 깊은 신앙생활에 들어 갈 수가 있었습니다.
미국에서 처음 나와 나는 평양 숭인 상업학교에서 교원으로 있었고 당시 숭실 대학에서 나를 교목으로 초청하였습니다. 그때 일본 학무(學務)당국은 교원인가를 거부하였습니다. 제가 학교에서 나와 목회를 하게 되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들이 하교 교원을 거부한 것도 얼마나 잘된 일인지 알 수 없습니다. 사실 그들이 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하신 줄 믿습니다. 또 일제 말기에 일본 경찰 당국은 나를 신의주 제二교회에서 쫓아내었습니다. 그 때는 다소 섭섭하게 생각했으나 지금 생각하면 얼마나 잘 된 일인지 모릅니다. 그들이 그렇게 교회에서 쫓아내었음으로 나는 보린 원에 나아가 직접 아이들과 같이 살며 고아들을 친히 기를 수가 있었습니다. 그때 친히 기른 두 청년은 지금 남한에서 다 크게 성공하였고 특별히 낳은 아들이나 다름없이 우리 가정을 돌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처음에는 잘 안 되듯 하던 일들이 로마서 八장 二十八절의 말씀대로 모두 잘 되었습니다.
시편 一백十六편 十五절에는 이런 말씀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성도의 죽는 것은 여호와께서 귀중히 보시는 도다』이것은 사실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성도의 죽는 것을 귀중(貴重)히 보십니다. 그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는 성도의 죽음은 영적 추수를 의미합니다.
둘째는 성도의 죽음은 하나님께 들이는 최종의 온전한 제사입니다. 성도의 매일 매일의 생활은 산 제사입니다.
셋째는 성도의 죽음은 하나님의 사랑과 수고와 희생의 결정입니다.
넷째는 성도의 죽음은 하늘의 큰 기쁨입니다.
다섯째는 성도의 죽음은 이 세상에서는 환송이 되나 하늘나라에서는 큰 환영을 의미합니다.
여섯째는 성도의 죽음은 모든 성도의 다시 만남을 의미합니다. 재회동(再會同)을 의미합니다.
일곱째는 성도의 죽음은 영원한 생명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영원 무궁한 축복의 생활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성도의 죽음을 귀중히 보십니다.
사실 성도의 죽음은 꼭 올 때에 오는 것입니다. 우연도 없고 이른 죽음도 없고 늦은 죽음도 없습니다. 모두 하나님의 크신 사랑과 경륜가운데서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성도의 죽음에는 유감이 없습니다. 모두 하나님의 은혜가운데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오직 감사할 뿐입니다. 오직『할렐루야』와「아멘」이 있을 뿐입니다.
『내 영혼아 네 평안함에 돌아갈지어다 여호와께서 너를 후대하심이로다』
(一九七五년 一월 十二일)
?-7 제일은 사랑 (고린도 전서 十二장 三十一절-十三장 十三절)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
인간의 육체적 생활을 위하여 의식주(衣食住)세 가지는 꼭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영적 생활은 신망에(信望愛)세 가지가 꼭 필요합니다. 믿음은 하나님과의 옳은 관계요, 소망은 앞으로 장례에 다한 바를 태도요, 사랑은 둘러있는 모든 사람들에 다한 옳은 관계입니다.
여기 사도 바울은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도 사랑은 제일이라고 지적합니다. 우리 주님도『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요한 十三·三十四) 말씀하셨습니다.
사도 베드로도『무엇보다도 열심히 서로 사랑할지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벧전
四·八)가르치셨습니다. 사도 요한 도『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께로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니라』(요한 一서 四·七十八)고 말씀하셨습니다.
오늘 읽은 고린도 전서 十三장은 사랑 장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고린도 전서 十二장 마지막 절부터 읽어야 그 뜻이 더욱 분명합니다.『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제일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十二장에 사도 바울은 우리 믿는 이들이 받는 여러 가지 은사에 대하여 말하다가 모든 은사가운데도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며 또한 제일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하면서 사랑이 곧 더욱 큰 은사요 제일 좋은 길임을 가르칩니다. 과연 그러합니다.
우리는 신앙 생활에 있어서 더욱 큰 은사인 사랑을 사모할 것이요, 우리는 신앙생활에 있어서 제일 좋은 길을 꼭 걸어야 합니다. 왜? 그 이유를 十三장에 설명합니다.
一, 고린도 十三장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一절로 三절은 사랑의 우월성, 필수성(必須性) 곧 사랑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四절로 七절까지는 사랑의 본질 혹은 내용을 분석하여 자세히 가르칩니다. 그리고 八절로 十三절까지는 사랑의 영원성 곧 기리 페하지 아니하고 영원함을 지적합니다. 十三절 一절에『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라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아무리 무슨 방언을 하고, 혹은 사람이 할 수 있는 모든 방언을 알고, 또 비록 하늘에서 쓰는 천사의 말을 할 찌라도 사랑으로 그 은사를 쓰지 못하면 쓸데없는 소리뿐이라고 지적합니다. 또『내가 예언하는 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만한 믿음이 있을 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 요』사실 아무리 예언과 능력과 모든 신비를 깨닫는 지식을 가졌다 하여도 그리고 산을 옮길만한 큰 믿음을 가졌다 하여도 사랑이 없으면 사실 아무 것도 압니다. 그리고『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 찌라도』다시 말하면 아무리 많은 구제 사업을 하고 심지어 순교까지 한다고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유익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사실 그렇습니다. 사랑은 햇빛과 같습니다 아무리 붉고 누른 아름다운 꽃들이 많다고 하여도 빛이 없으면 그 꽃들을 볼 수 없습니다. 사랑은 소금과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진수만찬이 있을 지라도 거기 소금이 들어가지 아니하면 맛이 아니 납니다. 사랑은 모든 귀한 은사를 빛나게 하고 사랑은 모든 좋은 일을 더욱 맛나게 하는 귀한 은사입니다. 아무리 다른 은사와 재능을 많이 받았다고 할지라도 사랑의 은사를 받지 못한다면 그것들은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의 은사는 누구나 반듯이 받아야 합니다. 사랑 없는 신앙, 사랑 없는 정통, 사랑 없는 열심, 사랑 없는 선물, 사랑 없는 봉사(자선사업)는 아무 쓸데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의 은사는 꼭 받아야 합니다.
二, 그런데 이미 말한 대로 四절로 七절까지에는 사랑을 자세히 설명하여 줍니다. 여기 사랑이라는 말은 아가페라는 말로 하나님이 사랑을 의미합니다. 여기 사랑을 분석하여 사랑 안에는 열 다섯 가지의 요소가 있음을 보여 줍니다. 자세히 읽어보면 긍정적 요소가 있음을 보여 줍니다. 자세히 읽어보면 긍정적 요소가 일곱이요, 부정적 요소가 여덟입니다.
이제 고전 十三장 四-七절을 천천히 읽을 때에 자세히 들으시며 내 자신을 살펴 이렇게 사랑의 생활을 하였는가 생각하여 보시기바랍니다.『사랑은 오래 참고』그렇게 허였는가? 『사랑은 투기하지 아니하며』시기하지 않는가?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남 위하여 무엇을 좀 하여주고 자랑하지 않는가?『교만하지 아니하며』겸손한가?『무례히 행하지 아니하며』작은 일에 사랑의 예절입니다.『자기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사랑은 이기주의가 아닙니다.『성내지 아니하며』신경질 부리지 않습니다 라는 말.『악한 것을 생각지 아니하며』남의 잘못을 오래 품지 않습니다.『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남의 잘 안 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말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누가 오해를 받다가도 사필귀정으로 일이 바로 되면 그것을 즐거워한다는 뜻입니다. 『모든 것을 참으며』덮어주며.『모든 것을 믿으며』『모든 것을 바라며』『모든 것을 견디느니라』우리가 사랑하는 이에 대하여는 모든 허물도 덮어주고 그의 말은 늘 믿고 혹 현재에 실수가 있으나 장례에는 잘 되리라고 바라고 그 소망이 빨리 이루어지지 않아도 낙심치 않고 그냥 견딥니다. 이것이 사랑입니다. 사랑은 이렇게 여러 가지 요소가 모여서 된 것입니다. 특별히 여러 가지 요소 가운데도 제일 먼저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하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三, 八절로 十三절까지에는 사랑의 영원성을 가르쳐 줍니다. 예언도 페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페하리라고 하였습니다. 그것은 사실입니다. 우리가 안다고 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아는 것이요, 예언도 부분적으로 하는 것인데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인 것은 자연히 페하여집니다. 여기에 기록한대로 어린아이 때의 지식은 장성할 때에는 자연히 패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을 거울로 보는 것처럼(옛날 거울은 매우 희미하였습니다)희미합니다. 그러나 하늘 나라에 가게 되면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보게됩니다. 그리고 믿음과 소망과 사랑 이 세 가지만은 페하여지지 아니하고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도 사랑은 제일이라고 하였습니다. 왜? 하나님은 곧 사랑이신 까닭이 때문입니다.
기독교는 한마디 말로 표현하면 사랑의 종교입니다. 위로 정성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고 아래로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 율법과 선지자의 대 강령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사실 사랑은 신앙생활의 법칙일 뿐더러 모든 삶의 법칙입니다. 햇볕아래서야 풀과 나무가 옳게 자라는 것처럼 사랑 안에서야 인간의 심령과 인격이 옳게 자랍니다. 흔히 불량 소년들은 사랑 없는 가정에서 나오게 됩니다. 사랑은 가정생활의 법칙이요 사회생활의 법칙이요 교회생활의 법칙이요 일반 국민 생활의 법칙이요 국제 생활에도 역시 옳은 법칙입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화평(和平)이 있습니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집안이 화평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집니다. 교회도 화평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집니다 사회가 화평 하야 모든 일이 이루어집니다.
옛날 아브라함이 그 조카 롯과 같이 벧엘 근처에서 살 때에 아브라함의 가축도 많고 롯의 가축도 많았는데 아브라함의 가축을 먹이는 목자들과 롯의 가축을 먹이는 목자들 사이에 서로 다툼이 있었습니다. 그 떼에 아브라함이 롯에게 하는 말이 나나 너나 또는 나의 목자나 너희 목자가 서로 다투지 말자, 우리는 다 한 골육이요 또 우라 주위에는 가나안 사람과 부리스 사람이 있다 하였습니다. 여기 특별히 다투지 말아야 할 이유를 두 가지로 들었습니다. 하나는 서로 골육이므로 또 하나는 원수인 이방 사람이 있는 까닭이라고 하였습니다. 우
리 믿는 이들이 서로 다투지 않고 언제나 화평을 도모할 이유도 이와 비슷합니다. 우리는 다 한 그리스도의 보혈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골육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교회를 비난하려는 불신 사회가 사방에 둘러 있습니다. 그러므로 피차에 양보하며 사랑으로 심령이 하나가 되게 우리 온 국민이 화평하고 단결해야할 이유도 또한 그러합니다. 우리는 다 한 혈통의 자손인 단일민족입니다. 한 가족입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우리 사방에는 우리의 자유와 행복을 빼앗으려는 악한 원수들이 둘러 있습니다. 一九七六년 새해를 당하여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을 전망할 때에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참된 삶의 법칙인 사랑의 원칙을 새롭게 재발견하여 가정에서나 교회에서나 특별히 전 국가적으로 평화를 이루어 대동 단결하여 모든 일에 매진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이 삶의 법칙인 사랑을 북돋을 수 있을까? 특별히 몇 가지 기억해야 될 줄 압니다.
첫째는 무엇보다도 제일은 사랑이라고 하는 것을 분명히 깨달아야 합니다. 이것을 깨닫기 위하여 고린도 전서 十三장을 금년 내에는 매일 한번씩 읽기를 바랍니다.
둘째는 십자가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나 같은 죄인을 구속하기 위하여 피를 흘리신 주님의 사랑을 깨달아합니다. 사도 요한 은『우리가 사랑함은 그가 먼저 사랑하셨음이라』하였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서 얼마나 우리를 먼저 사랑하셨다고 하는 것을 깨달을 때에야 우리가 다른 이들을 좀 더 사랑하게 됩니다.
셋째는 기도생활을 통하여 성령을 충만이 받아야 합니다. 성령은 하나님의 영이요, 하나님은 사랑이신 그리스도의 영이요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현신(現身)인 사랑의 영입니다. 그러므로 성령의 첫 열매는 사랑입니다.
넷째는 사랑은 연습하여야 합니다. 인간은 연습을 통하여 새것을 배웁니다. 사랑의 실천을 통하여 사랑을 배웁니다. 성경에 있는 사랑의 요소인 열 다섯 가지를 하나씩 하나씩 매일 실천하도록 힘써야 합니다. 한 번 참고 두 번 참고 오래 참는 가운데 인내를 배웁니다. 작은 일에도 친절하도록 힘써 실천하는 가운데 점점 온유한 성품이 됩니다. 단번에 모두 실천 할 수 없다고 낙심하지 마세요. 계속하여 실천하는 가운데 점점 사랑의 생활을 배웁니다. 때로는 사람이 무엇 하려 사는가? 스스로 물어 볼 때도 있습니다. 사실 아무리 무슨 큰일을 한다고 하여도 사랑을 배우지 못하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산다고 하는 것은 사랑을 배우기 위함입니다. 사랑을 많이 배울수록 우리는 점점 하나님께 온전히 갈 것입니다. 천국은 사랑의 나라! 우리는 사랑의 나라를 향하여 길가는 나그네입니다. 한번밖에 지나가지 못하는 인생 길에서 우리는 사랑을 배우고 지나가는 길가에 꽃씨를 뿌립시다! 그리면서 하나님께로 가까이 갑시다.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一九七六년 一월 一일)
?-8 전도자의 축복 (로마서 十장 九-十五절)
『아름답도다 좋은 소식을 전하는 자들의 발이여 함과 같으니라』(롬 十·十五 하 반절)
오늘은 세게 교회가 다 같이「어머니 주일」로 지키는 날입니다. 그리고「전도의 달」로 본 교회가 지정하였습니다. 전도하는 아들과 딸들이 되라! 그리하면 어머님들이 크게 기뻐하실 것입니다. 옛날부터 효도는「양지」라고 곧 그 마음과 뜻을 같이 하여 들이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혹 아직도 믿지 아니하는 부모님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라 하십니다. 부모들을 영생으로 인도하는 것보다 더 큰 효도가 없습니다.
사실 우리가 다 전도하는 자녀가 되면 자연히 효남(孝男) 효녀가 될 것입니다.
오늘 읽은 성경 말씀 중 로마서 十장 十五절에 『아름답도다 좋은 소식을 전하는 자들의 발이여』하였습니다. 과연 복음을 전파하는 자들의 발은 실로 아름답습니다. 이에서 더 아름다운 발 거름이 없을 것입니다. 복음 전파를 통하여 이 세상 인류들에게 미치는 큰 축복은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기억할 것은 복음을 전파하면 그 전도자 자신이 먼저 큰 축복을 받습니다. 오늘 이 시간 특별히 전도자 자신들이 받는 축복을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 복음을 전파하는 이들은 우선 그 자신들의 구원이 확실하여 집니다. 일찍이 우리 주님께서 七十인을 택하여 여러 동네로 보내어 복음을 전파하게 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기쁨으로 돌아와『주여 주의 이름으로 귀신들도 우리에게 항복하더이다』하며 보고를 하였습니다. 그 때에 우리 주님이 말씀하시기를『귀신들이 너희에게 항복하는 것으로 기뻐하지 말고 너의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으로 기뻐하라.』하셨습니다.
기억하세요 복음을 전파하는 이들은 이름이 분명히 하늘에 기록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다른 이에게 복음을 전파하면 우리의 신앙이 더욱 튼튼하여져 우리 자신의 구원이 더욱 확실하여 집니다. 사도 바울이 일찍이 세상을 떠날 기약이 가까운 것을 스스로 느끼면서『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믿음을 지켜야 의의 면류관을 받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믿음을 지키는 것은 사실 쉬운 일은 아닙니다. 이것은 선한 싸움을 의미하며 달려갈 길을 끝까지 달려야 합니다.「공격은 최선의 수비」란 말이 있습니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복음을 전파하면서 신앙생활을 하면 내 신앙은 자연히 지켜집니다.
인도에 성자라고 불리 우는 썬다 씽이라는 그리스도인이 한번은 히말라야 산맥에 한 고개를 넘어가다 보니 어떤 사람이 추워서 더 걷지를 못하고 길가에 쓰러진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그를 업고 그 고개를 넘어가는 중 여러 번 쓰러지면서도 다시 힘을 내어 둘이 같이 그 고개를 넘어 갔습니다. 그런데 그 고개를 거이 넘어와서 보니 길가에 어떤 사람이 쓸어져 얼어죽었는데 자세히 보니 그는 바로 자기 보다 조금 앞서 그 고개를 홀로 빨리 넘어가던 분이었습니다. 둘이 피차에 도우며 넘어간 이들은 둘이 다 살았지만 자기만 살겠다고 먼저 홀로 가던 이는 그만 얼어죽고 말았습니다. 신앙생활의 도중에도 이렇게 쓰러진 이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도우며 같이 노력할 때에 우리는 그들의 영혼을 구원할뿐더러 우리의 영혼도 구원합니다. 다른 이들을 영적으로 도우며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은 자기 자신의 유혹이나 시험에 들지 아니합니다.
둘째로, 전도하면서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은 그 믿음이 더욱 더 튼튼하여지고 또한 장성합니다. 어린이들은 언제나 뛰놀며 운동을 합니다. 이렇게 운동하는 가운데 어린이들이 튼튼하여 지고 또한 장성합니다. 운동은 건강과 장성의 필수 조건입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나 홀로 믿지 아니하고 복음을 다른 이에게 전파하며 봉사를 하면서 믿는 이들은 그 자신이 믿음이 더욱 튼튼하여지고 또한 계속하여 장성합니다. 전도하는 이들은 기도로 더욱 더 힘쓰게 되고 성경도 많이 읽고 공부하게 되며 교회 출석도 더욱 조심하여 모범이 되기를 힘씁니다. 그려는 중에 자연히 그 자신의 심령이 점점 장성하여 그리스도를 닮게 됩니다. 따라서 점점 더욱 많은 열매를 맥께 됩니다. 그러나 전도를 힘쓰지 않고 믿는 이들은 말하자면 영적 소화 불량에 걸리기 쉽습니다. 생명의 양식을 먹기만 하고 운동을 하지 아니하면 소화 분량이 되어서 그 자신이 점점 약하여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는 대로 유대나라에는 두 작은 바다 가 있습니다. 하나는 갈릴리 바다요, 다른 하나는 사해 곧 죽은 바다입니다. 갈리리 바다는 물고기들이 많아 언제나 고가를 잡는 어부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해에는 물고기란 하나도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부는 그 그림자도 볼 수 없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습니까? 갈릴리 바다는 멀리 헬몬산으로 흘러내리는 물줄기를 북편으로 받는 동시에 또한 남편으로 그 물이 흘러 요단강으로 내려갑니다. 그러나 사해는 요단강 물을 받기만 하고 아무 데도 흘러가는 데가 없습니다. 다만 뜨거운 햇볕에 증발되기만 합니다. 그러므로 사해 물은 너무 짜서 그 속에 물고기란 전혀 살 수 없습니다. 죽은 바다입니다. 이 두 바다는 우리에게 큰 영적 교훈을 줍니다.
은혜도 받기만 하고 주는 것을 모르면 썩어지고 맙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신앙생활을 하려면 우리 자신이 은혜를 받을뿐더러 다른 이들에게 그 은혜를 나누어 주어야합니다. 곧 전도하고 봉사해야 합니다. 그리해야 우리 신앙이 더 튼튼하여지고 더욱 장성하여 더 많은 열매를 맸습니다.
셋째로는, 그뿐 만 아닙니다. 전도에는 참 기쁨이 따릅니다. 먼저 농부의 수고만 보고 그 기쁨을 흔히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나는 농촌에 자라나면서 농부의 수고를 알고 그 기쁨도 다소 압니다. 이른봄에 밭을 갈고 씨를 뿌리며 뜨거운 여름에 김을 매어 주는 일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러므로『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린다』하는 성경의 구절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수고 가운데 또 기쁨이 따르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씨를 뿌린 후 며칠만에 땅을 헤치고 곡식이 나옵니다. 새싹이 나는 것을 보는 기쁨이 있습니다. 또 그것들이 하루 이틀 지나면 점점 자라는 것을 보는 기쁨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을이 되어 익은 곡식이 황금의 물결을 이루는 것을 보면 그 기쁨은 무엇이라 다 형언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기쁨으로 단을 가져오는 농부의 기쁨이 있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씨 뿌리는 비유를 잘 압니다. 우리는 다 진리의 씨를 뿌리는 농부들입니다. 혹은 길가, 혹은 돌작밭, 혹은 가시덤불에 떨어지나 그러나 대부분은 옥토에 떨어집니다. 三十배 六十배의 추수를 합니다. 전도하는 이들만 이 영적 추수의 기쁨을 맛 볼 수 있습니다. 해방 후 처음으로 남산에 모여 연합 부활절 예배를 드릴 때에 한 선교사가 그 옆에 서 있는 원 일한 박사에게 『만일 당신이 한국에 오지 않았던들 오늘의 이 광경을 볼 수 있었을까요?』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전도하는 이들은 어부의 기쁨이 있습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부르시면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라고 하셨습니다.
한국에도 낚시질하려 다니는 이들이 상당히 많아지는 듯 합니다. 얼른 보면 낚시질하는 것처럼 답답한 일이 없을 듯 합니다. 그러나 낚시질에 미치는 이들도 있다고 합니다. 왜나 하면 조금은 답답하다가도 큰 물고기 하나가 물려나오면 종일 답답하던 생각이 일시에 다 사라지고 기쁨이 충만하여지는 모양이입니다. 전도하는 이들에게만 이런 기쁨이 있습니다.
제가 어릴 때에 어떤 전도사가 큰 고기를 하나 잡았다고 기뻐하는 이가 있었습니다. 그 분이 처음으로 당시에 안주의 큰 실업가이시던 고한규 씨를 인도하였습니다. 만년에 우리 교회에서 장로로 시무 하시다가 세상을 떠나신 고한규 장로님을 여러분은 다 잘 아실 것입니다. 참 큰 고기였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전도자 무디 선생을 킴볼이라는 무명 전도사가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였습니다. 그 분은 당시 무명청년 한 분을 인도하였지만 그 후에 무디는 수십만 수백만의 영혼을 구원한 위대한 전도자가 되었습니다. 사실 여러분이 전도하여 믿는 그들이 장차 무슨 큰 일을 할지도 모릅니다. 여러분! 전도를 하는 이들만이 영적 어부의 큰 기쁨을 맛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누가복음 十五장에 기록된 우리 주님의 『잃은 양의 비유』와 『잃은 돈의 비유』를 잘 기억합니다.
어떤 사람에게 양 백 마리가 있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잃어지니 이 목자는 그 잃은 양을 찾으려고 산과 들을 헤매다가 그 양을 찾은 후에는 기뻐서 그 양을 어깨에 메고 돌아와 온 동네 사람과 같이 기뻐하였다고 합니다. 또 은전 열 닢 가운데 하나를 잃었던 여인이 그 돈을 찾으려고 애쓰다가 찾은 후에 얼마나 기뻐하였다는 이야기를 잘 알고 있습니다. 전도자에게는 이렇게 잃은 양을 찾는 기쁨, 잃은 돈을 찾는 기쁨, 아니 잃은 아들을 찾는 기쁨이 있습니다.
사도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에 편지할 때에『너희는 우리의 영광이요 기쁨이니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빌립보서 四장 一절에는『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
오직 전도자에게만 이러한 기쁨이 따릅니다. 사실 여러분 가운데도 여러분이 친히 전도하여 믿은 이가 세례를 받을 때에, 혹은 집사가 될 때에, 혹은 장로와 권사가 될 때에 얼마나 기쁩디까? 체험한 이들이 많이 계실 줄 압니다.
넷째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도자의 가장 큰 기쁨은 하늘 나라에서 체험할 줄 생각합니다. 물론 하늘 나라에 가면 주님의 얼굴을 친히 뵙는 그 기쁨과 감격은 말로 다 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은 주님께로 인도한 이들은 이런 기쁨 외에 한가지 더 큰 기쁨이 있을 줄 압니다. 그것은 내가 전도함으로 구원을 받아 천국에 온 이들을 다시 만나는 기쁨입니다.
가령 베드로가 오순절에 자기의 설교를 통하여 믿고 구원받아 하늘 나라에 온 三천명을 만날 때에 그의 마음이 얼마나 기쁠 것입니까? 너의 눈물의 기도와 노력으로 주님께 나아와 구원받고 하늘 나라에 온 심령들을 만나게 될 때에 그 기쁨이야 다 헤아릴 수 없을 것입니다. 어떤 분은 말하였습니다. 우리가 회개하고 예수를 믿으면 누구나 구원을 받고 생명의 면류관을 받습니다. 그러나 그 면류관에 달리는 별의 수는 각각 다를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여러분, 면류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전도는 현대 전쟁과 비슷합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먼저 공군이 가서 적의 중요한 군사시설을 폭격합니다. 그리고 해군이 또한 동원되어 적국에 가까이 가서 집중 함포사격(艦砲射擊)으로 적의 요새를 파괴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공군, 해군만으로 완전한 승리는 얻지 못합니다. 마지막에는 육군이 상륙하여 적진을 그리고 적의 영토를 점령해야 완전한 승리를 거둡니다. 전도에도 공군과 비슷한 곳이 있습니다. 곧 방송전도나 문서 전도는 어디에서나 복음의 폭탄을 던져 악마의 아성을 깨뜨립니다. 그리고 빌리 그래함 전도대회와 같은 대중전도 집회는 마치 해군의 함포사격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이두가지 방법만으로는 온전한 승리를 거두지 못합니다. 하늘 나라에도 육군 곧 보병이 필요한 것을 새로 믿으려고 하는 이들을 하나씩 하나씩 인도하여 내는 이가 필요합니다. 기억합시다. 우리가 다 방송 전도는 할 수 없습니다. 빌리 그래함처럼 대중 전도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누구든지 개인 전도는 할 수 있습니다. 곧 천국의 보병은 될 수 있습니다. 찬송가에 있는 것같이『천사 같이 말못하고 바울 같이 못하나』그러나 누구나 내 집 근처에 다니면서 개인 전도는 할 수 있습니다.
이 전도의 달에 우리 교우들은 누구나 한 보병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니엘서 十二장 三절 말씀에『많은 사람을 옳은 길로 돌아오게 한자는 별과 같이 영원토록 비취리라』
(一九七六년 五월 九일)
.
?-9 기독교신앙심과 애국심 (히브리서 十一장 二十四-三十二절)
『내가 무슨 말을 더하리요 기드온, 바락, 삼손, 입다와 다윗과 사무엘과 및 선지자
들의 일을 말하려면 내게 시간이 부족하리로다』(히 十一·三十二)
히브리서 十一장은 이스라엘의 전 역사를 통하여 위대한 신앙의 용사들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우리가 이 용사들의 명단을 읽을 때에 한가지 깊이 느끼는 것은 이들은 신앙의 용사일뿐더러 또한 위대한 애국애족의 지사들이었습니다. 모세가 어떻게 믿음으로 바로 아들이라 칭함을 거절하고 자기의 백성과 함께 고난을 받으며 홍해를 건너 황막한 광야 길을 배회하면서 가나안 복지를 향한 것은 위대한 신앙의 행진일뿐더러 또한 애국애족의 장렬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모세뿐이 아닙니다. 기드온은 믿음으로 다만 애국 청년 三백 명으로 수많은 미디안 사람을 격멸(擊滅)하였으며, 삼손도 또한 믿음으로 불레셋 사람들을, 입다는 또한 믿음으로 암몬 사람을, 사무엘도 믿음으로 부레셋 사람들을, 다윗 역시 믿음으로 모든 원수를 물리치고 이스라엘 나라의 기초를 굳게 세웠습니다. 이들은 신앙의 용사인 동시에 또한 애국자들이었습니다.
우리가 과거 一세기간에 우리 역사를 회고하면 또한 이런 사실을 발견합니다. 기독교 신앙을 받은 이로써 우리 민족의 큰 수난기에 있을 때에 위대한 애국자로 활약한 이들이 많습니다. 서재필 박사, 김구 선생, 김규식 박사, 안창호 선생, 안중근 의사, 이승훈 선생 고당(古堂) 조만식 선생 등이 모두 그러한 분들이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또한 위대한 애국 지사 들이었습니다. 신앙심과 애국심은 한 샘에서 솟아납니다. 잠깐 생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축복하시기 바랍니다.
기독교 신앙은 애국심의 원천입니다. 독실한 신앙의 인물 사도 바울은 로마서 九장 一절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내가 그리스도안에서 참말을 하고 거짓말을 아니하노라 내게 큰 근심이 있는 것과 마음에 그치지 않는 고통이 있는 것을 내 양심의 성령 안에서 나로 더불어 증거 하노니 나의 형제 곧 골육을 위하여 내 자신의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질지라도 원하는 바로다』그가 얼마나 그 민족을 사랑하는 지성을 우리는 여기서 보게 됩니다. 성경 곧 율법과 선지자의 대 강령은 첫째는『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함이요 둘째는『네 이웃을 네 몸 같이 사랑하라』함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게 될 때에 이웃을 사랑하게 되고 이웃을 사랑하게 될 때에 자연히 민족을 사랑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신앙심은 애국심으로 승화됩니다.
또 기독교 신앙의 핵심은 십자가의 진리입니다. 그리스도는 만민을 사랑하시고 죄에서 구속하시기 위하여 자기 생명을 십자가 위에서 희생하셨습니다. 땅에 떨어지는 밀 한 알이 되셨습니다. 이러한 희생적 사랑은 먼저 가까운 데서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내 민족 내 나라를 먼저 사랑합니다. 신앙에 기초한 사랑과 희생의 정신은 자연히 애국애족의 정신으로 화합니다. 일제 시대에 일본 위정자들은 기독교인을 미워하였고 교회를 탄압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기독교인이 되면 애국심이 많아져 민족주의자가 되며 배일사상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百 五인 사건을 날조하여 많은 기독교 지도자를 박해하였습니다. 또 삼일운동 당시에도
기독교인들이 제일 많이 고난을 당하였습니다. 일제 말기에는 특별히 성경 중에서도 구약을 읽지 못하게 하려고 애를 섰습니다. 그 이유는 구약은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일으킨다고 생각한 까닭이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것은 사실이었습니다. 성경은 신앙심을 일으키는 동시에 또한 애국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오늘 북한의 공산당들이 기독교를 탄압하는 것도 그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 신앙이 있는 곳에 애국심이 있습니다.
둘째로, 기독교 신앙은 애국심을 정화 또는 선도합니다. 애국심이 귀하지마는 이 애국심도 잘 못 될 수가 있습니다. 곧 그릇된 길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따금 민족지상주의 혹은 국가지상주의라는 말을 듣습니다. 이러한 그릇된 애국사상은 종종 민족이나 국가와 또는 국가의 주권자를 우상화합니다. 옛날 로마시대에도 황제를 신으로 숭배하려고 강요한때가 있었고, 현대에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천왕을 우상화하여 신으로 숭배하기를 강요하였습니다. 지금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우상화한다는 우스운 이야기도 들립니다. 이것들은 모두 그릇된 애국사상입니다. 국가가 지상이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지극히 높으십니다. 민족도 어느 주권자도 지상이 아닙니다. 모두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주권아래 있다는 것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그리하여 나라와 민족을 옳게 사랑합시다.
그리고 애국심이 잘못되면 민족적 이기주의 혹은 독선주의로 타락할 수 있습니다. 전에 히틀러의 나치스 운동은 그 예입니다. 그들은 오직 자기 독일 민족만 위하고 다름 민족을 천시하며 배격하여 심지어 유태인 六백만 명을 가스실에서 학살하는 무서운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모든 인간을 사랑하는 참된 기독교신앙아래에서 자기민족을 사랑할 때에만 민족과 국가를 옳게 사랑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군국주의자들이나 뭇소리니의 파시스트 운동 자들이 아무 이유 없이 외국을 침략한 것도 역시 그릇된 민족사상 또는 애국사상에서 빚어낸 죄악들입니다. 기독교사상은 언제나 자기의 자유를 존중하는 동시에 남의 자유를 존중해야 될 것을 강조합니다. 그 이유는 모든 민족이 다 한 하나님 아버지의 자녀인 까닭입니다. 재二차대전 후에 미국은 자기의 원수였던 독일과 일본에 대하여 전쟁을 도발한 죄를 용서할뿐더러 적극적으로 원조하여 오늘의 우리가 보는 것같이 경제적으로 크게 부흥케 하였습니다. 이것은 미 국민들이 대 다수가 기독교신앙에 입각한 건전한 애국심을 가진 까닭입니다. 기독교신앙은 애국심을 정화 또는 선도합니다.
셋째로, 그러면 기독교신앙 중심의 애국심은 어떻게 발로되었던가? 그 시대와 환경에 따라 그 양상이 꼭 같지 않습니다. 대체로 다음 몇 가지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一) 그들은 무엇보다도 우선 그 민족과 나라를 위하여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하였습니다. 모세가 어떻게 그 민족을 위하여 간절히 기도한 모습을 우리는 출애굽기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홍해가 가로 놓였을 때에도, 물이 없어 백성이 불평할 때에도, 또는 아말렉과 싸울 때에도 그는 항상 기도하였습니다. 나라가 다 망하고 바벨론에 잡혀가 있던 애국자 다니엘은 항상 예루살렘을 향한 창문을 열어 놓고 민족과 조국의 부흥을 위하여 하루 세 번씩 기도하였습니다. 역시 파사에 있던 한 애국자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성의 황폐한 상황과 그 곳에 남은 이스라엘 백성이 큰 환난 중에 있는 소식을 듣고 크게 울고 며칠동안 슬퍼하며 하나님 앞에 금식하며 기도를 하였습니다. 사무엘 역시 항상 민족을 위하여 기도를 하면서 기도를 하지 않는 것은 큰 죄를 범하는 것으로 생각을 하였습니다. 사도 바울은 그 민족을 위하여 항상 기도를 하였습니다. 신앙 중심의 애국심은 우선 기도로 나타납니다, 우리도 신앙심과 애국심이 있습니까? 그러면 먼저 기도를 합시다. 이 땅에 자유와 평화가 보존되고 싸움 없이 통일이 되기 위하여 기도합시다. 인간으로서는 할 수 없으나 전능하신 하나님은 능치 못할 일이 없습니다.
(二) 그리고 그들은 민족과 나라가 참으로 복을 받으려면 모든 우상을 철폐하고 오직 살아 계신 하나님만 섬기라고 항상 부르짖었습니다. 이들은 우상을 섬기는 것은 죄 가운데도 제일 죄라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선지자 엘리야는 가멜산상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하여『너희가 어느 .때까지 두 사이에서 머뭇머뭇하려느냐 여호와가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좇고 바알이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좇을지니라』하였습니다. 그날에 바알과 아세라 등 우상을 숭배하는 거짓 선지자들을 멸하였습니다. 엘리야뿐이 아닙니다. 엘리사, 이사야, 에레미야, 모든 선지자들이 다 같이 모든 우상과 잡신을 섬기는 미신을 온전히 타파하라고 항상 부르짖었습니다. 우상은 옛날만 있던 것은 아닙니다. 오늘도 많습니다. 문자그대로 나무로, 돌로, 금속으로 만든 우상도 많고 그밖에 배로 하나님을 우상 곧 탐심의 우상, 요사이 흔히 듣는 대로 소의 섹스의 우상. 온갖 허영의 우상 등등이 있습니다. 모든 신앙의 애국자들은 우상을 타파하고 살아 계신 하나남께로 돌아오라고 외쳤습니다.
(三) 그리고 성경의 신앙적 애국자들은 죄를 책망하며 회개하라고 항상 외쳤습니다. 에스켈 十八장 三十절에『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이스라엘 족속아 내가 너희 각 사람이 행 한대로 국문 할지니라 너희는 돌이켜 회개하고 모든 죄에서 떠날지어다 그러한즉 죄악이 너희를 패망케 아니하리라 너희는 모든 죄악을 버리고 마음과 영을 새롭게 할 지어다. 이스라엘 족속아 너희가 어찌하여 죽고자 하느냐』세례요한도『회계하라 천국이 가까웠느니라』,『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어 불에 던 지우리라』경고하였습니다. 선지자 이사야도『너희는 스스로 씻으며 스스로 깨끗케 하여 내 목전에서 너희 악업(惡業)을 버리며 악행을 그치고 선행을 배우며 공의를 구하며 학대받는 자를 도와주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며 과부를 위하여 변호하라』고 외쳤습니다.
(四) 그들은 또한 공의를 행하라고 항상 부르짖었습니다. 잠언 十四장 三十절에『의는 나라를 영화롭게 하고 죄는 백성을 욕되게 하느니라』신명기(申命記) 十六장 二十절에『너희는 마땅히 공의만 좇으라 그리하면 네가 살겠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을 얻으리라』아모스 五장 二十四절에『오직 공법을 물 같이 정의를 하수 같이 흘릴 찌로다』공의를 행하라고 그들은 항상 부르짖었습니다.
(五) 그들의 애국심은 때로는 눈물로 나타났습니다 시편 一三七편 一절에『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 앉아서 시온을 기어하며 울었도다』우리 주님도 감란산에서 예루살렘을 보시며 울으셨다고 하였습니다. 그들의 애국심은 때로는 땀으로 나타납니다. 느헤미야는 예루살렘 성을 쌓기 위하여 많은 땀을 흘렸습니다. 때로는 그들의 애국심은 피를 흘림으로 나타났습니다. 민족과 나라를 구하기 위하여 피를 흘린 이는 너무나 많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의 애국심은 원수의 도전과 압박이 있을 때에는 저항과 투쟁으로 나타났고 평상시에는 교육, 봉사, 사회정화, 개혁운동, 온갖 건설사업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는 바로 이틀 전에 六·二五를 맞이하였습니다. 첫 六·二五가 지나간지 벌서 二十六년이 되었으나 六·二五는 아직까지 우리 민족에게 현실 문제입니다. 六·二五의 상황은 별로 변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민족의 참극을 일으킨 공산당은 여전히 호시탐탐 남침의 기회를 노리며 우리 남한을 교란키 위하여 각 방면으로 침투 작전을 계속합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자세는 어찌하여야 할 것인가? 애국심은 어떻게 표현하여야 할 것인가? 깊이 생각합시다.『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게 하여 저를 대적하라』우리는 깨어있어야 합니다. 또 깨우쳐야 합니다. 파수꾼의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자유, 안보, 통일에 있음을 항상 명심해야 합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는 우리가 단결해야 하고 힘써 일하여 경제, 문화 각 방면으로 발전하여 국력을 배양해야 합니다. 항상 기도하여 국민총화를 저해하는 모든 요소를 솔선수범 제거해야합니다. 우리 민족이 다 회개하고 주께로 돌아오도록 적극 노력해야 합니다. 민족과 조국을 눈물과 땀과 피로 지킬 때입니다.
(一九七六년 六월 二十七일)
?-10 그리스도의 몸과 그 지체 (고린도 전서 十二장 十一-二十七절)
『몸은 하나인데 많은 지체가 있고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려하니라』(고전 十二·十二)
많은 피조물 가운데 초대 걸작품은 인간이라고 합니다. 시편 百三十九편의 저자도 이렇게 말하였습니다.『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의 지으심이 신묘(神妙)막측(莫測) 하심이라 주의 행사가 기이함을 내 영혼아 잘 아나이다』(시편 百三十九편 十四절) 어린 아기의 얼굴과 그 몸을 자세히 보면 실로 신비스럽고 묘하여 다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오늘 읽은 이 말씀은 사도 파울이 인간의 몸을 자세히 살피면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와 신도와의 관계 또한 신도 상호간의 깊은 관계를 가르쳐 주십니다.
먼저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모든 신도는 그 지체입니다. 이 견지에서 우리 몸을 자세히 살펴보십시오 몸은 하나입니다. 그러나 그 몸에 속하는 지체는 여럿입니다. 이, 목, 구, 비, 사지백체(四肢百體)라고 흔히 말합니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도 하나입니다. 그러나 그 교회에 속하는 신도는 여럿입니다. 또 몸에 속하는 지체는 그 모양이 각각 다릅니다. 귀와 눈이 다르고 손과 발이 다릅니다. 이와 같이 한 교회에 속하나 여러 신도들은 각각 다릅니다. 얼굴도 다르고 성품도 다르고 재능도 다릅니다. 그리고 그 지체들은 각각 다른 일들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신도들도 한 교회에서 봉사하나 그 하는 일은 다릅니다. 어떤 이는 가르칩니다. 어떤 이는 찬양을 합니다. 어떤 이들은 심방을 합니다. 그러나 모든 지체는 모두 몸을 위하여 일 합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신도들도 모두 교회를 위하여 일합니다. 또 이 모든 지체들은 다 몸에 속 할 뿐더러 또한 서로서로 속하여 있습니다. 이와 같이 모든 신도들도 다 한 교회에 속할 뿐더러 또한 서로 서로 속하여 있습니다. 또 이모든 지체가 비록 다르나 한 혈맥이 통하고 한 신경으로 연결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신도들이 각각 다르나 모두 한 세례를 받았고 같은 성령을 받았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지체들은 같이 느낍니다. 한 지체가 아프면 온 몸이 아픕니다. 따라서 이 모든 지체들은 동고 동락합니다. 괴로울 때 같이 괴로워하고 즐거울 때 같이 즐거워합니다. 이와 같이 모든 신도들도 깊은 동정심 아래에서 성경의 교훈과 같이 즐거워하는 자로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로 함께 우는 생활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 모든 지체들은 서로 도웁니다. 눈이 귀를 돕고 귀가 눈을 도웁니다. 이와 같이 한 교회에 속하는 모든 성도들은 서로 도울 줄 알아야합니다. 물론 몸의 지체가운데는 분쟁이 없습니다. 눈과 귀가 서로 싸우지 않습니다. 손과 발이 서로 싸울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이 한 교회에 속하는 모든 성도들도 분쟁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서로 화평하고 서로 협력하는 것을 배워야 합니다. 몸에 속하는 지체가운데 어떤 것은 더 귀하게 보이고 어떤 것은 좀 천하게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모든 지체는 다 요긴합니다. 없어서는 아니 됩니다. 꼭 할 일을 합니다. 하나님보시기에는 꼭 같이 귀합니다. 마찬가지로 교회 안에서도 사람 보기에는 어떤 이들은 좀더 귀해 보이는 일을 하고 어떤 이들은 덜 귀해 보이는 일을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다 같이 귀하게 보시고 없어서는 아니 될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몸의 지체된 우리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대로 충성스럽게 봉사할 것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다 같이 귀하게 보시고 꼭 같은 상금을 주실 것입니다. 또 몸의 지체 가운데 보이는 지체도 있고 보이지 아니하는 지체도 있습니다. 눈과 귀는 보입니다. 손과 발도 보입니다. 그러나 심장과 폐장은 보이지 않습니다. 위도 보이지 않습니다. 사실 이 보이지 않는 지체들이 몸을 위하여 더 큰 역할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교회 안에서도 어떤 이들은 남이 보는 데서 봉사를 합니다. 가르친다든지 찬양을 한다든지 하는 일은 자연히 남이 보게 됩니다. 그러나 교회 안에는 보이지 않은 가운데서 봉사를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교회를 위하여 조용히 기도하는 이들, 개인으로 전도하는 이들, 환자를 위문하는 이들, 심방 하는 이들. 은밀히 헌금하는 이들,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은밀히 봉사하고 구제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교회는 남이 알게 일하는 이들도 많아야 하겠지만 남이 모른 가운데 봉사하는 이들이 많을 때 더욱 성장합니다. 이 모든 지체들은 모두 필요하고 모두 귀합니다. 그러므로 다 같이 서로 존경하고, 서로 아끼며, 서로 높여야합니다. 이 몸과 지체에 대한 원리는 교회 생활뿐 아니고 사회생활 또는 국가생활에도 매우 적절한 진리입니다. 우리는 국민으로서도 국가라고 하는 한 유기체에 속하는 지체라고 하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국민도 각각 다릅니다. 재능이 다릅니다. 하는 일이 다릅니다. 그러나 다 같이 한 국가에 속합니다. 우리는 국민으로써도 그 받은바 재능을 따라 최대의 공헌을 할 때에 우리 국가도 발전하고 성장합니다. 다음으로 이 몸과 지체의 비유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몇 가지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첫째,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우리 신도는 그리스도의 지체입니다. 그 뜻은 지금 그리스도께서 그 몸인 교화 안에 계셔서 그 몸의 지체인 우리 신도들을 통하여 그의 원하시는 일을 하십니다. 곧 여기 앉은 우리를 통하여 행하십니다. 곧 우리가 그의 눈과 귀의 역할을 하여야 하고 손과 발의 역할을 하여야 합니다. 전도도 우리를 통하여 하고 교육도 우리를 통하여 하고 교회와 사화 온갖 봉사도 우리를 통하여 합니다. 그런데 그리스도는 어디를 가고자 하되 움직이지 아니하는 마비된 다리는 없습니까? 그리스도는 무슨 말씀을 하시고자 하시되 마비된 혀와 입술은 없습니까? 마비된 지체가 되어서는 아니 됩니다. 그리스도의 혈맥, 곧 성령으로 충만한 지체가 됩시다. 우리가 다 주님의 뜻과 명령에 언제나 순복(順服)할 수 있는 지체가 되십시다.
둘째, 건강한 몸이 되려면 모든 지체가 다 건강해야 합니다. 지체가 병들면 온 지체가 아픕니다. 손가락 하나가 상해도 온 몸이 아픕니다. 모든 지체가 같이 고통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한 지체가 병들면 모든 지체가 협력하여 그 병을 고쳐줍니다. 발에 가시가 하나 박혀도 눈은 곧 그 가시를 찾아내고 손은 곧 족집게를 갖다가 뽑아 줍니다. 마찬가지로 교회가운데 한 성도가 환난과 시험에 빠지게 되어도 온 교회에 큰 영향이 미칩니다. 그러므로 모든 성도가 힘을 모두 어서 그런 이들을 환난 가운데서 구하여주고 유혹과 시험가운데서 건져내야 합니다. 이렇게 하여 온 교회가 건전하여지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교회 안의 모든 방면으로 약한 이들을 곧 신앙적으로 혹은 경제적으로, 혹은 지적으로, 혹은 영적으로, 혹은 육신 적으로 약한 이들을 잘 돌보아 회복하여야 전체 교회가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교구 안의 모든 약한 이들을, 병든 이들을 잘 돌보는 교회가 됩시다.
셋째, 이미 말한 대로 몸은 하나이나 지체는 여럿입니다. 여러 지체가 비록 다르나 연합하여 한 몸을 이룹니다. 곧 우리가 여기서 다양성 가운데 통일성 혹은 일치성을 발견합니다. 각각 다르나 하나가 되어 큰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이 진리를 꼭 배워야 합니다. 이것이 은혜의 세계 곧 교회 생활의 원칙이요, 또한 일반 사회생활, 특별히 민주사회의 원칙이기도 합니다.
각각 다른 지체가 각각 다른 재능대로 자기의 맡은 일을 잘하면서 서로 존경하며 서로 협력하여 화평한 교회, 또는 사회를 이룩할 줄 알아야 합니다. 교회나 사회가 건전하게 발전되려면 다양성 가운데서 일치성을 유지하고 일치성 가운데서 다양성을 또한 유지해야 합니다. 모든 지체를 같이 만들려고 하지 마십시오. 모든 지체가 다 같으면 어떻게 몸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그런데 어떤 이들은 사실 이런 그릇된 생각 곧 획일주의 혹은 일양(一樣)주의(主義) 사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없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른 인간들을 꼭 같이 만들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같이 대우는 할 것입니다. 그러나 같이 만들지는 못 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특별히 교육계에서 학교평준화니 또는 국공립학교나 사립학교들까지 꼭 같이 만들려는 경향이 농후한데 이러한 획일주의 교육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장래의 민주사회를 위하여 크게 우려되는 바입니다. 교회 안에서도 나와 좀 다르다고 협력을 거부하는 태도, 또한 에큐메니칼 운동은 단일교회를 지향하는 줄 오해하는 이들도 없지 않은 듯 합니다. 획일주의는 하나님의 뜻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본래 인간을 서로 다르게 만드셨습니다. 재능도 다르게 주셔서 다른 일을 하게 하셨습니다. 다양성 가운데서 일치성을 찾아야 합니다. 각각 자기 받은 은사대로 공헌하면서 교회와 사회의 조화를 이루야 합니다. 직업에 귀천이 없습니다. 피차에 존경하며 협력하는 가운데 교회와 민주사회는 발전합니다.
여러분은 어린이들이 읽는 동화책에서 이런 이야기를 들었을 것입니다. 하번은 손과 발과 입이 모여 앉아서 이야기를 하다가 위에 대한 불평이 나왔다고 합니다. 우리는 열심히 일하여 결국 모두 위 곧 밥집에 음식물을 넣어 주는 것밖에 무엇이 잇느냐? 위는 받아먹기만 하고 무엇을 하느냐? 그리하여 손과 발, 입 세 지체가 요새말로 스트라이클 하였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손과 발은 일하여 먹은 음식을 가져도 안 오고 입은 삼키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그렇게 며칠을 지내니 손과 발도 맥이 없어졌고 혀까지도 놀릴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길게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지체는 서로 연결 되여 있습니다. 남을 돕는 것이 나를 돕는 것입니다. 지체끼리 분쟁은 생각 할 수도 없습니다. 그리스도의 몸 안에 있는 모든 지체는 화평해야 합니다. 상부상조해야 합니다. 감사한 것은 하나님께서 본 영락교회를 늘 화평하게 하여 주셨습니다. 앞으로 그렇게 하실 줄 믿습니다. 우리 한국교회 전체가 좀더 다양성가운데 일치성을 찾아 화평한 교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一九七六년 七월 二四일)
?-11 아브라함과 롯 (창세기 十三장 一-十三절)
『아브라함이 롯에게 이르되 우리는 한 골육이라 나나 내 목자나 네 목자나 서로 다투게 말자』(창 十三·八)
롯은 아브라함의 조카입니다. 아브라함과 롯이 애굽에서 올라와 벧엘과 아이성 근처에서 살 때에 하나님의 축복을 받아 아브라함과 롯이 양과 소와 육축(六畜)이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아브라함과 롯의 목자들이 서로 목장 때문에 다투게 되었습니다.
먼저 아브라함의 생활 태도를 봅시다. 그는 조카 롯에게『우리는 한 골육입니다. 나나 너나, 내 목자나 네 목자나 서로 다투지 말자. 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라. 네가 좌 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 하면 나는 좌 하리라』아브라함은 서로 다투지 말자고 하였습니다. 그는 평화를 추구하였습니다. 그리면서 그 이유를 그들은 한 골육인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모든 싸움이 추하나 골육지간의 싸움은 더욱 추합니다. 또 그 땅에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도 거하였다고 하였습니다. 모든 싸움을 삼갈 것이나 더욱이 이방 사람들 앞에서 골육간에 싸우게 되면 더욱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리면서 그는 계속하여 롯에게 말하기를『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네가 좌 하면 나는 우 하고 네가 우 하면 나는 좌 하리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아브라함의 양보의 태도를 봅니다. 다툼을 그치고 평화를 추하려면 말만은 부족합니다. 양보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아브라함의 생활 태도입니다. 그는 평화를 구하였고 또 평화를 위하여서는 양보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에 아브라함이 그 롯에게 싸우지 아니할 이유를 두 가지로 말하였습니다. 첫째는 골육지간이므로 둘째는 이방사람들이 주위에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우리 믿는 이들도 다투지 말야할 이유도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우리는 다 한 그리스도의 보혈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골육이요, 또 하나는 우리 주위에는 안 믿는 사람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동포들이 왜 서로 싸우지 아니해야 하느냐? 그이유도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우리는 다 단군 할아버지의 피를 받은 동포요 다른 하나는 우리의 자유를 빼앗으려고 호시탐탐 엿보는 공산당들이 있는 까닭입니다. 왜 우리가 평화 통일을 추구하는가? 그 이유도 하나는 우리가 남한에 살든지 북한에 살든지 다 한 피를 받은 배달 민족이요, 또 하나는 우리 민족을 시기하고 멸시하는 다른 민족들이 있는 까닭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또는 한국 민족으로서 이 아브라함의 태도에서 꼭 배울 것이 있는 줄 생각합니다. 우리 민족이 세계 어디를 가나 재주가 있고 부지런 하지만 서로 합할 줄 모릅니다 라는 말을 들음은 실로 가슴 앞은 일입니다.
둘째로, 롯의 생활 태도를 살펴봅니다. 그는 아브라함의 말을 듣자 곧 눈을 들어 사방을 돌아보았습니다. 물이 맑고 풀이 무성한 목장을 찾았습니다. 그리하여 요단강 하류에 있는 소돔과 고모라 근처를 보니 모든 조건이 좋은 것을 보고 곧 그곳을 택하고 동편에 옮겨갔다고 하였습니다. 롯은 사실은 자기가 양보할 입장인데 조금도 그런 태도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뿐 아니라 그후 그는 얼마 안되어 소돔성안에 들어가 살았습니다. 당시 소돔과 고모라는 음란하고 죄악이 많은 성으로 소문이 있었는데 그런 면은 전혀 생각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물질방면만 보았고 도의 면은 무시하였습니다.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는가. 몇 해 후에 소돔 왕과 그 연방과 북방에 있는 시날 왕과 그 연방사이에 큰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그리하여 소돔 왕과 그 연방이 참패하여 적군이 소돔과 고모라 성을 함락시키고 모든 재물을 약탈하고 국민을 포로로 잡아갈 때에 롯도 사로 잡혀갔고 그 재물까지 모두 빼앗겼습니다. 그런데 벧엘 근처에 살던 아브라함이 이 소식을 듣고 자기가 소유하고 있던 잘 훈련된 三一八명을 거느리고 단까지 쫓아가서 그 적군을 밤에 습격하여 이기고 자기 조카 롯과 그 가족까지 모두 찾아왔습니다. 그 후에도 롯은 소돔 성을 떠나지 않고 그 성에 미련이 있어 그대로 머물렀습니다. 그 후에 소돔성에 의인 열 사람이 없어서 유황불로 심판을 당할 때에 롯은 천사들의 도움으로 겨우 그 생명은 구하여졌으나 그 재산은 모두 없어졌고 그의 아내까지 잃었습니다. 주의하여 보십시오 푸른 풀밭을 따라가던 롯, 도의를 무시하고 물질만 좇든 청년 롯은 결국 빈손으로 소돔 성을 버리고 나왔고 자기의 재산이 불로 타오르는 모습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평화를 추구하고 양보하여 산지에 그냥 남아 있던 아브라함은 도리어 모든 방면으로 큰 축복을 받았습니다.
셋째로, 두 기지 생활태도가 있습니다. 하나는 아브라함의 삶의 태도 하나는 롯의 삶의 태도, 하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태도, 다른 하나는 세상사람의 삶의 태도. 여기에 앉은 우리는 어떤 삶의 태도로 인생 길을 갑니까? 바른 선택이 필요합니다 바른 가치관이란 무엇입니까? 목자가 푸른 초장을 찾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도의면 을 무시하면 안됩니다. 장사하는 이들이 이익을 추구함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정신을 무시하면 안됩니다. 요사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살펴보면 롯의 길을 걷는 이들이 너무 많은 듯 합니다. 가짜 커피, 가짜 비누, 가짜 약품, 가짜 화장품, 가짜과자. 가짜 지폐 왜 그리 가짜가 많습니까? 뇌물, 협잡, 부정부패는 각계 각층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십계명 중 마지막 계명은 특별히 탐심을 삼가라고 경고합니다.『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지니 네 이웃의 아내나 그의 남종이나 그의 여종이나 그의 소나 그의 나귀나 무릇 네 이웃의 소유를 탐내지 말지니라』하였습니다. 탐심은 물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남의 지위, 남의 명예, 남의 것을 시기하며 탐내지 말라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왜 천사가운데 하나이던 룻시피(Lucifer)가 변하여 사탄 곧 악마가 되었습니까? 시기와 탐심 때문에, 하나님의 지위와 영광을 탐내어 마귀로 전락되었다고 합니다. 돈 권력 지위 등이 귀합니다. 그러나 고상한 인격은 더 귀합니다. 의리는 더 귀합니다. 신앙은 더 귀합니다. 생명은 더 귀합니다. 『사람이 온 천하를 얻고도 생명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주님은 말씀 하셨습니다. 금년이 바로 미국의 독립 二○○주년기념의 해입니다. 내가 일찍이 들으니 어떤 남미 한 정치가가 한 미국의 대사를 만나 이런 내용의 이야기를 하였다고 합니다.「당신나라의 조상들은 일찍이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하여 이 미주 대륙에 왔습니다. 그런데 당신나라 국민들은 신앙의 자유 뿐 아니라 물질까지 풍부히 얻었습니다. 그런데 부끄러운 말이지만 우리 조상들은 물질을 얻기 위하여 이 대륙에 왔습니다. 그런데 오눌 우리들은 물질도 얻지 못하고 또 자유도 얻지 못 합니다」의미 신장한 말입니다. 우리는 조국의 발전과 민족의 중흥을 위하여 온갖 힘을 다 쓰고 있습니다. 경제개발이 필요합니다. 근대화가 요구됩니다.
그러나 더 귀한 것을 잊지 아니해야 합니다. 그것은 정신면입니다. 경제개발이 필요합니다. 신앙 운동이 필요합니다. 믿음은 더 귀합니다. 사랑은 더 귀합니다. 소망도 더 귀합니다. 공의도 더 귀합니다. 최후 승리는 언제나 진리와 정의 편에 있습니다. 아브라함의 길을 걷습니까? 롯의 길을 걷습니까? 바른 가치관과 바른 선택이 필요합니다. 두 갈래 길이 우리 각 사람 앞에 놓여있습니다. 또 우리 민족 앞에 놓여있습니다. 신앙의 조상인 아브라함의 길을 걸읍시다. (一九七六년 八월 二十二일)
?-12 믿음으로 살리라 (로마서 一장 八-十七절)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롬 一·十七)
오늘은 바로 종교개혁 四五九주년 기념일입니다. 一五一七년 十월 三十一일 마틴 루터가 독일 뷔텐베르크성 교회에 九十五개조의 개혁안을 계시한 날입니다. 지금 읽은 로마서 一장十七절은 전 로마서의 주제요, 또 종교개혁의 구호입니다.
루터는 본래 가난한 가정에서 태여 났습니다. 그러나 독실한 신앙의 가정으로서 당시 천주교회의 교훈대로 하나님은 진노의 신이시오 그리스도는 엄한 재판관이며 구원은 성자 예수 뿐 만 아니고 성모 마리아 그리고 또 신부 주교 교황을 통하여야 얻는다고 배웠습니다. 그가 얼풋 대한의 재학 시절에는 중상을 당한 적도 있고 병에 고생한 때도 있고 한 친구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는 경험 등을 통하여 인생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하루는 길을 가다가 갑자기 폭풍과 뇌성병력이 일어날 때에 길가에 꿇어앉아「성 안 나여 너를 불쌍히 여기소서」하고 부르짖으면서 그때부터 수도사가 되기를 결심하였습니다. 그는 수도원에 가서도 정신적 고민이 또한 있었습니다. 그것은 성경의 교훈과 당시 천주교에서 가르치는 또 하는 일들의 다른 점들이었습니다. 그는 당시 교회의 교훈대로 아무리 선행을 힘써 보았으나 심령의 평화를 얻을 수 없었습니다. 그후 그가 성경을 가르치게 되어 특별히 시편, 갈라디아서 로마서 등을 연구하는 중 지금 읽은 로마서 一장十七절의 말씀 곧 『오직 의인은 ale음으로 살리라』하는 말씀을 통하여 구원의 진리를 깨닫고 비로소 확신과 기쁨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후 그가 처음으로 로마를 방문하였을 떼에 다른 순례자들과 같이 선행을 쌓으려고 빌라도의 사다리라는 층계를 무릎을 꿇고 올라가다가 이 말씀이 홀연히 그 심령에 들려 곧 이러나 내려왔다는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합니다.
당시에 교황이었던 레오 十세가 속죄표 발매를 시작하는 것을 보고 그는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어 九十五개조를 제시하면서 공개 변론을 하자고 도전하게 되어 당시 유럽을 뒤덮은 종교 개혁의 봉화는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一)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얻고 죄 사함을 받습니다. 선한 행실이나 헌금이나 속죄 표로 불가능합니다
(二) 오직 성경만이 신앙과 행실의 표준입니다. 교회의 전통은 성경으로 판단하여 취사선택해야 합니다.
(三) 하나님과 인간과의 중보는 오직 그리스도 한 분 뿐 입니다. 신부 교황 마리아가 아닙니다. 누구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제사장의 자격이 있습니다 .여기 신앙생활에 있어서 개인의 자유와 평등의 원칙을 선언합니다.
이제 종교개혁의 구호이었던 본문을 좀더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인도하시고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하는 말씀은 무슨 뜻입니까?
一, 어떻게 죄 많은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인간 심령이 가장 깊고 심각한 문제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죄를 짓습니다. 그 본성의 죄로 말미암아 부패하였습니다.
예수 님께서 일찍이 성전 뜰에서 가르치실 때에 바리세인들이 간음하다가 잡힌 한 여자를 끌고 와서「모세의 율법에는 이런 여자를 돌로 치라고 하였는데 선생님은 뭐라고 하십니까」물은 적이 있습니다. 그때에 주님은 그들에게 『너희 가운데 죄 없는 자는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지라』하시고 머리를 한참 수기고 계시다가 얼굴을 들고 보니 슬 머시 그 자리를 모두 떠낫다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인간은 누구나 자기 자신을 정직하게 반성할 때에 죄인임을 스스로 깨닫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죄 사함을 받고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있습니까? 율법을 행하므로 가능한가, 선을 행하므로 가능한가, 누구든지 양심적으로 힘써 본 일 이는 모두 불가능함을 또한 스스로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 다른 어떤 인간이 이 문제에 대하여 우리를 도울 수 있습니까? 그것도 불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인간이 보기에 혹 성자라는 말을 듣는 이가 있으나 하나님 앞에서는 모두 죄인인 까닭입니다. 성경의 말씀대로『의인은 없나니 곧 하나도 없느니라』그대로입니다. 사실 이 문제는 인간 자신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오직 하나님만 해결할 수 있고 또 해결하셨습니다. 곧 하나님께서 쥐 없는 자기 아들을 세상에 보내 사 만인의 죄를 십자가에서 대속(代贖)하시고 누구든지 저를 믿으면 죄를 사하여 주시고 죄에서 구원하시고 영생을 주십니다. 이렇게 율법이나 선을 행하므로 의롭다함을 얻을 수 없으나 십자가를 통하여 나타난 하나님의 의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고 의롭다하심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이렇게 선언하였습니다.『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롬三·二十三-二十四)
그러므로 구원은 거저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요 또는 선물입니다. 그리고 누구나 다 같이 오직 믿음으로 이 선물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나 자랑할 수 없습니다. 오직 겸손히 감사와 감격이 있을 뿐입니다. 다만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 이들에게는 선행의 열매로 맺은 것뿐입니다. 이렇게 오직 의인은 곧 하나님께로 의롭다 하심을 입은 이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게 됩니다. 곧 영생을 얻습니다.
