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次(제11권)
........................................................................................................................三
.......................................................................................................................................五
...........................................................................................................................一一
..........................................................................................一六
............................................................................................................二五
...................................................................................................三一
................................................................................................................................三八
................................................................................................................................四五
............................................................................................................................五二
..............................................................................................................................五九
................................................................................................................六六
........................................................................................................七四
...........................................................................................................................八一
.................................................................................................................八七
.....................................................................................................................九五
.............................................................................................................一0三
..........................................................................................................一一一
.........................................................................................................................一一九
.......................................................................................................一二六
...................................................................................................................一三三
.................................................................................................................一四一
.........................................................................................................一四九
............................................................................................一五六
...........................................................................................................................一六三
.................................................................................................................一七一
.......................................................................................................................一七九
...................................................................................一八八
.............................................................................................................一九六
...............................................................................................................................二0三
.....................................................................................................................二0七
.................................................................................................二一三
.........................................................................................................................二二二
............................................................................................................二二九
.........................................................................................................................二三六
..............................................................................................................二四四
..........................................................................................................................二五一
..........................................................................................................................二五八
.........................................................................................................................二六六
.....................................................................................................二七四
...........................................................................................................................二八二
............................................................................................................二八九
...................................................................................................................二九六
................................................................................................................三0三
...............................................................................................................三一一
...........................................................................................................................三一五
.............................................................................................................三二二
.........................................................................................................................三二九
......................................................................................................................................三三七
...........................................................................................................三四四
.........................................................................................................三八四
.........................................................................................................三五五
.........................................................................................................................三五九
...........................................................................................................................三六七
...................................................................................................三七四
...........................................................................................................三八二
.......................................................................................................................三八七
..............................................................................三九五
...........................................................................................................四0四
...........................................................................................................................四一二
...................................................................................................四二0
..........................................................................................................四二七
...........................................................................................................................三三五
增補版 刊行辭
영락교회는 그 창립 二五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영락교회를 창립하시고 탁월한 목회활동으로 오늘의 영락교회로 성장케 하신 한경직 목사님의 설교전집 一0권을 발간하였던 것입니다.
이 전집은 이미 판을 거듭하여 지금은 국내 국외에 널리 반포되어 목회자들은 물론 일반 평신도들에게도 많이 애독되어 오고 있습니다.
한경직 목사님은 一九七三년에 정년으로 은퇴하고 지금은 본 교회 원로목사로 계십니다. 그는 비록 목회 일선에서는 물러났으나 하나님께서 그의 건강을 축복해 주시는 중에 오늘까지 계속해서 국내 국외를 다니시면서 구령사업과 선교사업에 많은 힘을 기울이고 계십니다.「五천만을 그리스도에게로」라는 표어 밑에 전국 복음 화 운동과 전군 신자 화 운동에 심혈을 기울이는 한편 아세아 교회 진흥원 사업 등을 통하여 국내외 교역자 양성과 재훈련하는 일에 바쁜 나날을 보내 오고 계십니다.
본 영락교회는 그 창립 三0주년을 기념하면서 온 교우들이 성의껏 헌금하여 한경직 목사 기념관을 건축하여 봉헌하는 한편 한경직 목사님의 훌륭하신 과거의 업적을 영원히 기리는 동시에 앞으로 오고 오는 세대의 한국교회 발전에 기여하는 사업을 벌이고자 한경직 목사 기념사업위원회를 구성하고, 기념도서관 운영, 목회자 양성을 위한 장학사업, 설교 집을 위시한 각종 출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한경직 목사 설교집 증보판 一一권을 간행하게 됨을 여러분과 같이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증보판에는 一九七一년 이후 본 교회 강단과 특별집회에서 하신 설교와 기독교 방송을 통한「五천만의 시간」의 방송설교 등 一三五여 편을 수록하여 보았습니다. 이 증보판에 실은 영감으로 가득 찬 한편 한편의 설교도 많은 교우들과 여러 청중들에게 마음의 위로와 평화와 용기와 믿음과 사랑과 소망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설교를 통하여 한경직 목사님의 사상과 신학과 생애와 인격에 접하게 될 것입니다. 一二권에 실은「놀라운 은혜」란 설교는 그를 내조하여 오늘의 그가 되게 하신 사모님 김찬빈 권찰이 별세하신 후 처음 하신 설교로써 그의 가정과 신앙역정을 밝히는 감명 깊은 설교입니다.
이 설교 집은 一권부터 一二권까지 설교하신 연대순으로 편집되어 있습니다. 언젠가는 설교내용별로 선집을 만들어 내놓을 생각입니다. 이번에는 독자 여러분들에게 편리를 도모하는 뜻에서 설교 제목 가나가 순과 설교의 성경본문 순으로 색인을 만들어 부록으로 하였습니다.
이 증보판을 편집하기에 수고하신 여러분께 충심으로 감사 드리는 바입니다.
一九七七년 五월 일
한경직목사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
이 창 로
머리말
모든 종교는 진리를 말하고 신(神)을 믿는다. 그들의 진리가 다른 모든 진리보다 더 참되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믿는 신은 모든 다른 신보다 더 권능이 있고 지혜가 있고 강하다고 한다. 이러한 생각과 신념에서 모든 종교는 자기들의 진리와 신을 타인에게 알리고 설득하고 때로는 강요한다. 여기에 변증 학이 필요하고, 설교가 필요하고 전도가 필요하게 된다.
종교에 따라 그들의 진리와 신을 취급하는 태도가 다르다. 어떤 종교는 그들의 진리와 신을 묵상하고 영적으로 체험해 보려고 한다. 인도교나 불교나 철학적 신비 종교가 그렇다. 이와는 반대로, 어떤 종교는 그들의 진리와 신을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설득시켜서 자기들의 회원이 되도록 노력한다. 이러한 종교에 회회교와 기독교가 있다.
기독교는 처음부터 전파하는 종교였다. 세례 요한은 처음부터『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세례를 전파』(막 一·四)했다. 예수 님은 갈릴리에서『하나님의 복음을 전파』(막 一·十四)했다. 바울도 그의 활동의 처음부터『하나님의 말씀을 유대인의 여러 회장에서 전했다』(행 十三·五). 이와 같이 기독교는 처음부터 신언(神言)을「선포」하고 전하고 설교하는 데 중점을 둔 종교이다. 이러한 전통을 받아 교회는 유능한 설교자를 많이 배출했다. 五세기초에 밀라노에서 아우구스티누스를 회개하게 한 암브로시우스나, 十八세기에 존 웨슬리와 함께 영국에서 부흥 운동을 하다가 미국에 건너가서 일대 부흥 운동을 전개한 조오지 휘크필드나, 또는 기관포 설교자라고 하는 빌리 그래햄 같은 이는 교회가 낳은 가장 유명한 설교가 이다. 이러한 설교 가는 어떤 웅변가나 수사학자(修辭學者)보다 뛰어난 화술(話術)을 가진 달변 자들이었다.
한국에는 세계를 향하여 자랑할 만한 설교가 가 없을까? 한국의 암브로시우스, 한국의 조나단 에드워드, 한국의 필립스 브룩스는 없을까? 그러한 설교자가 있다면 누구일까?
우리 편집인 몇 사람은 이 물음에 대하여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그러한 분으로서 한경직 목사님을 택했다. 그가 훌륭한 목회자인 동시에 훌륭한 선교자임은 다 아는 사실이다. 이러한 대 설교자를 한국 교회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그리고 그의 설교를 직접 듣지 못한 이들을 위하여 이 때까지 하신 수많은 설교 중 약 五00 편을 뽑아 출판하여 우리의 기쁨을 다른 독자들에게까지 나누고자 하여 설교 집을 출간하기로 했다.
내용에 대한 평가는 독자 여러분이 내려주시기를 바란다. 내용 배열에 있어서는 편의상 설교를 한 연대에 따라 열 권으로 나누었다.
바라기는 이 설교 집을 통하여 한경직 목사님과 같은 설교자가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이 나와 주었으면 한다. 이것이 이 설교 집을 출판하는 목적이기 때문에다.
一九七一년 十월 二十七일
편집위원 이 종 성
?-1 노래하는 마음 (시편 一○三편 一절)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내 속에 있는 것들아 다 성호를 송축하라』(시 一○三·一)
『내 속에 있는 것들아』곧 마음에 있는 모든 것을 여호와의 이름으로 찬송하라고 했습니다.
옛 성도들은 입술로 찬송을 부를뿐더러 또한 그 마음으로 찬송을 불렀습니다. 입술로 만의 찬송은 부족합니다. 마음속에 항상 노래가 있어야하고 노래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또 사실 입술로는 찬송을 잘 부를 수 없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마음으로는 노래를 불러야 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그 마음 손에 찬송이 충만하여야 하고 곧 언제나 노래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첫째로, 이런 마음은 건강에 유익합니다. 잠언 一七장 二二절에 『즐거운 마음은 양 약』이라고 하였습니다. 또『근심은 뼈로 마르게 하느니라』기록 되어 있습니다. 노래하는 마음은 사실 건강에 좋은 약입니다. 노래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면 소화도 잘 되고 혈액순환도 잘 되고 신경의 긴장을 풀어줍니다. 현대 의학계에서 주장하는 말을 들으면 모든 질병의 六~七할이 심리적 원인이라고 합니다. 노래하는 마음을 가진 이에게는 우선 병이 그만큼 줄어들 것입니다.
바로 지난주간 타임(Time)잡지를 보니 미국의 존 홉킨스(John Hopkins) 대학의 교수 조지 콤스탁(,George W, Comstock)박사가 메릴랜드주 와신톤 지역에서 사는 주민을 중심으로 교회에 잘 출석하는 신자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의 건강을 비교하여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그가 발견한 것은 잘 믿는 이들에게는 심장병, 간 경화증, 결핵, 목의 암, 만성 기관지염, 자동차 사고, 자살 등이 적다고 합니다.
그의 결론은 결국 잘 믿는 이가 오래 산다고 발표했습니다. 매 주일 교회에 출석하는 이들 가운데는 동맥 경화증 혹은 심장병으로 죽는 이가 十만 명에 五百 명 가량인데 그렇지 않은 이들 가운데는 十만 명에 九百 명이 이런 병으로 죽는 다고 합니다. 잘 믿는 이 가운데 기관지염이 적은 이유는 찬송을 많이 부르는 까닭인 듯 하다고 합니다. 하여간 노래하는 기쁜 마음은 건강에 유익한 것은 사실입니다.
둘째로, 노래하는 마음은 일이 잘 되게 합니다 이런 마음으로 공부하면 기억도 잘되고 이런 마음으로 시험을 치르면 시험도 잘 치릅니다. 이런 마음으로 청소를 하면 청소도 잘되고 바느질도 잘 되고 그릇도 깨뜨리지 않고 잘 닦을 수 있습니다. 이런 마음으로 장사를 하면 장사도 잘 될 줄로 압니다. 왜냐하면 이런 마음은 언제나 그 얼굴에 반영이 됩니다. 화평한 얼굴을 가진 이가 물건도 잘 팔 수 있습니다. 사실 노래하는 마음을 가진 이들이 많으면 서울의 거리 상점들도 퍽 더 명랑하여 질 것입니다.
셋째로, 노래하는 마음은 모든 유혹과 시험을 물리칩니다.
주를 노래하는 마음에 남을 미워하는 생각이 들어오지 못합니다. 더러운 생각이 침노치 못 합니다. 원한을 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노래하는 마음에 세상에 속하는 육신의 정욕, 안목의 정욕, 이생의 자랑이 침노치 못합니다.
헬라의 신화 가운데 한 섬에는 사이렌(Siren)이라고 하는 여자들이 있어서 여러 가지 사람을 꾀는 노래를 불러 그리로 배를 타고 지나가는 선부(船夫)들을 꾀어서 그 섬에 내리게 하고 마지막에는 돈을 다 빼앗고 보낸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선부 들은 그 섬 근처를 지나갈 때에는 밧줄로 그 배에 매고 가다가도 그 마녀들의 노래를 듣고는 다시 풀고 그 섬에 내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번은 그 배에 당시에 유명한 음악가 올피어스(Orpheus)가 같이 타고 갔다고 합니다. 가면서 그분은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르니 모든 선원들이 그 음악에 도취도어 마녀들의 소리를 듣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내 마음에 시온의 노래가 있을 때에 세상의 음탕한 노래가 아무리 크게들려도 문제 될 것이 없습니다. 왜 교회에 출석하면서도 퇴폐한 유행가에 귀를 기울이는가? 그 마음에 거룩한 노래가 없는 까닭입니다.
주의 노래로 가득한 마음을 유혹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넷째로, 노래하는 마음은 담대합니다.
이사야 一二장 二절『보라 하나님은 나의 구원이시라 내가 의뢰하고 두려움이 없으리니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며 나의 노래 시며 나의 구원이 심이라』
노래하는 마음에는 모든 두려움이 없어집니다 불안도 없어집니다. 근심과 걱정도 사라지고 오직 감사와 기쁨이 충만케 됩니다. 그러므로 용감한 그리스도의 정병이 됩니다. 선한 싸움을 다 싸운 후에 달려갈 길을 마찹니다. 믿음을 지킵니다. 마음의 노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용기를 줍니다. 마음에 노래하는 십자군은 반드시 승리합니다.
다섯째는, 그러므로 노래하는 마음은 모두 봉사를 잘 하게됩니다.
교회 봉사도 잘 합니다. 어떤 책임이던지 사회봉사도 잘 합니다. 이런 마음은 자연히 다른 이들을 주께로 이끕니다. 전도도 잘 합니다.
초대교회가 그러한 핍박과 환난 중에도 담대히 복음을 전파한 것은 그들의 마음에는 이런 주님의 노래가 있었습니다. 교부 털튤리안의 말대로『그들은 노래를 부르면서 밭을 갈았고 노래를 부르면서 바다에서 노를 지었다』노래하는 마음을 가진 이들로 가득 찬 교회는 자연히 부흥됩니다.
여섯째는, 사실 노래하는 마음에는 천국이 이미 임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천국이 그 마음에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들은 그 마음에 천국의 축복을 이미 받은 것입니다.「높은 산이 거친 들이 초막이나 궁궐이나」가 문제가 아닙니다. 늘 노래하는 마음을 가진 이는 하늘의 길을 걷는 것입니다. 온 가족이 이러한 마음을 가지게되면 그 가정에는 이미 천국이 임한 것이고 온 교우가 이러한 마음을 가지면 그 교회에는 이미 천국이 임한 것입니다. 노래하는 마음으로 이 인생행로를 걸어가는 이야말로 가장 기쁘고 행복합니다.
여러분! 노래하는 마음으로 살고 노래하는 마음으로 인생 길을 가고, 노래하는 마음으로 요단 강을 건넌다면 노래로 충만한 하늘 나라에서 천군 천사들과 이미 구원받은 천 천만 신도들과 함께 영원히 시온의 노래를 부르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것은 노래하는 마음을 가지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것은 간단합니다. 과거의 죄를 완전히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내 마음에 영접하고, 성령을 충만히 받고, 모든 근심과 염려를 주께 맡기고 항상 기뻐하며 범사에 감사하며 주와 동행하여야 하겠습니다. 주의 말씀을 기억하십시다.
『기쁨이 너희 안에 있어 너희 기쁨을 충만케 하려함이니라』
참 크리스천의 가슴속에는 언제나 노래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一九七一년 一월 二四일)
?-2 한 청년에게 주신 주님의 말씀 (누가복음 七장 十一-十七절)
『예수께서 가라사대 청년아 내가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라』(눅 七·十四하반)
먼저 하나님께 감사를 들입니다. 인도 미라지(Miraz, India) 창립 七五주년 기념행사와 집회에 참여하고 무사히 귀국하게 된 것을 감사합니다. 이 미라지 교회의 교인 수는 약 八○○명, 유년까지 합하면 一, 五○○명 가량 됩니다. 교육관 봉헌식과 예배당을 중축(重築)하고 기공식도 겸하여 가졌으며 전도 집회를 五일간 아침과 저녁에 모였습니다. 새 결심 자도 약 一○○명 얻었습니다.. 본 교회를 다녀간 선교사들을 四, 五명 만났는데 우리 교회를 잘 아는 분들이었습니다. 아침 집회는 교회에서 모였고 저녁에는 매우 더워서 옥외 집회로 모였습니다. 인도에는 인구가 四억 이상 관용어가 一六종과 그리고 영어를 쓰고 있습니다. 이 미라지 에서는 열 여섯 가지 관용어 중의 하나인 마라티(Marathi)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도 인구의 八三%가 힌두교, 二%가 기독교, 그리고 약 一○%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습니다. 이 인도를 위하여 기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이 청년주일 주님께서 한 청년에게 주신 말씀『청년아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어나라』 이 말씀을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이 말씀은 죽은 나인성 과부의 아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복음서를 읽어보면 주님께서 장례식을 치르셨다는 말씀은 없습니다. 죽은 자는 언제나 살리셨습니다.
죽은 야이로의 딸을 살리시고 나사로도 살리셨습니다.
하나님은 산 자의 하나님이요, 죽은 자의 하나님은 아닙니다. 주님은 생명의 주로서 언제나 생명을 주신 것입니다.
성경을 보면 세 가지 종류의 사람들에게『일어나라』고 하였습니다.
① 죽은 자들에게
② 병자들에게
네 사람이 메고 온 반신불수에게.
베데스타 호숫가의 三八년 된 중풍 병자에게.
③ 자는 자에게.
배 밑에서 자는 요나 에게.
주님께서는 지금도 이 세 가지 종류의 사람들에게 일어나라고 외칩니다.
① 영적으로 죽은 사람들에게
죄로 말미암아 그 영이 아주 죽은 이들이 많습니다. 하나님과 접촉이 없는 영혼은 다 죽은 영혼입니다. 이런 이들에게 지금도 일어나라고 외치십니다.
② 죽지는 않았으나 병든 영혼들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반신불수처럼 일할 수가 없습니다. 숨은 죄 혹은 악한 습관으로 말미암아 선을 행할 수 없는 이들이 많습니다. 이런 이들을 향하여 역시 일어나라고 외치십니다.
③ 자는 이들이 많습니다
이들은 병도 없고 죽지도 않았으나 혼수상태에 있습니다. 자기의 처한 환경도 모르고 위기가 오나 위기인줄도 모르고, 자기의 사명도 모르고, 옛날 요나처럼 자는 이들이 있습니다. 이런 이들을 향하여 주님은 일어나라고 외치십니다.
첫째로, 청년들은 영적 죽음에서 영적 질병에서 그리고 영적 수면에서 일어나야 합니다. 왜? 청년시대는 일하기에 제일 좋은 때입니다.
一, 옛날부터 많은 일을 한 이들은 청년시대부터 일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한니발 (Hannibal)은 二八세에 알프스를 넘어 로마로 쳐들어갔습니다. 알렉산더는 二三세에 세계 정복의 길을 떠났습니다. 콜롬버스(Columbus)는 三八세에 대서양을 처음으로 건넜습니다. 영락대왕은(永樂大王)은 一八세에 왕이 되어 만주와 한국에 걸치는 대 고구려를 건설했습니다. 갈빈(Calvin)은 二七세에 기독교 요강을 저술했습니다. 리빙스턴(Livingstone)은 二三세에 선교사로 아프리카로 향하였습니다. 스퍼어젼(Spurgeon)은 二○세부터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二, 가정을 위하여도 청년은 일어나야 합니다. 청년은 가정의 소망입니다. 그런데 청년들이 자는 상태, 병든 상태, 죽은 상태에 있으면 그 부모에게 얼마나 큰 민망한 일이겠습니까?
나인성 과부의 마음이 얼마나 상하였겠는가! 가정의 일로도 청년들이 일어나야 합니다.
三, 교회를 위하여도 청년들이 일어나야 합니다. 전도, 봉사, 교육, 각 방면에서 청년들은 일을 해야 합니다.
四, 청년들은 민족과 나라를 위하여 역시 일어나야 합니다. 나라를 바로 세우고 나라를 방어하며 자유와 평화와 번영의 나라를 세우는 모든 책임이 청년들에게 있습니다.
五, 세계를 위하여도 청년들이 일어나야 합니다. 이 七○년대는 과학시대, 우주시대, 원자시대인 동시에 불안과 공포와 위험의 시대입니다.
공의와 자유와 번영과 평화의 세계를 수립하는 책임은 역시 청년들에게 있습니다. 그러므로 청년들은 조는 데서, 병든 데서, 죽은 가운데서 반드시 일어나야 합니다.
둘째로, 일하는 청년이 되려면 청년들은 다음 몇 가지의 정신 무장이 필요합니다.
① 비전 보는 눈이 필요하고 보는 안경이 필요합니다.
㉮ 자기 자신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어떠한 사람이 되겠는가!
먼저 분명히 자기 자신에 대하여 보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그리스도에게 잡힌 그것을 내가 잡으려고 달음질하노라』고 하였습니다. 참 그리스도인으로서 자기자신에 대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의 사명 곧 할 일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 내 교회에 대한 비전도 필요합니다.
약 一○년만 있으면 지금 청년들이 교회의 지도자들이 될 것입니다.
교회를 어떻게 보십니까?
성령으로 충만한 사랑과 봉사로 뭉친 승리 적 영광스러운 교회를 세우렵니까? 혹은 미지근한 냉 냉한 교회를 만들겠습니까? 모세가 시내산 꼭대기에서 성막(聖幕)에 대한 비전을 분명히 본 것처럼 청년들은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의 참 모습을 성경 가운데서 분명히 보아야 합니다.
㉰ 청년들은 내 국가에 대한 분명한 비전을 또한 보아야 합니다.
자유와 공의와 번영과 통일의 민주국가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필요합니다. 이 분명한 비전이 없으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 국가는 전체주의적, 독재적, 퇴보의 국가로 전락할지 모릅니다.
㉱ 그리고 청년들은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비전도 미리 분명히 보아야 합니다. 지금은 지구가 점점 좁아드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어떠한 세계를 만들려고 합니까?
자유롭고 번영하고 협동하며 진보적인 세계를 만들렵니까? 혹은 혼동과 빈궁과 노예와 전쟁과 상오 파괴의 세계를 만들려고 합니까?
비전이 없으면 백성이 망한다고 성경에 경고합니다. 비전이 없으면 청년도 스스로 파멸되고 맙니다.
분명한 비전의 청년들이 되십시다.
② 다음은 위대한 신앙입니다. 곧 아주 필요한 정신 무장입니다.
이런 시대에 사는 청년들에게 위대한 신앙이 필요합니다.
예수 님께서 종종 큰 믿음을 칭찬하였습니다. 군인 백부장의 큰 믿음을 칭찬하였습니다. 수르보니게 여인의 큰 믿음을 칭찬하였습니다. 반면에 작은 믿음을 책망하였습니다.
『왜 의심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여!』
『왜 두려워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여!』
『왜 염려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여!』
책망하기도 하였습니다.
갈릴리 바다 같이 풍파가 높은 이 시대, 이 세상에 사는 청년들에게는 큰 믿음이 필요합니다. 노아의 방주와 같이 큰배가 필요합니다. 악마의 화전이 쉴새없이 날아다니는 이런 세상에서는 큰 믿음의 방패가 필요합니다. 작은 방패는 부족합니다.
폭풍우가 거슬리는 이런 시대에 큰 믿음의 날개가 필요합니다.
㉮ 하나님은 전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능치 못한 것이 없으십니다. 하나님의 뜻은 반드시 이루십니다. 그러므로 정의는 반드시 승리합니다. 과거나 현재나 신앙의 용사들이 이 전능하신 하나님께 대한 위대한 신앙을 가지고 나라들을 이기기도 하며, 의를 행하기도 하며, 약속을 받기도 하며, 사자들의 입을 막기도 하며, 불의 세력을 멸하기도 하며, 칼날을 피하기도 하며, 연약한 가운데서 강하게 되며 전쟁에 용맹 되어 이방사람들의 진을 물리치기도 하였습니다.
㉯ 내 자신에 대한 위대한 신앙이 또한 필요합니다.
내 자신은 물론 부족하고 약하나 사도 바울의 말씀과 같이『내게 능히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하는 진리를 배워야 합니다.
내 몸은 성령이 전부인 것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같이 하실 때에 어떤 유혹이나 난관이라도 극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을 의지하는 심령은 강하고 담대합니다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같이 하시는 까닭입니다.
㉰ 내 민족과 국가에 대하여도 위대한 신앙을 가져야 합니다.
전에 안중근 의사(安重根 義士)가 이등방문을 저격하고 여순 감옥에서 순국하면서 자기는 대한이 반드시 독립할 것을 믿는다고 하면서 대한이 독립될 때에 자기 유해를 조국 땅에 갖다 묻어 다라고 유언했습니다. 그는 우리 민족과 국가에 대하여 위대한 신앙을 가졌었습니다. 지금 북한 땅을 공산당에게 빼앗겼으나 반드시 북한을 통일하여 자유의 깃발이 날리는 통일된 민주국가가 이루어질 때가 올 것입니다.
한 조각 구름이 청천백일을 일시는 덮을 수 있으나 늘 가리울 수는 없습니다.
자유와 정의는 반드시 이깁니다.
통일의 날은 반드시 옵니다.
청년들은 우리 민족과 국가에 대한 위대한 신앙을 가져야 합니다. 지금 우리 민족이 바로 약소민족 혹은 후진국가라고 말을 들으나 앞으로 우리민족은 위대한 민족 선진국가의 대열에 참여할 때가 반드시 옵니다.
셋째로, 도덕적 성실성입니다. 청년들은 도덕적 성실로 무장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거듭나라』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새사람이 되라』고 하셨습니다.
기독 청년의 생활은『진실, 순결, 근면』이상 세 가지로 무장해야 합니다.
어떤 청년은 진실에 실패하기도 합니다. 어떤 청년은 진실은 하나 순결에 실패함으로 패망에 이르고, 어떤 청년은 진실하고 순결하나 근면치 못함으로 실패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기독청년의 생활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합니다.
옛날 요셉이라는 청년의 성공의 비결이 무엇이었습니까? 그는 위대한 신앙 안에서 어떤 환경에서나 이 세 가지 곧『진실, 순결, 근면』으로 일관하였습니다. 그는 종의 몸으로서도 진실하고 충성된 종이 되었습니다. 그는 독신 청년으로 정욕의 유혹을 물리쳤습니다. 그는 감옥에서도 부지런히 일했습니다.
이 도덕적 성실성이 꼭 필요합니다.
이 부패와 부정이 많은 우리 사회에서 기독청년들은 이 도덕적 성실성으로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一九七一년 二월 十四일)
?-3 때가 이르매 거두어라 (갈라디아서 六장 一-十절)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찌니 피곤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갈 六·九)
여기 간단한 두 가지 실제적 권면(勸勉)이 있습니다.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라 』
『피곤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우리는 다 죄인입니다. 그러나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믿음으로 새 사람이 되고 곧 선한 사람이 되고 선을 행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기 쉽습니다. 선을 행하기를 시작하는 사람은 많으나 끝까지 계속하는 이는 적습니다. 마치 경주 장에서 달음질을 시작하는 사람은 많으나 끝까지 달리는 이는 적습니다. 그 이유는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는 까닭입니다. 왜 낙심합니까? 여기도 이유가 있습니다. 피곤하여 지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계속하여 무엇을 하면 육체가 피곤하여 지고 정신도 피곤하여 집니다. 그러므로 처음에 시작할 때보다 열심과 노력이 감소되기 쉽습니다. 어떤 때에는 아무리 선을 가지고 노력을 하나 무슨 결과가 보이지 않는 때가 있습니다. 아무리 애써야 무엇이 될까, 생각하는 때가 있습니다.
일제시대에 처음에는 애국운동에 열중하던 이가 빨리 독립의 전망이 보이지 아니할 때에 그만 낙심하여 오히려 친일 분자가 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주님께서 문둥병 자 열 사람을 고쳐 주었지만 오직 한 사람만 와서 감사를 들였습니다. 아마 이것은 지금도 그럴 것입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감사해야 할 이가 도리어 나를 괴롭게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내가 기른 개가 발꿈치를 문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어떤 좋은 부인이 한 외로운 군인을 만나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찾아오면 음식도 먹이고 친절을 베풀었다고 합니다. 그랬더니 그 후에 이 부인이 없을 때에 그 청년이 찾아와서 도둑질을 해갔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런 쓴 경험을 통하여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는 이도 있습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선을 행하려고 할 때에 냉정한 사회에 부딪칠 뿐더러 오히려 방해를 하고 핍박하는 악의 세력이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전에 안중근 의사(安重根義士)가 두만강을 건너와 당시 일본 군경과 악전고투를 하다가 겨우 동지 몇 사람과 같이 다시 두만강을 건너 러시아 땅으로 갔습니다. 당시 해삼위에 있던 우리 동포들이 크게 환영하였습니다. 그러나 한 번은 그가 그 곳을 떠나 흑룡강 상류를 여행할 때에 어떤 곳에서 二十 여명의 한국인에게 붙잡혀 도리어 매를 맞고 거이 죽을 뻔했습니다. 그들은 소위 당시 일진회의 잔당으로서 친일분자들이었습니다. 선을 행하려고 할 때에는 이런 경우를 만나는 때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이는 낙심합니다. 그러나 선을 행하다가 낙심하면 전공(前功)이 가석합니다. 무슨 일이든지 낙심하지 아니해야 합니다. 꾸준히 계속하여야 합니다.
둘째로, 곧 피곤하여 쓰러지지 아니해야 합니다.
그 비결은 어디 있을까? 생각하여 봅시다.
날마다 새로운 현실이 필요합니다. 리빙스톤이 세상을 떠나기 며칠 전 그 일기에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
『내 예수, 내 왕, 내 생명, 나의 전부여, 나는 다시 나의 전신을 당신께 드리나이다』
그는 세상을 떠나기 며칠 전까지도 자기 자신을 온전히 새롭게 주님께 드린 것입니다.
이런 현실을 통하여 매일 새로운 능력과 용기와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매일 아침에 기도가 필요합니다. 할 수 있으면 새벽 기도회에 참석하면 더 좋습니다. 그러므로, 매 주일 예배에 참석함은 매우 필요합니다.
그리고 언제나 위대한 신앙 가운데서 위대한 눈으로 만사를 보도록 힘써야 합니다.
곧 시야가 좁은 인간의 눈으로 세상에서 되는 일을 보지 말고, 그 시야가 영원에서 영원까지 미치는, 형세에서 내세까지 미치는 곧 하나님의 눈으로 세상만사를 전망하고 판단할 줄 알아야 합니다.
一九一九년 三월 二十六일 여순 감옥에서 순국한 의사 안 중근 선생이 그 사형을 받기 전에『정의 필승( 正義必勝)』곧「정의는 반드시 이긴다」라는 글자를 크게 썼습니다. 그리고 또 그는『대한 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라는 글자를 크게 쓰고 그의 손바닥으로 인을 쳤습니다. 당시 국제정세와 국내정세를 보면 한국은 이미 다 망해 가던 때입니다. 일본이 한국을 전부 점령하였고 국제 정세를 보아도 한국의 독립을 도우려는 나라가 없었습니다. 그 자신도 일본 군국주의자들에게 붙잡혀 죽으면서 대한 독립이 성취될 줄 믿었겠습니까? 어떻게 『정의 필승』을 믿었겠습니까? 이것은 하나님을 믿는 그의 위대한 신앙에서 온 것입니다. 곧 하나님의 안목으로 인간의 역사를 본 것입니다. 지금 보면 그는 꼭 옳게 보았습니다. 한국의 독립은 오고야 말았습니다. 이런 신앙에서 그는 조금도 낙심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선을 행하다가 장렬한 순국의 죽음을 가진 것입니다.
휘티어(Whittier)의 유명한 'Eternal Goodness'라는 시(詩)가 있습니다.
I know not where the islands lift
Their fronted palms in air
But I only know I can not drift
Beyond His love and care.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때가 이르면 거둔다는 확신이 필요합니다. 때가 어느 때인지 인간은 모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경륜에 있는 것입니다. 어떤 때에는 빨리 오고 어떤 때에는 늦게 오기도 합니다. 어떤 때에는 금세(今世)에 오고 어떤 때에는 내세에 오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확실히 기억할 것은 때가 반드시 오고 또 그 때에는 반드시 거둡니다.
一六二○년 대서양을 건너온 一二○명이 황무(荒蕪)한 미국에 내려 그 곳에서 겨울을 보내며 말할 수 없는 고난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낙심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의지하며 황무지를 개척하고 꾸준히 선을 행하였습니다. 수 백년 후에 때는 이르려 오늘의 미국이 되었습니다. 때가 이르매 거두었습니다.
나의 경험 가운데서 한 두 가지 나누고자 합니다.
一, 몇 달 전 어떤 집회를 인도하기 위하여 제주도 서귀포에 갔던 일이 있습니다. 저녁에 집회를 마치고 여관방에 돌아오니 어떤 청년이 밀감을 한 뭉치 싸 가지고 나를 찾아왔습니다.『목사님은 저를 모르지만 저는 영락 보린 원에서 자라난 사람입니다.』말하면서 자기의 사정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고아로서 자랐지만 지금은 자기 밀감 밭을 가지고 있으며 교회에서는 집사로 봉사하고 있었습니다.
二, 지난 번 부산 집회에 갔을 때에 한 중년 부인이 나를 찾아와 감사의 말을 했습니다. 그는 부산의 다비다 모자원에 처음 들어온 어머니 가운데 한 분으로 당시 남편은 六·二五 때에 전사하고 일곱 살과 다섯 살 난 아들 두 아들을 데리고 모자원에 왔다고 합니다. 지금은 장남이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하였으며 차남도 거이 대학을 미치게 되었다고 합니다.
三, 얼마 전 경상남도 지방 한 교회에서 어떤 분이 장로로 장립(將立)을 받는 다는 편지를 했습니다. 그 내용인즉 지금부터 二○년 전 내가 지리산 전도를 갔을 때에 당시 남원 경찰서의 서장이었다고 합니다. 그 때부터 믿기 시작하였고 당시에 김치복 장로께서 자기에게 성경 한 권을 주었다고 합니다. 피로하여 쓰려지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고 또 반드시 거두는 것입니다.
전도서 十一장 一절에
『너는 네 식물을 물위에 던지라 여러 날 후에 도로 찾으리라』
동양 성현의 말씀에도
『음덕이 있으면 양보가 반드시 있느니라』또한『적선지가에 필유여경』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가장 귀한 것은 인내입니다. 영국의 정치가들이 모여 앉아서 영국 총리대신으로서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토론할 때에 혹은 웅변, 지식 또는 근면, 용기 등을 말하였습니다. 그때에 유명한 정치가 윌리엄 피트(William Pitt) 는 말하기를 그것은 인내(忍耐)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맙시다. (一九七一년 四월 十八일)
?-4 부활과 영생은 확실하다 (요한 복음 十一장 二十五-二十六절)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이것을 네가 믿느냐』(요 十一·二十五-二十六)
『사람이 죽으면 그가 다시 살겠느냐』이는 욥기 이후로 인간의 영원한 의문 중의 하나입니다. 주님의 말씀은 이에 대한 확실한 대답입니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
『내가 살므로 너희도 살리라』무덤은 인간의 최후가 아닙니다. 부활 주일은 이 대답을 뒷받침하는 역사의 증거입니다. 유물논자들은 근본적으로 영혼의 존재를 부인합니다. 따라서 부활, 영생, 내세도 부인합니다.
과연 영혼은 존재하지 않는가?
우리는 이 문제부터 해결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우리는 우선 잠깐 살펴 보기로 합시다.
첫째로, 인간에게는 이성이 있습니다.
옛날에 헬라인 말대로『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파스칼의 말과 같이『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비록 약하나 생각하는 힘이 있습니다. 이성을 통하여 모든 과학의 발견은 이루어져 가고 있는 중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그 속에 생각하는 현상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각각 우리는 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 생각을 조정하는 무엇이 있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내 생각을 조종하는 무엇이 확실히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흔히『자신 혹은 자아』라고 부릅니다.
성경의 말씀대로 곧『영혼』입니다.
우리는 데카르트의 유명한 말을 기억합니다. 즉『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있다』곧 나는 존재한다 영혼은 존재한다. 이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가장 확실한 지식입니다.
곧 이성은 영혼의 존재를 분명히 말해줍니다.
문제는 이『영혼 혹은 자아』의 현상이 일시적인 것인가? 아니면 영구적인 것인가? 유물론자들은 물론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과연 옳은 이론일까?
둘째로, 과학에게 이 문제에 대하여 물어 봅시다.
이『자아 또는 영혼』이 인간이 죽을 때에는 유물론자들이 주장하는 대로 과연 없어질 것인가?
과학은 물질 불멸, 에너지 불멸 논을 분명히 가르칩니다.
이 우주에 존재하는 것들 곧 물질은 변화를 하지만은 아주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불타는 촛불이 없어지는 것같이 보이지만은 그 물질이 아주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이것은 화학적 변화뿐입니다.
미국의 저명한 미사일과 로케트의 권위자인 폴·브라운(Paul Brown) 박사는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과학은 무엇이나 아주 없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과학은 오직 변화를 알뿐이다」그리고 계속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하나님께서 이 월리를 가장 작은 물질에도 적용하거든 하물며 그의 최대 걸작인 인간의 영혼에 적용하지 않겠는가! 영혼은 불멸하다」고 하였습니다.
과학은 이렇게 증언합니다. 쉽게 말하면 인간이 죽을 때에 우리의 육체도 화학적 변화가 있을 뿐이고 육체를 구성하였던 물질 자체가 아주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가장 분명한『내 자아, 내 영혼』만 아주 없어질 것입니까?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영혼은 죽은 후에도 그대로 존재합니다.
셋째로, 그러면 죽은 후에 영혼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이 문제는 양심에게 물어 보십시오.
인간에게는 누구나 양심이 있습니다. 양심은 시비(옳고 그른 것)를 가르쳐 줍니다. 인간의 영혼은 불멸하니 죽은 후에도 그대로 존재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의인 모세와 악한 바로의 영혼은 같은 곳에 갈 것인가?
예언자 세례 요한과 그를 불의 하게 죽인 헤롯왕의 영혼이 같은 곳에 있을 것인가? 양심에게 물어보십시오 다시 말하면 내세도 확실히 있고 천국과 지옥도 여전히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양심이 분명히 가르쳐 줍니다.
넷째로, 이 문제에 대하여 우리는 좀 더 가까이 와서 성경에 물어 봅시다.
성경은 모든 책 중에서 가장 많이 읽는 책입니다. 각계 각층이 읽는 책이요, 가장 신임을 받는 책일 것입니다.
이런 영적 문제에 대하여 최고의 권위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흙은 여전히 땅에 돌아가고 신(혼)은 그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전도서 十二·七)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 九·二十七)
『또 내가 크고 흰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자를 보니 땅과 하늘이 그 앞에서 피하여 간데 없더라 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무론 대소하고 그 보좌 앞에 섰는데 책들이 펴있고 또 다른 책이 펴졌으니 곧 생명 책이라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에게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 바다 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서 내어주매 각 사람이 자기행위 대로 심판을 받고 사망과 음부도 불 못에 던 지우니 이것을 둘째 사망 곧 불 못이라 누구든지 생명 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 못에 던 지우리라』(계 二十·十一~十五 )
곧 성경은 내세와 심판을 분명히 말합니다.『행위를 따라 심판을 받으니』곧 현세의 생활은 영원한 세계와 직결이 됩니다.
다섯째로, 이 문제에 대하여 주님께 물어 봅시다.
리빙스톤의 말대로 그는 가장『믿을 만한 신사』입니다.
주님은 말씀하십니다.『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산 자의 하나님이시니라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눅 二十·三十八)
곧 죽은 후에도 하나님 앞에서 모든 사람이 살아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만일 네 손이나 네 발이 너를 범죄케 하거든 찍어 버리라 불구자나 절뚝발이로 영생에 들어가는 것이 두 손과 두 발을 가지고 영원한 불에 던 지우는 것보다 나으리라』(마 十八·八∼九) 내세의 형벌에 대하여 이렇게 경고하십니다.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으니 또 나를 믿으라 내 아버지 집에 거할 곳이 많도다, 그렇지 안으면 너희에게 일렀으리라』(요 十四·一)
만일 내세가 없다면 우리 주님께서 분명히 말씀하셨을 것입니다.
곧 주님은 영생과 내세와 심판과 천국이 있음을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는 사망의 권세를 이기고 분명히 부활 하셨습니다. 이는 사망으로 인도하는 온갖 세력에 대한 영생의 온전한 승리를 의미합니다. 온갖 악의 세력에 대한 선의의 승리, 암흑의 세력에 대한 광명의 승리, 온갖 불의에 대한 승리, 온갖 구속에 대한 자유의 승리, 모든 증오에 대함 사랑의 승리, 모든 허위에 대한 진리의 승리를 의미합니다.
곧, 모든 죄악에 대한 그리스도의 온전한 승리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이 부활하신 그리스도 안에서는 우리도 승리의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그러하고 사회적으로도 또 그러합니다. 아무리 내 자신이 흉악한 죄의 종이 되었을지라도 그리스도 안에서 변하여 새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안에서는 절망은 없습니다. 모든 실망이 희망으로 변합니다. 개인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국가적으로도 그러합니다. 우리는 오직 그리스도안에서만 온갖 악의 세력을 일소하고 부정과 부패가 없는 깨끗하고 명랑한 자유의 사회를 건설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안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경은 선언합니다.
『사망아 너의 이기는 것이 어디 잇느냐 사망아 너의 쏘는 것이 어디 잇느냐 우리 주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이김을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그리스도안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안에서 능치 못할 것이 없습니다.
사망과 온갖 죄악의 세력을 이기신 그리스도의 말씀을 다시 한번 들읍시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이것을 네가 믿느냐』
이 마지막 말씀에 주목하여야 하겠습니다.『네가 믿느냐』믿는가? 예수를 믿는가?
오! 이 은혜의 아침에 마르다와 같이『나는 믿습니다』라고 대답하여야 하겠습니다.
그리하면,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과, 아니 우리 사회, 국가 전체의 영원한 축복의 아침이 될 것입니다. (一九七一년 四월 十一일)
?-5 변화된 가정 (누가 복음 十九장 一- 一○절)
『삭개오가 서서 주께 여짜오되 주여 보시옵소서 내 소유의 절반을 가난한 자에게 주겠사오며 만일 뉘 것을 토색한 일이 있으면 사 배나 갚겠나이다』(눅 一九·一○)
주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올라오시는 길에 여리고 라는 성을 통과하게 되었습니다. 이 성은 일찍이 여호수아가 요단강을 건너 제일 먼저 점령한 성으로서 옛날부터 종려나무가 많아 종려의 도시란 이름이 있으며 동산과 장미꽃이 많으며 특별히 볼삼(Balsam)이란 유명한 향품(香品)의 소산지로 이름이 알려진 곳입니다. 또 이곳은 동서의 교통의 요충으로써 물화가 집산 되는 곳입니다.
그런데 이곳에 삭개오의 가정이 있었습니다. 삭개오는 그 도시의 모든 세금 받는 세리 장이었으며 또 부자였습니다. 반면에 일반 사회에서는 비난을 많이 받았으며 따라서 그는 사실 고독하였습니다. 하루는 예수께서 그곳을 지나가신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그는 예수를 보기를 원했습니다. 이런 이가 왜 예수를 보기 원하였을까? 아마 예수는 당시 소문난 선지자이니 한번 얼굴이라도 보려는 호기심으로인지 모릅니다.
그 뿐만 아니라 예수는 세리와 죄인들도 영접한다는 소문을 들었는지도 모릅니다. 아무튼 다른 사람의 눈에는 안된 사람으로 보였지만 그의 심령 깊은 속에는 의로운 생활을 동경하는 마음이 숨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거리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미 거리는 사람으로 꽉 메었고 그의 키는 매우 작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마침 그 옆에 있는 높은 뽕나무 위에 올라가 예수 님이 지나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조금 후 주님의 일행이 오셨습니다.
천만 뜻밖에 주님께서는 삭개오를 쳐다보셨습니다. 주목하여 그를 보실 뿐더러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삭개오야, 속히 내려 오라. 내가 오늘 네 집에 유하여야 하겠다』 이 말씀은 삭개오뿐 아니고 모든 사람을 놀라게 하였습니다. 실로 천만 뜻밖의 일이었습니다. 삭개오는 기뻐서 나무 위에서 나려와 즐거이 예수를 그의 집으로 영접하였고, 그것을 보는 무리들은 예수께서 죄인의 집으로 들어가신다고 수군거렸습니다. 그러나 사실 놀랄 것은 없었습니다.
주님께서 후에 친히 말씀하신 대로 그가 세상에 오신 것은 죄인을 불러 구원하기 위함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사실은 삭개오가 예수를 찾기 전에 예수는 먼저 그를 보신 것입니다. 이렇게 하나님의 사랑과 사람의 뜻이 합할 때에 구원의 큰 역사는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삭개오의 온 가정이 구원을 얻게 되었습니다.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이 역사의 일화에 대하여 몇 가지 꼭 배울 진리가 있는 줄 압니다.
첫째로 삭개오 같은 이도 예수를 만날 때에 회개하고 구원을 얻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미 말씀들인 대로 삭게오는 그 직업이 세리였습니다. 지금도 세무서 직원들이 칭찬 받지 못하는 이들이 있는 듯 하지만 당시 유다 사회에서는 세리라는 직업은 보통사람으로는 택하지 않는 직업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당시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에 예속된 민족이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로마 정부를 미워하였으며 자기 민족에서 돈을 거두어 이런 정부에 바치는 세리들은 매국으로 생각하던 때입니다. 애국심이 없음은 말 할 것도 없고 민족적 양심의 마비 자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뿐 아니고 이 세리들은 흔히 자기의 배를 불리기 위하여 토색(討索)을 하였습니다. 곧 부당한 이득을 얻었습니다. 요즈음 말로 부정 부패의 공무원들입니다. 탐관(貪官)오리(汚吏)였습니다. 그러므로 사회에서 질시와 천대를 받았습니다.『세리와 죄인』이란 말이 생겼습니다. 가장 천한 의미! 그뿐만 아니라 삭게오는 이렇게 돈을 많이 모아 당시의 큰부자이었습니다. 그의 주택도 아마 고급 주택이었을 것입니다. 이런 이가 회개하고 구원을 얻으리라고 생각한 이는 아마 여리고 성안에 하나도 없었을 것입니다.