二,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하는 말씀은 이렇게 의롭다 함을 입은 참 그리스도인은 매일 매일 그리스도와 같이 살아간다는 뜻입니다.
갈라디아 二장 二十절에 사도 바울은 자기 경험을 다음과 같아 말하였습니다.『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가운데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그리스도인들은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마음에 모시고 날마다 그리스도와 같이 동행합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도 말씀하셨습니다.『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과실을 맺을 수 없는 것 같이 너희도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러하리라』믿음으로 그리스도와 같이 있을 때에 우리는 열매를 맺습니다.
믿음으로 그리스도께서 같이 계시므로 우리는 유혹도 이기고 온갖 시련도 극복합니다. 믿음으로 우리는 강도 건너가고 물도 지나갑니다. 모든 환난과 역경과 위기도 돌파합니다. 주께서 같이 계심으로 약할 때에도 힘을 얻고 캄캄한 밤에도 빛을 보며 절망 가운데서도 새로운 소망을 얻습니다. 믿음으로 고독도 이기고 슬 품도 이기고 승리의 생활을 계속합니다. 오직 미음으로 비천(卑賤)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에 배부르며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자족의 생활을 계속합니다. 이렇게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같이 동행하는 이들은 사도 바울과 같이『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외치며 지금도 살아갑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오직 믿음으로 사는 의인의 생활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습니다.『저희가 믿음으로 나라를 이기기도하며 의를 행하기도 하며 약속을 받기도 하며 사자들의 입을 막기도 하며 불의 세력을 멸하기도 하며 칼날을 피하기도하며 연약한 가운데서 강하게 되기도 하며 전쟁에 용맹 되어 이방사람들의 진을 물리치기도 하며 여자들은 자기의 죽은 자를 부활로 받기도 하며 또 어떤 이들은 더 좋은 부활을 얻고자 하여 악형을 받되 구차히 면하지 아니하였으며 또 어떤 이들은 희롱과 채찍질 뿐 아니라 결박과 옥에 같이는 시험도 받았으며 돌로 치는 것과 톱으로 켜는 것과 시험과 칼에 죽는 것을 당하고 양과 염소의 가죽을 입고 유리하여 궁핍과 환난과 학대를 받았으니 이런 사람은 세상이 감당치 못하도다』(히 十一·三十三-三十八
三,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 이 말씀은 본래 구약 하박국 二장 四절에서 온 것입니다. 예언자 하박국은 유대나라 말기에 살았습니다. 당시 유대나라 사회상은 심히 혼란하여 도처에 변론과 분쟁이 있었고 겁탈과 패역(悖逆)한 일들이 넘쳤습니다. 법은 해이하여 젓고 공의는 시행되지 못하여 악인이 의인을 핍박하는 때였습니다. 이러한 때에 예언자 하박국은 어찌하여 하나님께서 이러한 일을 그냥 두시나이까 부르짖었습니다. 그때에 여호와께서는 오래지 않아 사납고 성급한 백성 곧 갈대아 사람을 일으켜 이 패역(悖逆)한 무리를 징계하겠다고 하셨습니다. 또 그리고 곧 그들이 와서 유대나라를 황폐케 하였습니다. 그런데 놀랄만한 일은 이 갈대아 사람들이야말로 더 악하고 더 패역 하고 더 광포하였습니다. 또 이들은 하나님을 전혀 모르는 무지한 침략자들이었습니다. 오직 자기들의 폭력만 믿고 의지하는 이들이었습니다.
그래서 하박국 또 다시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주께서 눈이 정결하시므로 악을 참아 보시 못하시며 패역을 참아 못하시거늘 어찌하여 궤휼(詭譎)한 자들은 방관하시며 악인이 자기보다 의로운 사람을 삼키되 잠잠하시나이까』그때에 하나님께서 과연 그들은 더 약하다고 하시면서 그러나『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고 대답하셨습니다.
그 뜻은 아무리 이 역사 속에 일시일시 악이 승리하고 폭력이 모든 것을 지배하는 것 같으나 오직 의인은 공의의 하나님의 역사의 주인이심을 기억하고 정의가 곧 하나님의 나라가 최후 승리를 거둘 것을 확신하고 용감히 산다는 뜻입니다.『오직 여호와는 그 성전에 계시니 온 천하는 그 앞에서 잠잠할 찌니라』(합 二·二十)
하나님은 그 성전에 곧 이 우주에 계십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은 우주와 인간의 역사를 다스리십니다. 하나님의 맷돌이 비록 천천히 돌아가나 매우 부드럽게 갈아냅니다. 공의와 자유와 평화는 반드시 승리합니다. 아무리 짐승과 용들이 일어나 어린양을 대적하나 어린양은 반드시 최후의 승리를 거둡니다. 세상나라가 반드시 어린양의 나라가 될 것을 믿고 흔들리 않고 담대히 사는 것이 의인의 믿음의 생활입니다. 한 조각 검은 구름이 청천 백일을 가리울 수 있으나 그것은 잠깐 뿐입니다. 안 중근의사가 이등박문을 저격하고 여순 감옥에서 一九一○년 三월 二十六일 상오 十시 일본인에게 처형될 직전에 그는 이런 말로 유언을 하였습니다.
「이 다음 조국이 광복 될 때에 내 유해를 조국 땅에 옮겨다 묻어 달라.」사실 당시에 국내정세나 국제정세를 살필 때에 한국이 광복되리라는 소망은 조금도 보이지 않을 때입니다. 그러나 안 의사는 조국의 광복을 꼭 믿었습니다. 왜? 그는 역사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믿은 까닭입니다.
그는 문자 그대로 믿음으로 살았습니다. 이것이 의인 곧 모든 참된 그리스도인들의 생활 원칙입니다. 일시일시 역사상 표면에 나타나는 일로 과히 신경을 쓸 것이 없습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살아야 합니다.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 죄인이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는 길은 겸손히 빈 손들고 나아가 십자가를 붙드는 것뿐입니다. 곧 예수 그리스도를 내 구주로 믿는 것뿐입니다. 이렇게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함을 입은 그리스도인들은 날마다 주님을 미음에 모시고 살아갑니다. 또 이러한 이들은 이 세상이 아무리 어지럽고 악의 세력이 강할지라도 정의와 자유가 최후 승리를 거둘 것을 확실히 믿고 용감히 역사 속에서 살아갑니다.
(一九七六년 十월 二十九일)
?-13 삶과 그 기회 (디모데후서 四장 一-九, 二十一절)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딤후 四·九)
『겨울 전에 너는 어서 오라』(딤후 四장·二十一)
디모데 후서는 사도 바울의 마지막 서신입니다. 오늘 아침 읽은 말씀은 그 서신 가운데 또한 마지막 부분입니다. 이 가운데서 우리는 성 바울의 순교 전 가장 엄숙한 그의 최후 신경을 살필 수 있습니다. 그는 관제와 같이 벌서 부음이 되었고 세상을 떠날 기악이 가까웠음을 느끼면서 이 글을 썼습니다.『너는 말씀을 전파하라 때를 얻든지 못 얻던지 항상 힘쓰라 범사에 오래 참음과 가르침으로 견책하며 경계하며 전하라』또 그리고『너는 모든 일에 근신하며 고난을 받으며 전도의 일을 하며 네 직무를 다하라』이렇게 그의 가장 사랑하는 제자 디모데에게 최후 분부를 내립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는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그리고 다시
『겨울 전에 너는 어서 오라』
최후를 기다리는 노 사도의 마음은 조급하였습니다. 그는 세상을 떠나기 전에 디모데를 보고 싶었습니다. 또 마지막으로 조용히 이를 말도 있었을 듯 싶었습니다. 그래서『어서 속히 오라』라고 재촉하였습니다. 특별히『겨울 전에 어서 오라』고 말씀하였습니다. 왜 겨울 전에 오라고 하였습니까?
당시 바울은 몰론 로마 감옥에 있었고 디모데는 멀리 지중해를 건너 에베소에서 목회 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때에는 겨울에는 배가 다니지 못하던 때이었습니다. 마지막 배를 놓치면 다음해 봄에야 올 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뱃길이 막히기 전 곧 겨울 전에 오라고 재촉한 것입니다. 오늘 아침 이 말씀을 묵상하는 가운데 인간의 삶과 그 기회문제를 생각하고자합니다.
一, 기회의 중요성
우리는 먼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기회가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해야 합니다. 에베소 五장 十五절에『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 것을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하는 뜻이 있습니다. 곧 기회를 놓치지 말고 무슨 일을 할 줄 아는 지혜 있는 자가 되라고 하였습니다. 복음에 나타나는 주님의 생활을 보면 그는 언제나 기회를 놓치지 아니하고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그가 한번은 갈릴리로 내려가시던 길에 수가성에 있는 야곱의 우물가에서 사마리아 여인이 물을 길러 나왔습니다. 주님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그 여인에게 물을 좀 달라는 말로 시작하여 마침내 깊은 복음의 진리를 전파하였습니다. 혹은 그가 여리고 거리를 지나가실 때에 많은 사람 가운데 삭개오가 뽕나무 위에 올라가서 자기를 내려다보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는 곧 그를 불러 내려오라고 하면서 그 집에 유하며 말씀을 전파하셨습니다.
이렇게 주님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으시고 삭개오와 그 온 가정을 구원하였습니다. 그는 길가에서든지 거리에서든지 바닷가에서든지 산에서든지 어디서나 기회가 있는 데로 천국의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또 많은 병자를 만나는 대로 고쳐주시기도 하였습니다.
주님의 많은 비유 중에 열 처녀의 비유는 특별히『기회를 놓치지 말라』는 교훈을 주신 것입니다. 슬기 있는 다섯 처녀는 신랑이 오기 전에 미리 그 등불을 위하여 많은 기름을 준비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신랑이 더디 왔지마는 그를 마지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미련한 다섯 처녀는 준비할 수 있을 때에 미리 준비하지 않고 있다가 신랑이 오는 그 시간에 기름을 사려 거리에 갔다가 결국은 신랑을 맞이하지 못하였습니다. 슬기로운 사람은 기회를 잃지 않고 살며 미련한 이들은 기회를 잃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일을 이루지 못합니다.
착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도 이 문제에 대하여 큰 교훈을 주는 이야기입니다. 한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가는 험한 길에 강도를 만나 돈을 다 빼앗기고 중상을 입어 길가에 쓰러 젓습니다.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로 지나가다가 그 참혹한 현상을 보고 그저 지나갔습니다.
그 후에 지나가던 한 레위 사람도 그냥 지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그후에 지나가던 한 사마리아 사람은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그를 구원하여주었습니다. 여기에 주님은 인간생활에 있어서 큰 교훈을 주십니다. 곧 인생행로에 우리는 종종 다른 이들에게 봉사할만한 기회를 만납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제사장과 레위사람 같이 그저 지나가고 다른 이들은 사마리아 사람과 같이 봉사를 아끼지 아니합니다. 오직 이러한 사람만 참으로 보람있는 생활을 하시는 것입니다. 기회의 중요성을 분명히 깨달아야 합니다.
二, 기회의 제한성
여기에『겨울 전에 어서 오라』고 재촉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겨울이 오면 기회는 없어집니다. 배가 다니지 못하는 까닭입니다.
예수께서 길을 가실 때에 한번은 날 때부터 소경 된 사람을 만났습니다. 제자들이 묻기를 이 사람이 소경으로 난 것이 뉘 좌입니까? 하였습니다. 예수께서 대답하시기를 이 사람이나 그 부모의 죄가 아니라 그에게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하면서 계속하여 말씀하시기를 『때가 아직 낮임에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 밤이 오리니 그 때는 아무도 일 할 수 없느니라』하시면서 그는 곧 그 소경을 고쳐 주셨습니다. 낮에 일 하여야 합니다. 밤이 오면 일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밤이 오기 전에 일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전에 어떤 왕이 반란을 일으킨 한 성을 점령하고 그 성문 위에 큰 촛불을 켜 놓고 그 성안 사람에게 공표하기를 누구든지 귀순할 사람은 촛불이 꺼지기 전에 돌아 오라하고, 촛불이 꺼지기 전에 돌아 온 사람은 다 용서하고 살려 주었으나 촛불이 꺼진 다음에 돌아온 이들은 모두 죽여 버렸다고 합니다. 촛불이 꺼지기 전에 마땅히 할 일을 해야 합니다. 성문이 열렸을 때에 곧 기회의 문이 열렸을 때에 들어 가야합니다. 문이 닫힌 다음에는 들어가지 못합니다
어떤 농부가 중병에 걸려 며칠 동안 의식을 잃었다가 다시 정신을 차렸다고 합니다. 눈을 뜨자마자 이 때가 어느 때냐고 물었다고 합니다. 둘러앉았던 이들이 지금은 봄이라고 하니 그는 큰 소리로「그러면 곧 일어나 씨를 뿌려야지」하였다고 합니다. 기회의 제한성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겨울은 때로는 갑자기 오기도 합니다. 특별히 금년 겨울은 갑자기 온 듯 싶습니다. 큰 눈이 이미 十一월중에 내리기도 하였습니다. 천재도 갑자기 옵니다. 교통 사고도 갑자기 일어납니다. 화재도 역시 그러합니다. 질병도 갑자기 올 때가 많습니다. 어떤 분은 갑자기 쓰러집니다 죽음도 갑자기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기회의 문이 닫히기 전에 꼭 할 일을 해야 합니다.
三, 이 원리의 실제적 적용
우리는 이 원리를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봄이 더 유익 할 듯합니다.
우리 가운데 학생들도 많습니다. 공부도 겨울 전에 하여야 합니다. 곧 공부할 수 있는 기회에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합니다. 혹 노인학교도 있다고 하는 말도 들리나 사실 그것을 학교라기보다도 한 소일을 위한 오락기관 일 것입니다. 또 우리 가운데는 청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젊고 건강할 때 많이 일 하세요! 그래야 후에 후회가 없을 것입니다. 늙고 병들게되면 일할 수 없습니다. 또 그런 때가 누구에게나 오는 것을 미리 기억해야 합니다. 또 우리 가운데는 부모를 모시는 이들이 많이 있는 줄 생각합니다. 부모들이 살아 게실 때에 마음을 기쁘게 하여 드리고 위로하며 효도를 극진히 하기 바랍니다.
수욕정이 풍부지(樹欲靜而 風不止)
자욕양이 친부대(子欲養而 親不待)
란 말이 있습니다.
곧 나무는 고요히 살고자하되 바람이 그치지 아니하고 아들은 잘 보양하고자 하되 아버지가 기다리지 아니합니다. 아무리 잘 부양하고자 하여도 할 수 없는 때가 반드시 옵니다. 갑자기 올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다 하나님을 공경하는 하나님의 자녀들입니다. 이렇게 주일마다 성전에 나아와 예배할 수 있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알 수 없습니다. 지금 북한에서는 성일(聖日)을 당하여도 이렇게 모이지 못하고 홀로 외딴 곳에서 눈물로 이 시간을 보내는 성도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릅니다. 교회에 나올 수 있을 때에 나와서 예배하세요. 사실 남한에 있으면서도 혹은 병으로 혹은 노쇠하여 나오지 못한 교우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교회봉사도 역시 그러합니다. 성가대로 봉사를 하든지 교화학교, 구역 혹은 단체에서 봉사하든지 봉사할 수 있을 때에 감사함으로 기쁨으로 정성을 다하여 봉사하시오, 아무리 봉사하고자 하되 봉사할 수 없는 밤이 올 것입니다.
전도도 그러합니다. 전도할 수 있을 때에 열심히 전도해야 합니다. 밤이 오기 전에 인도할 분을 인도합시다. 그밖에 교회를 위하여 혹은 사회를 위하여 무슨 사업을 하는 것도 밤이 오기 전에 할 수 있을 때에 기회의 문이 열렸을 때에 미루지 말고 주저하지 말고 곧 실천해야 합니다. 겨울 전에 와야합니다.
우리는 모두 대한민국의 국민들입니다. 평화시에 국가안보를 위하여 우리는 열심히 일을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경제발전과 각 방면의 건설을 서둘러 국력을 배양하여야 합니다. 유비무환입니다. 충분한 준비를 기회 있을 때에 하면 우환이 없을 것입니다.
다시 말합니다. 기회의 중요성 제한성을 기억합시다. 오늘 현재 지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합니다. 혹 우리 가운데 아직도 그리스도를 온전히 내 구주로 영접하지 못하였으면 이제 곧 하십시오 지금이 구원의 때요, 오늘이 구원의 날입니다.『여호와를 만날만 할 때에 찾으라 가까이 계실 때에 그를 부르라 악인은 그 길을 버리고 불의한자는 그 생각을 버리고 여호와께로 돌아 오라 그리하면 그가 긍휼히 여기시리라 우리 하나님께로 나오라 그가 널리 용서하리라』지금 곧 하나님께 나오시기를 바랍니다. 기회를 바로 포착하느냐 혹은 않느냐 하는 문제는 인생의 실패의 판가름 아니 생사의 판가름이 됩니다. 겨울 전에 주님께로 오십시오. 겨울 전에 화해하십시오 하나님에게도 사람에게도 감사하십시오 겨울 전에 일 하십시오. (一九七六년 十一월 二十七일)
?-14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하리 (이사야 四十九장 十四-十九절)
『여인이 어찌 그 젖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니라』(사 四十 九·十五)
이스라엘 백성이 일찍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서 있을 때에 주신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포로생활이 점점 길어질 때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호와께서 우리를 버렸습니다. 혹은 『잊으셨습니다』하고 탄식하는 이들이 점점 많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때에 하나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여인이 어찌 그 젖먹이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 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나하리로다』하나님께서는 그 백성을 잊지 아니하십니다. 버리지 아니하십니다. 오늘 이 말씀이 우리에게 축복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一, 하나님은 그 택하신 백성을 잊을 수 없습니다. 여기 말씀대로 『여인이 어찌 젖 먹는 자식을 잊을 수 있겠는가』잊을 수 없습니다『자기 태 안에서 난 아들을 버릴 수 있겠는가』물론 버릴 수 없습니다 이것이 모정입니다. 인간도 그러하거늘 하물며 인간을 지으신 하나님께서 그 백성을 어떻게 잊을 수 있겠습니까? 물론 잊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면서 하나님은 계속하여 말씀하십니다.『그들은 혹시 잊을 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하리라』사실 옛날이나 오늘이나 어머나 가운데는 자기가 낳은 아기를 혹은 잊어버리고 또는 저버리는 이들이 더러 있습니다. 인간으로서의 약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랑이 근본이시는 하나님은 그럴 수 없습니다.『나는 너를 잊지 아니하리라』말씀하셨습니다.
그뿐 아니라 그 다음절에 이렇게 말씀하십니다.『내가 너를 손바닥에 새겼고 너의 성벽이 항상 내 앞에 있나니』 자세히 들으시오!
『너를 내 손바닥에 새겼다』고 하십니다.
물론 비유의 말씀입니다.
그러나 그 뜻은 분명하고 의미 심장합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어떤 이들은 그 몸에 글자를 먹물로 새겨 넣고 다니는 이들이 혹 있습니다. 특별히 수부들 가운데 이러한 풍속이 흔하다고 합니다. 피부 속에 새겨 넣은 글자는 없어지지 아나합니다. 언제나 남아있습니다. 또 손바닥에 새겨 넣었으니 언제나 보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연히 언제나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은 하나님께서는 그가 사랑하는 택한 자녀들을 그 손바닥에 새겨 넣었으니 언제나 돌보시며 잊지 아나하신다는 뜻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손바닥에 새겼다는 뜻은 항상 보호하신다는 뜻도 있습니다. 하나님의 손바닥에 있는 이들을 빼앗아 갈 원수는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손은 만능의 손이십니다, 그러므로 언제나 안전할 것입니다.
그뿐 아니라 여기『너의 성벽이 항상 내 앞에 있나니』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것은 무슨 뜻입니까? 사실 그 때에 예루살렘 성벽은 다 무너졌고 없을 때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그 성벽은 내 앞에 있다고 의미심장한 말씀입니다. 그 성벽이 사람의 눈앞에는 없어졌으나 하나님 앞에는 그냥 있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재건할 때가 온다는 말씀입니다. 또 역사를 보면 사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이루어졌습니다. 그 무너졌던 예루살렘 성은 다시 재건 되였습니다. 포로 생활이 길어질 때에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실의에 빠지고 낙심한 것처럼 오늘의 성도들 가운데도 환난이 심하고 그 날이 길어질 때에『하나님은 나를 버리셨습니다』혹은『나를 잊으셨습니다』실망하는 이들이 있기 쉽습니다. 무슨 제목을 가지고 간절히 기도를 하다가도 그 기도가 속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낙심하기 쉽습니다.
一九七六년도 며칠이 남지 아니하였습니다. 금년에도 우리 민족적 염원인 남북통일은 이루지 못하고 새해를 맞게 될 것이 분명합니다. 하나님께서 북한에 있는 성도들을 잊으셨는가? 마음 한구석에 실망이 스며들기 쉽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여기 분명하게 말씀하십니다.『내가 너를 잊지 아니하리라』사실 하나님께서 포로 된 그 백성을 잊지 아나하셨습니다. 반드시 돌아오게 하였습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온갖 압박으로 신음할 때에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잊지 아니하셨습니다. 모세를 보내어 구원하였습니다. 옛날 요셉이 애굽의 종으로 팔려가 온갖 고생을 하며 심지어 억울하게 감옥에까지 들어가게 될 때 요셉이『하나님께서 나를 잊으셨습니다』홀로 탄식하였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를 잊지 아니하였습니다. 오히려 그것을 통하여 큰 축복을 주신 것입니다. 옛날 욥도 자기는 알 수 없는 이유로 큰 슬픔과 환난을 당 할 때에 하나님께서 자기를 버리신 줄로 생각할 때도 혹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하나님께서는 그를 버리시지 도 않으셨고 잊으시지 도 않으셨습니다.
자세히 들으셔요 .무너진 예루살렘 성벽이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하나님 앞에는 늘 있습니다.
오늘날 북한에 있던 교회는 하나님의 제단은 모두 무너졌습니다. 그러나 하나님 앞에는 그냥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재건 할 때가 올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시온을 버리시지 아니합니다. 어느 떼보다도 이 크리스마스계절은 가장웅변으로 선포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 백성을 잊지 않으시고 죄악 가운데서 건지시기 위하여 그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신 것입니다.
친애하는 교우 여러분! 우리가 개인적으로 훅은 민족적으로 어떠한 공경에 처하였다고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버리지 아니하시고, 잊지 아니하시는 사실을 이 크리스마스 계절에 다시 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二,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잊지 아나하시니 우리도 또한 하나님을 잊지 아나해야 합니다. 특별히 이 크리스마스 계절에 하나님의 은혜를 잊지 맙시다.
우리를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까지 보내신『그 말로 다 할 수 없는 은사』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새들이 은혜를 모르고 사는 것처럼, 고기가 물의 은혜를 모르고 사는 것처럼, 우리가 그 크신 은혜가운데 살면서도 그 은혜를 잊어버리기 쉽습니다.
성경에 보면 특별히 배가 부를 때에는 하나님을 잊지 말라고 경고하였습니다. 경제가 부흥하고 수출이 증가되었다고 교만한 마음을 품어서는 아니 뒵니다. 모두가 다 하나님의 크신 은혜임을 기억하고 감사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새 계명을 언제나 잊지 아니해야 합니다. 그것은『너희가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하는 것처럼 서로 사랑하라 이렇게 하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세상이 알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믿는 이들이 서로 사랑하고 화평하여 국민총화의 모범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언제나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회적 사명을 잊지 아니해야 합니다. 곧 빛과 소금이 되라는 주님의 말씀입니다. 사실 금년은 여러 가지 면에서 축복의 해입니다. 쌀도 어느 해보다도 증산되었고 수출도 초과달성 되었고 새마을 운동으로 농촌도 좀 더 깨끗하여졌고 또 소득도 증가되었습니다. 그러나 정신면에 있어서는 범죄율은 더 높아졌습니다. 부정과 부패는 도처에서 일어납니다. 이러한 때에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사명이 무엇인가를 잊지 아니하고 내가 어디 있든지 빛과 소금이 되어 이 정신면에서 우리 사회와 국가에 봉사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하려면 주님께서 우리에게 최후로 주신 지상명령 곧『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라』하는 말씀도 잊지 아나해야 할 것입니다. 크리스마스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잊지 아니하시는 계절입니다. 우리도 특별히 이러한 계절에 하나님을 잊지 맙시다.
三, 그리고 특별히 이 크리스마스 계절에는 서로 서로 잊지 아니해야합니다. 가족 친척 친구 이웃 특별히 불우한 이웃을 잊지 아니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잊지 아니하시는 이들을 우리도 잊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교우 중에서도 특별히 질병과 재난으로 환난 가운데 있는 이들을 돌보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제일 외로운 고아 노인 미망인들 환난과 고독을 그리고 실직 혹은 빈한(貧寒)한 가정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를 위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방면에서 수고하는 지도자들과 근로자 농민 어민 등을 기억해야 할 것이며 특별히 치안을 담당하기 위하여 밤낮 수고하는 경찰관 그리고 우리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혼은 휴전선에서 혼은 바다에서 혹은 공중에서 수고하는 육해공군 장병을 위하여 기도하며 될 수 있는 대로 그 노고를 위로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남한에 사는 동포들은 북한에서 자유가 없이 눈물로 이 크리스마스를 맞는 그리스도인들과 모든 동포를 잊을 수 없습니다. 북한뿐이 아닙니다. 전 세계를 통하여 철의 장막 혹은 죽의 장막 배후에서 온갖 불의와 압박 아래 신음하는 사람을 잊지 말고 어서 속히 그들에게도 자유와 해방을 주시기 위하여 기도하며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때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런 이들에게 구원과 자유와 해방과 위로를 주시기 위하여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우리는 이 크리스마스 계절에 특별히 전 세계를 통하여 악의 세력 하에서 신음하는 세게 인류를 위하여 하나님 앞에 간절히 기도하여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시온을 있지 아니하십니다. 크리스마스는 이 사실을 우리로 하여금 다시 한번 상기케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잊지 아니하심으로 우리는 어떠한 환경에서든지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소망이 있습니다.
아무리 죄악에 깊이 파묻힌 영혼도 새로워질 수 있습니다. 아무리 환난과 고통이 심하나 하나님께서 도우심으로 모든 것을 극복하며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 기분 계절에 우리의 소망이 되신 그리스도를 더욱 든든히 의지하고 나아갑시다.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끓으리요 환난이나 곤고(困苦)나 핍박이나 기근이나 적신 이나 위험이나 칼이랴……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 (一九七六년 十二월 十九일)
?-15 새해에 새 계명 (요한복음 十三장 三十一-三十五절)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시랑 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줄 알리라』 (요한 十三·三十四-三十五)
새해에 이 새 계명을 우리 한국교회가 새롭게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도 요한 은 이 새 계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께로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니라.』(요 一四·七-八)
이 새 계명에 대하여 사도 베드로는 이렇게 말씀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열심히 서로 사랑할 찌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벧전 四·八)
이 새 계명에 대하여 사도 바울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습니다.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제일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내가 사랑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내가 예언하는 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 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 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안이요 내가 네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전 十二·三十一, 十三·一-三, 十三)
一,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하나님은 사랑으로 우주를 지으시고 또한 인간을 지으셨습니다. 산천초목과 오곡백과를 준비하셨습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이 세상에 왔고 또 그 사랑 가운데서 살아갑니다. 그리고 그의 사랑을 우리 인간의 삶의 법칙으로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은 개인 생활의 법칙이요, 교화생활의 법칙이요, 사회 생활의 법칙입니다. 인간의 삶이란 사랑을 의미합니다. 사랑 없이 삶은 없습니다.
二, 그러면 사랑은 무엇인가 사도 바울은 그 유명한 사랑의 장 고린도 전서 十三에 다음과 같이 사랑을 분석하여 그 속에 내포된 요소를 분명하게 가르쳐 주십니다. 곧 새 번역대로 읽으면『사랑은 오래 참습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자랑하지 않습니다. 교만하지 않습니다. 무례히 행하지 않습니다. 자기 이익을 구하지 않습니다. 성 내지 않습니다. 남의 악행을 기억하지 않습니다. 불의를 기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진리와 합께 즐거워합니다. 모든 것을 덮어 줍니다. 모든 것을 믿습니다. 모든 것을 바랍니다. 모든 것을 견딥니다』(고전 十三·四-七)
이러한 사랑이 가정에 있을 때에 그 가정은 언제나 화평할 것입니다. 이러한 사랑이 우리 교회에 있을 때에 우리 교회는 언제나 화평할 것입니다. 가화만성사(家和萬成事)이란 말이 있습니다. 가정이 화평하면 모든 일이 저절로 이루어집니다. 교회 역시 그러합니다. 교회가 화평하면 모든 일이 저절로 이루어집니다. 전도, 교육, 봉사 그리고 모든 일이 자영이 이루어집니다.
三, 그러므로 우리 주님은 그가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날 밤에 오직 이 한가지 계명 곧 새 계명만 주신 것입니다.
『너희가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하는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우리는 이 새해에 무엇보다도 주님의 이 새 계명을 새롭게 인식하여야 하겠습니다. 우리가 아무리 사랑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비록 산을 옮길만한 믿음이 있을지라도 심지어 내 몸을 주어 불사르게 한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나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여야 하겠습니다.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신앙생활에 있어서 사랑의 최대 중요성 절대성을 잊지 아니하여야 하겠습니다. 하나님은 진리이시오 또한 사랑이 십니다. 진리가 곧 사랑이라고 하는 것을 깨달아야 하겠습니다. 성령은 하나님의 영 곧 사랑의 영이라는 것도 그리고 사랑의 첫 열매는 사랑이라는 것을 잊지 아니해야겠습니다.
성령으로 충만한 교회는 또한 사랑으로 충만한 교회입니다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서 지키는 교회입니다. 피차에 협력할 줄 아는 교회입니다 화평한 교회입니다. 피차에 협력할 줄 아는 교회입니다. 한국교회는 여러 가지 은혜를 많이 받은 교회입니다. 열심으로 모이는 은혜도 받았고 기도의 은혜도 받았고 헌금의 은혜도 받았고 전도의 은혜도 받았습니다. 실로 감사한 일입니다. 이제 가장 큰 은혜 사랑의 은혜를 이 새벽에 우리 온 교회가 충만히 받는다고 하면 이 얼마나 기쁜 일이겠습니까?
금년 새해에 우리 온 한국교회가 이 계명을 새롭게 받아 이 계명을 순복하는 교회가 되어 우리 五○○만 신도가 하나가 된다면 하나님께서는 우리 한국교회를 통하여 이루시고자 하시는 모든 일을 성취케 하실 것입니다. 국내적으로 국외적으로 크게 일하실 것입니다. 오늘 한국의 실정은 물량적으로는 성장하고 있으나 그 윤리면 에 있어서는 어떠한가? 오히려 떨어지는 경향은 없는가? 이 새 계명 아래로 하나로 뭉친 한국교회는 이 민족을 영적으로 구원함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방면에 공헌하여 실로 이 땅위에 참된 자유 민주 국가 건설에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一九七七년 一월 七일)
?-16 주안에서 (빌립보서 四장 一-九절)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이와 같이 주안에 서라』(빌 四·一)
오늘 읽은 빌립보 四장 첫 부분에는『주안에서 』하는 말이 세 번이나 있습니다. 一절에 『주안에 서라』二절에『주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어라』四절에『주안에서 항상 기뻐하라』빌립보 서 뿐만 아니고 다른 서신 가운데서도『주안에서』하는 말을 우리는 종종 읽게 됩니다. 사실 주님께서도『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절로 과실을 맺을 수 없음 같이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리하리라』『너희가 내 안에 거하고 내 말이 너희 안에 거하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 그리하면 이루리라』(요 十五·四-七) 신앙생활은 주안에서의 생활입니다.
우리 육체는 물론 이 세상에서 사나 우리 심령은 보다 높은 다른 차원에서 삽니다. 곧 주안에서 사는 것입니다. 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음 같이 우리 심령은 주를 떠나 살 수 없습니다. 주의 은혜, 주의사랑, 주의진리 안에서 곧 ale음으로 주안에서 매일매일 살아가야 합니다. 그리다가 계시록 十四장 十三절의 말씀과 같이『지금이후로 주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도다』주안에서 영원한 하늘나라로 옮기어가고 또한 그 나라에서 영원히 주안에서 사는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 읽은 본문에서 주안에서 사는 이들에게 꼭 필요한 세 가지 교훈을 줍니다.
첫째는, 주안에서라.
튼튼히 서라는 뜻입니다.
고린도 전서 十六장 十三절에는
『깨어 미음에 굳게 서서 남자답게 강건하여라』하였습니다.
먼저 주안에서 믿음에 굳게 서야 합니다. 일직이 엘리야가 가멜산상에서 이스라엘백성에게 외친 말씀을 기억하시는 이가 많을 줄 생각합니다.
『너이가 어느 때까지 두 사이에서 머뭇머뭇하려느냐 여호와가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좇고 바알이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좇으라 』믿는다고 하면서도 아직도 그리스도와 바알 사이에서 머뭇머뭇하는 이는 없는가? 문자그대로 아직도 천국과 지옥의 갈림길에서 헤매는 이는 없는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그리스도를 중심에 영접하였는가? 그리스도의 원수가 되는 온 갓 죄악 악한 귀신을 우리 마음속에 온전히 몰아내고 주님을 중심에 모셨는가? 다시 말하면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새 사람을 입었는가? 여러분 이 새벽에 그리스도의 새 마음을 품고 새 사람이 되어 주안에 굳게 서기 바랍니다.
또 에베소서 六장 十四절 이하에는『그런즉 서서 진리로 너의 허리띠를 띠고 의의 흉배를 붙이고 평안의 복음에 예비한 것으로 신을 신고 모든 것 위에 믿음의 방패를 가지고 이로써 능히 악한자의 모든 화전을 소멸하고 구원의 투구와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라』하였습니다.『주안에 서라』라는 말은 믿음에 굳게 서서 모든 유혹과 시험을 싸와 이기라는 말입니다. 영적 견지에서 볼 때에 이 세상은 실로 선과 악, 의와 불의, 그리스도와 사탄사이에 간단없는 싸움이 계속 됩니다. 우리 마음속에서도 이 싸움이 계속됩니다.
마음속에 있는 악마의 시험도 싸와 이겨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직장, 우리 사화, 우리가 사는 이 세계에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어디서든지 주안에서 튼튼히 서서 승리의 생활을 하라는 말입니다. 요사이 우리 사화에는 입학시험에 낙방함으로 말미암아 실망하는 학생들이 상당히 있는 모양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인간의 일생을 통한 시험에서 낙방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입학시험의 낙방은 재수할 수도 있고 또 본래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재능대로 어느 방면이나 헌신하여 보람있는 생활을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인간에 있어서 아주 귀한 것은 우리의 일생을 그르쳐서는 아니 됩니다. 그리하려면 젊었을 때에 주를 온전히 영접하고 주안에서 굳게 서서 모든 유혹과 시험과 실망과 역경을 이기면서 오직 옳은 길을 걷는 것입니다.
주안에 굳게 서면 반드시 일생의 승리를 거둡니다.
둘째는『주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하였습니다.
빌립보 교회는 은혜를 많이 받는 교회였습니다. 열심히 전도하였고 또 정성껏 하나님의 일꾼인 사도 바울을 도운 교회입니다. 그런데 그 교회에 유오디아라 하는 여 성도와 또 순드게라하는 여 성도가 있었습니다. 자세히는 모르나 이 두 여자는 빌립보 교회에서 상당히 유명한 여신도이었던 모양입니다. 여러 가지 봉사에도 뛰어난 듯합니다. 그러기에 사도 바울이 특별히 지명하여 권고하였습니다. 이들이 그렇게 교회에서 유명한 이들인데 그 두 사이에 불화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그로 말미암아 교화에 덕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에도 사도 바울이 지명하면서『주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고 권고하며 또 다른 이들에게도 서로 화평하도록 도우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주안에서 튼튼히 서서 주를 위하여 일 할뿐더러 우리같이 믿는 이들이 주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고 화평하고 협력할 줄 꼭 배워야합니다.
사도 바울은 에베소서 四장에서도
『그러므로 주안에서 또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가 부르심을 입은 부름에 합당하게 행하며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하였습니다. 우리 주님도 잡히시기 전날 밤에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 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서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고 하셨습니다.
사도 베드로도,
『무엇보다도 서로 사랑할 찌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사도 바울은 우리가 잘 아는 사랑의 장 고린도 전서 十三장에서 우리가 아무리 모든 은사를 받는다고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여러분 주안에서 서로 사랑하며 무슨 허물이 있을지라도 서로 용서하고 화평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 큰 은혜입니다. 인간은 성품도 다르고 보는 면도 다르고 환경도 달라서 다 같은 믿음이 있을지라도 때로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주안에서 오래 참고 온유하며 서로용납하며 하나가 되는 생활 꼭 배워야합니다. 전에 아브라함이 벧엘 근처에서 살 때에 하나님의 축복을 받아 소와 양들이 많아 졌습니다. 그런데 아브라함의 목자들과 자기 조카 롯의 목자들이 목장 때문에 서로 싸움이 인어 났습니다. 그때에 아브라함이 어떻게 하였는지 기억나십니까? 조카 롯을 불러하는 말이 『너나 나나 네 목자나 내 목자나 서로 다투지 말자 우라는 서로 한 골육이다』하면서 네가 동으로 가면 나는 서로 가고 네가 서로 가면 나는 동으로 가겠다고 하며 양보하였습니다. 그리고 또 땅에 브리스 사람들과 가나안사람도 있었습니다. 여러분 우리 믿는 사람이 왜 화평하여야합니까?
그것은 우리는 영적 의미에서도 한 골육입니다. 같은 그리스도의보혈로 죄 사함을 받아 다 같이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이유가 더 있습니다. 곧 우라 사방에는 우리를 엿보는 안 믿는 이들 심지어 공산당까지 있습니다.
온 교회가 한 뜻을 뿜고 하나가 될 때에 모든 일은 성취됩니다.
들은즉 창립 三十五주년을 기념하여 몇 가지 사업도 경영한다고 하는데 주안에서 온 교우가 한마음 한뜻이 되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시기를 바랍니다.
셋째는『주안에서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빌빕보서에는『기쁨』이라는 말이 여러 번 나옵니다. 十八번인 듯 합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사도 바울이『나는 주안에서 항상 기뻐하니 너희도 항상 기뻐하여라』권면합니다.
이것은 실로 놀라운 일입니다. 그때 바울은 로마 감옥에 있었습니다. 나이는 이미 많이 늙은 몸이었습니다. 또 그리고 언제 죽음이 올지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서 그는 외칩니다.『항상 기뻐하라』그 비결이 어디에 있었습니까? 한마디로 그는 그 몸은 감옥에 갇혔으나 그 심령은 그의 기록한데로 늘 주안에 있었습니다.
기쁨이란 꼭 환경이 좋은데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물질이 많은 곳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기쁨이란 양심이 평안할 때에 옵니다. 기쁨이란 좋은 일을 할 때에 옵니다. 그리고 기쁨이란 무엇보다도 좋은 분과 같이 있을 때에 옵니다.
바울은 비록 늙고 감옥에 있었으나 그는 주님과 같이 있었습니다. 주님 안에 있었습니다. 그의 양심은 평안하였습니다. 그는 감옥에서도 전도 할 수 있었습니다. 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겉 사람은 비록 후패(朽敗)하나 속 사람은 날로 새로워 영원한 하늘 나라의 소망이 있었습니다. 그의 감방은 하늘나라와 직결 되였습니다. 여러분 참된 즐거움의 비결이 여기에 있습니다.
주안에 있으라!
주안에서는 늙으나 젊으나 강하나 약하나 기쁨의 샘터가 언제나 터져 나옵니다. 유명한 음악가 하이든에게「당신의 음악은 언제나 기쁨이 충만한데 그 비결이 무엇인가?」하니 그의 대답은「하나님께서 나와 같이 계시니 내 마음에는 언제나 기쁨이 충만하다」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여러분! 여러분의 마음은 어떠합니까? 주안에서 항상 기뻐하시오. 주안에 있는 성도의 마음은 항상 기쁨으로 충만합니다. 그러므로 기쁨으로 예배를 들입시다. 기쁨으로 봉사합시다. 기쁨으로 전도합시다. 가정에서도 기쁨으로 서로 돕고 직장에서도 기쁨으로 일합시다. 이 불안과 공포와 우울한 세상에 기쁨의 생명수를 채우는 성도들이 됩시다.
주안에서 주시는 새 교훈을 다시금 기억합시다.
一, 주안에 굳게 서라.
二, 주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
三, 주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一九七七년 一월 三十일)
?-17 승리의 향기 (고린도 후서 二장 十二-十七절)
『항상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라』(고후 二·十四)
먼저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 동안 약 二개월간 미국 캐나다 싱가폴 세 나라 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돌아 온 것은 첫째는 하나님의 은혜요, 둘째는 교우 여러분들의 간절한 기도의 은혜입니다. 이번 여행에서 九개 도시를 방문하였는데 어디를 가나 영락 교우를 많이 만나게 된 것은 실로 기뿐 일이었습니다. 또 어디서나 우리 교우들이 교회를 잘 봉사하는 것을 보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릴 수밖에 없습니다. 동기 동창인 데니스 목사님과 여러분들이 본국에 돌아가면 가족이나 또는 교우들에게 문안을 하여달라는 부탁을 받아 지금 이렇게 공동으로 문안을 들일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 읽은 말씀 중 二장 十四절을 다시 읽겠습니다.
『항상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이 절은 한 문구로 된 사도 바울이 자서전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의 생활의 특색을 아주 간단 명료하게 잘 표현하였습니다. 그의 생활은 항상 주안에서 승리와 그리스도의 향기를 어디서나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一, 먼저『주안에서』하는 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의 영적 차원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의 영혼의 주소를 의미합니다. 사도 바울의 육신의 주소는 항상 변하였습니다. 그는 끊임없이 늘 여행을 한 까닭입니다. 그러나 그의 영적 주소는 언제나『주안에서』살았습니다. 변치 아니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에베소 교우들에게 편지할 때에『주안에서 갇힌 내가 너희에게 권하노니』하는 문구를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때에 그의 몸은 로마 감옥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속 사람은 주안에 있는 것입니다. 우리 주님께서도 요한 복음 十五장 四절에『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절로 과실을 맺을 수 없음같이 너희도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리하리라』주안에 거하는 것이 승리 적 생활과 결실의 비결입니다. 우리도 종종 여행을 할 때가 있습니다. 물론 몸의 주소는 며칠 후에 하번씩 변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어디를 가나 우리의 영적 주소가 변하여서는 안됩니다. 우리의 속 사람은 어디서나 주안에서 살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믿는 이들은 혹 이사는 하나, 혹 직장을 옮길 수 있으나, 혹 학교는 마치고 취직을 하여도, 혹 출가는 하여도 결코 영적 주소가 변해서는 아니 됩니다. 주안에서 살아야 합니다.
二, 주안에서의 승리, 그래야 승리 적 생활을 합니다.
인생 행로에는 종종 유혹이 있습니다. 특히 젊었을 때에는 옛날 요셉처럼 정욕으로 오는 시험에 부딪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주안에서 항상 사는 청년들은 역시 요셉처럼『내가 어찌 이 악을 행하여 하나님 앞에 득죄(得罪)하리까』하면서 담대히 물리칩니다. 그 몸을 깨끗이 지킵니다. 그 분만 아닙니다. 인간 생활에는 때로는 물질을 통하여 오는 시험, 허영을 통하여 오는 시험, 직위 또는 권력(權力)을 통하여 오는 시험, 개인의 사정과 환경을 따라 할 수만 있으면 넘어뜨리려고 악마는 우리를 유혹합니다. 그러나 항상 주안에서 사는 이는 주의 능력으로 이 모든 유혹을 물리치고 승리하며 인생 길을 걸어갑니다. 그리고 인간의 일상생활은 항상 맑은 날 만은 아닙니다. 흐린 날이 있습니다. 비오는 날, 바람 부는 날, 따스한 날만 아닙니다. 찬 서리, 혹은 흰 눈이 날리는 날도 있습니다.
병상에 눕게 될 때도, 사업이 실패 될 때도, 고독할 때에도, 역경에 처할 때도, 중상과 모략을 받을 때도, 아니 생명같이 생각하던 이를 먼저 보내는 단장의 슬픔을 맛보게 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항상 주안에서 사는 이들은 늘 부르는 찬송가의 가사와 같이『주안에 있는 나에게 딴 근심 있으랴 십자가 앞에 나아가 내 짐을 풀었네』외치면서 주안에서 모든 근심, 고통, 슬픔의 짐을 풀고 그 심령 편히 쉽니다. 눈물 골짜기에서도 생명의 샘터를 발견합니다. 새 힘을 얻고 승리합시다.
『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내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하리요』
『여호와께서 환난 날에 나를 그 초막 속에 비밀히 지키시고 그 장막 은밀한 곳에 나를 숨기시며 바위 위에 높이 두시리로다』
『내게 능력 주사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승리의 개가를 부릅니다.
사실 주안에 늘 있는 이는 죽음도 최후의 승리를 의미합니다. 사망의 이김에 삼키어집니다.『사망아 네 이기는 것이 어디 잇느냐 사망아 네 쏘는 것이 어디 잇느냐……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이김을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오니 그러므로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견고하고 흔들리지 말며 항상 주의 일에 더욱 힘쓰는 자들이 되라 이는 너희 수고가 주안에서 헛되지 않은 줄을 앎이니라』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다 가고 믿음을 지킨 이들에게는 죽음은 천국과 의의 면류관의 영원한 안식을 의미합니다.
三, 주안에서의 향기
사도 비울은 항상 주안에 있었으므로 가는 곳마다 그리스도의 향기를 뿜었습니다. 산 꽃에는 향기가 있습니다. 풀에도 향기가 있습니다 초향(草香)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목향(木香)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나무에도 향기가 있습니다. 특별히 향나무 백향목(柏香木)같음 나무들은 향기가 많습니다. 곡향(穀香)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곡식에도 향기가 있습니다. 과일에도 향기가 있습니다. 밀감에는 밀감 냄새 사과에는 사과 냄새가 있습니다.
주안에 있는 이들에게는 그리스도의 향기가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으로써의 품격의 향기가 있습니다. 성결(聖潔)의 향기가 있습니다. 진실, 온유, 겸손, 사랑, 기쁨, 인내, 화평(和平)의 향기가 있습니다. 주님이 같이하는 십자가 있는 곳에 이런 향기가 사방에 퍼져 무언의 감화를 줍니다. 잘 믿는 이들은 어딘가 모르게 믿는 냄새가 납니다.
향기를 뿜는 꽃들이 많은 동산에는 벌과 나비가 모여듭니다. 그리스도의 향기를 뿜는 교인이 많은 교회는 자연히 많은 사람이 모여옵니다. 이런 교회는 나날이 성장합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여기 그리스도를 아는 향기란 말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또한 의미합니다. 바울은 어디를 가나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에베소, 빌립보, 아덴, 고린도, 로마 감옥에서도 자기 옆에 서 있는 군인에게 전도하여 복음이 로마 시위대와 가이사의 궁중까지 퍼지게 되었습니다. 함께 갇힌 죄수 오네시모란 청년에게 전도하여 그 주인에게 돌려보내기도 하였습니다. 그 얘기가 빌네몬서에 있습니다.
누구나 그리스도안에 있을 때에 이렇게 복음의 향기로 인간이 가장 귀한 심령을 죄에서 구원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 하나님의 하시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하나님께 감사하노라』하였습니다.
그는 이렇게 언제나 감사와 감격이 그 심령 속에 차고 넘쳤습니다. 그러므로『범사에 감사하라』『항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아버지 하나님께 감사하라』외쳤습니다. 주안에 있는 심령 속에는 언제나 감사와 감격으로 충만합니다. 개인만이 아닙니다. 한 민족도 그러합니다. 만일 우리 민족 전체가 모두 주안에 있게 된다면 모든 악의 세력을 물리치고 우리가 열망하는 평화 통일도 반드시 이룰 것이요 나아가 세계 만방에 그리스도의 향기를 나타낼 수 있는 위대한 국가로 발전할 것입니다.
주안에서 항상 이기는 생활, 주안에서 항상 향기를 내 뿜는 생활, 주안에서 항상 감사하는 생활, 이것이 참 그리스도인의 생활입니다. 이러한 축복이 우라 모두에게 임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금번 사경 회를 통하여 우리 교우 전체가 이런 은혜를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三十五주년 기념행사도 크게 이루어 하나님에게 영광을 돌리시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七년 四월 二 十四일)
?-18 앞으로 나아가자 (출애굽기 十四장 十-二十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어찌하여 내게 부르짖느뇨 이스라엘 자손을 명하여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출 十四·十五)
오늘 읽은 말씀은 우리가 잘 아는 대로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의 인도를 따라 애굽을 떠나 광야로 나갈 때에 당한 첫 위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것은 애굽 왕 바로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떠나는 것을 다시 사로잡기 위하여 그 군대를 데리고 그 뒤를 쫓게 되었습니다. 그 때에 이스라엘 백성은 진퇴 양난의 큰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앞으로는 홍해가 가로 막혔고 뒤에는 애굽의 기병들이 그들을 쫓았습니다. 겁에 찔린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를 원망하여 애굽에 매장지가 없어서 우리를 여기까지 끌고 나와 광야에서 죽게 하느냐고 야단하였습니다. 모세도 하나님께 또한 부르짖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위기일발의 순간에 하나님은 모세에게 명했습니다『네가 왜 엎디어 부르짖기만 하느냐 이스라엘 백성으로 하여금 앞으로 나아가게 하여라』고 하였습니다. 이 때에 모세는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그 명령대로 백성을 인도하여 앞으로 나아갔습니다. 홍해는 갈라졌고 애굽 군대는 물 속에 장사한바가 되었으나 오직 이스라엘 백성은 무사히 홍해를 건넜습니다.『앞으로 나아가자』곧『전진하라』오늘 아침 잠깐 이 말씀을 묵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시기 바랍니다
첫째 전진은 생의 법칙입니다. 발전 향상은 생의 법칙입니다. 장성은 생의 법칙입니다. 하나님께서 우주를 처음 지으신 후에『전진하라』명령하셨습니다. 그리하여 혼돈한 우주가 질서 있는 우주로 전진하였으며 암흑한 우주가 광명 있는 우주로, 무생물의 우주가 생명 있는 우주로, 하등동물이 고등동물로 전진하였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 형상으로 인간을 지으신 후에도 오직『전잔 하라』고 명하셨습니다.
인간은 개인적으로도 날마다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문화적으로도 전진하고 도덕적으로 전진하고 특별히 영적으로도 매일 전진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내가 이미 얻었다 함도 아니오 온전히 이루었다함도 아니라 오직 내가 그리스도 예수께 잡힌바 된 그것을 잡으려고 쫓아가노라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을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좇아가노라』고 외쳤습니다. 그러므로 히브리서 저자는 히브리서 十一장에 많은 신앙의 용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十二장 一절에『이러므로 우리에게 구름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 있으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고 인내로서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곧 전진하며)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고 교훈 하셨습니다. 사도 베드로는『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敬虔)을, 경건에 형제우애를, 형제우애에 사랑을 더하라』고 하였습니다. 곧 전진하는 그리스도인이 되라고 권면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교회도 또한 전진해야 합니다, 예수께서 승천하시기 전에 모든 제자들을 향하여『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기독교 역사는 이 명령에 순종하여 온 세계를 향한 전진의 발자취입니다. 예루살렘에서 온 유다로, 유다에서 사마리아로, 사마리아서, 온 세계로, 곧 땅 끝까지 전진하도록 교회는 언제나 노력하였습니다. 사도 바울은 그가 생전에 꼭 서반아까지 가서 전도하기를 원했습니다. 그 이유는 그때에는 서반아가 서편으로는 땅 끝이 되는 까닭입니다.
교회는 언제나 이 전진하라는 명령에 순복(順服)해야 축복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국내 전도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외국선교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교회 안의 일만 하여서는 안됩니다. 교회밖에 있는 사회, 민족, 아니 전세계 인류를 위하여 일해야합니다. 그래서 교회는 옛날부터 교회 교육만 한 것은 아닙니다. 곧 주일학교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일반 사회를 위하여 중학 대학 등 학교교육을 언제나 힘쓴 것입니다. 교회 안에 있는 이들만이 상부상조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사회를 위하여 구호하며 봉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고아원, 경로 원, 모자원, 병원, 기타 모든 봉사기관을 설립 운영하여 오는 것입니다. 교회 안의 살림만 잘 하기를 힘쓰는 것이 아니고 모든 사람이 살 만한 사회와 나라를 이루기 위하여 사회정의 구현에 항상 큰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공헌해야 할 것입니다. 교회는 이렇게 모든 방면으로 전진해야 하나님의 축복을 받습니다
국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등 각 방면에서 향상되고 전진하는 국가가 되어야합니다. 좀 더 번영하고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평등한 나라로 날마다 전잔 해야합니다. 그러므로 도시의 발전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농촌도 같이 발전해야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특별히 새마을 운동 같은 운동은 매우 귀한 운동이라 생각합니다. 우라는 국민의 하나로서 전진하는 국가를 이루기 위하여 또한 헌신하고 노력합시다.
세계도 또한 전진해야 합니다. 전쟁 없는 평화의 세계로, 빈궁(貧窮)이 없는 세계로, 억압이 없는 자유의 세계로, 미신이 없는 참 종교의 세계로, 공해와 오염이 없는 깨끗한 세계로 전진해야합니다. 사실 우리가 사는 세대를 우주시대라고 하는 것은 의미심장합니다. 그것은 곧 지금은 우리 인류가 우주를 향하여 전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 세계 인류여! 다같이 힘을 모아 전진합시다. 전진은 하나님의 명령이며 뜻입니다.
둘째, 이렇게 전진하려면 경계할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전진을 방해하는 것들이 더러 있습니다.
① 그것은 뒤를 돌아보는 것입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종종 뒤에 있는 애굽을 돌아봄으로서 전진에 큰 장애를 입었습니다. 롯의 처는 소돔성에서 나와 전진하다가 뒤를 돌아보아 그만 소금기둥이 되었다고 합니다. 기둥은 전진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항상 권하기를 뒤에 있는 것을 잊어버리고 앞을 향하여 달음질하라고 합니다. 뒤를 돌아다보지 맙시다.
② 전진하다가 어떤 이는 피곤하여 쓰러집니다. 곧 낙심합니다. 전진은 물론 쉬운 일은 아닙니다. 가만히 앉아 있는 것 보다 매우 힘듭니다. 그러므로 전진하려면 피곤하나 계속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성경은 선을 행하다 낙심하지 말라고 권합니다.
금광 기사가 금광을 찾는 중에 한번은 일찍이 오래 전에 금광을 하다가 그만둔 폐광을 발견하였습니다. 그 곳에 아무래도 꼭 금이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 그 곳을 다시 파기를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조금 파다보니 곡괭이가 박혔는데 그 자루는 다 썩었습니다. 그런데 그 고갱이를 뽑으려고 하니 아주 단단히 박혔다고 합니다. 열심히 뽑고 보니 그 곡괭이는 노다지 곧 금덩이 속에 박혀 있더라고 합니다. 아마 옛날 한 광부가 금을 캐다가 곡괭이가 깊이 박히니 그만 낙심해서 파다가 그만 둔 모양입니다. 조금만 더 힘썼더라면 많은 금을 캐었을 것입니다. 전진하다가 어려운 일이 있다고 주저앉으면 안됩니다. 칠전팔기(七顚八起)란 말이 있습니다. 일곱 번 넘어졌어도 여덟 번째 일어나서 전진을 계속해야 합니다. .
④ 잔잔할 때에 종종 큰 난관을 당합니다. 태산 준령이 가로막을 때도 있고 홍해처럼 장강(長江) 대하가 앞에 놓일 수도 있습니다. 아말렉 같은 원수가 대적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때에 큰 믿음과 용기로서 역경을 돌파하고 모세와 같이 홍해를 건너야 합니다. 전진에는 믿음과 용기가 필요합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 광야를 다 건너 가데스까지 왔습니다. 그곳은 바로 가나안이 가까운 곳입니다. 모세는 열 두 지파(支派) 중에서 족장 열 두 사람을 택하여 가나안 복지를 탐정하기 위하여 보냈습니다. 그들이 四十일간을 탐정하고 돌아와 모세에게 보고를 하였습니다. 그때에 여호수아와 갈렙은『그 땅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요 그 열매가 여기 있습니다』고 하면서 둘이서 메고 온 에스켈 골짜기에서 따온 큰 포도송이를 내어놓았습니다『그 백성은 강하고 성곽도 견고한 줄 아나 우리가 곧 올라가 공격하면 능이 이길 수 있습니다. 그러니 곧 올라갑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그런데 다른 열 족장은 보고하기를『그 땅은 거민(居民)을 삼키는 땅이요 그 거민(居民)은 강대하여 우리는 거기에 비하면 메뚜기 같이 보입니다. 우리는 도저히 올라가 점령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못 갑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보고를 들은 이스라엘 백성은 이 다수파의 보고를 듣고 그만 낙심하여 대성통곡하며 애굽으로 돌아가자고 외쳤습니다. 그 결과는 그 때에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으로 전진하여 들어가지 못하고 광야로 되돌아와 三十八년간이나 빙빙 돌았습니다. 그 동안에 애굽을 떠났던 어른들은 광야에서 다 죽고 오직 전진을 주장하던 여호수아와 갈렙 만이 살아서 가나안 복지에 들어갔습니다.
여러분! 기억하십시오. 후퇴는 파멸을 의미합니다. 전진하지 못하는 개인이나 전진 못하는 교회나 전진하지 못하는 나라는 패망하고 맙니다. 오직 전진만이 생의 법칙입니다. 전진은 하나님의 명령입니다. 난관이 있을 지라도 오직 전진하는 이가 승리합니다.
전진하는 그리스도인이 되십시오 사도 바울은 전진하는 하나님의 종이었습니다. 리빙스턴도 흑암(黑暗)대륙을 향하여 용감히 전진하여 위대한 아프리카의 사도가 되었습니다. 옛날 미국의 청교도들도 용감히 전진하여 대서양을 건너 새 대륙에서 교회를 세우고 자유의 나라를 세웠습니다.
교회도 꼭 전진하여야 합니다. 과거 二十五년간의 축복을 돌아만 보지 말고 본 교회도 오직 앞으로 전도, 교육, 봉사 등 모든 방면에 적극적으로 전진해야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첫 지도자 모세가 죽은 후에 새 지도자 여호수아의 영도아래 담대히 요단강을 건너고 전진하여 여리고 성을 함락시키고 전 가나안복지를 쟁취하였습니다. 우리 교회도 이와 같은 축복을 받아야 합니다.
전진하는 그리스도인!
전진하는 교회!
전진하는 나라!
전진하는 세계를 이룩합시다. (一九七二년 二월 二十일)
?-19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이사야 六十장 一-三절)
『일어나 빛을 발하라 이는 네 빛이 이르렀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위에 임하였음이라』(사 六十·一)
一九七三년 새해 첫 주일 아침에 하나님의 크신 축복이 우리 한국 교회와 五천만 우리 동포 위에 충만히 임하시기를 원합니다.
이 새로운 아침에 우리는 어느 사람의 말보다도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하겠습니다. 이미 읽은 이사야 六十장 一절에 하나님께서는 일찍이 예언자 이시야를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이 말씀은 옛날 시온을 향하여 외치신 말씀이십니다. 시온은 교회를 의미합니다. 교회는 집이 아닙니다. 사람이 곧 교회입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성도들의 모임이 곧 교회입니다.『일어나 빛을 발하라』외치심은 곧 우리한국의 모든 믿는 자들을 향하여 일어나서 빛을 발하라는 뜻입니다.
첫째 왜 일어나라고 외치십니까?
이는『네 빛이 이르렀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위에 임하였음이니라.』하셨습니다. 다시 말하면 믿는 자들에게 하늘의 빛이 임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임하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주님은 친히 말씀하시기를『너희는 세상의 빛이니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기우지 못할 것이요』라고 하셨습니다. 그 반면에 이 땅에는 어두움이 덮였고 캄캄함이 아직도 만민을 가리우고 있습니다. 마치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널 때에 이스라엘 편에는 불기둥으로 밝았으나 애굽 편에는 캄캄하였던 것과 같습니다
우리가 사는 二十세기를 우주시대, 혹은 원자시대라고 하나 영적 견지에서 볼 때에 이 지구 위에도 아직도 어두움이 가리우고 있습니다. 그 많은 물질적 지식에도 불구하고 영적으로는 무지의 구름이 가리우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유물론, 혹은 무신론의 캄캄한 구름, 그리고 온갖 죄악의 구름, 곧 음란, 방탕, 시기, 증오, 약탈, 살인, 전쟁의 검은 구름이 덮였습니다. 따라서 인류의 심령 속에는 허무감, 좌절감, 불안감. 공포감, 죄책감, 절망감의 캄캄한 구름이 덮였습니다. 이 캄캄한 구름을 헤칠 참 빛이 어디에 있습니까? 그 것은 시온 위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어나라고 외치십니다. 빛을 발하라고 외치십니다 먼저 이 캄캄한 세상에 진리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우주의 깊은 진리 곧 살아 계신 창조주 하나님을 알지 못합니다. 이 무지는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 대신 온갖 우상을 섬기게 합니다. 문자 그대로 나무와 돌과 금속으로 우상을 만들어 놓고 거기에 절하는 이도 많고 혹은 물질을 우상으로, 혹은 권력을 우상으로, 혹은 정욕을 우상으로, 혹은 인간을 우상으로 섬깁니다. 오직 복음의 진리의 빛만이 이 캄캄한 무지의 구름을 해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온은 일어나 이 슬픔과 죽음의 구름이 덮인 이 세상에 새 생명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 땅은 날로 무덤으로 화하여 갑니다.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꽃과 같아서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집니다. 이렇게 사망의 구름이 덮인 세상에 부활과 생명이 되시는 그리스도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오심은 우리로 하여금 생명을 얻고 더 얻어 풍성하게 하시며 영원한 생명을 주시기 위함입니다. 이 불멸의 생명의 빛을 시온은 밝게 비쳐야 됩니다.
그리고 이 시기와 쟁투와 증오와 살벌의 구름으로 덮인 이 세상에서 시온은 하나님의 사랑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 사랑의 화신입니다. 이 사랑의 육신을 입고 우리와 같이 거하시며 하나님의 사랑을 비추어 주셨습니다. 그 사랑은 죄인을 위하여 십자가위에서 그 몸까지 희생하였습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화평(和平)이 있고 구원이 있습니다. 시온은 일어나 이 사랑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시온은 불의와 부정과 부패의 구름이 덮인 이 세상에서 공의의 빛을 발해야합니다.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이 십니다.『공의를 물 흐르도록 하라고 외치십니다. 사회 혁신의 첫 거름은 사회 정의의 실현입니다. 시온은 일어나 공의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이 세상은 아직도 여러 가지 형태의 구속과 압박의 구름이 덮였습니다. 시온은 일어나 자유의 빛을 발해야합니다.『진리가 너희를 자유(自由)캐 하리라』진리가 있는 곳에 자유가 따릅니다. 주의 신이 있는 곳에 자유가 있습니다. 우리 주님은 눌린 자에게 자유를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그리하여 우리 五천만이 갈망하는 평화통일도 이 자유의 기반 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시온의 불화와 쟁투의 구름이 덮인 세상에서 평화의 빛을 발해야 합니다. 우리 주님은 평화의 왕이 십니다.『하늘에서는 하나님께 영광 땅에는 평화』를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평화,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 인간의 깊은 심령 속에 평화를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온은 낙심과 절망의 구름으로 덮인 이 세상에 빛을 발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안에는 소망이 있습니다.
어떤 이는 말합니다. 인간에게 무슨 소망이 있는 가고 합니다. 인간이 바다에 가면 거기에는 해적이 나타나고 인간이 공중에 가면 거기에는 비행기를 납치하는 공적이 나타나니 인간에 무슨 소망이 있는가? 합니다. 사실 그러합니다. 죄로 타락한 인간 자체에는 소망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안에서는 인간이 새로운 피조물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서는 소망이 있습니다.
시온의 사명은 이 절망의 세계에 이 소망의 빛을 밝게 비쳐야 합니다.
친애하는 성도 여러분! 작년 일년간에 우리 교계에서 일어난 가장 큰 운동은 전군 신자 화 운동일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군목을 통하여 이러한 운동을 일으켜 주신 것은 실로 二十세기의 기적이요 큰 성령의 역사입니다.
성도 여러분! 이 운동은 군데 안에서만 국한 될 것이 아닙니다. 이 신자 화 운동은 모든 방면에 번져야 합니다. 곧 학원에서는 전 학원 신자 화 운동으로, 산업 방면에서는 전 산업인 신자 화 운동으로, 농촌에서는 전 농촌 신자 화 운동으로, 도시에서는 전 도시 신자 화 운동으로, 다시 말하면 이 새해는 군대에서 일어난 이 신자 화 운동이 각 방면에서 일어나야 하겠습니다.
남한에서 사는 우리 국민에게 뿐만 아니라, 전 우리 민족 전체 곧 五천만의 신자 화 운동이 일어나야 하겠습니다.
북한에서도 사실 지금은 어디나 그리스도인들이 다 살고 있습니다. 내가 어디에 있든지 그 곳에서 일어나 빛을 발해야 되겠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은 일제히 일어나 빛을 발하여 이 새해에는 五천만 신자 화 운동이 요원의 불과 같이 삼천리 강산에 일어나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三년 一월 七일)
?-20 죄와 은혜 ( 로마서 五장 十八-二十一절)
『죄가 많은 곳에 은혜가 더 풍성하니』(롬 五·二十)
새 번역에는 이렇게 기록되었습니다.
『그러나 죄가 많은 곳에 은혜가 더 넘치게 되었습니다』여기『죄가 많은 곳에 은혜가 풍성합니다』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런 말씀은 성경 이외의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줄 생각합니다 보통으로는 죄가 많은 곳에 형별이 풍성하다 말할 것입니다.
첫째, 사실 죄와 벌의 원리는 더 뚜렷합니다.『죄와 벌』이란 유명한 소설도 있습니다. 옛날부터 죄는 반드시 벌하였습니다.
주전 약 二一○○년 전에 세워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법전이란 말을 듣는 바벨론 나라의 하무라비 법전을 새긴 그 비문에『죄인은 벌하고 악인을 멸하기 위하여』로 시작됩니다.
그리고『절도와 강도는 사형에 처하고 음란한 계집은 강에 던지라』는 조문들이 나열 되여 있습니다.
오늘날은 어느 나라이나 법률이 더욱 복잡하여졌습니다. 그러나 모든 법조문을 죄와 벌의 두 글자로 요약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아무리 문명한 사회에도 재판소와 감옥이 있고 아무리 야만 사회라도 죄인을 벌하는 규례(規例)가 있습니다. 혹은 눈을 빼며 귀를 베는 만풍(蠻風)도 있었습니다.
사실, 이 좌와 벌의 두 글자는 동서 고금을 물론하고 모든 종교와 성현들의 교훈의 총 대지가 될 것입니다. 불교의 팔만 대장경, 회교의 코란경, 유교의 사서삼경, 그리고 모든 철학자들의 윤리적 교훈도 아마 이 두 글자 곧 죄와 벌이란 말로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우리 기독교의 성경도 이 원리를 가르칩니다. 특별히 구약에 있는 모세의 율법은 그러합니다. 죄에는 값이 있다고, 죄인을 벌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성경은 죄와 벌의 원리만 가르치는 책은 아닙니다. 만일 성경이 이 원리만 가르친다고 하면 우리 인간은 절망에 빠질 것입니다. 왜? 죄 없는 이가 누구입니까? 형벌을 피할 자가 누구입니까? 만일 하나님께서도 꼭『눈은 눈으로 갚고, 귀는 귀로 갚으면』하나님 앞에 설 자가 누구입니까?
감사한 것은 성경은 죄와 벌의 원리도 보여주나 그 이상의 원리를, 그 이상의 진리를 그리스도를 통하여 계시하였습니다. 곧 죄와 은혜의 원리입니다. 죄에는 벌이 있습니다. 그 값은 사망입니다. 그러나 죄가 많은 곳에 은혜가 더욱 풍성케 하셨습니다. 로마서 三장 二十三절 말씀과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범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영광에서 멀리 떠나 있었으나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이루어진 속량을 통하여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함을 얻게 되었습니다
또한 에베소 二장 四절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습니다.
『자비가 풍성하신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사랑으로 허물 가운데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습니다. 여러분이 구원받은 것은 은혜로 된 것입니다』
우리 인간은 다 죄를 지은 죄인입니다. 죄의 값은 사망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다 죄로 말미암아 죽을 것이나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형벌을 받으시고 누구든지 저를 믿는 자는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곧 복음이요, 이것이 곧 죄와 은혜의 복음입니다. 그러므로 요한 복음 三장 十六절에는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누구든지 저를 믿으면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으리라』고 하셨습니다.
유명한 탕자의 비유를 들으신 분들이 많은 줄 생각합니다. 어떤 분이 아들 형제가 있었는데 그 둘째 아들이 아버지에게 재산을 달라하여 그 재산을 가지고 먼 나라에 가서 방탕한 생활로 다 허비하였습니다. 마지막에는 먹을 것이 없게 되니 남의 집에 가서 되지를 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죄와 벌의 원칙입니다. 죄로 말미암아 거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탕자가 자기 잘못을 깨닫고 아버지께로 돌아가니 아버지는 두 팔을 벌려 탕자를 환영하고 모든 죄를 사해주고 다시 아들로 삼았습니다. 이것이 죄와 은혜의 진리입니다. 곧 복음입니다.
마지막으로, 五처만 동포 여러분! 죄가 많은 곳에 은혜가 많습니다. 죄가 많다고 낙심하지 말고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와 예수를 믿으면 과거의 모든 죄를 사함 받고 큰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직 과거를 버리고 하나님께 돌아와 예수를 믿으십시오. 그리하면 새 소망과 새 세계가 열릴 것입니다. (一九七三년 一월 十七일)
?-21 신앙의 태도와 불신의 태도 (민수기 十三장 三十- 三十三절)
『갈렙이 모세 앞에서 백성을 안돈 시켜 가로되 우리가 곧 올라가서 그 땅을 취하자 능이 이기리라』(민 十三·三十)
옛날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데리고 애굽에서 나와 가나인 복지를 향하여 갈 때에 바란 광야 가데스에까지 왔었습니다. 거기서 모세는 한 지파에 하나씩 대표를 뽑아 그 열두 사람을 가나안 땅을 탐정하기 위하여 보냈습니다. 그들은 四十일 간을 허비하며 그 땅을 살피고 돌아와서 모세에게 보고를 하였습니다. 그 대표 열둘 중에 갈렙과 여호수아는『곧 올라가서 그 땅을 취하자. 우리가 능히 이기리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다같이 『올라가서 차지하지 못하리라 그들은 우리보다 강하다. 거기서 우리는 아낙 자손을 보았는데 우리보다 강대하더라 우리는 그들에 비하면 메뚜기 같이 보였다』고 이렇게 주장하였습니다.
꼭 같은 가나안 땅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여기 그 땅에 대한 두 가지 견해와 태도를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올라가서 치자. 그러하면 승리할 수 있다 그리하면 승리 할 수 있다』하는 적극적인 신앙적 태도를 가진 이들이오. 다른 이들은『올라가서 차지하지 못한다. 우리는 할 수 없다』하는 비겁한 불신의 태도를 가진 이들입니다.
우리는 어디서나 이 두 가지 종류의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씨름을 시작하기도 전에 누울 자리부터 보는 이들이 있습니다. 할 수 없다 하는 생각을 너무 많이 하여 그 생각이 잠재의식이 되어 무슨 일이나 당하면 할 수 없게만 보이는 패배주의자들을 만납니다.
물론 여러 가지 핑계는 있습니다. 아낙 자손의 거인들이 있었습니다. 성이 튼튼했습니다. 지금 말로 하면 원수가 강하다, 환경이 불리하다는 여러 가지 뜻일 것입니다.
세상을, 환경을, 흔히 남을 원망합니다. 그러나 그 실상 이유는 자기에게 있습니다. 신념이 없고 용기가 없고, 경륜이 없습니다. 그 속에는 흔히 의심, 공포심, 원망, 그리고 통일성이 없는 내적으로 분열된 인격의 소유자들입니다. 이러한 이들에게 무슨 성공을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가나안 땅을 점령 할 수 없습니다. 그 반면에 우리는 여호수아와 갈렙 같은 인물들을 만납니다. 올라가서 가나안 땅을 쟁취하자는 생의 태도를 가진 이들입니다.
되지 못하고 된 줄로 아는 사람을 말함이 아닙니다. 허풍을 떠는 과대망상증에 걸린 이도 아닙니다. 자기의 약점도 아닙니다 그러나 전능하신 하나님을 의지하는 가운데서 겸손히 하나님의 은혜와 도움으로 무엇이나 옳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믿는 이들입니다. 신앙으로 유혹도 이기고 시련도 이기고 역경도 이기고 승리 적 생활을 하는 이들입니다. 믿음으로 오는 평화, 용기, 신념 가운데서 모든 문제에 대하는 조화된 인격의 소유자들입니다. 모든 위대한 일들은 이런 이들로 이루어 졌습니다.
동포 여러분 누구나 패배주의에서 벗어나 승리 적 생활로 전환 할 수 있습니다. 예수의 말씀을 들으십시오『할 수 있거든 이 무슨 말이냐. 믿는 자에게 능치 못할 것이 없느니라』 『너희가 만일 믿음이 한 겨자씨만큼만 있으면 이 산을 명하여 여기서 저기로 옮기라 하여도 옮길 것이요. 또 너희가 못 할 것이 없느니라』
마태복음 十七장 二十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사도 바울의 말씀을 들으십시오.
『내게 능력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일을 할 수 있느니라』말씀하셨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십리학자 윌리암 제임스(william James) 는 말하기를『믿으라 네 믿음이 장차 사실을 창조하리라』하였습니다. 이는 곧 영적 과학의 원리입니다. 믿으라 그러면 할 수 있습니다. 유혹도 이길 수 있습니다. 역경도 돌파할 수 있습니다. 믿음은 수도관과 비슷합니다. 믿음을 통하여 하늘의 생수가 우리 심령에 흘러내립니다. 믿음은 전선과도 같습니다. 믿음을 통하여 큰 능력 곧 에너지가 우리 심령에 미칩니다.
마지막으로 아무 것이나 믿으면 된다는 말이 아닙니다.
기독교의 제일 큰 원수는 미신입니다. 우주의 창조자이시오 인간의 전 운명을 지배하시는 살아 계신 하나님을 믿어야합니다. 참된 믿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옵니다. 오직 그만이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 되시는 까닭입니다. 오직 그를 통하여서만 참 하나님을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五천만 동포여러분 예수를 믿고 그를 통하여 살아 계신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모든 패배주의를 일소하고 승리 적 생활을 합시다. (一九七三년 一월 二十四 일)
?-22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시편 五十편 七-八절, 十四-十五절)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로다』(시 五十·十五)
『재앙은 티 끝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요 고난은 흙에서 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은
고난을 위하여 났나니 불티가 위로 날음 같으니라』(욥기 五·六-七)
인생이 있는 곳에 환난이 있습니다.
환난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빈부귀천, 유식무식의 분별이 없습니다. 환난은 또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민족적, 국가적, 또는 천재지변이 있습니다. 거리에 다니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으나 한 가지 고통을 가지지 않은 이는 그 수가 적습니다. 또 특별히 환난의 날이 있습니다. 개인 생활에도 환난 날이 있고 민족적 역사에도 환난 날이 있습니다. 과거 일제시대와 六·二五등 사변을 지낸 이들은 이 뜻을 알 것입니다.
시편 五十편 十五절에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환난 날에 하나님을 부르라』하셨습니다. 환난 날에 흔히 원망부터 하는 이가 있습니다. 그것은 환난을 바로 대하는 태도가 아입니다. 또 어떤 이는 낙심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리하여 심지여 자살하는 이도 있습니다. 이것은 물론 환난을 바로 대하는 태도가 아닙니다. 또 어떤 이들은 환난 날에 반항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리하여 자포자기하여 발악하고 심지어 흉악한 죄를 짓는 이들도 있습니다. 물론 이것 역시 그릇된 태도입니다.
여기 하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이런 때에 곧 환난 날에 원망하지 말고 낙심하지도 말고 반항하지도 말고 나를 부르라, 곧 하나님께 나와 부르짖으라고 말씀하십니다. 다시 말하면 환난 날에 눈을 들어 하나님을 앙망(仰望)하며 간절히 기도하라는 뜻입니다.
전에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 있을 때에 바로 왕의 핍박을 받아 말할 수 없는 환난을 당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그리하였더니 하나님께서는 그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위대한 지도자 모세를 보내 그들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압박에서 해방하여 그들을 구원하였습니다.
여기 하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과연 이 말씀과 같이 하나님께서는 건져 주십니다. 옛날과 같이 지금도 환난 날에 부르짖는 이들을 구원하여 줍니다. 우리 한국민족도 일제 三十六년간의 압박 속에서 간절히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그러므로 一九四五년에 우리도 해방을 받은 것입니다. 불행히 우리 북한 동포들은 지금 까지도 공산당 독재하의 자유가 없는 정세아래서 신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난 날에 우라는 또한 하나님께 부르짖어야 합니다. 북한 동포들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 남한에 사는 동포들도 그들을 위하여 간절히 부르짖어야 합니다. 간절히 기도해야 합니다.
환난 날에 낙심하지 말고 기도합시다. 전에 히스기야왕은 병중에서 간절히 기도함으로 그 병의 나음을 얻었습니다. 이 말씀을 듣는 동포 중에 혹 병으로 신음하는 이가 있습니까? 낙심하지 말고 간절히 기도합시다. 이러할 때에 건강이 회복됩니다. 이 말씀을 듣는 이 중에 사업에 실패한 사람이 있습니까? 원망하거나 낙심하지 말고 간절히 기도합시다. 재기의 기회가 옵니다. 이 말씀을 듣는 학생 중에 혹 입학 시험에 낙제한 이가 있습니까? 낙심하지말고 기도하며 더욱 새로운 용기를 얻어 힘써 공부합시다. 진학의 길이 열립니다.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이 말씀 다음에 하나님은 계속하여 말씀하시기를,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라』하셨습니다. 자세히 들읍시다.
여러분의 현재에 당하는 환난이 오히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환난 가운데도 낙심하지 아니하고, 원망하지 아니하고, 방황하지 아니하고, 예수를 믿고 하나님을 의지하고 간절히 기도하며 힘써 나아가면 하나님께서는 여러분의 기도를 응답하실 뿐더러 여러분의 간구(懇求)를 기대이상으로 주셔서 전화위복이 되게 하십니다. 환난이 변하여 축복이 됩니다. 이것이 성경의 교훈이요, 과거 모든 참된 성도의 체험이요, 부족하나마 이 말을 하는 내 자신의 경험이기도합니다.
사랑하는 五천만 동포 여러분! 북한에서 신음하는 동포 여러분! 남한에서 여러 가지 가난과 고독과, 병고와, 역경에서 헤매는 동포 여러분! 이 하나님의 음성을 분명히 들으십시오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라』
(一九七三년 一월 三十일)
?-23 낙망하는 이에게 (시편 四十二편 五절)
『내 영혼아 어찌하여 낙망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하여 하는고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그 얼굴의 도우심을 인하여 내가 오히려 찬송하리로다』(시 四十二·五)
낙망하는 영혼이 혹 있습니까? 또는 불안 중에 쌓인 이가 혹 게십니까? 어떤 이는 거의 매일같이 습관적으로 이런 기분에 사는 이도 있습니다. 또 누구나 일시적으로 낙망과 불안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이 성경 말씀을 분명히 들으십시오,『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그 얼굴의 도우심을 인하여 내가 오히려 찬송하리로다』상습적으로 낙망, 불안, 우울한 기분 속에 사는 이들이야말로 실로 불행합니다. 그러나 모든 일에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어떤 이는 냉정한 세상 곧 사랑이 없는 분위기 속에서 오래 살게 될 때에 부지중에 이러한 기분이 조성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이는 일찍이 부모를 여윈다던가 혹은 부모가 있어도 사랑을 못 받는 환경에서 자라나는 이가 적지 않습니다. 꽃은 햇빛아래서야 아름답게 피어납니다. 사과도 같은 양기를 잘 받아야 아름답게 익습니다. 인간의 심령도 사랑의 햇빛아래서만 명랑하게 쾌활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영혼의 햇빛이십니다. 그러므로 옛 시인은『여호와는 나의 빛이시오 나의 구원이시다』노래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의 햇빛입니다. 이 사랑의 햇빛은 그 아들 예수를 통하여 비치셨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에『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말하셨습니다.
우리가 예수를 믿음으로 이 사랑의 햇빛을 받을 때에 우리의 심령은 명랑하여지고 아름다워집니다. 기쁨과 평화가 마음에 사무치게 됩니다.
둘째, 또 어떤 이는 심령에 깊은 상처를 입고 위로를 받지 못하는 중에 침울한 비관적인 기분에 빠지게 됩니다.
사랑하는 이를 영원히 이별하였다던가 혹은 친구의 배신 또는 청년시대에 특별히 실연 등으로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는 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육체의 상처를 입을 때에 곧 치료가 필요한 것처럼 마음의 상처도 역시 정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정신적 위로가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의 상처는 결국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은 불행을 가져옵니다. 질병의 약 七할이 그 근원은 심리적 원인에 있다고 현대 의학은 지적합니다. 신경쇠약, 노이로제 심하면 심지어 극도로 비관하여 자학행위에 까지 이릅니다.
여러분! 상한 심령은 꼭 영적 위로를 받아야 합니다. 심령의 의사가 꼭 필요합니다. 『하나님을 바라라』 하나님께서 그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이렇게 상한 심령을 치료하시기 위함입니다. 우리 주님은 상한 갈대도 꺽지 아니합니다. 꺼져 가는 등불도 끄지 아니하십니다. 주님은 외치셨습니다.『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음에 어떠한 상처를 입었던지 예수께서 나와 그의 품에 안기는 심령은 다 치료를 받습니다. 평화를 회복합니다.
셋째로, 어떤 이들은 범죄로 인하여 고의로 혹은 부지중에 죄를 지었음을 불구하고 과거의 숨은 죄로 인하여 항상 불안과 낙망에 빠지는 이들이 있습니다. 죄는 일시적으로 혹 숨길 수 있으나 항상 숨길 수는 없습니다. 더욱이 양심을 속일 수 없고 하나님을 속일 수는 없습니다. 자기의 눈앞에는 그 추악한 죄가 늘 나타납니다 여기에 남 모르는 고민, 불안, 공포심이 생깁니다. 죄는 사함을 받아야 삽니다. 죄의 값은 사망입니다.
감사한 것은 예수 님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의인을 부르려 오신 것이 아니 요 죄인을 부르려 오셨습니다. 만민의 죄를 십자가 위에서 대신 죽으시고 속죄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지금은 누구든지 비록 살인 강도라도 회개하고 십자가를 붙들면 죄 사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죄 짐에 눌린 낙망하는 심령들이 있습니까? 낙심하지 맙시다. 실망하지 맙시다. 오직 죄인의 구주가 되시는 예수께 나옵시다. 그 앞에 나아와 과거의 모든 죄를 자복(自服)하고, 회개하고, 그를 믿고 그에게 전 심령을 맡기십시다. 그려하면 죄 사함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곧 마음의 자유와 평화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명랑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여러분의 심령이 어떠한 자리에 있든지 아무리 사람이 보기에는 절망같이 보이나 예수께 나오면 새 희망을 얻을 수 있습니다. (一九七三년 二월 八일)
?-24 회개 (마태복음 三장 一-三절)
『회계하라 천국이 가까웠느니라』(마三·二)
때는 주후 二十七·八년경이었습니다. 유대광야에는 몸에는 약대 털옷을 입고 허리에는 가죽띠를 띤 선지자가 나타났습니다. 그는 소리를 높여 외쳤습니다.『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우니라』그는 메시야의 선구자 세례 요한이었습니다. 옛 시대는 거이 지나가고 새 시대가 가까웠으니, 회개하라고 외친 것입니다.
첫째로, 회개란 무엇입니까?
먼저 회개인 듯 하나 실상은 회개가 아닌 것들이 있습니다. 가령 단순히 죄를 지은 후에 두려워하는 마음입니다. 전에 애굽 왕 바로가 재앙이 임할 때에 하나님을 두려워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 그 마음이 더 강퍅하여졌고 죄를 회개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우리가 혹 위험한 일을 당할 때에 두려워하지마는 사실 과거의 죄를 중심으로 회개치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 단순한 회개도 그러합니다. 죄를 지은 후에 섭섭해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슬퍼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마음만은 회개가 아닙니다. 죄를 짓고 교도소에 가는 이들도 그 대부분은 후회는 하는 줄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회개는 아닙니다. 가로 유다도 범죄 한 후에 후회는 하였습니다. 그러나 회개는 하지 못하였습니다.
둘째로, 참 회개란 무엇입니까?
그것은 글자 뜻대로 뉘우칠 뿐더러 온전히 고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의 죄에서 온전히 떠나 돌아서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음이 온전히 변하여야 합니다. 개과 천선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탕자의 비유를 잘 압니다. 탕자인 그 둘째아들이 아버지의 재산을 받아 가지고 멀리 외국에 가서 방탕한 생활로 전 재산을 탕진한 후에 물론 그는 마음이 섭섭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마음만은 회개는 아니었습니다. 더욱이 그 나라에 큰 흉년으로 말미암아 먹을 것이 없어 돼지 먹는 것을 나누어 먹을 수밖에 없을 때에 그의 마음은 매우 슬펐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슬픈 마음도 회개는 아니었습니다. 그러다가 그가 이와 같은 처지에 빠진 것이 자기의 죄의 결과요. 이제라도 아버지께로 돌아오면 소망이 있을 것을 깨닫고 그 자리에서 곧 일어나 아버지의 집으로 향하여 돌아 왔습니다. 이것이 곧 회개입니다.
우리 인간의 영적 형편이 이 탕자와 비슷합니다. 하나님 아버지를 멀리 떠나 죄를 지었음으로 온갖 불행과 비참한 처지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다 우리의 죄의 결과임을 깨닫고 그 자리에서 떠나 하나님께 돌아오는 것이 참 회개입니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는 자기의 신앙 체험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나는 마치 길을 가든 사람이 그 방향이 그릇된 것을 깨닫고 돌아서서 가는 사람과 같다. 전에 좋아하든 것이 싫어졌고 전에 싫어하든 것을 오히려 좋아하게 되었다』했습니다. 요새 말로 표현하면 그의 심정이 백 팔십 도로 전환되었습니다. 이것이 참회개입니다.
셋째는, 세례 요한은 계속하여 외칩니다.
『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어 불에 던 지우리라』.
우리 인간 하나하나는 과원에 심은 나무와 같습니다. 나무를 심은 것은 목적이 있습니다. 곧 좋은 열매를 맺으라는 것입니다. 만일 어떤 나무가 악한 열매를 계속하여 맺으면 그 나무는 반드시 찍힐 날이 있다는 엄숙한 진리를 세례 요한은 여기서 경고합니다.
이것은 개인도 그러하고 단체도 그러합니다. 한 나라도 그러합니다. 회개하지 아니하면 찍힐 날이 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요한 은 계속하여 외칩니다.『 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곡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여기서 심판의 때가 올 것을 또한 경고합니다. 죄는 회개하여야합니다. 죄에는 반드시 값이 있습니다. 그 값은 결국 사망입니다.
감사한 것은 예수 님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죄인을 불러 구원하러 오셨습니다. 아무리 중한 죄를 지었어도 회개하고 주를 믿는 이는 죄 사함을 받습니다. 구원을 얻습니다. 천국에 들어갈 수가 있습니다. 금생(今生)과 내생에 축복을 받습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금년은 은혜의 해입니다. 빌리 그레함 전도대회가 열리는 해입니다. 지금은 은혜 주실 때요, 지금은 구원의 날입니다. 회개하고 주께 돌아오십시오. 구원의 하나님은 여러분의 심령을 기다리고 계십니다. (一九七三년 二월 十五일)
?-25 베다니 마리아의 신앙 (요한 복음 十二장 一-八)
『마리아는 지극히 비싼 향유 곧 순전한 나드 한 근을 가져다가 예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의 발을 씻으니 향유냄새가 방에 가득하더라』(요 十二·三)
마리아는 유대 중에 매우 흔한 여자 이름입니다. 신약 중에 마리아란 이름을 가진 여성이 여섯 사람이나 됩니다. 예수 님의 어머니 마리아, 막달라 마리아, 베다니 마리아,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 로마교회의 신도 마리아 들이 있습니다. 이 시간 특별히 베다니 마리아의 신앙에 대하여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 누가복음 十장 三十八절 이하를 읽으면 예수 님께서 베다니에 있는 마르다와 마리아 의 집에 들려서 된 일을 기록하였습니다. 마르다는 주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준비하기에 바빴습니다. 그러나 마리아는 예수 님 발 앞에서 그의 말씀을 조용히 듣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마리아는 주님의 말씀을 듣고 배우기를 힘쓴 분입니다. 일도 필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우리는 성경을 배우고 공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해야 일을 바로 할 수 있고 일을 더 잘할 수 있습니다. 남을 가르치려고 하기 전에 내가 먼저 배우는 것은 매우 귀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무리 바빠도 성경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고 형편을 따라서 성경통신과나 혹은 성경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나, 또 여기 앉은 신학생과 같이 신학을 공부하는 것은 매우 필요합니다. 우리는 먼저 마리아에게 배우는 신앙을 본 받으십시다.
둘째로, 마르다는 자기를 돕지 아니하고 주의 말씀만을 듣는 마리아에게 대하여 섭섭히 생각하고 예수께 나아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지 아니하시나이까, 저를 명하여 나를 도와 주라 하소서』그러나 주님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습니다.『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그러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말씀 하셨습니다. 여러분 마리아는 좋은 편을 택할 줄 압니다. 보다 더 나은 것을 택할 줄 아는 것은 실로 귀합니다. 마리아는 선한 것을 택할 줄 아는 영적 통찰력이 있는 신앙을 가졌습니다. 가정에서나 교화에서나 보다 더 선한 것을 택할 줄 아는 지혜는 실로 귀합니다. 우리도 다 이 신앙을 본받아 무슨 일을 당할 때나 옳은 것을 택할 줄 아는 은혜를 받기 바랍니다.
셋째는, 요한 복음 十一장을 읽으면 거기에는 나사로가 병들어 죽었고 죽은지 나흘만에 예수 님께서 베다니에 오실 때에 예수 님을 맞는 마르다와 마리아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르다는 소식을 듣자 곧 뛰어나가 예수 님을 맞으며 나사로의 죽음을 탄식하였습니다. 마리아는 그냥 앉았다가 주님이 마리아를 부른다는 소식을 듣고 예수 님 앞에 나가 엎디어 절하고『주께서 여기 계셨다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 하였겠나이다』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마리아의 모습은 이 큰 슬픔 가운데서도 당황하지 아니하고 오직 고요히 만사를 주님께 맡기는 신앙의 태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큰 슬픔, 사랑하는 이의 죽음 앞에서도 그저 만사를 주님께 맡기며 주님 안에서 소망이 있는 줄 알고 의지하는 신앙은 실로 귀합니다. 우리는 어떠한 어려움, 어떠한 고통, 아무리 큰 슬픔 안에서도 모든 것을 주님께 맡기고 주님을 의지하는 이 마리아의 신앙을 본 받읍시다.
넷째는, 오늘 아침 읽은 요한 복음 十二장에는 베다니 시몬의 집에서 주님을 위하여 잔치를 할 때에 마리아는 지극히 비싼 향유, 곧 순전한 나드 한 근을 가져다가 예수 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의 발을 씻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가롯 유다의 말이 이 향유를 팔면 三백 데나리온을 받겠다고 하였습니다. 한 데나리온은 당시에 보통 일꾼이 종일 일하고 받는 임금입니다. 만일 마리아가 바느질을 하여 이 향유를 샀다고 하면 三백일간, 곧 거의 일년을 허비하였을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마리아는 자기에게 있는 전부를 그리스도에게 바친 것입니다. 이 행동은 마리아가 그리스도를 얼마나 사랑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참 사랑에는 타산이 없습니다. 그저 모든 것을 바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전적 헌신의 신앙을 볼 수 있습니다. 머리털로 발을 씻었다고 합니다. 여자의 머리털은 생명의 상징입니다. 그 생명 전채를 바쳤습니다. 그는 이렇게 함으로 주님을 만 왕의 왕으로 기름을 부어 높였으며 또한 그 장사를 예비하여 불멸의 주이심을 만세에 증거 허였습니다. 아니 마리아의 신앙의 향기는 온 세계에 가득하고 오늘 날 까지 계속하는 불멸의 신앙의 향기입니다. 이 마리아의 신앙을 본 받읍시다.
마지막으로 다시 기억하세요, 마리아는 주님께 항상 배우는 신앙을 가졌습니다. 마리아는 가장 선한 것을 택할 줄 아는 지혜로운 신앙을 가졌습니다. 마리아는 아무리 어려운 일을 당하여도 만사를 주님께 맡기고 주님께 소망을 두는 신앙을 가졌습니다. 또한 마리아는 생명 전체, 전적 헌신의 신앙을 가졌습니다.
금번 우리 신학교를 졸업하는 학생들도 마리아의 이 불멸의 신앙을 소유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은 어디를 가든지 이 불멸의 향기로 집안을 채우고 온 교회를 채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三년 二월 二十六일 영락 여자 신학교 졸업 설교)
?-26 신앙생활과 협동 (출애굽기 十七장 八- 十三절)
『모세의 팔이 피곤함에 그 들이 돌을 가져다가 모세의 아래에 놓아 그로 그 위에 앉게 하고 아론과 홀이 하나는 이편에서 하나는 저편에서 모세의 손을 붙들어 올렸더니 그 손이 해가 지도록 내려오지 아니한지라』(출 十七·十二)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여 가나안 복지를 향하여 나아갈 때에 아말렉사람들이 그들의 길을 막으며 싸우기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때에 모세는 여호수아로 하여금 청년들을 인솔하고 나아가 싸우게 하는 동시에 모세는 높은 산꼭대기에 올라 손을 들어 기도를 하였습니다.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겼다고 하였습니다. 모세의 팔이 피곤하여지매 돌을 가져다가 모세를 그 위에 앉게 하고 아론과 홀이 좌우편애서 모세의 손을 붙들어주니 큰 승리를 얻었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에 협동하여 승리를 얻은 역사적 사실이 있습니다. 여호수아와 청년들은 실제로 대적과 싸우고 모세는 그들을 위하여 쉬지 않고 기도하였으며 아론과 홀은 기도하는 모세를 또한 도왔습니다. 여기에 인간과 인간의 협동이 있고 또 하나님과 인간의 협동이 있습니다. 그 결과는 위대한 승리입니다
첫째, 협동은 우주의 대원리입니다.
천문학을 깊이 연구하지 않고도 천체가 어떻게 운행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달은 지구를 돌고 지구는 태양을 돕니다. 이 우주는 모든 천체들의 협동가운데서 그 질서가 유지됩니다.
대자연계에서도 우리는 이 협동의 원칙을 발견합니다. 동물은 식물이 필요하고 식물은 동물이 필요합니다. 동물이 배출하는 탄산가스는 식물에게 탄소를 공급하고 식물이 배출하는 산소는 동물에게 절대로 필요합니다. 서로 협동하는 가운데 식물도 자라고 동물도 살아 납니다. 동물의 배설물은 식물의 좋은 비료가 되고 또한 식물은 동물의 식료품이 됩니다. 꽃은 벌과 나비들에게 꿀을 주고 또 벌과 나비들은 꽃으로 하여금 화분을 중계하여 열매를 맺게 합니다. 대자연계는 협동으로 이루어집니다.
둘째, 협동은 생의 법칙입니다.
성경은, 몸은 하나이나 지체는 여럿이 있음을 지적하고 가르칩니다. 이 지체는 각각 다릅니다. 귀와 눈이 다릅니다. 손과 발이 다릅니다. 입과 위가 다릅니다. 그러나 이 모든 지체들이 서로 협동하는 가운데서 몸이 살아갑니다. 만일 한 지체라도 협동하지 않고 그 기능을 포기하면 몸은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고 죽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협동은 생의 법칙이요 생명의 절대불가결의 요소입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생명 있는 유기체입니다. 교회 안의 여러 지체도 각각 다릅니다. 그러나 서로 협동하는 가운데 교회 생명은 유지되고 발전됩니다. 주님은『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하는 의미심장한 말씀을 주셨습니다.
셋째, 협동이 있는 곳에 큰 힘이 생깁니다.
적은 물방울이 합하여 태평양 바다 가 됩니다. 큰 기선이나 군함도 뜰 수가 있습니다. 적은 티끌이 합하여 태산이 됩니다. 모이는 곳에 힘이 생기고 협동하는 곳에 큰 능력이 나타납니다. 더욱이 사람과 사람이 서로 합하여 협동하고 하나님께서 협동하실 때에 이루지 못 할 일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권합니다.『성령이 하나되게 하신 것을 굳게 지키라』또한『같은 마음과 같은 뜻으로 온전히 합하라』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도는 하나님과 인간의 협동, 또 인간과 인간의 협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우리가 합심하여 기도할 때에 이 협동은 문자그대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큰 승리로 나타날 것입니다. 바라기는 금번 빌리 그레함(Billy Graham) 전도대회를 통하여 전 한국 그리스도인의 협동과 단결이 과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협동이 있는 곳에 하나님의 크신 능력이 나타나서 큰 승리를 거둘 수 있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一九七三년 三월 二十八일)
?-27 반석 위에 세운 교회 (마태복음 十六장 十三-二十절)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 十六·十六)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마 十六·十八)
여기 반석이란 말은 베드로의 신앙을 가리킴입니다. 주님을 그리스도로 믿고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로 믿는 신앙을 의미합니다. 예수는 과연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이 질리 위에 세운 교회는 음부의 권세가, 곧 악의 권세가 이기지 못할 것을 우리 주님은 미리 말씀하신 것입니다.
지금부터 二千년 전 아득한 옛날 가이사라 빌립보 근방에서 적은 무리, 대부분 갈릴리어민과 농민으로 구성된 제자들에게 하신 이 말씀은 과거 二千을 통하여 이대로 이루어진 것을 생각할 때에 실로 놀라운 일입니다.
첫째는, 하나님의 교회가 예루살렘 한 모퉁이에서 일어날 때에 당시 유대사회의 지도층이던 바리세인, 제사장 등을 중심으로 이런 교회를 맹렬히 공격하여 온갖 권세로 핍박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들의 이름을 더 들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오직 그리스도의 교회만은 전세계에 건재합니다. 왜냐 하면 교회는 진리의 반석 위에 세워진 까닭입니다.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였습니다.
둘째는, 기독교가 로마제국에 확포(擴布)될 때에 역시 바로 황제를 비롯하여 당시의 정치가, 철학가, 문필가, 종교가, 세속주의자 등이 총동원하여 기독교를 핍박하고 혹은 화형에 처하며 혹은 원형극장에서 주린 사자들에게 던지는 등 온갖 악랄한 수단으로 기독교도들을 학살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늘 로마 시에 가보면 옛날 로마제국의 그 권세와 영광은 오직 무너지다 남은 원형극장의 잔해가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십자가를 높이 세운 교회당만은 전 로마 시를 위압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주후(主後) 四~五세기에는 중앙 아시아 민족들이 전 유럽을 공략할 때에 교회는 문자그대로 풍전등화(風前燈火)이었습니다. 그러나 결국은 이 민족들도 마침내 교회에 굴복하고 말았습니다. 그리고 주후 七세기 이후로 중고시대에 이르기까지 회회교의 발흥으로 근동일대는 물론 북 아프리카 심지어 서반아까지 그들에게 점령을 당하였으나 그러나 지금에는 다시 극동 일대와 회회교나라에도 선교사들이 새 교회들을 세우는 중입니다.
그뿐 아닙니다 주후 十四~十五세기까지 소위 문예부흥시대와 十七~十八세기, 소위 계몽시대에는 소위 합리주의자들이 많이 일어나 교회를 공격하였으며 당시 저명한 문필가 볼태아 같은 이는 소위 기독교의 황혼기를 호언장담으로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바로 그 말을 한 방이 그후에 성서를 출판하는 사무실로 변하였다는 하는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합니다. 왜 이렇게 됩니까? 교회는 진리 위에 반석같이 세워진 까닭입니다. 때문에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합니다.
셋째는, 우리가 사는 이 二十세기에 접어들면 서는 무신론과 유물론을 중심 한 공산당이 일어나 종교는 아편이라는 표어를 내걸고 교회를 맹렬히 공격하기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공격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중입니다. 사실 이 핍박으로 말미암아 소위 철의 장막 배후에는 많은 성도들이 순교의 피를 흘렸으며, 특별히 북한 같은 곳은 오직 지하교회만 남았을 뿐입니다. 그러나 이 투쟁의 결과는 어떻게 되겠습니까?
성경과 역사는 분명히 선언합니다.『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왜냐하면 교회는 진리의 반석 위 곧 그리스도 위에 세워진 까닭입니다.
동해의 파도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나 금강산 일만 이천 봉은 고금이 여일 합니다. 왜냐하면 반석인 까닭입니다. 교회는 하늘의 식민지입니다. 바다에 떠 있는 빙산과 비슷합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이 몇 배나 더 큽니다. 땅의 세력이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교회는 모세가 본 불붙는 가시덤불과 같습니다 아무리 타나 없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핍박과 환난이 많을수록 더 빛이 납니다.
요한계시록을 보면 붉은 용, 흉악한 짐승이 나타나 어린양을 대적하여 싸웁니다. 그러나 마지막에는 멸망을 받고 맙니다. 음부의 권세가 시대를 따라, 혹은 거짓 종교로, 혹은 군국주의로, 혹은 거짓사상으로, 혹은 악한 사회제도로 나타나 교회를 핍박합니다. 그러나 음부의 권세는 결국 망하고 맙니다, 이기지 못합니다.
만세반석 위에 세운 교회는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一九七三년 四월 十五일)
?-28 인간과 그 시력 (고린도 후서 四장 十八절)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고후 四·八)
인간의 오관(五官)중 눈이 가장 보배입니다. 옛 날부터「百聞不如一見」이란 말이 있습니다. 한번 보는 것이 백 번 듣는 것 보다 낫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특별히 요즈음은 시청각 교육에 치중합니다. 또한 텔레비전의 영향이 큽니다.
첫째, 사실 인간생활은 그 시력여하에 큰 관계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선택이 바로 보는 데서 오는 까닭입니다.
옛날 에서는 붉은 팥죽만 보고 장자의 명분을 보지 못 하였습니다. 옛날 롯은 소돔과 고모라 근처에 푸른 풀만 보고 소돔사람들의 죄악은 보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그곳을 택하여 갔다가 큰 참화를 입었습니다. 옛날 유다는 은 三十냥만 보고 예수를 팔았습니다. 무엇을 바로 보고 못 보는 것은 일생의 흥망의 열쇠가 됩니다.
둘째, 바로 보려면 보이는 것만 돌아보지 말고 보이지 않는 것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모순되는 듯 하나 진리입니다. 물질 중에도 보이는 것이 있고 보이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물 한잔을 육안으로 보면 맑고 깨끗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현미경으로 보면 흔히 여러 가지 작은 세균들이 있습니다. 사람이 보이지 않는 것을 보기 시작한 때부터 병을 고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원자니, 양자니, 전자니 하는 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을 보기 시작한 때부터 원자 시대가 되었습니다. 가까운데 있는 것은 보이나 먼데 있는 것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먼 곳에 있는 것도 볼 줄 알아야합니다.
겉은 보이나 속은 보이지 않습니다. 사람 보는 데도 겉만 보면 실수하기 쉽습니다.
「미인이란 가죽 만치 두껍다」하는 서양 속담도 있습니다. 현재는 보이나 장래는 안 보입니다. 그러나 장래도 미리 볼 줄 알아야 옳게 살 수 있습니다. 물질의 세계는 보이나 영적인 세계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적 세계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세상나라는 보이나 하나님나라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나라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현세는 보이나 내세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천당과 지옥도 미리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셋째, 모든 것을 바로 보는 근본적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로는, 새사람이 되어 눈이 밝아져야 합니다. 새로워져야 합니다. 주님은 친히 말씀하셨습니다.『사람이 거듭나지 않으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느니라』또한 말씀하시기를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하셨습니다. 참으로 중생 하는 마음과 눈이 새로워져야 모든 것을 바로 보고 또 신령한 존재까지 볼 수 있습니다.
둘째로는, 이사야서에『너는 높은 산에 오르라』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높은 산에 올라 넓은 시야로서 모든 것을 보아야 모든 것을 바로 살핍니다. 고상한 영적 수준에서야 만사를 바로 봅니다. 성결(聖潔), 의, 진실, 양심, 공명정대(公明正大)의 견지에서 모든 것을 볼 줄 알아야합니다. 그러므로 거듭 날뿐 아니라 인격의 영적 장성이 필요합니다.
셋째로는, 영적 망원경이 필요합니다.
성경에『믿음은 바라는 것에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의 증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모세는 믿음으로 애굽을 떠나 바로의 노함을 무서워 아니하고 곧 보이지 아니하는 자를 보는 것 같이 하여 모든 것을 참으며 그 백성을 구원해 냈습니다. 그는 말하자면 믿음의 망원경으로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을 분명히 보고 담대히 그 뜻에 순종하며 그 사명을 다하였습니다. 아브라함도, 이삭도, 야곱도, 요셉도 모든 선지자들이 믿음으로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을 보고 보이지 아니하는 미래를 보고 용감히 거칠고 죄악 많은 세상을 헤치며 나아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五천만 동포 여러분, 내 발 앞에 있는 것만 보지 맙시다. 당장(當場)의 적은 이익, 적은 명예, 적은 권세, 적은 쾌락만 보지 맙시다. 보이지 않는 진리와 생명과 대의와 영원의 세계를 보면서 살아야합니다. 그 길은 참으로 진리가 되시고 생명이 되시는 그리스도를 따르는데 있습니다.
모든 것을 바로 봅시다. 멀리 봅시다. 그리고 깊이 봅시다. 밝은 눈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一九七三년 四월 二十六일)
?-29 큰 믿음 (마태복음 十五장 二十一-二十八절)
『이에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여자야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마 十五·二十八)
한 번은 가나안 여자 하나가 예수를 따라오며『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凶惡)히 귀신 들렸나이다』하고 부르짖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제자들이 와서 그 여자가 우리 뒤에서 소리를 지르니 어떻게 속히 보내도록 하시라고 말씀하였습니다. 그 때에 주님은『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을 위하여 보내심을 받았노라』하시며 돌아보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여자는 예수 님 앞에 나아와 절을 하면서 도와달라고 애원하였습니다. 뜻밖에도 그때에 우리 주님은『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여자는 곧 대답하는 말이『주여 옳습니다 만은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대답하였습니다. 이 말을 듣고 우리 주님은『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하고 칭찬하였습니다. 그 소원대로 되었습니다.
첫째는, 여기 믿음이 크다는 칭찬을 받은 여자가 있습니다. 가버나움의 한 백부장도 믿음이 크다는 칭찬을 주님께 받은 일이 있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믿음이 적다고 꾸지람을 들은 이들도 있습니다. 가령 한 번은 제자들이 갈릴리 바다를 건너갈 때에 주님의 말씀이『왜 두려워하느냐 미음이 적은 자여』말씀 하셨습니다. 역시 갈릴리 바다에서 주님께서 물위로 걸어오실 때에 베드로가 주님을 향하여 걸어오다가 물결을 보고 두려워하여 빠져 들어가매 예수께서 손을 내밀어 건지면서『왜 무서워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여』꾸지람하였습니다. 이 제자들이 믿음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다 믿음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믿음은 너무 적었습니다. 그리하여 신앙생활은 하기는 하나 늘 두려워하고 근심하고 의심도 한 것입니다. 우리의 믿음은 어떠합니까? 혹은 적은 믿음을 가졌습니까?
둘째로는, 여러분, 우리는 큰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 세상은 갈리리 바다와 같이 때때로 풍파가 높습니다. 때로는 환난, 질고, 고통, 상심, 슬픔 등이 파도가 우리에게 부딪칩니다. 큰 믿음을 가져야 이런 인간 고해를 담대히, 완전히 승리 적으로 건널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앙에는 위대한 신앙이 요구됩니다. 또 이러한 신앙을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다 가지기를 원하십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는 여러 가지 종류들의 원수가 있습니다. 유혹과 핍박과 온갖 시련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무신론자들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많은 시대입니다. 우리의 심령을 타락케 하는 온갖 형태의 세속주의, 향락주의, 퇴폐풍조가 우리를 에워싸고 있습니다. 성경에 보면 믿음은 방패라고 하였습니다. 이 믿음의 방패로 이 모든 악마의 화전을 소멸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에 큰 방패가 필요합니다, 작은 방패는 안됩니다. 큰 믿음의 방패로 이 모든 악마의 공격을 막아내야 합니다. 큰 믿음의 방패를 가집시다.
셋째는. 그 뿐만 아닙니다. 큰 믿음으로라야 큰 일을 합니다. 큰 믿음을 가진 이들만 위대한 일을 경영도하고 또한 위대한 일을 성취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일찍이『네 믿음대로 되어라』말씀하였습니다. 큰 일을 이룹니다. 적은 믿음으로는 적은 일 밖에 할 수 없습니다.
五천만 동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일은 큰 일입니다. 큰 믿음을 가지고야 이런 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큰 믿음을 가진 이들만 이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이십니다. 하나님은 전능하십니다. 전능하신 능력이 우리를 도옵니다.『내게 능력을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사도 바울은 외쳤습니다.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이 큰 일은 오직 위대한 신앙으로만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달에 있는 빌리 그fp함(Billy Graham) 전도대회를 위대한 신앙을 가지고 기도하고, 몸소 일하고, 물질을 바치고, 노력하여야 하겠습니다. (一九七三년 五월 四일)
?-30 기독교 가정의 축복 (사도행전 十六장 二十九-三十四절)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행 十六·三十一)
『저와 온 집이 하나님을 믿음으로 크게 기뻐하느니라』(행 十六·三十四)
五월은 아름다운 달입니다. 꽃이 피고 새 싹과 잎으로 산과 들이 푸르게 단장됩니다. 그리고 자난 주간에는 우리 가정의 꽃인 어린이날 또 우리 가정의 주인 어머니날 혹은 어버이날을 또한 가졌습니다. 이렇게 이 달에는 특별히 가정을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가 가정을 생각 할 때에는 어딘가 우리 가슴속에 따스한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첫째, 사실 가정이야말로 사랑의 복음자리입니다. 가정을 생각할 때에는 사랑을 느끼게 됩니다. 어머니의 사랑. 아버지의사랑, 형제의 사랑. 부부간의 사랑, 이렇게 가정은 사랑의 결정입니다. 사랑으로 모였고 사랑으로 살고 사랑으로 먹고 마시는 곳입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밤이나 낮이나 그저 사랑을 주고받는 곳이 가정입니다.
둘째, 가정은 실로 평화의 복음자리입니다. 피곤한 몸과 시달린 심령이 고요히 쉬는 곳입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평화가 따릅니다. 그것은 고린도 전서 十三장에 기록된 대로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한 까닭입니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습니다. 교만하지 않습니다. 무례히 행치 않습니다. 자기 이익을 구치 않습니다. 성내지 않습니다. 모든 것을 덮어 줍니다. 모든 것을 믿습니다. 모든 것을 바랍니다. 모든 것을 견딥니다. 그러므로 가정은 육신과 영혼의 안식처입니다.
잔잔한 항구와도 비슷합니다. 넓은 바다의 물결은 높으나 항구 안에는 언제나 잔잔한 것과 같습니다. 그리하여 이 거 칠은 세상에서 시달리던 인간이 가정에 들어와서 평안히 쉴 수가 있습니다.
셋째, 그리스도의 가정이야말로 행복의 보금자리입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행복이 있습니다. 평화가 잇는 곳에 행복이 있습니다. 서로 아끼고 돕는 가운데 행복이 있습니다. 같이 웃고 같이 우는 데 행복이 있습니다. 어린이들을 기르고 가르치는데 행복이 있습니다. 부모님들을 봉양하는데 또한 행복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가정은 지상의 낙원』이라 하는 말이 있고 서양에는 흔히 스위트 홈(Sweet Home)이란 말을 합니다. 가정은 말만 들어도 행복스럽고 생각만 해도 행복스럽습니다.
넷째, 이 말씀을 듣는 여러분! 여러분의 가정이 과연 이러합니까? 과연 사랑의 복음자리 입니까? 평화의 안식처입니까? 간단없는 행복의 원천입니까, 제가 바라기는 다 이런 가정이기를 기원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는 이렇지 못한 가정도 있을까하여 조금 염려가 됩니다. 왜 가정이 그렇지 못할까? 물론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한 마디로 말해서 불행한 가정의 한 원인은 결국 가정을 구성하는 인간관계의 부족함과 약함에 있는 것입니다. 가정을 구성하는 가운데 혹은 남편, 혹은 아내, 혹은 자녀가 실수를 하고 범죄를 범하고 쓰러질 때에 그 가정에는 고통과 풍파와 온갖 비극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오늘 읽은 성경의 말씀가운데『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가정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였습니다.『그들이 하나님을 믿었음으로 온 가정이 크게 기뻐 하니라』곧 행복 되니라하는 말씀도 있습니다.
여러분! 우리 가정이 예수를 믿고 구원을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참으로 행복 된 가정이 됩니다. 우리 가정을 경건하게 하고 성스럽게 하는 신앙이 필요합니다. 모든 환난과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신앙이 필요합니다. 인간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우리 가정 위에 하나님의 축복이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가정에 임해야 온전한 사랑의 가정이 됩니다. 하나님의 평화가 우리 가정에 임해야 언제나 평화의 가정이 됩니다. 예수 님이 세상에 오신 것은 우리 가정을 죄에서 구원하고 근심과 걱정에서 건져내고 모든 슬픔도 위로하셔서 행복 된 가정을 만드시기 위하여 또한 오신 것입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이 아름다운 五월의 어린이날, 어버이날에, 사랑의 주 예수를 영접하셔서 여러분의 가정이 경건하고 진정한 평화와 행복의 가정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三년 五월 十일)
?-31 마음의 혁명 (시편 五十一편 十- 十二절)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며 주의 성신을 네게서 거두지 마소서 주의 구원의 즐거움을 내게 회복시키고 자원하는 심령을 주사 나를 붙드소서』 (시편 五十一편 十-十二)
이는 다윗의 간절한 기도입니다. 정한 마음, 정직한 심령이 얼마나 귀합니까? 일찍이 독일의 위대한 사상가 괴테는 사람으로서 탐구할 것은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깨끗한 마음이요, 또 하나는 위대한 사랑이라고 하였습니다.
첫째 마음은 생의 중심입니다. 잠언 四장 二十三절 말씀에 기록하기를『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생명의 근원은 마음에 있습니다. 또한 마음은 성격을 규정합니다. 그러므로 잠언 二十三장 七절에『마음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하다』지적하였습니다. 마음은 결국 그 사람의 성품, 성질, 최후에는 인격 전체를 규정합니다.
마음은 언행의 근원입니다. 그럼으로 주님께서도『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이 가득한 것을 말함이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음은 이렇게 언행의 근원입니다. 마음에 선이 가득한 자는 그 언행이 선하고 악이 가득한 자는 그 언행이 또한 악합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도『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과, 살인과, 간음과, 음란과, 도둑질과. 거짓 증거와 훼방이니 이런 것들이 사람을 더럽게 하느니라』고 하셨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든 악행과 범죄는 먼저 마음에서 배태되어 언어와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둘째, 그러므로 모든 개량운동,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개선운동은 먼저 마음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곧 마음의 개선, 마음의 혁명이 필요합니다. 심령의 혁신운동이 먼저 요구됩니다. 정한 마음, 정직한 심령으로 먼저 변화 되어야합니다. 마음이 깨끗하여야 정치도 깨끗이 할 것입니다. 정치는 더어티 풀레이(Dirty play)이라고 곧 더러운 놀음이라고 흔히 말합니다.
왜 정치를 더어티 게임(dirty game)이라 합니까? 그것은 정치를 하는 이들이 마음이 부정한 까닭입니다. 민족과 국가를 중심 하는 것보다는 개인의 영광, 욕심, 감투 욕 등이 그 마음에 가득한 까닭이 아닙니까? 그러므로 성경은 경고합니다.『두 마음을 품은 자들아 마음을 깨끗이 하라』먼저 정한 마음을 가져야합니다. 정직한 심령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셋째, 어떻게 하면 정한 마음을 가질 수 잇습니까? 새로운 마음을 얻을 수 있습니까? 누가 이러한 노력을 하지 않습니까? 그러나 속담에 있는 말과 같이『작심 삼일』이라고 아무리 인간이 노력하여도 스스로의 힘으로 불가능합니다. 내가 내 마음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동포 여러분! 여기에 신앙문제가 들어옵니다. 종교문제가 일어납니다.
오늘 읽은 본문은 유명한 애국자요, 이스라엘 민족의 중흥의 위대한 공을 쌓은 옛날 다윗 왕의 기도입니다.『그는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기도하였습니다. 왜 기도를 하였습니까? 자기의 마음을 그도 역시 스스로 어찌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본래 그 마음을 지으신 하나님께 정한 마음을 창조하여 달라고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여 달라고 기도 들였습니다.
동포여러분! 여러분 중심에 정한 마음을 원하십니까? 본래 여러분의 마음을 지으신 하나님께 돌아와 정한 심령을 새롭게 창조하여 달라고 기도하세요.
에스겔 三十六장 二十六절에『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라고 하나님은 약속 하셨습니다. 고린도 후서 五장 十六절에는『누구든지 그리스도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누구든지 신앙으로 그리스도에 돌아와 그를 믿고 의지하며 그의 안에서 살면 우리의 마음도 새로 지음을 받아 새 마음이 될 것입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금년은 우리 국가적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하자는 유신의 해입니다.
또한 이러한 해에 세계적인 대부흥사 빌리 그레함( Billy Grahame)박사가 금년 五월에 오셔서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 七대도시에서 대전도 집회를 가지게 됨은 우연한 일이 아닙니다. 금년이야말로 우리 五천만 민족이 다 그리스도에게 돌아와 새 마음, 새 정신, 영적 혁명의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一九七三年)
?-32 북환 동포에게 (요한 복음 三장 十六-二十一절)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요 三·十六)
기쁜 크리스마스 계절을 당하여 북한 동포 여러분의 만복을 기원합니다.
나는 본래 북한이 내 고향입니다. 지금도 제 친척과 많은 친구들과 교우들이 북한에 살고 있습니다. 나는 일찍이 오산 중학교를 마치고 평양의 숭실대학을 나왔으며 또 외국에서 학업을 마치고 돌아온 후에는 신의주에서 십 여 년간 교회도 봉사하고 고아원, 양로사업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언제나 나는 북한 산천을 잊을 수 없으며 북한에 있는 여러분을 위하여 늘 기도합니다. 벌서 二년 전에 적십자사를 통하여 잃은 가족 찾기 운동이 전개되었을 때에 나는 실로 큰 기대를 가지고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까지 아무 성과를 가져오지 못한 것을 생각할 때 실로 기막히는 일입니다. 우리가 말로는 동포애니 인도주의라는 말을 쓰나, 사실 우리가 얼마나 참으로 동포들끼리 사랑합니까?
아마, 여러분께서 크리스마스라는 말을 아시는 이도 있겠으나 또한 모르는 분들도 많을 줄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먼저 크리스마스라는 말에 대하여 설명을 들리고 싶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크리스마스는 예수 그리스도가 이 세상에 탄생하신 날입니다. 여러분 언제 탄생하셨는지 혹 기억하십니까? 북한에서도 서력 기원을 사용합니다. 금년이 바로 一九七三년입니다. 이 연대는 곧 예수 님이 탄생하신 연대입니다. 다시 말하면 예수 님은 지금으로부터 一九七三년 전에 이 세상에 오셨던 것입니다. 역사가들의 착오로 四~五년간의 차이는 있으나 별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오늘은 거이 온 세게 문명 국가들이 큰 명절로 지키는 날입니다. 여러분, 이 크리스마스의 뜻을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성경 요한 복음 三장 十六절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누구든지 저를 믿으면 멸망하지 아니하고 영생을 얻으리라』여기『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사』하는 말씀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십니다. 아무리 죄가 많아도 사랑하십니다. 아니 죄가 많으므로 더욱 불상이 여기시고 사랑하십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신 까닭입니다.
부족한 인간의 사랑도, 병든 자녀들이 있으면 그들을 사랑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나님은 인간이 많은 죄를 짓고 멸망하게 되었으므로 더욱 이 세상을 사랑한 것입니다.
크리스마스는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나신 날입니다.
아직도 우리가 사는 이 세계는 사랑보다도 미음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아랍 사람들이 이스라엘사람들을 미워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뿐만 아닙니다. 이 미움은 소위 석유 무기화 정책으로 나타나서 이 추운 겨울에 온 세계 사람들을 떨게 만듭니다.
여러분! 크리스마스에 하나님은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미움을 버리고 서로 사랑하라고, 보복 대신에 서로 용서하고, 싸움 대신에 서로 화평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이 크리스마스에 특별히 서로 사랑하는 것을 배워야 도겠습니다. 예수 님은 원수까지도 서로 사랑하라고 하셨습니다.
북한 동포 여러분! 우리는 문자 그대로 한 혈족입니다. 비록 사상이 다르고 체제가 다르다고 할지라도 좀 더 사랑할 수 없을까요?
동족애를 좀 보여 잃은 가족의 소식이라도 알게 할 수 없을까요?
(一九七三년 十二월 二十五일)
?-33 새 해에 새 비전 (이사야 六장 一절)
『웃시야 왕의 죽던 해에 내가 본즉 주께서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셨는데…』(사 六·一)
사람은 신령한 눈으로 보는 것이 있었어 합니다. 유신의 눈으로 보는 것으로는 부족합니다. 신령한 눈으로 보이지 않는 것도 보며 장래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을 비전(vision)이라고 합니다.
인간들이 가지는 비전을 통하여 평가되는 것입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비전이 그 사람을 만듭니다.
어떤 사람은 자기의 일상생활과 그 일에서 아무 것도 보지 못합니다. 그러나 다른 이는 물 끓는 주전자에서도 증기기관을 보았고, 떨어지는 사과에서도 중력의 법칙을 보고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이들이 발명가가 되고 예술가가 되고 예언자가 되고 위대한 지도자가 되는 것입니다.
옛날 이스라엘 한 청년 이사야 는 성전에 올라가 기도할 때에 신령한 눈으로 영광 중에 하늘의 보좌를 보았고 신령한 귀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이 비전이 그로 하여금 장차 위대한 예언자를 만든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우선 자기자신의 장래에 대한 분명한 비전을 보아야합니다. 내가 어떤 사람이 되겠는가? 바르고, 의롭고, 경건하고, 정직하고, 깨끗하고, 담백한 사람이 되겠는가 혹은 그저 바람 부는 대로 눕는 산 위의 풀 대 같이 유행이나 따르며 시대 풍조나 좇아가는 인간이 되겠는가? 우선 자기 자신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있어야 합니다. 참된 그리스도인들은 누구나 그리스도를 우리 인격과 생활에 목표로 삼고 그 비전 아래서 인생을 마름질하는 것입니다.