사실 주님 자신도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는 것은 약대가 바늘구멍으로 나가는 것보다 더 어렵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사실 부자들에게는 유혹과 시험이 더 많은 법입니다. 그런데 이런 삭게오가 회개하고 구원을 얻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크고 넓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없었습니다. 가장 깊은 죄악의 구렁텅이에까지 그의 구원의 손은 미칩니다. 사회에 가장 높은 계급이나 가장 낮은 계급이나 빈부, 귀천, 남녀노소의 구별 없이 어디나 그리스도의 구속의 사랑은 미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나의 심령의 상황이 현재 어떤 자리에 있든지 낙심할 것은 없습니다. 아무리 깊은 죄악과 시험에 빠졌을 지라도 낙망하지 말고 그 곳에서 예수를 찾읍시다. 예수를 바라봅시다. 주님께서는 마주 보십니다. 영접하십니다. 구원하십니다. 새 사람이 되게 하십니다. 온 가정을 변화케 하십니다.
둘째로, 삭게오는 주님 앞에 서서 고백하였습니다.『주여 보시옵소서, 내 소유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겠습니다. 남의 것을 토색한 것은 四배나 갚겠습니다.』여기에서 우리는 삭게오의 참 회개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참 회개란 먼저 자기의 죄를 깨달아야 하고 다음에는 그 죄를 주님께 고백하여야 하며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의 죄로 말미암아 다른 이에게 손해를 입혔으면 그것을 보상하는데 있습니다. 삭개오는 四배나 갚겠나이다 하였습니다. 곧 보상할 결심을 하였습니다. 四배나 갚는다는 것은 구약 율법에서 요구하는 대상입니다.
출애굽기 二二장 一절에 보면
『사람이 소나 양을 도적질하여 갚거나 팔면 그는 소 하나에 소 다섯으로 갚고 양 하나에 양 넷으로 갚을 지니라 그러나 도적질한 것이 살아 그 손에 있으면 소나 나귀나 양을 물론하고 갑절을 배상할 지니라』
죄에는 물론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재물로 인한 죄를 지었으면 참으로 회개하려면 나의 죄로 인하여 다른 이에게 손해를 입힌 것은 보상하는 것이 진정한 회개입니다. 나는 오랜 목회 경험에서 이런 실례를 많이 보았습니다. 자기에게 속하지 아니하는 재봉틀을 쓰다가 회개하고 그 임자에게 다시 돌려준 청년, 식모가 주인의 돈을 조금씩 훔치다가 회개하고 다시 돌려준 젊은 여인, 군정청에서 일하며 안 받을 뇌물을 받았다가 회개하고 돌려 주려하나 그 당사자를 찾지 못하여 고민하다가 교회에 연보 한 청년 등 많이 있습니다. 서양 속담에「돈이 말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참 회개는 다른 죄는 다 회개하면서도「누구나 돈주머니는 아직 회개하지 못하였다」하는 이도 있습니다. 삭개오는 참으로 회개할뿐더러 절반을 가난한 자에게 주는 사회 봉사자가 되었습니다. 참 회개는 이러합니다.
셋째로,『오늘 구원이 이 집에 이르렀으니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이다』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그 온 가정이 구원에 이른 것입니다. 여기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그의 부인과 그의 자녀들도 다 구원을 얻은 것이 분명합니다. 성경에 보면 흔히 호주가 먼저 회개하고 온 가정이 같이 구원을 얻는 예가 있습니다. 빌립보의 간수가 바울의 전도를 듣고 온 가정이 또한 믿어 세례를 받고 기뻐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 어떤 때에는 가정의 어머니가 먼저 믿고 온 가족이 함께 구원을 받은 예도 있습니다. 역시 빌립보에 살던 두디아라 성의 자주 장사하던 루디아라고 하는 어머니는 먼저 바울의 전도를 받아 믿고 그 온 집이 회개하고 세례를 받았으며 바울과 그 일행을 자기 집에 영접하였습니다.
참 신앙은 이렇게 온 가정을 감화시킵니다. 온 가정을 변화하게 합니다. 이렇게 될 때에 천국이 그 가정에 임합니다. 집이 크든지 작든지 찬송가의 한 구절 같이『초막이나 궁궐이나 내주 예수 모신 곳이 그 어디나 하늘 나라』가 됩니다. 삭개오의 가정에 이렇게 천국이 임하니 그 가정의 행복과 기쁨은 말 할 것도 없고 멸시와 천대의 대상이었던 그 가정은 존경과 선망의 가정이 되었습니다. 전에는 남의 것을 수탈하는 악의 소굴이 변하여 이제는 모든 가난한 이들과 불우한 동포들을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봉사하는 근거지가 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삭개오의 가정은 불멸의 가정이 되었습니다. 사실 우리가 여리고를 생각할 때 에 오직 삭개오란 이름을 기억할 따름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가? 그는 세리요, 탐관 오리이었으나 예수를 찾았습니다. 예수를 만났습니다. 이것이 사실 누구에게나 불멸의 생애의 비결이 아닐까 합니다.
결론적으로 부정과 부패는 선거 때뿐만 아니라 국가 중대의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요사이 어떤 신문에 새로 선택된 대통령에게 당부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여러 모양으로 여러 말로 말을 하나 그 중에 제일 중요한 골자는『그저 제발 부정부패를 없이해 주시오, 도려내 주시오』하는 말인 듯 합니다. 삭개오와 같은 부정부패의 공무원이 정직하고 깨끗한 공무원이 되는 길이 어디 있는가 생각해 봅시다. 삭개오와 같이 예수를 영접합시다. 변화된 공무원이 됩시다. 변화된 가정이 됩시다.
몇 해 전 나는 여리고 에 가서 구경한 일이 있습니다. 지금은 한적한 고을입니다. 그러나 그 거리 한 옆에 한국으로 말하면 들메나무와 비슷한 삭개오의 뽕나무를 보았습니다. 사실 삭개오가 올라갔던 나무인지는 모르나 상당히 오랜 나무인 것만은 틀림없었습니다.
그 나무는 우리에게 무슨 교훈을 주는가? 간단히 말하면 삭개오와 같은 세리요, 매국적이요, 부패한 사람도 예수를 만나 새 사람이 되었다 하는 교훈입니다. 누구나 예수를 영접하면 새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새 가정이 될 수 있습니다. 예수는 옛날 여리고 거리만 지나가신 것이 아니라 살아 계신 주님은 지금도 서울의 거리를 지나가십니다. 아니 교회의 뜰을 걸으십니다. 교회의 뜰에 나무들이 삭개오의 뽕나무가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 이 뜰을 나가기 전에 예수 님을 만납시다. (一九七一년 五월 九일)
?-6 영적 오염 (고린도 후서 六장 十四-七장 一절)
『그런즉 사랑하는 자들아 이 약속을 가진 우리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가운데서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어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케 하자』(고후 七·一)
우리는 二○세기 하반기에 살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 특히 우리 인류를 위협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가령 원자탄, 공산 제국주의, 인구 폭팔 등입니다. 그리고 이 과학시대에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새로이 등장하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곧 오염입니다. 산업이 발달할수록 인구가 도시로 집중하여 도시에 사는 인간들에게 공기의 오염문제는 중대한 관심사가 됩니다. 자동차에서 나오는 가스,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매연 등은 생명을 위험케 할뿐더러 심지어 풀과 나무도 잘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그리고 인간생활에 절대로 필요한 물의 오염 문제입니다. 공장으로부터 나오는 유독한 화학적 물질로 말미암아 강물은 나날이 더러워져서 물고기가 점점 살지 못하게 될뿐더러 인간 자체를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공업이 발전되는 국가에 있어서는 이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고심을 하게 됩니다. 이 오염문제와 관련하여 우리가 꼭 기억할 것은 인간의 육체와 생명을 위협하는 오염이외에 인간의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오염문제가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것은 곧 영적 오염입니다. 정신적 오염입니다. 이 시간 이 문제를 생각하고자 합니다.
본문에『우리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가운데서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어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하게 하자』기록 되었습니다.
첫째로,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공기와 물의 오염시대일 뿐 아니라 정신적 오염시대임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① 사상적 오염으로는 유물주의의 오염, 무신론의 오염, 사신논(死神論)의 오염, 공산주의의 오염, 인간 천시사상의 오염 등 온갖 사상적 오염이 있습니다. 그리하여 소위 인간 상실 시대가 되었습니다.
② 이 사상적 오염은 역시 도덕적 오염을 가져옵니다. 그리하여 우리가 사는 오늘의 사회는 부정 부패의 오염, 허위 가식의 오염, 불신 풍조의 오염, 반항 풍조의 오염, 폭력주의 오염, 사치향락의 오염, 음란 방탕의 오염, 이혼과 가정파탄의 오염, 나뿐 유행의 오염, 술의 오염, 댄스의 오염 등 오염 범람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늘 우리사회의 영적 분위기는 공기보다 더 더러워졌습니다. 이렇게 이 자연적 또는 영적 오염은 우리가 당면하는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입니다. 이런 오염시대에 사는 우리 성도들에게 주시는 성경의 교훈은 무엇인가 생각하여 봅시다.
둘째로,『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가운데서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어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케 하자』그리고 몇 가지 권면의 말씀이 있습니다.
① 十四절에『너희는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같이 하지 말라 의와 불법이 어찌 함께 하며 빛과 어두움이 어찌 사귀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어찌 조화되며 하나님의 성전과 우상이 어찌 일치가 되리요』 또한 신명기 二二장 一○절 말씀에『너는 소와 나귀를 겨리 하여 갈지 말며』하는 말씀이 있습니다.
우리가 다 한 민족으로서 한 나라의 국민이요, 한 사회의 일원이나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참으로 회개한 그리스도 신자와 불신자간에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있는 것입니다. 신자는 그리스도에게 속하고 불신자는 벨리알에게 속합니다. 신자는 빛의 아들이요, 불신자는 어두움의 아들입니다. 신자는 하나님께서 계시는 성전이요, 불신자는 그 반대입니다. 이것이 분명한 성경의 교훈입니다. 주님께서도 당시 불신자를 향하여 너희는 너희 아버지 마귀에게로부터 낳았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신자는 불신사회에서 근본적으로 성별 되어야 합니다.
② 성경은『너희는 저희 중에서 나와서 따로 있고 부정한 것을 만지지 말라』하였습니다. 이것은 불신자들과 절교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사회나 국가의 일에 같이 협력하지 말라는 뜻도 아닙니다. 무슨 사업을 같이 하지 말라는 뜻도 아닙니다. 그러나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신자들은 어디서나 신자의 본분을 지켜 성결한 생활을 하며 빛과 소금의 책임을 다 하라는 뜻입니다.
③ 성경에는 신자를「성도」곧「거룩한 무리」라고 하였습니다. 거룩하다는 히브리어 근본의 뜻은 무엇을 벤다는 뜻입니다. 곧 갈라놓는다 하는 뜻입니다. 하나님께 드린 집을「성전」이라고 하는 것은 보통 집에서 갈라내어 하나님께 드렸음으로「거룩한 집」곧「성전」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성도라 합니다.
④ 여기『너희는 저희 중에서 나와서 따로 있어 부정한 것을 만지지 말라』곧 나오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부를 때에도 네 고향과 친척에서 따로 나와 내가 보일 땅으로 가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롯 에게도 장차 망할 소돔성에서 나와 다른 성으로 가라고 하였습니다. 모두 성별의 생활을 의미합니다. 우리 신자가 이것을 잃으면 맛 잃은 소금으로 전락합니다. 이스라엘 역사를 보면, 므낫세왕 때에 성전 뜰에 아세라 목상과 일월 성신을 숭배하는 단을 쌓은 일이 있습니다. 우리 신자의 몸은 성령이 계시는 하나님의 성전인데 이런 가증한 죄악과 우상이 들어오면 절대로 안됩니다. 요시아왕이 이런 모든 우상을 철폐한 것과 같이 모든 더러운 죄악을 깨끗이 씻어 버려야 합니다.
⑤ 여기에는 결단이 필요합니다. 전에 다니엘이 바벨론에 잡혀가 우상을 숭배하는 바벨론 궁전에 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다니엘 一장 八절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다니엘은 뜻을 정하여 왕의 진미와 그의 마시는 포도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리라』여기에 자기를 더럽히지 않게 하기 위하여 뜻을 정하였다고 하는 말을 주목하여 보면, 그는 자신을 더럽히지 않게 하기로 결심한 것입니다. 다른 이들은 어떻게 하든지 다니엘과 그 세 친구는 이런 결심이 있었습니다. 이런 결심이 다니엘로 하여금 더러운 영적 오염의 분위기 중에서도 깨끗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⑥ 그리고, 언제나 하나님과 동행하는 생활입니다. 요셉이 애굽에 잡혀가 보디발의 집에서 종노릇할 때에 청년으로 심히 어려운 정욕의 시험을 당했습니다. 그는 보디발의 아내에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내가 어찌 하나님 앞에서 이 큰 악을 행할 수 있으랴』그는 언제나 하나님 앞에서 살았습니다. 하나님과 동행하였습니다.
⑦ 이 말씀을 들을 때에 여러분 중에 스스로 고민하는 분도 혹은 있을 줄로 생각합니다.
곧, 이미 세상 죄악에 물들어진 내 심령을 어떻게 하나, 이미 오염된 내 몸과 마음을 어떻게 하나! 이러한 이가 한 분이라도 있으면 요한 一서 一장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거기에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저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모든 불의에서 우리를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케 하실 것이요』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참 회개와 신앙은 우리를 깨끗하게 합니다. 십자가의 보혈은 우리의 죄를 씻어 주시는 것입니다. 마틴 루터에게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번은 꿈에 마귀가 그에게 나타나 그가 지은 죄의 목록을 쓴 종이 한 장을 보여 주었다고 합니다. 이 때에 루터는『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쥐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하는 구절을 그 위에 쓰니 모든 죄의 목록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십자가의 보혈을 믿읍시다.
셋째로, 우리 신자는 이 오염된 세상에서 스스로 자신을 깨끗이 보존할뿐더러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 더러운 세상을 깨끗케 만들어야 할 사명이 있습니다.
빌립보 四장에 보면 맨 마지막 절에『가이사 집에 있는 성도들이 문안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 때 가이사는 네로 황제였습니다. 그 때 가이사의 궁중은 가장 음란하고 잔인하고 포악하였습니다. 전 로마제국의 오염의 중심지였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 그 몸을 더럽히지 아니한 신자들의 있었습니다. 역사를 보면 이의 수는 처음에는 소수였으나 점점 늘어 결국은 콘스탄틴 황제 때에 이르러 온 궁중이 예수를 믿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로마 제국이 기독교 나라가 되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두 가지입니다.
첫째, 그들이 비록 수는 적었으나 그 가운데서 깨끗한 신앙생활을 하며 빛과 소금의 책임을 다한 것입니다. 그들은 물들지 아니한 것입니다.
둘째는, 적극적으로 복음을 전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한 것입니다. 오염에 물든 궁중 공기를 점점 깨끗케 하였습니다. 오늘날 이 영적 오염의 분위기 중에 사는 그리스도인의 책임이 무엇이겠습니까? 지금 간단히 말하면 오직 두 가지입니다. 첫째, 이런 가운데서 내 자신을 깨끗이 지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죄악에 물들지 않는 것입니다. 둘째, 적극적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것입니다. 오염의 공기를 깨끗케 하는 일립니다.
결론적으로, 죽은 고기는 물결대로 밀려 내러가고 짠물에 전다고 합니다. 그러나 산 고기는 짠물에 살아도 짠물이 들지 않고 폭포수라도 거슬러 올라갑니다. 죽은 고기가 되지 말고 산 고기가 됩시다. 죽은 믿음은 가지지 말고 한란계(寒暖計 Thermometer)가 되지 말고 정온계(整溫計 Thermostat)가 됩시다. 곧 한란계는 방안의 온도계로 변합니다. 정온 계는 온도 조절기가 정하는 때로 방안의 공기 온도가 변합니다. 영적 오염의 분위기를 변하게 할 수 있는 참 신자가 됩시다. (一九七一년 五월 二十三일)
?-7 아버지의 약속 (사도행전 一장 一-十一절)
『사도와 같이 모이사 저희에게 분부하여 가라사대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 들은바 아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 요한은 물로 세례를 베풀었으나 너희는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 하셨느니라』(행 一·四-五)
승천하시기 전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주신 말씀입니다.『아버지의 약속을 기다리라』아버지의 약속은 물론 여러 가지의 말씀이 있습니다. 믿는 자에게 영생을 주시리라는 약속, 끝까지 보호하여 주시겠다는 약속, 위험 중에서도 건져 주시리라는 약속 등 여러 말씀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성령을 주시리라는 약속입니다.『너희는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하였습니다. 요엘 二장 二十八절에 하나님의 이러한 약속이 있습니다.『그 후에 내가 내 신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너희 자녀들이 장래 일을 말할 것이며 너희 늙은이는 꿈을 꾸며 너희 젊은이는 이상을 볼 것이며 그 때에 내가 또 내 신으로 남종과 여종에게 부어 줄 것이며』 이 말씀은 아버지의 약속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주님은 이 약속을 꼭 기다려 받으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 약속은 오순절에 문자 그대로 이루어 졌습니다. 이 약속을 생각하는 가운데 우리 각자 자신이 또한 우리 교회도 이 같은 축복을 받기를 원합니다.
첫째, 제자들이 약속을 받기 위하여 어떻게 기다렸나 먼저 잠깐 살펴봅시다.
ⓛ 그들은 주님의 분부대로 예루살렘을 떠나지 아니하였습니다. 물론, 그들 중에는 다른 일로 바쁜 이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 주님의 분부를 순종하기 위하여 다른 일이 많아도 모두 제쳐놓고 예루살렘에 머물렀습니다. 제자들만이 아니라 一二○여 교우가 머물렀습니다.
② 그들은 한 다락방에 남녀 노소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그들은 성경에 기록한대로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기도에 힘을 다했습니다. 기도하는 중에, 물론 반성도하고, 회개도하고 죄를 자복(自服)한 줄로 압니다. 서로 다툰 일, 겟세마네 동산에서 자던 일, 예수를 다 저버리고 달아나던 일, 특별히 베드로와 같은 이는 예수를 세 번씩이나 모른다고 부인한 죄를 애통하며 자복한 줄 압니다. 이렇게 십일간을 계속해서 그들의 과거의 모든 실패, 불화, 교만, 비겁(卑怯), 이기심, 불결 등 온갖 죄를 회개하였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준비하였습니다. 주님의 말씀을 그대로 믿는 신앙, 순종, 자기 반성, 기도, 죄의 고백, 온전한 헌신, 아버지의 약속의 기대는 성령 임재(臨在)의 전제조건이었습니다. 이는 언제나 그러합니다. 이런 이들이 모인 교회에 언제나 성령은 충만하게 임합니다.
둘째, 오순절에 된 일은 사도행전 二장에 기록된 대로 잠깐 회상하여 봅시다.
① 여러분이 기억하시는 대로 옛날 유대 나라에는 일년에 삼대 절기가 있습니다. 유월절, 오순절, 그리고 장막 절입니다. 오순절은 유월절 지난 후 五○일 만에 오는 절기로서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는 일찍이 모세가 시내산 꼭대기에서 하나님의 율법을 받은 것을 기념하는 절기요, 또 하나는 처음 익은 곡식을 드리는 계절입니다. 유대 나라에는 밀이 주요 곡물이므로 처음으로 거둔 밀을 드렸습니다. 고로, 맥주 절이라고도 합니다. 이날 첫 그리스도인들은 율법대신에 성령을 새로 받았고 영적 첫 수확으로 새로 회계한 三○○○명의 영혼을 주님께 드리게 된 것은 실로 의미심장합니다.
② 그 날의 일을 누가 이렇게 묘사했습니다.
『오순절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 같이 한곳에 모였더니 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불이 혀같이 갈라지는 것이 저희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임하여 있더니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성령이 두 가지 상징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나는 바람, 그리고 또 불. 성령이란 그 영이 히브리말의 뜻은『바람』혹은『숨결』이란 뜻입니다. 바람은 신비합니다. 볼 수 없고 만질 수 없으나 느낄 수 있습니다. 어디로 오고 가는 지을 모릅니다. 그러나 자취는 있습니다. 성령의 역사가 이러합니다. 에스겔 三十七장을 보면 마른 뼈로 가득한 골짜기의 환상이 있습니다. 이 환상을 보는 에스겔에게 하나님은 다음과 같이 예언하라고 명하셨습니다.『생기야 사방에서 불어와서 이 사망을 당한 자들에게 불어서 살게 하라』생기는 곧 바람을 의미합니다. 바람은 숨결, 곧 생명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들은 하나님의 생명으로 충만하였습니다. 바람은 역시 능력도 의미합니다. 바람은 바다의 물결을 요동케 합니다. 나무의 뿌리까지도 뽑고 집을 무너지게도 합니다. 하나님께서 욥에게 회오리바람 중에 말씀 하셨습니다. 곧 그들은 오순절에 하나님의 능력으로 충만하여졌습니다.
③ 불이 혀로 나타났습니다.
불은 성경에 흔히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입니다. 모세가 불붙는 가시덤불 곁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실 때에 낮에는 구름기둥, 밤에는 불기둥으로 인도하셨다고 했습니다. 엘리아의 제단을 불로 사루었습니다. 불은 빛을 의미하고 열은 뜨거운 사랑을 의미합니다. 모든 것을 태워버리고 깨끗하게 하는 숨결을 의미합니다. 오순절에 그들은 이렇게 불의 세례를 받았습니다.
셋째, 그 결과는 어떠했습니까?
한 마디로 아버지의 약속인 성령을 받아 성령으로 충만하게 되었습니다.
① 성령은 하나님의 영이므로 하나님으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영이므로 그리스도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선결의 영이므로 성결(聖潔)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진리의 영이므로 진리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생명의 영이므로 생명으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사랑의 영이므로 사랑으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빛의 영이므로 빛으로 충만하였습니다. 성령은 전능의 영이므로 전능한 능력으로 충만하였습니다..
② 무엇이나 충만하게 되면 넘쳐흐르게 됩니다. 그릇에 들어 충만하면 넘치기 쉽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생명으로 충만하게 되었으므로 생명이 넘칠 수밖에 없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로 그 마음속에 충만하여 졌으므로 말하자면 그리스도가 그들의 입을 통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을 통하여 넘치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자연히 그리스도에 대하여 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베드로는 그날 일어서서 담대히 십자가에서 죽은 그리스도가 다시 부활하여 만민의 구주가 되심을 증거 하였습니다. 베드로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도 다 그리스도를 증거 하였습니다. 남녀 노소 누구나 다 증거 하였습니다. 그리스도로 충만하게 되어 자연히 복음 전파로 나타났습니다.
③ 그들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충만하니 유무상통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진하여 물질을 사도의 발 앞에 가져왔습니다. 필요한 이에게 나누어주었고 상부상조하여 살았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으로 충만하게되니 그 사랑이 손을 통하여 넘쳤습니다. 그들은 재물을 자기 손에 쥐고 있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을 위하여! 이웃을 위하여! 즐거이 자원하여 바쳤습니다. 사회봉사는 이렇게 하여야 합니다. 이런 기독교 공산주의는 실로 사회를 명랑하게 할 것입니다.
④ 하나님의 사랑만 넘친 것이 아니라 성령의 모든 열매가 넘쳤습니다. 기쁨, 충만, 인내,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의 성령의 열매가 충만하여 넘치는 교회의 모습을 누가 이렇게 묘사했습니다.『날마다 마음을 같이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도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하나님을 찬미하며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이런 교회는 자연히 부흥하게 되었습니다. 확보 되었습니다. 예배당도 신도로 넘쳤습니다. 이 교회는 결국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사마리아와 온 유다 전 로마 제국을 복음으로 정복하였고 전 세계에 구원의 등불이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역사적인 오순절에 예루살렘 교회는 물론 사도들도 충만히 받은 것처럼 우리의 교회가 우리 자신의 충만하여야 하겠습니다.
① 예루살렘의 교회는 사도들만 충만히 받은 것이 아닙니다. 온 교우가 같이 충만히 받았습니다. 일곱 집사도 성령으로 충만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들은 일상생활에서 성령의 인도로 모든 것을 하였습니다. 빌립이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전도하게 된 것도 성령의 인도였습니다. 바울이 두로아에 가게된 것도, 유럽 땅에 발을 디디게된 것도 성령의 인도였습니다. 성령은 그들의 일상생활의 용기와 능력의 원천이었습니다. 성령으로 베드로는 오순절에 三○○○명을 회개하였습니다. 성령의 능력으로 베드로와 요한 은 공회(公會)앞에서도 담대히 그리스도를 증거 하였습니다. 성령의 능력으로 그들은 어떠한 위기도 극복할 수 있었고 환경을 초월하여 언제나 기쁨과 감사의 생활을 하였습니다. 능력으로 피곤한 인생 길도 힘있게 걸어갔고 고통과 슬픔도 이기고 유혹과 시험도 물리치고 실망과 낙심도 극복하고 담대히 용감히 언제나 기쁨과 감사로 충만하여 인생의 험로(險路)를 걸어가며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며 사회의 봉사자와 빛과 소금이 되었습니다.
② 에베소서 五장 一八절에『술 취하지 말라 이는 방탕한 것이니 성령의 충만을 받으라』고 권하였습니다.
이 말씀이 불신자와 신자의 생활에 대조가 됩니다. 불신자는 술로 충만하고 욕심으로, 정욕으로 교만으로 충만합니다. 우리의 생활은 어떠합니까? 성령으로 충만하지 않으면 다른 것으로 충만하게 됩니다. 물질 세계에서나 영적 세계서나 진공은 오래 용납되지 아니합니다. 성령으로 충만하지 아니하면 죄악으로 충만하기 쉽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신자는 반드시 성령으로 충만한 생활을 해야 합니다.
③ 성령으로 충만한 생활의 비결은 무엇이니까?
사도들과 같이 먼저 기도와 회개가 필요합니다. 사도행전 五장 三二절에『하나님은 자기를 순종하는 사람들에게 성령을 주신다』고 했습니다. 순종하여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합시다.
에베소서 五장 一八절『성령의 충만을 받으라』, 갈라디아 五장 一六절『성령을 좇아 행하라』갈라디아 五장 二五절『성령으로 살라』말씀하셨습니다. 교회에 나오기는 하였으나 메마르고 시들은 영혼은 없습니까? 근심과 의심의 영혼은 없습니까? 불안과 불평의 영혼은 없습니까? 오순절에 주신 아버지의 약속을 받습니다. 약속은 꼭 주십니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읍시다. (一九七一년 五월 三十일)
?-8 중심에 진실 (시편 五一편 一-十二절)
『중심에 진실함을 주께서 원하오시니 내 손에 지혜를 알게 하시리이다』(시 五一·六)
시편 五一편은 다윗의 유명한 참회의 시중의 하나입니다. 그는 솔직히 자기의 죄를 고백하여 죄를 사하여 주시기를 간 구하며 죄를 깨끗이 씻겨 주시기를 간구 하였습니다. 六절에
『중심에 진실함을 주께서 원하시오니 내 속에 지혜를 알게 하시리이다』좀 더 문자 적으로 번역하면『속 부분에 진리를 주께서 원하시오니 내 속에 지혜를 알게 하시리이다』 사무엘 상 一六장 七절 말씀에『여호와께서 사무엘 에게 이르시되 그 용모와 신장을 보지 말라 내가 이미 그를 버렸노라 나의 보는 것은 사람과 같지 아니하니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본문의 뜻은 하나님은 우리 마음의 속 부분 곧 중심에 진리 혹은 진실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현대 심리학자들의 말을 빌리면 표면의식만 아니고 잠재의식 속에도 진실을 구한다는 뜻일 것입니다.
주님도 누가복음 六장 四十五절 말씀에『선한 사람은 마음의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니라』 아주 중요한 것은 우리 속 중심에 무엇이 가득히 쌓였는가 하는 것입니다. 곧 우리 마음 깊은 곳에 선을 혹은 진실함을 가득히 쌓으라는 뜻입니다. 그러면『중심에 진실』이란 문제를 생각하고자합니다.
첫째, 중심에 진실한 회개입니다. 하나님은 우리 중심에 진실한 회개를 요구하십니다. 세례 요한이 요단강에서 전파하실 때에 많은 사람들이 나와 죄를 자복하고 세례를 받았습니다. 그 때에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이 역시 나오는 것을 보고 그는 다음과 같은 준엄한 책망을 했습니다.『독사의 자식들아 누가 너희를 가르쳐 임박한 진노를 피하라 하느냐. 그러므로 회개의 합당한 열매를 맺고 속으로 아브라함이 우리 조상이라고 생각하지 말라』이들은 분명히 중심에 진실한 회개가 없이 세례를 받으러 나왔던 모양입니다.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그는 요구하였습니다. 과거의 죄에 대하여 중심에 진실한 회개가 꼭 필요합니다. 하나님이 구하시는 제사는 상한 심령이라고 하셨습니다. 곧 심령 깊은 곳에 죄에 대한 애통과 통분을 의미합니다. 베드로가 예수를 모른다는 죄를 지은 후에 심히 통곡하며 중심에서 회개하였습니다. 참 회개에는 중심에 애통의 눈물이 있습니다. 이 애통의 눈물은 천국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회개는 중심에서 온전히 돌아서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의 죄를 온전히 끊어버리고 방향전환을 의미합니다. 전에는 죄를 사랑하였으나 이제는 중심에서 죄를 온전히 미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우리가 처음으로 믿을 때에 물론 먼저 육에 관한 죄들을 회개하여야 합니다. 술 취하는 것, 음란, 방탕, 등 이것만은 부족합니다.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는 정신적인 죄 곧 교만, 시기, 거짓, 미음 등을 씻어 버려야합니다. 그리스도의 보혈로 씻어 버려야합니다.
시편 二四편 三-四절 말씀에『여호와의 산에 오른 자 누구며 그 거룩한 곳에 설 자가 누군 고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하며 뜻을 허탄(虛誕)한데 두지 아니하며 거짓 맹세치 아니하는 자로다』하나님은 중심에 순결을 요구하십니다. 예수 님도 팔복(八福)을 가르치실 때에『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하셨습니다. 외부만의 회개는 부족합니다. 하나님은 중심에 진실한 회개를 요구하십니다.
둘째, 중심에 진실한 신앙을 가져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 하나 하나에게 중심에 진실한 신앙을 요구합니다.
산산 보훈에서 주님은『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하셨습니다. 또한 구약에는 『이 백성들이 입으로는 나를 부르나 그 마음은 내게서 멀다』하시는 말씀이 있습니다. 야고보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왜 행함이 없는가? 그것은 그 속에 있는 나무 곧 믿음이 죽은 까닭이라고 하셨습니다.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믿음은 반드시 열매를 맺습니다.
우리가 사는 二○세기는 과거 때 보다 더 무신론자 곧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자들과 또 허무주의자 곧 아무 것도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어떤 신학자는 믿기는 믿는다 하는 이들 가운데에도 실상은 무신론자들과 허무주의자들이 있는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곧 관념적으로는, 겉으로는 믿지 만은 실상 그 중심에는 하나님을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사실 천지의 창조자이요, 인간역사의 지배자이요, 우리 하나 하나의 운명을 다스리시는 살아 계신 하나님을 중심에 믿습니까? 그러면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경외하는 태도에 나타납니다. 이러한 이는 죄를 함부로 지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각 마음 중심에 스스로 물어봅시다. 내가 하나님을 더 두려워하는가? 혹은 사람을 더 두려워하는가? 우리가 사실 영혼 불멸을 믿으며 내세를 믿습니까? 천당과 지옥을 믿습니까? 오직 우리를 구원하실 이는 예수밖에 없는 줄 믿습니까? 그 믿음의 진가는 아직도 믿지 아니하는 가족, 친척, 친구에 대한 태도에 나타날 것입니다. 영원한 형별의 길을 걷는 줄 알면서 내가 사랑하는 이들을 심상히 내어버려 둘 수 있습니까? 우리 중심에 진실한 신앙이 있습니까? 살펴보아야 합니다.
어떤 유명한 배우가 이렇게 말하였다고 합니다.「우리는 사실이 아닌 것들을 사실처럼 연극을 해서 사람을 울리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는데 너의 그리스도인들은 가장 엄숙한 사실들을 가지고 무력하게 전도를 하니 웬 일인가? 내가 만일 당신들의 신앙을 가졌다고 하면 하루라도 그냥 앉아 있을 수는 없겠습니다」어떤 분이 수표를 가지고 돈을 찾기 위하여 은행에 갔다가 가짜 수표로 확인되어 돈을 못 찾을 뿐더러 조사만 받게 되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내가 가진 신앙의 중심에 진실한 신앙인가, 혹은 가짜 신앙인가 미리 살펴보아야 이 다음에 천국에 들어갈 때에 낭패가 없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중심에 진실한 신앙을 요구하십니다. 하나님은 중심에 진실을 보십니다.
셋째, 진실한 사랑을 요구하십니다.
요한 복음 二一장 十五절 말씀에 주님께서 디베라 바닷가에서 나타나서 시몬 베드로에게 『요한 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혹은 이것들 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물으셨습니다. 베드로는 곧『주여 그러하외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시나이다』하고 대답하였습니다. 이렇게 세 번째 물으시니 배드로는 근심하여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주여 모든 것을 아시오 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을 주께서 아시나이다』지금 주님은 우리를 향하여 이 질문을 하십니다.『네가 나를 사랑하느냐?』「어느 사람보다, 물건보다도, 무슨 돈, 지위, 향락, 정욕, 세상에 있는 무엇보다도 나를 더 사랑하느냐?」우리가 이 질문에 베드로와 같이 대답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은 우리 마음을 꿰뚫어 보시고 게십니다. 하나님을 속일 수는 없습니다. 이와 같이 대답을 다 할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한 일이겠습니까? 구약에는 우상을 숭배하는 것은 곧 영적 간음이라고 책망하였습니다. 현대에도 아직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우상을 숭배하는 거짓 종교인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상은 보이는 우상만 아니라 무엇이든지 사람이나 물건이나 명예나 지위나 무엇이나 하나님 보다 더 사랑하게 되면 그것은 곧 우상숭배 곧 영적 간음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서 四장 四절에『간음하는 여자들이여 세상과 벗이 되고자하는 자는 스스로 하나님의 원수 되게 하는 것이니라』데마 같은 청년은 수년간 바울을 따라다녔으나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습니다.『내 아들아 네 마음을 달라』고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은 중심에 진실한 사랑을 요구하십니다.
마지막으로 오늘은 현충일입니다. 말만의 애국자가 아니요 문자 그대로 나라를 위하여 생명을 바친 영령들을 추모하며 그 유가족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날입니다. 이 순국 애국자들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우리 하나 하나에게 진실한 애국심을 요구하십니다. 열매 맺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애국심을 요구합니다. 부정과 부패는 일소하고 악한 공산주의 사상을 몰아내고 우리 민족이 다 같이 잘 살고 자유롭게 살 수 있는 통일된 민주 건국을 요구합니다. 공무원뿐만 아니고 우리 국민 하나 하나의 마음 깊은 곳에 애국심을 요구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주를 위하여 문자 그대로 생명을 바친 수많은 남북한의 순교자들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이 거룩한 순교자들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하여 봅시다. 중심에 진실한 신앙과 사랑으로서 우리 온 민족을 주께로 인도하여 이 땅에 과연 그리스도의 나라를 건설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중심에 진실한 신앙, 사랑, 봉사, 전도를 요구합니다.
오늘은 본 교육부에서 또한 꽃 주일로 어린이주일로 지킵니다. 어린이에게도 가장 중요한 것은 중심에 진실입니다. 우리는 이들을 진실한 사람들로 길러야 합니다. 진실한 신앙과 사랑을 넣어 주어야 합니다. 이것은 그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들은 말할 것도 없고 모든 교사들과 우리 어른들이 진실로 모범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내게 없는 것을 어린이들에게 줄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하나 하나가 중심에 진실한 회개, 사랑, 믿음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중심에 진실함을 원합니다. (一九七一년 六월 六일)
?-9 탄식과 대망의 세계 (로마서 八장 十八-三十절)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 하는 것을 우리가 아나니 이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구속을 기다리느니라』(롬 八·二十二- 二十三)
본문 말씀 중『탄식』이란 말씀이 로마서 八장 二二절 二三절 二六절에 있습니다.『고대』『기다린다』 이 말씀은 十九절 二三절 二五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첫째, 피조물의 탄식과 대망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 하는 것을 우리가 아나니』여기에 피조물이란 뜻은 자연계 곧 생물과 무생물계를 의미함인 줄 생각합니다. 자연계를 두 가지방면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피상적으로 또 하나는 그 내면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피상적 자연계를 볼 때에 자연계는 아름다워 보이고 평화로운 듯합니다. 그러나 그 내면을 통찰하면 모순이 있고 탄식이 있습니다.
현재 자연계에는 에덴 동산이 아닙니다. 창세기 三장 十七절의 말씀대로 인간이 죄를 지은 후에 땅도 같이 저주를 받았습니다. 녹음방초(綠陰芳草)만이 아니라 가시덤불 엉겅퀴가 납니다. 그 속에는 약육강식의 처참한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약자의 비명과 탄식소리가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고 개구리는 파리를 잡아먹고 새들은 벌레를 먹으며 송충(松蟲)은 아름다운 소나무를 깎아먹어 말리 워 버립니다. 호랑이는 사슴을 잡아먹고 고양이는 쥐를 잡아먹고 거미는 하루살이를 잡아먹습니다. 자연계는 문자 그대로 피묻은 발톱과 피묻은 이빨의 세계입니다. 비명과 탄식으로 가득합니다.
또 우리가 사는 이 지구는 모순으로 가득합니다. 때로는 지진이 일어나고 화산이 폭발하고 폭풍우와 노도와 뇌성 벽력과 해일이 일어납니다. 탄식의 대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국의 많은 황폐한 강산은 인간의 학대로 탄식의 소리가 그치지 않고 금수의 남획으로 새들과 짐승도 탄식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심지어 지금은 다람쥐까지의 수난시대로서 그 탄식의 소리는 신문지에까지 나타납니다.
왜 자연계는 이렇게 되었습니까?
이것은 다 인간의 죄의 결과라고 성경은 지적합니다. 그러므로 이 피조물들은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기를 고대합니다. 썩어짐의 종노릇하는데서 해방이 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이 영광의 자유에 이르기를 대망 합니다. 우주만물이 전 인류가 회개하기를 기다립니다. 개구리의 최후 비명 속에는『인간들이여! 어서 속히 회개하라』의 비정 처참한 호소가 숨어 있습니다. 모든 인간이 회개하여 새 세계가 될 때에는 피조물까지도 변화되어 진정한 평화의 자연계가 될 것입니다.
이사야 十一장 六절에 다음과 같이 예언하였습니다.『그 때에 이리가 어린양과 함께 거하며 표범이 어린 염소와 함께 누우며 송아지와 어린 사자와 살찐 짐승이 함께 있어 어린아이에게 끌리며 암소와 곰이 함께 먹으며 그들의 새끼가 함께 엎드리며 사자가 소처럼 풀을 먹을 것이며 젖 먹는 아이가 독사의 구멍에서 장난하며 젖뗀 어린아이가 독사의 구멍에 손을 넣을 것이라 나의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됨도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니 이는 물이 바다를 덮음 같이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입니다』
둘째, 인류의 탄식과 대망
여기에 대하여는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다 경험으로 알고 있듯이 탄식하여 보지 않은 이가 있습니까? 한숨쉬어 보지 않은 이가 있습니까? 아침저녁으로 신문 볼 떼에도 계속하여 탄식합니다.
형사 셋이 공모하고 압수한 밀수 금괴를 다 가지고 달아났습니다. 국민학교 교장, 교감 자격시험에도 부정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 사람을 치우고 달아난 뺑소니 운전사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저 탄식 없이 신문을 볼 수 없을 지경입니다.
탄식의 소리는 어디에서나 들립니다. 농촌에 가면 농민의 탄식, 어촌에 가면 어민의 탄식, 소도시에 오면 도시인의 탄식, 오막살이 집안에도 탄식이 있는 가하면 고루(高樓)거각(巨閣)에도 역시 탄식소리가 흘러나옵니다. 아내는 아내로의 탄식, 남편은 남편으로서의 탄식, 며느리는 며느리로서의 탄식, 시어머니는 시어머니로서의 탄식, 부모의 탄식이 있는가하면 자녀의 탄식 소리도 굉장히 높습니다. 공장에 가면 노동자는 노동자로서의 탄식, 또 경영주는 경영주로서의 탄식,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탄식이 있는가 하면 교사는 교사로서의 탄식이 적지 않습니다. 일전에 어떤 야당국회위원을 만났더니 야당의 탄식이 굉장합니다. 아마 여당은 여당으로서의 탄식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三八선으로 말미암아 탄식이 그치지 않습니다. 공산당 압박 밑에서 신음하는 북한 동포들의 탄식이야 말하여 무엇하겠습니까! 삼천리강산은 탄식 소리로 하늘에 사무쳤습니다.
어느 나라에 가도 탄식 소리는 여전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강하고 가장 부한 나라라는 미국에 가도 인종문제, 범죄문제, 히피문제 등 여러 탄식소리가 상당히 높습니다. 인도에 가보니 그 나라에도 거지가 너무 많아서, 문맹이 너무 많아서, 거리에 소 때가 너무 많아서, 또 요사이는 콜레라가 유행이어서 그저 탄식 소리뿐입니다. 파키스탄 같은 나라는 폭풍우와 해일로 큰 재난을 겪더니 다시 동파키스탄에 독립운동으로 탄식 소리는 더욱 높아가고 있습니다. 중동문제, 월남문제 등 말할 것도 없습니다. 세계 어느 나라나 겉으로는 평온한 듯 하지만 그 속에 탄식 소리는 하늘에 사무칩니다. 하물며 철의 장막 배후에 있는 국민들의 신음과 탄식의 소리는 말하여 무엇하겠습니까?
다시 말하면 우리가 사는 二○세기 하반기는 과학 문명의 발전으로 공중에는 제트기가 날고 인공위성이 지구를 수 없이 돌고 있으나 전 인류는 불안과 공포와 압박 가운데서 신음과 탄식 소리를 연발하면서 피조물과 꼭 같이 하나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고대합니다. 썩어짐에 종노릇하는 데서 해방되어 영광의 자유에 이르기를 대망하기를 원합니다. 과학을 통하여 인류에게 부여된 그 많은 지식과 기술, 그 엄청난 에너지 곧 능력을 인류의 행복과 자유를 위하여 쓸 줄 아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고대합니다. 진정한 정신혁명을 통하여 공의와 평화의 세계를 이룩할 수 잇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셋째, 二三절에 이러한 말씀이 있습니다.『이 뿐이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을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며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구속을 기다리느니라』
우리 믿는 이들은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로서 우리의 심령이 구원 얻음이 틀림없습니다. 우리는 문자그대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육신은 변하여 새 몸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신자들에게도 또한 탄식이 있습니다.
우리가 이 세상에 생존하는 동안은 육신으로 활동하며 살아갑니다. 우리의 육신은 약하며 이 육신으로 말미암아 허물과 죄가 늘 우리를 따라다닙니다. 원치는 않으나 제자들이 겟세마네 동산에서 잠을 잤습니다. 원치는 않았으나 베드로는 세 번 주님을 모른다고 부인했습니다. 사도 바울도『오호라 나는 곤고(困苦)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하고 탄식하였습니다. 성도의 탄식이 여기에 있습니다. 원하는 선은 행치 못하고 원치 않는 악을 행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늘 탄식하게 됩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사실 육체를 통하여 오는 여러 가지 고통이 많습니다.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또 여러 가지 질병이 많습니다. 바울에게도 몸에 가시가 있었습니다. 칼빈도 항상 몸의 고통을 느끼면서 일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월버 포스(Wilber Force)같은 이는 거이 늘 누어서 주사로 고통을 억제하면서 일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우리 교우 중에도 풍으로 혹은 다른 질병으로 누어서 사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들도 탄식합니다.
우리 육체는 나이 많아 가면서 점점 쇠퇴하여 갑니다. 고통이 따르게 됩니다. 그리하여 어떤 자매의 말씀과 같이 늙어갈수록 다리도 아프고, 허리도 아프고, 사방이 쑤시게된다고 합니다. 여기에 성도의 탄식이 있습니다.
성경의 말씀과 같이 사람의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손으로 지은 영원한 집 곧 신령한 몸을 고대하게 됩니다. 고린도 전서 十五장 四二절 이하의 말씀과 같이『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며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며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사나니 육의 몸이 있은 즉 또 신령한 몸이 있느니라』곧 이 신령한 몸을 우리 성도들은 대망 합니다.
넷째, 성령의 탄식과 대망
로마서 八장 二十六절 말씀에『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강구하시느니라』여기 성령의 탄식이 있습니다. 이 탄식은 모든 탄식을 그치게 하는 탄식들입니다 곧 성령이 우리를 위하여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친히 강구합니다. 우리가 늘 기도하나 사실 우리는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우리의 장래를 모릅니다. 현재 무엇이 필요하나 장래에 필요한지를 모릅니다. 또 하나는 우리는 무엇이 우리에게 최선이 될지를 모릅니다. 그러므로 잘못 구할 때가 많습니다. 성령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기도하여 주심으로 우리의 대망 하는 것을 이루어 주십니다.
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것은 자연계, 전 인류, 모든 신자, 성령까지도 탄식을 그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탄식은 헛된 탄식이 아니고 해산의 수고로 오는 창조적 탄식입니다. 이 탄식을 통하여 하나님의 자녀가 나타나게 되고 대망 하는 새 세계는 결국 오고야 말 것입니다. 이 탄식과 대망이 꼭 이루어질 것을 성경은 우리에게 확언합니다. 골로세 三장 四절에는『우리 생명이신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그 때에 너희도 그와 함께 영광 중에 나타나리라 』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내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은 줄을 아는 것은 그의 게신 것을 그대로 볼 것을 인함이니』곧 우리 주님이 다시 나타나실 때에는 우리 성도들이 구원이 완성되어 대망 하던 소망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요한 계시록 二十一장 五절에『보좌에 앉으신 이가 가라사대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하셨습니다. 계시록 二十一장 一절에는『또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말씀하셨습니다. 곧 하나님께서는 모든 피조물과 전 인류와 모든 성도와 성령이 다 같이 탄식하며 대망 하는 전 인류의 구원과 전 세계의 구원을 완성시켜 줄 것입니다.