그뿐 아닙니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가 장래에 할 일 곧 사명에 대하여도 비전을 가져야합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달란트가 무엇인지 곧 재능이 무엇인지 그것을 자세히 살펴 장차 내가 일생을 통하여 우리 사회와 국가를 위해서 공헌할 일을 미리 보아야하는 것입니다. 곧 사명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한 거름 더 나아가 우리는 대한 민국의 국민들입니다. 장차 어떠한 국가를 건설하겠는가 곧 우리 민족과 국가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 삼천리 강산 위에 참으로 자유와 평화와 번영이 있는 통일된 국가에 대한 분명한 비전을 보고 이 비전대로 우리 나라를 옳게 세우기 위하여 내가 어떠한 방면에서든지 국민의 하나로서 노력하여야 합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지금 우리는 二十세기 말엽에 삽니다. 오늘의 세계는 하나입니다. 다시 말하면 세계 한 구석에서 일어나는 일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방금 중동 전쟁의 영향이 얼마나 세계적으로 악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우리는 목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 국가의 국민인 동시에 이 하나 밖에 없는 지구 곧 이 세계의 일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계를 옳게 건설해야합니다. 그래야 나도 잘살고 이웃 나라도 잘 삽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계에 대한 옳은 비전을 또한 보아야합니다. 방금 이 세계에는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고 자유를 박탈하고 오직 독재와 전체주의로 인간을 구속하려는 무서운 암흑의 공산 세력이 도처에 있습니다. 우리는 자유와 광명의 근본이 되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여 이 악의 세력을 대항하여 싸와 이기고 이 온 세계가 자유와 평화와 번영의 세계가 되도록 새 세게 건설의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一九七三년 十二월 二十七일)
?-34 현대인의 영적 기갈 (요한 복음 十二장 二十-二十五절)
『저희가 갈릴리 벳새다 사람 빌립에게 가서 청하여 가로되 선생이여 우리가 예수를 뵈옵고자하나이다』(요 十二·二十一)
주님이 계시던 마지막 주간에 된 일입니다. 명절 곧 유월절에 예배하려 예루살렘에 올라온 사람 중에 헬라 사람 몇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예수 님의 제자 가운데 하나인 빌립에게 와서 하는 말이 『선생이여, 우리가 예수를 뵈옵고자 하나이다』하였습니다.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당시 헬라인들은 지성인의 대표들이었습니다. 당시 라틴 민족이 로마제국을 건설하고 정치적으로 그 제국을 통치하였으나 그 문화는 헬라문화요, 당시 사용 된 말도 헬라말 이었습니다. 헬라의 옛 도시 아덴은 당시에 철학, 문학, 과학, 예술의 본향(本鄕)이었고 찬란한 고대문명의 중심이었습니다. 그들은 항상 새 것을 탐구하는 요새말로 과학적 정신의 소유자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헬라인들이 어찌하여 유대인들과 같이 유월절을 당하여 예루살렘에 올라왔으며 더욱이 당시에 선지자로 대중으로부터 존경을 받던 예수를 보고자 하였는가. 한 마디로 그 찬란한 문화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심령 깊은 속에는 영적 기갈 곧 목마름이 있었습니다
사도행전 十七장을 읽으면 사도 바울이 처음으로 아덴에 가보니 문화의 도시 아덴에는 뜻밖에도 거리마다 우상으로 가득하였습니다. 바울은 이 우상을 보고 더욱 분격하여 복음을 전파하였다고 합니다. 왜 그들 지성인들이 그렇게도 많은 우상을 만들어 세웠습니까? 그것은 또한 그들의 영적 기갈의 표현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우상숭배에서 그 내적 기갈의 만족을 얻을 수는 물론 없었습니다. 짠 바닷물은 마실수록 더욱 목말라집니다. 이렇게 우상숭배는 더욱 그들의 기갈을 심하게 한 것뿐이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들의 영적 기갈을 멈출 수 있는 참 종교 곧 살아 계신 하나님을 보여 줄 수 있는 예수를 보고자 한 것입니다.
참 인생의 길이 되시고 우주의 진리가 되시고, 생명이 되시는 예수를 찾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빌립에 와서『우리가 예수를 보고자 합니다』간청하였습니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지금 二十세기에 사는 현대인들은 특별히 지성인들은 고대 헬라인들과 그 영적 상태가 유사한 것을 발견합니다. 현대인들이 과학을 통하여 오직 물질만을 연구하며 물질만을 탐구하는 중에 문자 그대로 물질만의 문명을 이룩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현 세계를 원자시대, 우주시대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도중에 현대인 중에 많은 수가 그 자신의 영혼을 상실하였으며 따라서 살아 계신 하나님을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옛날 아덴 사람과 같이 우상을 많이 만들고 또한 그 우상을 숭배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이는 지식을 그 우상으로 삼고 절합니다. 어떤 이는 향락을 그 우상으로 삼웁니다. 또한 어떤 이는 권력으로 그 우상을 삼습니다. 또 어떤 이들은 허영을 그 우상으로 삼고 이것을 숭배합니다. 이렇게 과학 문명에 도취된 현대인들은 온갖 우상을 만들어 섬깁니다. 그러나 이러한 우상숭배에서 영적 기갈을 멈출 수는 물론 없습니다. 그들 심령 깊은 속에는 고독, 불만, 공포, 좌절감, 혹은 죄책감 등으로 가득합니다.
물질문명이 가장 발전되었다는 유럽이나 미국에서, 소위 히피족이 일어나는 것도 우연이 아닙니다. 그들이 현대문명에 반항하여 머리를 깍지 않고 수염을 기르며 허름한 옷을 입고 맨발로 원시 시대에 돌아가려고 하는 이면에는 그들의 깊은 심령 속에 말할 수 없는 고통과, 번민(煩悶), 현대문명에서 느끼는 공허감, 좌절감 등 극단적인 심령의 기갈의 한 표현 일 것입니다. 최근의 소식을 들으면 이들 가운데 청년 신앙운동의 하나인 소위 예수 혁명에 가담하는 이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것 또한 결코 우연이 아닌 줄 생각합니다. 한 마디로 그들도 살아 계신 하나님을 찾아 갈급(渴急)하여 하는 것입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주님의 말씀과 같이 사람이 떡으로만 살수 없습니다 살아 계신 하나님의 입으로 나오는 그 진리의 말씀으로야 살 수 있습니다. 이 영혼은 살아 계신 하나님을 만나기 전에는 안심과 평화를 찾지 못합니다. 예수 님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이 메마른 심령들에게 살아 계신 하나님을 보여 주시고, 그 죄를 속량하여 죄책감을 없게 하여 주시고 영원한 생명을 주시기 위하여 오신 것입니다. 인간은 물질만으로 살 수 없습니다. 아무리 물질문명이 발전된다고 할지라도 여기서는 영혼의 만족과 구원은 얻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사는 과학시대는, 이 물질문명의 세기는 참 종교가 요구됩니다.
여러분!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 되시는 예수께 나아와 참 종교를 찾고 인간으로서의 참된 행복과 만족한 생활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一九七四년 一월 二十四일)
?-35 짐을 서로 지라 (갈라디아서 六장 一-五절)
『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갈 六·二)
『각각 자기의 짐을 질 것임이니라』(갈 六·五)
길을 갈 때에 흔히 짐을 지고 갑니다. 인생행로에도 우리가 다 짐이 있습니다. 이 짐을 지는 데 대한 교훈이 여기에 있습니다.
첫째로, 『각각 자기의 짐을 질 것이니라』하였습니다. 우리 인간은 자기가 저야 할 짐이 있습니다. 군인은 누구나 자기 배낭을 지고 행진하는 것처럼 인간도 누구나 자기가 꼭 지고 갈 짐이 있습니다. 곧 각 사람은 자기의 책임 혹은 의무가 있습니다. 남자이면 병역의 의무 또 누구나 납세의 의무가 있습니다. 부모이면 부모의 책임이 있고 자녀이면 자녀로서의 책임이 있습니다. 이러한 짐은 누구나 반드시 자기가 저야 합니다. 이러한 짐을 남에게 전가 할 수는 없습니다. 들으니 지금도 우리 남한에서 기아 곧 버림을 받는 아기의 수가 매일 평균 一九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그 어머니가 그 책임을 저버리는 것입니다. 어떤 자녀는 자기의 부모를 양로원으로 보내려고 합니다. 이것은 자녀로써의 마땅히 질 책임을 저버리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 우선 내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합니다.
또 어떤 이는 사도 바울과 같이 육체의 가시가 있었습니다. 일생을 불구의 몸으로 혹은 허약한 몸으로 살 수 밖에 없는 이도 있습니다. 이러한 짐도 내가 질 수밖에 없는 짐입니다. 사도 바울도 이 가시를 없이하여 달라고 세 번이나 기도하였으나 그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은혜와 능력을 받아서 그 짐을 잘 질 수 있었을 뿐더러 오히려 그 가시로 말미암아 더 많은 열매를 맺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 가운데도 이와 같은 짐을 진 이가 있으면 기도하여 바울이 받은 은혜를 받아야합니다.
『내 주의 지신 십자가 우리는 안 질까, 뉘게나 있는 십자가 내게도 있도다』
내가 질 짐을 잘 지고 용감히 인생 길을 걸어 가야합니다.
둘째로,『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하였습니다. 서로 질 짐이 있습니다. 내짐뿐 아니고 남의 짐도 질 줄 알아야합니다. 로마서 十五장 一절『우리 강한 자가 마땅히 연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라고 하였습니다. 강한 자는 약 한자의 짐을 질 줄 알아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누가 약하면 내가 약하지 아니하며 누가 실족하게되면 내가 애 타지 않더냐』고 하였습니다. 그는 항상 약한 이들의 짐, 실족하는 이들의 짐도 지고 산 것입니다. 또한 그는 갈라디아서 六장 一절에 기록하기를『형제들아 사람이 만일 무슨 범죄한 일이 일어나거든 신령한 너희는 온유한 심령으로 그러한 자를 바로 잡고 네 자신을 돌아보아 너도 시험을 받을까 두려워하라』하였습니다. 곧 영적으로 짐을 져야 한다고 권합니다.
만일 어떤 믿는 친구가 그만 시험에 빠져 죄를 범했으면 그를 비난하기 전에 정죄(定罪)하기 전에 온유한 마음으로 그를 권유하여 그 죄에서 다시 나와 회복하도록 힘쓰라는 말입니다. 이것이 곧 영적으로 서로 짐을 지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은 영적 방면 뿐 만 아니고 모든 방면에 서로 짐을 질 줄 알아야합니다.
『즐거워하는 자들로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로 함께 울라』고 하였습니다. 슬픔의 짐도 서로 질 줄 알아야 합니다. 고독의 짐도 서로 질 줄 알아야합니다. 그러므로 슬프고 외로운 이들을 특별히 돌볼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 거름 더 나가 모든 분야에서 서로 짐을 질 줄 알아야합니다. 사회적 경제적 분야에서도 서로 짐을 질 줄 알아야 합니다. 기업인들은 근로자들의 짐을 이해하고 도울 줄 알아야합니다. 위정자들은 국민의 사정을 이해하고 그 짐을 서로 질 줄 알아야합니다. 특별히 오늘날과 같이 유류(油類)파동과 기타 불행한 사건으로 말미암아 말 할 수 없이 고난을 당하는 동포가 수 없이 많은 이러한 때에 우라 국민들은 피차에 짐을 서로 져주기를 힘써야 할 때입니다. 이것이 곧 그리스도의 법이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이 곧 그리스도의 생활원리입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우리가 어느 때에 주를 믿고 그를 따르지 아니하리요 마는 이러한 때야말로 다 주님께 나와 그의 사랑과 봉사와 희생의 원리를 떠라 서로 짐을 져주며 상부상조하여 이 위기를 돌파하여야 하겠습니다. (一九七四년 二월 七일)
?-36 즐거운 마음 (빌빕보서 四장 四-七)
『주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빌 四·四)
『마음의 즐거움은 양약이라도 심령의 근심은 뼈로 마르게 하느니라(잠언 十七·二十二)
여기 즐거운 마음은 곧 좋은 약이라고 하였습니다. 즐거운 마음은 건강에 아주 필요한 약입니다. 세균만 사람의 몸을 해치는 것이 아닙니다. 근심은 사람의 뼈를 마르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사실입니다. 마음이 즐거우면 소화도 잘 되고 혈액 순환도 잘 되고 병도 빨리 치료됩니다. 그러나 사람이 근심에 싸이면 같은 병이라도 잘 치료가 되지 아니하고 어떤 때는 큰 근심으로 말미암아 숨도 잘 못 쉬고 심지어는 졸도를 하는 때도 있습니다. 六할(割) 이상의 모든 질병이 심리에서 근거된다는 말은 사실입니다.
첫째로는, 즐거운 마음은 건강에 뿐만 아니고 모든 방면에 큰 영향을 줍니다. 마음이 즐거워야 무슨 일이나 잘됩니다. 마음이 괴로우면 편지 한 장 옳게 쓰기 힘듭니다. 괴로운 마음을 가진 운전 수가 흔히 교통사고를 냅니다. 괴로운 마음을 가진 노동자가 또 공장에서 기계사고를 일으킵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해야 학생들이 공부도 잘 하며 시험도 잘 칠 수 있고 주부들이 살림도 잘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즐거운 마음은 누구에게나 필요합니다.
이미 말 한대로 환자에게는 말할 것도 없고, 건강한 이나, 예술인이나, 또는 학자나, 정치인이나, 남자나, 여자를 막론하고 이 즐거운 마음이 있어야 모든 문제를 바로 해결하고 모든 책임을 옳게 감당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즐거운 마음으로야 모든 유혹과 시험을 이깁니다. 악한 마귀는 우리의 마음이 괴로워 할 때에 우리를 시험합니다. 많은 사람이 마음이 괴로운 중에 그만 유혹에 빠져 실패하고 혹은 인생을 그르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대로 즐거운 마음은 참 좋은 약입니다. 건강에도 좋은 약입니다. 일에도 좋은 약입니다. 사회를 명랑하게 하는 데 얼마나 좋은 약인지 알 수 없습니다.
둘째, 그러면 우리 민족 하나 하나가 이 즐거운 마음이 있어서 서로 대하고 열심히 일하고 모든 방면에 협조하고 건설하여야 할 터인데 이 즐거운 마음을 어디서 얻을 수 있습니까?
五천만 동포 여러분! 이 즐거운 마음은 신앙에서 옵니다. 이런 마음은 믿음의 열매입니다.
믿음의 나무에서 만 열리는 과실입니다. 참 믿음이 있는 마음에 즐거움이 깃 듭니다.
천지의 대주재(大主宰)이신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며 그 아들 예수를 믿어 모든 죄 사함을 받고 모든 것을 사랑의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지하게 될 때에 우리의 마음은 자연히 안정됩니다.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기쁨과 화평(和平)과 그 마음의 아름다운 덕입니다. 우리가 예수를 믿어 아침과 저녁 또는 때때로 하나님께 기도를 들이며, 성경을 읽으며 위로부터 내리는 성령의 은사를 충분히 받을 때에 우리의 마음은 자연히 화평과 가쁨이 넘쳐흐르게 됩니다. 생명수가 우리 심령 속에 넘치게 됩니다. 서로 사랑하는 두 애인이 동행할 때에 그 가운데는 기쁨이 있습니다. 우리의 심령이 주님과 동행할 때에 그 가운데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높은 산이 거친 들이 초막이나 궁궐이나 내 주 예수 모신 곳이 그 어디나 하늘 나라』이렇게 찬송을 부릅니다. 그러므로 바울과 실라는 빌립보에서 전도하다가 억울하게 매를 맞고 깊은 감옥에 구속되었으나 기쁨으로 찬송을 불렀습니다. 잘 믿는 이들은 성경의 말씀대로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 생활을 합니다.
사랑하는 동포 여러분, 인간의 행복은 돈을 많이 모으는데 있는 것도 아니요, 높은 지위를 얻는 데 있는 것도 아니요, 많은 지식을 배우는데 있는 것도 아니요, 인간이 지식을 배우는 데 있는 것도 아니요,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즐거운 마음을 가지는데 있습니다.
이 축복은 오직『길이요, 질리요, 생명이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데 잇는 것입니다.
자비하신 하나님 아버지, 이 시간 이 말씀을 듣는 사랑하는 여러 동포들 마음속에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소서, 그를 믿게 하여 주시고 그를 믿는 가운데서 즐거운 마음을 얻으며 모든 책임을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아멘. (一九七四년 二월 十三일)
?-37 강하고 담대하라 (여호수아 一장 五-九절)
『마음을 강하게 하라. 너는 이 백성으로 내가 그 조상에게 맹세하여 주리라 한 땅을 얻게하라.(수 一·六)
청년 지도자 여호수아에게 주신 하나님이 말씀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출하여 四十년간을 광야를 통하여 인도하던 위대한 영도자 모세는 죽었습니다. 그 때에 이스라엘 백성은 요단강 저편까지 이르렀던 것입니다. 아직도 요단강을 건너야하고 가나안 땅을 점령하는 큰 과업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러한 때 하나님께서 모세의 계승자 여호수아에게 『강하고 담대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내가 모세와 같이 한 것처럼 또한 너와 같이 하리라』약속하셨습니다.
기독교윤리는 온유(溫柔)와 겸손의 면을 강조함이 사실입니다. 그리하여 니이체 같은 이는 노예의 도덕이라고 비난까지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오해입니다. 온유와 겸손은 약한 것을 의미하지 아니합니다. 그리스도의 성품을 보십시오 물론 온유와 겸손의 면이 있습니다. 어린이들을 사랑하고 병자와 가난한 이들을 동정하고 우는 자와 함께 울고 제자들의 발을 씻기셨습니다.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셨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그의 성전을 깨끗케 하시는 모습, 당시 세력이 있던 바리세인과 서기관들을 책망하는 모습, 십자가를 바라보면서도 예루살렘을 향하여 담대히 앞서가시는 모습, 태연자약하게 십자가를 지는 모습을 보십시오 여기에서 우리는 주님께 대한 두 가지 상징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어린양이요. 그러나 또 하나는 유다 지파(支派)의 사자입니다. 곧 우리 주님은 어린 양 같이 온유하나 또한 사자같이 강하십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제자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膽大)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느니라』또한『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이기고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하셨습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려면 강해야합니다. 우선 악을 멸하는 데 강해야 합니다. 광야에 악마가 예수를 시험한 것처럼 지금도 믿는 자들을 시험합니다. 세상의 권세와 영광으로 시험합니다. 강하고 담대해야 이 모든 유혹을 이깁니다. 악함으로 경제생활을 못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악한 동무를 끊지 못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약함으로 책임도 감당치 못하고 복음도 전파하지 못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와 같이 강하고 담대해야 합니다. 그리고 한 거름 더 나아가 그리스도인들은 내 자신 밖에서 악을 저항하고 소멸하는데 강하고 담대해야 합니다. 악한 사상이 많습니다. 무신론, 유물론, 공산주의, 세속주의, 전체주의, 공리주의 등 우리가 싸워 멸해야할 악한 사상이 많습니다. 또한 각종 사회악이 많습니다. 부정, 부패, 음란, 사치, 밀수, 사기, 횡령, 절도, 강도, 간첩 등 온갖 악이 횡행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작은 일로서 분쟁하지 말고 한 마음, 한 뜻으로 악의 세력을 소멸하는 데 여호수아와 같이 강하고 담대해야합니다. 악에서 지지 말고 선으로 이겨야합니다 그리하려면 강하고 담대해야 합니다.
바울이 처음으로 아덴에 가보니 아덴시에는 우상으로 가득하였습니다. 아덴은 본래 문화의 도시로서 예술과 과학의 중심지로 알았는데 정작 가보니 우상 숭배와 미신으로 가득 하였습니다. 이것을 보고 바울은 그 심령 속에 분격함을 느꼈고, 그리하여 이런 모든 미신을 타파하기 위하여 천지의 창조자시요, 지배자이신 살아 계신 하나님을 전파했고 그 독생자이신 그리스도의 복음을 크게 외쳤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계를 과학의 세기, 원자의 세기, 컴퓨터의 세기, 우주의 세기 등 여러 가지 말로 부르는 것이 사실이나 조용히 살펴보면 이 현대사회에 미신과 사교와 사이비종교와 부정과 불의와 각종의 범죄와 사회악이 얼마나 많습니까? 우리가 참으로 그리스도를 따른다고 하면 우리도 분연히 일어나 이것들을 타파하기 위하여 담대히 복음을 전파하여야 합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사실 우리 한국 민족은 누구나 자유와 평화의 통일을 염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를 반대하는 악한 사상, 악한 집단이 五천만민족의 염원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욱 강하고 담대한 신앙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반드시 우리의 염원을 이루어 주실 때가 올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 같이 하나님께 돌아와 회개하며, 기도하며, 모든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一九七四년 二월 二十八일)
?-38 어리석은 무신론자 (시편 十四편 一-五절)
『어리석은 자는 그 마음에 이르기를 하나님이 없다 하도다 저희는 부패하고 소행이 가증하여 선을 행하는 자가 없도다』 (시 十四·一)
이런 구절이 시편에 있는 것을 보니 옛날 구약시대에도 하나님이 없다고 하는 무신론자가 있은 모양입니다. 사실 무신론은 현대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고대에도 있었습니다. 아마 한가지 다른 것은 현대에는 이 무신론자가 더 많아진 듯하고 또한 이런 이들이 집단을 이루어 큰 권력까지 휘두르게 된 사실입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그들의 소행 곧 행실은 성경에 기록된 대로 부패하고 소행이 가증하여 선을 행하는 자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최근 소련에서 추방된 유명한 작가 솔제니친이 그 정부에 보낸 서한 가운데 一九一七년 볼쉐비키 혁명 이후에 소련 국내에서 숙청 당한 국민이 六천六○○만에 이르렀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이 숫자는 아마 제일 신빙할만한 숫자일 것입니다. 무신론의 체제 곧 공산주의 체제가 얼마나 포악하고 무섭다는 것은 말 할 것도 없습니다. 사실 소련뿐만 아닙니다. 중공이나 북한이나 무신론자들의 독재아래 사는 국민들은 다 이러한 비참한 운명 아래에 놓여 있습니다. 성경은 이런 무신론자들을 어리석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첫째, 사실 무신론은 이론적으로도 어리석은 이론입니다. 무신론이라는 이론은 하나님이 안 계시다는 이론인데 유명한 인간이 어떻게 감히 이런 이론을 가질 수 있습니까? 하나님이 계시다는 논증은 그 증거가 하난 만 있어도 능히 성립될 수 있지만 하나님이 안 계시다는 논증은 사실 전 우주와 전 우주의 역사를 탐색하여 논증하기 전에는 불가능 한 일입니다.
늘 하는 말이지만 가령 한국에 갈매기가 있다는 것을 논증하려면 인천 바닷가에 갈매기의 발자국 하나만 가지고도 되려니와 만일 갈매기가 없다는 것을 논증하려고 하면 인천뿐만 아니라 한국해안의 전부를 탐색하기 전에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만일 하나님께서 우주에 없다고 하는 것을 논증하려고 하면 우선 이 지구 위에 어디나 하나님의 자취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하겠고 그 다음에는 일월성신 우주 전역에서 그런 증거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할 것입니다. 사실 이런 일은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인데 이런 이론을 맹목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성경 말씀대로 어리석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무신론이란 일종의 부정관념입니다. 관념 가운데 긍정관념과 부정관념이 있는데 가령 참(眞)은 긍정관념이나 거짓은 부정관념이요, 밝다는 것은 긍정관념이나 어둡다는 것은 부정관념입니다. 그런데 부정관념은 긍정관념이 있으므로 생겨진 관념입니다. 곧 참이 있기에 거짓이란 말이 생겼고 빛이 있기에 어둡다는 말이 생긴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정관념 자체가 긍정관념이 사실인 것을 증명합니다. 다시 말하면 방공이라는 말이 생긴 것은 공산주의자가 있다는 증거인 것 같이 무신론이라는 말이 생긴 것은 하나님이 계신 까닭으로 생긴 것입니다. 사실 무신론이란 부정 관념이 있다는 자체가 하나님께서 계신 것을 증명한 것입니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이런 이론을 주장하는 것은 실로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경고합니다.『스스로 속지 말라 하나님은 만홀(漫忽)이 여김을 받지 아니 하시나니 사람이 심은 대로 무엇이든지 그대로 거두리라』또『나를 높이는 자는 내가 높이고 나를 멸시하는 자를 내가 멸시하리라』또한 데살로니가 후서 一장 八절-九절에 기록된 대로『하나님을 모르는 자들과 우리 주 예수의 복음을 순종치 않는 자들에게 형별을 주시리니 이런 자들이 영원한 멸망의 형벌을 받으리로다』하였습니다. 어떤 행상이 사하라 사막을 건너가다가 날이 저물어 한 작은 오아시스 근처에서 천막을 치고 밤을 지나게 되었습니다. 이 때 역시 어떤 피곤한 여행자가 이곳을 지나가다 그와 함께 하루 밥을 유하게 되었습니다.
이 행상은 자리에 들기 전에 조용히 머리 숙여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습니다. 이 기도하는 모습을 본 여행자는 그 행상께 묻기를『당신이 무엇을 하느냐?』고 물었습니다.『나는 하나님께 기도를 하였소』하고 대답하였습니다.『그러면 당신은 하나님을 보았습니까?』『아니오 보지 못하였습니다』『혹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보았습니까?』『음성도 못 들었습니다.』『그것도 아니면 하나님을 한번이라도 만져본 일이 있습니까?』『안이오, 만져 보지도 못 하였습니다』『그러면 어떻게 하나님이 계신 것을 알고 기도합니까?』이렇게 물었을 때 그 행상은 아무대답도 못하였다고 합니다.
그 이튿날 아침 그 여행자가 일찍 일어나 천막밖에 나가더니 그는 크게 말하기를『아하! 당신 약대가 밤새 이 천막을 세 번이나 돌았구먼!』하였습니다. 그 때 그 행상은『당신은 내 약대가 천막을 도는 것을 보았소?』『아니 못 보았는데요』『그러면 도는 소리를 들었소?』『아니 못 들었는데요』『약대를 만져 보았는가 요?』『못 만져 보았는데요』『자! 그러면 어떻게 세 번 돈 것을 압니까?』이때 이 여행자 대답이『여보시오! 천막의 주변에 약대의 발자취가 있지 않소?』하고 대답하였습니다. 그 때 그 행상은 오아시스 근처의 무성한 종려나무 사이로 찬란하게 비쳐오는 햇빛과 그 아름다운 아침의 광경을 가리키면서『이 모든 것이 전능하신 하나님의 발자취가 아닙니까?』하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하나님을 믿으세요 이 우주에는 전능하신 하나님의 발자취가 있습니다.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맙시다. (一九七四 년 三월 七일)
?-39 인내의 예수를 바라보자 (히브리서 十二장 一 -三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씻어 버리고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 믿음이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히 十二·一 하반절-二 상반절)
『죄인들이 이같이 자기에게 거역한 일을 참으신 자를 생각하라』(히十二·三상반절)
우리가 어느 때에 예수를 바라보지 아니하리 오 마는 특별히 사순절을 당하여 우리는 주님의 그 고난과 십자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여기 본문에 주님께서는 인내로서 십자가를 참으셨다는 말씀이 있습니다. 이 시간 특별히 주님의 인내 곧 모든 것을 참으신 주님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주님은 어릴 때부터 많은 고난을 참으셨습니다. 아기 때에 애굽으로 피난을 갈 수 밖에 없었으며 나사렛에 돌아온 후에도 가난한 목수의 가정에서 자라가면서 목수의 일을 하며 많은 노고를 참으셨습니다. 그는 일찍이 말씀하시기를『여우도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이 있으되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노라』하셨습니다. 그는 빈곤을 참으신 것입니다. 우리 주님은 고향에서도 배척을 받았으며 심지어 친척들에게까지 많은 오해를 받으셨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런 오해와 배척도 기리 참으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당시 바리세인들과 사두개인들은 항상 주님을 중상하고 비난하였습니다. 주님의 이적은 마귀의 왕 바알셀의 힘을 빌어 행한다고 중상하였고 또 항상 우리 주님이 안식일을 범한다느니 세리와 죄인의 친구가 되신다 느니 혹은 연락을 좋아하는 이라든지 여러 가지 중상과 모략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님은 이런 모든 원수의 비난도 기리 참으셨습니다 .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 주님은 이해와 동정이 부족한 친구들에 대하여도 항상 오래 참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예수께서 십자가을 지실 비장한 각오를 가지시고 예루살렘을 향하여 올라가실 때에도 제자들은 그런 심경을 알지도 못하였습니다. 자기네들끼리 누가 크냐 하는 문제로 서로 다투기만 하였습니다. 마지막 저녁에 발 씻기를 자원하는 제자는 없었던 모양입니다. 주님께서 그들의 발을 씻겨 주셨습니다. 심지여 겟세마네 동산에서 주님은 피 땀을 흘리시면서 기도를 하였지만 뒤에 있는 제자들은 잠만 자고 있었습니다. 실로 주님은 고독하셨습니다.
최후로 제자가운데 하나인 가롯 유다 는 예수를 잡아 주었고 주님께서 잡히시게 되니 제자들은 사방으로 도망을 쳤습니다. 그리고 수제자격인 베드로까지 예수를 모른다고 세 번씩이나 부인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님은 이 섭섭한 심정도 기리 참으셨습니다. .또한 불 의한 빌라도의 법정과, 거짓된 증인들의 말과, 마지막으로 무리들은 바나바를 놓아주고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고함을 치는 이런 모든 가슴 앞은 일도 우리 주님은 그저 참으셨습니다. 그리고 군인들과 무지한 무리들의 모욕적인 언사와 행동도 참으시고 십자가에 달리셔서 그 말할 수 없는 육신의 고통과 심리적 애통도 기리 참으셨습니다. 이러한 고독과 고통가운데서도 결코 낙심치 아니하시고 자기를 십자가에 못 박는 이 들를 위하여『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이들의 죄를 그 머리 위에 돌리시지 마시고 모두 사하여 주시옵소서』간절히 기도하셨습니다.
예수 님께서는 얼마나 참으셨습니까? 예수 님의 인내가 얼마나 크십니까? 성경은 우리에게 권면(勸勉)합니다. 이렇게 참으신 예수를 바라보라. 온갖 오해와, 중상과, 모략과, 비난과 모욕과 ,갖은 고통, 육체적 고통, 정신저인 고통, 모든 고난을 참고 이기신 예수를 바라보라고 권면합니다.
사랑하는 五천만 동포 여러분! 이 사순절기간에 신령한 눈을 열어 죄 없으신 우리 주님이 이렇게 인간이 퍼붓는 모든 고난과 고통을 참고 견디신 예수를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무슨 고난을 당하든지 낙심하지 아니하고 반항하지 아니하고 모든 것을 참고 이기신 예수를 바라봅시다. 특별히 남달리 고생을 당하는 동포들도 계신 줄 압니다. 그러나 예수를 바라보고 그의 인내를 본받아 모든 것을 참아 이기시기를 바랍니다.
특별히 북한에서 믿음을 지키는 성도 여러분! 얼마나 많은 피눈물을 흘리십니까? 그러한 가운데 십자가의 고난을 참고 이기신 예수를 바라봅시다. 이렇게 고난을 참고 이기신 우리 주님이 부활하셔서 우리 성도와 같이 항상 계십니다. (一九七四년 三월 十三일)
?-40 의의 기갈자 (마태복음 五장 六절)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배부를 것임이요』(마 五·六)
산상보훈 중 八복 가운데 한 구절입니다. 여기 의(義) 라는 말씀은 무슨 신학적 의미보다도 실제적인 의를 의미하는 줄 생각합니다. 옳은 것 올바른 것을 탐구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첫째로는『의에 주리고 목마른 것 같이 하는 자는 복이 있다』인간은 주릴 때에 음식에 대한 강한 욕망이 있습니다. 목이 마를 때에는 물을 구합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가 겸하면 얼마나 갈급(渴急)하겠습니까? 인간 심령의 가장 강렬한 욕망을 표시합니다. 인간에게는 물론 여러 가지 욕망이 잇습니다. 지식, 물질, 사랑, 권세, 명예도 있습니다. 이러한 욕망 외에 인간에게는 의에 대한 욕망도 있습니다. 옳은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올은 일을 하면 좋겠다 하는 욕망도 있습니다. 또한 사회에는 정의가 실천되어야 합니다. 누구나 이런 욕망이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옛날 악하기로 유명한 네로 황제도 젊어서 사형을 허락하는 첫 번 사인을 할 때에『내가 차라리 글쓰는 것을 안 배웠더라면……』하고 탄식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요컨대 이 의에 대한 욕망이 얼마나 우리에게 강력합니까? 주린 사람이 음식을 찾는 것처럼, 목마른 사람이 물을 찾는 것처럼 갈급합니까? 이것이 문제입니다. 돈에 대하여 혈안이 되어 뛰어 다니는 이들이 많습니다 사랑에 대하여 갈급해 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의에 대하여는 어떠합니까? 의에 대하여 주리고 목마른 것처럼 갈급하여 하는 이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하루에도 수 백만 사람이 서울 거리를 지나갑니다. 이 가운데 몇이나 의에 목말라 헤 매이며 다닙니까? 하나님 앞에서도 옳은 사람이 되고 사람과의 관계에도 오직 의를 찾고 더욱이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도 오직 의만이 실현되기 위하여 동분서주하며 갈급해 하는 이들이 몇이나 됩니까?.
예수 님께서는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이런 사람이 복이 있다고 분명히 들으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미 의인이 되었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런 갈급한 의에 대한 욕망만 있어도 복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전에 다윗이 성전을 짓지는 못 했으나 세울 마음은 간절하였습니다. 그 간절한 마음을 보시고 하나님은 그를 축복하셨습니다. 의에 주리고 목마른 마음을 하나님은 축복하십니다. 이 말씀을 듣는 이들 중에 혹 마음에『나는 아직도 죄를 계속하여 짓습니다. 그러나 이 죄를 꼭 끊기를 원합니다. 오 주여! 이 죄를 끊게 하여 주이옵소서. 오 주여 나는 아직도 나쁜 성질을 고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꼭 고치고 싶습니다. 도와 주시옵소서 오 주여! 우리 사회에 얼마나 불의가 많습니까? 그러나 좀 더 오른 사회, 좀 더 깨끗한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내 정성을 다하려고 합니다 . 주여 도와 주시옵소서』우리 가운데 이렇게 생각하며, 기도하며, 힘쓰는 이들이 있습니까? 이러한 이들은 이미 복을 받은 이들입니다. 왜? 그것은 그 속에 새 생명이 이미 싹트고 움직이고 자라는 중인 까닭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이런 이들은 바른 판단과, 바른 욕망을 가졌습니다. 팥죽 한 그릇 보다 장자의 명분이 얼마나 귀한 것을 깨달은 분들입니다. 돈이나 허영보다도 의에 목말라하는 이들입니다. 얼마나 귀합니까? 그리고 이처럼 의에 기갈(飢渴)한 이는 사실 다른 욕망이 그렇게 크게 시험하지 못합니다. 이 큰 욕망에 다른 것들은 점점 힘이 적어집니다. 옛날 아론의 지팡이처럼 다른 작은 뱀들을 잡아먹습니다. 이런 이들은 이미 성령의 역사가 시작된 증거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의에 주리고 목말라하는 자들에게 배부름의 축복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렇게 갈급한 심령들에게 의의 양식이 있습니다. 요한 복음 六장 三十五절 말씀에『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고 하셨습니다. 이런 이들은 예수께 그와 나를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얻게 됩니다. 의에 배부름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바울이 회개하기 전에 기독교를 박해하였으나 그의 깊은 심령 속에는 이 의에 대한 기갈이 있었습니다. 주님께서는 그를 불러 의의 기갈을 멈추게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빌립보서 三장 九절에『내가 가진 의는 율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곧 믿음으로 하나님께로 서 난 의라』말씀하셨습니다.
성 어거스틴도 루터도 아니 모든 성도들의 경험이 이러합니다. 그러므로 의에 정말 갈급한 이는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그리스도에게 나옵니다. 의의 욕망이 미지근함으로 예수께 나오는 발 거름이 뜸합니다.
유교의 경전 중에 하나인 맹자 첫 페이지에 당시 맹자는『왕은 어찌하여 이(利)만을 추구합니까? 인과 의를 구해야합니다』말하였습니다. 정치나 국제문제에 있어서도 소위 국가의 이익이라고 하여 의를 잊어버리면 아니 됩니다.
최근 신문에 보도되는 대로 일본은 대만항로를 중단하고 중공과 새로 항로를 열었습니다. 의보다는 이익 중심의 대표적인 정책입니다.
우리는 이웃을 가졌다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옛날 소돔 성이 의인 열 사람이 없어서 망하였다는 유명한 이야기는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의에 갈 급한 개인, 의에 갈 급한 정치인들이 아쉽습니다. (一九七四년 四월 二十五일)
?-41 전능하신 하나님 (창세기 十七장 一절, 마태복음 十九장 二十六절
요한계시록 十九장 六절)
『나는 전능하신 하나님이니 너는 내 앞에서 완전 하라』(창 十七·一)
『 사람으로는 할 수 없으되 하나님으로서는 다 할 수 있느니라』(마 十九·二十六
하반절)
『할렐루야 주 우리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가 통치하시도다』(계 十九·六)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이렇게 우리는 신앙을 고백합니다. 사도 신경의 첫 구절은 우리 기독교 신앙의 제일 조입니다. 하나님은 전능하십니다.
첫째, 하나님은 전능하시므로 누구나 어떤 사람이든지 구원하실 수 있다고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기가 약대가 바늘귀로 나가는 것보다도 어려우나 하나님으로서는 다 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삭개오는 세리(稅吏)장이요 또 부자이었으나 주님께서는 그런 이도 구원하셨습니다. 막달라 마리아 같은 여인은 일곱 귀신의 소유자이었으나 주님은 이런 이도 구원하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초대교회를 가장 크게 핍박하던 죄인의 괴수 사울 이라는 청년을 구원하실 뿐 아니라 이방인의 대사도인 바울을 변하게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전능하시므로 인간으로는 절망으로 보이는 사람들도 능히 구원하십니다. 그러므로 유대인만 아니고 당시에는 헬라인, 로마인, 지금은 전세계 어떤 민족이나 인종의 구별 없이 문화의 구별 없이 다 구원하십니다. 살인 강도도 구원하십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강도도 구원하셨습니다.
옛날 성 프랜시스의 유명한 제자 중의 하나는 강도 추신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누구든지 낙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무리 악한 습관의 소유자도, 아무리 과거의 더러운 죄를 범하였을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그 크신 긍휼(矜恤)과 자비로서 회개하고 예수께 나오는 심령을 전능하신 권능으로 구원하여 주십니다. . (一九七二년 一월 三十일)
?-42 풍성한 생명 (요한 복음 十장 七-十절)
『도적이 오는 것은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 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요 十·十)
이 말씀은 예수 님의 말씀입니다. 인간은 양이요 예수는 목자입니다. 인간 역사를 보면 인간의 생명을 해치는 도적이 많이 왔습니다. 인간의 육신을 파괴하는 도적들 곧 폭군, 독재자, 흉악(凶惡)자들도 많이 왔고 인간의 영을 파괴하는 도적들 곧 유물론자, 무신론자, 악덕 사상가들도 많이 왔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인간에게 생명을 주고 더 풍성히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어떤 종교에서는 생을 부정합니다. 생에 대한 욕망까지도 부정합니다. 이러한 소극적 종교도 있습니다. 그리하여 이런 이들은 혹은 깊은 산 속으로만 들어갑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생을 긍정합니다. 풍성한 생명을 줍니다.
一, 예수는 죽은 생명을 살리러 오셨습니다. 예수 님이 세상에 계실 때에는 언제나 죽은 자를 만나면 다시 살렸습니다. 야이로의 죽은 딸도 다시 살리고 나인성 죽은 아들도 다시 살렸습니다. 베다니의 죽은 나사로도 다시 살리었습니다. 예수는 장례식을 주례한 일은 없습니다. 예수는 생명의 본체로서 주님 앞에는 육신의 죽음도 용납될 수 없습니다. 이 사실은 영적으로 죽은 모든 인간을 다시 살리시는 큰 진리를 또한 나타내십니다. 인간이 허물과 죄로 그 영이 죽었습니다. 이 죽은 영들은 다시 살리기 위하여 또한 그는 오셨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죄를 회계하고 예수를 믿는 사람은 그 영을 주님이 또한 부활케 하십니다. 이렇게 주님은 죽은 생명을 다시 살리려 오신 것입니다.
二, 예수는 또한 병든 생명을 건강케 하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주님은 병자를 만나면 언제나 고쳐 주셨습니다. 소경을 보게 하시고 문둥이를 깨끗케 하시고 중풍병자들을 일어나 걷게 하셨습니다. 사실 주님 앞에는 어떤 병이든지 용납되지 아니하였습니다. 육체의 병도 고쳐서 건강을 주십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주님은 병든 영혼도 고쳐 주십니다. 근대 의학계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마음의 병은 육신의 병으로 나타날 때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주를 믿고 옳은 마음을 가질 때에 곧 기쁨과 사랑과 화평(和平)과 용서와 자비의 마음을 가질 때에 많은 병은 물러갑니다. 이적은 옛날만 일어 난 것은 아닙니다. 오늘도 계속됩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제일 중요한 마음의 병은 곧 죄입니다. 이 죄를 회개하고 용서함을 받을 때에 유신의 병도 또한 나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라 주님은 육 적으로나 영적으로나 건강한 생명을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三, 예수는 또한 구속된 생명을 해방하여 자유를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주님께서 친히『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눌린 자를 자유께 하기 위하여』오셨다고 하셨습니다. 얽매인 생명들이 많습니다. 무지에 얽매인 생명, 미신에 얽매인 생명, 근심과 공포에 얽매인 생명. 빈곤에 얽매인 생명, 불의(不義)한 권력에 얽매인 생명, 욕심에 얽매인 생명, 죄에 얽매인 생명들이 많습니다. 예수께서 오신 것은 이 모든 인간의 생명을 얽매이는 쇠사슬을 끊어버리고 자유를 주시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주를 믿는 자마다 이 모든 사슬에서 해방이 됩니다. 그 심령이 마치 하늘을 향하여 올라가는 독수리와 같이 됩니다. 주의 영이 있는 곳에 자유 함이 있습니다.
四, 예수는 또한 파리한 생명을 살찌게 합니다. 죽지도 않고 병도 없고 구속도 안 되었으나 피폐(疲弊)한 심령들 목마른 심령들, 허약한 심령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심령들에게 힘을 주시고 튼튼케 하시고 윤택케 하십니다. 이러한 이들에게 예수는 생명의 양식과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을 주십니다. 따라서 주님 주시는 이런 풍성한 생명은 연원 무궁합니다. 영원히 계속됩니다. 그러므로 우리 주님도『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하셨습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우리 인간에게 가장 귀한 것은 생명입니다. 건강한 생명, 윤택한 생명 자유로운 생명 곧 풍성한 생명입니다. 예수께 나오는 이마다. 금생(今生)과 내생의 이 풍성한 불멸의 생명을 얻습니다.
?-43 예수는 길 (요한 복음 十四장 一-六절)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질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요 十四·六)
사도 베드로는 일찍이『인간은 나그네와 같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인생은 한 나그네, 한 길가는 나그네라는 사상은 성경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동서고금의 많은 성현들이 역시 이 사실을 상기케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동양에도「인생 여로(人生 旅路)」혹은「인생 행로(人生 行路)란 말이 옛날부터 내려옵니다.
과연 인생은 한 길가는 나그네입니다. 또 그 길은 일방 도로입니다. 한 번 가고 다시 못 돌아오는 길입니다.
그러면 길가는 인간들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길을 옳게 들어가는가 함입니다. 갈 길을 바로 택함이 얼마나 귀한 일인지 모릅니다.
해방 이후 이북에서 남으로 피난 오는 동포 중에 길을 잘못 들어서 고생을 당한 이들이 많습니다. 六·二五사변 초기에 미군 사령관인 딘 소장이 대전 남방에서 길을 잃어 포로가 되었다는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사실 인생행로의 길을 잃어서……사상적으로,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도덕적으로, 심지어 종교적으로, 길을 잘못 들어 큰 곤란, 실패, 가정의 파탄, 온갖 비극, 인생을 그르치는 이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왜? 서대문 교도소에 그렇게 많은 동포들이 모여 앉아 있습니까? 한 마디로 길을 잃어서……
왜? 인천교도소에 그렇게 많은 소년들이 모였습니까? 불행히도 역시 길을 잃어서…
왜? 가정 재판소에 문을 두드리는 젊은 부부가 많습니까? 역시 길을 잃어서……
왜? 우리 사회에 종종 불상사, 각종 범죄, 자살, 사건들이 일어납니까? 불행히도 이들 역시 인간 행로의 길을 잃은 까닭이 아닙니까?
여러분! 우리는 다 인생행로의 길을 가는 나그네입니다. 길가는 이들의 가장 중요한 것은 길을 바로 찾아 옳은 길을 걷는 것입니다.
여러분! 여러분은 다 현재 옳은 길을 걷고 있습니까?
방금 여러분의 걷는 길이 의의 길인가? 혹은 불의의 길인가? 깨끗한 길인가? 불결한 길인가? 참된 길인가? 아니면 거짓된 길인가? 또는 양심의 길인가? 비양심적 길인가? 생명의 길인가? 아니면 사망의 길인가? 스스로 깊이 살펴봅시다.
잠깐 있다가 사라지는 안개 같은 육의 길을 허영의 길, 방탕의 길을 걷는 이는 없습니까?
여러분! 바른 길을 꼭 택해야합니다. 이 한 해를 옳게 살려면 이 새해에 특별히 옳은 길을 택하여야 합니다.
본문 성경말씀을 다시 봅시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질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예수 님이 곧 옳은 인생의 길입니다. 그만 따라가면 잘못될 수 없습니다. 인생을 그르치지 아니합니다. 금생(今生)과 내생에 무한한 축복을 받습니다.
왜? 예수는 진리의 길이요, 생명의 길인 까닭입니다. 예수로 말미암아 이 우주의 근본 진리인 살아 계신 하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수로 말미암아 생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풍성한 생명을 얻습니다. 아니 영원한 생명을 얻습니다. 예수께 나아와 과거의 죄를 회개하고 새 사람이 되어 길 되시는 그만 따라가면 참된 행복을 얻습니다. 참 자유를 얻습니다. 참 평화를 얻습니다. 이것은 개인적으로도 그리하고 가정적으로도 그러하고 민족적으로도 그러하고 국가적으로도 또한 그러합니다. 우리 五천만 민족이 진리와 생명이 되시는 예수만 따라가면 번영도 자유도 평화통일도 자연히 이루어질 것입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새해 벽두에 인생의 옳은 길이 되시는 예수를 따르세요. 예수를 믿으세요. 그리하면 금년 새 해야 말로 우리 五천만이 다 같이 자유와 행복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 되시는 예수를 믿으세요. 금수강산 삼천리에 흩어져있는 五천만 배달 민족 여러분! 一九七三년 새해에 진리와 생명의 길 되시는 예수 님을 영접하십시오.
(一九七三년 一월 )
?-44 자연법칙과 도덕법칙 (갈라디아서 六장 七-十절)
『스스로 속이지 말라 하나님은 만홀(漫忽)이 여김을 받지 아니하시니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 六·七-十)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이는 자연의 진리입니다. 또 이것은 자연계의 한 법칙입니다. 뿐만 아니고 영적, 도덕적 세계의 한 법칙입니다. 콩을 심으면 콩을 거둡니다. 마찬가지로 육체를 심으면 썩어진 것을 거둡니다. 그러나 심령으로 심으면 영생을 거둡니다. 이렇게 자연계에는 자연법칙이 있어서 만상이 운행되고 영계에는 도덕적 법칙이 있어서 만인의 운명을 지배합니다.
一, 이렇게 이 우주에는 자연법칙과 도덕법칙이 있는 것을 알고 살아야 옳게 삽니다. 사실 과학의 발전은 자연계에 이 법칙이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을 발견하므로 이루어졌습니다. 가령 중력의 법칙은 옛날부터 있었으나 뉴톤이 이것을 분명히 깨닫는데서 크게 과학발전에 공헌하였습니다. 이 법칙을 알지 못하고 건축가가 될 수 없으며, 비행기나 우주선의 고안자나 조종사가 될 수 없습니다. 문화의 발전은 이 자연법칙을 각 방면에서 찾아내므로 점점 이루어져 가고 있습니다. 전신전화를 비롯하여 라디오, TV,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이 자연법칙에 의지하여 발전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이 자연법칙을 잘 아는 이야말로 실로 문화인입니다. 마찬가지로 영적 세계에도 도덕의 법칙은 옛날부터 있었습니다. 이 법칙은 먼저 인간의 양심부터 일어납니다.
그러나 이 법칙들을 좀 더 분명히 발견하고 가르친 이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우리 동양에서는 성현이 하였고 서양에서는 흔히 철학자라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동양의 공자나 맹자, 서양의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같은 이들은 다 이러한 역할을 한 이들입니다. 성경에는 이러한 이들을 흔히 선지자라 하였습니다. 이들은 다 이 도덕적 법칙을 부분적으로 발견하여 가르쳤습니다. 그러나 이 법칙을 가장 완전히 나타내시고 가르친 이가 있습니다. 그는 곧 그리스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산상보훈(山上寶訓)과 그 밖에 여러 교훈가운데서 가장 완전한 도덕의 법칙을 볼 수 있으며 그의 성품과 생활을 통하여 더 분명하게 이 법칙을 목도할 수 있습니다.
二, 그러므로 둘째로,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 자연법칙과 도덕법은 언제나 변치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현대 과학의 발달로 우리의 생활의 모습은 많이 변하였으나 자연법칙은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절대로 변함이 없습니다. 여전히 아침과 저녁은 변치 않습니다. 밤과 낮도 여전합니다. 춘하추동 四계절도 여전합니다. 꼭 마찬가지로 도덕의 법칙도 옛날이나 오늘이나 변치 아니합니다. 심은 대로 거둡니다. 육체를 따라 심으면 육체로 말미암아 썩어질 것을 거둡니다. 악을 심으면 악으로, 불의를 심으면 불의로 거둡니다. 반면에 선으로 심으면 선으로, 덕으로 심으면 덕으로 거둡니다. 생활양식이 변한다고 혹은 풍속이 변한다고 도덕법칙이 변하는 줄로 오해하지 마십시오
三, 그러므로 이 자연법칙과 도덕법칙은 순복(順服)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아니하면 성경의 말씀과 같이 내가 나를 스스로 속이는 것뿐입니다. 우리는 몇 해전에 일어난 와우 아파트 사건을 지금도 뼈저리게 기억합니다. 시멘트가 완전히 굳어지는 데 일정한 자연법칙이 있습니다. 시멘트와 모래와 자갈과 물의 배합이 꼭 이 자연법칙대로 배합이 되어야 합니다. 이 법칙을 순종치 아니하면 결국 그 집은 조만간 무너집니다. 건축만 아닙니다. 도로포장이나 다리를 놓는 것이나 기계를 다루는 것이나 모든 것이 그러합니다. 왜 무슨 사고가 우리사회에 자주 일어나는가? 결국은 누군가가 이 법칙을 무시한 까닭입니다.
꼭 마찬가지로 인간이 도덕법칙을 속이지는 못합니다. 이것을 속일 줄로 알고 순복치 않는 사림은 자기가 자기를 속인 것을 깨닫게 될 날이 반드시 옵니다. 사실 이 법칙을 어김으로 파탄된 가정도 많고 불실 기업도 많고 교도소에 들어가는 이들도 많습니다. 여기 하나님은 만홀(漫忽)히 여김을 받지 아니한다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우리 인간이 하나님을 농락할 수 없습니다. 비웃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우주를 지으시고 그 가운데 자연법칙을 두시고 인간을 지으시고 도덕의 법칙을 두어 옳게 살도록 만드셨습니다.
五천만 동포여러분! 옛날부터 순천(順天)자는 흥하고 역천(逆天)자는 망한다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을 거슬릴 수 없습니다. 인간의 옳은 생활은 하나님을 공경하고 그 법칙대로 사는데 있습니다. 그 길은 독생자 되시는 예수를 믿고 그 교훈대로 사는 것입니다.
?-45 승리적 생활의 비결 (다니엘 一장 八절, 六장 十절)
『다니엘은 뜻을 정하여 왕의 진미와 그의 마시는 포도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리라 하고』(단 一·八 상반절)
『다니엘이 조서에 어인이 찍힌 것을 알고도 자기 집에 돌아가서는 그 방의 예루살렘으로 향하여 열린 창에서 전에 행하던대로 하루 세 번씩 무릎을 꿇고 기도하며 그 하나님께 감사하였더라』(단 六·十)
다니엘은 학문과 지혜가 많은 학자요, 장래 인류의 역사를 미리 내다 본 위대한 예언자요, 바벨론과 파사의 두 나라를 통하여 활약한 탁월한 정치가이었습니다. 그런 환경가운데서도 아무 허물을 찾을 수 없었던 고결한 생활을 한 위대한 인격자로 역사상에 나타납니다. 그는 나이 어릴 때에 바벨론에 포로가 되어 포로로서 원수의 나라에서 온갖 고난을 당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런 역경 가운데서 모든 것을 이기고 위대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일까요? 지금 읽은 두 구절은 그 비결을 잘 설명하여 줍니다. 다니엘 一장 八절 『다니엘은 뜻을 정하여』하는 말이 있습니다. 곧 결심 혹은 결단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六장 十절『매일 세 번씩 기도하였습니다』는 말이 있습니다. 다니엘은 청년시대에 결심과 기도가 있었습니다.
一, 먼저 그는 왕의 진미와 포도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않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왜 왕의 진미를 안 먹기로 결심하였는가? 옛날 이스라엘사람들은 모세의 율법에 의하여 불결한 짐승의 고기를 먹지 않았습니다. 또 그때는 흔히 고기를 먼저 우상의 제물로 드리고 먹던 때입니다. 고로 그는 아예 채식주의 자가 되었습니다. 왜 포도주를 마시지 않기로 결심하였는가? 포도주는 흔히 우상에 드리는 제주로 사용하고 먹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아예 철저한 금주를 결심하였습니다. 보통 청년들 같으면 바벨론에서는 바벨론 풍속대로 살아야지 혹은 먹고 마시는 것이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생각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그렇지 아니하였습니다. 아무리 적은 일이라도 자기 신앙 양심에 거리끼는 일은 자기생활에서 단연 용납하지 않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이 결심 혹은 결단이야말로 그의 일생을 통한 승리 적 생활의 비결이었습니다.
청년 시대에 생의 원칙에 대한 결단을 내리는 것은 매우 필요합니다. 하나님을 섬기랴 혹은 바알을 섬기랴 정의 편에 서랴 혹은 어디나 유리한 데로 따라 가느냐.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느냐 그저 넓은 길을 가느냐 결심이 필요합니다. 한번 결심하면 마음이 편합니다. 새 용기가 납니다. 새 힘을 위로부터 받습니다. 모든 유혹을 물리칠 수 있습니다. 내 몸을 더럽히지 않기로 청년 시대에 결단을 꼭해야 합니다.
二, 그리고 그는 예루살렘을 향한 창문을 열어 놓고 하루에 세 번씩 하나님께 기도를 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매일 이 기도의 열린 창을 통하여 하늘의 햇빛과 하늘의 공기가 그 심령 속에 들어왔습니다. 그러므로 매일 새 용기와 능력을 받았습니다. 그 많은 지혜도 이 기도를 통하여 받았습니다. 사자 굴에 들어갈 것을 알면서도 왕의 명을 거절한 그 용기도 이 기도 생활을 통하여 매일 얻은 것입니다. 매일 일정한 사간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 간절히 기도하는 것은 얼마나 귀한 일인지 알 수 없습니다. 결단괴 기도, 이 두 가지는 청년 다니엘로 하여금 그러한 역경에서도 그로 하여금 고결한 생활을 하게 하였으며 민족과 인류를 위하여 위대한 봉사를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특별히 청년 여러분! 우리가 사는 이 시대도 실로 불의, 부정, 부조리 그리고 불안과 공포의 시대입니다. 이러한 시대, 이러한 땅위에서 태어난 여러분이 일생을 허비하지 아니하고 과연 보람있는 승리 적인 생활을 하기를 원하십니까? 사실 중심에 이러한 간절한 소원이 있다면 청년 시대에 몸을 더럽히지 않도록 결단을 내리고 또한 이 청년 다니엘과 같이 매일 기도의 생활을 하십시오 하나님께서 제군을 도우실 것입니다.
?-46 새해에 새로워지는 은혜 (고린도 후서 四장 十六-十八절)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고후 四·十六)
이 절은 새 번역에는『그러므로 우리는 낙심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겉 사람은 낡아지고 있으나 속 사람은 나날이 새로워지고 있습니다』여기서 사도 바울은 자기의 체험을 말합니다. 사실 그의 겉 사람 곧 육체는 점점 후패(朽敗)하여 갔습니다. 그 원인은 몇 가지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선 그는 항상 과로로 인하여 그 몸이 지쳤습니다. 또 그는 몸에 가시 곧 그를 괴롭히는 병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 위에 또한 그는 종종 핍박으로 말미암아 그 몸에 상처를 입은 적도 한 두 번이 아닙니다. 그리고 또한 그는 점점 늙어가니 쇠약하여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모든 결과는 그의 겉 사람은 점점 후패하여 잤습니다. 그러나 그는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속 사람은 곧 그의 심령은 나날이 새로워진 까닭입니다. 그는 점점 후패하여지는 육신 가운데서도 나날이 속 사람은 새로워지는 은혜를 받은 것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은혜를 받으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는 이런 은혜를 이 새해에 꼭 받아야 합니다.
一, 먼저 우리가 기억할 것은 산 것이 새로워집니다. 산 나무에서 새 잎이 돋습니다. 산 잔디에서 새 싹이 납니다. 산 꽃이 아름답게 핍니다. 죽은 것이 새로워 질려면 우리 심령이 먼저 죄와 허물의 죽음 가운데서 다시 살아야 합니다. 영적 부활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주님은 먼저 거듭나라고 하였습니다. 참으로 죄를 회개하고 살아 계신 주님을 우리 마음속에 영접하여 중생의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하면 나날이 새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여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사람을 입어라』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고린도 후서 五장 十七절에는『누구든지 그리스도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나날이 새로워 자려면 먼저 회개와 신앙으로 새 사람이 되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들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나날이 새로워지는 비결입니다. .
二, 우리 인생이 걷는 길은 때로는 메마른 사막과 같아서 심히 피곤하여집니다. 그런 때에 영적 오아시스 곧 맑은 샘물이 필요하게 됩니다. 아무리 지친 심령이라도 이 맑은 생명수를 마시게 되면 그 피곤한 심령이 또한 새로워집니다. 이 영적 생수를 어디서 얻을 수 있습니까? 이것 역시 예수 님께로 나와야합니다.
주님은 일찍이 사마리아에 있는 야곱의 우물가에서 마침 물 길러 나오는 여인에게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말을 하셨습니다.『이 물을 먹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나의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여러분 이러한 샘물을 마서야 합니다. 인생의 나그네길은 메마른 곳을 지날 때가 많습니다. 피곤하고 쇠약하여집니다. 그러나 주를 믿고 기도를 통하여 그와 항상 교통하는 이들에게는 시원한 생명수 곧 성령을 충만히 받습니다. 그러므로 이런 심령은 나날이 새로운 힘을 얻고 새 용기를 얻어 새로워지는 것입니다. 피곤한 길이라도 다시 일어나 걸을 수 있습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우리가 사는 이 땅에는 三八선이 있고 우리가 사는 이 세계에는 유류(油類)파동, 경제적 불안, 온갖 사회적 불안이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이 一九七四년이야말로 우리 동포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류가 피곤한 사막 길을 걸을 수밖에 없을 듯 합니다. 여러분! 이런 세계, 이런 시대에도 나날이 새로워지는 비결이 있습니다. 그것은 온전히 회개하고 주님 안에서 새 생명을 얻으며 날마다 그에게서 흘러나오는 신령한 생수를 마시는 데 있습니다. 이 새해에 이러한 은혜를 받아 우리는 새 힘과 새 용기와 새 지혜를 가지고 피곤한 인생길이라도 담대히 걸어갑시다.
?-47 죄와 그 대책 (로마서 六장 十五-二十三절) .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 있는 영생이니라』(롬 六·二十三)
여기 우리 인간이 꼭 들어야 할 하나님의 경고가 있습니다.『너희 죄가 정년 너희를 찾아 낼 줄 알라』인간은 죄를 지으면 흔히 그 죄를 가리우고 싶어합니다. 또 그 죄를 잊어버리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죄 자체는 죄인을 가리워 주지도 않고 잊어버리지도 않습니다. 그림자와 같이 혹은 사냥개와 같이 그 죄인을 항상 따라다니다가 그 죄인을 붙잡고 죄의 값을 받아 내고야 맙니다. 속담에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고 죄를 피할 길은 없습니다.
一, 우선 죄는 그 양심에서 죄인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값을 받습니다 전에 가롯 유다 가 은 三十냥으로 예수 님을 팔고 그 돈을 가지고 좋은 집을 사고 편안히 살았던가요? 아닙니다.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그는 그 돈을 도로 대제사장에게 가지고 가서 주려고 하여도 받지 않으니 그 돈을 성전 뜰에 내어 던지고 돌아와 목매어 자살하였습니다, 왜? 그 죄가 그 양심에서 그를 찾아 죄의 삯을 받은 것입니다.
우리 이조 역사에 수양대군이 자기 조카 단종을 죽이고 육신을 섬멸한 후에 왕위에 올랐으나 얼마나 자주 흉몽(凶夢)에 놀라며 큰 번뇌 중에 살았다는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왜? 그 죄가 그 양심에서 삯을 받은 것입니다. 인간이 죄를 지으면 혹 잊어버릴 수 있으나 그 잠재의식 속에서는 잊을 수 없습니다. 죄로 말미암아 오는 공포심 온갖 고통은 육체적으로도 각종 질환으로 나타나고 정신적으로도 여러 가지 불행스러운 결과를 가져옵니다. 전신 이상이 될 수도 있고 자학 또는 자실 행위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二, 그 뿐만 아닙니다. 사실 죄란 이 세상에서도 흔히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요셉과 그 형제들의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합니다. 그 형들은 요셉을 시기하여 그를 애굽의 종으로 팔아먹고 그 옷에 피를 묻혀 짐승이 잡아먹었다고 그 아버지를 감쪽같이 속였습니다. 그 후에 그 형들은 아마 그들이 지은 죄를 거이 잊어버렸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 후에 어떻게 되었습니까? 가나안 땅에 흉년이 들었습니다. 먹을 것이 없어서 그 형들은 곡식을 구하려 애굽에 내려갔었습니다. 내려가서 누구를 만났던가? 천만 뜻밖에 요셉을 만나지 않았습니까? 그들의 죄와 거짓말은 청천 백일하에 드러났습니다. 그들의 죄는 결국 그들을 애굽까지 쫓아와 삯을 받고야 말았습니다. 내가 아는 친구 중에 한국에서 학생신분으로 가지 못 할 곳을 갔다가 화루병에 감염되어 그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까지 갔다가 그 병이 드러나 상륙하지 못하고 도로 돌아온 이도 있었습니다. 죄는 그 죄인에게 그 값을 받아 내고야 맙니다.