우리는 이 소망을 가지고 이 탄식의 세계 가운데서 담대히 살며 복음을 전파하여야 합니다. 기독교의 우주관은 비판도 아니요 낙관도 아닙니다. 원자탄으로 잿더미가 될 세계도 아니요 광명과 자유와 평화의 새 하늘과 새 땅입니다. (一九七一년 六월 一三일)
?-10 너희 자신을 시험하라 (고린도 후서 十三장 五- 十三절)
『너희가 믿음에 있는가 너희 자신을 시험하고 너희 자신을 확증하라』(고후 十三·五)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인에게 주신 교훈 중의 한마디입니다. 이 교훈은 언제나 어느 교인들에게나 적절한 교훈입니다 우리는 물건을 살 때에도 잘 시험하여 보아야 합니다. 사람을 쓸 때에도 잘 시험하여 보고 난 후에 써야 합니다. 그러나 내 자신을 시험하여 보는 것은 흔히 등한히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더 필요합니다. 주님도 산상보훈에서『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잇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 하느냐?』고 경고하였습니다. 누구나 자기자신을 세 가지 방면으로 시험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네 자신을 아는가 시험해 보아야 합니다.
① 옛날 헬라 철학자들이 청년들에게 항상 충고한 말 중 의 하나는『네 자신을 알라』또한 옛날 동양 성현들의 말씀에도 지기지피면 백전백승(知己知彼 百戰百勝)이라 했으며 오일삼성오신( 吾日三省吾身)이라 했습니다.
② 자신의 건강도 바로 알고 살아야 합니다.
어떤 이는 결핵, 암, 고혈압 같은 중병이 있는 데도 모르고 살다가 갑자기 봉변을 당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때때로 종합진단을 받음이 매우 필요합니다.
③ 마찬가지로 내 자신의 영적 상태를 바로 아는 것이 매우 필요합니다. 본문 말씀에 『너희가 믿음에 잇는가 너희 자신을 시험하고 너희 자신을 확증하라』고 권고합니다.
우리는 사도신경을 외옵니다. 우리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습니다. 그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성령도 믿습니다. 그 밖의 여러 성령의 진리를 믿습니다. 우리는 사실 이 모든 진리를 믿습니까? 우리 중심에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이 있습니까? 내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 성령의 증거가 있습니까? 믿음의 열매가 있습니까? 생활에 변화가 있습니까? 마음에 기쁨과 화평(和平)이 있습니까? 어떤 아들이 자기 아버지에 대하여 이런 말을 했다고 합니다.『우리 아버지는 교회에 나가지만 믿음은 없어요』이런 말을 듣는 어버이는 없습니까? 이런 말도 흔히 들립니다.『아무 부인은 교회에 나가나 그 며느리에게 대하여 하는 행동을 보면 믿는 것 같지 않다』믿음이 있는가 자신을 시험하여 봅시다.
④ 우리는 자신은 하나이나 세 가지 방면에 견해가 있음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 내가 보는 내 자신의 견해
㉡ 다른 이가 보는 내 자신의 견해
㉢ 하나님이 보는 내 자신의 견해
나는 내 자신을 잘못 보기 쉽습니다. 되지 못하고 된 줄로 알기 쉽습니다. 다른 이가 내 자신을 나보다 더 바로 볼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다른 이의 견해도 잘못 될 수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내 자신을 어떻게 보시는가 하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 앞에서 내 자신을 시험해 보아야 합니다. 시편 一三九편 三三 절에 다윗은 이렇게 기도했습니다.『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 내게 무슨 악한 행위가 있나 보시고 나를 영원한 길로 인도하소서』하나님 앞에서 나 자신을 시험해야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내 자신을 직면해야 합니다. 아침과 저녁으로 기도와 반성이 필요합니다. 내 자신을 알고 회개할 것을 회개하여야 합니다.
둘째, 네 자신을 다스리는가 시험해야 합니다. 잠언 十六장 三十二절 말씀에『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자신을 제어할 줄 알아야 합니다. 원수에게 패망한 자의 무덤보다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여 스스로 패망한 자의 무덤이 더 많을 것입니다. 사도 바울도 고린도 전서 九장 二十五절 말씀에『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모든 일에 절제하나니 저희는 썩을 면류관을 얻고자 하되 우리는 썩지 아니할 것을 얻고자 하노라』여기에 절제란 말은 곧 자신을 다스린다는 말입니다. 또 二 十七절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될까 두려워함이로다』했습니다.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되지 않기 위하여 그는 자기 몸을 쳐 복종케 하였습니다. 곧 자신을 다스린 것입니다. 자신의 제어가 신앙생활은 물론, 어느 방면에서나 성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몇 가지 방면에서 특별히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一, 자신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욕망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곧 식욕, 정욕, 물욕, 권세욕, 허영심입니다. 잠언 二十五장 十六절『너는 꿀을 만나거든 족하리만큼 먹으라 과식함으로 토할까 두려우니라』꿀이 아무리 달아도 과식하면 안됩니다. 자신의 식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잠언 二十三장 二十九-三十二절『재앙이 뉘게 있느뇨 근심이 뉘게 있느뇨 분쟁이 뉘게 있느뇨 원망이 뉘게 있느뇨 까닭 없는 창상이 뉘게 있느뇨 붉은 눈이 뉘게 있느뇨 술에 잠긴 자에 있고 혼합한 술을 구하려 다니는 자에게 있느니라 포도주는 붉고 잔에서 번쩍이며 순하게 내려가나니 너는 그것을 보지도 말지어다 이것이 마침내 뱀같이 물 것이요 독사같이 쏠 것이며』이러한 말씀이 있습니다. 자신의 식욕을 다스릴 줄 알아야합니다. 신문에 보니 작년 일년간 우리 나라의 유흥비 총액은 九三○억 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신문에 발표된 것을 보니 담배를 피우는 이들에게는 폐암 발생률이 二○배나 넘는다고 합니다. 또 어느 일본 학자는 담배가운데서 다른 어떤 독소를 발견하였다고 보도되었습니다. 그런데도 청년 학생들까지도 술과 담배는 그냥 마시고 피웁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식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정욕에 대하여는 말 할 것도 없습니다. 로마서 十三장 十三절에『낮에와 같이 단정히 행하고 방탕과 술 취하지 말며 음란과 호색하지 말며 쟁투와 시기하지 말고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이조 시대에 소위 궁중에는 수다한 궁녀들이 있었는데 임금의 첩은 소위 후궁이니 무엇이나 하여 여덟 가지 종류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한국에 소위 궁중은 음란하고 부패했습니다. 궁중뿐이 안이라 소위 동방 예의지국이란 한국의 유교 사회는 소위 출세한다는 사람은 첩 없는 사람이 없으리만큼 음탕하였습니다. 우리는 부끄러움이 있는 사회에서 또 퇴폐한 외래 풍조가 물결처럼 밀려오는 이런 시대에서, 자신의 모든 욕망을 바로 다스리며 깨끗한 생활로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합니다. 또 성경은 안목의 정욕을 항상 경계했습니다. 사치, 유행, 퇴폐적인 사회 풍기 속에서 의복, 음식, 기타 모든 생활에 있어서 나 자신을 바로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二, 자신의 감정도 바로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잠언 十四장 十七절『노하기를 속히 하는 자는 어리석은 일을 행하고』시편 三十七펀 八절에는『분을 그치고 노를 버리라 불평하지 말라 행악(行惡)에 치우칠 뿐이라』헬라의 알렉산더 대제가 일시 분노를 참지 못하여 자기 일생의 친구며 가장 유능한 대장인 클리터스(Clitus)를 죽인 후에 얼마나 탄식하였는가는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그는 당시의 천하를 정복하였으나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여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인간의 감정, 곧 희로애락(喜怒哀樂) 모든 방면에서 그리스도인은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특별히 분노와 슬픔도 참을 줄 알아야 합니다.
三, 성경은 혀를 다스리라고 경고합니다. 시편 三十四편 十三절『네 혀를 악에서 금하며 네 입술을 궤사(詭詐)한 말에서 금할지어다』 잠언 十三장 三절『입을 지키는 자는 그 생명을 보존하나 입술을 크게 벌리는 자에게는 멸망이 오느니라』야고보는 혀는 곧 불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운전사가 잠시라도 그 차를 다스리지 못하면 어떠한 사고가 일어날는지 모릅니다. 우리 하나 하나는 나 자신이 차의 운전사입니다. 나 자신을 언제나 꼭 다스려야 합니다.
셋째, 네 자신을 부인하는가 시험해 보아야 합니다. 마태복음 十六장 二十四절에 주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쫓을 것이니라』또 누가복음 十四장 二十六절『무릇 내게 오는 자가 자기 부모와 처자와 형제와 자매와 및 지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아니하면 능히 나의 제자가 되지 못하고』곧 자신을 부인하라는 뜻입니다. 로마서 八장 十三절『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라』자신의 부인을 의미합니다. 사도 바울은 자기의 신앙경험을 갈라디아 二장 二○절에 기록하였습니다.『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가운데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다시 말하면 사도 바울은 그 옛 자신은 아주 죽고 그리스도께서 그 안에 사는 것입니다. 참된 의미에서 신앙생활이란 자기 중심에서 벗어나 그리스도 중심의 생활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생활이 자기 중심인가 혹은 그리스도 중심인가 시험하여 봅시다. 참 신앙 생활이란 자신을 부인하고 그리스도를 중심에 모신 생활입니다. 같은 사업을 하나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하여 다른 한 사람은 그리스도를 위하여 합니다. 같은 봉사를 하되 하나는 자기를 위하여 하나는 그리스도를 위하여 합니다. 이것이 곧 자기를 부인하는 참 그리스도인의 생활입니다. 이런 이들은 범사에 하나님의 나라와 그 의를 먼저 구합니다. 그 자신이 소유한 재능, 시간, 물질을 주를 위하여 바칩니다. 참 신앙생활은 그 자신을 아는 생활, 자신을 다스리는 생활, 자신을 부인하는 생활입니다.
이것은 내 힘으로는 물론 불가능합니다. 중심에 그리스도를 영접하면 그리스도 안에서 능치 못할 것이 없습니다. 그리스도로 충만한 생활, 여기에 참 신앙의 비결이 있습니다.
?-11 조용한 혁명 (마태복음 十三장 三十一- 四十三절)
『또 비유로 말씀하시되 천국은 마치 여자가 가루 서말 속에 갖다 넣어 전부 부풀게 한 누룩과 같으니라(마 十三·三十三)
마태복음 十三장에는 여러 가지 비유들이 있습니다
씨뿌리는 비유. 겨자씨 비유, 좋은 곡식과 가라 지의 비유, 감 추인 보화의 비유, 그리고 누룩의 비유가 있습니다. 이 모든 비유들은 당시 사람들이 흔히 보는 자연계의 현상이나 혹은 일상생활의 경험에서 온 것들입니다. 이 누룩의 비유는 유대인 가정에서 늘 보는 현상입니다. 우리 한국에서는 누룩이 없는 떡을 만듭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떡을 만들라면 먼저 가루 속에 누룩을 넣고 반죽을 하고 몇 시간 기다려서 그 반죽이 다 부풀어 오른 후에 그 떡을 난로 속에 넣어 굽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이 누룩이 어떻게 가루 속에서 부푸는 이치를 잘 알고 있습니다. 누룩은 가루 속에 숨어서 조용히 일 합니다. 조용한 가운데 온 가루 속에 침투하고 터지며 온 가루를 변하게 합니다. 부드럽게 합니다. 성경을 보면 누룩은 악의 상징으로 사용된 때도 있습니다. 예수 님께서도『바리세인의 누룩을 삼가라』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선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곧 천국의 진리를 의미합니다. 천국의 진리가 조용한 가운데 인간 심령 속에 전 생활을 변하게 하는 깊은 뜻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현대에서 많이 들리는 말 가운데『혁명』이란 말이 있습니다. 혁명하면 흔히 데모, 폭동, 방화, 살인 등 폭풍우를 연상하게 합니다. 사실 이러한 혁명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혁명이란 이런 방법으로만 오는 것은 아닙니다. 조용한 중에 일어나는 혁명이 또한 있습니다. 사실 혁명 가운데는 두 가지 종류의 혁명이 있습니다. 하나는 분주한, 요란한 혁명, 또 하나는 조용한 혁명입니다. 기독교는 조용한 혁명의 종교입니다. 우리 주님은 누룩의 비유를 통하여 기독교의 조용한 혁명의 원리를 가르쳐 주십니다 조용한 혁명의 교훈을 통하여 이 시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자연계의 현상을 조용히 살펴보면 하나님께서는 조용한 가운데 큰 혁명을 가져오십니다.
봄은 조용히 옵니다. 따뜻한 양기가 대지를 비출 떼에 싹이 나고 꽃이 피고 새가 울고 온 땅에는 새로운 생명이 약동하게 됩니다. 이렇게 조용한 가운데 큰 혁명이 자연계에 이루어집니다. 여름도 조용히 옵니다. 만물이 성장합니다. 녹음방초가 무성합니다. 곡식이 자랍니다. 열매가 맺습니다. 그리고 가을도 조용히 옵니다 곡식이 조용한 가운데 누렇게 익고 과실이 붉어지고 단풍이 아름답게 듭니다. 나뭇잎이 사뿐 사뿐 땅에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겨울도 조용히 옵니다. 눈송이가 조용히 솜처럼 땅을 덮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하나님은 조용한 가운데 자연계에서 큰 혁명을 일으키기 시작합니다. 사실 자연계에는 폭풍우나 지진 같은 요란한 혁명보다 조용한 혁명이 더 큰 결과를 가져옵니다.
둘째, 하나님께서는 영적 세계에서도 조용한 가운데 큰 혁명을 일으키십니다.
조용한 가운데서 청년 아브라함을 불러 가나안으로 인도하여 만민에게 미칠 큰 축복의 준비를 하셨습니다. 조용한 성전 안에서 청년 이사야를 불러 깨끗하게 하시고 위대한 선지자의 사명을 맡기셨습니다. 조용한 시내산 기슭에서 청년 모세를 불러 그 백성을 영적으로 또는 육 적으로 구원하는 위대한 사명을 맡기셨습니다. 역시 조용한 가운데서 소년 예레미아를 불러 위대한 눈물의 사자로 삼으셨습니다. 또한 조용한 중에서 하나님께서는 유다 땅 베들레헴에서 동정녀 마리아를 통하여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시어 만민의 구주로 삼으셨습니다. 주님으로 말미암아 일어난 천국운동은 조용히 갈릴리 해변에서부터 시작되어 예루살렘과 온 유다 와 사마리아와 아니 전세계에 전파되어 세계역사에 큰 혁명을 가져오게 했습니다. 이렇게 하나님은 조용한 가운데 큰 혁명을 가져오게 합니다.
셋째, 누룩은 조용한 가운데 역사 합니다. 보이지 아니하는 가운데 속에서 펴집니다.
주님은 일찍이 말씀하시기를『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나라는 너의 안에 있느니라』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우리 안에 있어야 합니다. 시편 四六편 一○절 말씀에『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 찌어다』조용한 가운데 하나님을 직면하해야 합니다. 엘리아가 호렙산에 있을 때에 산을 가르고 바위를 부수는 강한 바람도 보았고 온 땅을 움직이는 지진도 보았고 지진 후에 큰불도 보았으나 그 가운데서 그는 여호와를 만나지 못 했습니다. 그 후에 세미한 소리를 들었습니다. 곧 조용한 가운데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조용한 가운데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합니다.
성령의 역사는 보이지 아니하는 인간 심령 속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 거듭나게 하시는 것입니다 조용한 가운데 이루어지는 중생의 체험이 필요합니다. 그리스도의 복음을 우리가 중심에 받고 그리스도의 말씀을 우리 마음에 참으로 받아들이면 조용한 중에 마음의 혁명이 일어납니다. 죄를 회개하게 합니다. 더럽던 마음이 깨끗하여 집니다. 강퍅하던 마음이 부드러워 집니다. 교만한 마음이 겸손하여 집니다. 거짓된 마음이 참되어집니다. 미움과 시기는 사라지고 긍휼(矜恤)과 사랑으로 충만하여 집니다.
여러분 마음속에 이 조용한 혁명이 이루어졌습니까? 먼저 우리 하나하나 의 마음속에 조용한 혁명이 반드시 일어나야 합니다. 이 혁명은 모든 다른 혁명의 기초가 됩니다. 이런 인간의 혁명이 이루어질 때에 모든 다른 방면에도 혁명이 따라오게 됩니다. 우리 가정에도 이런 조용한 혁명이 오게 됩니다. 이런 혁명을 체험한 이들을 통하여 전 사회에도 혁명이 침투하게 됩니다. 정치, 경제, 사회 모든 방면에 조용한 혁명이 이루어질 때 부정 부패는 자연히 사라지고 사회는 명랑하고, 깨끗하고, 화평하고, 아름답게 될 것입니다. 우리의 우방 미국사회도 제가 듣는 대로 매우 소란합니다. 월남 문제, 인종문제, 히피문제, 학생의 난동 등 매우 사회상태는 불안합니다.
그러나 내가 얼마 전에 어떤 잡지를 보니 미국 사회 안에서 이곳 저곳 각계 각층에서 조용한 혁명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것은 곧 예수 혁명이라고 합니다. 이 조용한 혁명운동은 대학 캠퍼스에서 거리에서 상점에서 동, 서, 남, 북, 도처에서 혁명운동은 일어나고 퍼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미국의 소망입니다. 미국이 아직도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나라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이런 혁명이야말로 모든 나라의 소망이요 우리 한국의 소망입니다.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가 사는 七○년대는 어떤 시대입니까? 요사이 갑자기 동서 화해 무드가 일어나서 세계 사람들로 하여금 놀라게 할 정도입니다. 우리가 기억 할 것은 몇 정치가들이 피차에 내왕한다고 장래가 반드시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도행전 二十七장을 읽어보면 바울이 탄 배가 그레데 항을 떠날 때에 처음에는 남풍이 순하게 불어서 득의 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조금 있다가 유라굴로 라고 하는 큰 태풍이 불어와 얼마나 고난을 겪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상한 것은 우리가 역사를 볼 때에 어떤 때에는 큰 폭풍우 전야가 오히려 조용합니다. 세계 장래는 문자 그대로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때일수록 우리 하나 하나가 먼저 내 자신 속에 그리스도를 참으로 영접하여 새 사람이 되고 각기 내 직장에서 내 책임을 바로 감당하여야 합니다. 허영, 사치, 향락, 음란 모든 퇴폐(頹廢)한 기풍을 일소하고 문자그대로 정신 혁명을 일으켜야합니다. 정신 혁명이란 신문사설, 강연 몇 번으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참으로 우리가 각각 과거의 내 죄를 회개하고 해이하고 세속적인 사상과 습성을 일소하고 새 생활을 해야 합니다. 이것은 오직 그리스도를 참으로 중심에 영접함으로 시작됩니다. 이것이 구원의 길이요, 내 가정을 구원하는 길이요, 파도 높은 역사의 물결에서 우리 민족과 국가를 보존하는 길입니다. 여러분, 여러분의 중심에 이 조용한 혁명이 있습니까?
그리고 주님은 말씀하십니다.『너희는 세상의 빛, 세상의 소금』이라고 하셨습니다. 내 자신 속에 이 조용한 혁명이 있는 후에야 빛이 되고 소금이 될 수 있습니다. 빛도 조용한 중에 비칩니다. 소금도 조용한 중에 역사 합니다. 소리도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내 자신 속에 조용한 혁명을 체험한 이는 어디 가든지 조용한 혁명가가 됩니다 혁명을 일으킵니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혁명가입니다. 먼저 우리 자신 속에 조용한 혁명을 일으키고 또 우리 사회 속에 조용한 혁명을 일으킵시다. 이것이 내 자신도 구하고 내 나라도 구하는 유일한 길입니다. (一九七一년 七월 十八일)
?-12 한국 기독교인의 자세 (디모데 전서 三장 十四-十五절 四장 六-十 六절)
『만일 내가 지체하면 너로 하나님 집에서 어떻게 행하여야 할 것을 알게 합이니 이 집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진리의 기둥과 터이니라』(딤전 三·十五)
이 말씀에서 사도 바울은 본 디모데 전서를 쓰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디모데로 하여금 하나님의 집에서 어떻게 행하여야 할 것을 알게 하고자 합니다. 하나님의 집에서 어떻게 행 할 줄을 아는 것은 매우 필요한 것입니다. 이 시간 기독교인의 자세 특히 이 시대에 처한 한국 기독교인의 자세를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 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집에서 옳게 행하려고 하면 먼저 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집은『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진리의 기둥과 터』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교회는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입니다. 비록 인간이 모이나 인간의 교회는 아닙니다. 하나님의 교회입니다.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입니다. 요사이 어떤 못된 사람들의 말과 같이 하나님은 죽은 하나님이 아닙니다. 살아 계신 하나님입니다. 교회는 이처럼 살아 계신 하나님의 집인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에베소서에 있는 말씀과 같이 교회는 하나님의 성전이요 그리스도께서 그 머리 돌이 되시고 선지자들과 사도들이 그 기초 석들이 됩니다.
그뿐 아니라 교회는 진리의 기둥과 터라고 했습니다. 기둥은 지붕을 받치고 섭니다. 또 그 터는 그 기둥들을 또한 받칩니다. 기둥과 터가 튼튼할 때에 집은 튼튼합니다. 교회는 진리를 뒷받침하는 거룩한 기관이요 진리를 수호하는 중요한 역할도 합니다. 교회는 하나님, 우주, 인간, 구원, 영생, 천국 등의 영원한 진리를 뒷받침하고 그 수호하는 하나님의 거룩한 기관입니다.
갈라디아 四장 二十六절, 히브리 十二장 二十二절 등에 보면 교회는 새 예루살렘 혹은 하늘의 예루살렘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임재하시고 교회 안에서 하나님과 인간이 서로 교통하는 거룩한 진리를 표현합니다.
에베소서 一 二十三절 고린도 전서 十二장 二十七절 등에 보면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교회는 그리스도를 중심 한 한 유기체로써 교인들은 그 몸의 지체인 것입니다. 요한 복음 三장 二十九절 요한계시록 二十一장 二절 등에 보면 그리스도의 신부라고 하였습니다. 이 표현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얼마나 사랑하신 그 십자가의 사랑을 의미하며, 또한 교회는 순결해야 하며 일편단심으로 그리스도를 사랑하고 그리스도를 기쁘게 하고 그리스도를 봉사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회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집, 진리의 기둥과 터입니다.
둘째, 기독교인에 대란 올바른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교회에 대한 성서의 교훈을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교인에 대한 성서의 교훈을 배워 교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청됩니다.
① 우리가 어떻게 교인이 되었는가 로마서 八장 三十절을 읽어봅시다.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하시고 의롭다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주의하여 들으시기 바랍니다.『미리 정하신 그들을』곧 예정을 의미합니다. 미리 택함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기독교인 된 것은 우연히 된 것은 아닙니다. 만세 전부터 하나님의 예정으로 된 것입니다. 이것이 성경의 분명한 교훈입니다.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곧 하나님의 성소(聖召)를 의미합니다. 시기와 형편은 다르나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교인이 된 것입니다.
『그들을 의롭다 하시고』그 뜻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불러 성령의 감화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 십자가의 보혈로 죄 사함을 받아 하나님께로부터 의롭다 하심을 얻은 것입니다. 그 후에 어떻게 되었습니까?
②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고 하셨습니다.
그 뜻은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권속이 되었습니다. 곧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얼마나 영광스러운 일입니까? 자녀가 되었으면 후사요 그리스도와 함께 후사가 되었습니다.(롬·八장 十七) 곧 그리스도와 같이 모든 축복을 금생(今生)과 내생에 받습니다. 하나님의 성전에 한 돌들이 되었습니다. 우리 교인 하나 하나로 하나님의 성전에 쌓아 올려지는 것입니다.
그뿐 아닙니다 거룩한 새 예루살렘의 시민이 되었습니다. 곧 우리들은 하늘 나라의 시민권을 가졌습니다. 비록 죄 많은 세상에 우리 몸은 살고 있으나 우리의 심령은 실상 하늘 나라의 시민이 되었습니다.
그뿐 아닙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에 한 지체가 되었습니다. 깊은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몸에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에게 온전히 속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라는 큰 포도나무에 우리 하나 하나는 가지들이 된 것입니다. 심오한 의미에서 그리스도와 우리는 하나가 된 것입니다. 또 우리 하나 하나가 서로 하나가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교인들을 성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빛이라고 하였고 소금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셋째, 우리 기독교인이 교회의 한 분자가 되었은즉 우리의 자세가 어떠하여야 되겠습니까? 특별히 七○년대에 처한 한국 기독교인들의 자세가 어떠하여야 하겠습니까?
① 말씀 중에 제일 여러 번 쓴말이『거룩』이란 말인 것입니다. 거룩한 하나님, 거룩한 교회, 성도 곧 거룩한 무리, 우리는 먼저 이 거룩한 말의 뜻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거룩하다」는 히브리말의 근본 뜻은「벤다」라는 뜻입니다. 칼로 무엇을 자른다는 뜻입니다. 곧 잘라지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성별의 의미입니다. 이 세상에서 갈라내어 하나님께 바침이 되었다고 하는 뜻입니다. 가령 예배당을 성전이라고 합니다. 이 예배당을 지은 돌과 나무가 다른 돌과 나무와 다르다는 뜻은 아닙니다. 조금도 다름이 없으나 이 집은 하나님을 위하여 거룩이 구별되어 하나님께 받침 바가 된 까닭입니다. 성경은 언제나 성전을 더럽히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예수 님께서도 예루살렘 성전에서 팔고 사는 무리들을 내어쫓아 성전을 깨끗이 하였습니다. 팔고 사는 행위가 다 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성전 뜰에서는 용납 될 수 없습니다. 그 까닭은 성전은 하나님께 예배하고 만민이 기도하기 위하여 성별 된 까닭입니다. 이 진리는 옛날이나 오늘이나 꼭 같이 적용됩니다. 다른 곳에서는 혹 용납 될 수 있으나 교회나 기도하기 위하여 성별 된 기도원에서는 용납되지 못할 행동들이 많습니다.
② 우리 교인들을 성도 곧 거룩한 무리라고 합니다. 그 뜻은 우리 교인들은 거룩이 구별되어 하나님께 바친바가 된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믿지 아니하는 세상 사람들에게는 상관이 없으나 우리 교인에게는 용납되지 않는 일이 많습니다. 성경은 너희는 이 세상을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여 살라고 했습니다. 또한 성경은『너희는 이 세상이나 이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하지 말라 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속에 있지 아니하니 이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 좇아 온 것이 아니요 세상으로 좇아 온 것이다』고 경고하였습니다. 사도 바울은 피할 것은 피하고 좇아 갈 것을 좇아가라고 하였습니다. 육체에 속한 일은 피해야 합니다. 갈라디아 五장 十九절에 기록된 대로『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우상 숭배와 술수와 원수를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 냄과 당 짓는 것과 분리함과 투기와 술 취함과 방탕함과 또 그와 같은 것들이라』이런 것을 피하고 성도들은 언제나 성령이 충만하여 성령의 열매를 맺으라고 하였습니다.『곧 사랑과 희락(喜樂)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良善)과 충성과 온유(溫柔)와 절제』등입니다.
③ 七○년대에 사는 한국 기독교인의 자세가 어떠하여야 하겠는가 생각하여 봅시다.
지금 한국은 기독교를 가장 미워하는 북한에 도사리고 있는 공산 도배들이 호시 탐탐 우리 남한의 교회를 노리고 있습니다. 그들은 해방 이후에 수 없는 교인들을 남·북한에서 학살하였고 북한에서는 보이는 교회는 전멸을 당하였습니다. 남한에 있는 교회도 비밀히 침투하여 교회를 교란시키고자 갖은 모략을 다하는 것을 우리는 언제나 있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때에 우리 교인들이 자세가 어떠하여야 하겠습니까? 우선 깨어 있어야 합니다. 정신을 차려야 합니다. 원수가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 자를 찾아다니는 때에 방심과 해이한 정신 생활 상태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습니다.『근신하라 깨어라』『믿음에 굳게 서라』『하나님의 전신 갑주(甲胄)를 입으라』『선한 싸움을 싸우라』『죽도록 충성하라』이렇게 성경은 외칩니다.
④ 지금 우리는 남한의 실정을 잘 알고 있습니다. 과거 一○년간에 경제의 발전은 다소 이루었으나 현재 우리는 부정부패와 빈부의 격차와 타락한 기풍으로 다 같이 염려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정 아래에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기독교인의 자세는 무엇이겠습니까? 먼저 우리 하나 하나의 사생활로서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성결, 정직, 근면, 검소, 절제, 책임감 등으로써 가정에서나 직장에서나 어디서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여야 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리스도의 사람의 실천자로써 우리 동포 중에 가장 불우한 이들을 위하여 봉사하고 자유와 사회정의의 기수로 정치, 경제, 문화 모든 방면에 담대히 싸워야 합니다.
이러한 투사가 되려면 우리는 남의 눈의 티를 보기 전에 내 눈의 들보를 먼저 보고 나의 생활이 모범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어느 때보다 더 우리 기독교인의 생활은 철저한 절제와 검소(儉素)와 봉사와 희생의 십자가의 군인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자기를 이기고 십자가를 지고 주를 따라야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일전에 어떤 잡지를 보니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캔사스 시(Kansas City)에서 기자회견을 할 때에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아데네와 로마에 가보면 옛날 헬라와 로마의 문명은 지금 외롭게 선 기둥만 몇 개 남았다고 합니다. 와싱톤에 세워진 많은 건물들의 기둥을 볼 때에 그 기둥들이 연상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오늘의 미국 문명도 그들이 경제적으로 부하여 지므로 점점 퇴폐하여 가는 징조를 경고한 것입니다. 우리가 분명히 알 것은 외국에서 들어오는 유행이나 풍속이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이 가운데서 퇴폐 한 풍조를 결코 받아들여서는 아니 됩니다. 팝송이나 댄스니 하는 것은 성경에서 온 것이 아닙니다. 서양 문명을 몰락케 한, 타락케 한 퇴폐풍조입니다. 교회 역사를 보면 옛날이나 지금이나 기독교인들 가운데는 성경대로 믿고 성경대로 사는 경건하고 깨끗한 청교도적인 생활을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름은 기독교인이지만 실은 성경대로 믿지도 않고 성경대로 살지도 않고 세상과 타협하고 세상을 본받아 사는 퇴폐 한 교인들도 있습니다. 우리 영락의 교인들은 어떠한 길을 택하여야 하겠습니까? 어떤 조류를 좇으시겠습니까?
오늘 분명한 결단을 내립시다. 이런 신앙노선만이 이 패역(悖逆)한 세상에서 내가 내 자신을 구원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민족 전체를 구원하는 유일 의 길입니다.『무릇 여호와께 속하는 자는 다 나오라』모세는 외쳤습니다. 무릇 그리스도에게 속하는 자는 다 일어나 복음 전선에 매진해야 되겠습니다. 이런 신앙노선만이 이 패역한 세상에서 내가 내 자신을 구원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민족전체를 구원하는 유일한 길입니다.
(一九七一년 七월 二十五일)
?-13 신앙생활과 기도 (에베소서 六장 十-二十절)
『모든 기도와 간구로 하되 무시로 성령 안에서 기도하고 이를 위하여 깨어 구하기를 항상 힘쓰며 여러 성도를 위하여 구하고』(엡 六·十八)
에베소서 六장은 사도 바울이 그리스도의 정신 무장에 대하여 말씀하신 장입니다. 대적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신 갑주(甲胄)를 입으라고 하셨습니다. 옛날 로마 군인의 무장을 연장하면서 우리 신자들도 진리의 띠를 띠고 의(義)의 흉배를 붙이고 복음으로 준비한 신을 신으며 믿음의 방패를 가지고 구원의 투구를 쓰며 성령의 검인 곧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을 하신 후에 곧 계속하여 하신 말씀이 十八절에 있습니다. 그것은 기도에 대한 말씀입니다. 모든 기도와 간구(懇求)로 하되 무시로 성령 안에서 기도하고 깨어 구하기를 힘쓰며 여러 성도를 위하여 또 특별히 자기 자신 곧 바울을 위하여 기도하라는 부탁이 있습니다. 정신 무장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것은 기도입니다. 기도를 통하여 유혹과 시험을 이기며 세상을 이기며 승리의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오직 기도를 통하여 큰 문제도 해결하며 역경도 돌파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간 아주 중요한「신앙 생활과 기도」에 대하여 잠깐 생각할 때에 성령께서 같이 하시고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이 글은 쓴 사도 바울은 문자 그대로 기도의 사람이었습니다. 그가 다메석 도중에서 부활하신 예수를 만난 후부터는 곧 기도하기를 그치지 않았습니다. 주께서 환상 가운데 아나니아를 불러 다소사람 사울을 찾아보라고 하실 때에『저는 지금 기도하는 중이라』고 하셨습니다. 그의 일생 중에서 그가 아라비아에 가서 조용히 三년을 지낸 것도 역시 기도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가 쓴 서신은 언제나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치었습니다. 그는 자기가 행하는 대로 모든 믿는 사람들에게도『쉬지 말고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 무시로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 이 기도 생활은 사실 주님께 배운 줄 생각합니다. 주님도 四十일간 광야에서 기도함으로 그의 생활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아침 일직 일어나 기도하였고 또 저녁 늦게 기도하신 적이 있습니다. 가령 열두 제자를 부르시기 전날 밤에는 밤새도록 기도하였다고 하셨습니다. 변화 산에도 기도하시려고 올라가셨고 기도하시는 중에 그 용모가 햇빛과 같이 변하셨습니다. 그는 다락방에서도 기도하셨고 최후 겟세마네 동산에서도 홀로 피땀을 흘리면서 기도하셨습니다. 십자가 위에서도 제일 먼저 자기를 못박는 자들의 죄를 사하여 달라고 기도하셨습니다. 그의 마지막 말씀도 『내 영혼을 아버지께 맡기나이다』하는 기도이었습니다. 주님의 일생은 언제나 아버지와 교통하는 생활이었습니다.
둘째, 기도는 무엇인가 생각하여 봅시다. 기도에는 여러 가지 면이 있습니다. 기도는 앙망(仰望)입니다.
곧 우러러보는 것입니다. 하늘을 우러러보는 것처럼 신령한 의미에서 하나님의 얼굴을 앙망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거룩하심과 자비하심과 긍휼 하심과 말하자면 하나님의 모습을 우리 심령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주님은 말씀하십니다.『마음이 깨끗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가 하나님을 볼 것이며』하였습니다.
기도는 교통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대화하는 것입니다. 나의 사정을 대화하는 것입니다. 나의 사정을 하나님께 아뢰고 하나님의 음성을 내가 듣는 시간입니다. 이렇게 기도는 하나님과 신령한 교제를 가지는 시간입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사람의 음성을 듣기를 게을리 할 때가 많습니다.
기도는 간구(懇求)입니다.
필요한 것을 하나님께 간구 하는 것입니다. 주기도문에 보면 우리 주님께서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 되고 그 나라와 그 뜻이 이 땅에서 실현되며 우리의 필요한 일용한 양식과 죄 사함을 위하여 간구 하라고 하셨습니다. 무엇이나 성도의 생활에 필요한 것은 영적 육적 모든 방면에서 솔직히 구할 수 있습니다.
기도는 주께 맡기는 것도 의미합니다.
사실 우리는 무엇을 구하여야 될는지 항상 알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모든 원하는 것을 뜻에 맡기면서 구하는 것입니다. 결국은 오직 하나님의 뜻이 우리에게 언제나 최선임을 기억하고 기도할 것입니다. 성령 안에서 기도하라는 뜻은 아마 이 뜻일 것입니다. 오직 성령이 우리에게 무엇이 가장 유익하며 아버지의 뜻을 잘 알고 계십니다.
셋째, 이러한 기도를 통하여 우리의 영이 자랍니다. 건강하여 집니다. 풀이 햇빛을 바라볼 때에 자라듯이 우리의 영이 하나님을 바라볼 때에 자랍니다.
기도를 통하여 우리의 마음이 깨끗하여지고 더 아름다워집니다. 마치 꽃이 햇빛을 볼 때에 더 붉어지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기도를 통하여 우리의 마음이 더 튼튼하여 집니다. 마음속에 평화와 기쁨이 넘치게 됩니다. 사랑이 충만하게 됩니다.
기도를 통하여 우리는 큰 능력을 받습니다. 시험도 이길 수 있는 능력, 역경도 돌파할 수 있는 능력, 슬픔도 견딜 수 있는 능력, 병을 고칠 수 있는 능력, 모든 능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 심령 속에 생명수가 충만하게 됩니다.
넷째, 기도생활에 있어서도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형식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가령 교회에 나와서 기도할 때에 머리는 숙였으나 딴 생각을 할 때가 없습니까? 주 기도를 드릴 때에 뜻 없이 외울 수도 있습니다.
공(公)기도와 사(私)기도를 분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예배시간에 공 기도를 드릴 때에 사 기도를 드려서는 안됩니다. 공 기도는 언제나 간단히 들임이 합당합니다. 사 기도는 얼마든지 길게 기도할 수 있으나 공 기도는 다릅니다. 공 기도에는 그 용어도 다른 이에게 오해가 없도록 주의함이 좋습니다. 가령 우리 한국어에는 그 인칭 대명사가 너 혹은 당신 뿐으로써 상대자가 지극히 높은 지위에 있을 때에 사용할만한 대명사가 없습니다. 하나님께 대하여 대명사를 쓸 경우에는 흔히 아버지, 혹은 주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근래에 어떤 분들은 당신이라고 하는 말을 하나님께 대하여 사용하는데 이 후에는 몰라도 아직 한국교회에는 불쾌(不快)히 생각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기도를 드릴 때에 주의해야 할 것은 같은 말이 여러 번 반복하는 중에 자기 최면에 걸려 혹 정신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주님도 기도할 때에 중언부언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성경은 언제나 정신을 차리고 깨어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 이런 점에 주의하지 않음으로 혹 기도하다가 쓰러지는 이도 있고 소위 입신한다고 하는 변태적인 현상에 빠지는 이도 있습니다. 부주의한 기도생활에 파생적인 변태적 심리현상입니다. 그러므로 언제나 정신을 차리고 기도하여야 합니다.
우리가 다 병자를 위하여 기도하여야 합니다. 기도를 통하여 병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를 위하여 기도할 때에도 꼭 정당히 기도만 할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기도보다도 안찰(按擦)을 하며 혹은 주무르고 혹은 쥐어뜯고 혹은 때리기도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런 것은 다 비 성서적인 것입니다. 우리가 기도에 힘쓸 때에 이런 실수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할 것입니다.
다섯째, 기도는 어떻게 할 것입니까? 기도에 대한 성서적 교훈은 어떠합니까? 어떤 기도가 응답됩니까? 생각하여 봅시다. 성경은 이러한 점에 대하여 분명하게 가르치십니다.
회개의 기도입니다.
역대하 七장 十四절『내 이름으로 일컫는 내 백성이 그 악한 길에서 떠나 스스로 겸비하고 기도하여 내 얼굴을 구하면 내가 하늘에서 듣고 그 죄를 사하고 그 땅을 고칠 찌라』죄를 회개하면서 기도하여야 합니다.
진심으로 간절히 온 정신을 모두어 기도하여야 합니다. 에레미야 二十九장 十三절『너희가 진심으로 나를 찾고 찾으면 나를 만나리라』정성을 다하여 기도하여야 합니다.
믿음으로 기도하여야 합니다.
마가복음 十一장 二十四절『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무엇이든지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받은 줄로 믿으라 그러하면 너희에게 그대로 되리라』야고보 五장 十五절『믿음의 기도는 병든 자를 구원하리니 주께서 저를 일으키시리라 혹시 죄를 범하였을지라도 사하심을 얻으리라』
순종하면서 기도하여야 합니다.
요한 一서 三장 二十二절『무엇이든지 구하는 바를 그에게 받나니 이는 우리가 그의 계명들을 지키고 그 앞에서 기뻐하시는 것을 행함이니라』 그 계명을 지키며 기도할 때에 그 기도가 응답됩니다.
마지막으로 기도는 호흡과 같습니다.
호흡을 통하여 우리가 대기와 접촉하고 생명이 유지됩니다. 마찬가지로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과 접촉하고 우리의 생명이 유지됩니다. 기도는 언제나 계속하여야 하여야 합니다. 여기에 무시로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 쉬지 말고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 길을 걸을 때나 차를 탈 때나 방을 청소할 때나 기도는 언제나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정한 기도 시간이 있으면 신앙생활에 퍽 도움이 됩니다. 가령 아침과 저녁입니다. 신앙생활에서 이 기도가 습관화되어야 합니다.
기도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가령 남을 가르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없습니다. 성가대원이 되는 것도 누구나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기도는 누구나 남녀 노소 분별없이 할 수 있습니다. 병나서 자리에 누어서도 기도는 할 수 있습니다. 어떤 교회에서는 반신불수 한 분이 교회에는 나오지 못하나 간절히 기도함으로 그 교회가 크게 부흥되었다고 합니다. 기도를 열심히 하는 교인들이 많은 교회는 자연히 부흥됩니다. 예루살렘교회가 어떻게 시작되었습니까?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一二○여명이 다락방에 모여서 열심히 기도하는 중에 성령을 받아 큰 부흥이 일어난 것입니다.
누구나 기도의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모세, 사무엘, 기드온, 느헤미아, 엘리아. 그리고 현대사에 마틴 루터, 요한 낙스, 죠지 뭘러 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은 기도의 사람을 통하여 위대한 역사를 하신 것입니다. 요한 계시록 五장 八절 말씀에 二十四장로들이 향이 가득한 금 대접을 하나님께 드리는데 그 향은 성도의 기도들이라 했습니다. 한국의 교회가 하나님께 드리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기도의 향을 많이 드리는 교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구체적으로 아침과 저녁에 기도하는 거룩한 습관을 꼭 배양합시다. 무시로 기도합시다. 할 수 있으면 교회 중심으로 본 교회에서 모이는 매일 새벽기도회에 참석합시다. 할 수 있으면 삼일 기도회에 참예(參詣)합시다. 그리고 산상기도회에도 참석합시다.
기도의 사람이 됩시다. 기도하는 장로, 기도하는 권사, 기도하는 집사, 기도하는 교인이 됩시다. 기도 없는 교인은 생명이 메마르게 됩니다.
서로를 위해 기도합시다. 부모는 자식을 위해 자녀는 부모를 위해, 교역자는 교인을 위해 교인은 교역자를 위해, 친구는 친구를 위해 기도하여야 합니다. 기도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위해서, 조국을 위해서, 북한 성도를 위해 기도하여야 합니다. 이 때는 기도할 때입니다.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구하라 그러면 주시리라고 하셨습니다. 큰 문제가 있습니까? 낙심치 말고 기도하라고 하십니다. 실패하였습니까? 낙심치 말고 기도하라고 하십니다. 억울한 일을 당하였습니까? 낙심치 말고 기도하라고 하십니다. 슬픈 일을 당하여도 낙심치 말고 기도하라고 말씀하십니다.
(一九七一년 八월 一일)
?-14 해방의 감격과 기도 (시편 一二六편 一- 六절)
『여호와여 우리의 포로를 남방 시내들 같이 돌리소서』(시 一二六·四)
오늘이 바로 八·一五이요, 또 거룩한 주일입니다. 문자 그대로 해방기념 주일입니다. 이 시간 이 말씀을 가지고 생각하고자 합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七○년이란 긴 세월을 바벨론에 접혀가 포로 생활을 하다가 하나님께서 일으키신 역사의 물결로 해방을 받아 예루살렘에 돌아온 그들이 너무 감격하여 노래를 지어 불렀습니다. 그 해방의 노래가 곧 시편 一二六편입니다. 바로 二十六년 전 오늘에 역시 하나님께서 일으키신 역사의 물결로 해방을 받은 우리에게 이 옛날 해방의 노래를 통하여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시편은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一-三절에는 해방에 대한 감격의 노래가 있고, 四절에는 해방 일에 드리는 간절한 기도가 있고, 五- 六절까지는 해방의 체험을 통하여 얻는 진리에 대한 확신이 선포되어 있습니다.
첫째, 해방의 감격
『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돌리실 때에 우리가 꿈꾸는 것 같았도다』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너무 기쁜 일이어서 꿈같이 생각되었다는 말입니다.
一, 우리 가운데 二十六년 전 八·一五를 맞은 이들은 다 동감일 것입니다. 우리도 그 때에 너무 기뻐서 꿈같이 생각되었습니다. 나는 제二차 대전이 계속되는 동안 교회에서는 쫓겨나 남 신의주에 나와 무의무탁한 고아들과 노인들을 모시고 있던 중입니다. 몇 달 전부터 일본 군인들이 四○∼五○명이 와서 고아원에 주돈 하여 고아원과 양로원을 아주 내어 달라고 요구하여 부득이 그날 아침도 고아들을 옮길 장소를 구하기 위하여 약 二十여 리 되는 곳을 걸어갔다가 十二시쯤에 집에 돌아왔습니다. 라디오를 들으니 일본국가(기미가요)가 들리더니 일본 천황이 방송이 나왔습니다. 그것은 한 마디로 말하여 이제는 일본이 연합군에게 항복한다는 말이었습니다. 그 방송을 듣는 우리 가족과 보린원 직원들은 사실 이게 꿈인가 하였습니다. 귀를 의심할 지경이었습니다. 이것이 사실임을 알게 될 때에 우리는 모두 너무 감격하여 우리 보리원 식구가 같이 모여 눈물로써 감사의 예배를 드린 것이 어제인 듯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너무 기뻐서 만나는 사람마다 이 기쁜 소식을 주고받으며 하나님께 감사를 들렸습니다.『그 때에 우리 입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우리 혀에는 찬양이 찼었도다』하는 이 절의 말씀은 우리의 체험 그대로이었습니다. 그리고 며칠 후 주일을 당하여 교회에 나가니 교회마다 터질 듯이 모여 감사의 찬송을 불렀습니다. 전에 믿지 아니하던 이들도 다 이것은 하나님의 은혜라고 하면서 새로 교회에 나왔습니다. 또 그렇게 독실하지 못하던 어떤 재산가의 부인은 제게 와서 자기가 단독으로 예배당을 짓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사실 그 때는 신자와 불신자를 막론하고 너무 기쁘고 감격하여 어찌할 줄을 몰라 했습니다. 들은즉 어떤 이들은 너무 기뻐서 뛰다가 그만 고혈압으로 세상을 떠난 이도 있었다고 합니다. 사실 그 때 신의주 거리에는 도적놈도 하나 없었습니다. 다 선한 마음을 가졌었습니다.
二, 어느덧 二六년이 지나갔습니다. 오늘은 어떠합니까? 오늘은 이 해방의 감격이 퍽 식어 졌습니다. 그 이유는 오랜 시일이 지나가는 동안 자연히 그렇게 되었고 또 기대하지 않았던 여러 가지 일로 우리 민족이 너무 시달리게 되었습니다. 뜻하지 아니한 三八선, 六·二五사변 등 국토 분단의 비극은 지금까지도 계속되었습니다. 우리 가운데 四十대 이하는 이 날을 모릅니다. 六·二五도 체험하지 못한 젊은이들이 많습니다. 자연히 이들에게는 八·一五를 당하여도 해방의 실감이 나지 않을 것입니다.
三, 우리는 오늘 이 해방의 감격을 다시 회복하여야 합니다.
만일 八·一五가 없었던들 우리 민족은 문자 그대로 한국민족으로서는 말살되었을 것입니다. 악랄한 일본 제국주의는 우리의 말을 탄압했고 우리의 글을 금지하며 심지어 우리의 성까지 없애고 일본 성명을 사용하게 강요당했습니다. 어떤 분이 창시의 강요를 당하고 부득이 안 할 수는 없고 하여 구자(狗子) 라고 창씨(創氏)를 하였다고 합니다. 누가 그 뜻을 물으니 그는『성까지 가는 놈이 개 아들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이런 민족적 가장 캄캄한 밤에서 우리 민족을 해방하여 준 날이 바로 오늘입니다. 곧 八·一五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오늘을 위하여 하나님께 감사해야 합니다. 해방의 감격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둘째, 해방의 기도
① 여러분 이날의 기도를 또한 생각하여야 하겠습니다.『여호와여 우리의 포로를 남방 시내들 같이 돌리소서』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바벨론에서 돌아올 때에 처음에 상당한 수가 돌아 왔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그때까지 돌아오지 못한 포로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을 생각하면서 그들도 속히 돌아오게 하여달라고 기도한 것입니다. 여기『남방 시내들 같이 돌리소서』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 뜻은 유다 남방은 대체로 건조하여 매 마름으로 시내가 흐르지 못하다가 가을에 늦은 비가 내리게 될 때에 많은 물이 넘쳐흐릅니다. 이와 같이 은혜의 단비를 풍성히 내려서 아직 바벨론에 남아 있는 동포들도 다 일시에 돌아오게 해 달라는 기도입니다.
② 역사는 반복되는가? 생각하여야 하겠습니다.
우리 민족의 사정이 너무나 그 때의 형편과 방불합니다. 八·一五에 우리 민족이 일제에서 해방은 되었지마는 해방된 후 三八선으로 말미암아 북한의 동포들은 다시 공산당의 포로가 되지 아니하였는가? 일제시대보다 더 혹독한 포로가 되었습니다. 신교, 언론, 결사, 집회등의 자유가 없음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부부간에도 마음놓고 말을 할 수 없는 포로가 되어버렸습니다. 물론 거주, 집회의 자유도 없습니다. 지금은 김일성을 우상화하여 한 개인의 포로가 되어 버렸습니다. 지금 이러한 상태는 계속됩니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 八·一五를 맞는 우리 민족이 먼저 무엇을 하여야 하겠는가 생각하여 봅시다.
먼저 기도해야합니다. 아직도 해방되지 못한 북한 동포들을 공산당의 포로에서 해방하여 달라고 기도해야 합니다. 북한 동포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영적, 포로에서 해방 되여야 하고 남한 동포들은 좌익에서 해방 되여야 합니다. 시편 五○편 一五절 말씀에『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로다』 이 환난 날에 우리는 북한 동포들을 구원하여 주시기 위하여 기도합시다. 옛날부터『모사는 재인 이나 성사는 재천』이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북한 동포의 해방을 위하여 모는 노력을 할 것이나 우리의 인간의 지혜와 힘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하나님의 도움이 있어야 합니다.
③ 가족 찾기 운동을 적십자사에서 버리고 있습니다. 또 이북에서도 회담을 하자는 소식도 들립니다. 가족을 찾고 만나는 일이야 얼마나 반가운 소식입니까! 속히 일이 잘 되어 열매 맺기를 기원합니다. 이 일이 잘 이루려면 북한 집권자들의 양심이 꼭 회복되어야 하겠습니다. 사실 이 소식을 듣고 한 가지 염려되는 것은 지금 북한에는 월남 가족이 있는 사실을 숨기고 사는 이들이 많은 듯 한데 이런 사실들이 들어 날 때는 그들이 공산당에게 어떤 대우를 받겠는가 함입니다. 또 다시 숙청의 대상이 아니 될까? 크게 염려됩니다. 이 일이 잘 성취되려면 근본적으로 공산당들의 민족적 양심이 회복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들이 인간 본연의 양심을 회복케 하여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할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본문 一二六편 五∼六절 말씀에 의미심장한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습니다.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울며 씨를 뿌리러 나가는 자는 정녕 기쁨으로 그 단을 가지고 돌아오리로다』여기에 온전한 해방이 확실히 있습니다.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반드시 기쁨으로 거둘 것입니다. 울며 진리의 씨를 뿌리는 자는, 자유의 씨를 뿌리는 자는 반드시 기쁨의 단을 가지고 돌아올 것입니다. 씨를 뿌리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비가 올 때도 있고 바람이 불 때도 있습니다. 폭풍우가 엄습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고난을 무릅쓰고 진리의 씨를 뿌리면, 복음의 씨를 뿌리면, 자유의 씨를 뿌리면 반드시 거둘 때는 옵니다. 심은 대로 거둡니다. 많이 거둡니다. 기쁨으로 거둡니다.
사실 이스라엘 백성이 바벨론의 포로로 있을 때에 진리와 자유의 씨를 뿌린 이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에스켈이 그랬고, 다니엘이 그랬고, 많은 무명의 신자들과 애국자들이 진리와 자유의 씨를 뿌렸습니다. 그러므로 결국은 기쁨으로 해방의 단을 가지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우리 민족이 일제의 포로가 되었을 때에도 많은 애국지사, 선교사, 목사, 무명의 전도자들이 국내, 국외에서 진리와 자유의 씨를 뿌렸습니다. 결국은 二十六년 전 八·一五의 해방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씨를 뿌리면 반드시 거둔다는 이 진리를 우리는 확실히 믿고 아직도 해방되지 못한 북한 동포를 위하여 또는 아직도 죄악에서 해방되지 못한 남한 동포를 위하여 진리와 자유의 씨를 계속하여 뿌려야 합니다. 북한 선교운동을 일으키는 본 의도가 여기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 사회를 보면 중공의 핑퐁 외교로 시작된 소위 해빙 무드에 들뜨고 있는 듯 합니다. 이러한 때일수록 우리는 냉철한 객관적 관찰과 깊은 사려가 꼭 필요합니다. 우리 민족의 운명을 그르치지 말고 온전한 해방의 길을 꼭 열어야 합니다. 우리가 언제나 기억할 사실은 금번 소위 해방 무드가 조성되었다고 중공이나 북괴의 공산주의 자체가 변한 것은 아닙니다. 중공의 전 아시아 적화의 야심(野心)이 변한 것도 아닙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앞으로도 간첩의 침투는 여전히 계속되고 남한 사회의 혼란을 일으키려는 계획도 변치 않을 것입니다. 각 기관, 사회단체, 심지어 교회까지도 침투하고 혼란을 빚어내려는 계획은 여전히 계속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남한 국민으로서는 이 냉담한 사실을 직시하고 문자 그대로 저지 말고 깨어서 내 사회, 내 나라를 지키며 진리와 자유의 최후 승리의 확신을 가지고 각 방면에서 꾸준히 노력하여야 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민족 주체의식입니다. 나의 문제를 내 눈으로 똑 바로 보고 내 머리로 생각하며 내 노력으로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국가와 민족의 운명을 개척하여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런 철저한 결의 아래 자주 외교, 자주 국방, 자립 건설, 자주 통일의 길로 매진할 것입니다.
이를 위 하여는 철저한 사상적 통일 곧 반공 민주사상과 전국민의 일치단결과 내 살림을 깨끗케 하기 위하여 부정, 부패, 퇴폐 한 사회 기풍의 일소와 전 국민의 근엄(謹嚴), 절제, 노력의 생활이 요구됩니다. 이런 시국을 당하여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 해방에 대한 감사를 드리는 동시에 북한 동포의 자유를 위하여 간절히 기도하며 울며 씨를 뿌리는 자는 반드시 기쁨으로 단을 가지고 돌아올 것을 확신하고 자유 확보와 통일의 새로운 결심을 가지고 복음 전파, 국가 방위, 사회 정화, 사회 정의 구현등 각 방면의 건설에 각계 각층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다해야 합니다. (一九七一년 八월 十五일)
?-15 구원과 능력의 원천 (이사야 三○장 十五-十九절)
『주 여호와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자가 말씀하시되 너희가 돌이켜 안연히 처하여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어늘 너희가 원치 아니하고』(사 三○·十五)
이 말씀의 배경은 주전 八세기 유다 나라 동·북방에서 일어난 앗수르나라가 근동 일대를 침략하던 때입니다. 여러 적은 나라들이 망하였고 유대나라의 수도 예루살렘도 포위를 당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유다 는 히스기아왕을 비롯하여 온 조야(朝野)가 큰 공포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극도로 당황한 가운데 애굽에 원정을 처하기도 하였으나 애굽군대 역시 앗수르 군데에게 참패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국가적 위기, 초 비상시에 하나님께서는 이시야 선지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너희가 돌이켜 안연히 처하여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어늘』그 뜻은 이러한 때에 역사의 주인은 하나님인 것을 깨닫고 그에게 돌아와 그를 전적으로 의지하여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당황하지 말고 잠잠히 하나님을 신뢰하여야 곧 그의 능력과 지혜와 사랑을 신뢰하여야 힘을 얻어 이 위기를 돌파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간단한 말씀가운데 사실 어느 시대, 어느 민족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꼭 기억해야 할 불멸의 진리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 시간 이 말씀을 잠깐 묵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너희가 돌이켜 안연히 처하여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좀 더 알기, 듣기 쉽게 직역하면 너희가 하나님께 돌아와 쉬어야 곧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고 쉬어야 구원을 얻을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구원을 얻는 비결은 하나님께 돌아와 그를 전적으로 의지함에 있다고 지적합니다. 요엘 二장 十三절 말씀에『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 찌어다 』호세아 十四장 一절 말씀에『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 오라 네가 불의 함을 인하여 엎드려졌느니라』고, 또 이사야 五五장 七절에『악인은 그 길을, 불의한 자는 그 생각을 버리고 여호와께로 돌아 오라 그리하면 그가 긍휼히 여기시리라』성경에 보면 이렇게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향하여 돌아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인간이 하나님을 멀리 떠나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이는 허망한 사상으로, 어떤 이는 교만과 탐욕으로, 모두 온갖 죄악으로 탕자와 같이 아버지의 집을 떠나 먼 나라에서 헤매고 있습니다. 음란과 방탕 온갖 죄악으로 가산을 탕진하고 극도로 궁핍과 고독과 절망에 빠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간의 살 길이 어디 있습니까? 탕자의 회생의 길이 어디에 있습니까?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오는 것밖에 없습니다. 우리 가운데는 이러한 심령이 없습니까? 몸은 이 성전에 왔으나 그 심령은 사실 하나님을 멀리 떠나 고독, 궁핍, 허무감, 절망에 빠진 이는 없습니까? 성령은 말씀하십니다.『돌아 오라 하나님께로 돌아 오라』탕자가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와서 구원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쉬라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고 과거의 죄 때문에 염려하지 말고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 가운데서 안식을 얻으라는 말씀입니다. 하나님께 돌아와서도 과거의 죄 때문에 불안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모든 죄를 위하여 이미 십자가 위에서 형벌을 받으셨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참으로 하나님께 돌아와 죄를 회개하며 그리스도를 내 구주로 믿는 이는 모든 죄는 이미 사함을 받았습니다. 예수를 내 구주로 믿고 돌아온 이는 과거의 허물과 죄로 인하여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 안에서 그 심령이 안식할 수 있습니다. 평안히 쉴 수 있습니다. 참으로 믿는 사람은 과거의 죄로 불안과 고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참 평화를 얻는 것입니다.「주안에 있는 나에게 딴 근심 있으랴 십자가 밑에 나아가 내 짐을 풀었네」하는 찬송은 이 뜻을 의미합니다. 구원의 길은 하나님께로 돌아와 전적으로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의지하고 주안에서 안식을 얻는 것입니다.
둘째,『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어늘』쉽게 말하면 우리는 무슨 일을 당하든지 조용히 하나님을 의뢰하여야 힘을 얻어 모든 것을 극복한다는 말씀입니다. 무슨 일을 당할 때에 초조하고 두려워하고 당황하고 근심하고 염려하는 것은 다 우리를 약하게 만듭니다. 비상시 혹은 위기를 당하여 꼭 필요한 것은 조용하고 침착하고, 안전하고, 냉정하며,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할 때 힘을 얻습니다.
시편 三七편 七절에『여호와 앞에 잠잠하고 참아 기다리라 자기 길이 형통하며 악한 꾀를 이루는 자를 인하여 불평하지 말 찌어다』시편 四二편 五절 말씀에『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망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하여 하는고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그 얼굴의 도우심을 인하여 내가 오히려 찬송하리로다』또 시편 六二편 五절『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대저 나의 소망이 저로 좇아 나는 도다 오직 저만 나의 반석이시오 나의 구원이시오 나의 산성이시니 내가 요동치 아니하리로다 나의 구원과 영광이 하나님께 있음이여 내 힘의 반석과 피난처도 하나님께 있도다』
조용해야 생각을 바로 할 수 있습니다. 조용한 마음으로야 헝클어진 실을 풀 수 있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잔잔한 물에 달과 별이 명랑하게 비칩니다. 조용한 마음에 위로부터 영감이 옵니다. 성령이 임하십니다. 성령의 지혜와 총명이 역사 하십니다. 폭풍우, 뇌성벽력이 소리는 크나 무슨 일은 이루지 못합니다. 잔잔히 내리는 비가 곡식과 만물을 소생케 합니다 고요히 비치는 햇볕이 만물에 생명을 주며 자라게 합니다. 깊은 물은 조용히 흐릅니다. 얕은 물이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깊은 물은 힘이 있습니다. 큰배를 띄울 수 있습니다. 옛날 이북에 있을 때에 들으니 어떤 이는 그 별명이「빈 달구지」라고 합니다. 소리만 낸다는 뜻입니다. 많은 짐을 실은 달구지는 조용합니다. 조용한 마음이 많은 짐을 싣고 갈 수 있습니다. 조용하고 신뢰하는 마음은 특별히 어려운 일 혹은 위기를 당할 때에 매우 필요합니다.
가령 누구나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같은 병에 걸릴지라도 한 분은 근심하고 걱정하며 공포심에 쌓입니다. 이런 이는 아무리 좋은 약을 써도 속히 고치지 못합니다. 다른 한 분은 꼭 같은 병에 걸렸어도 침착하고 조용히 하나님을 신뢰합니다. 이런 이가 빨리 회복됩니다. 나는 일찍이 미국 알바컬키(Albuquerque)에서 병원에 약 二년간 입원하여 있으면서 실지로 체험하여 보았습니다. 누구나 또한 큰 슬픔을 당할 수 있습니다.
가족이 세상을 떠나는 슬픔을 당합니다. 같은 슬픔일지라도 어떤 분은 당황하고 초조하며 몸부림을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이는 꼭 같은 체험을 하면서도 조용히 하나님을 신뢰하면서 모든 것을 견딥니다.
제가 일찍이 신의주에 있을 때에 한 청년이 세상을 떠나 장례식을 하려 가니 그 슬픔을 당한 젊은 부인이 거이 정신을 잃고 관 위에 엎디어서 출관(出棺)을 겨우 하였습니다. 그 장례식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한 늙은 집사는 말하였습니다.「저런 여자가 오히려 시집은 먼저 갑니다. 두고 보시오」그 후에 사실 그 말이 맞았습니다. 잠잠하고 신뢰하는 가운데 힘이 있습니다.
환난이나 사업의 실패나 어떤 시련이든지 다 마찬가지입니다. 당황해하고 초조하고 근심만 하는 이는 속히 극복하지 못합니다. 그런 때일수록 조용히 하나님을 신뢰하는 이가 사업도 재건하고 최후 승리를 거둡니다. 생의 위기뿐만 아니라 무슨 일에든지 조용하고 하나님을 신뢰하는 마음의 태도는 매우 필요합니다.
교회 봉사도 조용히 신뢰하는 마음으로 하는 것이 매우 필요합니다. 오래 전 우리 교회가 처음으로 베들레헴에서 모일 때에 교회 사찰도 없었습니다. 교회 청소도 교인들이 모여서 하는데 어떤 젊은 자매 한 분이 그저 조용히 유리창을 깨끗이 닦는 것을 주의 깊게 보았습니다. 누구라고 말할 수는 없으나 그는 지금까지도 그저 조용히 심방하고 전도하고 가르치고 자기 책임을 잘 감당합니다. 교회는 이런 말없이 조용히 봉사하는 이가 많아야 교회가 화평하고 명랑하고 또 부흥합니다. 혹 어떤 이는 봉사는 잘 하나 조용히 하지 못함으로 교회 분위기가 흐리게 되어 바른 생각과 바른 처리를 할 수 없게 될 때가 혹 있습니다. 조용히 신뢰하는 마음으로서의 봉사가 아쉽습니다.
복음 전파에는 이 태도가 아주 긴요합니다.
어떤 이는 전도하다가 싸움했다는 말도 들립니다. 조용히 신뢰하는 마음으로 전도해야 합니다. 가정에도 이러한 전도가 필요합니다. 가령 안 믿는 남편이 교회에도 안 나가고 싫은 소리한다고 같이 성내고 싸움하고 뛰쳐나가게 되면 전도가 되겠습니까? 제가 언젠가 어떤 가정에 청함을 받아 가니 그 가정은 본래 안 믿는 가정인데 믿는 여자가 출가하여 먼저 남편과 아이들을 교회로 인도했고 또 오래 불교를 믿던 어머니까지 감화되어 교회에 나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제가 들으니 그 젊은 부인은 그저 조용히 집안 살림도 잘하고 아이들도 잘 돌보아 주고 주인을 잘 섬기며 조용히 신앙생활을 하는 가운데 온 가정이 감화되었습니다. 조용히 집안살림을 잘 하면서 신앙생활을 해야 가정과 친척들을 감화시킬 수 있습니다.「그 아무개 어머니는 살림도 아니하고 아이도 돌보지 않고 만날 분주히 돌아만 다닌다」하고 소문나게 되면 전도가 되지 아니합니다.
남한의 정세를 살펴보면 시로 조용히 하나님을 신뢰하는 가운데서 우리 민족이 새 힘을 얻어 야 할 때입니다.
「닉슨 정책」이라 하여 아시아에서 미군을 장차 철수시킬지도 모른다하며 또 동서 해빙 무드라 하여 공산군과의 외교가 더욱 복잡하게 되어가며 또 국내에서는 가족 찾기 운동이 일어나 남북의 대화를 모색하는 중에 있으며 또 각계 각층에서 욕구 불만으로 일어나는 무슨 파동, 난동, 운동, 무슨 사건 등으로 사회의 분위기는 더욱 불안, 혼란, 흥분의 도가니로 번질까 염려됩니다. 이러한 시국일수록 조용히 하나님을 신뢰하는 국민의 마음자세가 절대로 필요합니다. 잠잠해야 무슨 일을 바로 볼 수 있고 바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역사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의지하며 그의 능력, 그의 지혜, 그의 사랑, 그의 경륜을 기억함은 절대로 필요합니다. 조용히 신뢰라는 가운데 새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사야가 이 말씀을 한 지 얼마 후에 예루살렘은 포위하였던 앗수르 군대 十八만五천명이 하루 저녁에 큰 역병으로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역사의 주인은 하나님이십니다. 이 하나님을 우리 국민이 절대로 신뢰하여야 합니다. 다 하나님께 돌아와 하나님을 조용히 신뢰하며 힘을 얻어 각기 내 직장에서 내 책임을 바로 감당해야 합니다. 우리 개인이나 민족의 구원과 능력이 하나님께 있음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월은 빠릅니다. 인생은 잠깐입니다. 인생은 무상합니다. 이러한 격변하는 세대에서 우리는 언제 무슨 일을 당할는지 모릅니다. 우리는 언제 하나님의 최후 부름을 받을지 모릅니다. 우리 가운데 오래지 않아 이 부름을 받을 이도 있을 줄 압니다. 내 자신인지도 모릅니다. 구원의 길이 어디입니까? 하나님께로 돌아와야 합니다. 능력의 원천은 어디입니까? 조용히 하나님을 신뢰하는 데 있습니다. (一九七一년 八월 二十九일)
?-16 특권과 의무 (누가복음 十三장 一-九)
『이 후에 만일 실과가 열면이어니와 그렇지 않으면 찍어 버리소서 하였다 하시니라』(눅 十三·九)
이 간단한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생각하고자 합니다. 한 사람이 포도 원에 무화과나무를 한 그루 심었었습니다. 유다 나라에서는 포도 원 모퉁이에 무화과를 심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무화과나무는 열매를 맺지 아니합니다. 그러므로 그 주인이 과원지기에게 하는 말이『내가 三년을 와서 이 무화과나무에 실과를 구하되 얻지 못하니 찍어 버리라 어찌 땅만 버리느냐』하였습니다. 그러나 과원지기는 대답하기를『주인이여 금년에도 그대로 두소서 내가 두루 파고 거름을 주리니 이후에 만일 실과가 열면 좋고 그렇지 않으면 찌어 버리소서』 이 말씀, 이 비유를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친히 말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첫째, 이 비유는 특권과 의무의 원칙을 교훈 합니다.
이 무화과나무는 좋은 땅을 차지하고 섰습니다. 아래로는 흙으로부터 좋은 양분을 섭취하고 위로는 좋은 햇빛과 공기의 혜택을 입으며 또한 때때로 위로의 비와 이슬의 축복을 받습니다. 그 뿐 아니라 과수원 지기는 풀을 뽑으며 거름도 주며 잘 가꾸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무화과나무는 많은 특권을 누렸습니다. 그런데 이 나무는 열매는 맺지 않았습니다. 무화과나무를 심는 목적은 열매를 얻기 위하여 심습니다. 무슨 보기 좋으라고 관상 목으로 심는 것은 아닙니다. 이 열매를 맺으라고 인간과 자연 곧 하늘과 땅은 많은 특권을 부여한 것입니다. 이렇게 많은 특권을 받은 나무가 그 의무 혹은 책임 곧 열매는 맺지 않으니 주인은 노하였습니다. 그 나무를 찍으라고 명하였습니다. 三년이나 기다렸다고 하는 그것을 보니 열매 맺을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주었던 것입니다. 그런데도 열매를 맺지 않으니 찍어 버리라고 한 것입니다.
특권에는 반드시 의무가 따릅니다. 책임이 따릅니다. 우리 하나 하나는 마치 이 무화과나무와 같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불러서 구원하시고 죄를 사하여 주시고 아버지의 거룩한 자녀를 삼으시고 영적으로 육 적으로 많은 은사를 주십니다.
그 목적은? 열매를 맺으라고 하는데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써 많은 특권을 누리는데 거기에는 반드시 열매를 맺어야하는 큰 의무가 있음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三년이나 계속하여 열매를 맺지 않으면 찍으라고 하실 것입니다. 하나님이 진노하십니다. 이 비유를 통하여 우리 주님은 이 엄숙한 진리를 우리 신자들에게 주십니다.
둘째,『내가 三년을 와서 이 무화과나무에 실과를 구하되 얻지 못하니 찍어버리라 어찌 땅만 버리느냐』그 주인은 말하였습니다. 그 주인은 말하였습니다.『어찌 땅만 버리느냐』곧 쓸데없는 존재란 말입니다. 땅만 버리는 쓸데없는 존재는 없애 버리라고 하셨습니다. 이 비유를 통하여 우리가 꼭 배워야 할 둘째 진리가 있습니다. 곧 열매 없는 생활, 다시 말하면 아무 쓸데없는 생활은 그 자체가 곧 죄입니다.
죄 가운데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적극적인 죄입니다. 곧 적극적으로 나뿐 일을 하는 것입니다. 도적질 거짓말 음란 방탄 등입니다. 그러나 둘째 소극적 죄가 있습니다. 곧 마땅히 할 것을 하지 않는 죄입니다. 이 무화과나무는 말하자면 둘째 범주에 속하는 죄를 지었습니다. 곧 열매를 맺을 나무가 열매를 맺지 않았습니다.
달란트의 비유를 보면 한 달란트를 받은 종이 큰 책망을 받고 바깥 어두운 곳에 내어 쫓김을 당하였습니다. 이 종은 무슨 적극적 의미의 죄는 없습니다. 남을 속이거나 도적질한 일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는 소극적 죄를 범하였습니다. 곧 한 탈란트를 가지고 장사를 하여 이를 얻으라고 하였는데 그렇게 하지 아니하고 그냥 묻어 두었습니다. 이런 진리를 생각할 때에 우리는 실로 송구한 마음이 가슴에 사무칩니다. 하나님께서 기회를 주시고 우리가 열매를 맺어야 할 때에 열매를 맺지 못하면 큰 책임이 있는 것입니다. 자연은 슬데 없는 존재를 용납하지 아니합니다. 저 쓸데없는 종을 바깥 어두운데 쫓으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이 나라 이 사회에 심어진 무화과나무인데 우리가 무슨 열매를 남기고 가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저 많은 혜택만 받고 갈 것입니까? 깊이 생각할 일입니다. 우리는 이 나라 혹은 이 사회라고 하는 창고에 많은 열매를 맺어서 이 창고에 진, 선, 미의 보물을 남기고 갈 것인가? 그저 남이 남긴 보물을 소비만 하고 그저 갈 것인가? 깊이 생각할 일입니다. 아무 것도 남기지 못하고 소비만 하고 가는 것은 소극적인 의미에서 큰 죄라고 하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어떤 방면에서든지 우리는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재능을 따라 내 교회와 사회를 위하여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셋째로, 관원지기의 호소를 주의 깊이 들읍시다.『주인이여 금년에도 그대로 두소서 내가 두루 파고 거름을 주겠습니다. 만일 실과가 열면이어니와 그렇지 않으면 찍어 버리소서』실로 의미 심장한 말입니다. 여기 관원지기는 이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에게 한번 더 기회를 주자고 호소합니다. 곧 제 二회의 기회를 주자고 합니다. 사실 하나님께서는 제 二의 기회를 곧 회개의 기회를 주십니다. 첫번에는 열매를 맺지 못하였으나 한번 더 열매 맺는 기회를 주십니다.
성경을 보면 요나 에게도 둘째 기회를 주었습니다. 첫 번에는 다시스로 도망을 가다가 큰 실패를 했으나 자비하신 하나님께서는 그를 기적적으로 구원하여 회개의 기회를 주었고 재기하여 니느웨 성으로 가서 많은 열매를 맺었습니다. 이 말씀이야말로 열매 없는 모든 무화과나무들에게 큰 기쁨의 소식입니다. 하나님은 재기의 기회를 주십니다. 둘째 번 열매 맺는 기회를 주십니다.
베드로는 처음에는 예수를 세 번씩 부인하는 큰 참패를 했으나 하나님께서는 재기할 수 있는 회개의 기회를 주셔서 오순절부터 많은 열매 맺는 사도가 되었습니다. 마가, 요한 도 첫 번 여행 때에 바울과 바나바를 떠나 집으로 돌아오는 열매 없는 청년이었으나 하나님께서는 재기할 수 있는 회개의 기회를 주셔서 사실 그 후에 많은 열매를 맺는 청년이 되었습니다. 그는 마가복음을 기록한 유명한 기독청년이 되었습니다. 유명한 사도 바울 자신도 처음에는 아무 열매 없는 맹목적 바리새 청년이었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회개의 기회를 주어서 문자 그대로 많은 열매를 맺는 위대한 이방의 사도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큰 기쁨의 소식입니다
혹 우리 중에『나는 열매 없는 나무다』하고 스스로 탄식하는 영혼이 있습니까?『나는 지금까지 무슨 좋은 열매를 맺지 못하였습니다』하며 스스로 슬퍼하는 심령은 없습니까?. 낙심하지 말라! 상심하지 말라! 절망하지 말라! 하나님께서는 열매 맺을 수 있는 둘째 기회를 주십니다. 요나 에게 주셨고 베드로에게도 주셨고 마가에도 주셨고 바울에게도 주셨습니다. 하물며 우리에게 주시지 않겠습니까? 반드시 주십니다. 그러므로 낙심하지 말고 과거의 열매 없는 생활의 소극적인 죄를 회개하고 이제부터 열매 있는 생활을 시작하면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큰 은혜를 주셔서 전에 상상도 못하던 놀라운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엄숙한 경고를 우리는 분명히 들어야합니다. 일년만 더 은혜를 주시고 기회를 주어도 끝까지 열매를 맺지 않으면 마지막에는 찍어버린다는 엄숙한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십니다. 제 二의 기회를 주시면서 오래 참으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또한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의 인내에도 제한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끝까지 열매를 맺지 아니하면 마지막에는 찍어 버립니다. 세례 요한도『이제 도끼를 나무 뿌리에 놓았으니 좋은 열매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어 불에 던 지우리라』경고 하였습니다. 끝까지 회개하지 아니하는 열매 없는 소돔과 고모라 성을 유황불로 멸하였습니다. 사실 이 비유는 당시 이스라엘 나라에 대한 비유입니다. 이스라엘 나라는 포도 원 모퉁이에 심긴 무화과나무입니다. 거름도 파고 주었습니다. 아브라함, 모세, 모든 선지자들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그 백성들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였습니다.
최후로 하나님께서는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셔서 문자 그대로 그 교훈과 그 생활과 그 십자가의 고난을 통하여 최후로 회개의 둘째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러나 어떻게 되었습니까? 예수 님께서는 이 말씀으로 회개하라는 최후의 호소를 하였으나 끝까지 회개하지 않음으로 이 말씀을 하신 지 약 四○년 후 곧 주후 七○년에 예루살렘 성은 아주 망하여 버린 것입니다 실로 비참하고도 가혹한 냉엄한 역사적 산 교훈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하나 하나가 한 무화과나무임을 이미 지적하였습니다. 또 우리 나라 혹은 사회가 혹은 민족이 한 무화과나무임도 이미 지적하였습니다. 그 중간에 있는 모든 단체 교회까지도 한 무화과나무임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무화과나무의 목적은 열매를 맺기 위함입니다.
우리 신자 하나 하나의 존재 목적은 열매를 맺는 데 잇습니다. 우리 나라 혹은 민족의 존재 목적도 열매를 맺는데 있습니다. 교회의 존재 목적도 열매를 맺는 데 있습니다. 무슨 정당이나 단체의 목적도 열매를 맺는데 있습니다. 무슨 기관, 학교 등의 존재 목적도 열매 맺는데 잇습니다. 특권이 있는 곳에는 의무가 따릅니다. 열매 맺는 책임이 따릅니다. 특권만 누리고 열매가 없는 생활은 소극적 의미에서 죄악의 생활입니다. 하나님은 자비하셔서 제二의 기회를 주십니다. 그러므로 회개하고 과거에는 열매 없는 생활을 하였으나 앞으로는 꼭 열매맺는 생활을 하여야 합니다.
오 !. 열매맺는 나무가 되게 하여 주옵소서! (一九七一년 九월 五일)
?-17 구름같이 둘러싼 증인들 (히브리서 十一장 三三절- 十二장 二절)
『이러므로 우리에게 구름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 있으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고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히 十二·一- 二)
이 간증주일 아침에 이 말씀이 우리를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신앙생활은 경주입니다.
이 절 가운데 경주란 말이 두 번 나옵니다.『경주를 경주하며』
그리스도인의 곧 신앙생활은 경주입니다. 천천히 걸어가는 산보가 아닙니다. 달음질하는 경주입니다. 고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력의 집중이 필요합니다.
경주하는 이는 일정한 목표가 있습니다.
목표를 향하여 직선으로 달음질을 합니다. 곧 그리스도인들은 우리의 목표인 예수를 바라보며 달음질합니다. 신앙생활은 여행이 아닙니다. 빙빙 돌아다니며 구경하다가 저녁에는 떠난 그곳 여관으로 되돌아오는 생활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매일 매일 목표를 향하여 전진하는 생활입니다. 계속적으로 앞으로 나아갑니다. 전진하기 위하여 최대의 노력을 기울어야 합니다.
둘째, 그리스도의 생활 곧 신앙생활은 허다한 증인 앞에서 달음질하는 경주입니다.
마치 서울 운동장에서 경주하는 자와 같습니다. 빙 둘러앉은 많은 관중 아래서 경주하는 것입니다.
『구름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들 앞에서 경주합니다. 히브리서 저자가 이 글을 쓸 때에는 그 때까지 히브리 역사를 통하여 신앙의 용사들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그 당시보다 더 많은 증인들 앞에서 경주하게 되었습니다. 곧 사도시대의 모든 신앙의 용사들 곧 베드로, 요한, 야고보, 바울, 스데반 등. 그 뿐만 아닙니다. 과거 二,○○○년 교회역사를 통하여 많은 신앙의 용사들 곧 폴리갑, 안도니, 암브로스, 어거스틴, 성 후랜시스, 루터, 칼빈, 현대에 이르기까지 또 많은 한국에서의 신앙의 용사들 주기철(朱基徹), 최봉석(崔鳳錫), 손양원(孫良源), 또 본 교회의 여러 신앙의 용사들 김응락(金應樂), 김창화(金昌華)등 앞에서 신앙의 경주를 합니다. 실로 허다한 증인들 앞에서 우리 신앙의 교인들이 경주를 하는 중입니다.
『구름같이 둘러싼』하는 말이 있습니다. 그 뜻은 우선 많다고 하는 의미인 줄 생각합니다. 구름같이 모인다는 말도 있습니다. 구름은 위에 있습니다. 곧 이들은 다 하늘 위에 있습니다. 하늘 나라에서 우리의 경주를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또 구름은 때로 빛이 납니다. 이들은 다 빛나는 증인들입니다.
구름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은 이미 말씀들인 대로 여러 시대, 여러 나라, 여러 민족, 여러 방면에서 왔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공통된 점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다 우리와 같이 성정(性情)을 가졌던 인간들입니다. 이들은 다 믿음으로 살며 그 생활을 통하여 신앙을 간증하였습니다. 어떤 이는 생활 뿐 아니고 죽음을 통하여 신앙을 간증하였습니다. 곧 피를 흘려 간증하였습니다. 헬라어와 영어에 있는 증인이라는 말과 순교자란 말이 같습니다. 간증 자(martyr)라는 뜻입니다. 이들은 믿음으로 살고 믿음으로 죽어서 이제는 신앙의 승리자로서 하늘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오고 오는 세대의 여러 사람들에게 지금도 믿음으로 말합니다. 곧 간증합니다. 이들이 간증한 내용이 무엇입니까? 간증 주일에 이들의 간증을 잠깐 들어봅시다.
『여호와는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며 인자하심이 풍부 하시도다 우리의 죄를 따라 처치하지 아니하시며 우리의 죄악을 따라 갚지 아니하셨으니 이는 하늘이 땅에서 높음같이 그를 경외하는 자에게 그 인자하심이 크심이로다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 죄과를 우리에게서 멀리 옮기셨으며』(시 一○三·八- 十二)
이는 다윗의 간증입니다. 다윗만 이러한 간증을 한 것은 아닙니다. 허다한 증인들이 다 같이 입을 열어 하나님은 과연 자비하시고 긍휼이 풍성하셔서 모든 죄를 사하여 주십니다. 우리는 본래 다 죄인이었는데 하나님께서는 독생자를 보내셔서 모든 죄를 사하여 주시고 잃은 양을 찾아 주셨다고 간증합니다. 그저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을 얻었으니 감사한 것뿐이라고 간증합니다.
둘째는, 이들은 다 같이 인간은 약하나 믿는 이에게 임하는 하나님의 능력은 강하다고 간증합니다. 이들도 낙심할 때도 있었고 쓰러질 때도 있었으나 주님이 같이 하심으로 모든 슬픔과 환난과 고통도 이기고 다시 일어나 인생 길을 걸었으며 최후 승리를 얻었다고 합니다. 사르락, 에삭, 아벳느고 같이 문자 그대로 풀무 0같은 환난에 빠졌으나 주님이 같이 하시므로 타지 아니하고 불길도 이기고 나왔다고 다 같이 간증합니다. 성경 말씀에도『저희가 믿음으로 나라들을 이기기도하며 의를 행하기도 하며 약속을 받기도 하며 사자들의 입을 막기도 하며 불의 세력을 멸하기도 하며 칼날을 피하기도 하며 연약한 가운데서 강하게 되기도 하며 전쟁에 용맹 되어 이방 사람들의 진을 물리치기도 하였다』간증합니다. 또한 빌립보 四장 十三절에 기록한대로『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하고 사도 바울과 같이 입을 모아 간증합니다.
이들은 다 같이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 되고 축복의 생활이라고 간증합니다.
메마른 광야를 지나왔지만 하나님께서는 생명 샘물로 흡족히 주셨고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다녔을지라도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그들을 안위하였다고 간증합니다. 시편 三○편 四-五절 말씀에『주의 성도들아 여호와를 찬송하여 그 거룩한 이름에 감사할 찌어다 그 노염은 잠깐이요 그 은총은 평생이로다 저녁에는 울음이 기숙할지라도 아침에는 기쁨이 오리로다』또한 시편 三四편 一절과 八-九절에 기록된『내가 여호와를 송축함이여 그를 송축함이 내 입에 계속하리로다』『너희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 찌어다 그에게 피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너희 성도들아 여호와를 경외하라 저를 경외하는 자에게는 부족함이 없도다.』찬송가의 한 절과 같이『높은 산이 거친 들이 초막이나 궁궐이나 내 주 예수 모신 곳이 그 어디나 하늘 나라』이렇게 간증합니다.
그들은 다 우리에게 한 마디 간증을 더합니다. 곧『아무리 깊은 물이라도 겁내지 말라』고. 그들은 인생의 마지막 길에 아주 깊은 요단강을 건너보니 아무 걱정할 것이 없더라고, 주님께서 같이 계시니 홍해처럼 무사히 건너왔다고 간증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들은「우리도 당신 네 들처럼 다 연약한 인간이었으나 오직 믿음으로 모든 것을 이겼다」당신들도 오직 믿음으로 이길 수 있다고 간증합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환경에 있던지 낙심하지 말고 경주를 잘 하라고 말하자면『이겨라! 이겨라!』응원합니다.
셋째, 오늘 우리는 구름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 앞에서 신앙의 경주를 하는 중입니다. 우리가 어떠한 경주를 하여야 하겠습니까?
이들에게 박수를 받을 만큼 경주를 합니까? 혹은 그렇지 못하여 이들로 한숨을 쉬며 근심케 하는 경주 자는 아닙니까? 달음질하지 아니하고 느릿느릿 걷는 자는 없습니까? 쓸어져서 일어나지 않는 자는 없습니까? 우리는 어떠한 경주를 하여야 하겠습니까? 성경은 분명히 우리에게 말하여 줍니다.
모든 무거운 것을 벗어버리고 달음질하라고 합니다. 몸도 가벼워야 합니다. 너무 뚱뚱하게 살이 쪄도 못씁니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인들은 꼭 죄는 아니나 신앙에 방해되는 어떤 것이라도 벗어버려야 합니다. 곧 신앙생활에 방해되는 습관, 방해되는 교제, 오락, 직업 그밖에 방해되는 것은 당연히 벗어버려야 합니다.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라고 하였습니다. 여러 가지 죄를 회개하면서도 아직도 한 가지만은 회개하지 아니하고 그 신앙의 경주를 하려고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 한 가지는 사람을 따라 각각 다릅니다. 어떤 이에게는 정욕에 관한 죄, 어떤 이에게는 돈에 관한 죄, 어떤 이에게는 진실에 관한 죄, 어떤 이에게는 교만 등 여러 가지 많습니다. 각각 내 가슴에 손을 얹고 나를 얽매이는 죄가 무엇인가를 깨달아서 곧 그것을 벗어버립시다. 그래야 경주를 옳게 할 수 있습니다.
인내로 경주하라고 하였습니다.
참고 견딜 줄 알아야 합니다. 예수 님은 십자가의 고난도 참고 견디었습니다. 끝까지 견디는 자가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참고 견디며 끝까지 달음질하여야 합니다. 분한 것도 참고, 슬픈 것도 참고, 실패도 참고, 모든 것을 참고 견디면서 우리의 달려갈 길을 마지막까지 경주를 하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간증주일을 당하여 우리 모든 교우들은 이 세 가지를 기억하여야 합니다.
① 신앙생활은 곧 경주입니다
② 우리는 현재 구름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 앞에서 경주하는 중입니다.
③ 우리 모든 교우들은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고 인내로써 오직 예수만 바라보며 경주하여야 합니다. 그러하면 허다한 증인들에게 박수를 받는 경주 자들이 될 것입니다. (一九七一년 九월 十九일)
?-18 그리스도의 몸 (고린도 전서 十二장 十二- 三一절)
『몸은 하나인데 많은 지체가 있고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러하니라』(고전 十二·十二)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고전 十二·二七)
세상에는 단체도 많고 조직도 많습니다. 그러나 교회와 같은 단체는 또 없습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써 시간을 초월합니다. 곧 옛날의 사도, 성도들도 이 한 몸인 교회에 속합니다. 교회는 공간도 초월합니다. 곧 하늘에 잇는 성도나 땅에 있는 성도나 다 같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속합니다.
교회는 우리 우주에 가장 큰 한 단체입니다. 참으로 죄를 회개하고 신앙으로 그리스도를 내 주로 삼아 세례를 받아 입교하는 이는 지금부터 그리스도의 몸의 한 지체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보이는 부분이 있고 보이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빙산처럼 보이지 않는 부분이 더 큽니다. 빙산은 七분지 一만 물위에 보인다고 합니다.
교회의 보이는 부분은 곧 지상에 있는 부분은 적습니다. 그러나 이 세상에서의 일은 이 지상에 있는 교회를 통하여 합니다. 우리는 약하고 종종 죄도 지으나 실상은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임을 기억하여야 합니다.『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 그리스도의 몸, 우리는 그 몸의 지체』 이 뜻을 잠깐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 모든 지체는 몸의 한 부분으로써 머리에 속합니다. 우리도 교회의 일원으로써 그리스도에게 속합니다. 그리스도와 우리의 관계를 분명히 알아야 하겠습니다. 지체는 머리를 떠나서 못 삽니다.
우리도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살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로부터 생명을 받아 삽니다. 가지가 포도나무에 떨어져서 살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만일 손이나 발이 몸에서 떨어지면 썩을 것뿐입니다. 주님은 말씀하시기를『내 안에 있어라 나도 너희 안에 있으리라』말씀하셨습니다.
그리스도와 우리는 언제나 연결된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지체들은 언제나 머리에 순복(順服)합니다.
손과 발이 언제나 머리의 명령으로 움직입니다. 머리의 뜻이 지체의 뜻입니다. 지체의 뜻이 따로 있을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주님의 뜻이 우리의 뜻, 주님의 말씀이 우리의 말, 주님의 영광이 우리의 영광, 주님의 일이 우리의 일이 되어야 합니다. 주님께서 하라는 일을 해야하고 주님께서 가라는 데를 가야합니다. 반면에 주님께서 하지 말라는 일을 말아야 하고 가지 말라는 곳을 안 가야 합니다. 지체는 언제나 머리에게 순복하여야 합니다.
지체가 머리의 순복을 안 하는 경우가 혹 있습니다. 그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가령 머리는 팔을 들라고 하는데 팔이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름이 아닙니다. 그 팔은 병들었습니다. 마비되었습니다. 풍 맞아 병든 팔은 그렇게 됩니다. 교인이라 하는 이 중에 머리된 그리스도에게 불순종하는 이들이 혹 있습니다.「하라 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또는「하지 말라하는 일을 도리어 한다」「가라하는 곳은 안 가고 말라는 곳에는 도리어 간다」이것이 무슨 이유겠습니까? 단순합니다. 그는 병들었습니다. 마비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체는 주님에게 큰 고통이 됩니다. 큰 슬픔이 됩니다. 주님에게 아픔을 주는 지체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병의 원인을 알아서 곧 고쳐야 합니다.
혹 손이나 발이 아주 중한 병이 들어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절단 수술을 하는 때가 있습니다. 그리스도도『범죄 하는 손은 찍어 버리라』고 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주 찍어버리기 전에 회개하여야 합니다. 병든 지체, 혹은 마비된 지체가 우리 가운데 있습니까? 회개하십시오. 곧 주님께로 돌아와 고침을 받으십시다. 주님은 마른손을 고쳐 쓸 수 있는 손을 만들었습니다. 앉은뱅이의 마비된 다리를 고쳐 걷게 하였습니다. 우리 주님은 지금도 병들고 마비된 지체를 고칠 수 잇습니다. 중심으로 회개하고 주님께 돌아 오라 하십니다.
둘째, 몸에는 여러 가지 지체들이 있습니다. 이 지체들간의 관계를 잠깐 생각하여 봅시다.
이 지체들은 서로 다릅니다. 또 같지 않아야 합니다. 지금 읽은 성경의 말씀대로 다 눈이면 무엇으로 들으며 다 귀이면 무엇으로 보겠는가!. 다른 지체가 서로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지체들이 서로 귀중히 여기며 서로 아끼며 이렇게 우리 교우들도 피차에 다르나 서로 존경하고 서로 아껴야 합니다.