三, 그 뿐만 아닙니다. 요한계시록 二十장 十二절 이하에는 다음과 같은 엄숙한 기록이 있습니다.『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무론 대소하고 그 보좌 앞에 섰는데 책들이 펴 있고 또 다른 책이 펴졌으니 곧 생명 책이라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에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 바다 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서 죽은 사람들을 내어주매 각 사람이 자기행위대로 심판을 받고 사망과 음부도 불 못에 던 지우니 이것은 둘째 사망이니라』최후 하나님 앞에서 대 심판이 있습니다. 죄는 영원한 나라에서 그 죄인을 찾아내고야 맙니다. 그러면 우리 인간은 다 죄인인데 생명의 길이 어디 있는가, 그 길은 오직 하나입니다. 죄가 나를 찾아내기 전에 먼저 회개하고 죄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죽음으로 대속(代贖)하여 주신 예수를 믿는 길입니다. 옛날 로마시대에 한 흉악한 해적의 두목이 회개하고 사죄를 받아 로마 해군의 장교가 된 유명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죄가 나를 찾기 전에 내가 먼저 회개하고, 예수그리스도를 믿읍시다. 예수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의인을 부르고자 함이 아니요, 죄인을 불러 구원하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48 민족과 나라를 위한 기도 (마태복음 七장 七절-十二절)
『구하라 그러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러면 찾을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러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구하는 이마다 얻을 것이요 찾는 이가 찾을 것이요 두드리는 이에게 열린 것이니라.』(마 七·七-八)
산상보훈의 한 구절입니다. 기도에 대한 우리 주님의 교훈입니다. 가령 기도하는 중에 먼저 우라는 말하자면 마음의 눈으로 하나님을 우러러봅니다. 앙망(仰望)의 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에도『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기도를 가르친 것입니다. 여기에 또한 감사의 요소가 있습니다. 우리는 기도할 때에 과거의 모든 축복을 생각하면서 감사를 들입니다. 또는 회개의 요소가 있습니다. 과거의 내 생활을 반성하면서 모든 허물과 죄를 고백합니다. 그리하여 십자가의 보혈로 죄 사함을 받습니다. 그리고 계속하여 기도의 제일 중요한 부분인 간구(懇求)가 있습니다. 산상보훈에서 우리 주님은 가르치면서 여기에는『구하라, 찾으라, 문을 두드리라』하는 말씀으로 교훈 하십니다
첫째는, 먼저 우리의 쓸 것을 구하라고 하셨습니다. 주기도문에는 일용한 양식을 비롯하여 모든 것을 구하라고 하셨습니다. 구하면 주시리라고 또한 약속까지 하셨습니다. 그리고 또한 찾으라는 말씀도 하였습니다. 아마 이 말씀은 목자가 잃은 양을 찾듯이, 여인이 잃은 은전을 찾듯이 각 방면으로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 듯 합니다 이것은 입으로만 구하라는 것이 아니고 또한 활동으로 구하는 것을 의미한 듯 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가서 문을 두드리라고 하셨습니다. 열릴 때까지 두드리라고 하셨습니다. 이것은 계속적인 간구와 노력을 의미한 줄 생각합니다.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반듯이 그 크신 뜻에 의지하여 우리의 기도를 응답하시고 약속하신 성령을 충만히 주실 뿐더러 모든 좋은 것으로 채워 주시리라고 주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구하여야 되겠습니다. 찾아야 되겠습니다. 문을 두드려야 하겠습니다. 주실 때까지 찾아야하며 문이 열릴 때까지 두드려야 합니다.
둘째는, 나는 오늘 우리 온 민족이 다 같이 꼭 구하고, 찾고, 계속하여 문을 두드려야 할 큰 기도의 제목이 몇 가지 있다고 봅니다.
첫째로는,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남북적십자 회담이 평양에서 열렸고 또 계속하여 서울에서 열리게 되었습니다. 이 회담은 이산된 一천만의 가족을 도로 찾기 위한 회담입니다. 이 회담은 꼭 가족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어야하며 또 이 목적이 꼭 달성되어야 합니다. 여러분께서 매스컴을 통하여 듣고 보는 바와 같이 평양회담의 결과는 우리편에서는 진지하게 어디까지나 인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나 저편에서는 까닭 없이 정치적인 문제와 결부시키려는 태도가 농후합니다. 또한 四박 五일이나 허비하면서 참으로 회담한 시간은 三시간 뿐 입니다. 그 다음은 망경대 참관이니 영화니, 오페라 구경이니 이런데 허비하는 모양입니다. 다시 말하면 저들은 이 기회를 자기네 선전에 一백 %로 이용하려는 속셈인 듯 합니다. 유감스러우나, 이것이 오늘에 우리가 당면한 현실입니다 얼마나 우리편의 지혜와 인내와 자중과 용기와 모든 은혜가 필요한지 말로 다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기도로 후원하여야 하겠습니다. 우리 남한의 三천만이 회담이 성취되도록 계속하여 하나님께 간구합시다.
둘째로는, 우리 한국 五천만 민족의 소원인 통일을 위하여 구하고, 찾고, 문을 두드릴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이 통일에 대하여 생각하며 의논하며 또한 기도할 때에 우리는 분명히 기억할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하나는 우리가 다 통일을 원하지마는 그 통일은 꼭 바로 되어야 합니다. 곧 자유가 중심 되는 통일이어야 합니다. 이북 공산들이 꿈꾸는 적화통일의 사상이 있는 것을 우리는 경계해야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통일이라고 하면 언제나 자유를 중심한 통일인 것을 기억해야합니다. 또한 우리의 염원은 이 통일은 반드시 평화적으로 달성해야 합니다. 통일이 아무리 귀하지만 민족상잔의 참극이 이 땅에 다시 벌어 저서는 아니 됩니다. 북괴는 일찍이 六·二五란 큰 범죄를 감행한 것을 우리는 늘 기억하면서 항상 경계하면서 오직 평화적으로 통일이 이루도록 기도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자유를 중심 한 평화적 통일이 이 땅에서 이루어지기 위하여 항상 기도합시다.
셋째로는, 이상과 같은 적십자 회담의 좋은 성과와 자유를 중심 한 평화통일이 사실 이 땅에서 이루러지려면 북한 동포들이 꼭 진리를 깨닫고 하나님께 돌아와야 합니다. 그러므로 북한 선교를 위하여 우리는 기도해야 합니다. 노력해야합니다. 문을 두드리듯 계속하여 노력해야합니다. 본 총회에서는 작년부터 북한 선교위원회를 조직하고 이 문제에 대하여 기도하며 연구하며 실행하여 왔습니다. 우리는 이 북한 선교를 어느 때보다도 강화해야 될 현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자금만 있으면 북한 선교의 길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우선 방송국을 통하여 전도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또 三八선에 연하여 북한 청년들이 四十만 내지 五十만이 휴전선 북편에 나와 있습니다. 좋은 확성기 시설과 조흔 메시지를 실은 테이프를 많이 만들 수 있으면 이 청년들에게 밤낮 복음의 노래와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또 휴전선을 연하여 높은 고지에 큰 십자가를 세우고 밤에는 조명을 잘하면 무언의 큰 정신적인 감화를 받게 될 줄 믿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무엇보다도 금년부터 이 북한 선교에 궐기해야 합니다. 기도로, 내 시간으로 내 물질로, 북한 선교를 위하여 무든 노력을 합시다. .
그리고 이상 三대 기도목표 이외에 한가지 여러분의 기도를 요청하는 제목이 있습니다. 다음 주부터 본 총회 안에 있는 전국 복음 화 운동본부 주최로 미국의 저명한 하가이(John Haggai)박사와 여러분을 초청하여 순천, 대전, 원주, 세 도시에서 대 전도 회를 하게 되는데 특별히 위하여 기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에서는 九월 二十四일 주일 오후에 한 번만 대 집회를 가지고자합니다. 위하여 기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9 은혜와 책임 (고린도 후서 六장 一- 二절)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자로서 너희를 권하노니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고후 六·一)
여기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 하는 경고의 말씀이 있습니다. 곡 귀담아 들어야 할 말씀인 줄 생각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기 쉽습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시는 모든 것은 다 은혜입니다. 다시 말하면 무슨 값을 받고 주시는 것이 아니고 거저 주시는 것입니다. 또 우리가 무슨 은혜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거저 주시는 것입니다.
천지만물도 은혜로 거저 주셨습니다. 일월 성신, 산천초목, 오곡백화, 신선한 공기와 물, 이 모든 것도 은혜로 거저 주셨습니다. 우리는 이 은혜를 헛되이 받기 쉽습니다. 감사할 줄 모르고 무심하게 살 수 있습니다. 은혜를 헛되이 받지 않는 이들이 매우 적을까 염려됩니다. 자연계를 통한 하나님의 은혜뿐 아니고 특별히 복음을 통하여 주신 은혜를 헛되이 받기 쉽습니다.
우리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멸망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사랑의 하나님께서는 그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보내셨고 그는 우리 이간의 죄를 대신하여 고난을 받으시므로 속죄하여 주었건만 이 복음을 믿어 은혜를 헛되이 받지 않는 이가 아직도 적지 않습니다.
여기 말씀은, 특별히 이 복음을 통하여 주시는 큰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고 권면하십니다. 이 말씀을 듣는 여러분은 이 크신 은혜의 축복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 길은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내 구주로 믿어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는 것입니다. 이 큰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또 그 밖에도 종종 우리는 큰 은혜를 받습니다. 어떤 이는 건강의 축복을, 어떤 이는 물질의 축복을, 어떤 이는 지식과 기술의 축복을, 어떤 이는 특별한 재능의 축복을 은혜로 받습니다. 우리는 이 모든 은혜를 헛되이 받아서는 아니 됩니다. 감사할 줄 알아야 하고 꼭 하나님의 뜻대로 이 모든 은혜를 위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지나간 주간은 우리 한국교회가 특별한 은혜를 받은 줄 압니다. 곧 빌리 그레함 전도대회를 통하여 전국적으로 七대도시와 또 六천명 내지 八천명의 교역자들이 모여 전도 연수대회를 가졌습니다. 특별히 서울대회는 그 넓은 여의도 五·一六광장을 매일 저녁 五十만의 인파가 메웠고, 주일 오후에는 백만을 훨씬 넘는 인파가 서울 대교에서 영등포 다리까지 꽉 메웠습니다. 이렇게 그레함 박사의 과거 三十년간의 기록을 깨뜨렸을 뿐더러 제가 아는 대로 전 세계, 전 기독교사에 새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런 기적이 한국에서 이루어졌다고 하는 것은 실로 하나님의 크신 은혜입니다. 이렇게 많은 수를 통하여 한국기독교의 저력이 과시 되였으며 그렇게 많은 군중이 사고 하나 없는 질서가 정연한 모범으로서 한국 기도교인의 긍지와 훈련된 종교인의 모습을 온 세계에 보여 주었습니다. 그 뿐만 아니고 금번 기회를 통하여 한국 크리스천들이 공동의 목적을 위하여 일치하고 단결한 수 있다는 사실이 또한 증명되었습니다.
이번 전도대회를 통하여 새 결신 자도 수 십 만에 이를 줄 생각합니다. 실로 하나님의 은혜가 얼마나 큰지 말로 다 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이 은혜를 헛되이 받아서는 안됩니다 그 길은, 우리가 겸손히 모든 영광을 하나님께 돌려야하며 우리 하나 하나가 더욱 분발하고 헌신하며 주안에서 하나가되며 전도와 봉사에 힘을 씀으로 문자 그대로 五천만을 다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며, 우리 한국으로 하여금 영적으로 초강대국을 만들어 한국교회로 하여금 세계의 등대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앞으로 이 사명을 다하여 이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맙시다. 다 같이 일어나 빛을 발합시다..
?-50 생의 허무감 (전도서 一장 一-八절)
『전도자가 가로되 헛되고 헛되며 헛되니 도든 것이 헛되도다』(전 一·二)
전도서의 한 구절입니다. 전도서의 기자는 인간에게 최상의 선(善)이 무엇일까? 이 지극히 선한 선을 탐구하기를 시작하였습니다. 모든 것을 알기를 원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동서 고금의 많은 서적을 읽기도 하고, 연구도하고, 자연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하여 세밀한 관찰도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상당한 많은 지식을 얻어 보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얘기한대로 거기서 참된 만족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그의 최종 결론은『지혜가 많으면 번뇌가 많고 지식이 많으면 근심도 많도다』하고 탄식하였습니다. 이 결론은 현대인에게도 의미심장합니다 현대인이야말로 각 방면으로 지식을 탐구하여 과학 문명이 절정에 도달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심지어 우주선이 공중에 치솟고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고 있습니다. 그 뿐 아닙니다. 원자탄, 수소탄의 소위 버섯구름은 인류의 머리 위에 점점 크게 덮어 지기만 합니다. 지식이 많은 현대인이야말로 과거 어느 시대에 산 인류보다도 불안과 공포에 쌓이게 되었습니다.
둘째로 이 전도자는 쾌락을 혹은 향락을 탐구하여 보았습니다. 옛날 에피튜리안처럼 각 방면에서 향락을 누려 보았습니다. 그리하여 육체의 모든 향락도 마음껏 누렸습니다. 큰 궁전을 지으며 화려한 의복을 입으며 아름다운 동산을 만들며 가진 음악을 들으며 먹고 마셨습니다. 육체의 욕망도 마음껏 채워보았습니다. 그 후에 그의 결론은 이것 역시 오직『고통과 실망뿐인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향락 속에 고통이 내포되고 쾌락 뒤에는 실망이 따랐습니다. 현대의 에피큐리안 잔도(殘徒)도 역시 같은 결론에 이를 것입니다. 향락 지상주의는 흔히 환멸과 자학과 때로는 자살로 끝맺습니다.
그리고 이 전도자는 셋째로는 큰 사업을 일으키고 많은 재산을 모으는 데서 인간생활의 참 만족을 찾아보려고 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큰 경제적 사업을 일으키며 많은 재산의 축적에 노력하였습니다. 공장을 지으며 바다에는 배를 띄워 무역을 계속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큰 재산도 축적하였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도 그는 참 만족을 얻을 수 없고 그의 마지막 말은 오직『근심과 실망』뿐인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도 현대인에게 적절하지 않을까 합니다. 현대인들 역시 큰 사업을 일으키기를 애쓰며 각 방면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눈부신 활동을 합니다. 큰 재벌이 되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여기에 인간 심령 깊은 속에 참된 만족을 얻을 수 있습니까? 아마 현대인 중에도 이 전도자처럼 근심과 실망에 빠지는 이가 많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넷째는 이 전도서의 저자는 아름다운 이름 곧 명예를 탐구하여 보았습니다.「아름다운 이름은 보배로운 기름보다 낫다」옛날 유대인의 속담이 있습니다. 우리 동양에는 옛날부터 이름을 청사에 빛낸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하여 이 전도자는 이런 큰 이름을 얻기 위하여 권력을 얻고 높은 벼슬을 하고 세력을 누리고 남보다 뛰어난 명예를 얻어 보았습니다. 그러나 이것 역시 헛된 것을 이 저자는 알게 되었습니다.
이 저자의 총 결론은 이 세상에 있어서『인생만사는 결국 공지우공이요, 허지우허』곧 헛되고 헛되다 하였습니다. 물론 지식이 귀합니다. 명예도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이 우리 인간 심령 깊은 곳에 참 만족을 줄 수는 없는 것입니다. 설사, 이런 것들이 다 있다고 하여도 인간 심령의 깊은 속에는 공허감, 혹은 허무감이 있습니다. 하나님을 찾지 못한 심령은 부모를 잃은 고아와 같습니다. 목자를 잃은 어린양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이는 말하였습니다.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은 우주의 고아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자연주의, 물질주의, 세속주의는 결국, 염세주의, 비판주의, 허무주의로 끝납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하나님을 찾았습니까? 그 길은 진리와 생명이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예수를 찾읍시다. 그리고 예수를 믿읍시다.
?-51 예수를 모신 가정 (사도행전 十六장 二十六·三十四절)
『주 예수를 믿으라 그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행 十六·三十一)
『저와 온 집이 하나님을 믿었으므로 크게 기뻐 하니라』(행 十六·三十四)
이 말씀은 일찍이 빌립보 간수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그 간수는 바울의 말씀대로 그와 온 집이 예수를 믿었습니다. 그리고 성경에 기록된 대로『저와 온 집이 하나님을 믿었으므로 기뻐하였습니다』곧 행복 된 가정이 되었습니다. 예수를 믿는 가정은 행복 됩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예수를 모신 가정은 행복 된 가정입니다.
그 이유는 예수를 믿으면 구원을 얻습니다. 보통사람들은 이 구원의 뜻을 잘 깨닫지 못합니다. 가장 간단히 그 뜻을 설명하면 이러합니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죄를 짓습니다. 그러므로 깊은 의미에서 인간은 누구나 죄인입니다. 사람 보기에는 선한 사람도 있고 혹 거룩하다 하는 말을 듣는 이들도 있으나 하나님 앞에서 보면 곧 하나님의 법 아래서 판단을 받으면 누구나 다 같이 죄인입니다. 그런데 죄에는 값이 있습니다. 죄의 값은 결국 사망입니다. 이 죄에서 누가 능히 스스로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 아무도 없습니다. 또 어떤 이가 사람을 죄에서 구원할 수도 없습니다. 다 같은 죄인인 까닭입니다. 결국 이 죄의 문제는 인간자신으로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감사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 크신 사랑과 긍휼(矜恤)로서 죄 있는 인간을 불쌍히 여기셔서 구원의 손을 펴신 것입니다. 곧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하나님은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셨습니다. 예수는 이 세상에 오셔서 진리를 가르치실 뿐더러 그 자신이 만민의 죄를 대신하여 고난을 받고 죽으심으로 인간의 모든 죄를 사하여 주시고 누구든지 저를 믿는 자는 멸망하지 아니하고 영생을 얻게 하셨습니다.
이 말씀이야말로 이 세상에서 가장 기뿐 소식이요 또한 복음입니다. 빌빕보 간수와 그 가정은 이 복음을 듣고 예수를 믿었습니다. 그 결과는 온 가정에 기쁨이 충만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정이라고 다 행복한 것은 아닙니다. 결혼식장에서 나가 백년가약을 처음으로 맺을 때에는 다 행복 된 가정이 될 것 같고 또 다 그렇게 친척과 친구들이 축원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잘 아실 것입니다. 사실 이 세상에 행복 된 가정은 그리 많지 못합니다. 오히려 가정에서 얼마나 많은 비극이 일어나고 있습니까? 물론 그 배후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한 마디로 말하면 가정에서 일어나는 온갖 비극의 원천은 하나입니다. 곧 인간의 죄입니다. 남편이 죄를 짓습니다. 어떤 때에는 아내가 죄를 짓습니다. 또 때로는 자녀들이 죄를 짓습니다. 결국 이 죄는 가정에 불화를 가져오고 불평을 가져오고 싸움을 가져오고 온갖 비극, 심지어 가정을 파탄에 이르게도 합니다. 결국 죄는 행복한 가정, 명랑한 가정을 어두움과 비참한 지옥으로 몰아 넣습니다.
여러분 행복한 가정을 원하십니까?
참으로 인간의 낙원이라 할 수 있는 명랑한 가정을 원하십니까? 그러면 죄를 제거하십시오. 에덴 동산이 아무리 아름다웠지마는 뱀이 들어 올 때에 그만 아담과 하와는 그 동산에서 쫓겨난 것입니다. 남편이나 아내나, 아니 온 가정이 참으로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믿어 그리스도를 모시는 가정이 되면 그 가정은 변하여 사랑과 화평이 충만한 행복 된 가정이 됩니다. 행복 된 가정은 돈이 많이 있는데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집이 크다고 행복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매일 진미를 먹는데 있는 것도 아닙니다. 성경의 말씀과 같이 나물을 먹으면서도 화평한 가정이 살찐 송아지를 잡아먹으면서도 싸우는 가정보다 낫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행복 된 가정의 비결은 온 가정이 예수를 모시고 그 교훈대로 사는 데 있습니다. 예수를 모시면 그 가정이 깨끗하여집니다. 아니 가정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가득하게 됩니다. 예수 님의 인내를 배워 서로 참고 용서할 줄을 압니다. 이렇게 될 때에 과연 우리 가정에는 언제나 평화가 깃 들고 행복이 넘치게 됩니다.
五천만 동포 여러분! 이 가정주간을 맞이하여 여러분의 가정이 참으로 행복 된 가정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 비결은 간단합니다. 온 가정이 예수를 믿고, 모시고 사는 길입니다.
?-52 여호와의 등불 (잠언 二十장 二十七-三十절).
『사람의 영혼은 여호와의 등불이라 사람의 깊은 속을 살피느니라』(잠 二十·二十七)
사람에게는 영혼이 있습니다. 이 영혼은 하나님의 등불입니다. 인간의 몸은 비록 흙으로 되었으나 그 속에는 꺼지지 않는 등불인 영혼을 주신 것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 여학생이 어떤 철학 교수에게 가서 말하기를「솔직히 말씀하세요. 내게 영혼이 있다고 믿습니까?」그 교수는 그렇다고 대답하였습니다. 그 학생은 계속하여 말하기를「제가 대학박물관에 가보니 인간을 분석하여 놓았는데 석회질 몇 %, 물 몇 %, 광물질 몇 %, 기타 十六 종류로 각각 병에 나누어 넣었는데 어디 영혼이 있습니까?」그 말을 들은 교수는 대답하기를「당신과는 더 이야기 할 필요가 없소」하니까, 그 여학생은 「왜 그러냐?」고 물었습니다. 그 교수 대답이「당신이 만일 그런 물질뿐이라면 이야기 할 대상이 있어야지」하였다고 합니다.
유물론은 자기당착입니다. 만일 인간이 물질뿐이라면 유물론을 생각하는 자신을 부인해야 합니다. 사람에게는 불명의 영혼이 있습니다. 이 영혼은 여호와의 등불입니다. 이 영혼에는 빛이 있습니다. 이 빛은 하나님께서 켜신 것입니다.
첫째, 먼저 이성의 빛이 있습니다. 파스칼은 말하기를「인간은 한 갈대이다. 그러나 생각하는 갈대이다」하였습니다. 생각도 보통생각만이 아니라 추리, 연구, 분석, 창작하는 생각 곧 이성이 있습니다. 천년 전 까치집이나, 천년 후 까치집이나 꼭 같이 짓습니다 천년 전 호랑이나 천년 후 호랑이나 다 같이 굴속에서 삽니다. 그러나 인간은 그렇지 않습니다. 인간에게는 옛날 혈거(穴居)시대가 있었으나 인간은 그 주택이 해마다 달라집니다. 이성을 통하여 과학이 발전하였고 현대의 문화가 창조되었습니다.
현미경을 통하여 전에 보지 못하던 미균(黴菌)의 세계를 발견하였으며 망원경을 통하여 대 우주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원자의 비밀까지 발견하여 원자력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이성을 통한 과학의 발전은 우주시대를 가져 왔습니다.
또 이성의 빛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음악, 각 방면에서 큰 발전과 새 사상, 새 제도도 매일 가져옵니다. 이 이성의 불은 하나님께서 붙이셨습니다. 이 불을 밝혀야합니다. 모든 문제의 모든 방면에서 이 이성의 불을 밝혀야 합니다. 고집, 독선, 편견, 선입 주견(主見), 감정, 권력의식, 교만에 사로잡히지 않고 인간은 얼마나 이성의 불빛 아래 살아야합니다.
둘째는 양심의 빛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심령 속에 이 양심의 빛을 주시어 우리에게 옳고 그른 길을 가르쳐 주며 또한 옳은 길로 갈 때에 우리를 격려하여 주고 그릇된 길로 갈 때에는 또한 엄히 책망도 하십니다.
칸트는 일찍이 말하기를「하늘에는 별이 있고 인간의 속에는 양심이 있다」하였습니다. 이 양심이 있으므로 인간이 인간이 되는 것입니다. 짐승은 그저 본능대로만 살면 그뿐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그렇지 아니합니다. 양심대로 인간은 살아야합니다. 이 양심의 불을 끄지 말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강한 욕심, 곧 정욕, 물욕, 권세욕, 지위(地位)욕, 등으로 말미암아 이 양심의 등불이 꺼지지 않도록 조심해야합니다. 이 양심의 불이 꺼지면 인간의 심령은 캄캄하여 집니다.
셋째는, 성령의 등불이 있습니다.
하나님을 믿고 예수를 믿는 이에게는 성령의 새로운 빛을 인간 심령 속에 비쳐 주십니다.
그러므로 과거의 모든 사도, 또한 모든 성도들은 이 성령의 빛 아래에서 또한 살아 온 것입니다. 성령의 인도를 받았습니다. 성령의 열매, 이 성령의 불을 끄지 않아야 합니다. 성경에 『성령을 소멸하지 말라, 성령을 근심케 하지 말라』하는 경고가 있습니다.『오직 성령을 따라 행하라』권면한 것입니다.
사랑하는 동포여러분! 신앙생활이란 이 하나님이 주신 등불아래에서 항상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성의 빛, 양심의 빛, 성령의 빛 아래서 살아야합니다.
신앙 생활은 촛불 경주와도 비슷합니다. 이 불을 잘 지키면서 경주를 해야 합니다.
?-53 와 보라 (요한 복음 一장 四十三- 四十九절)
『나다나앨이 가로되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 빌빕이 가로되 와 보라 하니라』(요 一·四十육(六))
예수께서 갈릴리지방에 내려가셔서 빌립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빌빕이 예수를 만나 그가 메시아인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 후에, 빌립은 곧 자기 친구 나다나엘을 만나 자기가 메시아를 만났는데 그는 곧 나사렛 예수라고 하였습니다. 나다나엘이 그 말을 듣고 하는 말이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잇느냐?』반박하였습니다. 아마 그 뜻은 구약에 메시아가 나사렛에서 나리라는 말도 없고 또 혹은 나다나엘은 갈릴리 가나 사람으로 가나 사람과 나사렛사람들은 서로 좋지 못한 감정을 가졌던 까닭이었는지 모릅니다. 하여간 나다나엘이 나사렛에 대하여 편견이 있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말에 대하여 빌립은 그렇지 않다고 무슨 변론을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그는 말하기를『와 보라』곧 하여간 한번 와서 예수를 만나 보시오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나다나엘은 친구 빌립을 따라 예수께 나아가 예수를 만났습니다. 그 결과는 나다나엘도 예수는 과연 만민의 구주이신 메시아인 줄 깨닫고 그를 믿게 되었습니다.
무엇을 아는 데는 몇 가지 길이 있는 줄 생각합니다. 하나는 이성의 길입니다. 곧 무엇을 생각하여 아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 알키메데스의 유명한 이야기를 기억합니다. 그가 한번은 목욕하려 목욕탕에 들어가니 그 몸이 퍽 가벼워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는 몸이 물 속에서는 왜 가벼워질까? 또 얼마나 가벼워질까? 곰곰이 생각하다가 그는 드디어 물 속에서 몸이 가벼워지는 것은 몸의 용량만큼 물의 중량이 감하여 진다는 것을 깨닫고 그는 기뻐서「유레카」하면서 곧 깨달았다고 하면서 뛰어 나왔다고 합니다. 사실 이렇게 이성을 통하여 아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다른 길도 있습니다. 가량 직감이란 길도 있습니다. 곧 즉시 느껴서 안다는 말입니다. 꽃이 아름다움을 어떻게 압니까? 그것은 곧 느껴서 아아는 것입니다. 음악의 아름다운 것을 어떻게 압니까? 그것 역시 직감 훅은 지각을 통하여 아는 것입니다. 사실 모든 예술적인 지식은 이런 길을 통하여 압니다.
그러나 또 다른 길도 있습니다. 곧 믿음의 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믿을만한 이의 말을 믿음으로 내 직접 생각해 보지 모하고 느껴보지 못하였으나 아는 것들이 많습니다. 가령 우리는 다 지구가 둥근 것을 압니다. 지구를 일주하여보지 못한 이가 어떻게 지구의 둥근 것을 압니까? 그것은 지구를 일주한 이들의 말을 믿음으로 아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학교에 가서 교과서를 배움으로 많은 지식을 얻는데 이것은 다 학자들의 말을 믿음으로 아는 길입니다. 우리가 성경을 읽는 것은 성경이 기록한 종교적 권위들이 말을 믿음으로 많은 종교적 지식을 얻는 것입니다.
또한 현대 과학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식을 얻는 길이 하나 더 있습니다. 이것을 실험의 길이라고 합니다. 어떤 이론이나 학설이 옳은 지 알려고 하면 그것을 실험실에서 실험을 하여 그 진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과학적 방법 혹은 과학적 태도라 합니다. 사람을 아는 데도 제일 확실한 길은 지내보는 길입니다. 지내본다는 말은 무슨 뜻입니까? 그것은 곧 체험해 본다는 뜻입니다. 곧 실험의 길입니다.
여기 빌립이 자기 말을 믿지 않는 나다나엘에게『와 보라』말하였습니다. 그것은 실제로 와서 체험하여 보라는 뜻입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여러분 중에 혹 나다니엘처럼 기독교에 대하여 편견을 가진 이가 있습니까? 그러면 이런 분에게 들이는 말은『와 보라』고 저 역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곧 예수를 믿어 보세요. 성경을 실제로 읽어보세요. 사실 이렇게 하여보시면 과연 기독교가 얼마나 진리이며 생명의 길인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아닌게 아니라. 다음 五월 三十일 저녁부터 여의도 광장에서 세계적인 二十세기의 대 부흥 사요 예언자라고 불리는 빌리 그례함 목사가 오셔서 대 전도집회를 합니다. 六천여 명의 성가대가 노래를 부르고 수많은 우리 동포가 모이게 됩니다. 여러분 한번 와 보세요. 친히 와서 들어보세요. 그리하면 그리스도가 어떤 분인가를 알게 될 것입니다.
?-54 감사한 마음 (골로세서 三장 十五-十七)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미음에 감사함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고』(골 三·十六)
『또한 너희는 감사하는 자가 되라』『마음에 감사함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라』『그를 힘 입어 아버지 하나님께 감사하라』
여기 감사라는 말이 세 번이나 반복됩니다. 성경에게는 세계 어느 문헌보다도 감사라는 말이 많습니다.
『할렐루야 여호와께 감사하라』
『감사함으로 그 문에 들어가라』
『내가 전심으로 주께 감사하리다』
『범사에 감사하라』
『항상 감사하라』
성경을 쓴 이들은 그 속에 감사의 마음이 충만한 것이 사실입니다. 사실 누구나 참 신앙이 있는 이는 그 가슴 속 깊이 감사의 마음이 있습니다.
一, 이 마음은 참으로 귀합니다. 로마의 유명한 문인 시세로는 말하기를「감사한 마음은 최고의 덕일 뿐 아니라 모든 덕의 어머니」라고 하였습니다. 이 감사한 마음이 있는 이들은 가정에서는 부모의 효자 효녀가 되고, 학교에서는 근실한 좋은 학생이 되고, 회사에서는 정직한 사원과 직공이 되고, 관청에 있다면 착실한 공무원이 됩니다. 반면에 이 감사한 마음이 없으면 이런 이들 가운데서 불효자가 생기며 불량한 학생이 생기며 사고 내는 사원도 되며 탐관오리도 되는 것입니다.
왜 압살롬이 자기의 아버지를 반역하여 역적이 되었던가요? 이 감사한 마음이 없었던 까닭입니다. 아버지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그러한 배은망덕한 행동을 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사실 감사한 생각이 없는 마음은 모든 부정과 범죄의 온상이 됩니다. 반면에 감사한 마음은 모든 선행과 봉사의 원천이 됩니다. 이런 감사한 마음을 가진 이들이 교회에서도 여러 가지 봉사를 잘하고 또한 지역사회에서 이웃과 사회를 위하여 수고를 아끼지 아니합니다. 또 봉사를 하되 불평이 없이 기쁨으로 합니다. 감사한 마음은 참 보배입니다.
우리 민족이 다 이 보배로운 마음을 받으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더 명량 하여지고 또 반면에 발전이 될 것인지 모릅니다.
二, 五천만 동포 여러분 이 감사한 마음이 어디에서 옵니까? 이것은 마음에서 옵니다. 감사한 마음은 믿음의 열매입니다. 성경에 하나님을 믿지 아니하는 이의 특색 가운데 하나는 감사치 아니하는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을 믿지 아니하는 이들은 만반 진창을 먹으면서도 감사가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믿고 아는 이들은 밥 한 그릇, 김치 한가지만 놓고도 꼭 감사를 들입니다.
예수 님의 비유가운데 나오는 한 부자는 곡식이 잘되어 창고에 넘치게 되었어도 감사할 줄을 몰랐습니다. 그러나 당시에 한 가난한 과부는 그 구차한 중에서도 정성껏 갑사를 드렸습니다. 사실 이 마음은 믿음과 같이 장성합니다. 처음에 평안할 때만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나 믿음이 점점 자람에 따라 환난과 역경에서도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하여 믿음이 완숙하게 될 때에는 성경의 교훈과 같이 범사에 감사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 감사의 마음은 믿음의 정비례가 됩니다. 믿음이 작으면 이 마음도 작고 크면 이 마음도 커집니다. 사실 이렇게 감사의 마음은 믿음의 척도입니다. 하나님을 의지하고 꼭 믿음으로 사는 이들은 캄캄한 밤에도 소망의 별을 보고 감사하며 캄캄한 구름 위에도 하나님의 약속인 무지개를 바라보고 감사합니다. 어떤 성자는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합니다.「주여 나에게 많은 은혜를 주셨습니다. 한 가지은혜만 더하여 주시옵소서. 곧 감사한 마음으로 내 가슴을 채워 주시옵소서」
五천만동포 여러분! 十一월은 보은과 감사의 달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계절에 하나님께서 주시는 영적 물질적 모든 은혜를 위하여 감사하고, 부모님의 은혜와 사랑을 위하여 감사하고, 스승의 은덕을 위하여 감사하고, 이웃과 나라를 위하여 감사합시다.
범사에 감사합시다.
?-55 조국을 반석 위에 (마태복음 七장 二十四- 二十七절)
『그러므로 누구든지 나의 말을 듣고 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으리니 비가 내리고 창수가 나고 바람이 불어 그 집에 부딪히되 무너지지 아니하나니 이는 주초를 반석 위에 놓은 연고요』(마 七장 二十四-二十五)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라』(고전 十·四)
오늘 아침 우리 국가의 영도자이신 박 대통령 각하를 모시고 조찬기도회를 열 수 있게 하여 주시는 하나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바쁘신 중에도 각계 각층의 지도자 여러분께서 참석하여 주심을 감사합니다. 이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고 우리가 다 국가에 대한 깊은 관심과 또한 국가 건설의 이 거창한 일에 겸손히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마음의 일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제 잠깐 조용한 마음을 모두어 성경의 교훈을 듣고자 합니다.
지금 읽은 말씀은 산상보훈의 결론입니다. 여기 두 집 짓는 사람의 비유가 있습니다. 한 사람은 반석 위에 집을 지었습니다. 또 한 사람은 모레 위에 집을 지었습니다. 처음에는 두 집이 비슷하였습니다. 다른 것이 별로 없었습니다. 그러나 한번 비가 오고 바람이 불고 창수(漲水)가 날 때에 한 집은 그냥 튼튼히 서 있었지만 다른 집은 그만 무너졌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하나는 터가 반석이었고 다른 하나는 그 터가 모래뿐이었습니다. 집은 반석 위에 지어야 합니다. 간단하나 의미심장한 교훈을 우리에게 줍니다.
성경에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라고 가르쳐 줍니다.
우리는 신령한 의미에서 집을 짓는 사람들입니다. 인격의 집을 짓습니다. 가정의 집을 짓습니다. 그리고 다 국가의 집을 짓는 중입니다. 구가는 문자그대로 한 집입니다. 특별히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이란 국가를 건설하는 도상에 있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터전 위에 이 집을 짓는가 하는 것은 아주 긴요한 문제인 것입니다.
인류는 그 오랜 쓰라린 역사를 통하여 국민의 기본 자유가 확보되고 개인의 독창력이 살려져서 번영과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 정치제도는 민주국가라고 하는 것을 발견케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도 이 민주국가를 확립하여 민족의 중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자유를 중심으로 하는 민주국가의 건설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자유를 박탈하려는 적은 그 기회를 항상 노리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북한을 중심 한 좌익 독재의 위험은 말할 것도 없고 역사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이런 위험은 또한 우익에도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자유가 언제나 보장될 수 있는 민주국가의 기본적 요소가 무엇일까? 이것은 간단히 세 가지로 요약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一, 민주주의 근본사상의 철저한 이해와 신념.
二, 질서와 법의 존중사상.
三, 자유를 바로 쓸 수 있는 국민의 도덕적 품격
첫째로, 민주주의 근본사상에는 또한 세 가지 요소를 지적할 수밖에 없습니다. 곧 인간에 대하 존엄, 자유 평등의 사상인 것입니다. 개인의 인격을 존중하며 국민 하나 하나의 생명, 재산, 양심, 인격, 의견을 존중하는 관념은 링컨의 유명한 말대로『국민의 정부, 국민으로 말미암은 정부, 국민을 위한 정부』를 이 세상에 나타나게 한 것입니다.
또한 인간이 이렇게 귀감으로 그의 자유를 존중하는 사상이 대두하게 된 것입니다. 루즈벨트의 말대로『신교의 자유, 공포에서의 자유, 궁핍에서의 자유』를 부르짖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인간이 이렇게 존엄하므로 만인평등의 사상이 일어난 것입니다. 인간은 얼굴과 지력과 체력은 각각 다르나 누구나 평등한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배울 수 있는, 일할 수 있는, 곧 살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법 아래서는 빈부, 귀천, 남녀노소의 차별이 없이 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사상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인간의 존엄, 자유, 평등의 원칙이 실현될 때에만 그 나라는 민주국가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우리가 깊이 생각할 것은 이런 사상의 인연이 어디인가?. 곧 어디서 왔는가 하는 점입니다. 개인 하나 하나를 정밀히 관찰하는 곧 과학적 연구에서 온 것일까? 인간의 운명을 명상하는 지혜, 곧 철학에서 왔을까?
아닙니다. 단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사상은 성경에서 왔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다고 하는 성경의 교훈에서 온 것입니다. 인간이 비록 그 육체는 다른 동물과 유사한 점이 많으나 그 속에는 불멸의 영혼이 있다고 하는 성경에서 온 것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지음을 받은 하나님의 자녀이므로 천부의 기본 인권인 자유와 평등이 보장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가난한자에게 복음을 전하며,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눌린 자를 자유께 하기 위하여 오셨다』 (눅 四장 十八절)고 하였습니다.『주의 영이 계신 곳에 자유 함이 있느니라』(고후 三장 十七절),『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주 자나 남자나 여자 없이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갈 三장 二十八절) 이렇게 성경은 선언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민주주의 사상의 기본이념인 인간의 존엄, 자유, 평등의 사상은 본래 기독교적 신앙에서 왔다고 하는 사실을 우리는 분명히 기억하여야 하겠습니다, 따라서 이 기독교적 신앙이 뒷받침하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민주주의 기본이념이 쉬이 말라버린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둘째로, 질서와 법에 대한 존중사상이 민주사회에 있어서 얼마나 긴요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옛날 군주시대에는 국가에 대한 충성을 임금에 대한 충성과 같이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과거의 유교에서는 항상 충군애국(忠君愛國)을 부르짖은 것입니다.
그러나, 민주국가에 있어서는 이 이론이 다릅니다. 민주사회에서는 질서와 법에 충성을 다하는 것이 곧 국가에 대한 충성인 것입니다. 어떤 개인에게 충성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원리를 꼭 바로 이해하여야 때때로 정권이 교체되는 민주국가에 있어서 정권이 교체되는 공무원의 임무도 바로 하고, 군인의 임무도 바로 하고, 국민의 임무도 바로 할 것입니다. 언제나 질서와 법을 존중할 줄 알 때에 사회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면서 정권이 교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질서와 법에 대한 사상도 그 정신적 배경이 있음을 우리는 기억하여야 합니다. 곧, 하나님께서 우주를 지으시고 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연법칙을 두셨으며 우리 인간을 자유인으로 지으신 후에 역시 그 생활을 바로 하기 위하여 도덕의 법칙을 두셨다는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법의 근원은 하나님의 공의에 기인하는 바요, 법의 존엄성과 영원성도 역시 이 종교적 진리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법의 근원이 이러함으로 국가의 법률도 어떠하든지 이 영원 불멸의 하나님의 법에 저촉되지 않도록 입법자들은 주위를 해야겠고, 또한 국가의 법률이 이렇게 제정 될 때에만 국민에게 절대 순복(順服)을 요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입법자들이 이 원칙을 무시하고 일시 어떤 파당(派黨)적 이익을 위하여 법을 제정하게 되면 그것은 불법한 법으로서 국민의 자유를 구속하는 올무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질서와 법에 대한 존중 사상의 기원도 역시 성경과 이에 대한 신앙에서 왔다고 하는 점을 지적 할 수밖에 없습니다.
민주주의 꽃이 기독교 문화의 밭에서 제일 먼저 또한 가장 찬란히 핀다고 하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셋째로, 법과 질서에 대한 존중사상이 이상과 같이 그렇게 필요하나, 사회질서란 법만 가지고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에 셋째로 자유를 바르게 쓸 수 있는 국민의 도덕적 품격의 필요성을 지적 할 수밖에 없습니다.
성결, 진실, 신의, 근면, 공정, 관용, 자비, 협동정신, 책임감,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정신 등을 가진 고상한 품격이 요구되는 것입니다. 결국은 쉽게 말하면 속담의 말대로「법 없이도 사는」국민들이 많아야 민주국가의 질서는 유지될 것입니다. 자유가 참으로 귀하나 실상 자유는 매우 위험합니다.
어린애들에게 온전한 자유를 줄 수 있습니까? 정신병자나 도적놈에게 온전한 자유를 줄 수 있습니까? 자유를 바로 쓸 수 있는 국민의 도덕적 향상이 절대로 필요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개조 또는 정신혁명의 문제에 부딪히게 됩니다.
사실 우리가 사는 二十세기는 과학적으로 가장 발전된 시대임에는 틀림없으나 도덕적 면에서는 가장 타락한 시대임을 또한 지적 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二十세기는 인류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 나는 참혹한 세기이기도 합니다. 또, 국내 정세에 있어서도 과거 十년간에 물질적으로 발전과 근대화를 가져왔으나 각종 범죄율의 상승과 온갖 부정, 부패는 우리의 당면한 심각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어디에서 이 사회적 중생을 가져올 수 있습니까? 어디서 이 도덕적 혁명을 기대 할 수 있을까? 이 문제에 있어서도 우리는 오직 겸손히 인간의 무능과 죄악을 고백하며 인간의 심령을 새롭게 할 수 있는 전능하신 하나님과 죄인의 구주이신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앙망(仰望)하는 바입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후 五장 十七절) 오직 하나님만이 인간의 심령을 개조할 수 있습니다. 오직 그리스도안에서만 새 사람이 됩니다. 예수께서 세상에 오신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한국에 가장 요구되는 정신적 근대화는 오직 그리스도에게 있음을 나는 확언합니다.
一六二 년 청교도 一 二명이 처음으로 북미 대륙에 도착한 프리마우스(Plymouth)라는 곳에 그들을 기념하는 유명한 기념탑이 있습니다. 높은 대 위에 네 사람이 서 있습니다. 하나는 법, 하나는 교육, 하나는 자유, 그리고 하나는 도덕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는 한 여자가 한 손에 성경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하늘을 가리키는 모습이 있습니다. 이 여자의 상은 물론 종교적 신앙을 의미합니다.
여러분 민주국가에 있어서 법, 교육, 자유, 도덕 이 네 가지는 절대로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것들을 뒷받침하는 것은 기독교 신앙인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는 민주국가의 만세반석입니다. 여러분 조국을 모래 위에 세울 수는 없습니다. 만세반석 위에 세워야 합니다. 그래야 어떤 풍파가 있을 지라도 흔들리지 아니합니다. 그래야 과연 자유, 정의, 평화, 번영 그리고 통일의 조국으로 도전할 것입니다.
존경하는 박 대통령 각하, 친애하는 동포 여러분 천하보다 귀한 여러분의 영혼을 구원하기 위하여 또 생명 같이 사랑하는 조국을 영원 불법의 정신적 기초 위에 세우기 위하여 아직까지 신앙에 들어오지 못하신 분들은 이 시간 주를 영접하십시다.
오 성령이여! 역사 하여 주시옵소서! 아멘
(一九七一년 五월 一일 대통령 조찬 기도회에서)
?-56 풍성한 생명 (요한 복음 十장 七-十절)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다』(요十·十)
금번 신축된 전주(全州)예수 병원 봉헌식에 이 부족한 종도 같이 참여하여 하나님의 말씀으로 나누게 됨을 먼저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주님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양으로 하여금 생명을 얻고 더 얻어 풍성케 하시게 하기 위하여 오셨다고 친히 말씀하셨습니다.
마태복음 九장 마지막 절들을 읽어보면『예수께서 모든 성과 촌을 두루 다니 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복음을 전파하시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라』하였습니다. 주님께서는 복음을 전파하시는 동시에 또한 모든 병과 약한 것을 고쳐 주셨습니다. 죄 사함을 받고 영원히 구원받기 위하여 복음을 전파하시고 건강하여 모든 일을 잘 할 수 있기 위하여 병과 약한 것을 또한 고쳐주셨습니다. 이렇게 우리 주님은 영적 방면만이 아니고 육체적 방면까지 풍성한 생명을 주시기 위하여 오신 것입니다. 사실 인간의 세상에 살 때에는 영과 육이 하나로서 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건강한 영혼이 필요함과 동시에 또한 건강한 육체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과거의 역사를 돌아보면 언제나 기독교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교회만 설립되는 것이 아니고 병원도 학교도 고아원도 기타 모든 문화기관이 같이 설립되었던 것입니다.
우리 한국의 근대 역사도 그리스도의 복음이 선교사들을 통하여 들어옴과 동시에 의료, 교육, 문화, 기타 사회봉사의 모든 운동이 같이 일어나서 우리 민족 전체의 문화와 생활을 향상케 한 것입니다. 여러 미션계 병원들이 한국사회에서의 공헌한 과거의 업적은 실로 위대하여 무엇이라고 다 찬사의 말씀을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특별히 이 전주 예수병원은 호남일대에서 위대한 공헌을 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이렇게 실로 굉장한 새 원사(院舍)를 지어서 하나님께 바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원사가 이루어지기까지는, 먼저 본래 이 병원을 설립하시고 지금까지 경영하여 오시는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사들의 피땀어린 노력과 또한 특별히 독일 교회의 막대한 원조로 이루어졌다고 하는 소식을 듣고 더욱 감격합니다. 이런 일을 목도할 때에 실로 그리스도의 몸은 하나요, 그리스도인들은 다 같은 몸의 지체요, 세계교회의 실체를 실감하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에 있는 그리스도인들, 독일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다 같이 힘을 모두 어, 또 한국에 있는 그리스도인들과 협동하여 이 땅에 있는 모든 이간들을 봉사하게 됨은 얼마나 아름다운 말이요, 귀한 일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실로 이 에큐메니칼 시대의 한 귀한 열매와 온 세계를 향하여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라고 하는 아름다운 증거를 보여 주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특별히 미국에 게신 교우여러분들과 독일에 계신 교우 여러분들에게 실로 축하와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우리는 이 시간 이렇게 귀한 믿음의 열매인 이 아름다운 병원 원사를 하나님께 드리기 위하여 모였습니다.
이 봉헌식은 다음 몇 가지 깊은 뜻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이 병원은 온전히 그리스도에게 바쳐 그리스도께서 이 병원의 주인이시고 소유주라는 뜻입니다. 만물이 다 하나님께로부터 왔습니다. 이 집도 또한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그러므로, 이 집은 오직 주님의 집이라고 하는 깊은 뜻이 이 봉헌식에 내포된 줄로 생각합니다.
둘째로, 한 걸음 더 나가서 이 병원의 모든 운영의 정신도 오직 그리스도의 뜻대로 하겠다고 하는 엄숙한 약속을 의미하는 줄로 생각합니다. 문자 그대로 예수병원은 예수의 정신과 예수의 뜻대로 운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 깊은 뜻은 다만 원장뿐 아니고 이 병원에서 수고하시는 의사, 간호원, 모든 종업원 하나 하나가 마음에 명심할 것이고 잊지 아니하여야 될 것입니다.
셋째로, 이 집을 봉헌하는 뜻은 그리스도를 봉사하기 위함인 것입니다.
마태복음 二十五장에 있는 산양과 면양의 비유에서 우리 주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의미심장한 말씀을 주셨습니다.
『너희가 여기 네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다시 말하면 환자 하나 하나를 대하여 치료할 때에 곧 주님을 대하며 주님을 봉사하는 줄 알고 하여야 될 것입니다.
이 봉헌식을 계기로 하여 다시금 미국과 독일에 있는 본 병원을 후원한 여러분과 현재 이 병원 안에서 수고하시는 선교사 의사 간호원 여러분들에게 감사를 들이며 이 봉헌식을 계기로 하여 기독교 병원이 높은 이상을 새롭게 기억하고 참된 그리스도를 중심 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병원이 되기 위하여 기도합시다.
(一九七一년 十一월 十일, 전주 예수병원 봉헌식에서)
?-57 한 애국자의 결심 (에스라 七장 一-十절)
『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여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를 결심하였더라』(스 七·十)
에스라는 제사장이요 또한 율법에 익숙한 학사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일찍이 요시야 왕 때에 당시 큰 개혁운동을 벌인 유명한 대 제사장 힐기아의 증손이기도 합니다. 여기 그의 족보를 아론에게 이르기까지 자세히 기록한 것을 보면 이스라엘 역사상 에스라의 위치가 얼마나 큰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는 민족중흥의 중심 인물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바벨론에 잡혀가 포로생활 한지 약 七十년 후에 하나님의 크신 도우심으로 해방을 받아 약 四만 여명이 주전 五三六년에 수바벨과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지도로 예루살렘에 돌아 왔습니다. 그들은 곧 성전 짓기를 시작하였으나 당시 사마리아 사람들과 다른 종족들의 방해로 十五년이나 중단되었습니다.
그러나 선지자 스가랴와 학개의 노력으로 공사를 계속하여 적은 규모나 성전을 마치었습니다. 그러나 그 후에 뚜렷한 지도자가 없음으로 성지에 돌아간 이스라엘 백성의 형편은 매우 쇠미하였고 특별히 그들을 둘러싼 많은 이교 민족의 영향을 받아 그들의 사회적 또는 종교적 생활은 실로 위기에 직면하였습니다. 이러한 때에 당시 파사에 있던 에스라가 동지를 모아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때는 이스라엘 백성이 처음으로 돌아간지 약 八十년 후입니다.
주전 약 四백五십 년경입니다. 에스라의 노력으로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여호와를 중심 한 신앙은 다시 부흥하게 되었고 사회는 정화되었으며 장차 온전한 정치적 독립의 정신적 기초를 이룩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에스라는 문자 그대로 민족중흥의 위대한 지도자가 되었습니다. 그가 어떻게 이런 사람이 되었으며 이러한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였는가 생각하여 봅시다. 에스라 七장 十절은 그 비결을 보여줍니다. 그는 파사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때에 확고한 결심이 있었습니다. 그의 결심은 간단히 세 가지입니다.
첫째, 나는 율법을 연구하겠다.
둘째, 나는 율법을 준행(遵行)하겠다,
셋째, 나는 이 율법을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겠다고 결심하며 에스라는 예루살렘으로 돌아갔습니다. 한 애국자의 결심을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새로운 각성과 결심을 또한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에스라는 먼저 하나님의 율법을 연구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는 그대로 행하였고 하나님의 말씀을 공부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보통 제사장이 아니고 학사 에스라가 되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아는 제사장이 되었습니다. 우리 하나님에게 아주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은 영구 곧 공부함으로 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사야 三十四장 十六절에『너희는 여호와의 책을 자세히 읽어 보라 이것들이 하나도 빠진 것이 없고 하나도 그 짝이 없는 것이 없으리니 이는 여호와의 입이 이를 명하셨고 그의 신이 이것들을 모으셨음이라』성경 말씀을 자세히 읽어야 합니다. 또한 심명기 十七장 十九절 말씀에도『평생에 자기 옆에 두고 읽어서 그 하나님 여호와 경외하기를 배우며 이 율법의 모든 말과 이 규례(規例)를 지켜 행할 것이라』시편 一장 二절에도『복 있는 사람은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성경을 읽고 연구하는 것은 우리 개인 신앙생활에 절대로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성경은 곧 생명의 양식이 되는 까닭입니다. 영적으로 일용한 양식은 곧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성경을 읽고 연구하는 것은 모든 유혹과 마귀의 화전을 소멸하는 무기가 되는 까닭입니다. 우리 주님도 광야에서 시험을 받으실 때에 성경의 말씀으로 승리 하셨습니다. 성경을 연구하는 것은 인생의 행로를 바른 길로 가는 것에 절대로 필요합니다. 시편 말씀과 같이 주의 말씀은 내 발의 등이요 내 길에 빛이 되는 까닭입니다. 성경은 거울과 같아서 이 성경가운데서 내 자신을 바라보고 내 허물을 깨닫고 죄를 알아 회계하고 또한 성경가운데서 우리의 죄를 속량하신 구주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는 것입니다. 서경말씀을 항상 읽고 공부하면 우리의 신앙은 자연히 장성하게 됩니다. 전에 유명한 부흥사 D·L 무디(Moody) 는 이러한 말을 하였습니다.『나는 처음에 믿음 더 얻기 위하여 기도만 힘썼는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하였다. 그후 나는 믿음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가운데서 온다는 성경구절을 읽고 공부하기를 시작하였다. 그랬더니 믿음은 자연히 성장하게 되었다』하였습니다.
또 교회의 역사를 보면 성경을 연구하는 가운데서 모든 위대한 신앙운동이 일어났습니다. 十六세기에 종교개혁운동은 오직 당시의 수도사로 있단 마틴 루터(Martin Luther)가 성경을 연구하는 가운데 믿음으로 의롭다하는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 이 종교개혁의 위대한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十九세기 이후 세게 선교운동도 월리암 캐리, 리빙스턴 같은 이들이 성경을 읽는 가운데『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라』는 주님의 음성을 다시 들으므로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二十세기에 접어들어 에튜메니칼 운동이 일어난 것도 성경을 연구하는 가운데 오직 그리스도의 몸 곧 교회는 하나라고 깨닫는 데서 일어났습니다. 또한 교회의 사회참여, 사회정의 운동도 역시 성경을 공부하는 데서 곧 공의를 물같이 흐르게 하라는 성경의 말씀을 새롭게 듣는 데서 일어났습니다. 에스라는 자기자신이 먼저 성경을 연구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현대 우리 교우들은 어떠합니까?
아마 우리 교우가정은 누구나 성경 한 두 권은 가지고 있는 줄 생각합니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경을 읽는가 입니다. 연구하는가 입니다. 성경 위에 먼지는 없습니까? 어떤 분은 말하기를 오늘날 교인들이 성경책 위에 앉은 먼지를 일시에 털면 해가 보이지 않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래서야 되겠습니까? 여러분은 성경을 읽고 공부하기로 이 성서 주일에 결심하시기를 바랍니다.
둘째로, 에스라는 둘째의 결심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성경을 연구할 뿐더러 그대로 준행(遵行)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성경의 진리를 아는 것이 매우 필요하나 아는 지식에만 그치면 안됩니다. 그대로 준행하여야 합니다.
사실 성경을 공부하는 목적은 그대로 행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신명기 二十六장 十六절에『오늘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규례(規例)와 법도를 행하라고 네게 명하시나니 그런즉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지켜 행하라』하였습니다. 또한 여호수아 一장 八절에 하나님께서 여호수아에게『이 율법 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주야로 묵상하여 그 가운데 기록된 대로 다 지켜 행하라 그리하면 네 길이 평탄하게 될 것이다. 네가 형통하리라』그러므로 우리 주님도 산상보훈에서『누구든지 나의 말을 듣고 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고 행치 아니하는 자는 그 집을 모래 위에 짓는 어리석은 사람 같다』고 하였습니다.
야고보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고 하였습니다. 행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성경은『너희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라고 가르칩니다. 우리가 이대로 행하고 있습니까? 세상에 무엇보다도, 물질보다도, 정욕보다도, 허영보다도, 하나님을 사랑합니까? 또 둘째는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하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이대로 행하기를 힘쓰고 있습니까? 사랑은 먼저 가정에서 시작된다고 하였습니다. 또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가족을 사랑하고 있습니까? 아내들이여! 남편을 사랑합니까? 남편들이여! 아내를 사랑합니까? 시모(媤母)들이여! 자부들을 사랑합니까? 자부들이여 시모들을 사랑합니까? 형제들이여! 서로사랑 합니까? 사랑만이 아닙니다. 성경은 피차에 죄를 용서하라고 하였습니다. 화평(和平)하라고 하였습니다. 한 마음 한 뜻으로 성령이 하나되게 한 것을 굳게 지키라고 하였습니다.
각각 은사 받은 대로 선한 청지기로 서로 봉은 하라고 하였습니다. 봉사하고 있습니까? 성경은 성실, 정직, 충성, 근면, 절제, 그리고 온유(溫柔)와 겸손의 생활을 요구합니다. 우리가 이대로 행하기를 힘씁니까? 십계명을 지키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양심적으로 이 계명을 지켰습니까? 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이대로 행하기를 힘써야 합니다.
베드로 전서 五장 八절 말씀에『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 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게 하여 저를 대적하라』하였습니다. 현 시국은 문자그대로 우리의 대적이 우는 사자와 같이 두루 다니는 때입니다. 고로 안보문제가 가장 시급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범사에 근신해야 합니다. 말도 삼가고, 심지어 먹는 것, 입는 것, 모든 일에 근신해야합니다. 유언비어에 속지 아니해야 하고 모든 생활에 절약과, 검소(儉素)와, 절제를 다하여 사회의 퇴폐풍조, 온갖 사회질서를 해이하게 하는 행동을 삼가야 합니다. 우리 신자는 이 시점에서 먼저 솔선 수범해야 합니다. 몇 가지 구체적인 제안을 생각하여 봅시다.
一, 우리 신자의 가정에서부터 우선적으로 혼 분식을 꼭 실행하야 합니다.
二, 커피, 홍차 값으로 수 백만 달라가 소비된다고 합니다. 국산 음료로 전환해야 합니다. 가령 인삼차나 생강차가 얼마나 좋습니까!
三, 동아일보 조사부의 조사한 바에 의하면 금년 一월부터 九월까지 술 소비량이 서울 시민의 一년간 수돗물 사용량과 같으며 그 금액이 四백十八억二천 만원이라 합니다. 그리고 지난 九개월간의 소비된 담배는 三백 八十억 개피라 하며 소비된 담배의 길이는 서울에서 부산간을 二천 九 百번 왕복한 길이와 같고 그 금액은 五九七억이라고 합니다. 이런 쓸데없는 소비를 그냥 묵인하면서 무슨 생활의 절제를 말합니까? 특별히 이러한 시국에 철저한 금주, 단연 운동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먼저 정부 지도자들이 솔선 수범해야합니다. 이조역사를 읽으니 이성계도 새로 나라를 건설 할 때에 금주 령(令)을 발표한 일이 있습니다. 며칠 전 신문을 보니 이런 시국에도 고고클럽이니 나이트 클럽이니 하는 곳에서 밤새도록 음탕한 소란을 피운다고 하니 이것이 비상사태 하에서 용납될 수 있을 것입니까?
성경은 근신하고 깨라고 하였습니다. 정부도 깨어야하고 국민도 깨어야합니다. 나부터 먼저 깨어서 내 책임을 바로 하고 이 나라를 바로 지키고 건설해야 합니다. 자립, 자급, 자족의 나라를 건설하기 위하여 우리 국민 하나 하나는 근신하고 깨어 있어야 합니다.
셋째, 에스라는 곧 자기가 성경을 읽고 행할 뿐더러 이 성경의 진리를 모든 사람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신명기 六장 六절에『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네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표를 삼고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문에 기록할 찌니라』기록 되어 있습니다. 먼저 이 말씀을 우리 자녀들에게 철저히 가르쳐야합니다. 우리 학생들과 청년들에게 가르쳐야합니다. 우리 이웃들에게 가르쳐야합니다. 전 국민들에게 각각 재능대로 가르쳐야합니다. 예술가는 그 예술을 통하여, 문학가는 그 문학을 통하여, 문필가는 그 문필을 통하여 가르쳐야 합니다. 여기에 교회의 교육적 사명이 얼마나 중대한 것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본 교회에서도 교회학교, 주간학교, 유치원, 야간 성경학교, 성경통신과, 여자신학교, 영락 중학교, 영락 상업고등학교 등을 경영하는 것입니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각기 내 민족의 교사가 되기로 결심하여야 합니다. 가르치는 최선의 방법은 내가 먼저 행하면서 바울의 말씀대로 우리 신자 하나 하나가 그리스도의 산 편자가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성서주일에 우리도 애국자인 에스라의 三대 결심을 하여야 하겠습니다.
一, 성경을 연구합시다.
二, 성경대로 살기로 합시다.
三, 성경을 가르칩시다. (一九七一년 十二월 十二일 성서 주일)
?-58 네 가정을 지키라 (여호수아 二十四장 十四-十八절)
『너희 섬길 자를 오늘날 택하라 오직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수 二十四·十五)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지도자들 앞에서 선언한 말입니다. 모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요단강을 건너며 여리고 성을 비롯하여 온 가나안 땅을 점령한 후에 그는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들을 세겜에 모으고 여호와 하나님을 성실과 진정으로 섬기라고 권하면서 만일 그럴 마음이 없으면 다른 신이라도 택하라고 요구하면서 그는 말하였습니다.『오직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고. 여기 여호수아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가정으로 꼭 지키려는 굳은 결의를 우리는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각각 내 가정을 바로 지켜야 합니다.
첫째는 전원 기독교 가정으로 지키라고 하였습니다. 내 가정이 다 감화되었는가? 100%기독교 가정인가? 그러치 못한 가정도 상당히 있는 줄로 압니다. 이런 가정에서는 먼저 가정 안에서 전도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가정 안에서는 말로만은 전도가 되지 아니합니다. 꼭 행동이 따라야 합니다. 참으로 언행일치의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불신 가족을 감화시킬 수 있습니다. 온 가족이 감화되지 못한 가정에서 먼저 믿는 자들은 몇 가지 점에서 자기 자신의 신앙을 스스로 살필 수 있습니다.