이 지체들은 서로 한 몸 안에서 영결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같은 운명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 지체가 건전하면 다른 지체도 건전하여지고 한 지체가 약하면 다른 지체도 연약하여 집니다. 서로 같이 느끼며 좋은 일도 언짢은 일도 그러합니다. 문자 그대로 동고 동락 합니다. 같이 괴로워하고 같이 즐거워합니다. 발가락하나가 아파도 온 몸의 지체가 같이 고통을 느끼고 나으면 모든 지체가 같이 기뻐합니다. 이와 같이 우리 교우들도 동고 동락 해야 합니다. 성경에『 즐거워하는 자로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로 함께 울라』하였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모든 지체들은 상부 상조합니다. 서로 도웁니다. 발가락이 하나 상하면 손은 얼른 와서 붕대를 감아줍니다. 이렇게 그리스도의 몸에 지체된 우리 교우들도 서로 도와야 합니다. 믿음으로도 피차에 돕고 물질로도 피차에 도와야 합니다. 서로 심방하며 서로 위문하며 서로 권면하며 서로 형편에 따라 내게 잇는 것으로 서로 봉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상가를 잘 돌아보아야 합니다. 경사가 있을 때에도 서로 내왕하여야 합니다.
지체들은 언제나 협력하고 방해하는 일은 없습니다. 옛날 이솝의 이야기 가운데 손과 발이 위를 시기하여 손이 먹을 것을 입에 넣지도 않고 발이 먹을 것이 있는 곳에 가지도 않았더니 위만 굶주릴 분 아니라 손과 발까지 약하여 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다만 지어낸 이야기뿐입니다. 한 몸에 붙은 지체들은 절대로 시기하거나 싸우는 법이 없습니다. 언제나 화평하고 피차에 협력합니다.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의 한 몸에 붙은 우리 교우들도 혹 시기하거나 싸울 수는 없습니다. 언제나 교우들은 피차에 화목하고 협동할 줄 알아야 합니다. 혹 시기하고 싸우는 경우가 있습니까? 그것은 그 지체가 병든 증거입니다. 병의 원인을 알아서 주님께 돌아와 회개하고 고침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뜻 아래서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모든 지체들은 언제나 화목하고 협력하여야 합니다.
셋째, 주님은 지금 육신의 몸으로 세상에 계시지 아니하십니다.
지금은 그 몸 된 교회를 통하여 원하시는 일을 하십니다. 그러면 주님의 몸 된 교회에 할 일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주님께서 육신으로 세상에 오셨을 때에 하던 일을 계속하는 데 있습니다. 모든 지체가 다 합하여 그리스도의 하시던 일을 계속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육신을 입고 세상에 오셨을 때에 하시던 일이 무엇입니까? 성경을 읽어봅시다. 그러면 몇 가지 뚜렷한 일들이 있습니다.
우선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전도하였습니다.
『천국이 가까웠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하셨습니다. 지금도 교회의 첫째 사명은 전도입니다. 개척교회 설립을 통하여 그리고 학원 전도, 병원 전도, 군인 전도, 그리고 문서 전도, 방송 전도, 노방 전도 등 모든 방면으로 복음을 전파해야 합니다. 개인으로도 전도하고 단체로도 전도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된 우리 교우들은 이 전도 사업에 꼭 참여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개인으로 내가 직접 전도하고 둘째는 전도 회나 또는 다른 단체에 가입하여 전도 사업을 후원하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늘 하시던 일을 가르치신 일입니다.
산상에서도 가르치셨고, 해변가에서도 가르치셨습니다. 많은 무리도 동시에 가르치셨고, 제자들을 따로 가르치셨고, 개인적으로도 하나씩 가르치셨습니다. 그러므로 지금도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된 우리 교우들은 가르치는 일에 동참하여야 합니다. 개인으로도 가르치고 가정에서도 가르치고 대중도 가르쳐야 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 된 현대 교회는 이러한 교육사업을 중시하여야 합니다. 고로 본 교회에서도 주일마다 어린이를 위한 교회학교, 주간에 모이는 주간학교, 지도자 양성을 위한 야간 성경학교, 전도사 양성을 위한 여자신학교, 대중교육을 위한 중, 고등학교 등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된 우리 교우들은 이 교육사업에 꼭 동참하여야 합니다. 그 밤밥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내 자신이 기회 있는 대로 직접 가르치는 것이고 둘째는 이 모든 교육사업에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후원하는 데 있습니다.
주님은 세상에 오실 때에 굶주린 자를 먹이셨고 병든 자를 고치셨고 모든 봉사를 하였습니다.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도 이 사업을 현대에 적응하게 꼭 계속하여야 합니다. 불쌍한 고아들을 위한 보린원, 무의무탁한 노인들을 위한 경로원, 외로운 모자들을 위한 모자원 등, 학비 없는 학생들을 돕기 위한 장학회 등 기관이 있어야 합니다. 또 특히 봉사부, 상례부 등을 통하여 봉사하여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된 우리 교우들은 누구나 이 귀한 일에 꼭 동참하여야 합니다. 그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내가 개인적으로 몸소 남을 봉사하는 일이요, 둘째는 이 모든 봉사기관을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꼭 후원하는데 있습니다.
주님의 교훈을 꼭 기억할 말씀이 있습니다. 주님은 그 몸의 지체된 우리를 향하여『너희는 세상의 빛,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라고 하였습니다. 빛은 어두운 것을 물리칩니다. 소금은 썩는 것을 막습니다. 여기에 그리스도인들의 사회적 사명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지체된 우리는 우리 사회에서 방지하며 사회정의를 구현 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지체된 우리들은 사회정화, 사회정의 구현에 꼭 동참해야 합니다. 그 방법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내가 내 개인적으로 직장에서 그리고 어디서든지 바르고 깨끗한 생활로써 빛과 소금의 생활을 하여야 합니다. 둘째는 사회정화, 사회정의 구현을 위한 단체, 또는 정당에 적극 참여하여 이 운동에 선구자가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생각하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심을 새롭게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① 나는 예수 님의 몸의 한 지체이니 언제나 이 몸에서 떨어지지 아니하겠습니다. 떨어지면 나는 죽습니다. 언제나 몸에 붙어 있어 열매맺는 가지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② 나는 예수 님의 몸의 한 지체이니 다른 지체를 시기할 수 없고, 싸울 수도 없습니다. 언제나 참고 용서하며 사랑으로 화목하고 하나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③ 나는 예수 님의 몸의 지체이니 언제나 주님이 원하시는 일을 꼭 해야 합니다. 주님은 지금 내 손 외에 그의 일을 할 손이 없습니다. 주님은 지금 내 발 외에 사람을 옳은 길로 인도할 발이 없습니다 주님은 내 음성 외에 그의 죽음을 전파할 음성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지금부터 주님의 손이 되고 주님의 발이 되고 주님의 음성이 되어 주님의 일을 꼭 하여야 하겠습니다.
여러분! 우리가 이 시간 다 이 결심을 하고 지금부터 이대로만 행하면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통하여 우리 五,○○○만 한국 민족을 반드시 구원할 것입니다. 그 뿐만 아니고 우리의 교회가 온 아시아민족의 구원 선이 되며, 아니 전 세계의 진리의 등대로 하나님께서 축복하실 것입니다. 아멘. (一九七一년 一○월 三일)
?-19 순교자 스테반 (사도행전 六장 八- 十五절, 七장 五四- 六○절)
『공회 중에 앉은 사람들이 다 스테반을 주목하여 보니 그 얼굴이 천사의 얼굴과 같더라』( 행 六·十五)
공회 중에 앉은 사람들이다 스테반을 주목하여 보았다고 하였습니다. 이 시간 우리도 잠깐 동안 이 교회 역사상 첫 순교자인 스테반을 주목하여 볼 수 잇기를 바랍니다. 예루살렘교회가 오순절에 성령이 충만한 은혜를 받아 담대히 복음을 전파할 때에 하루에 三千명이 회개하게 되었고 그후에도 계속하여 많은 사람들이 회개하고 교회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그 뿐 아닙니다. 모든 사람들이 사랑으로 충만케 되어 자기의 소유를 팔아 기쁜 마음으로 사도의 발 앞에 놓아 유무상통 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교회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직접 음식을 공궤(供饋)하게끔 되었습니다. 그 때에 헬라파 유대인들이 자기의 과부들에게는 구제가 잘 되지 않는다 하여 불평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이 때에 사도들은 너무 분망(奔忙)한 중에 잘 살피지 못하게 된 것을 알게 되었고 또 사도들로써는 이런 구제하는 일보다 기도와 말씀에 전무(專務)하는 것이 합당한 줄 생각하여 구제하는 일을 잘 할만한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 집사 七명을 택하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 제일 먼저 택함을 받은 이가 스테반입니다. 이 시간 우리도 스테반을 주목하여 보기로 하겠습니다.
첫째 그는 어떠한 신자이었던가?
六장 三절에『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 칭찬 듣는 사람』
六장 五절에『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
六장 八절에『은혜와 권능이 충만하여』
六장 一○절에『스테반이 지혜와 성령으로 말함을 저희가 능히 당하지 못하여』
그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모습을 성경은 이렇게 묘사하였습니다. 그는 우선 믿음으로 충만하였습니다. 믿음을 통하여 받은 성령으로 충만하였습니다. 또한 성령으로 좇아오는 모든 은혜로 충만하였고 성령의 권능과 지혜로 모두 충만하였습니다. 믿음, 성령, 은혜, 권능, 지혜의 모든 신덕(信德)이 충만한 사람이었습니다. 이러한 분이 교회에서 집사 일을 보았습니다. 이런 이들이 집사일 장로일 회장일 총무 일을 볼 때에 교회는 축복을 받습니다. 교회에서 직분이나 임원을 택하는데 첫째 조건은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가를 보아야 합니다. 누구나 믿는 사람은 믿음과 성령과 은혜를 얼마는 받는 줄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얼마나 많이 받았습니까? 스테반은 이 모든 은혜를 충만히 받았습니다. 우리 하나 하나가 스테반처럼 이 모든 은혜를 충만히 받기를 힘써야 합니다. 그는 모든 은혜에 충만한 크리스천이었습니다.
둘째, 그는 먼저 집사로써 당시의 마땅히 할 일을 충성되게 감당한 줄로 생각합니다. 곧 구제와 봉사는 집사로써 으레 히 할 일입니다.
성경에는 특별히 기록하지는 않았지만 스테반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복음을 담대히 전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가 공회 앞에서 연설한 그 전문이 사도행전 七장에 기록되었습니다. 그 내용을 보면 그는 이스라엘 민족의 전 역사에 통달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구약과 그 밖의 역사를 많이 공부하고 연구한 분입니다.
그는 역사적 사실을 들어 이스라엘 백성의 조상들이 많은 예언자들을 핍박하고 또는 죽인 사실을 지적하였으며 마지막에는 그들이 이구동성으로 장차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한 의인 곧 메시아가 오리라고 예언하였는데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오신 그 의인 곧 그리스도를 죽인 사실을 지적하였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천사가 전한 율법을 받고도 지키지 아니한 것을 또한 지적하였습니다. 그의 증언은 사실 여기서 그칠 수밖에 없었고 그의 결론인 회개하고 주를 믿으라는 말씀은 하지를 못하였습니다 .이 말을 듣던 군중은 격분하여 돌을 들어 치기를 시작한 까닭입니다. 이러한 궁중 앞에서 이렇게 담대히 진리를 선포한 것은 실로 위대한 용기를 의미하며 오직 이것은 성령과 권능으로 충만한 가운데서 이루어진 일입니다. 죄를 죄라고 분명히 지적함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일찍이 선지자 나단이『당신이 그 사람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선지자 나단이 얼마나 용감하였다고 하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스테반은 성령의 충만한 가운데서 담대히 죄를 책망하며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셋째, 그의 죽음을 주목하여 보세요. 스테반은 담대히 복음을 증거 하다가 돌에 맞아 최후를 마치게 되었습니다. 사도행전 七장 五四절 이하에는 그의 최후 죽음의 모습이 자세히 기록되어있습니다. 그는 암흑한 찰라에 그의 신령한 눈은 밝아져서 하나님의 영광 및 예수께서 하나님의 우편에 서신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크게 외쳤습니다『보라 하늘이 열리고 인자가 하나님의 우편에 서신 것을 보노라』하였습니다. 이는 그가 참된 신앙의 소유자인 증거입니다. 믿음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는 또한 크게 부르짖었습니다.『주 예수여 내 영혼을 받으시옵소서』그의 영혼을 주님께 바쳤습니다. 믿는 자의 죽음의 깊은 뜻이 나타납니다.
곧 신자의 죽음은 그 영혼을 주께 최후로 바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영혼이 주님의 품속에 안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영혼의 영원한 안식입니다. 그리고 그는 한 가지 일을 더 하였습니다. 곧 그는 무릎을 꿇고 크게 기도하였습니다.『주여 이 죄를 저들에게 돌리지 마옵소서』그는 돌로 치는 자들의 모든 죄를 사하여 주신 것입니다. 이렇게 그는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주님의 말씀을 그대로 지켜 또 주님께서 자기를 십자가에 못 박는 자들의 죄를 사하여 주신 그리스도의 모범을 그대로 본받아 실천하였습니다.
그는 선으로 악을 이겼으며 사랑으로 미움을 정복한 참된 그리스도의 사랑의 소유자임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렇게 그는 문자 그대로 주님의 골고다에서의 발자취를 그대로 답습한 성자요, 또한 순교자입니다.
넷째, 그의 인간으로서의 최후 결산을 주목하여 봅시다.
본문에『공회 중에 앉은 사람들이 다 스테반을 주목하여 그 얼굴이 천사의 얼굴과 같더라』하였습니다. 그의 최후의 얼굴은 천사의 얼굴과 같았다고 하였습니다. 얼굴은 영혼의 거울이라고 합니다. 그의 얼굴은 천사의 얼굴로 변하였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한 예술가라고 지적하였습니다. 그 뜻은 인간은 누구나 그림 한 장씩은 그 일생을 통하여 그린다고 합니다. 그 그림은 자기의 그림입니다. 자기의 초상화입니다. 일생 사는 동안 그가 하는 행동, 그가 하는 말, 그가 쓰는 글, 그가 하는 일들은 말할 것도 없고 그의 깊은 속에 잠깐 스쳐 지나가는 모든 생각, 모든 감정, 미움, 기쁨, 슬픔까지도 다 합하여 자기의 초상화가 그려진다고 합니다. 여러분이 그리는 초상화가 어떻게 되어 가는지 살펴보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에 내 자신은 어떠한 초상화를 남기고 가겠습니까?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유명한 성화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성화 그리스도의 성만찬을 그릴 때에 그 성화에 나타나는 그리스도 얼굴 모델을 당시 밀란 교회의 한 성가대원에게 서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먼저 그리스도의 얼굴을 그리고 여러 다른 제자들의 얼굴을 여러 사람의 모델을 따라 그리는 동안 수년이 걸렸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룟 유다 의 얼굴을 그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는 사방으로 다니며 그 모델을 찾았다고 합니다. 특별히 밀란 거리 가운데 좋지 못한 나뿐 사람들이 많이 사는 거리를 해 메이며 찾아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어떤 사람을 만나 모델을 삼고 유다 의 얼굴을 그리는 도중에 문득 그 사람을 어디서 본 듯이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차차 물어 알고 보니 그는 바로 몇 해 전 그리스도의 얼굴 모델이 되었던 청년이었습니다. 그는 깜짝 놀라 어떻게 얼굴이 그렇게 변하였느냐고 물어 보았다고 합니다. 그랬더니 그는 솔직히 고백하기를 몇 해전까지는 참 기독청년으로써 성가대원으로 봉사하였으나 그후 불행히 그는 시험에 빠져 아주 타락한 생활을 계속하는 중이라고 하였습니다.
여러분! 여러분의 얼굴이 어떻게 변하여 갑니까? 스테반과 같이 천사의 얼굴로 변하여 가고 있습니까? 혹은 이 청년처럼 유다 의 얼굴로 변하여 가고 있습니까? 사실 인간이 한 세상을 다 산 후에는 오직 남길 것은 이 얼굴하나 뿐입니다. 천사의 얼굴입니까? 유다 의 얼굴입니까? 스테반은 천사의 얼굴을 큰 유산으로 우리 모든 인류들에게 남기고 간 순교자입니다.
다섯째, 이 스테반의 순교가 교회에 준 영향은 어떠한 것입니까?
스테반을 돌로 치는 군중 가운데 우리가 특별히 기억할 만한 청년이 있습니다. 그는 장차 사도 바울이 될 사람이었습니다. 七장 五八절에『성밖에 내치고 돌로 칠 새 증인들이 옷을 벗어 사울이라 칭하는 청년의 발 앞에 두니라』하였습니다. 곧 바울이 스테반의 그 순교의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성 어거스틴은 그 설교 가운데서 이렇게 말하였습니다.『만일 스테반이 이러한 기도가 없었던들 교회에는 바울이 주어지지 않았을 것이다』다시 말하면 스테반의 이러한 성스러운 순교의 죽음은 다시 그를 핍박하는 맹목적인 청년 사울에게 깊은 인상과 장차 회개의 준비가 되게 하였다는 뜻입니다. 마틴 루터 역시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말하자면 죽은 스테반이 산 사울을 사로잡은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스테반의 순교가 있은 후에 예루살렘 전체 교회에 큰 핍박이 일어나 사도 외에는 믿는 사람들이 모두 사방으로 도피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결과는 어떠하였습니까? 이들은 가는 곳마다 복음을 전파하여 복음은 불꽃같이 전 로마제국에 퍼지게 되었습니다. 터툴리안 말과 같이 문자 그대로『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종자』가 되었습니다.
여섯째,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스테반을 주목하여 보기로 합시다.
스테반을 돌로 치는 사람들이 거짓증인을 세워 그를 정죄(定罪)하고 거짓 선전으로 무리를 충동하였습니다. 모세와 하나님을 모독하여 성전과 율법을 거슬러 말한다고 선전하였습니다. 그러면서 돌로 쳐 그를 죽였습니다. 이렇게 말하자면 거짓이 진리를 짓밟았으며 어두움의 세력이 빛을 꺼버렸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다만 일시적이었습니다. 거짓은 거짓으로 진리는 진리로 결국은 드러나고야 말았습니다. 빛은 빛으로, 어두움은 어두움으로, 역사는 판단하였습니다.
인간의 하는 모든 일에는 결국은 하나님의 판단이 있습니다. 어느 시대, 어느 곳에서나 이 거짓과 어두움의 세력과 그 선전은 그치지 아니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선전에 과히 신경을 쓸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판단이 반드시 내립니다. 언제나 진리는 승리하고 허위와 죄악은 패배하고야 맙니다. 링컨은 일찍이 이러한 말을 했습니다.『몇 사람은 혹 속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은 항상 속일 수 없다』사실은 언제나 사실로 드러날 때가 있습니다. 진리는 반드시 이깁니다. 진리인 그리스도는 반드시 승리합니다. 그러므로 안에 참된 신앙을 가진 이는 반드시 승리합니다. 금생과 내생에 승리합니다. 역사의 판단과 하나님의 판단이 있습니다.
여러분! 이 시간 우리는 첫 순교자 스테반의 얼굴을 잠깐 주목하여 보았습니다 그의 성령과 은혜와 권능과 지혜의 충만한 믿음을 본받읍시다. 주를 위하여 생명을 초개같이 버린 그 희생의 정신을 본받았습니다. 원수의 죄까지 용서하여 그 사랑을 본받았습니다. 우리도 스테반과 같이 주검을 초월한 영원한 승리를 얻읍시다. 아멘 (一九七一년 十월 十일)
?-20 광야의 소리 세례 요한 (누가복음 三장 三-十四절)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가로되 너희는 주의 길을 예비하라 그의 첩경을 평탄케 하라』(누 三·四)
서울은 이미 대도시가 되었습니다. 대도시가 될수록 소음이 많아집니다. 자동차 소리, 기계 돌아가는 소리, 사람이 떠드는 소리, 지금 이 시간 우리 귀를 잠깐 기울여 멀리 고요한 유다 광야에서 들려오는 맑은 광야의 소리를 들어봅시다. 곧 세례 요한의 음성을 잠깐 듣기로 합시다. 그는 二천년 전에 살았고 또 잠깐 외치고 쓰러진 청년 예언자입니다. 그러나 그 광야의 소리는 세기를 통하여 지금 까지 은은히 들려옵니다.
첫째, 먼저 그 모습을 잠깐 바라봅시다.
그는 본래 제사장 사가랴와 아론 후손 어머니 엘리사벳에게서 낳았습니다. 제사장 사가랴가 성전에 들어가 분향할 때에 어떻게 천사 가브리엘이 나타나 장차 에리사벳이 비록 늙었으나 아들을 낳을 것이며 그는 모태로부터 성령의 충만함을 입어 많은 사람을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겠다는 말을 한 누가복음 一장의 이야기를 잘 기억합니다. 이렇게 그는 아마 예루살렘이나 다른 제사장들이 사는 동리에서 낳았지마는 보통 다른 아이들과 같이 교육은 받지 않았습니다.
누가복음 一장 八十절에『아이가 자라매 심령이 강하여지며 이스라엘에서 나타나는 날까지 빈들에 있으니라』하였습니다. 그는 오래 광야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말하자면 황막한 광야는 그의 교실과 운동장이었고 사해 근처 소돔과 고모라의 폐허는 그의 교과서 역할을 하였을 것입니다. 그의 음식은 메뚜기와 석청(石淸)이라고 하였습니다. 곧 광야에서 얻을 수 있는 식물뿐입니다. 그의 옷은 약대 털옷이며 허리에는 가죽띠를 띠었습니다. 옛날 선지자 엘리아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이렇게 그는 홀로 고독한 가운데 오직 하나님과 대면하며 그의 육성을 분명히 들은 것입니다. 옛날 모세가 시내산 기슭에서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바와 같이 세례요한은 황막한 유다 광야에서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그 사명을 받은 것입니다.
그는 유다 역사상 四백년간의 침묵을 깨뜨리고 혜성과 같이 나타나 외치기를 시작하였습니다. 당시에 이스라엘 백성은 비로소 하나님의 사자의 음성을 다시 듣게 되었습니다. 그의 성품은 강직하며 솔직하고 그의 생활은 근엄, 성결, 극기, 희생적이었으며 그의 음성은 정렬과 능력으로 충만한 예언자이었습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연히 참 예언자의 이 광야의 소리를 듣기 위하여 유대광야와 요단강 강변으로 구름 같이 모이게 되었습니다. 그 광야의 외치는 소리는 무엇이었습니까?
둘째, 그의 메시지는『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웠느니라』그는 이렇게 새 시대가 가까워 오는 것을 선포하였습니다.
곧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웠음을 알리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기 위 하여는 먼저 죄를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라고 권고하였습니다. 회개와 세례는 천국에 들어가는 데 전제 조건이 되는 것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당시 유대사람들은 아브라함의 자손이므로 천국에 무조건 들어갈 줄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았습니다. 세례 요한은 그러한 오해와 망상을 씻어 버리라고 외쳤습니다. 하나님이 원하신다면 요단강 강변에 있는 돌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을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구원은 무슨 유전으로 얻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의 믿음으로 혹은 공적으로 얻는 것도 아닙니다. 구원은 개인적입니다. 나 하나 하나가 개인적으로 내 죄를 회개하여야 구원을 얻는 것입니다.
또 세례를 받으려면 꼭 회개하고 자복한 후에 받아야 한다고 분명히 요구하였습니다. 당시 바리세인과 사두개인 들이 죄는 회개하지 아니하고 나오는 것을 보고『독사의 자식들』이라고 책망하였습니다. 회개의 합당한 열매를 꼭 맺으라고 요구하였습니다. 이 말씀은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구원을 얻으려면 참으로 죄를 회개하여야 합니다. 회개란 말은 죄에서 떠나 돌아선다는 뜻입니다. 죄에서 떠나 돌아서서 주님께 와야 구원을 얻습니다.
장차 올 심판에 대하여 분명히 경고하였습니다.『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어 불에 던 지우리라』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는 반드시 찍어 불에 던 지울 때가 오는 것을 분명히 알렸습니다. 그러므로 참으로 회개하고 회개에 합당할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열매 맺을 수 있을 때에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또 이러한 말로도 장차 올 심판에 대하여 경고하였습니다『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 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곡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아마 지금 청년들은 키를 보지 못한 이들도 많은 줄 생각합니다. 나는 농촌에서 자라 키질을 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곡식을 마당에서 떨면 자연히 알곡과 쭉정이가 같이 섞입니다. 이 것을 키에 담아 까불면 쭉정이는 바람에 날리고 알곡만 남게됩니다. 이렇게 알곡과 쭉정이를 나누어서 알곡은 모두 곡간에 들이고 그 쭉정이는 불에 태우는 것입니다. 우리 세계에도 알곡과 쭉정이를 나누어 알곡은 천국 창고에 넣고 쭉정이는 꺼지지 아니하는 지옥 불에 던질 때가 오리라는 말씀입니다. 내가 알곡인가 혹은 쭉정인가 내 믿음을 깊이 살펴야 합니다
천로(天路)역정(歷程)을 쓴 죤 번연에게 대하여 이러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가 젊었을 때에 길을 가다가 이러한 말을 마음 귀로 들었다고 합니다.『네가 죄를 버리고 천국에 가겠느냐. 혹은 네가 죄를 그냥 가지고 지옥에 가겠느냐』그는 이 음성을 들은 후에 두 가지 가운데 하나를 택정(擇定)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는 죄를 버리고 천국으로 가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이간은 누구나 이 결심이 필요합니다. 이 결단이 있는 이에게는 심판이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이 결단이 다 있습니까? 만일 한 분이라도 이에 대하여 미 분명하면 이 시간 결단합시다.
세례요한은 이 회개에 대한 요구와 심판에 대한 경고만 한 것 아닙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우리 인간 사회에서 이렇게 살아야 할 것을 분명히 가르쳤습니다. 누가 복음 三장 一○절 이하에『무리가 물어 가로되 그려하면 우리가 무엇을 하리이까 대답하여 가로되 옷 두 벌 있는 자는 옷 없는 자에게 나누어 줄 것이요 먹을 것이 있는 자도 그렇게 할 것이니라 하고 세리들도 세례를 받고자 하여 와서 가로되 선생이여 우리는 무엇을 하리이까 하매 가로되 정한 세 외에는 늑징(勒徵)치 말라 하고 군병들도 물어 가로되 우리는 무엇을 하리아까 하매 가로되 사람에게 강포(强暴)하지 말며 무소 하지 말고 받는 요를 족한 줄로 알라 하니라』 이 간단한 말씀 가운데 세례 요한은 오눌 우리 사회가 당면하는 三대 문제에 대하여 간결한 교훈을 줍니다.
곧 첫째는 빈부의 격차문제 곧 경제문제, 둘째는 세리공무원의 기강문제, 셋째는 군인의 기강문제입니다. 여기서 세례요한은 옷 두 벌 가지고 있는 자들은 없는 자들에게 한 벌을 주라고 하였습니다. 옛날도 옷 두 벌을 가진 자들이 있는 반면에 한 벌도 없는 자들이 또한 많았습니다.
지금 한국의 경제가 좀 발전한다고 하나 빈부격차의 문제는 국가의 중대한 사회문제로 되어있습니다. 대기업은 유지되나 중소기업은 몰락된다고 합니다. 같은 도시에서 살면서 十층 十二층 고층 건물 그늘 아래는 단칸방도 없는 세 국민이 많습니다. 도시와 농촌의 격차 이것은 큰 사회문제입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평준화된 사회를 만들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정치가 경제인 사회학자들이 꼭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여기에 세례요한은 다만 그 문제해결의 핵심이 되는 원리를 지적합니다 곧 그것은 있는 이들이 없는 이들에게 자기의 것을 자진하여 나누어주고자 하는 정신 생활입니다. 공산주의자들은 폭력으로 자본주의와 지주들의 재산을 강탈하여 농민과 노동자의 사회를 만들자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 사회가 얼마나 암흑하다고 하는 것을 목도합니다. 그러면 거기에 대안이 무엇인가 생각하여 봅시다. 그것은 있는 자들이 없는 자들에게 자진하여 나누어주는 정신 아래서 모든 법률과 제도를 나누어 사회복지국가를 이룩하는 데 있습니다.
다음 주일이 바로 봉사 주일인데 옷 두 벌 있는 자는 그만두고 세 벌 이상 있는 이들은 한 벌씩만 가져오기를 바랍니다. 듣기만 하지 말고 우리도 우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여 봅시다. 세리에게 그는 정한 세금 외에는 늑징치 말라고 경고하였습니다. 정한 것 외에는 더 받는데서 부정부패가 생겨납니다. 일전 신문을 보니 어떤 세무서 직원은 아주 정직하여 표창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모든 공무원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군인들에게도 특별히 강포하지 말라고, 또 받은 요를 족한 줄로 알라고 권고하였습니다. 군인은 국가 방위의 신성한 의무를 지닌 국민들입니다. 이 의무를 바로 감당하기 위하여 그들은 무장을 하였습니다. 이 무기도 쓸 줄 알아야 합니다. 우리 국민이 자유와 질서와 평화를 위하여만 사용해야 합니다. 다시 우리 사회에서 소위 군인 난동이니 난입이니 하는 말이 들리지 않기를 바랍니다.
세례요한의 모든 말씀을 통하여 그의 최대의 사명을 수행하였는데 곧 그것은 장차 나타날 메시아를 만나기 위안 준비이었습니다. 그는 만 왕의 왕이신 그리스도를 위하여 길을 평탄케 하기 위하여 온 것입니다. 그리하여 그는 최후로 손을 높이 들어 외쳤습니다.『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을 보라』그의 손가락은 그리스도를 향하였습니다. 그의 증언을 자세히 들어보세요 그는 그리스도가 가장 위대한 종교가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가장 위대한 도덕가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가장 위대한 사회봉사자요 혁명가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예수 님은 가장 위대한 종교가요 도덕가요 사회봉사자입니다. 그러나 세례요한은 그런 면을 보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는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인 양임을 지적하였습니다. 곧 그리스도는 만민의 죄를 십자가에서 대속(代贖)하신 구주임을 미리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는 한 종교가만이 아닙니다. 우리 죄를 지시고 십자가에 죽으시고 삼일만에 부활하신 구주이십니다. 그러므로 오직 그를 통하여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었습니다.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를 분명히 들어보세요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을 보라』세례요한은 이 말씀으로 그리스도의 선구자의 역할을 마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세례요한은 당시 헤롯왕의 음란한 죄를 책망하고 결국은 그의 독부 헤로디아의 악한 손에 최후를 마치었습니다. 성경에 그 제자들이 와서 그 시체를 거두어 묻었다고 하였습니다. 그렇습니다. 그의 시체는 성지 어느 곳에 한 줌의 흙으로 화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가 광야에서 외친 소리를 묻을 수는 없습니다. 그 소리는 영원히 살아 남아 있습니다. 세기를 통하여 광야의 소리는 외치기를 그치지 않았습니다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워 졌느니라』『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을 보라』 이 소리는 지금도 들립니다. 우리가 그 음성을 듣습니까? 아니 분명히 들어야 합니다. 우리도 그 어린양을 우리의 구주로 영접해야 합니다. (一九七一년 十월 十七일)
?-21 이기고도 남음이 있는 생활 (로마서 八장 三○- 三九절)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롬 八·三七)
로마서 八장은 전 로마 서신의 최고봉입니다. 그 중에도 본문 부분은 그 가운데서 산 상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도 바울은 우리 신자의 구원은 우연히 된 일이 아니요 하나님의 예정 가운데서 된 것을 분명히 합니다. 三○절에『또 이미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그리고 그는 계속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의 질문의 형식으로 우리 신자의 말하자면 안전보장을 선언합니다.
三一절『누가 능히 우리를 대적하리요』
三三절『누가 능히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을 송사 하리요』
三四절『누가 정죄 하리요』
三五절『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모두 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三七절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도 넉넉히 이기느니라』 이 넉넉히 이기는 생활에 대하여 혹은 이기고도 남음이 있는 생활에 대하여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 먼저 본문을 분명히 기억하여야 합니다.
『이 모든 일에』하였는데 그것은 무슨 뜻입니까? 三五절을 읽어봅시다.『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困苦)나 핍박이나 기근이나 적신(赤身)이나 위험이나 칼이랴』곧 이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먼저『환난이나』 이 환난이란 원어의 뜻은 타작한다는 의미입니다. 곧 곡식을 떨기 위하여 곡식 단을 두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방으로 두들겨 맞아도 곧 공격을 당하여도『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이긴다는 뜻입니다. 그 다음은 『곤고』입니다. 여러 가지 괴로운 것을 의미하는데 특별히 심리적 고통과 번민(煩悶)을 흔히 의미합니다. 아무리 큰 심리적 고통이라도『우리를 사랑하는 이로 말미암아』이긴다는 뜻입니다. 다음은『핍박』입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우리 신자들은 이 세상 안 믿는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형태에 핍박을 받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이긴다는 뜻입니다. 그 다음은 『기근과 적신』입니다. 기근은 배고픔을 곧 굶주림을 의미함이요, 적신은 입을 것이 없어 헐벗음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신자들은 우리를 사랑하는 이로 말미암아 굶주림과 헐벗음 곧 빈곤도 이겨낸다는 말입니다. 다음은『위험과 칼』이라고 하였습니다. 위험은 생명의 위험을 말함이요 칼은 곧 칼의 죽임 당함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신자들은 생명의 위험이나 죽음을 직면하여도『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이긴다는 뜻입니다.『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넉넉히 이깁니다.
이 모든 것을 넉넉히 이겨냄은 우리에게 있는 무슨 힘이나 지혜로 말미암음이 아니요 곧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 우리를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셔서 생명까지 버리신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넉넉히 이긴다는 말입니다. 곧 우리와 항상 같이 계시는 그리스도의 능력으로 『환난과 곤고와 핍박과 기근과 적신과 위험과 칼』등 이 모든 원수를 이긴다는 말입니다.
여기『넉넉히 이긴다』는 말의 뜻을 분명히 이해합시다. 우리 신자는 환난과 곤고와 핍박과 기타 모든 원수를 정복하고 이길 뿐더러 이 승리를 통하여 더욱 큰 은혜와 축복을 받는 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 모든 어려움을 통하여 더욱 큰 축복 곧 전화위복의 은혜를 받는 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처음에 얼른 이해하기 어려우나 사실 지나보면 모든 참된 신자의 공통된 경험입니다.
둘째, 본문의 말씀은 사도 바울의 말씀입니다.
바울은 여기서 무슨 이론을 전개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의 경험을 통하여 증언하는 것입니다. 고린도 후서 十一장 二三절 이하를 읽으면 사도 바울이 복음의 사자로서 어떠한 경험을 당하였는지 기록되어 있습니다.『내가 수고를 넘치도록 하고…』바울은 이와 같은 책임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합니다.『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증언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의 생활을 살펴봅시다. 그가 빌립보에서 전도를 할 때에 큰 핍박을 만나 잡혀가 많은 매를 맞고 실라와 같이 억울하게 감옥에 갇혔습니다. 바울과 실라는 그 핍박을 잘 이기었습니다. 아픈 것도 이기고 억울하고 괴로운 것도 이겼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렇게 소극적으로 고통을 이긴 것만이 아닙니다. 그런 중에서 크게 찬송을 부르며 기도를 하였습니다. 따라서 그날 밤에 그 감옥의 간수까지 구원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곧 이기되 넉넉히 이겼습니다. 이기고 남음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만년에 오랫동안 로마에서 감옥생활을 하였습니다.
노년의 감옥생활은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바울은 그를 사랑하는 이로 말미암아 그 곤란을 잘 이기었습니다. 그것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감옥에 있는 동안 같이 감옥에 있던 한 청년 죄수 오네시모에게 전도를 하였습니다. 그를 지키는 로마군인에게 역시 전도를 하여 가이사 집에 복음이 퍼지게 되었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그는 감옥에 있는 동안 귀중한 옥중 서신을 기록하여 오고 오는 세대 사람들에게 생명과 용기를 주는 불멸의 업적을 남기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는 그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환난과 곤 고를 이길뿐더러 넉넉히 이기었습니다. 그러므로 감옥에서도 그는『주 안 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고 외쳤습니다. 실로 이기고도 남음이 있는 생활이었습니다. 로마 시 교외에 성 바울 기념 예배당이 굉장히 푸른 하늘에 솟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설에 의하면 바로 그곳에서 사도 바울은 참수를 당하여 순교하였다고 합니다. 여기 사도 바울은 위험이나 칼이라도『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넉넉히 이긴다』고 하였습니다. 사도 바울이 순교한 모습에 대하여 자세한 기록은 지금 찾을 길이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의 말한 그대로 그의 최후 순교도 그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넉넉히 이긴 줄로 믿습니다. 그는 일찍이 디모데에게 쓰기를『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준비되었다』고 하였습니다. 그는 일생토록 그와 같이 하시며 도와주신 그리스도의 얼굴을 바라보면서 그의 얼굴을 스테반과 같이 천사의 얼굴로 변하면서 그의 최후를 마치었음이 틀림없습니다. 그는 그를『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이 모든 일에 넉넉히 이기는 생활을 하였습니다.
셋째, 이는 다만 사도 바울의 생활만 아닙니다. 모든 참된 성도들의 다 그러하였습니다. 영국의 유명한 순교자 래티머 감독은 화형대에 올라서서 같이 순교하는 동지에 부르짖기를 『형제 리들이여! 담대하세요 오늘 우리는 영국에서 장차 영원히 끈을 수 없는 진리의 촛불을 붙입니다』 레티머 감독도 그를『사랑하는 이로 말미암아』위험과 죽음도 넉넉히 이기었습니다. 우리 신자들은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는 조금도 없습니다.『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넉넉히 이기는 것입니다. 참 신앙이 있는 이에게도 기쁨으로 죽을 수 있는 은혜를 주님께서 주십니다. 구약시대의 요셉은 소년으로써 멀리 외국에 종으로 팔려갔으나 믿음으로 고독도 이기고 유혹도 이기고, 감옥의 고통도 이기고, 이기되 넉넉히 이기어 마지막에는 애굽에서 총리대신 까지 되었습니다. 그는 신앙으로 이기고도 남음이 있는 생활을 하였습니다. 전에 영국의 청교도 문학자 존 밀톤은 중년에 불행히 실명하였으나 그 고통을 이기되 넉넉히 이겨 오히려 실명 후에 불멸의 시『실낙원(失樂園)』을 저술하였습니다. 존 번영은 一○여 년간 감옥에 있는 동안에 모든 옥고를 이길뿐더러 넉넉히 이겨 유명한 책 『천로 역정( 天路 歷程)』을 기록하였습니다.
기억하십시오! 우리 신자는 이 모든 일에『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넉넉히 이깁니다. 제가 오래 전 이북에 있을 때에 평양에 있는 여자고등성경학교에 가서 설교를 한 일이 있습니다. 예배를 본 후에 그 학생들의 형편을 물어보니 대부분이 과부가 아니면 생과부들이었습니다. 곧 남편에게 소박 맞은 이들입니다. 그들이 주를 믿는 가운데서 고독과 비애의 모든 환난을 이길뿐더러 넉넉히 이기어 그런 역경 중에서 공부를 하고 교회에 헌신하여 복음을 전파하는 전도사들이 되었습니다. 사실 한국교회는 이런 여전도사들의 공헌이 실로 위대하였습니다. 이들은 모든 환난 가운데서도 그들을『사랑하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넉넉히 이기었습니다. 이기고도 남음이 있는 생활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 진주 패에 대한 이야기를 다 알 것입니다. 지금은 인공으로 진주를 만들기 위하여 일정한 종류의 조개 속에 모래알을 넣는다고 합니다. 그리하면 그 조개 속에서 여러 해 후에 진주가 나옵니다. 그 부드러운 조개 속에 깔깔한 모래가 들어갈 때에 생명체인 조개는 큰 고통을 느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조개는 그것을 이길뿐더러 가장 귀한 생명의 즙을 내어 그 모래알을 싸고 또 쌉니다. 그려는 중에 그 모래알은 점점 크면서 굳어져서 마지막에는 아름다운 진주로 변합니다. 아마 하나님께서 우리 믿는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환난을 겪게 하는 것은 이 진주 같은 보배로운 하나님의 자녀를 만들기 위함인 듯 합니다. 그리하여 영원한 하늘나라에서도 항상 간직할만한 보배로운 영혼을 만들기 위함인 듯 합니다.『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
여러분의 당면한 문제가 무엇입니까? 환난입니까? 고통입니까? 아니면 실패입니까? 분명히 들으세요『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는 이로 말미암아 이기고도 남음이 있는 생활』을 합시다. (一九七一년 十월 二十四일)
?-22 날리는 낙엽 (욥기 十三장 二○- 二八)
『주께서 어찌하여 날리는 낙엽을 놀래시며 마른 검불을 따르시나이까』(욥 十三·二十五)
한국의 가을은 아름답습니다. 하늘은 높고 시냇물은 맑으며 들에는 익은 곡식이 황금 물결을 이룹니다. 가을의 화단은 향기로 사무치고 산들은 붉은 단풍으로 단장합니다. 아마 가을에 제일 많이 보이는 것은 떨어지는 나뭇잎 곧 단풍(丹楓)일 것입니다. 바람에 날리는 낙엽일 것입니다. 하나님은 대자연계를 통하여 또는 변하는 절기를, 일월성신을 통하여 말씀하시며, 공중에 나는 새, 들에 피는 백합을 통하여도 말씀하십니다. 또한 가을에는 떨어지는 나뭇잎 곧 날리는 낙엽을 통하여도 말씀하십니다.
여기 욥기 十三장 二五절 말씀에『주께서 어찌하여 날리는 낙엽을 놀래게 하시나이까』하였습니다. 욥은 그 수난과 고독과 번민(煩悶)중에서도 날리는 낙엽을 통하여 나타내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여기 날리는 낙엽이란 자신 곧 인간을 의미합니다. 그 날리는 낙엽에서 자신의 모습, 곧 인간의 한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 모습이 어떠하였습니까?
첫째, 인간의 취약성입니다.
인간은 약하다 하는 사실입니다. 낙엽에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 무쇠 팔뚝 혹은 철권(鐵拳), 쇠주먹이란 말을 쓰지만은 사실 인간은 그 육체도 약합니다. 그 마음 역시 그러합니다. 결심도 오래가지 못합니다. 그래서『작심삼일(作心三日)』이란 말도 있습니다. 성경에『네 생명이 무엇이뇨 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기록되어 있습니다. 동양에도 옛날부터 내려오는 말 중에『초로인생(草露人生)』이란 말도 있습니다. 풀잎 위에 맺힌 이슬이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 그뿐 아닙니다. 욥은 인간을 날리는 낙엽으로 보았습니다. 바람에 불려 이리저리 펄펄 날리는 낙엽이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에 인간 생활의 불안정성을 여실히 표현합니다. 인간이란 약할뿐더러 그 생활이 정함이 없습니다. 정처 없이 바람에 날려 다닙니다. 그러므로 성경에도 인간을 한 나그네 또는 행인으로 묘사하였습니다. 우리 동양에도 옛날부터『인생 여류(人生如流)』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생은 물 흐름 같다고, 또는 인간의 생활을 물위에 떠다니는 부평초와 같이 생각하였습니다. 여러분의 과거를 회상해 보면 이 말들이 얼마나 적절한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우리가운데 어떤 분은 낳기는 한국에서 낳았으나 일찍이 만주와 북지(北支)로 전전하다가 다시 해방된 후에 북한에 돌아왔고 또 공산당 때문에 三八선을 넘어 서울에 왔고 또 六·二五사변 때문에 대전, 대구, 부산으로 해 매이다가 수복된 후에 다시 서울로 돌아왔습니다. 또 요사이는 브라질, 아르젠틴, 캐나다. 또는 미국 등지로 이민 가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람에 날리는 낙엽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역사의 바람에 날려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것이 인간의 생활인 것입니다. 그뿐 아닙니다. 한번 큰바람이 불면 낙엽이 사방으로 흩어져 어디 갔는지 모르게 됩니다. 인간의 무상, 인간의 순간 성을 우리는 이 흩어지는 낙엽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근래에도 벵갈에 큰 해일로 인하여 百만에 가까운 생명이 쓰러졌다는 비참한 소식을 들었습니다. 바로 그저께 동래에서 버스 사고로 二○여명의 생명이 쓰러졌다고 합니다.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성경은 이와 같이 선언합니다.『이 세상의 모든 것은 지나가는 것이다』하였습니다. 또한 요한 一서 二장 十五절『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치 말라 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속에 있지 아니하니 이는 세상에 있는 것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 좇아 온 것이 아니요 세상으로 좇아 온 것이라 이 세상도 정욕도 지나가되』세상의 모든 것은 지나갑니다. 옛날 로마 제국의 영광이 지금 어디 있습니까? 옛날 몽고 제국의 권세가 지금 어디 있습니까? 만리 장성을 쌓던 진시왕이 지금 어디 있으며 전 유럽 로마를 짓밟던 나폴레온은 지금 어디 갔습니까? 다 낙엽 같이 날아갔습니다. 수개월 전 백제의 무열왕능(武烈王陵)을 발견하여 많은 보물을 찾았다는 기사를 우리가 읽었습니다. 그들이 쓰던 보물들은 남아있는데 그들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육체의 형적(形迹)조차도 찾을 수 없더라고 합니다. 낙엽같이 날려간 것 뿐 입니다. 인간에 속하는 모든 것은 조만간 이렇게 날아가 버립니다. 그 권세도 그 영광도 그 돈과 그 지위도, 그 이름도, 그 지식도, 그 청춘도 다 날려갑니다. 이것이 낙엽이 주는 인생훈(人生訓)입니다.
둘째, 이렇게 날려 가는 낙엽의 인생은 무상한 면에 엄숙한 교훈을 주는 동시에 이 낙엽은 우리 인간들에게 삶의 교훈을 주는 것도 또한 사실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도 날리는 낙엽은 생생한 교훈을 줍니다. 이 낙엽이 어떻게 살았던가! 봄에 잎이 핀 후에 가을에 떨어질 때까지 이 낙엽의 일생을 잠깐 회고하여 봅시다.