첫째는, 내가 사실 예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임을 믿습니까? 내가 사실 천당과 지옥의 존재를 믿습니까? 만일 그렇다면 어떻든지 아직 믿지 않는 가족을 구하기 위하여 모든 방면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둘째는, 내가 아직 감화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내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살펴야 할 것입니다. 내 성품이나 생활에 전도를 방해하는 무엇이 있습니까? 내가 사실 가정에서 모든 일에 모범이 됩니까? 어진 어버이와 아내가 되었습니까? 스스로 살펴 조금이라도 장애 되는 무엇이 있으면 그것을 고치면서 전도해야 할 것입니다.
셋째는, 내가 아직 감화되지 못한 가족을 위하여 얼마나 간절히 기도하는가를 스스로 살펴야 할 것입니다. 간절한 기도를 하나님께서는 이루어 주십니다. 언젠가 들으니 전에 어떤 부인이 자기 남편을 인도하기 위하여 아무리 애써도 성과가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 번은 그가 중병에 걸렸습니다. 생명이 위태하게 보였습니다. 그때에 남편은 마음에 크게 두려움이 생겨 위로를 하다가 무슨 간절한 소원이 있는가 물어 보았다고 합니다. 그때 이 부인의 대답은「내 평생의 소원은 당신이 회개하고 예수를 믿는 것입니다.」고 말하여 그 남편은 곧 회개하고 예수를 믿었다고 합니다.
먼저 온 가정이 기독교 가정이 되도록 힘씁시다. 기독교 가정처럼 아름답고 경건하고 행복스러운 곳은 없습니다. 문자 그대로 지상낙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기독교 가정으로 지킵시다. 또 기독교 가정에서는 언제나 그리스도께서 동거하시는 가정이 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을 위 하여는 가정제단이 필요하고 자녀들에게 종교교육을 게을리 하지 아니해야 하고 교회에 대한 모든 봉사를 게을리 아니해야 합니다. 우선 우리가정을 100% 기독교 가정으로 만듭시다.
둘째로는 깨끗한 가정으로 지킵시다. 기독교 가정은 물론 깨끗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을 유지함에는 이에 대한 결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이 세속적인 오염이 항상 우리 가정을 위협하기 때문입니다.
기독교가 처음으로 전파되던 제一세기 로마제국 아래의 일반 사회는 아주 음란하였습니다. 당시 일반 문헌을 보거나 또 성경을 읽어서 우리는 잘 압니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 一장 二十六절 이하에『이를 인하여 하나님께서 저희를 부끄러운 욕심에 내어버려 두셨으니 곧 저희 여인들도 순리대로 쓸 것을 바꾸어 역리로 쓰며 이와 같이 남자들도 순리대로 여인 쓰기를 버리고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일듯하매 남자가 남자로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저희 그릇됨에 상당한 보응(報應)을 그 자신에 받았느니라』고 하였고 주님도『이 음란한 패역(悖逆)한 세대』라고 하였습니다. 그러한 때에 기독교는 정결한 성도덕을 전파하였습니다.『오직 너희를 부르신 거룩한 자처럼 너희도 모든 행실에 거룩한 자가 되라. 기록하였으되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 찌어다. 하셨느니라』(벧전 一장 十五-十六절)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 취할 줄을 알고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色慾)을 좇지 말라』(살전 四장 三-五절)『네 자신을 지켜 정결케 하라』(딤전 五장 二十二절)
그리스도인들의 생활의 특색은 오직 사랑과 정결(淨潔)입니다. 기독교는 정결한 가정을 만듭니다.
남자나 여자나 결혼 전에 그 몸을 깨끗이 지키지 못하면 정결한 가정을 이룰 수 없습니다. 결혼한 후에 남편이나 아내가 정조를 지키지 못하면 정결한 가정으로 유지할 수 없습니다. 또 이러한 가정에서는 자녀들이 바로 자라나지 못합니다. 재래의 한국 여성은 그 정조관념이 강한 것으로 이름이 높았습니다. 그런데 해방 이후에 퇴폐한 외래 기풍의 영향으로 고귀한 도덕 관념이 흔들리게됨은 실로 개탄할 일입니다. 얼마나 정확한지는 몰라도 일전에 신문에 보도된 조사 서를 보니 이 문제에 대하여 대답한 현대 여성의 二十九%가 약혼을 전제로 한 성적관계는 무방하다고 하였다고 합니다. 이 성도덕의 부패와 성생활의 혼란은 세계적인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더욱 정신을 차려 이 고상한 기독교 도덕을 굳게 지켜 빛과 소금의 책임을 다하여야 합니다.
계시록 二十一장 八절을 보십시오.『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行淫)자들과 술객(術客)들과 우상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여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세계적인 성적 타락과 오염에서 내 가정을 깨끗이 지켜야합니다.
셋째는 화평한 가정으로 지켜야합니다. 기독교 가정은 화평해야 합니다. 옛 글에도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고 하였습니다. 집안이 화평해야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그 비결이 무엇입니까? 한마디로 말하면 그것은 오직 사랑입니다. 성경이 가르치는 아가페입니다. 고린도 전서 十三장 四절을 읽어보십시오『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고』라고 설명합니다. 참 사랑은 오래 참습니다. 이 오래 참음이 있는 곳에 화평(和平)이 있습니다. 단점 없는 사람이 없습니다. 실수 없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나 피차에 오래 참는 가운데 가정의 평화가 유지됩니다. 성나는 것도 오래 참아야합니다. 괴로운 것도 참아야 합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노인이 고령임에도 건강진단을 해보니 건강이 매우 좋았습니다. 그래서 의사는 그 비결이 무엇이냐고 물어 보았습니다. 노인이 가만히 생각해보더니 아마 그것은「나는 산보를 많이 한 까닭인가 하오」라고 하면서「내가 결혼한지가 五十년이 지났는데 우리가 결혼할 때에 피차 약속한 것이 있었소. 그것은 만일 우리가 살아가다가 내가 먼저 성이 나면 당신은 대답하지 말고 곧 주방으로 나가시오. 또 당신이 먼저 성이 나면 나는 곧 밖에 나가 산보를 하겠소」그런데 참 산보를 많이 하였다고 대답하였다 합니다 .참는 곳에 화평이 있습니다.
이런 이야기도 있습니다. 어떤 가정에서 항상 부부간에 싸움이 있어 한번은 부인이 자기 의사에게 가서 사정을 말하며 성날 때 참게 하는 약이 있느냐고 물었다고 합니다. 그 의사는 조금 생각하더니 약이 있다고 하면서 약방에 들어가 물약 한 병을 주면서 이 약을 성날 때 곧 바로 먹어야 효과가 납니다. 곧 약을 물고 五분만 있다가 삼키라고 하였습니다. 그 약을 갖다가 그 처방대로 먹으니 과연 효과가 났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약을 다 먹은 후에 한 병 더 지어달라고 했더니 그 의사는 웃으면서 그 약은 다른 것이 아니고 그저 맹물에 설탕을 좀 탄 것인데 집에서 만들어 잡수시죠 하더랍니다. 요는 성날 때에 五분간만 참으면 성이 삭아집니다. 참아야 화평을 유지합니다.
그 다음에 사랑은 온유하다고 하였습니다. 온유하다는 말은 부드럽다는 말, 친절하다는 말입니다. 유순한 대답이 노를 쉬게 합니다. 골로새 三장 十九절에 보면『남편들아 아내를 사랑하며 괴롭게 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어떤 이는 다른 이들에게는 다 친절히 하면서 집안에 들어와서는 불친절한 이가 있습니다. 들은즉 어떤 부인은 남편이 너무 까다로워서 일생토록 마음을 못 놓고 산다고 합니다. 아내를 괴롭게 하지 맙시다. 또 남편에 대하여 까다롭게 구는 아내도 있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옛날 유대인의 속담에「까다로운 아내와 산 사람은 지옥에 안 간다」는 말이 잇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지옥의 고통을 받았으니까요. 남편을 괴롭게 하지 맙시다. 어떤 이가 나이는 아직 젊었는데 벌서 대머리가 된 것을 보고 그 이유를 물으니 그 사람 대답이「나는 집에 들어가면 너무 머리를 많이 긁었더니 그런가보오」라고 하더랍니다.
사랑은 자기 이익을 좇지 아니한다고 하였습니다. 가정에서도 이기주의는 금물입니다. 남편이 아내를 먼저 생각하고 아내는 남편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피차에 먼저 섬기기를 힘써야 합니다.
일전에 신문을 보니 어떤 경찰관이 박봉에 三년간이나 병석에 누운 자기 아내를 잘 간호하고 자기가 밥을 지어먹으면서 자기 책임을 잘하였다고 표창을 받은 사실이 있었습니다. 과연 그 남편은 모범적인 남편입니다. 내가 들으니 어떤 가정에서는 남편이 바람이 나서 딴 여자들만 따라다니다가 마지막에 돈이 다 없어지고 병들어 눕게되니 본처에게 돌아 왔다고 합니다. 잘 믿는 그 아내는 그런 남편이라도 배척하지 않고 불쌍히 여겨 받아들이고 병을 잘 치료하여 주니 그렇게 방탕하던 남편이 회계하고 눈물을 흘리며 자복(自服)하였다고 합니다. 한국 기독교 여성에게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현상인 줄 생각합니다.
여러분, 가정을 화목하게 지키십시오.
넷째는 여러분의 가정을 끝까지 지켜야합니다. 신혼 부부가 처음에 결혼한 후에는 첫 사랑과 정열에 도취되어 그저 꿈결 가운데 삽니다. 그러나 그런 시기는 오래가지 못 합니다. 몇 달 혹은 일년쯤만 지나면 그 꿈에서 깨어 서로의 결함을 보게 됩니다. 허물을 보기 시작합니다. 서로 품격과 생활 습성이 다른 것도 나타납니다. 사돈집의 허물도 점점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따금 불화와 다툼이 생깁니다. 한 마디로 말해서 가정의 위기가 옵니다. 내가 들으니 어떤 나라에서는 백성이 결혼하면 약 四十쌍이 이혼한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가정의 비극은 그 가정의 정신적인 기초가 박약한 까닭입니다.
우리는 가정에 대한 성경의 교훈을 분명히 기억해야 합니다. 가정을 세우신 이는 하나님이십니다. 가정을 이루는 것은 우연히 되는 것이 아니고 만세 전부터 예정된 하나님의 경륜에 의하여 되는 것입니다. 결혼이란 남녀 양성이 영적 육적(肉的) 온전한 결합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둘이 합하여 한 몸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한 몸은 다시 나눌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선언하였습니다.『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 찌니라』고 하셨습니다. 이 가정 부부 일신의 원칙과 불가분리의 원칙을 우리는 언제나 기억하고 어떤 어려움이 있을 지라도 극복하고 가정을 파괴하지 아니해야합니다. 기독교 가정은 죽음 이외에는 파괴할 것이 없습니다. 말라기 二장 十六절을 기억하십시오.『나 여호와는 이혼을 미워하노라』도도하게 밀러 들어오는 이 악한 퇴폐 풍조가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흔들려고 하는 이 때에 우리 기독교인들은 산성과 같이 튼튼히 서서 우리 가정을 끝까지 지켜야합니다.
오늘은 어버이 주일입니다. 뭐니 뭐니해도 가정의 주인은 어머니입니다. 특히 어머니들이 우리가정을 기독교 가정으로 깨끗하고 화평하게 끝까지 지킬 의무가 있습니다. 또 자녀들은 이러한 어머니들을 존경하고 효도를 다 해야합니다. 어머니의 사랑, 그 수고, 그 기도를 잊지 마십시오. 또 어머니가 이 세상에 오래 계시지 못 할 것도 기억하여 살아 있는 동안 위로하고 정성껏 보양합시다. 어떤 목사가 자기가 결혼하여 준 七백 五십 가정의 부부들에게 「가정을 행복 되게 하는 최대의 요소가 무엇인가?」고 물어보았다고 합니다. 그 대답은 거의 일치하게「매일 매일 참 신앙생활을 하는 데 있습니다」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一九七二년 五월 十四일 어버이 주일)
?-59 그리스도의 향기 (고린도 후서 二장 十二-十七절)
『우리는 구원 얻는 자들에게나 망하는 자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고후 二·十五)
새 번역에는『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입니다.』
여기 사도 바울은 우리를 곧 우리 믿는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향기라고 부릅니다. 우리 믿는 사람들은 어디 가나 그리스도의 향기를 나타내야 합니다. 우리가 다 꽃을 사랑합니다. 그 이유는 꽃은 아름다울뿐더러 그 속에 또한 향기가 있는 까닭입니다. 꽃 가운데도 우리는 향기가 많은 꽃들을 더 사랑합니다.
장미는 그 모습이 아름다울뿐더러 향기가 또한 많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장미를 더 사랑합니다. 백합도 역시 그러합니다. 모습이 아름다울 뿐더러 향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백합을 더 사랑합니다. 풀 가운데도 특별히 향기가 있는 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초향(草香)이란 말이 있습니다. 열대지방에 가면 흔히 이런 향기 있는 풀을 동산에도 심고 방안에도 심습니다. 나무 가운데도 특별히 향기 있는 나무가 있습니다. 이런 나무를 흔히 향나무라 합니다. 이런 나무로 향품(香品)을 만듭니다.
옛날 사람이나 지금사람이나 우리는 다 이렇게 향기를 좋아합니다.
옛날 솔로몬이 그 아름다운 성전을 지을 때에 외부는 물론 돌로 쌓았으나 그 내부는 향기가 나는 백향목(柏香木)으로 전부 입혔습니다. 그리해서 성전 안에 들어가면 언제나 향기가 있었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성전 안에는 향단이 있어서 그 위에는 언제나 향기가 또한 성전 안에 가득하게 하였습니다.
교회사를 읽어보면 동로마제국의 황제 뎨오도시엇스황제가 콘스탄티노플에 그 유명한 성 소피아 예배당을 지으면서 돌을 쌓을 때에 회삼물에 향을 섞었으므로 언제나 그 안에 들어가면 향기가 가득하였다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렇게 옛날부터 인간은 향기를 사랑해서 몸에 화장을 할 때에도 향유를 썼으며 하나님께 예배를 들일 때에도 향품을 사용하였습니다.
예수 님이 탄생하실 때에 동방박사가 멀리서 와서 아기에게 경배할 때에도 황금과 유향과 몰약 이 세 가지를 예물로 드렸습니다. 여기 유향 이라는 것은 지극히 귀한 동방의 향품을 의미합니다. 향기는 눈에 보이지 아니하나 온 방안을 향기롭게 합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향기는 거룩함과 순결함과 아름다음의 상징이 된 것입니다. 인격의 향기가 있습니다. 영혼의 향기가 있습니다. 사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향기가 있어야 합니다.
一, 이미 말씀 드린 대로 옛날부터 하나님께 예배드릴 때에 향품을 사용하였습니다. 하나님께 말하자면 향기를 제물로 드린 것입니다. 그러므로 옛날 구약 시대에는 성전 안에 향단이 있어서 언제나 향을 피웠고 지금까지도 오랜 역사적인 교파 가운데는 예배할 때에 향을 피우는 풍속이 있습니다.
제가 몇 해 전에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갔을 때에 어떤 주일 친구의 인도를 받아 인도사람으로 조직된 말토마 교회에 가니 그 교회에서는 향을 많이 피우면서 예배를 드리는 것을 본 일이 있습니다. 실지로 예배 시에 향을 피워야 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회의 전통과 예배의식을 따라 그 견해가 각각 다를 것입니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우리 믿는 사람들은 누구나 하나님께 그리스도의 향기를 먼저 드려야 합니다.
첫째로 우리 믿는 사람들은 믿음의 향기를 하나님께 먼저 드려야 합니다. 히브리 十一장 六절에『믿음이 없이는 기쁘시게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
옛날 아벨 노아 아브라함으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누구든지 하나님께 복을 받은 이들은 다 먼저 이 믿음의 향기를 하나님께 드린 것입니다. 이 믿음이 있어야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고 그로부터 복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히브리 十一장에 이스라엘 전 역사를 통하여 위대한 인물들이 전기를 기록할 때에 이『믿음으로』하는 말이 많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러분, 이 믿음의 향기를 하나님께 드릴 수 있습니까? 이『믿음으로』만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합니다. 하나님은 믿음의 향기를 제일 좋아합니다. 여러분 하나 하나가 오늘 저녁에 이 믿음의 향기를 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내가 믿사오니 나의 부족한 믿음을 도와주소서」기도 하시기를 바랍니다.
둘째로, 사랑의 향기를 하나님께 들려야합니다. 주님께서는 친히 말씀하시기를『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라』고 하였습니다. 사랑의 향기를 또한 드려야 합니다. 여러분 다 하나님을 사랑합니까? 주님도 또한『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물으셨습니다. 참으로 사랑합니까? 하나님은 언제나 이 사랑의 향기를 기쁘게 받으십니다.
셋째로, 순종의 향기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이들은 또 계명을 순종하여 지킵니다. 『순종이 제사 보다 났다』고 성경은 지적합니다. 하나님께 나오는 자마다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해야합니다. 어떤 성도들은 이 순종의 향기를 드리기 위하여 그 생명까지 바친 이들이 있습니다. 이들을 순교자라고 합니다. 여러분 이 순종의 향기를 드립니까?.
넷째는, 헌신의 향기를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성경은『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하였습니다. 또한 말씀하시기를『너희는 이 세대를 본 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이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하였습니다.
여러분! 몸을 온전히 하나님께 드렸습니까? 하나님은 이렇게 헌신의 향기를 드리는 이들에게 축복하셔서 그런 이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크신 역사를 이 땅에 이룩하십니다.
다섯째로, 기도의 향기를 드려야합니다. 요한 계시록을 보면 천사들이 대접에 향기를 가득히 담아 하나님께 드리는 광경이 보이는데 이 향은 곧 성도의 기도라 하였습니다. 분명히 깨달으세요. 우리가 드리는 기도는 향기가 되어 하나님의 보좌에까지 올라갑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향기를 받으시고 우리 기도를 응답하여주시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성도들은 먼저 하나님께 믿음과 사랑과 순종과 헌신의 향기를 드려야합니다.
二, 우리 믿는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또한 그리스도의 향기를 퍼뜨려야 합니다. 방안에 장미 한 송이 있으면 온 방을 향기로 채우는 것처럼 우리 가정에 그리스도인 하나가 있으면 온 가정을 그리스도의 향기로 채워야 합니다. 이 향기도 몇 가지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의 향기로 채워야 합니다. 이 세상 사람가운데는 아직도 그리스도를 알지 못함으로 비록 고등 교육을 받았으나 여러 가지 미신에 빠지고 여러 종류의 우상을 섬깁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에는 아직도 돌이나 혹은 나무로 우상을 만들어 놓고 거기에 절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몸에는 양장을 하고 현대적 자동차를 타고 다니지마는 그 심령은 아직까지도 옛날 석기시대의 사람들처럼 우상을 섬깁니다. 왜냐하면 아직도 예수를 모르는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살아 계신 하나님을 아직도 모르고 여러 가지 모양의 미신을 믿고 우상을 섬깁니다.
주님께서 친히 말씀하셨습니다.『나는 길이요 진리이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 곧 진리의 향기를 사방에 펼쳐야합니다.
둘째로, 우리는 또한 성결(聖潔)의 향기를 펼쳐야 합니다. 이 세상에는 더러운 냄새가 너무 많습니다. 이런 세상에서 거룩함과 깨끗함에 곧 순결의 향기를 펼쳐서 우리사회를 좀 더 정화해야 하겠습니다. 요사이 청년 남녀간에도 썩은 냄새가 너무 많이 납니다. 이런 사회에 이 성결의 향기가 얼마나 요구됩니까? 우리 서울 여자 대학 졸업생들은 이 성결한 그리스도의 향기를 나타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셋째는, 우리 신자들은 공의와 진실의 향기를 또한 나타내야 합니다.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우리 주님은 의를 사모하기를 주리고 목마른 것 같이 하라고 하셨습니다. 예수는 진리이십니다. 참되십니다. 진실합니다. 이 불의와 거짓이 많은 세상에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어디서나 의와 진실의 향기를 전해야 할 것입니다.
넷째로 그리스도인들은 사랑과 봉사의 향기를 뿜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 십니다. 그리스도도 사랑이십니다. 우리 주님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고 섬기려 오셨고 그 목숨을 바쳐 만민을 구원하는 대속(代贖)물(物)로 삼으셨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믿고 좇는 자라고 하면 아무래도 이 사랑과 봉사의 향기를 전해야 할 것입니다.
다섯째로, 겸손의 향기입니다.『너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명에를 메고 나를 배우라』고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이 마음속에 계시면 겸손의 향기가 자연히 날 것입니다.
하나님은 교만한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에게 복을 주십니다. 이렇게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 세상에서는 진리의 성결과 공의와 사랑과 겸손의 향기를 전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옛날 시바 여왕이 솔로몬의 지혜를 사모하여 그를 방문할 때에 그의 지혜를 시험하여 보기 위하여 아름다운 꽃 화분 둘을 가져 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꽃들은 꼭 같은데 실상은 하나는 산 꽃이요 다른 화분은 사람이 만든 꽃이라고 합니다. 이 시바 여왕이 화분을 둘 멀리 갖다 놓고 솔로몬 왕에게 어느 화분이 참 꽃이냐고 물었다고 합니다. 이 말을 듣고 솔로몬 왕은 조금 생각하더니 그 옆에 있는 신하에게 말하기를「얘 동산에 나가서 벌과 나비를 몇 마리씩 잡아오너라」하였습니다. 조금 후에 그 신하가 벌과 나비를 가지고 들어왔습니다. 그때에 솔로몬 왕은 다시 말하기를「얘, 그 벌과 나비들을 방안에 놓아 주라」하였습니다. 그랬더니 이 벌과 나비들이 그 방안에서 조금 날더니 금방 화분 있는 데로 날아갔습니다. 그러더니 그 놈들이 한편 화분에만 앉고 다른 화분에는 한 놈도 안 앉았다고 합니다. 그때에 솔로몬 왕은 웃으면서 말하기를「저 벌과 나비가 앉은 화분이 산 꽃이다」하였다고 합니다. 왜 벌과 나비들이 산 꽃에만 앉았습니까? 그 이유는 분명합니다. 곧 산 꽃에만 향기가 있습니다. 여러분 산 믿음이 있습니까? 참으로 예수를 믿고 그를 내 중심에 영접하였습니까? 만일 이 점에 분명치 못한 이가 있으면 오늘 저녁 중심에 주님을 영접하시기를 바랍니다. 산 장미가 됩시다. 죽은 장미는 되지 맙시다. 죽은 장미는 쉬이 썩어서 더러운 냄새가 납니다. 산 그리스도인이 됩시다.
성경에 보면 베다니 마리아의 믿음과 사랑의 향기는 지금까지도 온 세계에 사무칩니다.
우리 서울 여자 대학 졸업생들도 이렇게 어디를 가나 그리스도의 향기를 사무치게 하는 하나님의 딸들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一九七三년 一월 三十一일 서울여자대학 졸업 예배)
?-60 과학혁명과 정신혁명 (고린도 후서 五장十四-十九절)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안에 있으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고후 五·一七)
여기『새로운 피조물』또는『새것』이란 말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를 새 시대라고 합니다. 사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 새것 또는 새로운 피조물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라디오도 새것이요, TV도 새것이요, 컴퓨터도 새것이요, 원자탄도 새것이요, 인공위생도 새것입니다. 사실 우리가 사는 이 二十세기는 새것이 많이 만들어진 새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이 모든 새것들은 과학의 공헌입니다. 문자 그대로 과학은 인간생활에 큰 변혁을 일으켰습니다.
一, 과학은 많은 새로운 것으로 인간생활에 큰 변혁을 일으켰습니다.
① 교통도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옛날에는 여행을 하려면 흔히 말이나 수레를 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자동차, 기차, 비행기를 타고 다닙니다. 과학은 여행을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② 통신도 그러합니다.
옛날에는 무슨 소식을 전하려면 편지를 써서 인편으로 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전보가 있고 전화가 있고 모든 사람에게 일시에 소식을 전할 수 있는 라디오와 TV가 있습니다. 이렇게 과학은 통신을 새롭게 하여 소위 매스컴 시대를 만들었습니다
③ 생산도 그러합니다.
옛날은 흔히 수공업으로 무엇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기계로 많은 물건을 생산하며 또 지금은 점점 기계가 기계를 운전하는 대량생산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과학은 생산 수단을 새롭게 하였습니다.
④ 계산도 그러합니다.
옛날 동양에서는 흔히 주산으로 무엇을 계산하였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것도 과학이 계산하는 방법을 새롭게 하였습니다.
二, 이상과 같이 과학이 많은 새것을 만들어 냄으로 인간생활의 양상도 크게 변하게 되었습니다.
① 우선 공업화 시대를 만들었습니다. 도처에 공장이 서고 높은 굴뚝이 연기를 토하게 되었습니다.
② 도시 집중시대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도시로 도시로 모여듭니다. 우리가 사는 서울이 어떻게 빨리 팽창되는지 우리는 목도하고 있습니다. 서울뿐 아닙니다 동경이 그러하고, 뉴욕이 그러하고, 런던이 그러하고 어디나 대도시들이 발흥합니다.
③ 지금은 세계가 한 이웃이 되었습니다. 먼 나라 가까운 나라가 거이 없게 되었습니다. 세계 인류는 어디서 사나 공동한 운명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三,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과학은 이 세계에 새로운 큰 문제를 가져왔습니다
① 가령 지금 모든 공업이 발달한 나라들이 당면하는 소위 공해 문제입니다. 공업이 발달된 나라일수록 공기가 더러워지고 물이 더러워지고 온갖 소음 때문에 인간이 정신을 안정히 가질 수 없게끔 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② 집중된 도시 생활은 온갖 사회문제를 가져옵니다. 사회적 불안, 폭동, 범죄율의 상승, 또 만일 원자 전쟁이 일어난다면 다같이 모여 있으니 모두 원자탄 한 알에 떼죽음하기 꼭 알맞게끔 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③ 세계 각 나라가 서로 이웃이 되었으니 한 곳에 일어나는 전쟁의 불티가 잘못하면 온 세계에 미쳐 문자그대로 제三차 전의 위험이 전 세계 인류 위에 덮여 있습니다. 이렇게 과학혁명은 새로운 불안과 공포의 세계를 만들었습니다.
四, 그러므로 현대의 세계 인류는 과학혁명만으로는 인간이 살 수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과학자가 인공인간을 만들기를 원하여 수 십 년간 연구와 실험 끝에 마지막에는 인공인간을 완성하였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하루는 자기 부인과 그 나라의 모든 저명한 정치가와 과학자와 문화인들을 초청해 놓고 이제 버튼만 누르면 이 인간이 살아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만든 사람이라 인물도 잘 났고 키도 큰 건장한 남자입니다. 모두 그 인공인간을 주시하는 중에 그 과학자는 미소를 하며 버튼을 눌렀습니다. 과연 인공인간은 눈을 뜨고 손발을 움직이더니 벌떡 일어나 둘러선 사람들을 돌아보았습니다. 그리더니 그 큰 주먹을 들어 자기를 만든 과학자의 부인의 머리를 내리쳐 단번에 즉사케 하였습니다. 그리더니 다음에는 그 과학자 또 그 다음에는 그 옆에 섰던 정치가들을 모조리 때려 죽였습니다. 그리하여 다른 이들은 혼비백산하여 달아났다고 합니다.
이 과학자가 인공으로 육신 사람은 만들었는데 그 속에 양심은 넣어 주지 못하였습니다. 의미심장한 이야기입니다. 현대과학이 많은 새로운 것을 만들어 인간의 외부 생활의 혁명은 가져 왔으나 그 속 사람은 변하게 못하였습니다. 죄로 타락한 인간 고유의 욕심, 정욕, 시기, 질투 등 인간의 속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외양은 새 사람이 되었으나 그 속은 옛 사람 그대로입니다. 옛날 굴속에서 살던 동굴인(Caveman)의 심리 그대로입니다. 정굴 속에 사는 밀림인(Bushman)의 심리 그대로입니다.
그런데 현대인의 가장 큰 문제는 지금은 이 동굴인 이 비행기를 타며 기관총을 쏘며 원자탄을 내리치며 유도탄을 발사합니다. 그 결과는 과학이 만든 이 양심 없는 인공 물질문명으로 말미암아 세계인류는 전멸의 위기에 당면하였습니다.
기독교청년 여러분! 이 二十세기의 고민이 여기에 있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과학혁명만은 안됩니다. 정신혁명이 꼭 있어야합니다. 겉으로만 새 사람이 되어서는 아니 됩니다. 속 사람이 새것이 되어야 합니다. 겉 사람의 유신만은 안됩니다. 속 사람이 새로워져야 됩니다. 어떻게 하야 속 사람이 새로워질 수 있습니까? 오늘 저녁에 읽은 본문을 다시 들으십시오.『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누구든지 그리스도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 됩니다. 어떤 사람이든지 새로운 사람이 됩니다. 새로운 마음, 정신이 됩니다. 모든 것이 새로워집니다. 예수 님이 오신 목적이 여기에 있습니다.
인간의 속에 정신혁명은 오직 그리스도만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성령의 역사로만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도 그리스도안에서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이 정신 혁명을 일으키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삭개오도 그리스도 안에서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어거스틴도 그리스도 안에서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김 익두 목사도 그리스도 안에서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이 정신혁명을 일으키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우리 나라도 과학을 통하여 근대화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질적 혁명만은 부족합니다. 정신적 혁명이 꼭 일어나야 합니다. 얼마 전에 우리 정부는 시정의 三대 목표를 발표하였습니다. 곧 (一) 국가보위 (二) 경제발전 (三) 정신 혁명, 이상 세 가지는 우리 나라가 꼭 성취해야 할 일입니다. 六十만 국군 장병이 이 국가 보위에 책임을 맡고 주야로 수고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기업가와 산업전사들이 경제 발전을 위하여 눈부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정신 혁명은 누가 할 것인가! 이것은 여기 있는 우리 기독 청년들의 사명입니다.
하나님께서 제군을 이 땅에 이 시대에 두신 것은 바로 이 정신 혁명의 역사적 과업을 수행키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기독 청년들은 이 천부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총 궐기해야합니다.
그 길이 어디인가?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
一, 그것은 먼저 내 자신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내 자신이 먼저 온전히 과거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내 구주로 믿으며 그 몸을 온전히 하나님의 제단에 바쳐 새 사람이 되고 중생 하여야 합니다. 성경의 말씀대로 내 자신이 먼저 그리스도안에 있음으로 새로운 피조물이 되어야 합니다. 모든 것이 새로워져야 합니다. 여러분! 이 시간 가슴에 손을 조용히 얹고 우선 내 자신을 살피십시오. 내 자신을 온전히 드립시다. 내 자신을 온전히 산 제사로 진리의 제단에 드립시다.
二, 나만 새롭게 될 뿐 아니라 우리 온 동포들도 새롭게 되어야 합니다. 모든 기독청년들은 일제히 일어나 그리스도를 전파하여야 합니다. 소리를 높여 五천만 동포에게 그리스도를 전해야합니다.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하기 위하여 궐기하여야 합니다.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기 위하여 몸을 바칩시다. 시간을 바칩시다. 물질을 바칩시다 우선 금번 액스플로74 전도 대회를 계기로 우리 기독 청년들은 아직도 그리스도를 모르는 청년들과 학생들을 주님께로 인도합시다.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기 위하여 모든 기독 청년들은 일어나십시오. 단합하십시오. 복음의 기치를 높이 드십시오.
三,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어디서나 소금의 역할을 해야합니다. 이 땅에 과연 자유와 평화와 번영과 통일의 민주국가를 영원히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 기독 청년들은 어디서나 그 직장에서 나의 책임을 올바르게 충성을 다하여 수행하여야 합니다. 그리하여 우리 기독청년이 가는 곳마다 그 직장이 깨끗하여지고 새로워 저야 합니다. 우리 기독 청년들은 그 어디서나 우리 조국의 안전과 발전을 방해하는 모든 부정과 부조리, 악하고 그릇된 사상과 폐습을 과감히 시정하여 민주국가로서의 조국 확립에 이바지하여야 합니다.
첫째는 조국의 방위와 발전의 전위가 되고 투사가 되시오. 다시 말합니다. 먼저 그리스도 안에서 새사람이 되시오.
둘째는 국민을 새사람을 만들기 위하여 복음 전파자가 되시오.
셋째는 새로워진 기독 청년들은 한 마음과 한 뜻으로 단합하여 조국의 방위와 민주 건설에 온전히 헌신하십시오. (一九七三년 五월 七일 청년 전도 대회에서)
?-61 청년아 일어나라 (이사야 六十장 一-三절)
(누가복음七장十一-十七절)
『청년아 내가 네게 말하노라 일어나라』(눅 七·十四)
『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이는 네 빛이 이르렀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위에 임하였음이니라』(사 六十·一)
여기 간단한 세 말씀이 있습니다. 첫째는『청년아』하는 말, 둘째는『일어나라』셋째는 『빛을 비치라』하는 말씀입니다.
一, 먼저『청년아』예수께서 청년을 부르십니다. 노인을 부르시는 것이 아닙니다. 어린이를 부르시는 것도 아닙니다. 청년을 부르셨습니다. 왜 청년을 부르십니까? 누구보다도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청년이 필요합니다. 왜 청년이 필요합니까? 어느 때 보다도 청년시기에 또 예수를 만나야 합니다.
천년을 청춘이라고도 합니다. 청년시기는 인간의 봄입니다.
봄에는 새 싹이 나고 꽃이 피고 새는 노래하는 것처럼 청년시기는 가장 아름다운 인생의 계절입니다. 청년의 마음은 봄 밭과 같습니다. 봄에 씨를 부려야 가을에 거둡니다. 그러나 아주 중요한 것은 무슨 씨를 뿌리는가 하는 것입니다. 좋은 씨를 뿌리면 좋은 곡식을 거두고 나뿐 씨는 잡초를 거둘 뿐입니다. 청년의 마음 밭에 진리의 씨를 뿌려야합니다.
그러므로 예수는 청년을 찾으십니다. 그러나 봄철에는 때로는 몹쓸 바람이 붑니다. 청년의 가슴에도 때때로 폭풍이 붑니다. 의심의 바람, 번민(煩悶)의 바람, 불안, 유혹, 고통, 갈등의 바람이 붑니다. 이 마음의 폭풍을 옳게 진정해야합니다. 그러므로 청년시대에 착실히 바다를 잔잔케 하신 예수를 만나야 합니다.
청년의 시기는 영이 자라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육신은 이미 그 성장을 마쳤으나 그 속에 있는 심령은 계속하여 자라야 합니다. 그러므로 청년의 가슴에는 인생문제, 우주문제 등 깊은 문제들로 그 머리가 설레게 됩니다. 인생이 어디서 왔으며 무엇 하러 왔으며 어디로 갑니까? 우주의 배후에 무엇이 있습니까? 참으로 하나님이 계십니까? 이렇게 우주와 인생의 깊은 문제의 번뇌를 거듭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는 오직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그리스도에게만 해결됩니다.
그러므로 예수는 청년을 찾으십니다. 청년시기는 인생의 분수령입니다. 인생의 성공과 실패, 복과 저주, 아니 생명과 사망의 분수령입니다. 이때에 방향을 옳게 정하면 그 앞에는 행복과 성공과 생명이 있으나 방향을 잘 못 정하면 오직 불행과 패배와 사망이 있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예수께서는 청년을 찾으십니다. 청년 하나 하나를 옳은 길로 인도하시기 위하여 청년을 부르십니다.
그러므로 예수 님께서는 요단 강변과 갈릴리에 나타나서 천국의 사업을 시작하실 때에 그는 항상 청년 요한 을 부르셨습니다. 청년 야고보를 부르셨습니다. 제一세기 기독교운동은 청년운동이었습니다. 청년시대에 예수의 음성을 들으시오. 예수의 부름에 응답하시오. 정욕의 부름을 듣지 마시오. 허영의 부름을 듣지 마시오. 악한 지도자의 부름을 듣지 마시오. 전에 독일의 많은 청년들이 악한 지도자 히틀러의 부름을 듣고 얼마나 많은 귀한 청년들이 비참하게도 쓰러지고 망한 사실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이런 일은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있을 수 있고 또 있는 일입니다. 청년들을 옳게 지도할 수 있는 이는 역사적으로 오직 한 분뿐입니다. 곧 예수 그리스도뿐입니다. 예수를 참으로 따르는 이는 그릇될 수 없습니다.
『청년아』예수께서 그대들을 부르십니다. 그 부르심에 응답하십니까? 이 시간 응답하십시오, 청년시대에 예수의 부름에 응답하십시오.
二, 둘째 말씀은『일어나라』하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본래 죽은 나인성 과부의 아들에게 외친 말씀입니다.
(一) 예수께서 죽은 청년을 향하여『일어나라』고 외치셨습니다. 죽은 청년이 일어났습니다. 죽은 청년 나사로도 그의 외치는 말씀에 일어나서 무덤으로부터 나왔습니다. 예수의 부름을 들으면 죽은 청년도 살아납니다. 왜? 예수는 생명인 까닭입니다. 육신은 살아났으나 영이 살지 못한 청년들이 허다합니다, 예수 님의 말씀대로 죄와 허물로 죽은 영혼이 많습니다. 예수는 이러한 영들에게 생명을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그러므로 말씀하셨습니다.『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니라』『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으면 아버지께 올 자가 없느니라』고 하였습니다.
사도 요한 은 말씀하셨습니다.『아들이 잇는 자에게는 생명이 있고 하나님의 아들이 없는 자에게는 생명이 없느니라』사실 예수를 모르고 하나님을 모르는 이는 육은 살았으나 그 영은 죽은 자들입니다. 죽은 것은 썩기 마련입니다. 송장에서는 썩은 냄새가 납니다. 죽은 심령도 온갖 더러운 냄새로 나타납니다. 음란, 부정, 부패, 방탕, 허위, 교만 등 더러운 냄새로 나타납니다,
예수의 부름을 듣고 주께 나오면 죽은 영도 살아나서 깨끗한 사람이 됩니다. 더러운 냄새대신에 새로운 그리스도의 향기를 풍기게 됩니다. 옛날에 일곱 귀신이 들렸던 막달라 마리아가 그러하였고 탐관 오리였던 삭개오가 그러하였고 재주는 있었으나 방탕하던 어거스틴이 역시 그러하였습니다. 성 프랑시스의 제자 가운데 강도 출신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실들은 옛날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현대의 막달라 마리아, 현대의 사개오, 현대의 어거스틴도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습니다.
예수의 부름을 받으면 그 부름에 응답하면, 그리고 그에게 나오면 죄로 말미암아 죽은 영혼도 살아납니다.『죽은 영혼들아 이 생명의 주의 부름을 지금 들으라, 지금 나아오라, 그러면 살리라』새 생명을 얻을 것입니다.
(二) 그리고 예수 님께서는 또 병든 자를 만나면 일어나라고 외치셨습니다. 가버나움에서 친구가 메고 온 중풍병자를 보시고 일어나 네 상을 가지고 가라고 외치셨습니다. 그 환자가 즉시로 일어나 그 상을 가지고 걸어갔습니다.
베데스다 못 가에서 三十八년이나 자리에 누었던 환자를 향하여 일어나라고 외치실 때에 그 환자도 힘을 얻어 일어났습니다. 죽지는 않았지만 그 심령에 병이 들어 무용지물이 된 청년들도 많습니다. 온 몸이 건강하지마는 한 곳에 병이 들면 그 온 몸을 쓸데없게 만듭니다. 어떤 청년은 총명도 있고 교육도 상당히 받았건만 한 가지 병 때문에 아무 쓸데없는 이가 있습니다. 어떤 이는 진실치 못해서 어떤 이는 게을러서, 어떤 이는 음란해서 쓸 때 없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예수는 온갖 질병을 고치셨습니다. 온갖 마음의 병도 고치십니다. 예수 님은 이런 환자들을 향하여 오늘도『일어나라』고 외치십니다. 예수 님의 부름을 들으면 어떠한 병도 어떠한 정신의 병도 어떠한 성격의 병도 고칠 수 있습니다.
병든 심령이여 오늘 저녁 주의 음성을 듣고 일어나라!
(三) 그리고 또 우리 주님은 자는 자들을 향하여『일어나라』고 외치셨습니다. 겟세마네 동산에서 자던 제자들을 향하여 일어나라고 하셨습니다. 죽지도 않고 병도 없으나 자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시대도 모르고 사명도 모르고 잠자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요나처럼 큰 폭풍우가 일어났건만 그의 사명을 모르고 배 밑에서 잠자는 청년들은 없습니까? 마땅히 깨어 기도해야 할 그 때에 원수들은 점점 가까워 오는 때에 제자들처럼 잠자는 청년들은 없습니까? 유두고처럼 위대한 사도 바울의 설교를 들으면서도 조는 청년은 없습니까? 지금은 자다가 마땅히 깰 때입니다. 휴전선을 가로놓고 사는 이 남한의 정세가 얼마나 위태합니까? 그러나 정신없이 잠만 자는 기독청년은 없습니까? 악한 마귀가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 자를 찾아다니는 이러한 때에 자기의 사명을 모르고 잠만 자는 기독 청년은 없습니까?
『청년아 일어나라』예수 님께서는 부르짖습니다.『한국의 기독청년들아 일어나라』주님은 외치십니다.
三, 일찍이 하나님은 옛날 시온을 향하여『일어나라 빛을 비치라』고 외치셨습니다. 예수 님께서는 믿는 청년들을 향하여 일어나 빛을 비치라고 외치십니다. 일어나라고 하심은 목적이 있습니다. 빛을 비쳐야 할 사명이 있습니다. 일어나 주님께 나아오는 청년들 위에는 하나님의 빛이 비치셨습니다. 진리의 빛, 생명의 빛, 사랑의 빛이 임하셨습니다. 우리 기독청년들은 이 빛을, 이 어두운 세상에 비칠 사명이 있습니다. 이 세상은 과학의 시대, 우주의 시대라고 하나 그 실은 아직도 무지와 불안과 공포와 슬픔과 온갖 더러운 죄악의 구름이 덮여 있습니다. 이 어두운 구름을 헤칠 수 있는 것은 오직 진리와 생명의 빛뿐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외치십니다.『청년아 일어나 빛을 발하라』어떻게 빛을 발할 것인가?
(一) 먼저 별과 같이 비쳐야합니다.
별은 멀리 있으나 은연(隱然)한 중에 빛을 발합니다. 별은 아무 소리가 없으나 조용한 중에 빛을 발합니다. 우리가 그에게 나와 그를 영접하고 그의 참 제자가 되면 그리스도의 빛이 우리에게서 반사됩니다. 조용한 가운데 빛을 발합니다. 말이 없어도 빛을 발합니다. 참 기독청년은 그 인격과 성품과 생활에서 아무 말이 없으나 진리와 사랑과 생명과 공의와 자유의 빛을 발합니다. 향기와 같이 사방에 이 빛이 퍼집니다. 별과 같이 비치는 참 신앙을 가진 기독청년들이 되십시오.
(二) 그리고 둘째는 등불과 같이 비쳐라. 작은 등불은 비록 작으나 방안을 비칠 수 있습니다. 멀리는 비치지 못하나 가까운 데는 비칠 수 있습니다. 내가 참 기독 청년입니까?. 내 가까운 가족, 친척, 친구, 같은 방에서 일하는 이웃들에게 빛을 비쳐야합니다. 찬송가에 잇는 말씀과 같이『천사 같이 말못하고 바울 같지 못하나 내 집 근처 다니면서 건질 죄인 많도다』우선 내 가족, 내 친척, 내 친구에게 빛을 비치어 그들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하여야합니다. 특별히 이 달 말에 있을 빌리 그레함 전도대회에는 우리 기독청년들은 내 가까운 이들을 꼭 주께 인도하여야 합니다. 방안에서 내 등불을 켜라!
(三) 그리고 또 모든 기독 청년들은 단합하여 하나가 되어 큰 등대같이 빛을 비쳐야 합니다. 이번 빌리 그레함 전도 대회에 기독 청년들이 멀리 바다를 비칠 수 있는 큰 등대가 될 것입니다. 내가 바라는 것은 금번 대회에 모든 기독 청년들이 일제히 일어나 단합하여 큰 빛을, 큰 등대와 같이 남북한에 아니 전 아시아 전 세계에 비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문자 그대로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청년들아 일어나 빛을 발하라』자세히 들으십시오. 결론으로 주님께서는『청년아 일어나 빛을 발하라』고 외치십니다.
① 우선 여러분 자신을 위하여 일어나야 합니다. 인간은 이 세상에 한 번 왔다가 가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삶의 기회는 한 번 밖에 없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삶을 가지겠는가? 진리와 생명의 빛을 발하는 삶을 가지려는가 혹은 아무 목표나 비전이 없는 무의미한 삶으로서 일생을 낭비하여 버리겠는가! 한 번 밖에 살 수 없는 일생을 옳게 살기 위하여 지금 일어나 주를 영접하고 그의 빛을 발하십시오.
② 그리고 우리 한국교회를 위하여 여러 기독 청년들은 또한 일어나야 합니다. 해방이후 우리 남한에는 하나님께서 큰 축복으로 전도의 문을 크게 열어 주셨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과거 二十년간에 우리 한국 교회는 혼란과 분쟁과 분열 등으로 복음 전도의 사명을 바로 수행하지 못한 것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때야말로 기독 청년들이 일어나 화해와 일치와 단결로 한국교회의 역사적 방향을 바로 놓아야 합니다. 그리하여 교파를 초월하여 각계 각층이 하나가 되어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큰 전도운동을 일으켜야합니다.
③ 그리고 한 거름 더 나아가 우리 기독 청년들은 일제히 일어나 조국의 방위와 발전과 민주국가의 확립을 위하여 헌신해야합니다. 남북의 대화가 시작되었다고 이 땅에 평화가 온 것은 아닙니다. 통일이 가까운 것도 아닙니다. 남북한 다 통일을 원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어떠한 통일을 이루려는가?
五천만이 바라는 통일은 인권과 자유가 보장되는 참된 민주통일입니다. 이러한 통일을 위 하여는 우선 우리 남한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방면에서 단연 우위를 유지할 만큼 발전과 건설이 요구됩니다. 이를 위 하여는 국민 총화와 민주세력의 단합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기독 청년들은 일어나 각계 각층에서 이 위대한 사명의 핵심적 역할을 하여야 합니다. 무신론자, 유물론자, 공산당 등은 호시탐탐 우리 남한을 노리고 있습니다. 부패와 부정의 분자들 역시 우리 한국을 좀 먹습니다. 우리 기독청년들은 일제히 일어나 조국의 방위와 민주수호와 경제발전 사회정화와 정의를 위하여 각 방면에서 헌신 노력합시다.
(一九七三년 五월 八일 청년 전도 대회에서)
?-62 부활주일이 선포하는 삼대 진리 (누가 복음 二十四장 一-十 二절)
『어찌하여 산 자를 죽은 자 가운데서 찾느냐 여기 계시지 않고 살아나셨느니라』(눅二十四·五하반절-六상반절)
이 기쁘고 즐거운 부활절 이른 아침에 이 유서 깊은 남산공원에서 주님의 부활을 송축하는 여러 성도들이 같이 모여서 예배할 수 있는 은총을 주신 하나님께 먼저 감사함을 드립니다. 또 이 모임을 위하여 준비하시기에 수고하신 위원들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어찌하여 산 자를 죽은 자 가운데서 찾느냐 여기 계시지 않고 살아 나셨느니라』
이 말씀은 안식 후 첫날 새벽에 주님이 무덤을 찾은 여자들에게 주신 천사의 말씀입니다.
『여기 계시지 않고 살아나셨느니라』 이 음성은 세기를 통하여 지금도 우리 심령의 귀에 은은히 들려옵니다. 주님은 과연 무덤에 게시지 않고 살아나셨습니다.
오늘 아침 우리는 약 二천년을 거슬러 올라가 첫 부활의 아침을 추억하게 됩니다. 우리의 생각은 옛 골고다 산 위로 다시 돌아가게 됩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우리는 주님이 마지막 저녁을 잡수시던 그 다락방, 피땀을 흘리며 기도하시던 그 겟세마네 동산, 그런 위기에도 졸고 잠자던 제자들의 모습, 검과 몽치를 가지고 주님을 잡으려 온 무리들, 또한 반역자 가롯 유다의 키스, 잔악한 대제사장의 뜰과 공회(公會), 무책임한 빌라도의 법정 등 또한 십자가를 지시고 언덕길을 걸으시는 주님의 모습과 골고다의 세 십자가와 최후의 그 무덤 등이 연상됩니다. 그러나 그 무덤은 삼일만에 열렸습니다.
『여기 계시지 않고 살아나셨습니다』오늘 그 뜻을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는, 정의의 최후 승리입니다. 당시의 바리세인, 사두개인, 제사장 등 모든 악한 무리는 예수를 시기하고 미워하며 갖은 허위와 모략으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은 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체를 내려 깊은 무덤에 두고 돌로 덮은 후에는「이제는 우리가 승리를 얻었다」고 개가를 불렸던 것입니다. 의는 무덤에 장사되고 불의는 승전고를 올렸던 것입니다. 진리는 땅에 묻히고 거짓은 대로에 활개를 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우주에 하나님이 존재하시는 한 이런 일이 오래 계속될 수는 없습니다. 부활절 아침은 오고야 말았습니다. 닫혔던 무덤은 열리고 예수는 부활하셨습니다. 부활절은 온갖 불의에 대한 의의 온전한 승리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의와 불의, 진리와 허위, 선과 악, 자유사상과 노예화 사상, 광명과 암흑의 세계의 투쟁의 마당입니다. 때로는 허위가 진리를, 악이 선을 이기는 듯합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오래 갈 수는 없습니다.
우리 북한 동포들은 아직도 유물론, 무신론 등 거짓 사상과 제도 아래서 신음하고 있습니다. 불의와 암흑의 온갖 쇠사슬에 얽매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어느 때나 계속될 수 없습니다. 한 조각 검은 구름이 때로는 밝은 해를 가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것은 잠깐 뿐입니다. 오래 계속될 수는 없습니다. 인간의 불의가 의를 일시 이길 수는 잇습니다. 그러나 그 것은 잠깐 뿐입니다. 의는 반드시 영구한 승리를 얻는 것입니다. 이것이 부활절이 가져오는 첫 메시지입니다. 이것이 부활절을 선포하는 첫째의 영원한 우주와 인간의 진리입니다.
둘째는, 생명의 최후 승리입니다. 이 부활절은 인간의 죽음이 최후가 아니고, 무덤의 종착역이 아니고, 영원한 불멸의 존재이며 또한 이 영생은 그리스도의 부활로 말미암아 온다는 사실을 확증하여 주십니다.
나는 일찍이 북한에 있었을 때에 어떤 부인의 장례식을 주례한 적이 있습니다. 그 부인은 아들이 만주에 가서 살았는데 그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다 못하여 결국 장례식을 거행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기다리던 아들이 장례식을 마치자마자 그의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그의 어머니 관 위에 엎디어 그 관을 부둥켜 않고 대성통곡을 하며「어머니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가셔요」크게 부르짖었습니다. 그 애절한 음성이 내 귀에 지금도 쟁쟁합니다. 인생이 죽으면 어디로 갑니까? 무덤 저편에 무엇이 있습니까?『사람이 죽으면 그가 다시 살겠느냐?』하는 의문은 욥 이래 인간의 끊임없는 문제입니다.
지금은 바로 꽃이 피고 새 싹이 굳은 땅을 깨치고 솟아나는 계절입니다. 인간의 최후는 영원한 암흑입니까? 인생은 이렇게 허무합니까? 실로 죽음은 인생의 가장 큰 의문이요, 최대의 원수입니다. 그러나 한편 인간 심령의 깊은 속에는 영원에 대한 동경이 있습니다.
영국의 시인 테니슨의 유명한 시구와 같이「인간은 그가 죽으려고 지음을 받은 줄로 생각 치를 않는다」("Man thinks he was not made to die")고 했습니다. 옛날 중국의 한 무제는 승로반에 찬이슬을 받아먹었고, 일세의 영웅 진시왕도 불로초를 구하려 동남 동녀 五백인을 삼신산에 보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하여 확실한 대답을 준 인간은 하나도 없습니다.
부활절은 인간이 가장 큰 문제에 대한 분명하고 확실한 대답입니다.『두려워 말라 나는 처음이요 나중이니 곧 산 자라 내가 전에 죽었었노라 볼지어다 이제 세세토록 살아있어 사망과 음부의 열쇠를 가졌노라』부활한 주님은 말씀하십니다.『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내가 살므로 너희도 또한 살리라』또한 말씀하시기를『둘째 아담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이 또한 살리라』성경은 말씀하십니다.『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의 처음 익은 열매가 되셨도다』또한 말씀하시기를『둘째 아담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이 또한 살리라』성경은 선언합니다. 이 부활절이야말로 인간은 다만 혈육뿐이라는 유물론적 견해에 대하여 인간은 불멸의 존재라는 사실을 가장 웅변으로 대답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부활절이 선포하는 둘째의 영원한 진리입니다.
셋째는, 천국의 최후 승리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의 말씀을 들어보세요.『예수께서 나아와 일러 가라사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 찌어다 내가 세상 끝 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고 하셨습니다.
부활하신 주님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받으신 전능하신 주님이 십니다. 만 유의 주요, 만 왕이 왕이십니다『세상나라가 우리 주와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어 그가 세세토록 왕 노릇하리로다』영원히 살아 계신 주님은 모든 믿는 사람에게 부탁과 약속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부탁은 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며 세례를 베풀며 그의 교훈으로 가르치라는 것입니다. 이 부탁은 우리 한국 그리스도인에게는 우선 우리 민족 五천만 동포를 복음 화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한 거름 더 나아가 온 아시아의 복음 화를 위하여 궐기하라는 말씀입니다. 또한 우리 주님은 이 부탁과 같이 엄숙한 약속을 하셨습니다. 곧『내가 세상 끝 날까지 너희와 함께 있으리라』살아 계신 우리 주님은 우리 믿는 자와 항상 함께 계십니다.
부활절을 맞이하는 한국의 그리스도인 여러분, 이 부활절 아침에 주님의 부탁과 약속을 다시 한번 분명히 들을 수 잇기를 바랍니다. 이 부탁이야말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최고 사명이요 이 약속이야말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최대의 축복입니다. 이렇게 부활하신 우리 주님은 우리와 같이 살아 계셔서 우리에게 능력을 주시며 용기를 더 하시며 五천만 복음 화 운동에 앞장서시는 것입니다. 살아 계신 우리 주님은 지금도 인간의 역사에서 천국의 확포(擴布)와 그 완성을 위하여 역사 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부활절이 선포하는 셋째의 영원 진리입니다.
마지막으로 부활절은 정의의 최후 승리, 생명의 최후 승리, 천국의 최후 승리를 선포합니다. 부활하신 주님의 축복이 한국교회와 우리 나라와 그리고 세계교회와 또한 온 인류 위에 임하셔서 이 땅 위에 정의의 승리, 생명의 승리, 천국의 승리가 속히 실현되기를 기원합니다. (一九七四년 四월 十二일 부활절 남산 연합예배)
?-63 예루살렘에서 땅 끝까지 (사도행전 一장 一-十一절)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얻고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一·八)
이 말씀은 주님이 승천하시기 전에 사도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또 사도들은 이 말씀대로 하셨습니다. 다락방에서 기도하는 중에 오순절에 성령이 임하셨고 그들은 큰 권능을 받아 예루살렘에서 먼저 그리스도를 증거 하였고 다음은 온 유대, 그리고 사마리아, 마지막에는 복음이 땅 끝까지 전파되었습니다.
로마서 十五장을 읽으면 바울이 서반아에 갈 계획을 세운 것을 알게 되는데 그 때에는 서반아는 서편으로 땅 끝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바울이 땅 끝까지 가서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른 제자들도 이런 목표아래에서 마가는 애굽으로 가서 전도하였고 마태와 안드레는 동방으로 파사에 가서 전도하였고, 도마는 인도에까지 가서 전도를 하였습니다. 사실 도마의 무덤이 인도에 오늘날까지 있습니다.
기독교는 비록 한 민족인 이스라엘 민족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한 민족에게 국한되지 아니하였고 작은 유다 나라에서 발생되었으나 처음부터 국경의 제한이 없었습니다. 사실 기독교는 처음부터 세계적 종교이며 교회의 사명은 세계적이었던 것입니다.
구약과 신약 곧 온 성경이 기독교는 세계적 종교인 것을 분명히 가르치고 있습니다. 창세기 十二장 三절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불러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실 때에『땅에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받으리라』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부르신 것은 다만 그 자손에게만 축복하시려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를 통하여 땅에 있는 모든 족속을 축복하시려는 크신 경륜이 있었습니다.
창세기 二十六장 四절에 하나님께서 이삭에게 이 약속을 반복하였습니다.
곧『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케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을 인하여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하셨습니다. 이 약속은 야곱에게도 반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창세기 二十八장 十四절에『네 자손이 땅의 티 끝같이 되어서 동서남북에 편만(遍滿)할 찌며 땅의 모든 족속이 너와 네 자손을 인하여 복을 얻으리라.』이사야 四十五장 二十二절에『땅 끝의 모든 백성아 나를 앙망(仰望)하라 그리하면 구원을 얻으리라 나는 하나님이라 다른 이가 없음이니라』이렇게 구약 전체가 장차 그리스도를 통하여 세계의 모든 백성이 구원을 얻을 것을 예언하였습니다.
신약에 와서 이 진리는 구체적으로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누가복음 二장 十절에『천사가 이르되 무서워 말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날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이 말씀은 천사가 목자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여기도『온 백성들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이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잘 기억하는 요한 복음 三장 十六절에 하나님이 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누구든지 저를 믿으면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으리라』하셨는데 세상이라는 말은 곧 세계라는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온 세계를 위하여 독생자를 보내신 것입니다. 요한 복음 八장 十二절에 주님께서 말씀하시기를『나는 세사의 빛이니』하셨는데 여기서도 세상이라는 뜻은 세계라는 의미입니다. 주님은 온 세계의 빛이 되십니다. 그리고 우리 주님은 마가복음 十六장 十五절에『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고 하셨습니다. 사실 사도행전은 제一세기의 세계전도에 대한 기록이요, 신약에 잇는 二十一편의 서신은 당시 세계에 산재하던 믿는 이들에게 보낸 편지들입니다.
사도 요한 은 계시를 통하여 이 세계적 교회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곧 요한 계시록 七장 九절에『이 일 후에 내가보니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아무라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흰옷을 입고 손에 종려나무의 가지를 들고 보좌 앞과 어린양 앞에 서서』찬송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이는 세계적 교회가 꼭 실현될 예언이었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꼭 이해하여야 할 한가지 사실은 기독교는 그 본질이 어떤 민족이나 어떤 나라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본래부터 세계적 종교이며 처음부터 세계적 이상을 가지고 세계적 복음화의 목표를 가지고 전진한 종교입니다.
기독교의 본질이 이러함으로 교회가 언제나 이 세계적 사명에 충성할 때에 그 교리 자체가 은혜를 받는 것입니다. 기독교가 처음으로 로마제국에 확보될 때에 교회는 이 세계적 사명에 충성하였음으로 핍박과 환난 중에서도 교회는 은혜가 충만하였고 계속하여 부흥하고 발전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결국은 로마 제국을 영적으로 정복하였습니다. 그러나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된 후에는 이 세계 복음화의 비전이 사라졌고 전도열이 식어져서 마침내 교회는 점점 세속화되었고 분쟁과 분열은 계속되어 결국은 부패하였습니다.
근세 수세기간에 서구와 동구의 기독교 역사를 비교하여 보면 서구에서는 신구 양파가 모두 세계선교에 열중하여 교회는 서구뿐 아니고 남북 아메리카와 전세계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나 동구의 희랍 정교회 혹은 러시아 정교회는 외국선교에 거이 관심이 없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결국은 교회는 무력하여졌고 부패하여졌으며 따라서 일반대중은 이탈하게 되었고 민중의 배척을 받게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보는 대로 희랍 정교회의 지역은 무신론적 공산당이 민중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지난 十九세기와 二十세기 상반기에 걸쳐서 유럽과 아메리카의 신교에서는 특별히 세계선교에 그 정렬을 기울여 그 결과는 오늘 우리가 보는 대로 신생교회가 전 세계에 서게되었고 기독교도의 수는 과거 一五○○년간에 얻은 수의 三배로 증가되었다고 합니다. 복음은 만나와 같아서 그냥 두면 썩어 집니다. 등불을 말 아래 두면 결국은 꺼지고 맙니다. 우리 한국교회가 세계선교에 눈을 뜨고 이 세계적 선교에 좀 더 정렬을 기울이면 교계내부와 알력과 분쟁 같은 것도 점차 소멸될 줄 믿습니다.
이제부터 十년 후에는 우리는 선교一○○주년을 맞이하게 됩니다. 한국교회가 九○년간이나 자랐으면 이제는 제 발로 걸어야 할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세계의 밭을 바라보아야 할 때입니다.『눈을 들어 밭을 보라』고 주님은 말씀 하셨습니다. 밭은 세계를 의미합니다. 우리의 교구는 전세계인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바로 이 말이 요한 웨슬레의 말씀이었던 것도 여러분은 기억 할 줄 생각합니다.『너희가 넉 달이 지나야 추수할 때가 이르겠다하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도다』 이 세계의 밭은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동남아의 신령한 밭은 추수를 기다리는 곡식으로 황금 물결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세계의 밭이 한국의 일꾼을 부르고 있습니다. 발 뿌리만 보지 말고 우리도 이제는 세계의 밭을 보고 나갈 때입니다.
어떤 분은 말합니다. 한국에도 아직 불신자가 많은데 언제 외국에까지 선교할 겨를이 있겠는가고. 물론 전도는 예루살렘으로부터 시작합니다.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안드레와 같이 우선 내 형제를 그리스도께로 인도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말은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사람을 다 구원한 후에야 유대로 가고 사마리아로 가라는 뜻은 아닙니다. 만일 초대 기도교인들이 다 이렇게 생각하고 이런 방침으로만 전도하였다고 하면 기독교회는 아직도 예루살렘에만 있을 것입니다. 왜? 아직까지도 예루살렘 안에 안 믿는 이들이 허다하게 많기 때문입니다.