이 잎들이 봄에 핌으로 말미암아 나무는 말하자면 아름다운 옷을 입게됩니다. 이 잎들로 말미암아 나무는 봄과 여름에는 푸른 옷을 입고 가을에는 황금 빛깔의 옷을 아름답게 입게됩니다. 그뿐 아닙니다. 나무는 잎들이 공기 중에서 섭취하여 주는 탄소로 말미암아 장성하게되고 열매를 맺게됩니다. 잎이 없으면 나무는 열매를 맺지 못합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이 잎들은 공기중의 탄산가스에서 탄소를 섭취하여 나무를 살리고 산소는 도로 공기에 내 주어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제공하여 줍니다. 이렇게 잎들은 공해를 제거하여 주는 아주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도시에서는 녹지대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잎이 무성함으로 나무는 좋은 그늘을 가지게 됩니다. 새들은 와서 나무 가지에 깃을 들이고 뙤약볕에 길을 가던 행인들은 이 나무 그늘아래 와서 편안히 쉴 수 있습니다. 이 나뭇잎들이 금수와 사람에게 얼마나 큰 혜택을 주고 있습니까? 여러분, 이 날리는 낙엽들은 우리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데 대하여 얼마나 귀중한 교훈을 줍니까? 내가 이 세상에 와서 살므로 내가 사는 사회와 교회를 장성케 하여 열매를 맺게 하는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모든 방면에 공헌을 하는 가? 내가 이 사회에 살므로 나뭇잎처럼 사방에 공기를 맑게 하는가? 아니 새롭게 하는가? 한 걸음 더 나아가 내가 이 사회에 살므로 짐승과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가? 아니면 그늘이 되어주는가? 내가 이 도시에 살므로 말미암아 피곤한 인생 길에 지친 영혼들이 안식과 새 생명을 얻었는가? 생각하여 보아야 합니다.
날리는 낙엽은 우리 인간들에게 귀한 생명의 교훈을 줍니다. 최후에 한 가지 더 귀한 교훈을 남깁니다. 낙엽은 떨어질 때가 가장 아름답습니다. 황금빛의 단풍으로 변합니다. 가장 빛나는 영광을 조물주 하나님께 돌립니다. 이것도 우리 인간에게 얼마나 보배로운 산 교훈입니까? 그러므로 동양의 지혜를 다 모아 놓았다고 하는「채근담」이라는 책에『사람을 보는데는 그 후반생을 보라』고 하였습니다. 인간이란 그 최후를 바로 마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옛 글에도 인지장사 그언야선(人之將死 其言也善)이라고 했습니다. 죽음에 가까이 이를수록 그 마음과 말이 착해져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 순교하기 얼마 전 기록하기를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 되었다』선언했습니다. 이 얼마나 영광스러운 인생의 마침입니까? 스데반은 순교 직전에 그의 얼굴은 천사의 얼굴로 변하였고 그의 눈은 하나님 보좌 우편에 서서 계신 그리스도를 보았으며 자기를 돌로 치는 이들의 죄를 사하여 달라고 기도하였습니다. 이 얼마나 장엄하고 아름다운 죽음입니까? 떨어지는 단풍의 미와 영광 그대로입니다.
셋째, 성경은 나뭇잎을 통하여 인간에게 교훈을 주실 때에 이 날리는 낙엽만을 통하여 보여준 것이 아닙니다. 시편 一편 一절 말씀에『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좇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며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 저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시절을 쫓아 과실을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 행사가 다 형통하리로다』여기 마르지 아니하는 잎사귀도 보여 주십니다. 시편 九二편 一二절 말씀에『의인은 종려나무 같이 번성하며 레바논의 백향목(柏香木)같이 발육하리로다 여호와 집에 심겼음이며 우리 하나님의 궁전에서 빛이 청 청하여 여호와의 정직하심을 나타내리로다』여기 항상 빛이 청 청한 잎사귀를 보여 줍니다.
에스켈 四七장 一二절 말씀에 에스켈이 본 환상가운데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강 좌우 에 는 각종 먹을 실과 나무가 자라서 그 잎이 시들지 아니하며 실과가 끊이지 아니하고 달마다 세 실과를 맺으리니 그 물이 성소로 말미암아 나옴이라』 여기 시들지 아니하는 잎을 보여 줍니다. 또한 계시록 二二장 二절 말씀에『강 좌우에 생명나무가 있어 열두 가지 실과를 맺히되 달마다 그 실과를 맺히고 그 나무 잎사귀들은 만국을 소성하기 위하여 있더라』시들지 아니하는 나무 잎사귀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영원히 푸르며 만국을 소성(蘇醒)캐 하는 잎사귀가 있습니다. 인생의 일면은 날라 가는 낙엽입니다.
그러나 다른 면이 있습니다. 시들지 않는 잎사귀가 있습니다. 시편 一○三편 一五절에 『인생은 그 날이 풀과 같으며 그 영화가 들의 꽃과 같도다 그것은 바람이 지나면 없어지나니 그 곳이 다시 알지 못하거니와』여기에 날리는 낙엽의 인간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계속하여 들어보세요.『여호와의 인자하심은 자기를 경외하는 자에게 영원부터 영원까지 이르며 그의 의는 자손의 자손에게 미치리니』여기 하나님의 인자하심은 자기를 경외하는 자에게 영원부터 영원까지 이른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선경은 선포합니다.『이 세상도 그 정욕도 지나가되 오직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이는 영원히 거하느니라』시들지 아니하는 잎사귀를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성경은『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항상 있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주님은『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사람은 죽어도 살겠고 살아서 믿는 사림은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하였습니다. 또한 『천지는 없어질지언정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주님은 말씀하십니다. 영원히 시들지 아니하는 나뭇잎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이루어집니다. 믿는 사람들은 영원히 시들지 아니하는 생명나무의 잎들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을은 조용히 생각하고 우주와 인생 역사의 깊은 진리를 깨달을 때입니다. 일시일시 변하는 국내정세에 대하여도 과히 신경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역사의 물결은 항상 흔들립니다. 앞으로 가다가도 뒤로 물러설 때도 있습니다. 동해 바다의 물결은 시시각각으로 변하나 금강산(金剛山) 의 일만이천봉(一萬二千峰) 은 고금이 일반입니다. 진리는 변치 아니합니다. 만세반석(萬世盤石)이신 그리스도는 변치 아니합니다. 최후의 승리는 진리와 정의와 자유의 편에 있습니다.
요한 계시록을 읽어보세요. 흉악한 짐승들과 붉은 용이 나타나서 어린양과 싸웁니다 그러나 결국은 망하고 오직 어린양이 최후 승리를 거둡니다. 그러므로 세상 죄를 지고 가는 어린양에게 와서 내 자신이 먼저 영원한 생명을 얻고 그리스도의 서신 곳에 나도 같이 서서 일하고 용감히 싸워야 합니다.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하나님의 나라는 반드시 최후의 승리를 거둡니다. 요한 계시록 十一장 一五절 말씀에『일곱째 천사가 나팔을 불며 하늘에 큰 음성들이 나서 가로되 세상 나라가 우리 주와 그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어 그가 세세토록 왕 노릇 하시리로다』아멘. (一九七一년 十一월 七일)
?-23 감사의 깊은 원천 (디모데 전서 一장 十二-十七절)
『나를 능하게 하신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를 충성 되이 여겨 내게 직분을 맏기심이니 내가 전에는 훼방 자요 핍박 자요 포행 자이었으나』(딤전 一·十二- 十三)
十一월은 추수의 달이요, 또 감사의 달입니다. 우리 농민들은 일년간 농사를 잘 짓고 추수를 마친 후에 오곡백과를 주신 하나님께 감시를 드리며 또 다른 방면에서 사업을 하는 이들도 지난 일년간의 하나님의 축복을 회상하면서 감사를 드리는 달입니다. 성경에는『범사에 감사하라』고 하였습니다. 또 감사를 더하고 더하라고 하였습니다. 너희는 감사하는 자가 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바로 다음 주일이 일년에 한번 지키는 감사주일입니다. 또 이 주간을 감사 주간으로 지키며 특별히 하나님의 축복을 회상하고자 합니다. 이 시간 성경을 상고하며 이 감사한 마음의 원천이 어디 있는지 배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첫째, 바울의 감사에 대하여 생각하여 봅시다. 그는 기록하기를『나를 능하게 하신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를 충성 되이 여겨 내게 직분을 맡기심이니 내가 전에는 훼방(毁謗)자요 핍박(逼迫)자요 포행(暴行)자이었으나』했습니다. 여기에 우리는 사도 바울의 그 감사한 마음이 어디에서 솟아오르는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사실 그는 예수를 알기 전에 예수를 훼방하였고 핍박하였고 예수를 믿는 이들에게 폭행까지 하였습니다. 그런데 예수 님께서는 그 모든 죄를 용서하셨으며 용서하실 뿐더러 그를 충성 되이 여기셔서 그에게 그리스도를 봉사하는 직분을 맡기셨으며 그뿐 아니고 그 직분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까지 주시는 것을 생각할 때에 그는 마음에 언제나 감격이 넘친 것입니다.
조금 내려가 그는 十五절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그는 자기는 이렇게 죄를 많이 지은 말하자면 죄인의 괴수인데 주님께서는 그 많은 죄를 사하여 주실 뿐더러 그를 충성 되이 보시 사 사도직 까지 맡기신 것입니다. 여기에 그의 감격의 원천이 있습니다. 곧 그는 자기 자신의 장점을 보는 것보다도 단점을 보았습니다. 그가 주를 위해 성취한 여러 가지 큰 일을 보는 것보다도 그가 전에 지은 자기의 죄를 먼저 보았습니다. 곧 사도 바울은 이렇게 무한히 겸손한 사람으로서 자기의 죄를 깨달을 때에 하나님의 긍휼 하심과 자비가 얼마나 더 크고 더 위대하며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깨달은 것입니다. 그는 이 깊은 원천으로부터 언제나 감사한 마음이 솟아 오른 것입니다. 이것은 사도 바울 뿐 아니고 모든 참된 성도의 공통적인 체험인줄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 기억합시다. 첫째, 자기의 과거의 죄를 깨닫는 겸손입니다. 둘째, 큰 죄인이라도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통하여 용서하여 주신 그 크신 은혜를 또한 깨닫는 겸손입니다.
사도 바울이 주님을 위하여 많은 고생도하고 위대한 일을 하였지만 그 자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였는지 기억하십니까? 고린도 전서 十五장 九절에『나는 사도 중에 제일 작은 자라 내가 하나님의 교회를 핍박한 고로 사도라 칭함을 받기에 감당치 못한 자로라』하였고 에베소서 三장 八절에『모든 성도 중에 지극히 작은 자 보다 더 작은 나에게』라고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여기에는『나는 죄인의 괴수』라 하였습니다. 이렇게 무한히 겸손한 마음이 솟아오른 것입니다. 감격의 생각은 이렇게 겸손한 마음 밭에 자라고 피는 아름다운 꽃입니다. 우리 가운데는 직분을 가진 이들도 많습니다. 우리가 받은 직분에 대하여 얼마나 감격 히 생각하고 있습니까? 그것은 내가 얼마나 나의 죄와 단점을 보는 겸손한 사람인가? 그리고 그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또한 깨닫는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감사는 이 겸손에 정비례가 됩니다. 겸손할수록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더 많아집니다. 반면에 마음이 교만하여 자기의 허물과 죄를 보지 못하는 이는 하나님의 은혜를 물론 깨닫지 못하고 감사하지도 아니합니다. 도리어 하나님께 대하여 불평과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겸손은 감사의 깊은 원천입니다.
둘째, 야곱의 감사에 대하여 생각하여 봅시다.
창세기 三二장 九절에 다음과 같은 야곱의 기도가 있습니다.『나의 조부 아브라함의 하나님 나의 아버지 이삭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께서 전에 내게 명하시기를 네 고향, 네 족속에게로 돌아가라 내가 네게 은혜를 베풀리라 하셨나이다. 나는 주께서 주의 종에게 베푸신 모든 은총과 모든 진리를 조금이라도 감당할 수 없사오나 내가 내 지팡이만 가지고 이 요단강을 건넜더니 지금은 두 떼나 이루었나이다』야곱이 밧단아람에서 가나안 땅으로 돌아올 때에 드린 기도의 일절 입니다. 여기에 두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야곱이 친히 말한 대로 자기는 하나님의 모든 은총과 진리를 조금이라도 감당할 수 없다 하였습니다. 우리는 여기에서 야곱의 과거의 허물과 죄를 생각하여 자신의 부족을 깨닫는 그의 겸손을 볼 수 있습니다.
둘째는,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는 자기 지팡이만 가지고 이 요단강을 건넜더니 지금은 두 떼나 이루었다고 곧 많은 축복을 받았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야곱이 소년으로서 지팡이 하나만 들고 요즈음 말로 하자면 적수 공권으로 요단강을 건넜었는데 이제는 많은 짐승이 떼를 가지게 되었으니 이는 하나님의 축복임을 깨닫고 그의 마음은 감격에 사무쳤습니다.
이 야곱의 경험에서 우리는 감사의 원천을 하나 더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곧 그는 겸손히 자기의 죄와 하물만 깨달을뿐더러 과거에 자기가 얼마나 비천하였는데 이 축복을 받은 것을 기억할 때에 감사의 마음이 사무쳤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는 겸손히 과거의 자기의 비천한 처지를 돌아 볼 때에 감사치 않을 수 없었었습니다. 겸손히 자기의 과거의 비천한 형편을 돌아 볼 줄 아는 이는 언제나 감사한 마음이 떠나지 아니합니다. 성경에 보면『배가 부를 때에 하나님을 잊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배가 부를 때에 과거의 배고프던 경험을 돌아볼 줄 아는 이에게는 언제나 감격이 있을 것입니다. 과거의 비천한 생활을 겸손히 돌아보는 사람은 감사한 마음이 떠나지 아니합니다. 겸손히 지난날들의 비천한 때를 돌아보는 마음은 감사의 깊은 원천입니다.
셋째로, 욥의 감사를 생각하여 봅시다.
욥기 一장 二十一절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내가 모태에서 적신이 나왔사온즉 또한 적신 이 그러므로 그리로 돌아 가올지라 주신 자도 여호와 시요 취하신 자도 여호와 시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욥에 대한 이야기는 우리가 잘 기억합니다. 욥은 동방의 의인이란 이름을 가진 분으로써 십 남매의 자녀와 많은 소유를 가졌던 분입니다. 그러나 하루는 홀연히 큰 재난이 임하여 그의 소유물을 일조에 잃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극히 암흑한 비극의 순간에 욥이 고백한 말씀이 있습니다
이 말씀 가운데 그는 첫째로 자기는 적신으로 났으니 적신으로 돌아갈 것을 말하였고, 둘째는 모든 것을 하나님께서 주시고 또 모든 것을 하나님께서 취하시니 오직 하나님의 이름이 찬송을 받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욥의 깊은 신앙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공수래 공수거(空手來 空手去)의 한 나그네입니다. 오직 하나님은 만물의 소유자 시요 우리 인간은 다만 그의 청지기뿐입니다. 그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을 깨달았습니다. 예수 님 비유에 나타나는 어리석은 부자와 같이 많은 곡식의 자기의 소유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모든 물질은 물론 심지어 자기 자녀들까지 하나님께 속하는 것을 깨닫고 자기는 잠깐동안 한 청지기임을 기억하였습니다. 이런 신앙이 있으므로 그는 그러한 때에도 하나님의 이름을 찬송하였습니다. 곧 감사하였습니다. 이것이 과거 모든 참된 성도들의 신앙이었습니다. 이것이 다니엘의 신앙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사자 굴에 던 지울 것을 알면서 예루살렘을 향한 창 앞에서 기도와 감사를 계속한 것입니다. 이것이 모든 순교자들의 신앙이기도합니다. 그들은 찬송하면서 나아간 것입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이고 내가 가진 물질, 나의 자녀, 심지어 나의 생명까지 하나님의 것임을 아는 참된 신앙은 감사의 깊은 원천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들은즉 어떤 청년이 말하기를 영락교회 교인들은 감사한 생각이 많은 모양인데 자기는 그 이유를 모르겠다고 하였습니다. 사실 지금 二○대 청년들은 그 이유를 잘 모를 것입니다. 그러므로 잠깐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도 필요할 줄 생각합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우리 영락 교우들은 그 대부분이 이북에서 넘어온 피난민들입니다. 이북에는 예배의 자유가 없습니다. 지금 이북에는 공공연히 이렇게 모여서 예배하는 곳은 하나도 없습니다. 몇 해 전에 발간된『북한 총감』이란 책을 보니 평북 용천(平北龍川) 어느 집단 농장에서 일요일마다 결석하는 이가 많음을 이상스럽게 생각한 그들은 비밀 경찰을 동원하여 조사하여 보았더니 그 이유를 여러 가지로 보고하였으나 그들의 집에는 없고 외딴 조용한 집 혹은 산골짜기에 서너 명씩 모여서 비밀에 예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공산당들은 이들의 비밀 지도자 이 만화 목사와 그의 동지 一○여명을 잡아 사형에 처했다고 합니다. 이북의 사정은 이러한데 남한에는 이렇게 신교의 자유가 있어 예배를 보게되니 어떻게 감사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또한 이북 박천군(博川郡)에서는 어떤 국민학교 여교사가 일요일 오후에 학생들을 모아 놓고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동시에 찬송가 몇 장을 가르쳐 주었다가 숙청을 당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남한에서는 마음대로 주일뿐 아니고 주간학교까지 경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찬송과 기도를 가르치게되니 어찌 감사하지 않겠습니까? 우리는 길을 가다가도 종각 위에 세워진 십자가를 바라볼 때에 언제나 감격의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三八선 가까이 철원고지(鐵原高地)에 본 교회에서 십자가를 세운 것입니다. 지금 二○대의 이북 청년들은 십자가를 한 번도 못 보았을 것입니다. 왜 우리는 이 성전을 바라볼 때마다 감사한 마음이 사무칩니까?
처음에는 여기 예배당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피난민들이 이곳에 천막을 치고 예배를 보았습니다. 한 번은 여름이라 갑자기 비가 쏟아지기 시작하여 예배를 계속할 수 없었습니다. 다같이 비에 흠뻑 젖으면서 기도를 들이는데 기도의 소리인지 울음의 소리인지 분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예배당을 짓기 위하여 시계를 바치고 가락지를 바치고, 심지어 이불까지 바쳐서 이 예배당을 지은 것입니다. 이 예배당을 볼 때마다 지은이들의 정성에 감사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심지어 인천에 살면서 수원에 살면서도 주일만 오면 꼭 이 예배당을 찾아오는 것입니다.
사실 이 예배당 앞에 기념비가 서 있지만 김 응락 장로(金應洛 長老)님 같은 이는 이 예배당을 찾기 위해 수복된 후 제일 먼저 이 뜰에 들어왔다가 순교를 당한 것입니다. 조금 전에 욥의 경험을 생각하였습니다. 사실 三八선을 넘어온 피난민들은 욥과 같이 있던 재산을 다 잃어버리고 적수 공권으로 이곳에 왔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살아 왔고 또 많은 이들이 생활의 안전을 얻었고 또 어떤 이들은 아름다운 주택까지 지었으니 어떻게 감사하지 않겠습니까?
마지막으로, 감사한 마음은 겸손히 나의 허물과 죄를 깨닫고 나를 구원하신 하나님의 크신 은혜를 기억하는 데서 옵니다. 감사한 마음은 나의 지난날의 비천한 때를 돌아보면서 하나님의 크신 축복을 깨닫는 데서 옵니다. 감사한 마음은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을 확실히 아는 참된 신앙에서 오는 것입니다. (一九七一년 十一월 十四일)
?-24 감사의 기념비 (사무엘 상 七장 三-十二절)
『사무엘이 돌을 취하여 미스바와 센 사이에 세워 가로되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고 그 이름을 에벤에셀이라 하니라』(삼상 七·十二)
사무엘은 이스라엘 역사상 사사 말기 시대의 위대한 지도자이었습니다. 그는 유명한 기도의 어머니 한나의 아들이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사사 엘리 아래에서 자랐으며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하였습니다. 당시에 사사 엘리는 매우 늙었고 그 아들들은 방탕하여 나라는 극히 혼란하였습니다. 그 때에 원수 불레셋 사람들이 내침 하여 이스라엘 사람들은 크게 패전하였습니다. 그때에 법궤(法櫃)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도 죽었고, 엘리도 그 소문을 듣고 또한 쓰러져 죽었습니다. 이렇게 이스라엘 백성은 二○년간이나 부레셋 사람들의 압박을 받으며 살아왔습니다. 이러한 민족적 암흑기에 청년 사무엘이 일어나 하나님의 말씀으로 외치기를 시작하였습니다. 온전히 이방 신을 버리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라고 부르짖었습니다. 모든 백성을 미스바에 모아놓고 죄를 고백하며 기도하기를 시작하였습니다. 때에 부레셋 사람들이 이 소문을 듣고 다시 침노하여 들어왔습니다. 그러므로 사무엘은 번제(燔祭)를 드리며 계속하여 하나님께 기도를 드리는 동시에 청년들을 뽑아 불레셋 사람들을 대항하여 싸우게 하였습니다.
그 때에 하나님께서는 큰 우렛소리가 나게 하시니 불레셋 사람들이 무서워 도망함으로 쫓아내고 미스바와 센 사이에 사무엘이 돌을 세우며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여 그 이름을『에벤에셀』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시간 『에벤에셀』이란 돌에 대하여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를 주시기 바랍니다.
첫째, 이 돌은 감사의 기념비입니다.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도우셨으니 감사합니다. 하는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세운 것입니다. 옛날 노아도 큰 홍수가 다 물러간 후에 돌로 단을 쌓았습니다. 이 단도 감사의 단이었습니다. 큰 홍수 가운데서 나와 내 가족을 구원하여 주셨으니 감사합니다 하는 뜻입니다. 전에 야곱이 베델이라고 하는 곳에서 돌 베개를 베고 자다가 꿈에 하늘에 닿은 높은 사다리를 보고 하나님의 음성을 들은 후에 깨어서는 그 돌을 세워 단을 삼고 그 위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이것도 역시 감사하는 뜻의 표현입니다. 전에 여호수아도 요단강을 건넌 후에 요단강에서 十二돌을 취하여 단을 쌓았습니다. 이것도 역시 요단강을 무사히 건너게 하셨으니 감사합니다 하는 감사의 단입니다. 하나님의 도움과 축복을 받고 감사할 줄 아는 것은 참 믿음의 증거요 또 이것이 더 큰 축복을 받는 길이기도 합니다. 사무엘이 이렇게『에벤에셀』이란 감사의 기념비를 세운 후에 사무엘이 사는 동안 불레셋 사람들이 다시 침입하지 못 하였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은 평화를 누렸습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막으셨다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축복을 받고 감사할 줄 아는 이들에게 더 큰 축복을 주십니다. 반면에 하나님의 축복을 받고도 감사할 줄 모르는 이에게는 그 축복을 조만간 거두십니다.
전에 바벨론 왕 느브갓네살이 하나님께로부터 큰 권세를 받아 대 바벨론 제국을 건설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마음이 교만하여져서 내 힘과 내 지혜로 대 바벨론을 건설하였다고 뽐내었습니다. 그 말을 한지 며칠 후에 정신을 잃고 미친 사람이 되어 궁전을 떠나 빈들에 나가서 소처럼 풀을 먹으며 그 머리털이 독수리 털처럼 되었다고 합니다.
예수 님의 비유에 나타나는 어리석은 부자도 역시 큰 수확이 있은 후에 하나님께 감사할 줄 모르고 곡간만 넓히고 곡식을 쌓아둔 후에 내 영혼아 즐거이 먹고 마시라 여러 해 먹을 양식을 쌓아 두었노라고 뽐내었습니다. 그날 저녁에 그 영혼을 하나님께서 불러갔다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도움을 받은 후에 감사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 돌을 세우며 말한 사무엘의 말을 자세히 들어보세요『여호와께서 우리를 도우셨다』
여러분, 이 시간 우리가 각 각 잠깐 돌이켜 지금까지 살아온 우리의 과거를 회상하여 봅시다. 잘 기억은 못하나 우리가 다 한 핏덩이 아기로 곧 벗은 몸으로 이 세상에 와서 이 시간까지 살아 왔습니다. 그 동안 일제시대도 지났고 해방 후 혼란시대, 三八선, 六·二五, 四·一九, 五·一六혁명 등 쓰고 단 경험은 다 지나왔습니다. 우리는 그 동안 건강할 때도 있었으나, 병날 때도 있었고, 성공할 때도 있었으나, 실패할 때도 있었고, 기쁠 때도 있었으나, 슬플 때도 있었습니다. 평안과 곤란, 평화와 전쟁, 승리와 패배, 사랑과 미음, 믿음과 의심, 순경과 역경, 등 온갖 인생의 험로(險路)를 거쳐서 오늘 아침 이 시간까지 왔습니다. 우리가 이러한 과거의 생활을 회고 할 때에 우리도 역시 사무엘과 같이『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말하여야 되지 않겠습니까?
우리는 감사 주일에 우리 마음속에 이 감사의 기념비를 든든히 세워야 하겠습니다. 이것은 개인뿐 아니고 교회로써 잠깐 과거를 회고할 때에도 역시 감사 비를 세워야 하겠습니다. 해방 후 월남한 피난민 二十여명으로 시작된 본 교회가 파란 높은 이 땅에서 과거 二六년간의 경험을 회고 할 때에 역시 감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六·二五사변을 당하여 부산, 대구, 제주도 기타 등지에 흩어진 때도 있습니다. 또 사실 六·二五때에 서울 시내에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습니다. 특별히 본 교회 주변은 거이 잿더미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본 교회당을 보존하여 주셨고 그치지 않는 풍파 속에서 복음전파, 교육사업, 여러 가지 사회봉사 사업을 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할 때에 우리는 교회로써도 사무엘과 같이『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교회도『에벤에셀』감사의 기념비를 높이 세워야 하겠습니다. 또한 우리가 민족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우리의 과거를 생각할 때에도 역시 감사의 기념비를 세워야 합니다. 우리 민족은 二○세기 초엽에 국가적으로 독립을 잃고 三六년간이나 오랜 세월을 일제 압박에서 신음하였습니다. 그러나 제 二차 세계대전 후 一九四八년에 적어도 남한에 유엔의 승인으로 자유 민주국가로 건설되었으며 六·二五때에 공산당의 악랄한 침략을 받았으나 국군 장병의 용감한 싸움과 자유 우방 제국의 도움으로 침략자들을 물리쳤고 비록 四·一九, 五·一六의 쓴 경험을 지났으나 오늘의 이만큼 발전된 국가를 이루게 된 것을 생각할 때에 우리는 역시 사무엘과 같이『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국가적으로도『에벤에셀』감사의 기념비를 세워야 하겠습니다.
둘째, 이 돌은 승리의 기념비이기도 합니다.
이 돌을 세운 곳이 바로 二○년 전에 이스라엘 백성이 불레셋 사람들에게 패전한 곳입니다. 二○년이 지난 후 사무엘이 불레셋 사람을 물리치고 바로 이곳에 돌을 세웠으니 이 돌이야말로 하나님의 도움으로 우리가 승리하였다 하는 뜻입니다. 사무엘이 어떻게 패배하였던 이스라엘 백성으로 하여금 승리의 백성으로 만들었습니까? 우리가 읽은 사무엘 상 七장은 그 비결을 자세히 보여 줍니다.
첫째는, 회개의 운동이었습니다. 너희는 모든 거짓 신을 버리고 온전히 하나님께 돌아오라고 하였습니다. 둘째는 기도운동이었습니다. 미스바 온 백성이 같이 모여 죄를 고백하며 간절히 기도하였습니다. 셋째는, 헌신운동이었습니다. 사무엘이 젖 먹는 어린양을 취하여 온전한 번제를 여호와께 드렸습니다. 곧 온 백성이 온전히 그 몸을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넷째는, 이렇게 하면서 싸울 수 있는 이들은 나아가 불레셋 사람들과 싸움을 했습니다. 곧 선한 싸움입니다. 이렇게 할 때에 하나님의 도움이 왔습니다. 큰 우렛소리로 불레셋 사람들을 놀라게 하니 그들은 혼비백산하여 도망을 하였습니다.
기억하세요! 옛날이나 오늘이나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승리의 비결은 여기에 있습니다.
첫째는, 중심의 회개가 필요합니다. 개인으로도 그렇고 국가적으로도 그러합니다. 그러므로 지금 각계 각층에서 부정 부패의 일소를 부르짖는 것입니다. 한 가지 꼭 기억할 것은 내 자신부터 꼭 회개하여야 합니다. 부정부패의 일소는 내 자신에게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 가정, 내 직장에서 실천되어야 합니다. 남의 눈에 티만 보고 내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는 사회개혁 운동은 성과를 거두지 못합니다.
둘째는, 기도의 운동을 해야 합니다. 인간의 힘은 제한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도움이 있어야 됩니다. 모사는 재인(在人)이나 성사는 재천이라, 싸움은 사람이 하나 승패는 하나님께서 작정하십니다. 그러므로 이 순신 장군도 한산도 싸움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를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열심히 모여서 기도하는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기도하는 국민이 많아야 우리는 이 급변하는 시대에서 우리의 나라를 각 방면으로 승리의 길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셋째는, 헌신 운동을 해야 합니다.
하나님을 위하여 나라를 위하여 우리는 어떤 직장에서든지 온전히 헌신하여 일 하여야 합니다. 백 퍼센트 헌신하여 일하는 정치가, 경제인, 교육자, 공무원, 군인, 노동자들을 요구하는 시대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는 다 같이 선한 싸움을 싸워야 합니다. 모든 그릇된 사상과 싸우고, 모든 부패 세력과 싸우고 용감히 여호수아와 같이 싸워야 합니다. 이와 같이 할 때 반드시 하나님께서는 도우십니다. 큰 우레(雨雷)로 도우십니다. 기적적으로 도우십니다. 초자연적으로 도우십니다. 인간의 지각 이상으로 도우십니다. 반드시 승리하게 합니다. 개인으로도 그렇고 민족적으로 그러합니다.
셋째, 이 돌은 또한 소망의 기념비입니다.
여기까지 도와주신 하나님께서 장래에도 도와주시지 않겠습니까? 여기까지 승리하게 하신 하나님이 장래에도 승리하게 하시지 않겠습니까? 하나님은 미쁘십니다. 우리는 이 미쁘신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그러므로 장래에 대하여도 확실한 소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의 앞길이 항상 평탄하리라는 뜻은 아닙니다. 과거의 우리가 지나온 길과 같이 앞으로 갈 길도 험난(險亂)하다고 보는 것이 마땅합니다. 장래에도 시험, 유혹, 질병, 환난, 등은 여전히 있을 것입니다. 또 우리의 앞길에도 태산준령, 장강대하(長江大河)가 있을 것이며 또 우리의 걸어갈 인생행로에는 우리를 해치려는 이리, 사자, 골리앗 악마 등이 웅크리고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급변하는 세게 정세를 볼 때에 사실 무슨 사건 또는 무슨 큰 세계적 동란이 있을 넌지도 알 수 없습니다. 또 우리가 개인적으로도 누구나 약하고 고독한 노년기와 요단강을 건널 때가 옵니다.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세상에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그러나 주님의 다음 말씀을 기억하십시오.『안심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승리의 주님은 우리를 도우십니다.『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저버리지 아니하리라』하나님께서 약속하셨습니다.『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救贖)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함께 할 것이라 강을 건널 때에 물이 너를 침몰치 못할 것이며 네가 불 가운데로 행할 때에 타지도 아니할 것이오 불꽃이 너를 사르지도 못 하리라』하나님께서 약속하셨습니다. 개인으로도 그렇고 교회로도 그러합니다. 우리가 온전히 회개하고 기도로 뭉치며 온전히 헌신하여 내 책임을 다하고 선한 싸움을 싸울 때에 우리는 개인적으로도 승리하고 교회로도 승리하고 국가적으로도 승리할 것입니다. 들으니 이북에서는 국민학교 아이들에게도 사격 연습을 시킨다고 합니다. 그러나 과히 우리는 염려할 것은 없는 줄 생각합니다.『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또한 성경은 선언합니다.『여호와는 나의 빛이시오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나의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하리요 나의 대적 나의 원수 된 행악(行惡)자가 내 살을 먹으려고 내게로 왔다가 실족하여 넘어졌도다』하였습니다. 현대의 이스라엘 나라는 인구가 三○○만에 불과하나 수억이 넘는 아랍 여러 나라들을 대적하여 싸울 뿐더러 승리하고 있습니다. 우리 한국 三,三○○만이 온전히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우리 나라를 지키면 우리 나라를 침범할 만한 원수는 이 세상에 없습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꼭 도우실 것입니다.『에벤에셀』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신 하나님께서 앞으로 우리를 도와주실 것입니다. 반드시 도와주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불안하여 외국에 이민 갈 필요는 없습니다. 아주 중요한 네 가지만 기억합시다.
온전한 회개운동입니다.
기도 운동입니다.
헌신 운동입니다.
선한 싸움입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기억합시다.
야곱이 베델에서 돌을 세운 후에 그 위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이는 그의 전 생명을 드리는 의미입니다. 곧 그의 정성을 쏟아 놓은 것입니다. 베다니 마리아가 옥합(玉盒)을 깨뜨려 예수 님 머리와 발에 향기로운 기름을 부은 것처럼 우리도 오늘『에벤에셀』감사의 기념비를 세우되 그 위에 기름을 부어야 하겠습니다. 곧 정성을 다하여 감사를 드립시다. 감사의 찬송을 부릅시다. 감사의 헌금을 드립시다. 몸을 드려 감사의 생활을 합시다. 이 시간 우리의 정성을 다하여 바칩시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가 오늘 정성을 다하여 감사를 들이면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더 큰 축복을 주실 것입니다. 정성을 다하여 하나님께 감사의 기름을 부읍시다. (一九七一년 十一월 二十一일)
?-25 하늘로써 보여주신 교회의 모습 ( 출애굽기 二五장 四○절 사도행전 二장 三十七-四十七절)
『너는 삼가 이 산에서 네게 보인 식양대로 할찌니라』(출 二五·四○)
『무릇 내가 네게 보이는 대로 장막의 식양과 그 기구의 식양을 따라 지을지니라』(출 二五·九)
모세가 시내산 꼭대기에서 四○일 四○야를 하나님과 교통하는 동안 십계명과 모든 율법을 받았을 뿐더러 성막(聖幕)과 그 안에 사용할 기구에 대하여도 자세한 식양(式樣)을 받았습니다. 여기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너는 삼가 이 산에서 네게 보인 식양대로 모든 것을 지으라고 명하십니다. 성막을 짓는데는 제일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보여주시는 그 식양을 분명히 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순종하여 그대로 짓는 것입니다. 교회는 성막 곧 하나님이 계시는 성전입니다. 그러므로 신약에서 교훈 하는 대로 이 성전의 머리 돌은 그리스도시요, 사도는 그 기초석이며, 모든 성도는 그 성전을 이루는 돌인 것을 분명히 가르치십니다. 모세가 하늘로써 보여 주신 성막의 모습을 미리 분명히 본 것처럼 오늘의 우리도 교회에 대하여 하늘로써 보여주신 그 모습을 분명히 보는 것이 매우 필요합니다. 그래야 교회를 옳게 건설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본 교회 창립 二六주년 기념일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날 우리는 하늘로써 보여주신 교회의 모습을 잠깐 바라봅니다. 이 모습을 어디서 찾아볼 수 있습니까? 그것은 먼저 사도행전에 나타나는 초대 예루살렘 교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줄로 생각합니다. 첫 성막의 모습을 시내산에서 보여 주셨습니다. 우리가 기억할 것은 교회는 집이 아닙니다. 곧 예배당이 아닙니다. 교회는 사람입니다. 곧 믿는 성도의 모임입니다. 부름 받은 그리스도인들은 교회의 일 분자입니다. 사실 당시 예루살렘 교회는 오늘날처럼 그들이 소유하는 교회당은 없었습니다.
첫째, 초대교회의 특색에 대하여 생각하여 봅시다.
이제 시온산에서 보여 주신 예루살렘 교회의 모습을 주목하여 바라봅시다. 사도행전 一장에서 四장까지의 초대교회를 주시하면 몇 가지의 특색을 알 수 있습니다.
一, 죄를 온전히 회개하고 예수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받은 이들이 모인 교회입니다. 오순절 베드로의 설교가 있은 후에 저희가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림을 받아『우리가 어찌 할꼬』할 때에 베드로는 곧 대답하였습니다.『너희가 회개하여 각 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하였습니다. 그들은 회개하며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었습니다. 이리하여 그들은 초대교회의 교인이 되었습니다. 곧 참 믿음으로 온전히 중생 한 이들이었습니다.
二, 기도로 힘쓴 교회입니다.
오순절 전에도 그들은 一○일간이나 마음을 같이하여 기도에 힘썼다고 하였습니다. 가정에서도 기도에 힘쓰고 모여서도 기도에 힘썼습니다. 그들은 사람에게 말하기 전에 먼저 하나님께 말하였고 사람의 말을 듣기 전에 먼저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그들은 아침에 사람을 만나기 전에 먼저 하나님을 만났습니다. 이리하여 하나님께로부터 지혜와 능력을 받았습니다.
三, 성령이 충만한 교회입니다.
오순절에 一二○명은 물론 그후에 회개한 삼천 명까지 모두 성령이 충만하였습니다. 사도들만 아니라 모든 평신도들이 꼭 같이 성령이 충만한 은혜를 받았습니다. 남자들만 아니고 여자들까지, 노년들만 아니고 청년들까지, 남녀노소의 구별 없이 다 성령이 충만한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四, 증거 하는 교회입니다.
오순절 아침에 베드로가 일어서서 많은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거 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베드로뿐이 아니었습니다. 모든 교인이 다 예수의 증인이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에서도 그러하였고 각처에 흩어져서도 그러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날로 부흥하였습니다.
五, 사도의 교훈을 배우는 교회입니다.
그들은 사도의 교훈을 계속하여 배웠습니다. 그것은 물론 그리스도의 교훈과 생활이 그 중심이었습니다. 처음 믿는 이들도 기독교 중심 진리에 대하여 알게되었고 또한 남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곧 진리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을 힘쓴 것입니다. 지금 말로 하면 성경을 열심히 공부한 교회입니다.
六, 사랑이 충만한 교회입니다.
이 성령의 첫 열매인 사랑은 초대교회에서 세 가지 방면으로 나타났습니다.
첫째는 성도간의 가까운 교제 곧 친교로 나타났고 둘째는 성도간의 용서와 화평으로 나타났고, 셋째는 성도간의 상부상조 특별히 물질의 유무상통으로 나타났습니다.
물질이 잇는 이들은 그 물질을 자발적으로 사도의 발 앞에 갖다 주어 사도들은 그것을 없는 이들에게 그 필요에 따라 나누어주었습니다. 그리하여 지금 말로 빈부 격차가 없는 성도의 사회를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아마 세계 역사상 처음일 것입니다.『돈이 말한다』라는 서양 속담도 있습니다. 주님도 재물이 있는 곳에 네 마음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들은 물질을 꼭 신앙에 의지하여 사용하였습니다.
七, 기쁨이 충만한 교회입니다.
그들은 날마다 마음을 같이 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수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었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언제나 기쁨으로 하나님을 찬송하였습니다. 세계 어느 종교보다도 기독교에서 거룩한 음악이 발전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설령의 둘째 열매는 기쁨입니다.
八, 온 백성의 칭송을 받은 교회입니다.
당시 교회가 이상과 같이 사랑과 기쁨과 능력이 충만하게되니 믿지 아니하는 사람들도 이러한 교회를 우러러보게 되었고 이러한 기독교사회를 부러워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교회는 당시 안 믿는 사람들을 이끄는 힘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스스로 교회로 몰려왔고 구원받은 사람이 날마다 더하게 되었습니다. 초대 오순절 교회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오늘의 한국교회는 어떠한가 생각하여 봅시다. 한 거름 더 좁혀 오늘날 나의 신앙생활은 어떠한가 생각하여 봅시다. 내가 곧 교회임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교회는 집이 아닙니다. 성도의 모임이 교회입니다. 내가 잇는 곳에 교회가 있음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하늘로써 보여주신 교회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우리의 반성할 것을 반성하고, 새로운 결단과 전진의 날이 되기를 바랍니다.
둘째, 성경에는 여러 가지 교회의 상징 혹은 도형이 있습니다.
성경에 여러 가지 상징으로 나타난 하늘로써 보여 주신 교회의 모습을 바라봅시다
一,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여 주십니다. 그리스도는 머리요, 교회는 그의 몸입니다. 몸은 머리에 순종하여 머리가 하고자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뜻을 순종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二○세기 하반기에 한국의 남한에서 이루고자 하시는 일들이 무엇인가 생각하면서 전도, 교육, 봉사 모든 방면에서 헌신할 책임이 내 자신에게 있다고 하는 것을 각오하여야 합니다.
二,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부입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대상입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리스도를 사랑해야 합니다. 일편단심의 사랑이 요구됩니다. 또한 신부는 순결해야 합니다. 요한계시록 十九장 八절에 신부가 입는 세마포(細麻布)는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라고 하였습니다. 깨끗한 교회가 요구됩니다. 교회는 정결해야 합니다. 곧 내가 깨끗해야 합니다.
三, 교회는 하나님의 성전입니다.
성도 하나 하나가 이 성전을 이룹니다. 성전 안에는 거룩하신 하나님이 계십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거룩해야 합니다. 하나님을 경외할 줄 알아야 합니다. 성경말씀 하바국 二장 二○절 말씀에『오직 여호와는 그 성전에 계시니 온 천하는 그 앞에서 잠잠할지니라』하였습니다.
四, 교회는 동산으로 비유합니다.
말하자면 회복된 에덴 동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동산에 그리스도께서 오십니다. 성도 하나하나는 이 동산 안에 꽃들입니다. 꽃은 그 모습은 다르나 더 아름답고 또한 각각 다른 향기가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 하나하나는 그리스도의 향기를 뿜어 이 더러운 사회의 분위기를 맑게 해야 합니다.
五, 교회는 포도 원으로 비유합니다.
주님께서 친히 말씀하시기를『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하셨습니다. 성도 하나하나는 이 나무에 붙은 가지로서 그 책임은 열매를 맺는 데 있습니다. 성품을 통하여, 생활을 통하여, 모든 사업을 통하여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열매 맺지 아니하는 가지는 찍어 버린다고 경고하였습니다. 열매를 맺는 가지는 가꾸어 더 많이 맺게 하십니다. 많은 열매를 거두는 영락의 포도 원이 되어야 합니다.
六, 교회는 하늘의 악대로 비유합니다.
요한계시록을 보면 하늘에는 천군 천사를 비롯하여 모든 구원받은 성도들이 다 한 목소리로 하나님을 찬송하는 큰 성가대로 되어 있습니다. 오늘의 교회는 그 큰 악대의 한 작은 그림자입니다. 교회는 언제나 하나님의 은혜에 감격하여 하나님을 찬송하는 악대가 되어야 합니다.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입으로 찬송하고 생활로 봉사하여 성도의 생활이 그치지 아니하는 영원한 찬송이 계속 되어야 합니다.
七, 교회는 하늘의 군대로 비유합니다.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의 정병이 되라고 외쳤습니다. 우리 교인 하나하나는 하나님의 전신 갑주(甲胄)를 입고 한 손에는 믿음의 방패, 다른 손에는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을 갖고 용감히 싸워 악마의 궤계(詭計)를 격파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에서 온갖 부정과 부패, 허영과 사치의 풍조, 방탕과 퇴폐의 악풍, 악덕사상, 민주주의를 좀먹는 모든 죄악을 몰아내야 합니다. 성도 하나 하나가 어디 있던지 이 하늘의 군대에 속하는 군인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 자리에서 용감히 싸워 이겨야 합니다.
八, 옛날 성막 위에는 낮에는 구름기둥 밤에는 불기둥이 항상 머물고 있었습니다.
오늘의 교회도 그러합니다. 교회 위에 그리스도의 빛이 임하십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나는 세상의 빛이라고 말씀하셨고 또 우리 신자들을 향하여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고 말씀하였습니다. 참된 의미에서 교회는 한 등대입니다. 우리 하나 하나는 작은 등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디가나 빛을 비추어야 합니다. 진리의 빛을 비추어야 합니다. 사랑의 빛을 비추어야 합니다. 공의의 빛을 비추어야 합니다. 양심의 빛을 비추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말씀 더 드립니다. 우리가 한가지 기억할 것은 예루살렘 교회도 온전하지는 못하였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교회가 온전치 못함은 물론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낙심할 것은 없습니다. 요한계시록을 보면 새 예루살렘 성을 통하여 승리 적인 영광스러운 교회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우리는 장차 온전한 영광스러운 교회의 모습을 앙망(仰望)하면서 교회의 전체로서 또 개인으로서 계속하여 싸우며 나아가야 하겠습니다. 그리하면 요한 一서 三장 二절의 말씀과 같이『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나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그의 계신 그대로 볼 것을 인함이니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하느니라』고 하신 온전한 교회가 될 때가 옵니다. 우리는 이 비전을 바라보면서 계속하여 분투하며 노력합시다. (一九七一년 十二월 五일)
( 창립 二六주년 기념 주일에)
?-26 내 백성을 위로하자 (이사야 四○장 一- 十一절)
『너희 하나님이 가라사대 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사 四十·一)
이 얼마나 반가운 음성입니까?
이스라엘 백성은 바벨론에 잡혀가 오랫동안 말할 수 없는 수고를 하였으며 시편 一三七편에서 보는 대로 바벨론 하수 가에서 많은 눈물을 흘렸습니다. 버드나무 가지에 수금을 걸고 그 외로운 이역에서 시온의 기쁜 노래를 부를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한 때에 하나님이 예언자 이사야를 통하여『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 그 복역의 때가 끝났고 그 죄악의 사함을 입었다』고 선포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말씀 그대로 그 백성은 다시 시온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오늘 아침 이 시간『내 백성을 위로하라』하는 이 구절을 가지고 묵상하고자 합니다. 위로라는 말은 진정, 진통, 곧 고통을 더는 의미로부터 회복 곧 상처를 회복하여 피곤한 데서 회복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힘을 더하여 용기를 북돋아 주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인간 생활에 있어 이 위로는 매우 필요합니다. 육체의 상태에 약이 필요한 것처럼 심령의 상처에도 위로가 필요합니다.
첫째, 하나님은 위로의 하나님이 십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 후서 一장 三절에『찬송하리로다 그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이 시요 자비의 아버지 시요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며』기록되어 있습니다.
一, 먼저 하나님이 자연계를 통하여 우리 인간을 위로하십니다. 자연은 우리 인간 육체에 모든 필요한 것을 공급하는 것처럼 아름다운 대자연은 피곤한 인긴 심령에 언제나 많은 위로를 가져다줍니다. 해와 달과 별이 다 우리 인간을 위로합니다. 아름다운 아침해와 저녁 노을이 얼마나 우리의 마음을 유쾌하게 합니까. 또한 캄캄한 밤에 반짝이는 별들은 절망에 허덕이는 인간들에게 소망을 주며, 봄 동산에 웃는 꽃들과 새들의 노래는 우리 마음의 상처를 씻어 줍니다. 푸른 하늘 망망한 바다 아름다운 삼천 초목은 상한 인간의 심령을 회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二, 그뿐 아닙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위로하기 위하여 예술을 주셨습니다. 특별히 노래와 음악을 주셨습니다. 아름답고 위대한 음악이 얼마나 인간 심령의 상처를 싸매어 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음악뿐 아닙니다. 다른 방면의 예술 곧 아름다운 그림, 조각, 시, 문학 등 모두 인간 심령의 상처를 싸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옛날 무덤 속에서 종종 아름다운 벽화를 우리는 찾아봅니다. 또한 장례식을 할 때에는 종종 고인이 즐겨 부르던 찬송가를 불어 달라는 부탁을 받습니다. 그것은 고인이 생전에 특별히 많은 위로를 받던 찬송가입니다. 누구에게나 이런 찬송가들이 몇 장씩 있는 줄 압니다. 거룩한 음악 곧 찬송을 통하여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심령을 위로하여 주십니다.
三, 이렇게 자연계를 통하여 또는 예술을 통하여 하나님께서는 우리 인간을 위로하시나 제일 큰 위로는 크리스마스에 나타난 것입니다. 이사야 六十一장 一절부터 三절에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주 여호와의 신이 내게 임하였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하심이라 나를 보내 사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며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갇힌 자에게 놓임을 전파하며 여호와의 은혜의 해와 우리 하나님의 신원의 날을 전파하며 모든 슬픈 자를 위로하되 무릇 시온에서 슬퍼하는 자에게 화관을 주어 그 재를 대신하여 희락(喜樂)의 기쁨으로 그 슬픔을 대신하여 찬송의 옷으로 그 근심을 대신하고 그들로 의의나무 곧 여호와의 심으신 바 그 영광을 나타낼 자라 일컬음을 얻게 하려하심이라』 이 말씀은 물론 그리스도의 탄생에 대한 예언입니다. 이 말씀 가운데 가장 뚜렷한 말씀은 슬픈 자를 위로한다는 말입니다. 마음 상한 자를 고친다는 말입니다.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함도 그들을 위로하기 위함입니다.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줌도 갇힌 자를 해방함도 그들을 위로하기 위함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목적은 이렇게 가난한 자와 포로 된 자와 압박 받는 자들에게 복음을 전파하여 그들의 슬픔을 위로하며 슬픔 대신에 기쁨을 주며 근심 대신에 찬송을 주기 위하여 오신 것입니다. 크리스마스는 하나님의 크신 위로의 역사가 시작된 날입니다. 크리스마스날 새벽에 천사가 목자들에게『무서워 말라 내가 온 백성에게 줄 큰 기쁜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또한 천군 천사가『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땅에서는 기뻐하심을 입은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이렇게 노래를 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오심으로 모든 슬픈 자들이 위로를 받아 새로운 기쁨을 얻게 된 것입니다. 또한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보혜사(保惠師) 성령 곧 위로의 영이 임재 하셔서 우리 마음의 상처를 직접 회복하여 주십니다. 또한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모든 위로의 근본이 되는 성경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우리가 이 책을 읽으므로 얼마나 큰 위로를 받고 있습니까? 또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눈물 골짜기와 같은 이 세상에 큰 위안처가 되는 교회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렇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에게 위로를 주십니다.
둘째, 시편 二三편 三절 이하에『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 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이것은 다윗의 경험입니다. 그는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고 살았습니다. 그 까닭은 주께서 같이 계시며 그 지팡이와 막대기가 그를 위로한다고 하였습니다. 이것이 또한 우리의 경험이기도 합니다. 파도 높은 二○세기 한반도에서 사는 우리도 사막의 음침한 골짜기를 몇 번이나 지나왔습니다. 일제 압박시대도, 해방 후 혼란사대도, 六·二五의 전란사대도, 또는 三八선을 넘었습니다. 거듭되는 혁명도 넘기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지내온 것은 또한 우리가 하나님의 전에 예배에 참여하게 된 것은 이러한 험악한 가운데에서도 간단없이 주님의 보호와 위로를 받은 까닭입니다. 어떤 이는 말하였습니다. 상처 없는 마음이 없고 눈물 자국 없는 얼굴이 없다고 했습니다. 사실 그러합니다. 우리는 고해 같은 세상에서 환난, 실패, 재난, 질병, 슬픔, 눈물 골짜기를 지금까지 걸어 올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리스도를 통하여 많은 위로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셋째, 우리는 이렇게 많은 위로를 받았으므로 위로하는 자가 되어라 하나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내 백성을 위로하라』말씀하십니다.『즐거워하는 자들로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로 함께 울라』로마서 十二장 十五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데살로니가전서 四장 十八절에『서로 위로하라』하였습니다. 위로자가 되라고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권하십니다. 서로 위로하라고 하였습니다. 서로 위로할 줄 알아야 합니다. 지금은 내가 편안하나 내일 무슨 일을 당할지 알지 못합니다. 지금은 내가 건강하나 언제 병에 걸릴지 모릅니다. 병은 눈썹에서 떨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즉 재난은 예고 없이 온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평안할 때에 환난 주에 있는 이을 위로해야 하고 내가 건강할 때에 병중에 있는 이를 위로해야 합니다. 그리하면 내가 환난을 당할 때에 병든 때에 슬픔을 당할 때에 그들이 역시 나를 위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서로 위로해야 합니다. 서로 심방 함이 필요합니다. 혹 상가가 날 때에 서로 위문해야 합니다. 특별히 크리스마스는 위로의 계절입니다. 그리스도는 가난한자, 병든 자, 죄인들을 구원하시고 위로하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크리스마스 정신은 남을 위로하는데 있습니다. 어느 때 위로를 게을리 하리요 마는 특별히 이 크리스마스 계절에 우리는 위로의 사자가 되여야 하겠습니다.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불우한 이들, 외로운 이들, 나그네들, 병든 이들, 무의무탁한 이들을 위로하기를 힘씁시다. 또 나라를 위하여 밤낮 수고하는 국군 장병을 위하여, 또한 밤낮 수고하는 경관을, 민족과 국가를 위하여 수고하는 여러분들을 우리는 기억하고 서로 위로하기를 힘씁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은 위로의 하나님입니다.
우리 인간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위로해 주시고 우리를 구속하기 위하여 주님까지 보내셨습니다. 우리는 주님께 나와 우리 자신들이 먼저 구원과 위로를 받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모든 다른 사람들을 구원하고 위로하는 위로의 사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그리하면 하나님께서는 장차 우리에게 영원한 위로를 주실 것입니다. 요한 계시록 七장 十六절 말씀 이하에『저희가 다시 주리지도 아니하며 목마르지도 아니하고 해나 아무 뜨거운 기운에 상하지 아니할지니 이는 보좌가운데 계신 어린양이 저의 목자가 되사 생명수 샘으로 인도하시고 하나님께서 저희 눈에서 모든 눈물을 씻어 주실 것임일러라』모든 눈물을 씻어 주실 때가 옵니다. 또한 요한 계시록 二十一장 四절에『모든 눈물은 그 눈에서 씻기시매 다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일러라』하였습니다. 이 세상에서 위로의 주님을 영접하여 위로를 받고 한 걸음 더 나아나 모든 다른 이들을 위로하는 이들은 장차 이러한 영원한 하늘의 위로가 있을 것입니다. 지난 주간에도 본 교회에서는 장례식을 七번 거행하였습니다. 가는 것이 인생입니다. 이 세상은 실로 눈물의 골짜기입니다. 주님께서는 이런 인간에게 금생과 내생의 위로를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내가 먼저 주께 나와 위로를 받고 그리고 또한 다른 이을 위하여 위로의 사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특별히 이번 크리스마스 계절에 위로의 사자가 됩시다.
『내 백성을 위로하라』하나님은 재촉합니다. 영원한 하늘 나라의 위로를 받을 때까지 이 눈물 많은 세상에서 위로의 사자가 됩시다. (一九七一년 十二월 九일)
?-27 별을 따라 (마태 복음 二장 一- 十二절)
『저희가 별을 보고 가장 크게 기뻐하고 기뻐하더라』(마 二·一○)
첫 크리스마스 때에 하늘에 이상한 큰 별이 나타났습니다. 동방 박사들은 그 별을 보고 그 별을 따라 베들레헴에까지 와서 아기 예수를 만났다고 하였습니다. 이 별은 보통 별이 아니었습니다. 새벽 별이 되시는 메시아의 상징으로 나타난 줄 생각합니다. 사실, 그리스도는 캄캄한 세상에 별과 같이 빛납니다. 그는 과연 지식과 허위가 많은 세상의 진리의 별이며, 시기와 증오로 가득 찬 세계의 사랑의 별이며 불화와 분쟁으로 넘치는 지구 위에 평화의 별이며, 죽음으로 가득 찬 이 세상의 생명의 별이며, 억압과 구속이 많은 현대의 자유의 빛나는 별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과연 전 인류의 소망의 빛이 됩니다.
첫째, 이 별은 누구나 본 것이 아닙니다. 오직 동방박사들만이 본 것 같습니다.
이 박사들은 당시 점성학자로써 항상 밤하늘을 바라보고 별을 탐구하든 이들입니다. 새로운 진리와 사실의 탐구자들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에게 메시아의 상징인 이 별이 나타난 줄 생각합니다.
신앙생활이란 어떤 의미에서는 별을 바라보는 생활입니다. 땅만 보지 않고 하늘을 보며 위에 있는 것을 찾는 생활입니다. 육체와 물질만 생각하지 않고 물질 이상의 것, 육신 이상의 것을 찾는 생활입니다.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안이요, 하나님의 입으로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을 깨달아서 하나님의 말씀을 탐구하는 생활입니다. 과연 신앙 생활이란 위를 바라보며 위에 있는 것을 찾는 곧 별을 앙망(仰望)하는 생활입니다.
둘째, 동방박사는 별을 바라보지만 않았습니다. 별을 보고 별을 따른 사람들입니다 별이 가르치는 메시아를 만나기 위하여 먼 순례의 길을 떠났습니다. 아무리 그 길이 멀고 험하나 별을 따라 길을 떠났습니다. 이것도 역시 영적 순례자의 모습입니다. 신앙생활이란 별을 보며 그 별을 따라 먼길을 가는 순례의 생활입니다. 동방박사의 앞에는 메마른 사막, 험한 골짜기, 태산준령, 장강 대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박사들은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약대를 타고 한 거름 두 걸음 오직 별을 따라서 앞으로 앞으로 전진이 있을 뿐이었습니다. 신앙생활 역시 그렇지 않습니까. 진리와 사랑과 정의와 생명과 자유와 평화의 별을 따르는 오늘의 순례자의 길에도 환난과 풍파가 있고, 유혹의 시험이 있고, 애통과 고난이 있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박사들과 같이 낙심하지 않고 쓰러지지 아니하고 꾸준히 나아갈 때에만 우리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진리와 사랑의 별을 따라 중단 없이 꾸준히 달려갈 길을 달리는 진리의 순례자가 되어야 합니다.
셋째, 그리고 박사들은 별을 따라 마침내 베들레헴에 이르렀습니다.
별빛의 지시대로『새벽 별의 실상』이 되시는 메시아를 만난 그들의 기쁨이 얼마나 컸겠습니까! 오래 찾든 진주를 만나는 기쁨, 사모하고 바라던 주님을 만나는 기쁨은 문자그대로 수무족도(手舞足蹈)를 하여도 오히려 부족하였을 것입니다.
이것도 역시 신앙생활에 한 체험인줄 생각합니다. 주를 만나는 기쁨, 우리 심령이 주를 만나는 기쁨이 있어야 합니다. 주를 영접하는 기쁨, 주의 품에 안기는 기쁨, 내가 주안에 있고 주께서 내 안에 계시는 기쁨, 주와 동행하는 기쁨이 있어야 합니다.
『주의 얼굴 뵙기 전에 멀리 뵈던 하늘나라 내 마음속에 이뤄지니 날로 날로 가깝도다 할렐루야 노래하자 내 지은 죄 사함 받고 주 예수와 동행하니 그 어디나 하늘 나라』
오, 이 기쁜 성탄에 주를 만납시다.
넷째, 박사들은 주를 만나기만 한 것이 아닙니다. 주께 경배하고 보배 함을 열어서 예물을 드렸습니다. 황금, 유황, 몰약(沒藥) 이 예물들은 여러 가지 상징으로 해석하려는 이들이 있으나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귀한 것을 드렸습니다. 사실 그들은 그들의 몸과 마음을 먼저 드리고 또 그 표로써 이 예물을 드리었습니다. 내게 있는 가장 귀한 것이 무엇인가 생각하여 봅시다. 지식인가, 재주인가, 물질인가? 아니면 자손입니까? 나의 보물을 드립시다.『네 보물이 있는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주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신앙생활이란 온전한 헌신을 의미합니다.『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산 제사를 드리라 이는 너희의 합리적 예배니라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도록 하라』
여러분, 이 기쁜 크리스마스날에 온전히 헌신하며 마음이 새로워져서 변화를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이 세상이 아무리 어둡고 불의와 부정과 부패와 죄악이 관영하나 우리는 이 크리스마스날 아침에 어두운 하늘을 비추는 진리와 사랑과 공의와 생명과 자유와 평화와 생명의 별이 되시는 예수를 따르며, 진리와 자유를 위해서 분투하며 온전히 헌신하는 새로운 결의가 있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一년 十二월 二十五일)
?-28 새해에 새 용기 (요한 복음 十六장 二十五-三十三잘)
『이것을 너희에게 이름은 너희로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함이라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 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하시니라(요한 十 六·三十三)
이 말씀은 그리스도께서 마지막 저녁 제자들에게 주신 모든 교훈의 결론입니다.
『이것을 너희에게 이름은 내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함이라』여기에 그 교훈의 목적을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려 함이었습니다. 여기 평안이라는 말씀은 곧 평화를 의미합니다. 오늘 세게 인류가 제일 갈망하는 것은 이 평화일 것입니다. 가정의 평화, 국제간의 평화, 마음의 평화입니다. 여기 평화의 비결이 있습니다. 그것은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이루어집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인간이 다 그리스도의 마음,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살 때에 평화는 자연히 따르게 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전쟁이 없는 평화의 통일을 염원합니다. 이 평화의 통일도 또 평화로운 사회도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이룰 수 있는 것을 먼저 기억합시다. 그리고 주님께서 최후로 부탁한 말씀이 있습니다.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 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담대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세상에서는 환난을 당하리라고 미리 경고하면서 그러나 담대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이미 세상을 이기었노라고 하였습니다. 금년에는 우리는 환난을 당할 것을 미리 각오해야 합니다. 인간이란 아무래도 소위 인생사고(四苦) 곧 생, 노, 병, 사(生老病死)의 고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세상에는 천재지변, 또한 불의의 사고가 종종 일어납니다. 이것들 위에 우리 그리스도인에게는 한 가지 환난이 더 있습니다. 곧 선한 생활에는 언제나 악의 핍박이 있는 법입니다. 성도의 수난이 여기에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말씀하십니다.『담대 하라 용감히 살라』왜냐 하면 그리스도께서 이미 세상을 이기신 까닭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도 모든 환난을 이길 수 있습니다.
오늘 새해 첫 주일 아침 우리 하나 하나가 새 용기를 얻기 바랍니다.
첫째, 먼저 우리는 자기 반성과 죄를 회개하는데 용감해야 합니다.
자신 안의 부패와 부정은 언제나 우리를 비겁하게 만듭니다.『양심이 다 우리를 겁쟁이로 만든다』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먼저 내 자신을 비판하여 죄를 스스로 깨닫고 회개할 때에 마음의 평화가 회복되고 마음이 평안할 때에 우리는 용감히 의를 위하여, 싸울 수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우리는 혹 다른 이가 우리를 비판할 때에 그것이 사실이면 우리는 받아들여 시정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용기입니다.
전에 다윗 왕은 음란(淫亂)한 죄를 지은 후에 나단의 충고를 듣고 곧 원통히 회개하였습니다. 여기 다윗의 용기가 다시 나타납니다. 그러나 헤롯왕은 같은 죄를 지은 후에 세례 요한의 충고를 들었으나 회개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세례 요한을 죽였습니다. 여기에 그가 얼마나 비겁한 자인 것을 나타냈습니다.
기억합시다 참으로 용기 있는 이는 먼저 죄를 회개하는데 용감합니다.
둘째, 유혹과 시험을 물리치는데 용감해야 합니다.
예수께서 광야에서 마귀로부터 많은 시험을 받았으나 용감히 물리친 것을 우리는 잘 기억합니다.『배가 고프니 돌로 떡을 만들어 먹어라』여기에 주릴 때에 들어오는 물욕의 시험이 있습니다.『성전 꼭대기에서 뛰어내려라』여기에 허영의 시험이 있습니다.『나에게 절만 하라 천하 만국의 영광을 네게 주리라』여기에 세상 권력에 대한 시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이 모든 유혹을 담대히 물리쳤습니다.
전에 요셉이 애굽에서 보디바의 아내를 통하여 들어오는 정욕의 유혹을 이렇게 담대히 물리친 것을 우리가 너무나 잘 아는 이야기입니다. 반면에 우리는 성경에서 유혹을 담대히 물리치지 못함으로 일생을 그르친 비겁한 이들의 이야기도 많이 읽습니다. 에서는 팥죽 한 그릇 곧 식욕의 유혹에 이기지 못하여 장자의 특권을 빼앗겼습니다. 아간과 유다 는 황금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여 일신을 망쳐 버렸습니다. 삼손은 정욕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여 비참하게 최후를 마치었습니다. 시대는 변하고 또한 환경도 변하나 옛날이나 오늘에 이르기까지 육신을 쓴 인간들에게 누구에게나 닥쳐오는 유혹이 있습니다. 곧『황금은 흑사심』이라고 물질을 통하여 오는 유혹, 권세욕, 허영 등입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런 모든 유혹과 시험을 물리치는데 용감해야 합니다.
셋째,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용감해야 합니다.
소극적으로 죄를 회개하고 유혹을 물리치는 데만 용감할 분더러 한 걸음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는 데 용감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성경은『그리스도의 정병이 되라』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선한 싸움을 싸우라』하였습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는 절대 다수가 아직도 그리스도를 모르는 불신사회입니다. 이러한 사회에서 그리스도인이 되려면 작은 일에도 용기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세례 문답할 때 들어보면 어떤 학생은 눈뜨고 식사 기도를 해도 되느냐고 묻는 학생도 있습니다. 또 어떤 이는 집에서는 식사기도를 하나 학교에서는 못한다는 이도 있습니다. 나는 그 심정을 잘 이해합니다. 사실 다른 사람이 기도 안 할 때에 나 홀로 머리를 숙여 기도하는 것은 처음에는 쉬운 일은 아닙니다. 이런 작은 일에도 용기가 필요합니다. 사실 어떤 이들은 주초가 좋지 않은 줄 알면서도 혹 연회석상에서 동참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런 작은 일에도 용기가 필요합니다.
제가 일찍이 들으니 고한규(高漢奎) 장로님께서는 옛날 일제시대에 조선 총독을 면회하려 가서 먼저 기도를 엄숙히 하니 그 총독이 감사하다고 말하였다고 합니다. 작은 일 같으나 이것도 고 장로님의 용기를 나타내는 에기입니다. 개인 전도에도 언제나 용기가 필요합니다. 대중 전도에도 역시 용기가 필요합니다.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유대인들에게 붙잡혀 매를 맞다가 로마 천부 장에게 구원을 받아 영문으로 끌려가다가 층대(層臺)에 이를 때에 바울이 천부 장에게 허락을 받아 자기를 핍박하는 무리를 향하여 손을 흔들며 조용하게 한 후에 그들에게 일장 연설을 하여 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장면이 사도행전에 나옵니다. 이것을 보면 사도 바울이 얼마나 용감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도에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마틴 루터가 웜스 국회에서 종교개혁의 교리를 취소하라고 위협을 받을 때에 그는 황제 앞에서『나는 여기 섭니다, 나는 그 교리를 다르게 할 수 없습니다』라고 외친 것은 너무나 유명한 역사의 일화입니다. 마틴 루터도 얼마나 용감하였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진리 수호에도 용기가 필요합니다.
넷째, 그리스도인들은 한 거름 더 나아가 악을 저항하는 데 용감해야 합니다.
이 세상은 선과 악의 각축장입니다. 빛과 어두움의 싸움터입니다. 정과 부정, 의와 불의, 진리와 허위, 선과 악이 대결은 어디나 있습니다. 사회에도, 국제간에도 이 대결은 계속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무슨 문제를 당하던지 사리를 옳게 판단하고, 항상 정의의 편에 서야하며 언제나 정의를 위하여 진리를 위하여 용감히 싸워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리스도의 말씀을 잊지 맙시다.『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사실 그리스도는 광야에서뿐만 아니라 일생을 통하여 모든 시험과 유혹을 이기었습니다. 또한 십자가를 통하여 오는 모든 고통과 환난도 이기었습니다. 그리스도는 사망의 권세까지 이기셨습니다. 이러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향하여 담대 하라고 권하십니다. 이 모든 환난과 유혹을 이기고 승리 적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로마서 八장 三十七절에『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빌립보 四장 十三절에『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하셨습니다. 내 힘으로는 할 수 없으나 그리스도 안에서는 할 수 있습니다. 이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용기의 비결이 어디에 있습니까? 곧 그리스도 안에 사는 것입니다. 용기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참된 신앙에서 옵니다. 용기는 의심 없는 믿음에서 옵니다.
이 새해 아침에 주님의 말씀을 기억하십시다.『세상에서는 환난을 당하나 담대 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우리는 세상을 이깁니다. 고로 담대하게 새 용기로 새 해를 출발합시다. (一九七二년 一월 二일)
?-29 큰 비전, 큰 미음, 큰사랑 (이사야 六장 一- 八절)
『웃시아왕의 죽던 해에 내가 본즉 주께서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셨는데 그 옷자락은 성전에 가득하였고』(사 六·一)
예언자 이사야는 그가 젊었을 때에 본 영적 체험을 이렇게 묘사하였습니다.
『웃시아왕의 죽던 해에 내가 본즉』그는 말합니다. 그는 보았다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육신의 눈으로 본 것이 아니오, 신령한 눈으로 본 것을 의미합니다. 곧 영견(靈見)을 의미합니다.
첫째, 이렇게 신령한 눈으로 보는 것을 요새는 흔히 비전(Vision)이란 말을 씁니다. 본래는 영어이나 이제는 한국에서도 그대로 많이 쓰임으로 그냥 나도 비전이란 말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이사야는 그 때에 성전 안에서 기도를 하다가 하나님에 대한 큰 비전을 보았습니다. 이 큰 비전은 그의 생활을 변하게 하였고 그의 일생을 또한 지배하였습니다. 하나님은 거룩하시고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신 것을 그는 늘 직감하였습니다. 이 비전이 이사야로 하여금 위대한 예언자로 만든 것입니다. 그는 그 때에 하나님께 대한 큰 비전을 보았을 뿐더러 인간 자신에 대한 그 정체를 또한 보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부르짖었습니다.『화로다 나는 망하게 되었도다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입술이 부정한 백성 중에 거하면서 만국의 여호와이신 왕을 뵈었음이로다』그는 자신의 죄와 모든 인간의 죄에 대한 비전을 또한 본 것입니다. 동시에 하나님께서 어떻게 자신의 죄를 깨달은 인간들에게 사죄의 축복을 주시는 비전도 보았습니다. 그뿐 아닙니다. 이사야는 이 큰 비전을 통하여 그의 사명에 대한 비전도 또한 확실히 본 것입니다. 그는 주의 음성을 들었습니다.『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해갈꼬』그는 곧『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이렇게 그는 이 큰 비전을 통하여 그의 사명, 그의 의무, 곧 그의 일생의 사업을 깨달았습니다.
인간은 그들의 비전을 통하여 평가되는 것입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비전이 그 사람을 만듭니다. 어떤 이는 자기의 일상 생활과 그 일에서 아무 것도 보지 못합니다. 그러나 다른 이는 물 끓는 것을 보고 증기기관을 착안하였고 떨어지는 사과 한 개에서 중력의 법을 보았습니다. 이런 이들이 발명가가 되고 예술가가 되고, 또는 하나님의 위대한 예언자가 되는 것입니다.『비전이 없으면 백성은 망한다』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우리는 다 비전이 필요합니다. 곧 신령한 눈으로 보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인간은 그가 가지는 비전 곧 영적으로 보는 것 이상의 무엇을 할 수는 없습니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내려올 때에 하나님께서는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너는 삼가 이 산에서 네게 보인 식양(式樣)대로 할 찌니라』곧 하나님은 그에게 성막을 어떻게 지을 것을 산에서 그에게 보여 주신 것입니다. 곧 모세는 산에서 성막에 대한 비전을 보았습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 특별히 교역자들은 성막, 곧 교회에 대한 큰 비전을 먼저 보아야 교회를 바로 건설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 하나 하나는 국가에 대한 큰 비전이 있어야 우리 나라를 바로 세울 수 있습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는 다 세계에 대한 큰 비전이 있어야 온 세계 인류가 자유와 평화와 번영으로 살 만한 세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한 비전이 있어야 우리 자신들을 참된 그리스도인의 인격으로 건설할 수 있습니다.
예수 님께서 한번은 야곱의 우물가에 서 있을 때에 많은 사마리아 사람들이 그에게로 나오는 것을 보셨습니다. 그들을 보면서 다음과 같이 의미 신장한 말씀을 하셨습니다.『너희가 넉 달이 지나야 추수할 때가 이르겠다 하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도다』여기 밭에 대한 예수 님의 비전이 있습니다. 현대에 사는 특별히 한국에 잇는 그리스도인들은 추수할 곡식이 많은 밭에 대한 큰 비전이 필요합니다.
나는 크리스마스 전에 원주에 잇는 우리 국군 제일군 사령부와 또 그곳에 있는 몇 부대를 방문하였습니다. 내가 깊이 감사히 생각한 것은 우리 국군에서 일하는 군목들과 고급 장교들이 모두 전군 신자 화 운동에 대한 큰 비전을 가지고 노력하는 사실이었습니다. 여러분 깨서도 기독공보에서 보신 줄 알지만 어떤 부대에서는 하루에 장병 一천九백五명이 일시에 세례를 받았습니다. 들은 바에 의하면 기도교인의 비례수가 五할이 넘는 부대들도 여러 부대가 된다고 합니다. 우리 군대 안에서 이러한 부흥이 일어난 것은 실로 감격할 일입니다.
우리 총회 안에도 一九八四년에 맞을 선교 一백주년 기념을 내다보면서『전국 복음회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우리 신자 하나 하나가 전군 복음 화에 대한 큰 비전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전도에도 먼저 큰 비전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에 대한 큰 비전, 교회에 대한 큰 비전, 국가에 대한 큰 비전, 세계에 대한 큰 비전, 자신에 대한 큰 비전이 필요합니다. 특별히 이 때에 전국 복음 화에 대한 큰 비전을 가져야 되겠습니다.
둘째, 큰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큰 비전이 먼저 필요하나, 비전이 비전에만 그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비전은 꼭 실현을 시켜야 합니다. 이 비전을 성취하는데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큰 믿음이 필요합니다. 히브리 十一장을 읽어보세요. 이스라엘 전 역사를 통하여 그들의 비전을 실현한 이들은 다 위대한 신앙의 용사들이었습니다. 그러므로『믿음으로 믿음으로』하는 말을 여러 번 발견합니다. 큰 믿음이 있어야 큰 비전을 실현합니다.
마태복음 十五장 二十八절에『여자야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하신 주님의 말씀이 있습니다. 이 말씀은 자기의 딸을 고쳐달라고 간청한 한 가나안 여인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주님은 그 여자의 믿음이 큰 믿음이라고 칭찬하면서 그 소원대로 다 이루어 주셨습니다. 성경에 이렇게 큰 믿음의 소유자라고 칭찬을 받은 이가 한 분 더 있습니다. 그는 곧 가버나움의 백부 장이었습니다. 반면에 주님께서 산상 보훈을 가르치실 때에『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 지우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늘 하물며 너희일까 보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여기 믿음이 적다고 챙만 하신 말씀도 있습니다. 혹은 마태복음 八장에 기록된 대로 주님의 제자들과 같이 갈릴리 바다를 건너가실 때에 큰 놀이 일어나 물결이 배에 덮이게 되매 제자들은 겁이나 자는 예수를 깨우셨습니다. 이때 주님은 일어나셔서 바람과 바다를 꾸짖으면서 제자들에게『어찌하여 무서워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말씀하셨습니다.
여러분께서 잘 아시는 대로 당시에 그 제자들은 믿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믿음이 너무 적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믿기는 믿으면서도 항상 두려워하였고 근심도하였고 의심도하였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어떠합니까?
여러분, 우리는 큰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적은 믿음으로는 부족합니다. 갈릴리 바다 가 때때로 풍파가 높은 것처럼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는 환난과, 질고(疾苦)와, 재난과, 빈곤과, 전쟁과, 슬픔과 죽음이 있는 세상입니다. 우리가 이러한 고해 같은 세상을 건너갈 때에 큰 믿음의 배가 필요합니다. 작은 배는 안됩니다. 믿음은 영혼의 배입니다. 믿음의 배는 커야 합니다. 이러한 세상에서 우리는 위대한 신앙을 가지고 살아 나갑시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이 시대를 정시합시다.
이 사대를 가리켜 과학시대, 원자시대, 혁명시대, 혹은 우주시대라고도 불립니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과연 신앙의 시대는 아닙니다. 반대로 신앙이 없는 시대입니다. 유물론, 세속주의, 공산주의, 도덕적 허무주의 시대입니다.
성경에 보면, 믿음은 방패라고 하였습니다. 이 믿음의 방패로 모든 마귀의 화전을 소멸하라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큰 방패가 필요합니다. 손바닥 넓이 만한 작은 방패로는 안 됩니다. 큰 믿음이 필요합니다. 큰 믿음이어야 큰 비전이 실현됩니다. 예수 님께서는 때로는 『네 믿음대로 되어라』말씀하신 일이 종종 있습니다. 믿음으로 성취됩니다. 그러므로 큰 믿음이 있는 이들은 큰 일을 하였고 믿음이 없는 이들은 아무 것도 가치 있는 일을 성취하지 못하였습니다. 생명수가 아무리 풍성하나 그 물을 길어낼 수 있을 만큼 믿음의 그릇에 의지해서 그 물을 인간이 마십니다. 큰 믿음의 소유자가 됩시다.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우주를 창조하신 위대한 하나님이십니다. 그는 무소 불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 그는 전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 그는 모든 것을 성취시킬 능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사람으로서는 할 수 없으나 하나님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큰 신앙만이 위대하신 하나님을 움직입니다.
인도의 개척 선교사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 1719-1834)는 이렇게 왜첬습니다.『하나님께 큰 일을 기대하라. 하나님을 위하여 큰 일들을 계획하라』( Expect great things from God, plan great things for God.) 위대한 신앙이 필요합니다.
셋째, 큰사랑이 있어야 합니다.
큰 비전과 믿음을 뒷받침하는 위대한 것이 한 가지 더 있습니다. 그것은 곧 사랑입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 전서 十三장에서『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 하였습니다. 큰 비전과 큰 믿음과 큰사랑이 필요합니다.『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하나님은 이처럼 우리를 크신 사랑으로 사랑하셨습니다.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크신 사랑이 없나니』
그리스도는 이렇게 크신 사랑으로 우리를 사랑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우리를 죄악 가운데서 구속하시기 위하여 그의 생명까지 주셨습니다.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하는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 인줄 알리라』주님은 큰 사랑으로 서로 사랑하라고 가르쳤습니다. 그가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라고 새 계명을 주신 것입니다. 작은사랑은 안됩니다. 우리 형제간에 큰사랑이 필요합니다. 사랑은 위대한 말입니다. 그러나 사랑이 타락할 수도 있습니다. 사랑이 이기주의로 전락될 수도 있습니다.
애국심이란 고귀한 나라에 대한 사랑도 외국인을 미워하는 감정으로 타락할 수도 있습니다. 작은사랑을 경계해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보여 주신 그 크신 사랑을 배워야 합니다.
사랑은 무엇입니까? 사도 바울은 고린도 전서 十三장 사랑의 장에서 가장 알아듣기 쉽게 우리에게 가르치십니다.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사랑은 봉사를 의미합니다. 사랑은 용서를 의미합니다.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리워 줍니다. 사랑은 희생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큰사랑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웃에 대하여 또한 같이 믿는 형제들에 대하여 아니 우리 인간들에 대하여, 원수에 대하여도 이 큰사랑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우리 교회를 위하여, 우리 나라를 위하여, 우리가 사는 이 세계를 위하여 이 큰사랑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세파에 싸여 말 할 수 없는 고난을 격은 온 대중과 특별히 아직도 구주를 알지 못하고 죄악의 바다에 빠져 헤매 이는 잃어진 영혼들을 향하여 이 큰사랑이 필요합니다. 한번밖에 지나가지 못하는 인생행로에서 인간과 인간사이에 가장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큰사랑입니다.
마지막으로, 새해를 맞이하여 우리는 이 큰 비전, 이 큰 믿음, 이 큰사랑의 소유자가 되십시다. 내 자신에 대하여는 물론, 우리교회, 우리 민족, 우리 세계에 대하여도 큰 비전을 가지고, 산을 옮길만한 큰 믿음을 가지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의지하며 일하고 봉사와 희생의 정신으로 십자가의 크신 사랑을 가슴에 품고 一九七二에 용감히 인생 길을 걸어갑니다. 누구에게나 이 세 가지가 필요하지 아니하겠습니까마는 특별히 청년시대에 이 세 가지 보배를 가슴에 품읍시다. 그리하면 여러분의 인생은 헛되지 아니할 것입니다. 참된 행복과 성공이 따를 것입니다.
우리 영락 교인들은 영락 교회에 대하여 큰 비전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전국 복음 화에 대하여 큰 비전을 가지고 큰 믿음, 큰사랑으로 만사에 임합시다.
전능하신 우리 하나님은 반드시 우리를 축복하실 것입니다. 아멘.
( 一九七二년 一월 九일)
?-30 영적 분별력 (로마서 十二장 一-十三절)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롬十二·二)
로마서는 기독교 신학의 중심이 되는 서신입니다. 一장으로 十一장까지 하나님, 인간, 죄, 구원의 깊은 진리를 서술하고 十二장부터 이 진리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은 그리스도인들의 실제 생활에 대한 교훈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므로 十二장 一절 二절에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온전한 헌신과 마음에 변화된 생활로써 모든 일에 하나님이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고 권면(勸勉)하십니다. 이것이 바른 신앙생활의 첫 단계입니다.
에베소서 五장 十七절에는『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하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바로 분별하고 이해하는 것은 신앙생활에 중요합니다. 고로 골로새서 一장 九절에는 사도 바울이 골로새 교인들을 위하여 기도하였습니다.
『이로서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여 달라고 하였습니다.
옛 시인도 시편 一백 四십 三편 十절에『나를 가르쳐 주의 뜻을 행케 하소서』기도하였습니다.
오늘 아침 신앙생활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영적 분별력에 대하여 성경의 교훈을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 주시기 바랍니다.
첫째, 먼저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범사에 하나님의 뜻이 잇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개인 생활에도 그려하고 교회생활에서도 그려합니다. 우리는 개인으로나 교인으로나, 국민으로나, 세례 인으로써 범사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아 그대로 순복(順服)할 때에 참된 행복과 하나님의 축복이 따릅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우리 동양에도『순천(順天)』이란 말이 잇고『역천(逆天)』이란 말이 있습니다. 곧 하늘에 순하여 살수도 있고 하늘에 거슬려 살려고 애쓸 때도 있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뜻에 거슬려 행하면 어떠한 옳은 일도 이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때때로 이러한 어리석은 짓을 합니다. 사도 바울이 회개하기 전 생활은 바로 하늘을 거슬린 생활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께서 다메석 도상에 나타나 바울을 부르실 때에『가시 채를 뒷발질하기가 네게 고생이니라』하셨습니다. 그러나 가시 채를 뒷발질하듯이 하나님의 뜻을 거슬려 살려고 하는 이들은 바울 만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므로 영적 분별력은 개인 생활에나, 교회 생활에나, 국가 생활에나, 세계 문제 해결에도 매우 필요합니다.
우리는 범사에 바로 살펴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아 거기에 순종해야 합니다. 아무리 복잡한 문제가 있고 아무리 세상이 어지러우나 오직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는 것은 우리 신앙생활에 매우 긴요합니다.
둘째, 우리는 이러한 점에서 그리스도의 생활을 잠깐 바라보기로 합시다. 그는 범사에 하나님의 뜻을 찾아 그 뜻에 전적으로 순종하는 것이 그의 생활원리이었습니다.
요한 복음 四장 三十四절 말씀에『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며 그의 일을 온전히 이루는 것이니라』
또한 마태복음 十二장 五十절에『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하는 자가 내 형제요, 모친이니라』말씀하셨습니다. 주 기도에도 그는 가르치기를『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 지이다』하셨습니다. 그 뿐 아닙니다. 그는 최후 겟세마네 동산에서 십자가를 앞에 바라보면서 피땀을 흘리면서 기도하신 최종의 말씀은『내 뜻대로 마옵시고 아버지 뜻대로 하시옵소서』그의 일생은 오직 아버지의 뜻을 찾아 그 뜻에 순종함이었습니다.
우리가 깊이 기억해야 할 것은 이것이 곧 우리 신자의 생활 원리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곧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길이요, 우리가 축복을 받는 길입니다.
이러한 생활의 전제 조건은 하나님의 뜻을 바로 분별하는, 바로 이해하는 영적 분별력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점에 도움이 되는 교훈을 사도 바울은 로마서 十二장 一-二절에서 보여 줍니다.
셋째, 그러면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분별할 수 있는가 생각하여 봅시다.
오늘 읽은 본문을 다시 읽을 때에 자세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①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
곧 전적헌신을 뜻합니다.
②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곧 온전한 변화를 말합니다.
여기에 사도 바울은 영적 분별력에 대한 두 가지 전제 조건을 명시합니다. 첫째는 몸으로 산 제사를 드리라. 하는 전제 조건입니다. 구약을 읽은 이는 어떻게 옛 이스라엘 사람들이 짐승을 잡아서 곧 죽은 희생의 제물을 드린 것을 잘 기억합니다. 우리는 다시 그러한 제사를 반복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단번에 그 몸을 제사로 하나님께 드려 속죄한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시 그러한 제사를 반복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신령한 의미에서 우리의 몸을 하나님께 산 제사로 드릴 의무가 있습니다. 이것이 곧 영적 예배입니다.
우리가 지금 이 자리에 모인 것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하나님께 드려 예배하기 의함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할 것은 우리 일상 생활이 곧 하나님께 드리는 영적 예배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신자는 가정에서 사림을 하는 것도, 공장에서 물건을 만드는 것도, 상점에서 장사하는 것도, 사무실에서 사무 보는 것도, 모두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인 것입니다. 이러한 온전한 헌신이 있을 때에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옳게 분별하게 됩니다. 전적 헌신하는 이에게는 그의 생활을 지배하는 세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범사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자하는 정열입니다. 사도 바울의 말과 같이『살든지 죽든지 내 몸에서 그리스도를 존귀케 하고자하는』일편단심입니다.
둘째, 전적 헌신한 이는 언제나 최대의 봉사를 할 수 있기를 염원합니다. 작은 봉사가 아닙니다. 어떻게 하여야 하나님과 인간에게 최대의 봉사를 할 수 있을까? 항상 찾습니다.
셋째, 순종입니다. 하나님의 뜻이면 불이나 물이나 가리지 않고 그저 순종하려는 결심입니다. 이러한 정신, 이러한 결심, 이러한 일편단심이 있는 이에게는 하나님의 뜻이 분명히 보여 집니다. 영적 분별력은 온전한 헌신에서 오는 것을 먼저 기억합시다.
둘째로『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하므로 변화를 받아』곧 온전한 변화입니다. 마음의 변화입니다. 마음이 변화되어 새로워진 사람입니다. 이런 이는 물론 이 세대의 풍조를 따르지 않습니다. 온전히 변화하여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벌레가 변화하여 나비가 되어야 모든 것을 바로 살필 수 있습니다. 예수 님 말씀대로 온전히 거듭나서 새 사람이 되어야 하나님의 뜻을 바로 보고 분별할 수 있습니다. 변화된 사람의 새로워진 마음은 어떠한 마음일까? 생각하여 봅시다.
그것은 곧 그리스도의 마음입니다. 변화된 마음의 특색도 또한 서너 가지로 나타납니다. 첫째 온유한 마음입니다. 부드럽습니다. 잔잔합니다. 잔잔한 호수 위에 명랑한 달이 비추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온유할 때에 하나님의 뜻이 밝히 비추입니다. 아집, 고집, 선입 주견(主見), 독선으로 찬 마음에 하나님의 뜻이 바로 비출 수가 없습니다.
그리스도의 특색은 온유(溫柔)입니다. 마음이 온유해야 하나님의 뜻을 바로 분별하고 또 주님의 말씀대로 이러한 이가 땅도 차지하는 것입니다. 주님의 마음에 둘째 특색은 겸손입니다.
『나는 마음이 온순하고 겸손하니』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에게 복을 주시며 그 뜻을 나타냅니다. 겸손해야 하나님의 뜻을 바로 분별합니다. 교만, 불순, 요두전목(搖頭轉目)하는 마음속에 하나님의 뜻이 바로 나타날 수 없습니다. 나의 허물, 나의 죄, 나의 부족을 깨닫는 마음이 꼭 필요합니다. 남의 허물 보다 내 허물을 먼저 보는 겸손한 마음에 하나님의 뜻이 분명히 나타납니다. 셋째로 진실입니다.『나는 진실이요』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의 마음은 진실합니다. 거짓이 없습니다. 허위, 거만, 위선이 가득 찬 마음에 하나님의 뜻이 바로 나타나기 어렵습니다. 진실해야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습니다. 진실이 진실을 찾습니다. 혹 학식이 부족하다고 해도 진실한 사람은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습니다. 물론 온전히 변화된 마음에는 언제나 성령이 같이 하십니다. 따라서 성령의 지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온전히 변화된 새로워진 마음은 또한 성령의 지도로써 하나님의 뜻을 찾게됩니다.
마지막으로 기억하세요, 범사에 하나님의 뜻이 있습니다. 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 때에 우리는 최대의 축복을 받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은 영적 분별력이 어디서 옵니까? 그것은 온전한 헌신과 온전한 마음의 변화입니다. 성경은 언제나 한 마음 한 뜻이 되라고 권합니다. 그 비결이 어디 있습니까? 그것은 우리 하나 하나 온전한 헌신과 변화된 마음으로 겸손히 하나님의 뜻을 바로 찾아 거기에 순종하는 데 있습니다. 범사에 우리는 역 천자가 되지 말고 순 천자가 됩시다. 오직 이것만이 개인으로나, 교회로나, 국가로나, 축복을 받는 유일한 길입니다.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一九七二년 二월 十三일)
?-31 지혜 있는 자의 생활 (에베소서 五장 八-二十一절)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 것을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엡 五·十五-十六
여기 사도 바울은 우리 믿는 자들에게『어떻게 행할 것을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하는 말을 성경 난외(欄外)에『기회를 사라』고도 번역되어 있습니다. 현대어 새 번역 성경에는『주어진 기회를 충분히 살리시오』이렇게 번역하였습니다. 여기『세월』이란 말은 그 근본의 뜻이 시간 혹은 때라는 뜻으로 여기는 특별한 때 곧 기회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아끼라』라는 말의 근본 뜻은 산다는 뜻입니다. 전도서 三장에는 천하에 범사가 기한이 있고 또 때가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이 때에 기회를 바로 포착하고 선용하는데 인간 생활의 성패가 좌우되는 것입니다.
고로 지혜 있는 자는 이때에 곧 기회를 바로 사고 바로 살립니다. 신앙생활에도 이 기회를 살 줄 앎이 필요합니다. 이 교훈을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축복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우리 주님도 이 기회를 선용하는데 대하여 여러 가지 비유로 교훈 하였습니다.
마태복음 二十五장에는 열 처녀의 비유가 있습니다. 그런데 다섯 처녀는 슬기 있는 처녀요, 다섯 처녀는 미련한 처녀라고 하였습니다. 슬기 있는 다섯 처녀는 기름을 살 수 있을 때에 기름을 넉넉히 사서 그들의 등불을 위하여 준비하였습니다. 그러나 미련한 처녀는 기름을 미리 사지 아니하고 있다가 신랑이 오는 깊은 밤에 기름이 떨어져 기름을 사려 갔다가 결국은 신랑을 연접하지 못하였습니다. 기름을 살 수 있을 때를 바로 이용하지 못하였음으로 결국은 영접하지 못한 미련한 처녀들이 되었습니다. 기회를 바로 포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지혜로운 일입니다.
누가복음 一○장에는 착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나 돈을 다 빼앗기고 또 매를 맞아 중상을 입어 길가에 쓰러졌습니다.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로 지나가다가 그 참경을 보고 그냥 지나가 버렸습니다 .또한 레위 사람 역시 지나가다가 그대로 가버렸습니다. 그런데 한 사마리아 사람이 그 길을 지나가다가 그 광경을 보고 그의 상처를 싸 매주고 그를 일으켜 자기가 탔던 짐승 위에 태우고 여관까지 데려다가 그을 보호하여 주었습니다. 이 비유에 제사장과 레위 사람은 하나님께서 주신 봉사의 기회를 전혀 무시하고 그냥 인생 길을 걸어갔습니다. 그러나 사마리아 사람은 그 봉사의 기회를 잘 살려 위기에 있는 불쌍한 인간을 구하여 주었습니다. 봉사의 기회를 놓쳐서는 안됩니다.
마태복음 二十五장에는 유명한 양과 염소의 비유가 있습니다.『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오셔서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분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분별하는 것같이 하였다』고 했습니다. 그때에 임금이 오른편에 잇는 이들을 향하여 나아와 예비 된 나라를 상속하라고 하시면서『내가 주릴 때에 너희가 먹을 것을 주었고 목마를 때에 마시게 하였고 나그네 되었을 때에 영접하였고 벗었을 때에 옷을 입혔고 병들었을 때에 돌아보았고 옥에 갇혔을 때에 와서 보았다』하였습니다. 그러나 왼편 염소 편에 서 있는 이들을 향 하여는 저주를 받으라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여기 의인들은 봉사할 수 있을 때에 잘 봉사를 하였으므로 축복을 받았고 다른 이들은 봉사할 기회를 주었는데도 봉사를 하지 아니하였으므로 형별을 받았습니다. 기회를 살 줄 알아야 합니다.