만일 九十년 전 미국의 그리스도인들이 다 이렇게 생각하고 예수를 믿었다고 하면 그때에 아펜셀러 목사나 언더우드 목사를 우리 나라에 보내지 않았을 것입니다. 왜? 아직까지도 미국에 불신자가 많은 까닭입니다. 사실은 교회가 이 기독교의 본질을 이해하여 이 세계적 사명에 충성을 해야 본국교회도 부흥되고 내지 전도도 더 잘 될 것입니다. 이것이 성서의 산 교훈이요 기독교 二천년 역사가 주는 생생한 사실적 교훈입니다. 예루살렘에서 시작은 하나 우리는 언제나 땅 끝까지 가서 전도를 해야 하겠습니다. 이것이 주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입니다.『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하라』고 하였습니다. 이웃에게만 전도하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들으니 감리교회에서는 이 세계적 사명에 순종하여 동남아 선교를 착수하였다고 하니 실로 축하하여 마지아니합니다. 이 세계적 선교야말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최대의 의무요 특권이며 또한 한국교회의 영광입니다. 바라기는 많은 청년들이 이 가장 귀한 사업을 위하여 헌신하기를 바랍니다. 이 주님의 사업을 위하여 몸을 받칠뿐더러 물질도 즐거이 바치기를 바랍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한국교회를 축복하셔서 五천만의 복음 화는 물론 이 한국으로 하여금 세계선교의 기지가 되게 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나의 세 가지 기도
一, 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二, 자유와 정의에 입각한 평화 통일을 이루어 주시옵소서.
三, 한국이 작은 나라이나 세계선교의 기지가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一九七四년 五월 十九일 정동감리교회에서)
?-64 민주 경찰의 정신적 자세 (미가 六장 六- 八절)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 네게 보이셨나니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이 오직 공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히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미 六·八)
오늘 저녁 민·경(民警)연합예배로 모였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이런 성격의 연합예배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사실은 이런 예배가 오히려 늦은 감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교회와 경찰은 공통한 목적을 가진 점이 많습니다. .
첫째는, 우리는 다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써 우리 나라를 자유와 정의와 평화와 번영의 나라로 육성하기를 노력합니다. 교회와 경찰은 이 공통한 목적을 위하여 반드시 협조해야 합하겠습니다.
둘째는, 우리는 이러한 나라를 세우기 위 하여는 우리 민주국가의 가장 큰 원수인 유물론적 무신론적 전체주의적 공산주의와 싸워서 이겨야합니다. 이 공통한 목적을 위하여 교회와 경찰은 반드시 서로 협조해야 합니다.
셋째는, 우리 나라를 내부적으로 좀 먹는 것은 흔히 말하는 부정 부패입니다. 이 내적 원수도 교회와 경찰은 서로 협조하여 싸워 이겨야 합니다.
넷째는, 우리가 지향하는 나라를 건설하기 위하여 각 방면으로 봉사를 합니다. 이 온갖 사회봉사나 새마을 운동을 위하여도 교회와 경찰은 서로 협조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나라의 기본은 국민입니다. 우리 국민 하나 하나가 정직하고 근면하고 슬기롭고 충성된 사람들이 될 때에 우리 나라는 자연히 부강한 나라가 될 것입니다. 교회의 근본 사명은 이러한 옳은 사람을 만드는데 있습니다. 이것은 인간의 힘만으로 할 수 없고 하나님의 은혜가운데서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경찰도 좋은 경관이 되려면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경찰이 교회에 들어와 같이 예배를 드리고 참된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매우 귀한 일인 줄 생각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늘 모이는 이 민·경 연합예배는 그 의의가 큰 줄 생각합니다. 본문 六장 八절에 보면『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 네게 보이셨나니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이 오직 공의를 향하며 인자를 사랑하여 겸손히 네 하나님과 함께 향하시는 것이 아니냐』
여기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에게 요구하시는 것을 간단히 세 가지로 요약하여 가르치십니다.
첫째는『공의를 행하라 』둘째는『인자(仁慈)곧 자비를 사랑하라』셋째는『겸손히 네 하나님과 동행하라』 이 말씀은 물론 모든 사람이 지켜야 할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생각하는 민주경찰의 정신적 자세에 아주 적절한 말씀인줄 생각합니다. 경찰은 일선에서 법을 관장하는 사람이므로 누구보다도 공의로워야 합니다. 경관은 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재난을 만난 국민들을 누구보다도 먼저 상대하게 되므로 인자 곧 자비로워야합니다. 그리고 경관은 법을 잡았음으로 무엇보다도 겸손해야 합니다. 이제 하나씩 간단히 생각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성경말씀에『의와 공평이 하나님의 보좌의 기초』라고 하였습니다. 이 우주의 기초는 우주의 공평입니다. 하나님은 공의로 우주를 다스리십니다. 나라의 기초도 역시 공의와 공평입니다.
이 공의가 무너지면 정권이나 나라도 무너집니다. 그러므로 잠언 十四장 三十四절에는 『의는 나라로 영화롭게 하고 죄는 백성을 욕되게 하느니라』고 하였습니다. 공의는 인간 관계의 기초가 됩니다. 우리는 누구나 우선 공의로 피차에 대하여야 합니다. 그 뜻을 누구나 인간의 존엄성을 기억하여 그 인격과 특별히 그 기본 인권을 존중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상거래에 있어서도 공의대로 사고 팔아야하며 특별히 산업사회에 있어서 노사관계에 공의가 실현되어야 사회가 평화를 유지합니다.
특별히 사랑하는 우리 조국을 바로 세우려면 공의의 입법, 공의의 사법, 공의의 일반 행정이 절대로 필요합니다. 법 아래에서 부자와 가난한 이가 같은 대우를 받아야하며 국회의원과 평민이 같은 대우를 받아야 합니다. 남자와 여자, 유식한 이와 무식한 이가 같은 처우를 받아야 합니다. 부정부패라는 말은 어디서 오는가? 여러분 가운데 혹 맹자를 읽어보신 이가 계실 것입니다.
맹자 첫 페이지에 맹자가 한번은 양(梁)나라에 가서 혹왕을 만나니 그 왕의 말이『영감께서 천리 길을 멀다 아니하시고 우리 나라에 오시니 우리 나라에 무슨 이익이 있겠습니까?』하였습니다. 이때에 맹자의 유명한 대답이 있습니다.『왕은 왜 이(利)를 먼저 찾습니까? 나라가 잘 되려면 인(仁)과 의(義)가 있어야 합니다. 위에 있는 왕이 먼저 이만을 구하면 아래 있는 신하들도 이만 탐할 것이요, 신하들이 모두 이만을 탐하면 그 아래 모든 관리가 다 이만 탐할 터인즉 그렇게 되면 나라가 어떻게 될 것입니까?』하였습니다.
나라가 잘 되려면 누구보다도 장관들과 국장들과 공무원들과 경관들이 이를 탐하지 말고 공의대로 국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예수 님께서는 의 사모하기를 주리고 목마른 자 같이 사모하는 자는 복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누구나 때때로 무슨 일이나 옳게 하겠다 생각하는 이들은 많습니다. 그러나 의를 행하기를, 주릴 때에 음식물을, 목마를 때에 물을 보급해야 하는 것처럼 하는 이가 몇 사람이나 되겠습니까? 우리 가운데 꼭 공의를 행하기를 주리고 목마른 것 같이 원하는 이가 몇 분이나 되겠습니까?
민주경찰의 정신적 자세의 첫째 조건은 공의를 행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다음은 인자(仁慈) 곧 자비를 사랑하라 하셨습니다. 공의가 이렇게 귀하나 이것만은 부족합니다.
공의는 무죄한 사람을 해롭게 하지는 않으나 죽어 가는 사람을 살리지는 못 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천재지변 온갖 사고가 매일같이 일어나는 세상입니다. 많은 죄 없는 사람들이 그 난을 당합니다. 그리고 어느 사회에나 질환과 고독 곧 무의무탁한 노인들, 고아들, 병자들이 많습니다. 경찰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여 이 불쌍한 동포들을 제일먼저 접촉하는 이들입니다. 누구에게 이 자비한 마음이 필요치 아니하리 오 마는 특별히 일선 경관들에게 얼마나 필요하겠습니까.
저는 지난번 조선일보사에서 주는 청용상(靑龍賞)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에 수상자 가운데 한 경관은 한강에 큰 수재가 있을 때에 그 수백 수재민의 생명을 건진 사실을 알고 실로 감격하였습니다. 우리 한국 상황처럼 불의의 재난을 당하여 구호를 받아야 할 불쌍한 사람들이 많은 나라에 인자한 마음을 가진 경관이 얼마나 필요한지 모릅니다.
그리고 경관들이 아주 필요한 책임가운데 하나는 우리사회를 어지럽게 하는 각종 범죄자를 잡아내어 양민으로 하여금 안도하며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일입니다. 이 일이야 말로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없으며 또한 위험하기도 한 일입니다. 그런데 이런 범죄자에 대하여서도 우리가 한가지 기억할 사실은 있다고 봅니다. 그것은 죄는 미워하나 사람은 불쌍히 여겨야 할 것입니다. 많은 범죄자들은 사실상 정신적 환자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범죄자들에 대하여도 공의와 자비가 같이 수반될 때 옳게 처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죄인까지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얼마나 귀한 일이겠습니까? 죄인을 그 죄대로 처치하여 벌을 줄뿐더러 그 벌을 통하여 죄인이 변하여 새 사람이 되게 하는데는 이 불쌍히 여기는 마음, 인자한 마음, 곧 하나님의 마음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민주경찰의 정신적 자세의 둘째 요소는 모든 불우한 동포들은 물론, 비록 범죄자일지라도 그를 한 환자로 여겨 불쌍히 여기고 새로운 생활의 길로 인도하려는 자비한 마음입니다. 인자를 사랑하는 경찰이 되십시다.
그리고 여기 세 번째 권면은『겸손히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라』고 하였습니다. 겸손은 하나님께 축복을 받는 유일한 길입니다. 하나님은 겸손한자에게 복을 주시고 교만한 자를 물리치신다고 성경은 분명히 가르칩니다. 겸손은 하나님께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은혜를 입히는 길입니다. 누구나 교만한 자는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를 돕는 것입니다.
어떤 청년이 유명한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에게 묻기를『신앙에 들어오는 첫 거름이 무엇입니까?』하니 그는 곧 대답하기를『그것은 겸손입니다』하였습니다. 다시 묻기를『그러면 둘 째 계단은 무엇입니까?』하니 그는 조금 생각하더니 대답하기를『그것도 겸손입니다』하였습니다. 그 청년은 다시 묻기를『그러면 셋째 계단은 무엇일까요?』하니 그는 머리를 숙이고 깊이 생각하더니『그것도 또한 겸손일 것입니다』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왜 그렇습니까? 겸손(謙遜)이 없이는 하나님을 만나지 못합니다. 사람의 견지에서 볼 때에는 인간 가운데는 선한 이도 있고 거룩한 이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 앞에 설 때에는 곧 하나님의 법 아래에서 심판을 받을 때에는 누구나 죄인입니다. 자기의 옳은 것으로써 구원을 얻을 자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선경은 선언합니다.「의인은 없나니 곧 하나도 없도다」그러므로 인간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하나님께서 은혜로 준비하여 주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믿음으로만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과 동행하려고 하면 먼저 자기가 죄인임을 깨닫고 그 죄를 솔직히 고백하며 겸손히 우리의 죄를 속량하여 주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붙들어야 합니다. 곧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주로 믿어야 합니다. 이렇게 회개와 신앙을 통해서만 하나님과 동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직 겸손한 이만 하나님과 동행하는 경건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겸손히 하나님과 동행하는 경건한 생활을 하는 이는 자연히 옳은 일에 공의를 행하고자 합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인 까닭입니다. 또 다른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은 자비와 긍휼(矜恤)의 하나님이신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사실 하나님과 경건히 동행하는 일이야말로 공의와 인자의 생활을 하는 비결입니다.
사랑하는 경찰관 여러분! 민주경찰의 옳은 정신적 자세를 가지시기를 충심으로 원하시면 경건한 하나님 앞에 머리를 숙여 나의 과거의 모든 허물과 죄를 솔직히 하나님께 고백하고 우리의 죄를 대속하신 예수를 내 구주로 믿고 이 시간 위로부터 내리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새사람이 되고 참 신앙의 인물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이미 말씀 드린 대로 이런 축복을 받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겸손입니다. 영어로 말하면 프라이드(Pride) 곧 모든 교만이 우리 인간이 하나님과 동행하는 길을 막습니다.
어떤 이는 지식의 교만이 있습니다. 어떤 분은 돈의 교만이 있습니다. 어떤 분은 권세의 교만이 있습니다. 어떤 이는 문벌의 교만이 있습니다. 온갖 교만은 결국 하나님과 동행하는 길을 막는 것입니다. 참 축복의 길은 오직 겸손입니다. 하나님께 겸손하고 사람에게 겸손한 인간은 하나님의 축복도 받고 사람의 축복도 받습니다. 겸손히 하나님과 동행하는 경건한 경찰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 저녁 우리가 다 이 은혜를 받으면 여러분 하나 하나의 생활에도 새로운 광명이 이르겠고 우리 한국의 모든 경관들이 모두 이렇게 된다면 우리 나라는 실로 새로워지고 세계 만방에 가장 빛나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
사랑하는 동포여러분 오늘 저녁 이 축복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一九七四년 五월 二十二일)
?-65 순국 영령들의 무언의 말씀 (히브리서 十一장 一-四절)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거하심이라 저가 죽었으니 그 믿음으로써 오히려 말하느니라』(히 十一·四 )
『저가 죽었으나 믿음으로써 오히려 말하느니라』 이 구절은 아벨에 대한 기록입니다. 아벨은 하나님이 받으실만한 의로운 제사를 드렸습니다. 그러나 악한 가인의 시기를 받아 비참하게 그에게 맞아 죽었습니다. 죽은 이는 무슨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 히브리서 기자는 아벨이 비록 죽었으나 오히려 말한다고 하였습니다. 그것은 무언의 말을 의미합니다. 소리가 없으나 말을 합니다. 사실은 음성을 통하여 말하는 것보다 그 삶을 통하여 하는 말이 더 힘이 있게 들립니다. 또한 삶보다도 죽음을 통하여 하는 말은 더 힘이 있습니다. 여기 아벨은 죽음을 통하여 말합니다. 그러므로 죽음을 통한 그의 무언의 말씀은 세기를 통하여 지금까지 은은히 들리는 것입니다.
오늘 저녁 우리는 벌써 二十四주년 전에 일어난 六·二五사변 때에 그 귀한 목숨을 바친 여러 애국청년들의 추도예배로 모였습니다. 이들은 물론 음성을 통한 말은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 모두 그들이 죽음을 통하여 옛날 아벨과 같이 힘있게 무언의 말씀을 우리에게 전하여 줍니다. 이 시간 우리는 묵묵히 이 순국 영령들의 무언의 말씀을 들읍시다.
첫째는, 주님께서 일찍이 말씀하시기를『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그 목숨을 잃으면 이에서 더 큰사랑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이 순국 영령들은 모두 민족을 사랑하여 또는 나라를 사랑하여 그들의 목숨을 잃었습니다. 또한 이들은 무엇보다도 그들의 애족, 애국의 정신을 통하여 말합니다. 민족을 사랑하라, 나라를 사랑하라, 동포끼리 서로 사랑하라, 자기만을 사랑하지 말고 내 몸처럼 동포도 사랑하라, 돈만 사랑하지 말고 나라를 사랑하라 지식이나 지위나 세력이나 명예보다도 민족과 나라를 먼저 사랑하라, 애국심을 가져라, 그리하여 다 같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세우라, 우리는 오직 이 목적을 위하여 우리의 하나 밖에 없는 가장 귀한 생명을 바쳤다고 말합니다.
오늘 남아 있는 우리는 먼저 이 순국 영령들의 이 처절한 애국애족의 호소를 분명히 들어야 합니다.
둘째는, 이 순국 영령들은 이 땅위에 참으로 자유가 있는 민주국가를 세우기 위하여 그들은 가장 귀한 그들의 생명을 바쳤습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지으실 때에 본래 그의 형상으로 지으시고 인간에게는 이성과 양심과 주셨습니다. 이 세상에 어떤 개인이나 권력이나 제도도 이 천부의 자유를 빼앗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사실 오늘의 세계를 바라볼 때에 이 가장 귀한 자유를 유린하고 또 박탈하는 정치체제들이 없지 아니합니다. 사실 오늘의 세계는 자유 진영과 노예화 진영으로 양분되어 있습니다. 이 귀한 자유를 확보하기 위 하여는 반드시 자유 민주주의 체제의 나라를 세워야 합니다. 이 순국 영령들은 이러한 나라를 보존하고 세우기 위하여 이 자유의 제단 위에 그 생명을 희생의 제물로 바친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지금도 부르짖습니다 이 땅위에 자유가 확보되는 민주국가를 세워 달라고 합니다.
셋째는, 우리의 고귀한 자유를 빼앗으려는 공산당과 싸우다가 그 생명을 바친 것입니다. 자유 민주국가의 첫째 되는 원수는 공산당입니다. 공산당들은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아니 전 세계에서 자유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자유를 확보하려면 이 자유의 첫째 되는 원수를 격멸(擊滅)하여야 합니다. 이 공산당이야말로 우주에서는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며 인간에게서는 영혼의 존재를 부인하며 국가 체제 안에서는 자유를 온전히 부정하는 극악(極惡)의 사상이요 사회체제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그 인간의 존엄성을 위하여 또한 우리 국민 하나 하나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상은 뿌리뽑아야합니다.
그들의 수법은 심히 교묘하고 간악하여 알지 못하는 중에 각계각층에 침투하고자 합니다
심지어 교회 안에도 그 마수를 뻗치려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정신을 차리고 깨어 이 붉은 마수의 궤계(詭計)를 타파하여야 합니다. 이들 순국 영령들의 무언의 부르짖음을 귀담아 들어야 할 때입니다.
넷째는 六·二五사변이야말로 가인과 아벨의 싸움입니다. 형제간의 싸움입니다. 형제를 알지 못하는, 동포도 모르는, 민족도 무시하는 공산당들의 침략으로 이러한 비극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 순국영령들이야말로 모두 아벨의 죽음을 가졌습니다. 죄를 미워하나 형제간에는 피를 다시 흘릴 수는 없습니다. 이 순국영령들은 말합니다. 다시는 이 형제간에 피 흘림이 없게 하라. 다시 말하면 우리 五천만이 다 염원하는 통일도 반드시 평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이 순국 영령들이 말하는 줄 생각합니다. 다시는 이 땅을 우리 형제들이 싸워서 피로 물들이면 아니 됩니다. 어떠하던지 이 악한 공산당들에게 재침의 기회를 주지 말고 국가 안보와 사회안정과 계속적인 경제발전과 번영으로 통일의 때를 기다리며 꾸준히 노력하여야 할 것입니다 .다시는 이 땅에 비참한 일이 일어나자 못하게 하라는 이 순국영령들의 간절한 호소를 우리는 또한 귀담아 들어야 합니다.
다섯째는, 집을 짓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그 기초입니다. 민주국가의 정신적 기초가 있습니다. 인간의 준엄성, 자유, 평등사상을 해산한 어머니가 있습니다. 그것은 기독교입니다. 이 정신적 기반이 튼튼해야 이 땅위에 민주국가는 튼튼히 건설될 수 잇습니다. 온갖 미신과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 놓은 모든 우상에 절하는 이교, 사교들이 이 새 나라의 정신적 배경이 될 수 없습니다. 민주국가를 바로 건설하려면 이러한 모든 우상 종교를 철폐하고 참신한 기독교신앙의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합니다. 순국 영령들은 말하는 줄 압니다. 왜 이러한 때에 그리스도인들이 좀 더 단합하고 일어나서 五천만 심령 속에 진리의 씨를 뿌리지 못하느냐, 자유와 정의를 사랑하는 십자군들이 용감히 일어나 복음전선에 헌신하지 않는가? 이 삼천리 강산 위에 자유와 정의와 박애와 평화와 번영과 통일의 국가를 세우기 위하여「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궐기하라」, 이 무언의 음성을 우리는 들어야 합니다.
여섯째는 이러한 때에 우리 남아 있는 국민들은 이 순국 영령들의 유가족들도 마땅히 기억해야 될 줄 압니다. 그것은 이 순국영령들은 우리 민족 전체에 대한 관심은 물론 그들 자신의 유가족들에 대하여도 관심을 가진 것입니다. 이들 유가족들에 대한 그들의 무언의 말씀도 우리는 분명히 듣고 정부는 정부로서 사회 단체는 사회단체로서 교회는 교회로서 친구는 친구로서 그들을 돕기 위하여 만전을 기하여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주님은 일찍이 말씀하셨습니다『밀 한 알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하셨습니다. 이 순국 영령들의 죽음은 그 하나 하나가 땅에 떨어진 밀 알들입니다. 그러므로 이 땅 위에 그들이 염원하는 자유와 평등과 번영과 통일의 조국은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오늘 우리 대한민국에 이만큼이라도 자유와 발전과 평화가 유지되는 것은 모두 이들의 희생의 열매입니다. 남아 잇는 우리 하나 하나는 오늘 이 시간 이들의 무언의 음성을 들을뿐더러 머리를 모아 이들 영령 앞에 감시를 드려야 합니다.
부활하신 주님은 말씀하십니다.『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리하면 생명의 면류관을 네게 주리라』하셨습니다. 이들 순국영령들은 문자 그대로 나라를 위하여 그 임무에 죽도록 충성하였습니다.
우리 남아있는 이들과 이들 영령에 보답하는 한 가지 길은 내가 어떤 분야에 있든지 맡은바 일에 충성을 다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들 영령 앞에 또한 충성에 대한 다짐이 있어야 할 줄 압니다. (一九七四년 六월 五일 현충일 추도예배)
?-66 민족교육과 기독교 (디모데후서 三장 一五절-十七절)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딤후 三·十六)
오늘 연합선교 강연회에 동참하게됨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나에게 주어진 문제는『민족교육과 기독교』입니다. 여기 민족이라는 말은 물론 우리 민족 곧 배달민족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 나라에서 우리 민족의 교육과 기독교 신앙과의 간계를 생각하고자 합니다.
교육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인간을 각 방면으로 곧 지적 방면, 정적 방면, 의지적 방면으로 개발하며 또한 각 방면으로 곧 덕육(德育), 지육, 체육 방면 등 여러 방면으로 훈련하고 또한 시대의 문화를 습득케 하여 고귀한 인격과 국가의 유용한 인물을 양성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을 따라 그 강조하는 점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합니다. 그리하여 가령 옛날에는 아데네 교육과 스팔타의 교육이 꼭 같지 아니하였으며 봉건시대의 교육과 현대의 교육이 같지 아니합니다. 특별히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二十세기에서의 교육의 양상을 관찰하면 공산 국가의 교육과 민주국가의 교육은 거의 천양(天壤)의 차이가 있습니다.
현하(現下) 한국에서 요구되는 교육은 물론 민주교육입니다. 사실은 전세계에서 요구되는 교육은 민주교육일 것입니다. 현대 우리 대한민국에 있어서의 요구되는 민주교육은 몇 가지 근본 되는 원칙이 있는 줄 생각합니다.
첫째는 건전한 민족주의 교육,
둘째는 건전한 민주주의 교육,
셋째는 철저한 윤리교육,
이상 삼대 원칙 혹은 지주 위에 모든 학문과 과학과 기술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그리해야 우리가 염원하는 한국을 바로 건설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민족교육의 三대 원칙과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를 간단히 생각하고자 합니다.
一, 건전한 민족주의 교육
여기 건전(健全)이라는 말을 붙이는 이유가 잇습니다. 그것은 한마디로 불건전한 민족주의가 있습니다.
다수민족이 혼합하여 한 국가를 형성한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민족주의 교육이란 말은 들을 수도 없습니다. 그런 나라에서는 소위 Racism이라고 하여 민족(民族)관념(觀念)을 가급적 기피(忌避)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한국의 상황은 다릅니다. 한국은 단일민족으로 형성된 국가입니다. 우리는 또한 단일민족으로써의 언어와 풍속과 문화가 있습니다. 우리는 전래의 미풍양속과 고유문화의 가장 아름다운 점을 보전하며 또한 계속하여 발전시킬 의무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은 강대국들의 사이에 끼어서 종종 민족적 수난을 당하였고 때로는 외국민족의 압박아래서 신음한 쓰라린 경험도 당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는 민족이 곧 국가요, 국가가 곧 우리 단일 민족입니다. 그럼으로써 우리 민족 하나 하나가 이 민족의 얼을 철저히 가지는 것은 무엇보다도 필요합니다. 우리는 우리 민족으로써 세계에 공헌할 사명을 수행 할 수 있는 까닭입니다.
그런데 이 고귀한 민족주의가 잘못하면 불건전한 방향으로 전락될 수 있습니다. 가령 민족 차별주의, 타민족 배타주의, 민족우상화, 지상주의 등, 히틀러 독일의 나치스주의는 독일민족 지상주의였습니다. 그리하여 히틀러는 독일민족 이외의 다른 모든 민족을 천시하고 사실 이런 그릇된 민족주의 아래에서 유대인 六00만 명을 가스 챔버에서 독살하는 잔인한 일도 감행하였습니다. 어디서 소위 민족 지상주의 혹은 국가 지상주의가 옵니까? 왜 민족을 우상화하며 국가를 우상화합니까? 이것은 근본적으로 이들에게 옳은 종교적 신앙이 없었던 까닭입니다. 기독교 신앙의 제 一조는 천지를 창조하시고 인류의 역사를 지배하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는 것입니다. 오직 하나님만 절대(絶對)이 시요 지상(至上)이십니다.
개인도 민족도 국가도 모두 하나님아래서 하나님의 지배와 권고와 축복가운데 잇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어떤 개인만 사랑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시고 어떤 민족만 사랑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민족을 같이 사랑하십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신앙을 가진 이는 내 자신을 사랑하는 것과 같이 이웃을 사랑하기를 힘쓰며 내 민족의 권익과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는 동시에 또한 다른 민족의 권익과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고 존중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신앙은 언제나 민족주의를 건전히 지켜 나아가는 것입니다. 기독교는 건전한 민족주의 정신적 배경이 됩니다.
二, 건전한 민주주의 교육
여기 건전(健全)이라는 말을 쓰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이 세계에는 민주주의이라는 이름아래 참된 민주주의에 정반대 되는 사상과 체제를 가진 이들도 있습니다. 가령 이북에서도 그 집단을 소위「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잘 아시는 대로 현재 이북에는 민주주의도 없고 공화국도 없습니다. 다만 공산 독재 체제가 있을 뿐입니다.
민주주의의 근본 이념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째는 인간 존엄사상, 둘째는 자유존중 사상, 셋째는 만인평등 사상 등입니다.
어떠한 체제 어떠한 이름으로 호칭하든지 이 사상이 반영되지 아니하면 그것은 민주체제가 아닙니다. 이 사상이 먼저 인간의 마음속에 있었으므로 자유민주 체제가 이 세계에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 이 민주주의의 근본이념이 어디서 왔습니까? 철학에서 왔습니까? 곧 사람이 머리에서 이런 생각을 연구하여 내었습니까? 그것은 역사가 부정합니다. 혹은 이런 이념이 과학에서 왔습니까? 곧 과학적으로 인간을 연구하는 데서 왔습니까? 그것도 사실이 아닙니다. 그러면 이런 이념이 어디서 왔습니까? 그것은 종교적 신앙에서 왔습니다. 곧 기독교 성서에서 왔습니다. 성서는 인간에 대하여 분명히 가르치는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인간은 육체를 가졌으나 육체만이 인간의 전부가 아니요, 인간은 근본적으로 불멸의 영혼이 있음을 가르칩니다. 또한 인간은 지음을 받을 때에 다른 동물과 달리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아 하나님의 자녀라고 가르칩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자녀이므로 인간에게는 이성과 양심과 자유를 준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인간은 이렇게 불멸의 영적 존재요, 하나님의 자녀인 까닭으로 인간으로써의 존엄성이 있고 따라서 천부의 자유가 있으며 또 다 같은 하나님의 자녀이므로 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억하시오! 자유 민주주의 제도가 기독교 문화에서 일어난 것은 우연이 아니요, 또 자유민주체제의 대다수가 기독교인으로 구성된 국가에서 제일 잘 운영된다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이렇게 기독교는 자유 민주주의의 정신적 배경이 됩니다. 민주교육을 힘쓰는 이들이 깊이 명심할 점입니다.
三, 철저한 윤리 교육
윤리는 인간과 인간의 옳은 관계를 말합니다. 인간에게 자유가 귀중하나 자유라는 것은 또한 위험성을 내포합니다. 그것은 인간의 자유를 바로 쓰면 자기가 사회 전체를 위하여 유익하나 잘못 쓰면 자기자신은 물론 다른 인간들 곧 사회전체에 큰 손해를 가져옵니다. 민주사회에 준법 사상이 필요하고 적절한 법률의 제정이 물론 중요하나 법만으로써 사회의 안녕(安寧)과 질서를 유지 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법 없어도 살 수 있는 국민들이 많을 때에 그 사회는 가장 안전하게 됩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자유 민주국가의 당면하는 큰 문제중의 하나는 국민들 중에 이 귀중한 자유를 그릇 사용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부정 부패를 비롯하여 온갖 범죄가 여기서 기인됩니다.
특별히 현대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이 사용할 수 잇는 능력 곧 파워(Power) 는 엄청나게 크게 되었습니다. 유도탄, 원자탄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과학이 제공하는 모든 파워를 옳게 사용하면 전 인류의 생활향상과 복리를 가져올 것이나 그러나 이것들을 잘못 사용하면 전 인류가 자멸할 단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二十세기 하반기에 있어서 교육의 가장 큰 문제중의 하나는 어떻게 이 과학이 가져오는 모든 새로운 지식과 능력을 옳게 쓸 수 잇는 인간으로 교육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과거 수 세기간 유교의 도덕 교훈을 받아 왔습니다. 삼강 오륜을 기초로 하는 유교 도덕은 물론 완전하다고 말 할 수는 없으나 과거 우리 국민의 생활과 사회안정에 크게 기여한바가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현재 오늘 우리 사회에는 삼강 오륜이 무엇인지 알지도 못하는 청년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유교에서는 인간관계 혹은 충과 효를 강조하고, 불교에서는 자비를 강조하고, 기독교에서는 사랑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가 다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윤리와 도덕을 가르치는 것이 물론 필요하나 문제는 도덕적 진리란 그것을 배워서 안다고 그대로 실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는 알지만 그대로 행치 못하는데 있습니다. 이미 말한 대로 도덕적 생활이란 인간과의 옳은 관계인데 그 옳은 관계가 어떠한 것인지 알면서도 그대로 행치 못하는 데 삶의 환멸이 있고 고통이 있습니다. 이렇게 되는 실상의 이유는 인간 자신에게 고장이 잇는 까닭입니다. 마치 여러 자동차가 큰길에서 같이 가는데 만일 한 차가 고장이 나면 운전사는 원치 아니하나 다른 차와 충돌될 수가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인간 자체에 고장이 있으므로 항상 다른 인간과 충돌이 되는 행동을 합니다.
기독교에서는 이 인간 자신의 고장을 흔히 죄라고 부릅니다 곧 우리 사회에 범람(氾濫)하는 온갖 범죄는 근본적으로 인간성의 부패로 인한 고장 곧 죄입니다. 그러므로 세례 요한이 광야에 나타나서 제일 먼저 외친 말씀은 회개하라 곧 죄를 회개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 님도 복음을 전파하실 때에 제일 먼저 외친 말씀은 회개하라고 곧 죄를 회개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복음을 믿으라 하셨습니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는 모든 부도덕한 행동의 근본이 되는 죄를 없이하는 종교입니다. 신앙을 통하여 새 사람을 만드는 종교입니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윤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종교입니다.
분만 아닙니다. 우리가 이 윤리문제를 생각할 때에는 신념과 행위와의 관계를 기억해야 합니다. 가령 우리가 볼 때에 유물론자처럼 단순히 물질로 보느냐 혹은 불멸의 영적 존재로 보느냐, 이 인간관에 따라서 인간을 대하는 태도도 달라질 것입니다. 유물론적 인간관 혹은 인간이 그저 이 세상에서 六十년이나 혹은 七十년을 살다가 아주 없어지느냐 그렇지 않고 인간은 영원히 사는 것으로 믿느냐, 이 신념에 따라서 내 자신에 대해서나 다른 사람에 대한 행동이 달라질 것입니다. 혹은 내가 사는 내 생명이 내 것이냐 그렇지 않고 하나님의 것이냐? 만일 내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자살도 할 수 잇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것이라고 믿으면 내 마음대로는 못합니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 우주관, 기독교 인생관, 기독교신앙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연히 고귀한 윤리생활을 하게 만듭니다. 이렇게 기독교신앙은 윤리 교육을 완성케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목적을 간단히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줄 생각합니다.
첫째는 모든 인간에게 참 하나님을 가르쳐 주시고 한 거름 더 나아가 그의 품격과 생활을 통하여 참 하나님을 보여 주시기 위함입니다.
본래 인간은 하나님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았으므로 누구나 그 속에 종교성 혹은 종교적 본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성의 부패로 말미암아 하나님을 멀리 하게 된 이후로부터 참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깨닫지 못함으로 살아 계신 하나님을 숭배하지 아니하고 온갖 피조물이나 사람의 손으로 만든 우상을 섬기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미신과 그릇된 종교에 빠진 인간들에게 참 하나님은 어떠하시다 는 것을 그의 교훈과 생활을 통하여 보여 주신 것입니다. 이것이 곧『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란 뜻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오신 둘째의 목적은 인간들에게 참된 인간의 모습을 그의 인격과 생활을 통하여 또한 친히 보여 주시며 그러한 하나님이 지으신 인간의 본래 모습으로 회복하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그것은 곧 그의 십자가를 통하여 죄 사함을 받고 새 사람이 되는 길을 열어 주신 것입니다. 주님께서 친히 말씀하신 대로『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고 나뿐 나무가 나뿐 열매를 맺는다』죄로 말미암아 타락한 인간이 그리스도를 믿고 그 은혜로 말미암아 새 사람이 되면 자연히 우리가 이상 말하는 건전한 민족주의를 통하여 애국 애족의 인물이 되게 하며 또한 성경의 교훈대로 건전한 민주주의 사상도 가지게 되고 한 걸음 나아가 과연 도덕적인 생활을 하는 국민이 됩니다.
이러한 인간의 바탕 위에 우리가 현대의 모든 학문과 과학과 기술을 또한 체득할 때에 그런 인간이야말로 그 자신의 행복 될 것은 물론 이런 국민들이 많아질 때에 자연히 우리 민족 五천만이 꿈꾸는 자유와 정의와 번영과 궁극적으로는 통일된 나라를 이 땅위에 세울 수 있습니다.
一六二○년에 청교도 一二○명이 메이플라워호라는 배를 타고 거 칠은 대서양을 건너 북 미 대륙 플리머스라는 해안에 도착하였습니다. 이들 청교도 一二○명이야말로 오늘의 미국의 기초를 닦은 국조들입니다. 지금 플리머스해안에 가보면 그들이 처음 발을 디딘 바위 위에 유명한 기념탑(Monument)이 세워져 있습니다. 그 탑을 자세히 보면 높은 대 위에 네 사람이 서서있습니다. 한 사람은 자유의 상징이요, 한 사람은 법의 상징이요, 한 사람은 도덕의 상징이요, 또 한 사람은 교육의 상징입니다. 그런데 그 네 사람 위에 다른 대가 하나 더 있어 그 위에는 한 여자가 한 손에는 성경을 펴서 들었고 한 손은 높이 들어 손가락으로 하늘을 가리킵니다.
여러분은 이 기념탑의 뜻을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유 민주국가를 이룩하기 위 하여는 자유 도덕 법 교육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그 위에는 성경을 기초로 하는 거룩한 종교가 필요합니다. 이 종교가 곧 기독교입니다.
(一九七四년 六월 十三일 고려대학교 기독학생회 모임에서)
?-67 위대한 비전, 믿음, 사랑 (이사야 六장 一-八절)
『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은 즉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 그때에 내가 가로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사 六·八)
『웃시아 왕이 죽던 해에 내가 본즉』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본 것이 있습니다. 곧 비전을 보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위대한 비전을 보았습니다. 이 비전은 그의 생활을 완전히 변케 하였고 사실 그의 전 생애를 지배하였습니다. 하나님은 거룩하시고 지극히 높으시고 만 유를 초월하신 하나님이었습니다. 이 비전이 이사야로 하여금 가장 위대한 예언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위대한 하나님의 비전만 본 것이 아니고 또한 인간이 현실에 대한 비전도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그는『화로다 나여 망하게 되었도다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입술이 부정한 백성가운데 거하면서 만국의 여호와이신 왕을 뵈었음이로다』이렇게 그는 자기자신이 얼마나 큰 죄인이었음을 보는 동시에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겸손히 나오는 죄인을 또한 깨끗하게 하여주시는 체험의 비전도 보았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그는 자기 사명에 대한 비전도 보았습니다. 그는『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하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곧 대답도하였습니다. 이렇게 그는 자기 일생의 할 일 곧 사명에 대한 비전도 보았습니다.
인간은 그 비전에 따라 어떠한 사람이 되며 일도 하게됩니다. 어떤 사람은 일상생활과 경험에 있어서 아무 것도 보지 못하고 나날을 살아갑니다. 그러나 어떤 이는 끓는 물 주전자에서도 증기 기관을 보고 한 덩이 대리석을 통해서도 천사를 보는 것입니다. 이런 이들이 발명가 가되고 예술가가 되고 예언자가 됩니다.『비전이 없으면 그 백성은 망한다』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우리는 다 비전이 필요합니다. 인간은 자기가 먼저 비전으로 보는 이상 아무 것도 할 수 없습니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성막(聖幕)에 대한 비전을 보고 내려올 때에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삼가 이 산에서 네게 보인 식양(式樣)대로 할지니라』
산에서 보여준 비전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성막에 대한 곧 교회에 대한 비전을 옳게 보아야 합니다. 그래야 교회를 바로 건설합니다. 우리는 국민으로써 국가에 대한 옳은 비전도 보아야 합니다. 그래야 나라를 바로 건설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세계에 대한 위대한 비전도 보아야 합니다. 그래야 전 인류가 다 같이 자유와 평화와 번영가운데서 살 수 있는 세계를 건설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자신에 대한 비전도 필요합니다. 곧 내가 어떠한 그리스도인이 되겠느냐? 내 인격에 대한 비전도 아주 필요합니다.
한번은 예수 님께서 야곱의 우물가에 서서 계실 때에 사마리아 성으로부터 그를 향하여 나오는 무리를 보시고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너희가 넉 달이 지나야 추수할 때가 이르겠다 하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엇도다』
여기 주님의 무르익은 곡식 밭의 비전이 있습니다. 우리가 이 추수할 밭에 대한 비전이 있는 가. 우리는 방금 서울에 이 모임을 가집니다. 우리 한국의 실정은 재래 종교는 거이 무력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대다수는 사실 아무 종교도 없습니다. 그들의 영혼은 비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영적으로 주리고 목말라합니다. 이 한국의 밭이야말로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속히 조국의 복음 화를 위하여 서두를 수밖에 없습니다. 비인 상태란 오래 머물지는 않습니다. 한국의 영적 밭은 그리스도를 위하여 추수할 일꾼을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실 이 무르익은 한국의 밭을 봅니까? 그렇다면 우리는 그저 앉아서 이야기만 할 수는 없습니다. 무엇이나 해야 합니다. 이때야말로 군대전도, 학원전도, 산업전도 각 방면의 전도를 위하여 일어날 때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는 이 아시아라고 하는 수십 억의 인구가 있는 한 대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넓은 아시아의 밭이 추수할 일꾼을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도 눈을 들어 이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추수의 밭을 봅시다. 우리 하나 하나는 이 신령한 밭에 대한 위대한 비전을 보아야 합니다.
둘째는, 위대한 신앙이 필요합니다. 비전만은 부족합니다. 이 비전을 실현하기 위 하여는 위대한 신앙이 필요합니다.
마태복음 十五장 二十八절을 읽으면 예수 님께서 한 가나안 여인을 향하여『여자야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말씀하셨습니다. 여기 예수 님께서 가나안 여인의 위대한 신앙을 칭찬하였습니다. 그 여자는 위대한 신앙의 소유자이었습니다.
주님이 이러한 말씀이 있는 가하면 반면에 믿음이 적다고 책망 조로 말씀하신 때도 있습니다. 가령 산상보훈에『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 지우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 보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또 한번은 예수 님께서 제자들과 같이 갈릴리 바다를 건넜을 때에 큰 풍란을 만났습니다. 당시 주님은 잠깐 주무셨다고 합니다. 그 때에 제자들은 무서워서 예수 님을 깨울 때에 주님이 일어나시며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을 기억하십니까?『왜 두려워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
여러분, 이 제자들이 다 믿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믿음은 너무 적었습니다. 그러므로 믿기 는 믿으면서도 두려워했고 염려도 하였고 의심도 하였습니다. 우리는 오늘과 같은 이 시대에 살면서 어떤 신앙을 가져야 하겠습니까? 적은 신앙은 안됩니다. 큰 신앙이 있어야 합니다.
옛날 갈리리 바다에 때때로 풍파가 일어난 것처럼 오늘날 우리가 사는 이 세계야말로 풍파가 높습니다. 천재지변, 각종 불의의 사고, 질병, 실패, 전쟁, 죽음 등 실로 파도 높은 세계입니다. 이러한 풍파 높은 인생의 고해를 건너가려면 작은 배는 안됩니다. 큰 영혼의 배가 필요합니다. 믿음은 영혼의 배입니다. 위대한 신앙의 함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세상에는 큰 믿음으로야 무사히 건널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를 무슨 과학시대, 원자시대, 우주시대라고 하나 사실 이 시대는 믿음이 적은 시대입니다. 이 시대야말로 유물론, 세속주의, 공산주의, 도덕적 파산시대입니다. 성경에 보면 신앙을 때로는 방패에 비하여 가르쳤습니다. 악마의 모든 화전을 소멸하는 방패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옳게 살려고 큰 방패가 필요합니다. 적은 방패로는 안됩니다.
우리는 큰 믿음이 필요합니다.
예수 님께서 어떤 때에는『너희 믿음대로 되리라』고 말씀하신 적도 있습니다. 사실 우리가 믿음만큼 축복을 받습니다. 큰 믿음이 있으면 큰 일을 할 수 있고 적은 믿음으로는 적은 일만 할 수 있고 믿음이 아주 없으면 하늘 나라의 일은 조금도 못합니다.
영적 저수지에는 생명수가 한없이 잇지만 오직 그릇 만큼만 그 생명수를 떠 마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위대한 신앙을 가져야 합니다.
인도의 첫 선교사로 나왔던 케어리(William Carey) 의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하나님께로부터 위대한 일을 기대하라. 하나님을 위하여 위대한 일을 계획하라」
우리 하나님은 우주를 창조하신 위대한 하나님이십니다. 그는 전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 그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있습니다. 주님은 일찍이 말씀하시기를『사람으로는 할 수 없으나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하셨습니다. 위대한 신앙만이 위대한 하나님을 옳게 섬기는 것입니다.
셋째는, 우리는 위대한 사랑이 있어야 합니다.『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셨습니다. 곧 하나님은 위대한 사랑으로 우리를 사랑하셨습니다.『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그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사랑이 없다』고 주님이 친히 말씀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선 위대한 사랑으로 우리를 사랑했습니다. 그는 우리를 죄악 가운데서 구원하시기 위하여 그의 생명을 버리셨습니다.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서로 사랑하라』
주님은 우리에게 위대한 사랑을 요구하십니다.
사랑이란 말은 실로 위대합니다 그러나 사랑이 잘못되면 정욕이나 자기 중심의 적은 사랑으로 타락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위대한 사랑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보여 주신 사랑과 같은 위대한 사랑을 가지도록 힘을 써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 사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고린도 전서 十三장에 기록하였습니다.
『사랑은 오래 참습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자랑하지 않습니다. 교만하지 않습니다. 무례히 행하지 않습니다. 남의 악행을 기억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진리와 함께 즐거워합니다. 모든 것을 덮어 줍니다.
모든 것을 믿습니다.
모든 것을 바랍니다.
모든 것을 견딥니다.』
사랑은 희생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이웃을 위하여 같은 그리스도인들을 위하여 위대한 사랑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 모든 동포를 위하여 또 세계 인류를 위하여도 위대한 사랑이 필요합니다. 특별히 수난 중에 잇는 인간들 주리고 헐벗은 동포들을 위하여 위대한 사랑이 필요합니다.
다시 말씀 드립니다.
우리는 위대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위대한 신앙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위대한 사랑이 필요합니다. (一九七四년 六월 十八일 CWC 모임에서)
?-68 기독실업인의 바람직한 복음운동 (요한 복음 四장 六-十四절)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나의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요 四·十四)
먼저 제二회 한국 기독실업인 전국대회 위에 하나님의 크신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오늘 읽은 말씀 중에 우리 주님이 사마리아 여인에게 복음을 전한 이야기가 있으며 이 복음을 믿고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이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는 솟아나는 생물을 받은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것은 곧 성경을 의미한 것입니다.
복음운동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먼저 우리 마음속에 이 생명수가 충만한 생활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이 또한 말씀하시기를『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얻고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려 내 증인이 되라』고 하셨습니다. 충만한 성령 곧 성령의 열매인 사랑과 기쁨과 화평(和平)이 충만한 신앙생활은 복음전파의 전제 조건이 됩니다.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충만하면 벌과 나비는 자연히 날아듭니다. 그리스도의 향기는 역시 인간을 끄는 힘이 있습니다. 진액(津液)이 풍족한 좋은 나무는 많은 열매를 맺습니다.
일찍이 성 프란시스가 하루 아침은 제자들과 같이 아씨시 거리를 한번 돌고 돌아왔습니다. 돌아온 후에 한 제자가 묻기를「선생님 왜 오는 아침은 아무에게도 전도를 하지 않고 거저 돌아오셨습니까?」하였습니다. 그 때에 성 프란시스는「우리의 걸음 거리와 일상생활이 산 설교가 되어야한다」고 대답하셨습니다. 의미 심장한 말씀입니다. 우리의 성품, 인격, 생활 자세가 그리스도의 향기를 발하여 무언중에 복음전파가 되어야합니다. 이것은 오직 그리스도의 주시는 생명수 곧 성령을 충만히 받는데서 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둘째는 우리 하나 하나가 개인적으로 복음 전파자가 되도록 힘을 써야 합니다. 곧 개인 전도에 항상 유의해야 합니다. 전에 안드레는 예수를 만난 후 곧 그 형 시몬을 그리스도에게로 데리고 왔습니다. 빌립은 자기의 친구 나다나에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무슨 기쁜 소식을 들었던지 혹은 크게 축복을 받을 길을 알았다면 제일 먼저 그 소식과 길을 자기 가까운 이들에게 전하여 줍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복음 전파는 먼저 내 가족 그리고 내 친척, 그리고 내 이웃 또는 내 친구들에게 전하여진 것입니다. 무언중에 반드시 그리스도의 향기를 발하는 크리스천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침묵의 크리스천을 의미함은 아닙니다. 마음에 사무친 것은 입으로 발표하게 됩니다. 우리는 입으로 그리스도를 증거 해야 하고 내게 가까이 있는 이들을 먼저 그리스도께 인도해야 합니다.
일찍이 들으니 어떤 사장이 자기는 교회의 장로요 또 물론 매 주일 교회에 나갔으나 자기 비서에게 여러 가지 일을 의논하면서도 한 번도 그에게 교회 출석여부를 묻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한 주일은 설교를 통하여 개인 전도의 사명을 깨닫고 결심하기를 앞으로도 우선 가까이 있는 이들에게 전도하기로 결심하고 다음날 아침 회사에 나가 제일 먼저 만나는 이에게 전도를 하려고 기다리든 때에 마침 자기 비서가 들어오니 제일 먼저 하는 말이 『자네 교회에 나가는가?』 물었다고 합니다. 그러니 그 비서가 눈이 둥글 하여지며『사장님 이것 웬 일이십니까! 사실 저도 교회에 다닐 마음은 늘 가지고 있었으나 사장님이 아무 말씀도 없는데 감히 먼저 말하기가 두려워 지금까지 나가지 못하였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우리 가운데 이런 사장님은 없는가? 가까운 이들에게 사업에 관한 일은 또는 세상의 모든 일은 이야기하면서도 그리스도에 대해서만은 아무 말이 없는 이는 없습니까? 우리가 모든 사람에게 복음으로 빚진 이지만 내게 가깝고 잘 접촉하는 이들에게 이 복음의 빚이 가장 크다는 것을 기억해야합니다.
그리고 이 개인 전도는 어느 때 어느 환경에서나 기회 있는 대로 복음을 전파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 주님도 야곱의 우물곁에 잠깐 머물 때에 마침 물 길러 나오는 사마리아 여인에게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복음 전파의 기회를 놓치지 아니하였습니다. 누가복음 十九장을 보면 주님께서 여리고 성 거리를 지나가시다가 뽕나무 위에서 내려다보는 세리(稅吏)장 삭게오를 보시고 그 기회를 놓치지 아니하시고 또한 그에게 복음을 전파하셨습니다.
실업인 들은 그 일 자체가 많은 다른 이들과 접촉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많은 접촉의 기회를 또한 복음 전파의 기회로 삼으면 실로 많은 심령들을 주께로 인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때로는 친척 혹은 친구 중에 몇 분을 택한 후에 항상 그들을 위하여 먼저 기도하고 또 하나님께서 기회를 주실 때에 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면 많은 수확을 거두는 것입니다. 한국의 기독 실업인 들이 다 이러한 개인 전도자가 된다면 한국실업계의 중진들은 물론 우리 사회 각계 각층의 지도자들이 신앙으로 들어올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 나라가 얼마나 큰 축복을 받을 것인가 깊이 생각합시다.
셋째로, 아주 중요한 것은 모든 기독 실업인 들이 단합하여 우리 五천 만 동포를 모두 구원하기 위한 큰 전도운동을 일으켜야 합니다.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우리는 민족 복음 화를 위한 협동과 단결이 필요합니다. 하나님께서 지금 우리에게 전도의 문을 크게 열어 놓았습니다. 우리는 민족복음화의 이 큰 비전을 가지고 분명한 전도전략을 세우고 단결하여 매진하면 이 땅위에 실로 二○세기의 영적 기적이 일어나리라고 믿습니다. 또한 그렇게 되면 이 땅위에는 결국은 우리 민족이 기대하는 자유와 정의와 평화와 번영이 있는 통일된 나라가 이루어질 것도 분명합니다.
제가 바라기는 한국의 기독 실업인 들이 단합하여 이 五천만 복음 화 운동의 선봉이 되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一九七四년 十一월 八일 한국기독실업인 전국대회에서)
?-69 선교하는 교회가 되자 (사도행전 二장 三十七- 四十七절)
『하나님을 찬미하며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행 二·四十七)
선교 백주년을 내다보면서 금년에 목사 장로 선교대회를 열게 하여 주신 하나님께 먼저 감사함을 드립니다. 또 본 대회를 준비하기 위하여 수고하신 여러분께 감사함을 드립니다. 이 시간에는 본 대회 주제가 되는『선교하는 교회가 되자』하는 문제로 생각하고자 합니다.
사도행전 一-二장에 묘사된 초대 예루살렘 교회는 선교하는 교회의 좋은 모델이 되는 줄 믿습니다. 이 시간 초대 예루살렘 교회를 회상하면서 이 문제를 생각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대략 서너 가지 방면으로 살펴보기로 합시다.
一, 선교하는 교회의 모습 혹은 체질
二, 선교하는 교회의 목사와 장로의 자세
三, 선교하는 교회의 전도 전략
一, 선교하는 교회의 모습 혹은 체질
사도행전을 읽으면 초대교회의 모습을 잘 살필 수 있습니다. 그 교회의 특색이 뚜렷이 몇 가지로 나타납니다.
첫째로 그 교회는 기도하는 교회입니다.『마음을 같이 하여 전혀 기도에 힘쓰나라』하는 구절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제자들과 예수 님의 모친 마리아와 예수의 아우들과 기타 약 一백 二十명의 교우가 한자리에 모여 기도를 힘쓰며 아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렸습니다. 그 결과는 오순절에 모두 성령이 충만함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이 기도하는 교회는 둘째로 성령이 충만한 교회가 되었습니다. 이 성령이 충만한 교회는 또한 모든 물건까지 서로 통용하는 사랑이 충만한 교회가 되었습니다. 사랑이 충만하니 이 교회는 화평하며 즐거움이 충만한 교회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성령이 충만한 교회는 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교회가 되었으며 선경에 기록한대로『 날마다 마음을 같이 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테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하나님을 찬미하며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이렇게 기도에 힘쓰는 교회, 성령으로 충만한 교회는 구원받는 사람이 날마다 더하여 지는 성장하는 교회가 되었습니다. 사실 전도는 믿음의 열매입니다. 교회가 믿음과 소망과 사랑으로 충만하며 성령으로 충만하게 될 때에 복음 전파는 자연히 그 열매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교회는 마치 봄 동산과 비슷합니다. 봄 동산에 아름다운 꽃들이 만발하면 벌과 나비는 자연히 모여 옵니다. 교회가 은혜로 충만하여 교인 하나 하나가 아름다운 꽃과 같이 그의 생활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향기를 뿜으면 세상 사람들은 자연히 이런 교회에 모여들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선교하는 교회는 무엇보다도 기도를 통하여 오는 성령의 충만한 교회로써 그 열매인 사랑과 기쁨과 화평(和平)이 넘쳐서 이 어두운 세상에서 진리와 빛을 비치며 이 메마른 땅에서 생명이 넘치도록 은혜가 충만한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전도하는 방법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째는 말로 합니다. 우리는 말로 그리스도를 증거하며 교회에 나오기를 권합니다. 그러나 이 말만은 부족합니다. 이 말을 뒷받침하여 주는 생활이 필요합니다. 곧 둘째는 우리의 행실 자체가 전도의 길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 됩니다. 우리의 행위를 통하여 전도합니다. 그러나 셋째로 우리가 기억할 것은 성도의 모임인 교회 자체가 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사실입니다.
이미 말한 대로 교회자체가 성령으로 충만하여 사랑과 기쁨과 화평이 넘치게 될 때에 이 거칠고 외롭고 메마른 사회에서 허덕이는 많은 사람들이 이런 교회의 문을 두드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먼저 기억할 것은 교회 자체가 은혜를 충만히 받아 많은 사람들을 자연히 이끌 수 있는 믿음과 소망과 사랑의 샘터가 되게 하여야 합니다.
二, 선교하는 교회의 목사와 장로의 자세
사도 바울은 로마서 一장 十四절에『헬라인이나 야만인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 다 내가 빚진 자라』고 기록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사도 바울의 전도에 대한 깊은 부채 감 혹은 책임감을 찾아봅니다. 부채라는 것은 꼭 갚아야 합니다. 갚고 싶으면 갚고, 싫으면 안 갚는 것이 아닙니다. 채무란 정직한 사람이면 반드시 갚는 것입니다. 선교하는 교회의 목사와 장로는 이러한 전도의 강한 책임감이 있어야 합니다.
또 사도 바울은 고린도 전서 九장 十六절에『내가 복음을 전할 찌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은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임이로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복음 전파에 대한 압박감이라고 할까 혼은 강한 소명감에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선교하는 교회가 되려면 먼저 일선에 있는 목사와 장로들이 이렇게 전도의 사명감에 불타야 합니다.
베드로와 요한 이 전도를 하다가 잡혀가 유대 관헌에게 다시는 예수의 이름을 말하지 말라는 말을 듣고 그들은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하나님 앞에서 너희 말 듣는 것이 하나님 말씀 듣는 것보다 옳은가 판단하라 우리는 보고 듣는 것을 말하지 아니할 수 없다』전도는 하나님의 명령입니다. 목사와 장로들은 목숨을 걸고라도 이 명령에 순복(順服)할 각오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선교하는 교회의 목사와 장로들은 선교의 비전이 있어야 합니다. 주님께서 말씀하시기를『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다 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하였습니다. 여기에 우리 주님의 선교의 큰 비전을 볼 수 있습니다. 예루살렘에서 시작하나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에 넓은 선교의 비전이 있습니다. 전도는 먼저 내 이웃과 내 동리와 내가 사는 도시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면 아니 됩니다. 우리 한국인으로서는 적어도 한국전체 五천만 동포의 복음화의 비전을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 거름 더 나가서 전 아세아의 복음 화 그리고 전 세계의 복음화의 넓은 비전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 한국교회의 목사와 장로들은 우선 五천만 복음화의 비전을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전 아세아의 복음화의 비전을 보아야합니다. 그리고 온 교회를 이러한 넓은 비전 아래에서 인도해야 합니다.
목사와 장로들이 이상의 말 한 대로 전도의 강한 채무 감이 있고 또한 넓은 비전이 있다고 하면 교회를 지도하여 나갈 때에 요사이 많이 듣는 말 가운데 하나인 프라이오리티(Priority) 혹은 우선 순위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교회를 받드는 가운데 무엇을 제일 먼저 할 것인가를 언제나 바로 택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두말할 것 없이 교회는 무엇보다도 제일 먼저 전도사업을 하여야 합니다. 우리 목사와 장로가 다 이 전도 우선 주의를 가진다면 자연히 교회 모든 일에 이것이 반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곧 설교나 심방이나 예산 면에 특별히 반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몇 해전에 제가 우리교회 첫 예배를 마치고 정문에서 나가는 교우들에게 인사를 하는데 어떤 분이 제게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나는 시내 어느 교회의 장로인데 내 친구를 교회로 인도하기 위하여 늘 같이 첫 예배에 옵니다』하면서 옆에 서있는 자기 친구를 소개하였습니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이제 이 친구가 영락교회에서 학습도 서고 세례를 받은 후에는 제 본 교회로 데리고 가겠습니다』하였습니다. 그래서 나는 좋다고 그렇게 하라고 하면서 한마디 물었습니다.『그러면 왜 처음부터 장로님교회에 모시지 않았습니까?』하였습니다. 그 때에 장로님 말씀은『아닙니다 우리 교회 목사님은 새로운 교인을 위 하여는 설교를 하지 않습니다』하였습니다.
목사님들! 자세히 들으십시오. 전도가 목사님들의 최고 사명이라 하면 왜 설교에 전도하지 않습니까! 심방도 그렇습니다. 사실 심방도 언제나 전도를 중심으로 하여야 합니다. 더욱이 여러분 교회의 예산을 자세히 검토하여 보십시오 교회의 최고 사명은 전도인데 전도에 대한 예산이 전 예산액의 몇 할이나 되는가? 자세히 살펴보기를 원합니다. 전도를 중심 한 교회라고 하면 특별히 교회학교와 학생 및 청년 부에 특별한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선교하는 교회의 목사와 장로들은 이렇게 첫째는 전도의 강한 부채 감, 둘째는 전도의 넓은 비전, 셋째는 교회의 모든 일에 있어서 전도 우선 주의를 잊지 아니해야 합니다.
三, 선교하는 교회의 전도전략
위대한 전도자 사도 바울은 일정한 전도 전략이 있었습니다. 우선 사람이 많이 사는 대도회지에 가서 전도하였으며 또한 어느 도회지에서나 유대인들의 회당이 있으면 먼저 유대인에게 전도하고 그후에 이방인에게 전도하였으며 또한 환경과 처지를 따라 어떤 곳에서나 전도를 하였습니다.
메시지는 같았으나 그 인도하는 방법은 환경과 청중을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습니다. 선교하는 교회는 분명한 전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예수 님께서 우리에게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라고 하였는데 우리는 어부에게서 물고기를 많이 잡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물고기를 많이 잡으려면 세 가지 원칙을 기억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첫째로 물고기가 많은 곳으로 갈 것, 둘째는 좋은 장비를 준비할 것, 셋째로 어부를 잘 훈련할 것.
그러면 전도를 어떻게 하면 우리 五천만을 구원할까! 첫째는 물고기 많은 데서 먼저 그물을 던져야합니다 사실 사도 바울도 이 원칙에 의지하여 대도시에 먼저 갔습니다. 지금 한국적 상황에서 물고기가 많이 모인 곳이 몇 곳 있습니다.
첫째는 군대, 둘째는 학원 셋째는 공장들입니다. 전군 신자 화 운동은 민족 복음화의 지름길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사실입니다.
지금 군대 안에 전도의 문이 크게 열려 잇습니다. 우리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이 군 선교에 최대의 노력을 하여야 합니다. 군목들을 격려하고 후원합시다. 향토예비군 二백五십만을 위하여 향목(鄕牧) 五천명이 임명되었습니다. 제가 관계하는 아세아 교회진흥원에서 지난달 대구와 서울과 광주에서 향목 약 二천 五백 명을 위하여 수련회를 가졌습니다. 내가 보기에는 어느 때보다도 이 군대전도에 온 교회는 집중 노력할 때입니다. 그리고 기독교학원에서 많은 신자들이 생깁니다. 기독교 학원 당국자는 물론 일반교회에서도 이 학원 전도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후원하면 큰 성과를 얻을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산업전도도 그러합니다. 우리는 앞으로 산업전도의 방향을 옳게 선정하고 적극 고려해야합니다. 예수 님께서는 제일 먼저 노동자와 농민들에게 보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우선 물고기가 많은 곳으로 가서 그물을 던지기로 합시다. 그리고 이미 말 한대로 아무리 물고기가 많아도 장비가 좋아야 물고기를 많이 잡습니다. 전도의 장비는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한 마디로 요사의 용어로 매스컴입니다. 곧 문서와 방송 등은 가장 효과가 큽니다.
그러므로 좋은 전도지, 좋은 기독교 잡지, 신문, 쪽 복음 등을 대량으로 인쇄하여 우리 사회에 범람하도록 뿌렸으면 합니다. 또 방송, 특별히 할 수 있으면 앞으로는 TV도 이용하여 복음을 전파해야 합니다. 매스컴을 통한 전도는 각계 각층에 침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셋째는, 훈련된 어부가 필요합니다. 전도는 전쟁과 비슷합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먼저 공군이 폭격을 하고 해군이 해안에 접근하며 함포(艦砲)사격을 가합니다. 공군과 해군만으로는 승리를 거두지 못합니다. 육군이 상륙하여 적의 영토를 한치 두 치 직접 점령해야 완전한 승리를 거둡니다. 전도에 있어서 매스컴 전도는 공군의 폭격과 비슷합니다. 어디나 복음의 폭탄이 떨어져 죄악의 아성을 깨뜨립니다. 빌리 그래함의 집회와 같은 대 전도집회는 해군의 집중 함포사격과 비슷합니다. 많은 사람을 모아놓고 일시에 복음의 사격을 하는 셈입니다. 그러나 이것들만은 부족합니다. 훈련된 지도자들이 있어서 믿기로 작정한 새 신자들을 하나씩 하나씩 교회로 인도하여 육성하여야 구원이 완성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선교하는 교회는 무엇보다도 교인 하나 하나를 개인 전도자로 훈련하는 일입니다 북괴의 소위 四대 군사노선 가운데 한가지는 사병의 간부화입니다. 아마 그 뜻은 사병까지도 장교처럼 잘 훈련을 시킵니다. 다시 말하면 교인 하나 하나를 목사와 장로처럼 훈련하면 그 교회야말로 실로 선교하는 교회가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실로 곡식이 무르익어 희어진 때입니다. 우리는 추수하는 시기에 살고 있습니다. 선배들이 뿌린 씨가 지금 추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또 군대에 들어가서 믿고 사회에 나오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또는 기독교학교나 병원에서 믿고 나오는 이들도 많습니다. 또 매스컴을 통하여 감화를 받아 기회만 있으면 믿으려는 동포들이 많습니다. 더욱이 오늘의 우리가 당면하는 불안한 상태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종교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합니다. 이것이 오늘의 현실입니다.
자세히 들으십시오! 깊이 생각하십시오! 만일 이러한 때에 우리 교회가 아직도 잠자는 상태에서 깨어 일어나 전도하지 아니하면 이 어린양들이 어떻게 될 줄 아십니까! 거짓 선지자들, 사이비종교, 사교, 적 그리스도에게 끌려갑니다 벌써 이미 잃어진 양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뿐 아니라 정체 모를 부흥 사, 신비가, 누가 안수하였는지 모르는 목사들, 그리고 정체 모를 이단자들에게 끌려갑니다.
여러 목사와 장로님들이여! 정신 차리십시오! 깨어나 일어나 일할 때입니다. 선교하는 교회가 됩시다 (一九七五년 목사·장로 선교대회에서)
?-70 주안에 수고 (고린도 전서 十五장 五十-五十八절)
『그러므로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견고하며 흔들리지 말며 항상 주의 일에 더욱 힘쓰는 자들이 되라. 이는 너희 수고가 주안에서 헛되지 않은 줄로 앎이니 라』(고전 十五·五十八)
고린도 전서 十五장은 유명한 부활 장입니다. 여기 사도 바울은 주님이 부활한 사실을 역사적으로 증언하며 부활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부활 후 신령한 몸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리고 마지막에는 최후에 있을 부활에 대하여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이렇게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인간의 최후 원수인 사망을 온전히 이기고 승리를 거두어 우리 신자의 생활은 온전한 생명의 승리로 끝나는 것을 분명히 가르치셨습니다. 그리고 최종으로 다음과 같이 권면(勸勉)하셨읍니다.
『그러므로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견고하며 흔들리지 말며 항상 주의 일에 더욱 힘쓰는 자들이 되라 이는 너희 수고가 주안에서 헛되지 않은 줄을 앎이니라』
먼저『견고하여 흔들리지 말라』고하였습니다. 이미 받은 신앙에 굳게 서라는 뜻입니다. 특별히 부활의 신앙에 튼튼히 서서 흔들리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의심을 버리라고 하셨습니다. 신앙생활에 있어서 확신을 가지고 모든 비난과 공격을 물리치며 유혹과 시험을 이기고 믿음에 굳게 서라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큰 믿음을, 튼튼한 믿음을 가지라고 합니다. 이런 권면은 우리 신자들에게 어느 때나 적적한 말씀입니다. 특별히 무신론과 세속주의가 팽창한 이 二十세기에 사는 그리스도인에게 아주 필요한 권면입니다. 확신 없는 신앙은 언제나 흔들리기 쉽습니다. 나약한 신앙은 악마의 화전을 막기 힘듭니다. 믿음을 방패라고 하였는데 큰 방패가 필요합니다. 작은 방패로 원수의 공격을 막고 승리하기 힘듭니다. 특별히 악한 공산당들과 싸우는 중에 있는 우리 십자군은 크고 튼튼한 신앙으로 무장해야 합니다. 우리 하나님은 천지를 지으시고 우주를 다스리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 이 전능하신 하나님의 전신갑주(全身甲胄)를 입고 내 자신을 방비할뿐더러 한 걸음 더 나아가 말씀의 검으로 곧 복음을 담대히 전파하여 이 땅에서 천국의 승리를 거두어야 합니다. 튼튼히 서서 흔들리지 말며 앞으로 나아가는 그리스도의 용사들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주의 일에 더욱 힘쓰라고 하였습니다. 주의 일은 이미 말한 대로 이 부활의 복음을 전파하라는 것입니다. 특별히 우리 한국에는 하나님께서 전도의 문을 크게 열어 주셨습니다. 소위 재래종교는 이미 그림자를 잃은 지 오래고 우리 민족의 대부분의 심령은 비어 영적 공허(空虛)를 이루었습니다. 한국의 밭은 실로 무르익어 추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한국에서는 어디서나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기회의 문이 또한 열러져 있습니다. 학교에서, 공장에서, 군대에서, 경찰에서, 교도소에서, 거리에서 어디서나 자유로 복음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우리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은 이렇게 하나님께서 전도의 문을 열어주시는 때에 누구나 이 전도 운동에 참여하고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하여 민족 복음 화에 매진하여야 합니다. 이리하여 전 민족을 복음 화하여 우리 민족을 구원할뿐더러 한 걸음 더 나아가 전 아시아를 복음 화하는데 선구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님의 말씀대로 주님이 분부하신 바를 다 가르치도록 힘써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 교육에 전심하여야 합니다. 기독교의 근본적인 우주와 깊은 진리와 구속의 소리를 가르칠뿐더러 특별히 기독교 윤리와 도덕을 우리 국민들에게 가르쳐서 기독교사회를 건설하도록 힘을 써야 합니다. 이를 위 하여는 주일에만 모이는 교회학교 교육만은 부족합니다. 할 수만 있으면 국민학교, 중학교, 전문학교, 대학교육을 기독교신앙 아래서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을 설립 또는 육성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기독교 가정교육, 사회교육에 힘쓸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한 거름 더 나가 우리 사회가 기독교화 되고 우리 문화가 기독교문화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우리는 우리사회와 국가를 봉사하는데 힘을 써야 합니다.
불우한 고아나 고독한 동포들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단결하여 우리 사회에서 모든 부조리를 제거하며 우리 민주국가를 노리는 공산당의 온갖 모략을 물리치고 이 반도 위에 자유와 정의와 번영과 화평의 통일된 국가를 이룩하는 데 선구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이 모든 주의 일에 힘을 쓰라고 사도 바울은 권면합니다.
그리고 그는 최후로『너희 수고가 주안에서 헛되지 아니하다』고 하였습니다. 사실 이 세상에 헛된 수고를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세상을 위한 수고는 모두 헛됩니다. 바벨탑과 같이 무너질 때가 옵니다. 우리는 히틀러 뭇소리니, 일본의 군국주의자들의 수고도 목도하였습니다. 얼마나 헛된 수고였습니까? 지금 공산당들이 세계 적화의 야욕으로 굉장히 노력하는 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수고도 헛된 것은 환한 일입니다. 다 바람을 잡는 수고뿐입니다. 세상의 허영, 욕심을 위한 모든 수고는 다 헛된 데로 돌아갑니다. 전도서의 말과 같이『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
그러나 여러분, 주안에서의 수고는 결코 헛되지 아니합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위하여 그 뜻대로 하는 수고는 결코 헛되지 아니합니다. 반드시 열매를 맺습니다. 이 세상에서도 그러하고 연원한 세상에서는 더욱 그러합니다. 진리를 위한 수고, 복음을 위한 수고, 의와 사랑과 자유와 평화를 위한 수고는 결코 헛되지 아니합니다. 반드시 축복이 따릅니다.
지금 이 자리에는 벌써 二十六년 전 六·二五사변 때에 참전한 용사로서 많은 수고를 하신 이들이 같이 참여하였습니다. 六·二五전쟁은 문자 그대로 자유와 평화를 위한 투쟁이었습니다. 공산당의 남침을 막기 위하여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자유국가의 용사들이 모여 담대히 싸워 남침을 물리치고 이 땅위에 자유를 확보하였습니다. 많은 귀한 청년들의 생명들이 희생되었고 많은 청년들이 말할 수 없는 수고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여러분이 보시는 대로 이 수고야말로 헛되지 아니하였습니다. 적어도 이 남한에 자유는 보존되었습니다. 교회가 또한 보존되었고 또한 크게 발전되었습니다. 우리 나라의 경제도 장족 발전하며 또한 계속하여 발전하는 중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각 방면이 새로워지고 발전하는 중입니다. 아직도 원수는 우리의 자유를 빼앗으려고 노리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과거의 모든 수고가 헛된 데 돌아가지 않기 위하여 계속하여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주안에서 수고는 결코 헛되지 아니합니다. 금생(今生)과 내생에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一九七六년 六월 九일 六·二五참전 군목회의에서)
?-71 하나님의 동역자들 (고린도 전서 三장 一- 九
『우리는 하나님의 동역 자들이요 너희는 하나님의 밭이요 하나님의 집이니라』(고전 三·九)
오늘 읽은 본문은 사도 바울이 옛날 고린도 교회에 보낸 편지 가운데 한 부분입니다. 바울이 일찍이 고린도에 가서 약 一년 六개월을 유하면서 전도하는 중 많은 사람들이 믿어 상당히 큰 교회가 설립되었습니다. 그후에 바울은 다른 지방에 가서 또한 전도하기 위하여 그곳을 떠나 에베소에 왔습니다. 그곳에서 아볼로 라고 하는 이를 만났는데 이 분은 본래 구약 성경도 잘 알고 또한 가르치는 재주도 있어 그분에게 기독교의 진리를 더 자세히 가르쳐 준 후에 그를 고린도에 보냈습니다. 그 목적은 물론 새로 믿는 고린도 교인들을 잘 가르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고린도 교인 중에 파당이 생겨 서로 분쟁하며 특별히 한 파는 스스로 바울 파라 하고 다른 한 파는 아볼로 파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불행한 소식을 듣고 바울이 그 교회에 편지한 것입니다.
여기 바울이 교회를 한 꽃동산에 비유하여 말하면서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그후에 물을 주었으나 사실은 그 동산을 자라게 하시는 이는 하나님이라고 하는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다 하나님의 동산 혹은 하나님의 밭에서 일하는 일꾼들인데 일꾼들끼리도 서로 협동하고 또 우리는 하나님과 같이 일하는 동역자(同役者)들인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지금 이 시간 특별히 하나님의 동역 자들이란 이 사실을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오늘 저녁 이 자리에 앉은 졸업생 제군은 누구나 다 하나님의 동산에 일하려 나가는 일꾼들입니다.
흔히 우리가 사는 이 땅을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이라고 합니다. 한 큰 동산입니다. 이 동산은 아직 까지 황폐(荒廢)한 곳이 너무나 많습니다. 황폐한 산, 황폐한 강, 황폐한 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정치, 문화, 사회 각 방면에 아직도 황폐한 부분이 너무나 많습니다. 이 황폐한 강산이 일꾼을 부르고 있습니다. 나무를 심고 모든 것을 개척하는 일꾼들이 필요합니다. 또는 아볼로와 같이 물을 주는 곧 이미 시작한 여러 가지 기관 여러 가지 방면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확장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일꾼들을 부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사도 바울과 같이 창의적 일꾼도 필요하고 아볼로와 같은 이미 시작한 일들을 잘 육성하며 발전시켜 이 동산에 각 방면에 꽃을 피우고 향기를 가득 채울 수 있는 지혜로운 건실한 일꾼들이 또한 필요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 강산은 선한 일꾼을 부르고 있습니다. 여러분 하나하나는 이 동산에 가서 일하라는 하나님의 사명을 받은 것입니다.
나는 하나님이 이 동산을 보시며 일꾼이라는 이 사명 의식을 먼저 분명히 가져야 합니다.
여기 특별히 바울은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다고 하는 사실을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동산에서 공통한 목적을 가지고 일하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따라서 서로 동역 자들인 것을 기억하고 피차에 협동하고 협력할 줄 알아야 합니다. 아무리 천재라고 할지라도 혼자서는 큰 일을 할 수 없습니다. 서양 속담에「아무리 유명한 음악가라도 혼자서 코러스는 할 수 없습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집 하나를 지어도 혼자는 지을 수 없습니다. 설계자가 따로 있고 벽돌 쌓는 이가 따로 있고 시멘트로 섞어 넣는 이가 따로 있으며 작은 부분에까지 다 다른 일꾼이 요구됩니다. 이 여러 일꾼들이 각각 자기의 재능을 따라 성실한 일을 하는 가운데 아름다운 건물이 완성됩니다.
여러분은 이 한국이라는 큰집을 지을 일꾼들입니다. 아무리 위대한 인물이라 할지라도 혼자서는 이 큰집을 바로 지을 수 없습니다. 여러 일꾼들이 천부의 재능과 배운바 지식과 기술에 따라 성실히 자기 맡은 부분을 꼭 바로 감당할 때에 이 한국이라는 큰집을 옳게 지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내 일만 소중한 것이 아니라 다른 이들의 일도 꼭 같이 소중한 것을 알아 피차에 존경하며 피차에 도우며 협력할 때에 우리의 공통한 목적을 이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피차에 동역자라는 것을 기억하고 어디서든지 겸손히 또 성실히 피차에 협동할 줄 아는 일꾼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셋째는 우리는 서로 서로의 동역 자 뿐만 아니라 위로 하나님과 동역자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성경 본문에 바울은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나 풀과 나무를 자라게 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하시는 것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꽃동산을 가꾸는 그런 것이 아닙니다. 모든 농사가 다 그려합니다. 사람이 밭을 갈고 씨를 심습니다. 그리고 김을 맵니다. 그러나 싹이 자라고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이 하나님의 협동과 축복이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햇볕이 필요하고 비와 이슬이 필요하며 자라게 하는 생명의 능력이 필요합니다.
농사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의사가 환자를 앞에 놓고 병을 치료하는 것도 조금 깊이 생각하면 하나님과 동역 하는 것입니다. 의사가 약을 먹이고 수술을 합니다. 그러나 사실 환자의 모이 튼튼해지며 수술한 상처가 회복되게 하는 것은 실상은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인간은 그저 돕는 것뿐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의사도 하나님의 동역 자들입니다.
병을 치료하는 뿐만 아닙니다. 무슨 사업을 경영하거나 나라를 건설하거나하는 큰 일들도 조금 깊이 생각해보면 모두 하나님과 동역 하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성경 시편 一二七편 一절에『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세우는 자의 수고가 헛되며 여호와께서 성을 지키지 아니하시면 파수꾼의 경성(警醒)함이 허사로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서양 속담에도「싸움은 사람이 하나 전쟁의 승패는 하나님께서 결정하신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동양에서 내려오는 말 가운데도「모사는 재인(在人)이나 성사는 재천이라」고 하였습니다. 사실이 그러합니다. 사실 사람이 하는 모든 일은 하나님과 동역 하는 것이요 따라서 하나님께서 도와주실 때에만 성공할 수 있고 승리를 거둘 수 있습니다. 우리 인간의 힘으로 만으로는 미치지 못하는 영역과 차원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일꾼으로써 꼭 기억해야 될 사실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곧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하나님의 뜻을 거슬러서는 아니 됩니다.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아 거기에 순종하여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역천(逆天)자가 되어서는 아니 됩니다. 순천자가 되어져야 합니다. 옛 글에도「역천자는 망하고 순천자는 흥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뜻에 순종코자 하는 이가 어떻게 그 뜻을 바로 찾을 수 있는가? 여기에 대하여 우리는 또한 몇 가지 기억할 것이 있습니다.
첫째는 자연계에 있어서 하나님의 뜻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그것은 자연법칙을 통하여 나타납니다. 우리가 자연을 상대하여 무엇을 할 때에 자연법칙을 무시하고는 아무도 할 수 없습니다. 자연법칙을 무시하면 결국은 그 손해는 내가 받습니다.
몇 해전 와우 아파트가 무너져 많은 생명이 희생된 것을 우리는 지금도 기억합니다. 그 아파트가 왜 무너졌는가? 한 마디로 말해서 그 집을 지은이들이 자연 법칙을 무시하고 지었습니다. 시멘트와 모래와 물이 합하여 돌이 되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습니다. 그 법칙을 무시하고 기둥을 만들고 벽을 만든 결과는 그러한 참화를 가져오고야 말았습니다. 금년 들어서 구미 단지에 큰 방직 공장이 화재로 인하여 백 수 십억의 손해를 가져왔다고 합니다. 그 화재의 원인을 자세히 듣지 못하였으나 하여간 전기 기술자이던가 혹은 다른 책임자이던가 누가 자연 법칙을 무시하고 자기 책임을 소홀히 한 까닭입니다. 하나님의 뜻이 자연계에 있어서는 자연법칙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런고로 우리가 자연계를 상대하여 무엇을 하든지 이 자연법칙을 성실히 지켜야합니다.
둘째는 하나님의 뜻은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로 거둔다는 말은 자연계에 있어서나 인간사회에 있어서나 또한 공통한 법칙입니다. 자연법칙을 무시하여 집을 지을 때에는 그 집이 결국 무너지는 것같이 도덕의 법칙을 무시하고 우리의 집을 지을 때는 우리의 삶의 집도 결국은 무너지고야 맙니다. 이 도덕의 법칙을 어디서 찾습니까? 우리는 먼저 우리 양심에서 찾아야합니다. 양심을 언제나 거슬리지 아니하고 우리가 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혹 어떤 때에는 우리의 양심조차 화인을 맞을 때가 혹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새로운 계시를 준 것입니다. 열 가지 계명을 주셨고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셔서 이 도덕의 법칙을 분명히 그의 교훈과 생활을 통하여 나타내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성경을 읽어야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기도를 해야합니다.
기도를 통하여 성령의 지도를 받아 하나님의 뜻을 옳게 찾아 하나님과의 선한 동역자가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 들이는 것은 우리 인간은 결국 하나님께서 주신 사명을 받아 이 세상에 와서 그 사명을 마친 후에는 다시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최후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내 사명을 바로 찾아 선한 일꾼이 되어야하며 모든 다른 인간들과 협동할 줄 알아 그 사명을 바로 감당하여야 하며 하나님과의 동역자임을 깨달아 그 뜻에 순종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최후에 무엇을 이루었든지 그 영광을 다 하나님께 돌려야합니다. 그 까닭은 우리가 무엇을 이루었다고 할지라도 모두 하나님이 주신 육체, 하나님이 주신 머리, 하나님이 주신 자료를 가지고 곧 하나님의 은혜로 그 일을 이룬 까닭입니다. 이렇게 우리 하나하나는 참으로 하나님의 동역자가 되어 이 하나님의 동산인 이 나라와 우리가 사는 이 세계를 자유와 번영과 평화가 있는 동산으로 건설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졸업생 제군은 하나님의 동역자임을 기억하시오. (숭전대학 졸업예배에서)
?-72 고당선생의 신앙과 민족교육 (로마서 九장 一-五절)
『나의 형제 곧 골육의 친척을 위하여 내 자신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끓어질 찌라도 원하는 바로라』(롬 九·三)
고당(古堂) 선생은 一八八二년 평양 성안 한 선비였던 조 경학씨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본래 고당의 선대는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살았습니다. 그 부친은 한학자로서 당시에 이름이 있었으며 생활은 유족한 편이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十五세까지 한학을 전공하였고 또 十六세부터는 상업의 경험을 얻기 위하여 포목상과 지물포를 경영하는 한 청년 실업가였습니다.
그 동안 그는 평양에서 날파람 꾼으로 유명하였으며 또 술 잘 먹기로 알러지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모친은 종 종 술 끓기를 권면하였으나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二十三세 되던 해에 어떤 분의 전도를 받고 예수를 믿기로 작정한 후에는 곧 금주와 단연(斷煙)을 단행하였습니다.
듣는 말에 의하건대 그는 하룻저녁 그의 술친구들을 다 모아놓고 밤새도록 술을 마시며 즐긴 후에 그는 가장 엄숙한 어조로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고 합니다.『나는 지금 까지 당신들의 친구로써 나왔지만 나는 예수를 믿기로 작정하였소 그러므로 나는 오늘 저녁까지 이 생활을 마치고 다음 날부터는 온전히 예수를 믿는 사람이 되겠소』이렇게 선언한 후에는 그는 단연히 실행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당시의 기독교 학교인 숭실학교에 입학하였습니다. 그 때 숭실학교에서는 학생의 연령제한이 없던 때입니다. 그리고 五년을 공부한 후에는 숭실중학교를 마치고 곧 일본에 가서 명치 대학 법과를 졸업하였습니다.
그는 그 동안 철저한 신앙생활로써 모든 학생과 청년들에게 모범이 되었으며 일본 재학시절에는 재일 한국 기도교회를 설립하는데 대한 중심 인물이 되었으며 사실 영수(領袖)가 되었습니다. 당시는 구 한국의 국운이 날로 기울어지는 때로써 그는 청년 애국자로 또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어떻게 하면 민족부흥을 이를 수가 있을까 하는 문제로 그 머리에는 항상 깊은 사려가 있었습니다.
동경에서 학업을 마친 후에 본국에 돌아오자 당시 애국자요 또한 기독교 신자인 남강(南岡) 이승훈 선생의 교훈을 받아 정주 오산학교의 교사로 부임케 되었습니다. 들은즉 고당 선생은 일본에서 귀국하자마자 흔히 입던 양복을 벗어 놓고 한복으로 갈아입었으며 서양식 모자도 벗어놓고 갓을 썼으며 구두도 벗고 갓 신을 신고 다니셨습니다. 이런 결단의 배후에는 두 가지 뜻이 잇는 줄로 생각합니다.
하나는 나라는 즉근하였으나 지기로서는 철두철미 한국사람으로 살겠다는 애국애족의 정신이요, 또 하나는 무엇이든지 근검 절약할 뿐 더러 자작 자급해야 된다는 정신이었습니다. 고당 선생은 학교에 오신지 二년 후에 곧 교장으로 취임되셨는데 나는 一九一六년 곧 고당 선생이 취임한 다음해부터 학교의 학생이었습니다. 그때 교장선생의 모습은 지금도 잘 기억이 됩니다. 언제나 무명 두루마기를 입었으며 아침에는 소금으로 반드시 이를 닦고 심지어 비누도 쓰지 않고 옛날부터 팥가루로 비누를 대신하였습니다.
그는 교장인 동시에 사감이요 또 지금으로 말하면 교목도 겸한 셈입니다. 그때 그는 가족은 평양에 두고 자기는 기숙사 한방에 유숙하였으며 기거 일체를 학생과 같이 하였습니다. 듣는 대로 그때 선생께서는 봉급은 한 푼도 받지 아니하시고 전혀 무보수로 학교를 봉사하셨습니다.
당시 오산학교의 교육은 지금의 사관학교와 비슷한 철저한 기독교적 민족교육이었습니다.
근처에 사는 학생 외에는 전부 기숙사에 유하였으며 아침 六시에 기상 종과 같이 선생과 학생은 일제히 일어나 운동장에 나가서 체조를 하였고 또 뒷산을 구보로 뛰어 한 바퀴 돌아오곤 하였는데 고당 선생도 꼭 같이 행동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숙사에 돌아와서는 방 청소와 정돈을 하였고 조반 후에는 곧 학교에서 공부를 하였는데 매일 먼저 기도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도회에는 언제나 교장 자신이 주재하였으며 또 설교도 하였습니다. 이따금 남강 선생께서 오셔서 설교하신 적도 물론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녁 식사 후에는 기숙사 각 방에서 복습을 하였습니다. 그때에도 교장선생님께서는 문밖으로 조용히 다니면서 공부하는 형편을 살피셨습니다. 그리고 저녁 十시에는 반드시 소등을 하고 취침하였습니다.
당시 학교에는 청소부가 따로 없었습니다. 모두 학생을 조직하여 청소와 수리와 모든 것을 담당케 하였습니다. 가을이 되면 제석산에 가서 오리나무를 찍어 학생들과 직원들이 메어다가 패어서 난로에 불을 넣었는데 고당 선생도 언제나 학생들과 꼭 같이 일을 하였습니다.
고당 선생이 담임한 과목은 내 기억으로는 성경과 지리였습니다. 나는 선생께 사도행전을 공부하였는데 그때 배운 사도행전의 내용은 지금도 많이 기억합니다. 지리도 역시 철저하게 잘 가르치셨습니다. 그리하여 선생님의 교육방침은 철저한 기독교신앙으로서 새로운 사람이 되게 하며 학문과 지식을 배워서 민족중흥에 헌신할 수 있는 애국자를 양성하는 데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교육은 교실에서 말만의 교육이 아니고 그의 실지 생활로서 모법을 보여주는 실천 교육이었으며 또 학생과 전 생활을 같이 하여 다시 말하면 하루 二十四시간의 교육이었습니다.
나는 일생에 여러 교수들에게 배웠으나 고당 선생님처럼 학생을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며 실지로 모법을 보여주며 그 전 생애를 희생한 교육가는 오직 고당 한 분이라고 기억됩니다.
그후 그는 三·一운동으로 부득이 오산을 떠나게 되었고 또 그후 다시 오산학교 교장으로 부임하였으나 악랄한 당국의 압력으로 부득이 아깝게도 떠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후 그분은 평양에 오셔서 기독교 청년회총무로(모두 무보수로)수고하였으며 숭실대학 강사가 되었으나 이것도 일본당국의 압력으로 사퇴할 수밖에 없었고 평양 숭인 상업학교를 설립하고 그 교장으로 취임하기로 모두 원하였으나 이것 역시 일정 압력아래에서 실현되지 못하였고 다만 이사장으로써 학교를 경영하여 나갔습니다.
고당 선생은 민족부흥의 환상을 보면서 항상 세 가지를 힘썼습니다.
첫째는, 이미 말한 교육방면이요.
둘째는, 근검절약하며 자작 자급하여 경제를 부흥케 하는 물상 장례운동이요.
셋째는, 민족의 장례를 생각하며 체육에 깊은 관심을 두고 관서 체육회의 회장으로써 언제나 이 방면에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평양에 계실 때에는 고아원, 도서관, 백 선생기념관 등 여러 공공 한 사회시설을 통하여 사회복지와 문화 증진에 헌신하였습니다. 그리고 또한 이 동안에 조선일보사 사장으로 언론계에 헌신한 적도 있습니다.
평양 산정현 교회의 장로로써 전(全) 평양교회를 지도하였으며, 당시 산정현 교회의 목사는 일찍이 오산에서 자기에게 배운 그리고 신사참배 강요시대에 순교자 중의 하나인 주 기철 목사이었습니다.
실로 고당 선생은 애국 애족의 지사이며 민족중흥의 선구자이며 체육 언론 사회 문화 각 방면의 지도자이었으며 해방 후에는 방공투사로써 그 최후까지 마친 것은 말할 여지가 없습니다. 민족적 암흑기에 있어서 혜성과 같은 이러한 지도자를 보내주신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그는 실로 신앙인과 애국심의 화신입니다. (고당의 날 강연)
?-73 나의 신으로 (스가랴 四장 一- 六절)
『여호와께서 수룹바벨에게 하신 말씀이 이러하니라 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슥 四·六)
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주안에서 친애하는 동역자가 된 여러분『아시아의 교회들이 너희에게 문안한다』는 고린도 전서 十六장 十九절의 말씀을 인용하여 인사를 드립니다.
세계 전도대회에 참석하여 그 비전과 열망에 한 몫을 담당하게 된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분명히 이때는 우리 크리스천들에게 있어서 전 세계적 선교의 비전과 전략을 가질 때입니다. 왜냐하면 전 세계에 복음들이 필요할 뿐 아니라 세계는 더 좁아져 가고 악의 세력은 더욱 담대해져 가고 위협적이 되어 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그 신실하심으로 인류역사의 이 잔인한 시대에 특별하신 방법으로 강구하시리라는 것을 확신하는 바입니다.
우리 모두 오늘 저녁 봉독(奉讀)한 성경 말씀의 배경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오랜 바벨론 포로기간이 지나고 하나님은 그의 선민에게『화관을 주어 그 재를 대신하여 희락(喜樂)의 기름으로 그 슬픔을 대신하며 찬송의 옷으로 그 근심을 대신하고 그들로 의의 나무 곧 여호와의 심으신 바 그 영광을 나타내시겠다』(사 六一·三)는 약속을 이뤄 주셨습니다.『꿈꾸는 자들 같이 그들의 입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그들의 혀에는 찬양이 찼었던 것』같이 그들은 빛나고 비전과 높은 소망으로 예루살렘으로 돌아 왔습니다.
예루살렘에 도착한 이스라엘의 자녀들은 모여 성전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큰 즐거움과 그 일을 빨리 완성해야겠다는 전망으로 터를 닦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일을 시작하자마자 원수 사마리아인들이 일어나 페르시아 왕에게 심한 고발장을 보냈습니다. 필요한 재정과 과업이 거대함을 본 스룹바벨과 백성은 낙담하여 그들의 일을 중지하고 十五년 동안 아무 것도 못 했습니다. 이런 절망의 때에 하나님은 양쪽에 일곱 등잔과 살아 있는 두 감람나무가 달린 순금등대의 환상 중에 선지자 스가랴에게 나타났습니다.『네가 이것들이 무엇인가 알지 못하느냐?』천사가 묻자『내 주여 내가 알지 못하나이다』스루바벨이 대답하였습니다. 천사가 계속하여『여호와께서 스룹바벨에게 하신 말씀이 이러하니라 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라고 말했습니다.
요한 칼빈은 이 말씀을 이렇게 주석(註釋)했습니다. 여기서 천사가 증거 하는 바는 하나님의 능력만이 교회를 충분히 보존하시고 그의 다른 도움은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영을 모든 지상 적 도움에 반대되게 하셨습니다. 그래서 그의 교회를 보전하기 위해 다른 도움은 필요치 않다는 것을 증명하십니다. 왜냐하면 그 분만이 교회를 모든 축복으로 풍성하게 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그 분 자신만이 교회의 안전이 되게 계획하십니다. 이것이 비록 교회가 많은 것을 필요로 하나 왜 이곳 저곳 두리번거리며 사람에게서 이것저것 도움을 구할 필요가 없는 이유입니다. 즉『모든 축복이 풍성함이 하나님에게서만 의해 공급된다』고 말씀하셨던 것 같이 신(Spirit) 이란 말은 우리가 알기는 하나님의 권능을 의미합니다.
一, 하나님의 신만이 교회를 세우시는 분이라는 것을 첫째로 생각합시다. 오순절에 성령이 다락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돌진하는 힘있는 바람과 갈라지는 불이 혀 같이 임하심으로 교회가 탄생했습니다.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은 도시는 신생교회의 적의와 증오감에 불탔으나 교회가 살아났다는 것은 하나님의 기적이었습니다. 위선적 바리새주의, 세속적 사두개주의, 편협하고 우상 적인 로마정부, 공허한 인간중심의 헤리니즘 등이 교회를 대적했습니다. 교회는 이리가운데 어린양같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양은 살아 남았습니다. 살아 남았을 뿐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구속적 진리로써 적을 정복하고 역사의 코스를 바꿀 때까지 자라며 퍼져 갔습니다. 어떻게?『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라고 하신 하나님의 능력으로 되었습니다.
二, 一세기 어간의 예루살렘교회의 이야기는 수세기의 교회사라 할 수 있습니다. 로마 제국이 몰락하고 광적인 회교도의 군대가 유럽을 휩쓸 때 교회의 최후가 왔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했습니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존속했을 뿐 아니라 기독교 문명을 창조했습니다.
근대 十八-十九세기에 초 자연성을 부인하고 예수의 신성을 제거한 자연과학과 인문주의 철학이란 새로운 많은 적들과 교회는 대면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때에 교회를 새롭게 하고 활력을 주고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들려 땅 끝까지 가게 한 큰 부흥이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일어났습니다. 어떻게?『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라고 하신 하나님의 능력으로 되었습니다.
三, 이젠 한국교회의 출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백성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져온 근대의 첫선교사가 해안에 상륙한 그날 순교 당했습니다. 웰스 로바트,J·토마스는 중국에서 선교하던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의 권서였습니다. 그는 한국어가 중국어에 근거하고 한국의 지성인은 한문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수 백만 중국인에게 성서를 배포하해야 할 큰 책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갖게 하려고 결심했습니다. 토마스는 대동강 북쪽의 큰 도시인 평양으로 항해하는 미국상선 제네랄 쉐맨호에 탑승했습니다. 배가 평양에 가까워지자 심한 싸움이 평양의 중군 들과 일어났습니다. 배는 불타고 모든 승객은 죽음을 당했습니다. 그 중 한 승객의 죽음은 특이했습니다. 이 사람이 물에서 나올 때 그의 손에는 책들이 가득 했는데 자기를 목베어 죽이려는 한국인의 손에 내밀었습니다. 이것이 一八六六년 한국에 처음 성서가 들어온 경로였습니다.
한국이 一八八四년 문호를 개방하자 장로교 선교사 알렌 박사가 의사로써 미대사관에 왔습니다. 언더우드 목사와 아펜셀러 목사가 장로교와 감리교의 선교사로 같은 해 부활절 아침에 한국에 도착했습니다. 세기가 바꿔지자 충분한 선교사들이 도착하여 한국의 큰 도시에 스테이션을 설립했습니다. 새로운 회심 자들이 회중(會衆)을 이루고 각양 교육 기관이 그들의 훈련을 위해 세워졌습니다. 一九○七년에 신학교 첫 졸업생을 냈고 같은 해에 역사적이며 기억할만한 한국 장로교회가 조직되었습니다.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불안이 교회의 장래를 암담하게 만들었습니다. 一九○五년 노일전쟁이 한국을 놓고 싸웠고 그 결과 한국은 일본군대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 자유를 잃은 격분한 한국의 게릴라들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싸움을 걸었습니다. 난폭한 반 애국 폭동이 , 특히 반미주의가 나라를 휩쓸었는데 미국이 공식적으로 일본의 한국 합병을 승인했기 때문입니다. 한편 미국 선교사에게 또 한편 반미겨레에게 두 충성 사이에 찢긴 크리스천들은 그 공격으로 하나님께 향하게 되었습니다.「한국의 금」이라는 책에서 윌리암·브레어 박사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우리로 그이만 바라보게 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臨再) 없이는 앞으로 더 나갈 수 없는 지점까지 도달했습니다. 아주 열심히 하나님께 우리의 마음을 쏟아 부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만나주시고 있어야할 축복의 증거를 주셨습니다. 집회가 끝나기 전에 성령은 분명히 우리에게 승리의 길은 고백과 상한 마음과 심한 통곡의 길인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이 八월 집회로부터 우리는 앞날의 시련의 날을 위해 우리와 우리 한국동포에게 적합한 것은 성령이 힘있는 능력의 세례 외에 아무 것도 없음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한국교회는 불화와 분열의 죄를 회개할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그들의 구세주로 신실히 믿으면서 교회에 나오고 죄와 친숙하기 때문에 죄에 대한 큰 슬픔 없이도 하나님의 뜻을 행하기를 열망하는 모든 죄에 대한 더 분명한 환상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우리는 온 교회가 하나님의 거룩한 환상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즉 비참한 영혼들이 소망 없이는 국가의 형편에서 주님과의 인격적 관계로 그들의 생각을 전향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때 우리는 특히 평양의 성인을 위한 겨울 성경학교에 큰 축복을 구하는 기도회를 갖기로 동의했습니다」
성경학교 개학의 날이 왔습니다. 선교사들은 매일 정오에 기도회로 모였습니다. 브레어 박사는 그때의 자신의 경험을 다음과 같이 기술했습니다.
「월요일 정오 우리 선교사들은 만나 열심히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우리는 영으로 하나로 결속되어 하나님이 축복하시지 않으면 그를 놓아 보내지 않았습니다. 그날 밤은 유난히 달랐었습니다. 각자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교회에 들어온 것 같이 느꼈습니다. 선교사뿐만 아니라 한국인들도 같은 것을 경험했습니다. 나는 위스콘시에 있을 때 단 한번 목재업자의 회중에 하나님의 신이 임재했던 것을 경험했었는데 그 방에 있던 불신자들이 일어나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평양에서 그날 밤 말로 표현할 수 없지만 가까이 계시는 하나님에 대한 같은 경험을 방에 들어서자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짤막한 설교 후에 그레함 리 박사는 회를 주장하여 기도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래서 리 박사가『만일 여러분들이 기도하시기를 원하신다면 다 기도합시다』고 말하자 전 회중은 다같이 큰 소리로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과는 말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혼란 보다 저항할 수 없는 기도에 대한 충동에 의해 감동된 영들이 같이 섞여 소리와 영의 거대한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나에게 흡사 그 소리는 많은 물들이 폭포수와 같이 하나님의 보좌를 치는 소리로 들렸습니다. 많은 사람이 아니라 위에 계신 한 분 아버지에게 들려 올려진 한 영으로 난 한 사람 같았습니다. 오순절 그날 같이 한 장소에서 한 음성으로 기도할 때 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회오리바람 중에 그렇다고 세미(細微)한 음성으로 고요하게만 말씀하시는 것은 아닙니다. 그는 그날 밤 평양의 우리들에게 통곡의 소리로 오셨습니다. 기도가 계속되는 동안 무겁고 슬픔의 영이 회중 가운데 강림했습니다. 회중 저쪽에서 어떤 분이 울기 시작하자 온 회중이 울음을 터뜨렸습니다. 부흥회 때에 쓴 리 박사의 기록에 의하면 후에 조심스럽게 쓰여진 어떤 기록보다 더 좋은 그날 밤의 이야기를 말하고 있습니다. 줄줄이 사람들이 일어나서 자기 죄를 고백하고 울며 주저앉고 그리고 아주 확연한 죄의 고민 때문에 바닥에 뒹굴며 주먹으로 마루 바닥을 치고 했습니다.
나의 요리사도 회중 가운데 주저앉아 죄를 고백하면서 방을 건너 내게 와서 목사님 제게도 소망이 있습니까, 나도 용서받을 수 있습니까 말씀해 주세요, 하면서 마루에 뒹굴며 울고 또 울어 거이 고뇌의 탄성을 발했습니다. 고백 후 가끔 전 회중은 큰 소리로 기도했습니다. 수 백 명 회중이 같이 큰 소리로 기도하는 효과는 다 표현할 수 없는 무엇과 같았습니다. 다른 고백 후에 또 다시 제어할 수 없는 울음을 터뜨리고 다 같이 울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집회는 고백과 통곡과 기도로 새벽 二시까지 계속했습니다.
나 개인과 관계된 사건이 화요일 밤에 일어났기에 내 이야기를 좀 하겠습니다. 우리 교회 직원 사이에 특히 강씨와 김씨 사이에 대한 미워하는 죄를 고백했으나 김씨는 아무 말도 없었습니다. 화요일 정오 기도회 때 우리 몇 사람은 김씨를 위해 기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나는 이 일에 특히 관심이 있었는데 왜냐하면 강씨는 북 평양교회의 나의 협력자였고 김씨는 중앙교회 장로이며 내가 회장으로 있는 YMCA의 직원 중의 한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집회가 진행되는 동안 머리를 숙이고 설교 단 뒤에 장로들과 앉아 있는 김씨를 볼 수 있었습니다. 앉은자리에서 설교 단에 서더니 죄를 고백하기 시작했습니다.『나는 하나님께 싸운 죄를 지었습니다. 교회의 장로로써 강 유문을 미워했을 뿐 아니라 방 목사를 미워했습니다.』 방 목사는 나의 한국이름입니다. 내 생애를 통해서 이때처럼 큰 놀람을 준 일이 없었습니다. 청년회의 나의 협조자로써 나도 몰래 나를 미워했다는 것은 어느 날 학교 야외운동회 연습을 잘못 주관하여 내가 그에게 무어라고 말한 것은 그는 용서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나에게 돌아서며 그는『나를 용서해 줄 수 있습니까? 나를 위해 기도해 줄 수 있습니까?』말했습니다. 나는 일어나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버지, 아버지 그러나 더 기도하지 못했습니다. 마치 지붕이 벗겨지고 하나님의 신이 우리 위에 강력한 힘으로 사태같이 임재 했습니다. 김씨의 옆에 쓰려져 울며 전에 한번도 못해본 그런 기도를 했습니다. 내가 회중을 최후로 본 광경은 내 머리에 씻을 수 없는 영상을 남겨 놓았습니다. 어떤 사람은 마루바닥에 드러눕고 수 백 명은 하늘을 향하여 팔을 펴고 서 있었습니다. 각 사람은 다른 사람을 완전히 잊고 하나님만 대면했습니다. 자비를 구하는 수 백 명의 탄원하는 공포에 질린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가능하다고 생각되자 우리 선교사들은 강당에 모여 어찌할 것인가 의논했습니다. 만일 이들을 이대로 놔둔다면 어떤 이는 미칠 것입니다. 그러나 감히 간섭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백성들 위에 하나님의 성령의 부어주심을 위해 기도했는데 성령이 오셨습니다. 헤어져 내려가서 마루바닥에서 고뇌하는 사람들을 잡아 일으키며 심히 괴로워하는 이들을 위하여 위로하면서『형제여 상심 마십시오. 죄를 지었다면 하나님께서 용서하실 것이오 잠깐 기다리시오. 말씀드릴 기회가 올 것입니다』고 말했습니다.
마침내 리 박사가 찬송을 부르기 시작하자 찬송하는 동안 장내는 조용했었습니다. 그때 전에 결코 본 적이 없고 만일 하나님이 보시기에 절대 필요치 않다면 다시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그런 집회가 시작되었습니다. 사람이 범할 수 있는 온갖 죄가 그날 밤 공공연히 고백되었습니다. 괴로운 마음과 몸으로 그 심판대의 흰빛으로 서 있는 창백하고 떠는 죄지은 영혼들이 하나님이 그들을 본 그대로 자신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수치와 비탄과 자기혐오가 전적으로 일어날 때까지 모든 악에 대한 그들의 죄가 꼬리를 물고 나왔습니다. 교만이 없어지고 인간의 사실이 망각되었습니다. 그들이 배반한 하늘과 예수를 바라보면서 자신을 학대하고 심한 통곡으로『주여, 주여, 우리를 영원히 버리지 마소서』부르짖었습니다. 모든 것이 잊어지고 아무 것도 문제삼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의 조소, 법의 형벌 심지어 죽음까지 하나님께서 죄만 용서하신다면 조그마한 결말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죄의 공공연한 고백이 바람직하거나 그렇지 못 한가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영이 죄 있는 심령에 내리실 때 죄를 고백하게 되고 땅위 어떤 세력도 그 일을 그칠 수 없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평양 성경학교는 화요일 밤 집회를 끝냈습니다.
사람들은 오순절의 불을 가지고 시골 그들의 가정으로 돌아갔습니다. 어디서고 같은 성령의 불 불어 퍼져나간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북한의 모든 교회뿐 아니라 반도 전역을 통하여 이런 축복을 나눠가졌습니다. 평양에선 특별 집회가 한달 이상이나 여러 교회에서 회집(會集)되었습니다 심지어 학교에서 어린이들이 서로 그들의 비행을 통회함으로 수업을 제쳐놓지 않으면 안되었습니다. 회개는 결코 고백과 눈물에서만 제한되지 않았습니다. 보상이 가능한 곳에는 어디고 평화가 깃 들었습니다. 수년동안 우리 것을 도적질해간 물건과 돈이 이 기간 동안 들어옴으로 우리의 마음을 또 다시 아프게 했습니다. 이런 일을 보았을 때 우리는 마음이 아팠었습니다. 전 시내를 통해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해를 입힌 사람에게 죄를 고백하며 도적질한 재산과 돈을 크리스천뿐 아니라 교인 아닌 사람에게도 돌려주면서 집에서 집으로 오고 갔습니다. 온 시내를 분기 시켰습니다. 어느 중국상인은 한 크리스천이 와서 수년 전에 부정하게 취득했던 많은 돈을 그에게 줌으로 크게 놀라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한국교회는 뜻 한대로 조직되었습니다. 새 교회의 첫 집회는 실제로는 외국선교사의 집회였습니다. 외지 선교부가 조직되었습니다. 노회가 복음 선교를 위해 안수 받은 첫 일곱 사람 중에 하나인 학교에서 가장 재능이 있었던 이 기풍 씨를 안수하여 한국의 남단에 있는 제주도에 선교사로 파송했습니다. 선교 정신이 온 교회 특히 대학의 젊은이가 교회에 충익했습니다. 숭실대학 학생들은 이 기풍 씨를 돕기 의해 제주도로 학생 중이 하나인 김 형체를 보내기 위해 충분한 자금을 모았습니다.
二년 후 한국교회는 그때 소련 우라디보스토크에 정착하고 있는 수 천명의 한국인에 설교하기 위해 다른 안수 받은 사람을 보냈습니다. 一九一二년 한국교회의 총회는 중국의 산동노회(山東老會)에서 초청 받고 수명의 선교사를 중국에 파송하기로 결의했습니다. 三명의 유력한 한국 목사가 가서 수년간 중국 백성과 한국 교회에 축복을 가져온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소위 一九○九년과 一九一○년에 백만 명 구령운동은 이 부흥결과의 하나였습니다. 한국교인들은 단 一년에 온 나라에 복음을 전파하려고 비상한 노력을 했습니다. 수만 날의 설교가 집집으로 개개인을 통해 전해지고 모든 집에 마가복음을 전하는 특별한 노력이 생겼습니다. 성서공회는 이 캠페인을 위해 마가복음을 특별히 一○○만 권을 인쇄하여 七○만 권을 그 해에 팔았습니다.
이래서 한국교회는 탄생했습니다. 어떻게?『만국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아나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하신 하나님의 능력으로.
四, 이제 잠깐 제二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에서 행하신 하나님의 역사를 상고해 봅시다.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한국은 三八선을 중심으로 나눠져서 불안한 휴전조약이 공산주의자가 지배하는 북한과 자유 대한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이 휴전 협정이 교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습니까?
제二차 세계대전 전 교회는 북쪽이 더 강했습니다. 즉 한국 크리스천의 三분의 二가 북쪽에 살았습니다. 一九五○년 공산주의자의 침략이 시작되던 그때부터 핍박에 못 이겨 다는 아니지만 많은 크리스천들이 남으로 피난해 왔습니다. 그들은 복음을 가지고 그들이 가는 곳마다 새로운 교회를 세우면서 사방으로 부채 모양으로 흩어져 나갔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고난과 파괴 때문에 어디서든지 크리스천들은 그 전보다 더 열심히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거이 모든 교회에서 새벽 기도회가 생겨났습니다. 온 교회는 기도를 자각하게되었고 하나님의 신이 이런 기도하는 기간을 통해 강하게 역사 했습니다.
한국군의 조직과 더불어 육해공군의 군목들이 생기게 되었고 모든 젊은이들은 의무적으로 군에 복무하게 됨으로 한국의 청년들은 이런 크리스천 지도자들을 통해서 그리스도와 대면하여 군대 十五%라는 사실에서 이 군대선교의 효과적임이 증명되었습니다. 시골 전통의 예속에서 물린 이 젊은이들은 자유롭게 그리스도인이 되기로 서약하게 되었습니다. 전쟁 동안 활기 있는 복음 선교가 十五만의 북한 공산주의 포로사이에서 전개되어 二만 명이 그리스도께 돌아오고 그 중 一五○ 명이 지금 목사로 일하고 있습니다.
수년간 전쟁의 고난과 비극 그리고 하나님께로 백성들의 전향으로 인한 결과로 크게 교회가 성장했다는 증거로 오늘날 서울시에 그전의 三十여 교회뿐이던 것이 지금은 六백 교회가 되었고 전에 겨우 十二교회뿐인 부산은 二백 교회로 전에 겨우 十七개 교회뿐인 대구가 一七○교회로 불어났습니다. 그리고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남한 전역을 통하여 꽤 큰 마을마다 교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우리 크리스천은 아직도 단지 전체 인구의 七%라는 소수의 집단이지만 교두보는 마련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우리의 현재 과제는 전과 같지 않은 전진하는 것뿐입니다.
북한은 어떻습니까? 직접적 소식은 얻지 못하고 있지만 보도에 의하건대 약간의「명승지」교회가 허용되어 모든 다른 예배 장소가 폐쇄되었는데 여행자들에게 종교적 자유의 증거로 큰 도시에 약간 허락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어디서든지 설교하거나 한 사람이라도 크리스천으로 가입한다는 것은 위험스러운 일이지만 그러나 네로 때에 했던 것처럼 충실한 남은 백성들이 지하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확신하기는 공산주의 정부가 교회에 대한 압력을 그친다면 그리고 그때는 거대하고 경건한 믿는 자의 무리가 나타날 것입니다. 한국의 통일은 하나님이 작정한 시간에 이루어지리라고 믿습니다. 그날이 올 때 한국은 분명히 기독교 한국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가 된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입니다. 어떻게?『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0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
五, 지금 우리는 여기에 수백만 구원받지 못한 백성을 위하여 큰마음의 부담을 가지고 모였습니다. 우리는 二十세기 후반에 살고 있습니다. 이때 역사는 가장 신비스런 방법으로 빨리 움직이고 있습니다. 과학과 기술의 장족(長足)의 발전은 사람의 생활 양식을 바꿨을 뿐 아니라 인간 자체의 변화도 가져왔습니다. 가끔 우리는 비인간화란 말을 씁니다.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혁명이 모든 대륙과 모든 나라에 일어나고 있습니다.
무신론, 물질주의, 그리고 전체주의인 공산주의는 지금 전 세계인구의 삼분의 일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가장 큰 대륙인 아세아는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들의 고대와 토착적인 종교가 소생하고 있습니다. 아세아의 어느 나라에서는 기독교 선교의 문이 닫혀지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이 있는 상당한 지역에 있는 교회들은 세속주의와 세상 적 타협으로 그 힘과 생명력을 침식해 들어가므로 교회는 다시 한번 많은 사람에게 이리 가운데 양으로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찬양합시다. 우리는 요한계시록에서 어린양이 최후로 하늘과 땅의 모든 잔인한 세력들을 점령한다고 읽고 있습니다. 어떻게?
『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 』
그러므로 크리스천 군병들이여! 전진합시다. 하나님의 신이 우리와 같이 계시고 항상 점령하시면서 승리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세계 전도대회에서 아세아를 대표하여 한 강연의 속기)
?-74 기억하라 (전도서 十二장 一-五절)
『너는 청년의 때 곧 곤고한 날이 이르기 전, 나는 아무 낙이 없다고 할 해가 가깝기 전에 너의 창조자를 기억하라 』(전 十二·一)
여기『너의 창조자를 기억하라』하는 말씀이 있습니다. 특별히 청년의 때에 기억하라고 권면(勸勉)합니다.
전도서 저자는 누구인지 확실히 모르나 그는 인간이 귀하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을 다 힘써 얻어 본 사람입니다. 그는 지식이 귀한 줄 생각하여 각방면으로 공부를 하고, 연구하여 많은 학문과 지식을 얻어 보았습니다. 그러나 결론은『지혜가 많으면 번뇌도 많으니 지식을 더하는 자는 근심을 더하느니라』하면서 결국 여기에 자기가 기대하였던 만족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그는 또한 세상사람들이 갈급(渴急)하는 많은 물질을 얻도록 힘을 썼습니다. 그리고 그는 옛날 부자들이 하는 데로 큰 포도 원을 심으며 여러 동산과 과수원을 만들고 그 가운데 각종 과일을 심었으며 그리고 또한 그는 목축을 크게 하여 소와 양 때가 수없이 많았고 또 은, 금과 모든 보석들을 많이 모아 싸놓고 세상에서 부러울 것 없는 부자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여기 대하여도 결국은 큰 환멸을 느끼고 기록하기를『내 손으로 한 모든 일과 수고한 모든 수고가 다 헛되어 바람을 잡으려는 것이며 해 아래서 무익한 것이로다』하였습니다. 그 뿐 아닙니다. 그는 세상 사람들이 바라는 높은 지위도 얻어 보았고 큰 권세를 잡아 보기도 하였고 또한 인간의 모든 향락을 누려 보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이것들에 대한 최후 결론은 역시『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 도다 사람이 해 아래서 수고하는 모든 수고가 자기에게 무엇이 유익한고 한 세대는 가고 한 세대는 오되 땅은 영원히 있도다』하였습니다. 그러면서 그의 한가지 권면은 너희 창조자를 기억하라고 특별히 청년의 때에 기억하라고 하였습니다.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신은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고 권면하십니다. 이 권면은 모든 인간들에게 다 유익하려니와 특별히 청년들에게 적절한 교훈인줄 생각합니다. 왜? 청년의 때야말로 인생의 분기점이 됩니다. 젊었을 때에 길을 바로 잡으면 그 평생을 보람있게 살수가 있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청년시대야 말로 여러 가지 유혹과 시험이 많습니다. 청년시대에 창조자를 찾아 굳은 신앙의 기초 위에 살게 되면 어떤 유혹이나 시험이라도 능히 물리칠 수 있습니다 특별히 청년시대는 일 할 때입니다. 민족과 국가를 위해서도 청년시대에 최대의 봉사를 할 수 있고 또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서 청년 때에 더욱 힘있게 일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말씀합니다. 청년시대에 특별히 창조자를 기억하라고 권면합니다. (一九七四년 二월 二十일)
?-75 올바른 신앙노선 (에베소서 四장 十一-十六절)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에四·一三)
우리가 사는 현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각 방면에 혼란이 심합니다. 그 가운데 존재한 교회도 또한 사상적으로 또는 질서 적으로 큰 혼돈에 빠져 있습니다.
이러한 때에 올바른 신앙생활을 하고자 하면 때때로 내 자신의 신앙을 살피며 성경을 연구하여 옳은 신앙노선을 바로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성경은『때가 이르리니 사람이 바른 교훈을 받지 아니하며 귀가 가리워서 자기의 사욕을 좇을 스승을 많이 두고 또 그 귀를 진리에서 돌이켜 허탄(虛誕)한 이야기를 좇으리라 그러나 너는 모든 일에 근신하며 고난을 받으며 전도인의 일을 하며 네 직무를 다하라』(딤후 四·三-五)하였습니다.
또 오늘 저녁 읽은 에베소 四장 十三절에는『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데 까지 이르리니』하였습니다.
이제 이 혼돈한 한국 교회에 있어서 우리 영락교우가 마땅히 나아갈 신앙노선을 다시 한번 생각함은 매우 필요한 줄 압니다. 그 신앙노선은 다음과 같이 四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一) 복음주의 신앙
(二) 청교도적인 생활
(三) 에큐메니칼 정신
(四) 올바른 사회봉사와 사회참여
一, 복음주의 신앙
「여기 복음주의 신앙」이라 함은 우리 신교의 중심사상인 오직 복음을 믿음으로 죄 사함을 받고 의롭다함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종교개혁 때의 표현인 이신득의(以信得義)의 신앙입니다.
이 신앙은 성서를 중심 한 신앙입니다. 성경의 중심은 그리스도요 그 십자가의 진리입니다. 이 복음주의는 먼저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성경과 교회의 전통을 신앙의 표준으로 하는 신앙과 대조되는 말입니다. 천주교에서는 지금까지도 그리스도 외에 성모 마리아나 과거의 성도들을 숭배합니다. 그러나 우리 신교에서는 성경 말씀 그대로 오직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구주임을 믿고 오직 그의 십자가를 통하여 죄 사함을 얻음을 확신합니다. 또 이「복음주의 신앙」이란 소위 신 신학 자유주의 신앙과 대립되는 말입니다. 그들은 성경을 인간의 이성으로 비판하며 사실 인간의 이성을 성경의 진리 위에 두는 감이 있습니다. 또 이「복음주의 신앙」이란 소위 사회복음주의 사상과 대립되는 말입니다. 성경에 보면 개인의 생명은 온 천하보다 귀하여 그 영혼을 죄에서 먼저 구원함이 주님이 오신 목적입니다.
그런데 현대의 어떤 이들은 구원이라는 뜻을 사회혁명 또는 사회구조의 개혁으로 설명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비 성서적입니다. 성경의 구원관은 아닙니다. 먼저 할 것을 먼저하고 뒤에 할 것은 뒤에 해야합니다.
한마디로 복음주의는 성경중심주의, 그리스도 중심주의, 십자가 중심주의 신앙입니다. 우리는 이 성서적 신앙의 터전 위에 언제나 굳게 서야합니다.
二, 청교도적인 생활
예수께서 니고데모와 대화하실 때에『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나라를 볼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 청교도적인 생활이라 함은 온전히 거듭난 생활을 의미합니다.
에베소 四장 二二절 이하에『너희는 유혹의 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구습을 좇는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하였습니다.
청교도적인 생활이라 함은 성경의 말씀대로 새사람의 새 생활을 의미합니다. 좋은 나무는 좋은 열매를 맺습니다. 복음을 믿음으로 거듭난 사람은 그 생활로 열매를 맺습니다.
복음주의 신앙으로 오는 그 생활의 특색을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성결(聖潔)입니다.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 하라』말씀하셨습니다. 복음으로 성별 된 사람은 그 생활도 자연히 깨끗하게 됩니다.
둘째는, 진실입니다. 혹은 성실 또는 정직입니다.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진실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중심을 보십니다.
은혜 받은 초대 예루살렘 교회에서 아나니아 부처가 정직하지 않았으므로 어떻게 큰 형벌을 받았다고 하는 것은 다 잘 기억하는 바입니다.
셋째는, 근면입니다.『부지런하여 게으르지 말고 열심을 품어 주를 섬기라』하셨습니다. 잠언 六장에는『게으른 자는 개미에게 가서 부지런을 배우라』하였습니다. 우리 믿는 이들은 누구보다도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부지런해야 합니다. 그래야 내 책임을 바로 할 수 있습니다.
넷째는, 절제 생활입니다.
절제란 모든 일을 분수에 맞게 한다는 말입니다. 의복이나 음식이나 주택이나 모든 일에 절제가 있어야 합니다.
어떤 이들은 안 마셔도 좋은 것을 마십니다. 안 피어도 좋은 것을 피웁니다. 우리는 언제나 한국의 경제와 대중의 생활을 생각하면서 근엄하고 검소한 생활로서 모법이 되어야합니다.
다섯째는, 사랑입니다.
『사랑은 오래 참고 온유하며 투기하지 아니하고 자랑하지 아니한다』고 하였습니다.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리워 줍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화평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우리의 맑은 생활로서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합니다.
三, 에큐메니칼 정신
쉽게 말하면 협동 정신입니다.
거시적 안목으로 우리가 자연계를 살펴보면 어디서나 다양성과 일치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가령 봄 동산의 꽃을 보면 여러 가지 꽃이 그 모습이나 빛깔이 각각 다르나 그러나 꽃으로서의 일치성을 또한 발견합니다.
꽃만이 아닙니다. 풀도 그렇고 나무도 그렇고 짐승도 그렇고 사람도 그러합니다.
솔직히 말하여 다 같이 한 그리스도를 믿으나 그 이해와 표현이 꼭 같을 수는 없습니다. 사실 조금씩 다릅니다.
그러므로 교파도 여럿이 되었고 신조나 정치나 예배의식까지도 다소 다릅니다.
교회에서도 이렇게 다양성을 봅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 가운데서 일치성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주님의 몸 된 교회는 하나이라고 하는 것을 성경은 분명히 가르쳤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때로는 교파를 초월하여 온 교회가 협력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온 교회가 같이 당면하는 일 곧 민족 전체나 국가를 위한 봉사, 또는 복음전파에 있어서는 서로 협력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에큐메니칼 정신입니다.
四, 올바른 사회봉사와 사회참여
우리 주님께서 세상에 계실 때에 죄인을 불러 그 영혼을 구원하셨을 뿐더러 병자를 고치시고 주린 자를 먹이시고 슬픈 자들을 위로 하셨습니다.
지금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통하여 이 모든 일을 계속하십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전도를 할뿐더러 의료사업, 복지사업, 교육사업, 그리고 모든 문화사업에 노력하여야 합니다.
또 구원받은 성도들이 살만한 사회와 국가를 이룩하기 위하여 힘을 써야 합니다. 곧 정의가 확립되고 인권이 존중되며 자유가 보장되는 자주국가를 건설하기 위하여 힘을 써야 합니다. 올바른 사회참여가 필요합니다.
오늘 우리한국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일은 철저한 반공정신과 국력배양으로 북괴의 재침략을 막아야 하며 우리 사회를 좀먹는 부정부패와 온갖 부조리를 일소해야 하며 경제발전에 따르는 한 폐단인 빈부의 격차 혹은 현격(顯隔)을 막아 온 국민이 같은 혜택을 입고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드는 데 있습니다. 다만 이 사회참여에 대하여 우리가 기억할 것은 교회와 정치는 반드시 분리되어야 합니다. 교회로써 정치에 직접 간여할 수 없고 국가로써 또한 교회 내정에 간섭할 수 없습니다.
교회는 좋은 나라를 건설할 수 있는 인물을 양성해야 하고 그리스도인들은 개인적으로 사회운동이나 정치활동에 헌신하여야 합니다. 교회는 사실 정치를 초월하는 하나님의 나라임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그래야 올바른 사회참여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말 가운데「後生의 可畏」란 말이 있습니다. 뒤에 나는 이들이 가 이 두렵다는 뜻입니다. 오늘의 우리사회를 보면 과연 그러합니다. 경제, 사회, 문화 발전에 여러 청년들의 활약은 실로 놀랍습니다.
며칠 전에도 멀리 화란에서 열렸던 세계기능 올림픽대회에 우리 청년 기술자들이 가서 일등을 하고 돌아왔습니다. 일본, 미국 같은 나라의 선수들을 모두 꺾고 금메달을 열둘이나 받고 돌아온 것은 실로 장쾌한 일입니다. 오늘의 한국 청소년들은 기술 방면에서 세계 최고의 지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현재 한국의 기독 청년들이 철저한 신앙과 맑고 깨끗한 생활과 넓은 에큐메니칼 정신과 올바른 사회 봉사와 사회참여에도 세계 기독 청년 운동을 앞지르며 안으로는 五천만을 복음 화하고 밖으로는 온 아시아와 온 세계 복음 화 운동에 선구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七년 七월 十二일)
<한경직 목사 설교집 제12권 끝>
출처 : 그리스도의 제자들
글쓴이 : 청지기 원글보기
메모 :
'좋은 말씀 > 한경직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시대와 신앙생활 (베드로 후서 3:6-13) (0) | 2017.01.30 |
---|---|
상한 그릇 (예레미야 18:1-10) (0) | 2017.01.29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11) (0) | 2017.01.28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10) (0) | 2017.01.28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9) (0) | 2017.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