기회를 살리 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지혜로운 자와 같이 행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우리가 복음을 읽어보면 예수 님께서는 어떻게 항상 기회를 잘 살리 신데 대하여 감탄하게 됩니다.
가령 예수 님께서 갈릴리로 내려가실 때에 야곱의 우물가에 홀로 앉게 되었습니다. 그때에 제자들은 사마리아 성내로 식물을 사려 갔던 것입니다. 그 때에 마침 한 사마리아 여인이 물을 길러 나왔습니다. 요한 복음 四장을 자세히 읽어보세요. 예수께서 어떻게 그 기회를 이용하여 여인과 대화를 나누며 그 여인의 영혼을 구원하였고 생명수의 깊은 진리와 예배하는 자는 신령과 진리로 예배하여야 한다고 새로운 진리를 가르쳤습니다. 혹은 예수 님께서 여리고를 지나가실 때에 길가 뽕나무 위에 어떤 사람이 올라가서 그를 내려다보는 것을 보시고 그를 불러 내려오게 하시고 또 집까지 가서 그의 온 가정을 구원한 유명한 삭게오의 이야기를 우리는 잘 기억합니다. 예수 님께서는 길을 가시다가도 얼마나 많은 좋은 일을 하신 것을 우리는 복음서의 여러 페이지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굶주린 五千명에게 떡만 먹이신 것이 아닙니다. 그 기회를 이용하여 생명의 떡 곧 자기가 어떻게 생명의 양식이 되는 깊은 진리를 가르치셨습니다.
옛날 유대인들은 장막 절을 지킬 때에는 실로암 못에서 물을 길어다가 성전 제단 앞에 붓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그 절기에 참여하신 우리 주님은 그 기회를 포착하여 소리를 높여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의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 나리라』고 외치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언제나 전도의 기회, 봉사의 기회, 교훈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일 하시면서『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 밤이 오리니 그때는 아무도 일할 수 없느니라』밤이 오면 일하지 못한다고 경고 하셨습니다.
셋째,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꼭 기억해야 할 것은 범사에 때 곧 기회가 있습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선용하는 것이 지혜 있는 신자의 생활입니다.
내가 만일 농부라고 하면 심을 때를 알아 봄에 씨를 뿌려야 하고, 거둘 때를 알아 가을에 어두워야 합니다. 내가 만일 학생이라고 하면 공부할 때를 알아 공부를 해야하고, 상급학교에 가려면 미리 준비를 해야 합니다. 사업가들도 때를 알아 물건을 살 때에 바로 사고, 물건을 팔아야 할 때에 바로 팔아야 성공합니다.
내 들으니 전쟁을 수행하는 때도 꼭 기회를 바로 포착하여 공격하여야 할 때에 공격을 해야 승리를 거둔다고 합니다. 우리 믿는 사람은 범사에 때를 바로 살피고 모든 사업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전도에도 기회가 있습니다. 사실 지금은 하나님께서 우리 남한에 전도의 문을 크게 열어 주셨습니다.
감사할 것은 내 들으니 우리 군목들이 이 기회를 잘 살리어 열심히 전도함으로 몇몇 부대에서는 천 여명이 군인이 일시에 세례를 받았다고 합니다. 군대뿐만 아닙니다. 학원, 공장, 도시를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전도의 문을 크게 열어 주셨습니다. 한국교회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각 방면으로 전도하여 문자 그대로 기독교 한국이 이루어지도록 힘써야 합니다. 전도뿐만 아닙니다. 교육, 봉사, 문화, 각 방면에 크게 일 할 문을 하나님께서 열어 주셨습니다. 한국 교회는 역사에서 도피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이런 때에 각 방면에 용감히 침투하여 복음을 전파하며 봉사하며 이 땅에서 천국을 확장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에도 어리석은 자가 되지 아니하려면 일할 기회를 놓치지 아니하여야 합니다. 낮에만 일 할 수 있습니다. 밤이 오면 일하지 못 합니다. 건강할 때만 일할 수 있습니다. 병들면 일 하지 못 합니다. 천년시대에만 일할 수 있습니다. 늙으면 일하지 못 합니다. 일할 기회를 주어질 때에만 일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회의 문이 열렸을 떼에 일 합시다.
금년 본 교회에서 각 방면에 책임을 맡은이들은 특별히 깊이 들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아주 중요한 한 가지만 더 말하고 싶습니다.
학게 박사의 친구인 어떤 미국의 큰 출판사의 사장인 셈·모어라고 이가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자기는 본래 수리아에서 나고 베이루트라고 하는 곳에서 자라났는데 어렸을 때에 미술학교를 좀 다녀 그곳에서 기독교 복음에 대하여 들었으나 흔히 많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믿기는 믿겠으나 그다지 급할 것이야 있겠는가? 젊어서 마음대로 놀며 세상 재미도 보고 차차 회개하겠다고 생각하고 그런 친구들과 같이 넓은 길을 걸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가 늘 같이 다니며 노는 한 친구가 있었습니다. 그는 어떤 여자와 친하여 약혼까지 하였는데 또 다른 여자와 가까이 한다고 두 애인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고 합니다. 한번은 그가 보는 자리에서 그들이 싸움을 하다가 그 여자가 돌연히 품속에서 권총을 내어 그 남자를 쐈다고 합니다. 그 남자는 그 자리에 쓰려졌습니다.
그후부터 그는 그 일을 항상 잊을 수 없고 여러 가지로 인생문제에 대한 깊은 사색을 하게 되었는데 잊을 수 없는 한 가지 생각은 그 남자도 종종 회개한다고 말은 했는데 그렇게 갑자기 죽고 보니 회개할 기회를 놓쳤다는 사실입니다. 그후 그는 회개의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곧 진실한 크리스천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 그는 미국에 와서 적수 공권으로 고학을 하며 대학을 마치고 지금은 큰 회사의 사장으로써 유력한 평신도 지도자로써 교회를 봉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 회개의 기회를 놓치지 맙시다.
내일로 미루지 맙시다.
회개할 때는 지금입니다.
여기 성경에 기회를 사라고 하면서『이 때가 악하니라』말씀하셨습니다. 아마 그 뜻은 세상은 이렇게 악하니 다음 날 아니 다음 시간에 우리는 무슨 일을 당할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회개를 미루어서는 안됩니다. 회개뿐만 아닙니다. 전도, 교육, 봉사, 모든 방면에 기회를 주실 때에 열심히 일해야 합니다.
어리석은 신자가 되지 말고 지혜 있는 신자가 됩시다. (一九七二년 二월 二十일)
?-31 생과 그 안보 (시편 二十七편 一- 六절)
『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내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하리요 나의 대적, 나의 원수 된 행악자가 내 살을 먹으려고 내게로 왔다가 실족하여 넘어졌도다 군대가 나를 대적하여 진칠지라도 내 마음이 두렵지 아니하며 전쟁이 일어나 나를 치려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안연 하리로다』(시 二十七·一-三)
시편 二十七편은 다윗의 시(詩)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말합니다.『전쟁이 일어나 나를 치려할 찌라도 내가 오히려 안연 하리로다』여기 안연(晏然)이란 말은「안심」또는「안전하리로다」하는 말로도 번역합니다. 최근 수년 내에 많이 듣는 말 중의 하나는「안전보장」곧 「안보」라는 말입니다. 그래서 유엔에도 안보이사회가 있고 국가마다 안보위원회가 있습니다.「집단안보」「안보원조」「안보공약」등의 말도 있습니다. 이 안보라는 말의 배후에는 불안의 세계가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계에는 천재지변을 비롯하여 불의의 교통사고, 불의의 화재, 불의의 질병이 많을뿐더러 혹은 전쟁혁명등 사회의 격동이 일어날 때도 있고 또는 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강도, 절도, 깡패, 공산당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공포심에 잠겨 있습니다. 오늘은 편안하나 내일에 무슨 일이 있을까 두려워합니다. 오늘은 건강하나 내일에 무슨 병에 걸리지 않을까 두려워합니다. 특별히 三八선을 가운데 두고 간단없는 공산당들의 침투를 경계하는 우리 국민들에게는 더욱「안보」문제는 중대한 과제의 하나입니다.
오늘 이 시간「생과 그 안보」에 대한 성경의 교훈을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이 안보에 대하여 제일 중요한 것은 우리의 정신적 자세입니다. 신앙에 기초한 올바른 정신적 자세입니다.
오늘 본문에 다윗은 말합니다.『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 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내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하리요, 전쟁이 일어나 나를 치려 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안연 하리로다』이러한 담대한 정신적 자세야말로 불안한 세상에서 생의 안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신적 자세는 여호와를 믿고 의지하는 그 굳은 신앙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시편 二三편에서도 같은 자세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여호와는 나의 목자 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으리로다』여호와께서 나의 목자이시므로 내게는 부족함이 없겠다고 단언합니다. 여호와에 대한 그의 믿음은 생의 안보 감을 준 것입니다.『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주께서 동행하시므로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걸어갈지라도 그에게는 생의 안전이 보장되었습니다.
전 성경을 통하여 모든 신앙의 용사들이 이렇게 신앙에 기초한 생의 안보 감 가운데 살았습니다. 시편 一二五편의 기자는『여호와를 의뢰하는 자는 시온산의 요동치 아니하고 영원히 있음 같도다 산들이 예루살렘을 두름과 같이 여호와께서 그 백성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두루 시리로다』 했습니다. 로마서 八장 三十一절에『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빌립보 四장 十三절 말씀에『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일을 할 수 있느니라』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도 신앙에 기초한 안보 감에서 살았습니다.
세상이 아무리 어지럽고 위험하나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담대한 신념이 필요합니다. 성경을 읽는 이는 누구나『두려워하지 말라』하는 말이 자주 나오는 것을 발견합니다. 구약이나 신약이나 하나님께서는 이 약한 인간들에게『두려워하지 말라』말씀하셨습니다. 범 브란트 목사의 말에 의하면 이 두려워하지 말라 하는 말씀이 三六六번이나 나온다고 합니다. 그러니 一년 三六五일에 매일 한번씩 하신 모양입니다. 또 그리고도 한번 더하신 모양입니다. 어떤 이는 말하기를 인간의 첫째 원수는 이 공포심이라고 하였습니다. 공포심 가운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어떤 이는 지금은 건강하나 앞으로 병날까 두려워하는 이, 어떤 이는 지금은 취직하였으나 앞으로 실직할까 두려워합니다. 어떤 이는 사업에 실패할까? 어떤 학생은 시험에 낙제할까? 어떤 이는 늙은 후에 어떻게 될까? 어떤 이는 건물의 四층을 싫어하는 이, 어떤 이는 十三호실을 싫어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온갖 공포심에 붙잡혀 바로 생각도 못하고 당연한 일을 바로 하지도 못합니다. 이 공포심이 많은 부분은 가상적입니다.
옛날 어떤 군인이 밤길을 가다가 멀리 호랑이를 보고 활을 들어 힘껏 쏜 후에 가까이 가보니 활촉이 바위 뜸에 박혔더라고 합니다. 또한 어떤 분은 홀로 밤길을 가다가 멀리서 한 괴물이 마주 오는 것을 보고 크게 두려워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까이 가서 보니 괴물이 아니고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그것도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 형님이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미신에 젖어 두려워하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는 이도 많습니다.
성경을 읽는 이에게는 이 모든 공포심이 사라집니다. 성경은 큰 안보의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 보면 하나님께 대한 여러 가지 상징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가령『목자, 파난 처, 산성, 바위, 요새, 구원의 뿔, 그늘 지키는 자』등입니다. 이 모든 말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생의 영원한 안보는 하나님께 있습니다. 주님도 친히 말씀하시기를『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 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세상이 아무리 불안하나 우리는 주안에서 안보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습니다.
둘째는, 신앙의 기초 위에 쌓아 올려지는 기독교적 품격은 안보와 직결됩니다. 그리스도인의 품격을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나 가장 간단히 말하면 진실, 근면, 사랑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품격은 우리 생활의 안보에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첫째로는 개인적으로 생활에 대한 안보문제를 생각해 봅시다.
옛날 우리 사회에는 부모가 어떠하든지 돈을 모아 자손들에게 땅을 사서 유산으로 주기를 힘썼습니다. 이 이유는 토지는 도적질하여 갈 수도 없는 아주 안전한 재산으로 생각이 되었던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토지만 많이 물려주면 그 자손들의 생활이 보장된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이북에서 된 일을 보고 또 우리 남한에서도 토지개혁이 된 것을 아는 오늘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늘의 부모들은 자손들에 대한 장래생활의 안보는 무엇보다도 교육인 것을 깨닫고 어떠하든지 교육을 시키려고 애씁니다. 이것은 바른 생각입니다. 그러나 여기에 대하여 한가지 깊이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무슨 교육을 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인문 교육인가, 혹은 실업 교육인가, 오늘의 현상을 보면 부모들이 막연히 인문 고등학교에 보내기를 원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 사고가 장래 생활 안보의 견지에서 옳은가? 깊이 생각하여야 될 줄 압니다. 솔직하게 말해서 인문 고등학교를 거쳐 대학을 졸업한 이들에게는 취직의 문이 매우 좁습니다. 그것은 교수나 혹은 기업체의 경영부분 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매우 탁월하지 못한 사람은 취직이 어렵고 대부분은 소위 고등 실직자로 전락할까 두렵습니다.
六·二五를 거처 지낸 사람은 잘 압니다. 전쟁에 쫓겨 피난민 생활을 하면서도 무슨 기술이나 직업을 가진 이는 생활의 위협을 받지 않고 무사히 지냈습니다. 그러나 기술도 없고 막 일도 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언제나 실직자로 전락하기 쉽고 사회의 문제인물이 됩니다. 기술교육의 필요성을 꼭 기억합시다. 또한 아무리 기술과 고등 지식이 있다고 할지라도 그의 품격이 어떠하냐? 그가 진실한가? 그를 믿을 수 있는가? 아니 그가 부지런하여 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가? 그가 성결하여 죄에 빠지지 않는가? 그가 남과 협동할 줄 아는가? 곧 생활의 안보문제에 있어서는 다만 기술교육만으로는 안됩니다. 도의 교육이 필요하고 도의 생활의 기초가 되는 기독교 신앙이 필요합니다.
둘째로는 국가의 안보문제에 있어서도 그러합니다. 국가적 견지에서 이 안보문제를 생각할 때에는 물론, 정치적 안정, 경제적 발전, 사회적 질서, 강한 군사력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것들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 안보문제는 국민 하나 하나의 품격과 직결됩니다. 곧 국민 하나 하나의 정신적 자세 가치관, 애국심, 협동의 정신, 희생의 정신과 직결됩니다. 또한 이러한 국민의 정신과 품격은 기독교 신앙과 직결됩니다.
그러므로 우리 국군 안에서도 현대적 장비를 서두를 뿐 아니고 정신 무장을 바로 하기 위하여 전국 신자 화 운동을 전개하는 것입니다. 지금 새마을 운동이 벌여졌지마는 이러한 운동의 배후에도 새 정신운동이 또한 전개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전도 운동도 사실은 국가 안보문제와 직결이 됩니다
셋째로는 이 안보문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하나 더 있습니다. 그것은 상부상조와 협력의 정신입니다. 이 정신도 신앙의 터전 위에서 장성합니다.
첫째는 개인적으로 안보문제를 생각할 때에 불행은 누구에게나 갑자기 올 수 있다고 하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이 안보문제는 개인으로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피차에 도움으로서만 가능한 것입니다. 강자는 약자를 도와야 합니다. 평안한 이는 불행한 이를 붙들어야 합니다. 이런 사상에서 현 사회에는 여러 가지 보험제도가 일어났습니다. 화재, 생명, 양로, 실직보험 등 여러 가지 보험제도가 생긴 것은 다 이러한 안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제도가 전 국민적으로 잘 된 나라를 복지국가라고 합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서도 제도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국민 하나 하나의 도의심, 동정심, 책임감, 협동정신이 절대로 필요합니다.
둘째는 국가적 안보문제에도 상부상조와 협력의 정신이 절대로 필요합니다. 한 나라가 어떤 나라에게 침략을 받을 때에는 세계의 다른 나라들이 상부상조하여 침략자를 물리쳐야 합니다. 이것이 집단 안전보장의 근본 정신입니다.
사실 六·二五 때에 유엔 영도 하에 이 정신이 실현되어 북괴의 한국침략을 물리쳤습니다. 그러나 오늘에 와서 내가 염려하는 것은 유엔이 이 근본 정신을 점점 잊어버리지 않는가 하는 점입니다. 변질되지 않는가 우려합니다. 정당한 회원국으로 유엔 창립 五개국 중의 하나인 자유 중국을 물리치고 중공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인 일, 또는 방금 월남이 월맹에게 침략을 당하는데 미국과 한국 외에 다른 나라들의 수수방관하는 태도입니다. 이것은 다 세계 평화를 위한 집단안보의 고귀한 이상을 잊어버리는 유감스러운 현상입니다.
안보에는 상부상조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런 정신도 기독교 신앙의 밭에서 자라나는 꽃이라고 하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 됩니다.
마지막으로 온 세계의 인간은 안보를 사모합니다. 그리하여 온갖 방면으로 안보를 위하여 노력합니다. 이것은 귀한 일입니다. 마땅히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힘으로는 부족합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의 도우심과 축복이 있어야 합니다. 복음서를 읽어보면 한번은 주님과 제자들이 배를 타고 갈릴리 바다를 건너 갈 때에 홀연히 큰 풍파를 만났습니다. 물결이 배 안으로 넘쳤습니다. 제자들은 황급하여 주무시는 예수를 깨웠습니다. 주님은 일어나셔서 노한 바다를 향하여『고요 하라 잠잠 하라』말씀하실 때에 바다는 곧 잠잔 하였습니다. 그리고 주님은 제자들을 향하여『왜 두려워하느냐 믿음이 없느냐』말씀하셨습니다.
참 안보는 주님과 동거할 때에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생활은 믿음에서 옵니다. 이러한 신앙가운데서 불안한 세상이지만 안보 감을 가지고 살아 나갑시다.(一九七二년 四월 十六일)
?-33 약할 때에 강하니라 (고린도 후서 十二장 一-十절)
『그러므로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약한 것들과 능욕과 궁핍과 핍박과 곤란을 기뻐하노니 이는 내가 약할 그 때에 곧 강함이니라』( 고후 十二·十)
우리는 오늘 아침 읽은 이 고린도 후서 十二장 가운데서 사도 바울의 깊은 영적 경험의 일단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환상과 계시를 받았습니다. 그 내용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그는 말할 수 없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계시가 너무 크므로 그로 하여금 자고 하지 않기 위해서 그 몸에 가시를 주었다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그 가시의 내용을 자세히는 모르나 하여간 그를 몹시 괴롭힌 어떠한 육체적 질환인 줄 생각합니다. 그는 이것을 없이 하여 달라고 세 번 기도하였으나 그 응답은 자기 뜻대로는 되지 아니하고 주는 말씀하시기를『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 짐이라』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도리어 기뻐서 그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여기 본문의 말씀과 같이『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약한 것들과 능욕과 궁핍과 곤란을 기뻐하노니 이는 내가 약할 때에 곧 강함이니라』하였습니다.
오늘 아침 그 마지막 구절 곧『내가 약할 때에 곧 강함이니라』하는 말씀을 묵상하고자 합니다. 이 말씀은 얼른 들을 때에 모순되는 듯 합니다. 그러나 질리 입니다. 이런 진리를 흔히 역리적 진리(Paradox) 라고 합니다.
첫째, 인간생활에는 종종 약할 때가 있습니다. 아무리 건강한 사람도 중병에 걸릴 때가 있고 아무리 사업을 잘 하는 사람도 실패할 때가 있고, 또 인간은 아무래도 큰 슬픔을 당할 때도 있습니다. 학생들은 시험에 낙제할 때도 있습니다. 인간은 이런 약한 때를 바로 당해야 아주 망하지 아니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런 때를 바로 당하면 더욱 큰 축복을 받습니다. 바울은 약할 때에 더욱 큰 축복을 받았습니다. 곧 그리스도의 크신 능력이 약할 때에 더욱 온전히 그에게 임한 것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었습니까? 오늘 읽은 성경의 말씀을 자세히 보면 『여러 계시를 받은 것이 지극히 크므로 너무 자고 하지 않게 하시려고 내 육체에 가시를 주었다』고 하였습니다. 곧 바울은 이 가시로 말미암아 약할 때에 교만의 시험이 물러갔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는 이 가시로 말미암아 약할 떼에 더 겸손하여 졌습니다. 교만이 없어졌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능력이 더 온전히 그에게 임하였습니다.
인간이 약할 때에 흔히 겸손하여 집니다. 건강하던 이가 중병에 걸려 약해지면 겸손하여 집니다. 세력이 있는 이가 그 세력이 없어지면 흔히 겸손하여 집니다. 돈 많던 이가 사업에 실패하여 궁핍하게 될 때에 흔히 겸손하여 집니다.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자에게 은혜를 주십니다. 낮은 땅에 물이 고입니다. 쇳덩이가 불에 들어가 녹아져야 좋은 그릇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인간이 자기가 약한 것을 깨달을 때에 하나님께서 쓰실만한 그릇을 만들 수 있습니다.
교만은 만 죄의 어머니라고 합니다. 이 교만의 죄로 말미암아 천사가 타락하여 악마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 교만의 죄가 없어질 때에 다른 죄들도 회개하게 됩니다. 시기, 허영, 음란 및 다른 죄들도 회개하게 됩니다. 이렇게 될 때에 그의 마음은 가난하여지고 깨끗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산상보훈에서『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요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위로함을 받을 것임이요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라고 하였습니다. 또 이사야 五十七장 十五절에『지존 무상하며 영원히 거하며 거룩하다 이름하는 자가 이같이 말씀하시되 내가 높고 거룩한 곳에 거하며 또한 통회하고 마음이 겸손한 자와 합께 거하나니 이는 겸손한 자의 영을 소생케 하며 통회하는 자의 마음을 소생케 하려 함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약할 때에 그 마음이 겸손하여지므로 하나님이 같이 하십니다. 하나님이 그 심령을 소생케 하십니다. 그러므로 그는 강하여 집니다. 그리스도의 은혜가 충만하게 됩니다.
둘째, 이 뿐 아닙니다. 인간이 약하여질 때에 그 생각이 깊어집니다. 인생이 무엇인가? 인생의 깊은 문제를 탐구하게 됩니다.『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영광은 풀의 꽃과 같아서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는』이 인간의 약한 면을 직면하게 될 때에 인간은 그 생각이 깊어 집니다.『네 생명이 무엇이뇨 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이 인간의 무상, 인간의 순간 성을 실감하게 될 때에 인간의 생각은 깊어집니다. 공수래 공수거,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의 이 약한 면을 직면할 때에 그 생각은 깊어집니다. 사업에 실패하여 모든 것이 없어질 때에 내 것이라고 하던 것이 내 것이 아닌 것을 체험으로 깨닫게 될 때에 그 생각은 깊어집니다.
세상에 믿던 모든 것, 건강, 돈, 세력, 친척, 가족 등 모든 것이 끊어질 그 때에, 지극히 약할 그 때에 인간은 생의 새로운 차원을 탐색하게됩니다. 곧 신앙의 세계를 발견하게 됩니다. 곧 하나님을 찾게 되고 하나님을 만나게 됩니다. 이것이 성 프랜시스코의 경험이요, 로욜라의 경험이요, 많은 성도들의 체험입니다.
인간의 최종 혹은 말단이 하나님의 은혜의 시점입니다. 인간의 절망은 하나님 앞에서의 새 소망의 시작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이 약할 그 때에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게되며 새 소만과 새 힘을 믿게 됩니다.
시편 六十二편 五-六절에『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대저 나의 소망이 저로 좇아나는 도다 오직 저만 나의 반석이시오 나의 산성이시니 내가 요동치 아니 하리로다』
시편 二十七편 一절에『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내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하리요』
고린도 후서 四장 十六절에는『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 사람은 후패(朽敗)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
약 할 때에 이렇게 늪은 신앙의 차원에 들어와 새 능력을 얻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강하여 집니다.
셋째, 그 뿐 아닙니다. 우리가 약할 때에 기도를 더하게 됩니다. 학습이나 세례문답을 할 때에 기도를 얼마나 하느냐고 물으면『급한 일을 만나면 기도합니다』라고 대답합니다. 사실 그러합니다. 우리가 급한 일을 만나면 누구나 기도를 더하게 됩니다. 전에 야곱이 고향인 가나안 땅으로 돌아 올 때에 자기 형 에서가 四백 명을 거느리고 자기를 향하여 온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자의 명분을 팥죽 한 그릇으로 아버지의 이삭을 속여 그 축복을 빼앗은 야곱은 심히 두렵게 되었습니다. 소 때와 양 때를 그리고 가족까지 먼저 보낸 후 그는 얍복강 여울에서 밤새도록 기도의 씨름을 한 것은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아무튼 야곱은 그날 밤 기도로 말미암아 이스라엘, 곧 승리자가 되었습니다.
약할 때에 기도를 더 많이 함으로 강하게 됩니다. 우리 가운데는 해방이후 三八선을 넘어 온 이들이 많습니다. 가정, 집물, 모든 재산을 다 공산당에게 잃어버리고 적수공권으로 공산당의 눈을 피하여 간신히 三八선을 넘어 올 때에 여러분은 기도 많이 한 줄로 생각합니다. 어떤 집사는『그저 기도만 하면서 갔습니다』고 그 후에 말하였습니다. 사실 그때는 새벽 기도회도 많이 모였습니다. 지금은 아마 평안하니까 새벽 기도회에 적게 모입니다. 약하고 급할 때에는 기도를 더합니다. 그러므로 강하여 집니다. 은혜를 더 많이 받습니다. 그리스도의 큰 능력이 같이 하십니다. 기도는 힘의 원천이 십니다.『이 세상은 험하고 네 비록 약하나 늘 기도 힘쓰면 큰 권능 얻겠네』큰 권능 얻는다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약한 그때가 더 강하여 집니다.
한 가지 더 경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이 약할 그 때에 은혜를 받아 하나님께 나와 강하게 되지 못하면 그는 아주 멸망하고 맙니다. 최근 우리는 신문을 통하여 노벨 문학상을 받은 일본의 저명한 문인이 가스 파이프를 물고 자살하였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는 곧 문학으로 명성을 얻었으나 지금은 늙고 병들었습니다. 곧 약하여졌습니다. 그런데 그는 보다 더 높은 생의 차원을 발견치 못하였음으로 다시 말하면 하나님을 찾지 못 하였음으로 결국 이러한 최후의 비극을 가져왔습니다.
악할 때에 신앙의 차원을 찾지 못하는 사람처럼 가련한 이는 없습니다. 길이요 진리이요 생명이신 그리스도를 알지 못하면 결국 인간이란 허무하며 절망입니다. 우리 사회에는 사업에 실패하여 자살하는 사람, 연애에 실패하여 자살하는 젊은 사람, 생활고로 자살하는 사건, 심지어는 낙제하고 자살하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약할 때에 강하여지는 신앙이 없이는 인생 길을 바로 걸어가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꼭 주께 나아와 이 약할 때에 강하여지는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불행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습니다. 약한 때는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약할 때에 강하여지는 신앙이 필요합니다. 혹 우리 가운데『나는 강하다 나는 부족한 것이 없다 나는 무쇠기둥 같이 튼튼하다』고 생각하는 이가 있습니까? 이러한 이가 있다고 하면 그런 이야말로 사실은 상한 갈대보다 도 더 약한 인간인 것을 깨달으세요! 그것은 스스로 속이는 교만일 뿐입니다. 그 교만한 죄를 회개하고 그 인간의 취약성을 솔직히 고백할 때에 새로운 생명의 길이 열릴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스스로 선다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고 경고합니다.
벌서 오래 전에 내가 미국 뉴멕시코주 알바컬키(Albuquerque New mexico) 라는 도시에 있던 요양원에 입원하여 있을 때에 ― 제가 그 때에 폐가 약하여 약 二년간 입원하고 있었습니다.
― 내 친구 송창근 박사께서 그는 六·二五때 납치되어 지금은 소식을 모르지만 그가 자기 사진을 하나 보내면서 한 편에는『벗을 생각함』이라고 썼고 또 한 편에는『나는 약할 때에 강하니라』고 하는 성구를 써 보냈습니다. 나는 그 때에 병석에 고요히 누워서 그 사진을 바라보며 특별히 그『약할 때에 강하니라』하는 성구를 묵상하는 가운데 많은 은혜를 받았습니다.
여러분, 약할 그때에 그리스도의 능력이 온전히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약할 때에 낙심치 말고, 자포자기하지 말고, 겸손히 죄를 회개하며, 하나님을 더 의지하며, 더 기도하는 가운데 서 새 능력을 받아 사도 바울과 같이 약한 것을 오히려 기뻐하며 자랑할 수 있는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바랍니다. 사도 바울과 같이『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고 외칠 수 있기를 바랍니다. (一九七二년 四월 二十三일)
?-34 부름받은 몸 (에베소서 四 장 一-六절 十一장 十六절)
『그러므로 주안에서 갇힌 내가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가 부르심을 입은 부름에 합당하게 행하여』(엡 四·一)
에베소서 四장은 바울이 옥중에서 에베소에 있는 교인들에게 주신 권면의 말씀입니다. 여기에『부르심을 입은 부름에 합당하게 행하여』하는 말이 있습니다. 이사야 四十三장 一절에『너는 두려워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또 로마서 一장 六-七절에『너희도 그들 중에 있어 예수 그리스도의 것으로 부르심을 입은 자니라. 로마에 있어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입고 성도로 부르심을 입은 모든 자에게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平康)이 있기를 원하노라』로마서 八장 三十절에는『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하였습니다.
첫째, 우리 신자들이 분명히 기억할 것 가운데 하나는 우리가 그리스도인들이 된 것은 우연히 된 것이 아니요, 먼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되었다는 이 사실 입이다. 우리 하나 하나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몸입니다. 우리뿐만 아니라 옛날로부터 지금까지 모든 성도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성도가 된 것입니다. 아브라함도 하나님의 부르심을 먼저 받음으로서 모든 신자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모세도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하나님의 사람이 되었습니다. 이사야도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선지자가 되었습니다. 에레미아, 에스켈, 호세아, 아모스등 모든 선지자들이 다 그러합니다.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선지자가 되었습니다.
신약을 보아도 그러합니다. 베드로는 부르심을 받아 제자가 되었습니다. 야고보와 요한 도 부르심을 받아 예수를 쫓게 되었습니다. 삭개오도 부르심을 받아 구원을 얻게 되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도 부르심을 받아 성도가 되었습니다. 사도 바울도 부르심을 받아 성도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도가 되었습니다. 신약뿐이 아닙니다. 과거 근 二,○○○년 동안 모든 신자 하나 하나가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었습니다. 어거스틴도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큰 신학자가 되었고 마틴 루터도 부르심을 받아 성도가 되었고 종교개혁자가 되었습니다. 모든 성도가 그러합니다. 부르심을 받은 형식, 시기 장소는 물론 각각 다르나 부르심을 받은 사실은 모두 동일합니다.
오늘 여기 앉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도 부르심을 받음으로서 신자가 되었습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 모두가 문자 그대로 부르심을 받은 몸들입니다. 이 사실을 기억합니까? 이 사실을 깊이 느끼고 감격합니까? 이 깊은 감격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신자의 소명감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그리스도의 몸에 한 지체가 되었습니다. 큰 포도나무의 한 가지가 되었습니다. 천국의 한 시민이 되었습니다. 빛에 아들이 되었습니다.
둘째, 오늘 본문에『부르신 부름에 합당하게 행하여』하고 권면 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하나님의 특별하신 부름을 받아 이러한 특권의 자리에 있게 되었으니 이 부름에 합당하게 행하라고 권면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신 큰 목적이 있습니다. 그것은 먼저 우리로 하여금 어떤 사람이 되어 범사에 이렇게 행하고자 하는 크신 목적이 있습니다. 본문 에베소 四장 二∼三절에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어떻게 행하여야 된다고 구체적으로 가르칩니다. 곧『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고 하셨습니다.
첫째는,「모든 겸손과」라고 하였습니다. 부름을 받은 사람들은 겸손히 행하라고 하였습니다. 겸손은 모든 축복의 근원이 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에게 복을 주십니다. 교만은 모든 죄의 근본이 되고 겸손은 모든 덕의 어머니가 된다고 하였습니다. 낮은 땅에 물이 고입니다. 부르심을 받은 사람의 첫째 특색은 겸손이어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 그렇게 위대한 사도이면서도 자기 자신을 항상 자기는 모든 사도 중에 지극히 작은 사도요 모든 성도 중에 지극히 작은 자 보다도 작다고 하였으며 사실 그는 죄인의 괴수라고 고백하였습니다. 이 겸손은 자기 자신을 바로 살피는 데서 생깁니다. 스스로 속지 않고 지기자신을 여실히 보는 자는 그 자신이 얼마나 추하고 얼마나 약하고 얼마나 비겁하고 얼마나 부끄러운 것임을 인정할 것입니다. 또 이 겸손은 하나님 앞에서 내 자신을 살필 때에 더욱 자기자신을 깨닫고 겸손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의지해서 내 자신을 평가할 때에 누구나 자기의 허물과 죄를 깨닫고 겸손하여질 것입니다. 겸손은 부르심을 받은 사람의 마음에 특색이 되어야 합니다.
둘째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은 온유하게 행하라고 하였습니다. 이 온유도 겸손과 같이 그리스도의 성품의 특색입니다.『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명에를 메고 나를 배우라』고 주님은 말씀 하셨습니다. 주님은 사실 온유하였습니다. 악을 악으로 갚지 아니하셨습니다. 욕을 욕으로 갚지 아니하셨습니다.『온순한 대답이 분노를 쉬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온유한 눈이 있습니다. 온유한 말이 있습니다, 반면에 혹독한 말이 있습니다. 온유한 행동이 있습니다. 반면에 포악한 행동이 있습니다. 온유함은 약한 것을 의미함이 아닙니다. 옛날부터『유능제강(柔能制剛)』이란 말이 있습니다. 온유가 능히 강한 것을 이긴다는 것입니다.
『태강즉절(太剛則折)』이란 말이 있습니다. 너무 강하여 꺾여 버린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님도『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땅을 차지할 것 입임이요』라고 하였습니다. 온유한 자가 승리합니다.
운유는 언제나 분노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꼭 옳은 때에만 노를 발한다는 것입니다. 곧 의를 위하여 다른 이를 의분을 발합니다. 그러나 자기를 위 하여는 분노를 멀리합니다. 온유한 자는 자기의 마음, 자기의 감정, 자기의 말 등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 아래에서 온전히 자제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셋째는, 부르심을 받은 자는 오래 참아야 한다고 권합니다 이 오래 참는 다는 말은 두 가지 방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어떠한 환경, 어떠한 사물, 어떠한 경험에 있어서든지 낙심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견딘다는 뜻입니다. 어떠한 고통, 고난이 있을 지라도 백절불굴의 정신을 가지고 참고 견딘다는 뜻이 있습니다. 옛날 로마사람들이 전쟁에 일시 패할 지라도 절대로 패배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싸워 최후에는 승리를 얻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꾸준히 참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하나 대인 관계에 있어 오래 참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아무리 다른 이가 나를 괴롭히고 부당한 대우를 하나 내가 보복하려면 얼마든지 보복할 수 있더라도 보복하지 않고 오래 참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 님께서 당시 악한 무리에게 무리한 모욕을 당하고 십자가의 고난까지 당하였으나 주님은 보복하시지 아니하시고 끝까지 참으셨습니다. 보복할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고 얼마든지 보복할 수 있는 하늘의 권세가 있었으나 그는 참으셨습니다. 곧 오래 참으셨습니다. 부르심을 받은 이들은 부르신 주님의 본을 받아 무슨 일을 당하든지 오래 참으라고 권합니다.
넷째로는,『그리고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라고 하였습니다. 헬라 말에는 사랑이란 말이 넷 있습니다.「에로스」라 하는 말은 남녀간의 사랑,「휠리아」라는 말은 친구의 사랑, 「스톨게」라는 말은 가족간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곳에는「아가페」라는 말을 사용하였는데 이 사랑은 가장 고귀한 하나님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그 뜻은 상대방의 여하를 불문하고 언제나 최대의 신의를 가지고 대함을 의미합니다. 사랑의 이유가 그 대상에 있지 아니하고 내 속에 사랑이 있음으로 누구나 사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아무리 사랑을 받을만한 자격이 없는 어떠한 죄인이라 할지라도 불쌍히 여기시고 사랑합니다.
이상과 같이 겸손, 온유, 오래 참음, 사랑이 있는 곳에 평화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주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은 이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서 지켜야 합니다. 부르심을 받은 자는 언제나 이렇게 교회의 화평과 하나되기 위하여 힘써야 합니다.
다섯째,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심은 이상과 같이 겸손과 온유와 안내와 사랑의 사람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를 통하여 이루시고자 하시는 일들이 또 있습니다.『아들아 포도 원에 가서 일하라』고 하였습니다. 일 하기 위하여 우리를 그의 자녀로 부르신 것입니다. 추수할 것은 많은데 일꾼이 부족함으로 추수하기 위하여 우리를 부르셨습니다.
악마의 권세가 팽팽한 이러한 세상에 자유와 정의와 평화를 위하여 싸우라고 우리를 그리스도의 군인으로 부르셨습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는 주님의 일을 위하여 부름을 받은 몸들입니다. 곧 전도, 봉사, 교육 등 모든 방면에 주를 위하여 일하라고 부르신 것입니다. 국가의 부름을 받아 군인이 된 자는 언제나 명령에 순종하여 용감히 싸우는 의무가 있습니다. 부름을 받은 자는 후퇴할 수가 없습니다. 중퇴할 수 없습니다. 도피할 수 없습니다. 부름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명령에 의지하여 언제나 전진이 있을 뿐입니다.
사도 바울은 빌립보서 三장 十三절 이하에『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잇는 것을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노라』라고 하였습니다. 여러분! 우리도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야 합니다. 달음질해야 합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은 위로부터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이 소명감이 철저해야 합니다. 소명감 없는 목사는 참 목사가 될 수 없습니다. 소명감 없는 장로는 참 장로가 될 수 없습니다. 소명감이 없는 집사도 참 집사가 될 수 없습니다. 소명감이 없는 교인은 참 교인이 아닙니다. 참으로 부르심을 받았으면 내가 부르심을 받은 것을 기억할 것입니다. 이 소명감이 있으면 범사에 부르신 부름에 합당하게 행하여 모든 겸손과 온유로 행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평안에 매는 줄에 성령이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킬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위하여 헌신 할 것입니다. 힘써 일 할 것입니다. 전도나 봉사나 교육이나 어떤 방면에서든지 주를 위하여 우리 민족을 구원하고 우리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힘써 일 할 것입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몸입니다. (一九七二년 五월 九일)
?-35 성령의 열매 (갈라디아서 五장 一三-二十六절)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이 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갈 五·二十二- 二十三)
우리 그리스도인의 하나 하나는 성령의 열매를 맺는 한 나무입니다. 시편 九十二편 十二절 이하에『의인은 종려나무와 같이 번성하며 레바논의 백향목 같이 발육하리로다. 여호와의 집에 심겼음 이여 우리 하나님의 궁전에서 흥왕 하리로다. 늙어도 결실하며 진액(津液)이 풍족하고 빛이 청 청하여 여호와의 정직하심을 나타내리로다』고 노래하였습니다. 우리 믿는 사람들은 여호와의 집에 심겨졌습니다. 하나님의 궁전에서 자라납니다. 그러므로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그 열매는 성령의 열매입니다. 오늘 오순절 주일, 성령의 강림하심을 기념하는 날, 이 성령의 열매를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 성령의 열매를 맺는 전제 조건은 우리 주님은 산상 보훈에서 이렇게 지적하였습니다.『좋은 나무마다 아름다운 열매를 맺고 못된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나니 좋은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을 수 없고 못된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없느니라』고 좋은 열매를 맺으려면 먼저 좋은 나무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좋은 열매를 맺는 비결입니다. 인간은 아담이 죄를 지은 후 좋은 나무는 아닙니다. 말하자면 들 포도나무의 가지입니다. 이 들 포도나무 가지가 좋은 포도를 맺으려면 참 포도나무인 그리스도께서 접붙임이 되어야 합니다. 이 경험을 성경의 말씀대로 하면 회개와 신앙을 통하여 곧 과거의 죄를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내 구주로 믿음으로 구원을 받고 그리스도의 큰 포도나무의 한 가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포도나무로부터 올라오는 생명의 진액을 받게되고 열매를 맺게 됩니다. 그러므로 사도 베드로는 오순절 설교에서『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으리라』고 하였습니다. 성령은 곧 예수 그리스도의 영입니다. 그리스도인 큰 포도나무로부터 오는 생명의 진액 입니다. 이러한 참 회개와 신앙을 통한 중생의 경험이 있는 후에 성령의 열매를 맺기 시작합니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영 곧 하나님의 영으로서 여러 가지 상징으로 그 역사가 성경에 표현되었습니다. 성령은 이슬과 같아서 우리 심령을 잘 자라게 하고 새롭게 합니다. 성령은 기름과 같아서 우리 심령 속에 신앙의 불이 붙게 합니다. 성령은 비둘기 같아서 인간의 순결하고 온유하게 합니다. 성령은 또한 불과 같아서 인간의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뜨겁게 합니다. 성령은 또한 순결과도 같아서 인간에게 생명을 줍니다. 성령은 또한 바람과도 같아서 인간에게 큰 능력을 줍니다. 이렇게 성령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역사 하여 인간 심령 깊은 속에 많은 열매를 맺게 합니다.
둘째로, 반면에 한 가지 기억할 것은 인간의 회개와 신앙을 통해서 이러한 심령의 새 생활이 시작되었으나 인간의 육체를 근본으로 하는 소욕(所欲)이 곧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 육체를 근본으로 하는 부패한 인간성은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그것이 곧 육체의 소욕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은『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르고 성령의 소욕은 육체를 거스르나니 이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고 경고합니다. 이 육체의 소욕 곧 옛 사람의 소욕과 싸워 이기는, 신학적으로 말하면 소위 성화의 계속적인 작용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본문에서 이 육체의 일들이 무엇인가를 분명히 기록하면서 이것을 경계하며 싸워 이기라고 권합니다. 본문 五장 十九절 이하에『육체의 일은 현저하니 곧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한 것처럼 모두 성적으로 타락한 더러운 일들입니다. 그 다음에는『우상 숭배와』한 이것은 하나님대신에 물질을 숭배하는 근본적인 탐심을 또한 의미합니다. 그리고『술수와』한 이 말은 마술 혼은 요술이라고도 번역할 수 있는데 다 사람들을 속이는 온갖 수단을 의미합니다. 그리고『원수를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 냄과 당 짓는 것과 분리함과 이단과 투기와』라고 한 이런 것들은 다 가정이나 사회나 심지어 교회까지도 어지럽게 하는 육체의 일을 의미합니다. 그리고『술 취함과 방탕함과 또 그와 같은 것들이라』고 한 이것은 모두 탄식과 방탕의 절제 없는 생활을 의미합니다.
주의하여 듣기를 바랍니다. 이런 육체의 일들을 믿는 사람들에게 경고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믿는 사람들은 이런 육체의 일에 대하여 용감히 싸워 이기라고 권합니다. 그러므로 본문 五장 二十四절에『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 박았느니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이런 일은 우리 신자들에게는 있을 수 없다고 선언합니다. 로마서 七장 十三절에『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서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라』고 한 것처럼 육의 행실을 죽여야 합니다. 베드로 전서 二장 十一절에는 『사랑하는 자들아 나그네와 행인 같은 너희를 권하노니 영혼을 거슬려 싸우는 육체의 정욕을 제거하라』고 하였습니다. 골로세서 三장 五절에 는『그러므로 땅에 있는 지혜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 숭배니라』고 했습니다. 또 고린도 전서 九장 二十七절에『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될까 두려워 함이로라』고 사도 바울은 자기 몸을 쳐 복종케 하였습니다. 이래야 열매를 맺습니다. 우리 주님도 산산보훈에서『만일에 네 오른 눈이 너로 실종케 하거든 빼어 내 버리라 네 백 체 중 하나가 없어지고 온 몸이 지옥에 던 지우지 않는 것이 유익하니라』고 육체의 일은 단연히 끓어 버려야 열매를 맺는 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우리가 이렇게 옛사람과 용감히 싸우는 동시에 우리가 언제나 기억할 것은 우리는 적극적으로 우리의 심령으로 충만한 상태로 보존하는 것입니다. 그릇에 맑은 물이 가득하면 더러운 물이 들어 올 수는 없습니다. 건강한 몸에는 백병이 물러갑니다. 우리의 심령이 언제나 성령으로 충만할 때에 육체의 일은 스스로 사라집니다. 주님의 제자들이 오순절 전에는 서로 시기하고 분쟁하고 원수들 앞에서 비겁하였고 뿔뿔이 흩어 졌습니다. 그러나 오순절에 성령을 충만히 받은 후에는 오직 주안에서 하나가 되어 물질의 유무를 상통하며 소리를 높여 오직 복음을 증거 하였습니다. 단합하게 되었고 용감하게 되었습니다. 신앙생활에 있어서 이렇게 내 심령을 언제나 성령으로 충만하게 간직함은 가장 중요합니다. 모든 일에는 대가가 있습니다. 이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성령의 충만한 생활은 오직 기도와 회개와 묵상과 하나님의 말씀을 항상 읽으며 명상하는 가운데서 만이 가능한 축복입니다.
그러면 성령의 열매는 무엇입니까? 본문 五장 二十二-二十三절에 분명히 가르쳐 줍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성령의 열매」라고 성령의 열매를 단수로 표시하였습니다. 열매들이 아니고 열매입니다. 곧 성령의 열매는 하나입니다. 이 하나인 성령의 열매가 형편에 따라 아홉 가지로 표현됩니다. 제가 여러 해 전에 태국 방콕에서 한 보석 상점에 들어가니 그 주인이 한 보석을 보여주는데 보석은 하나이나 그 면을 따라 혹은 분홍으로 보이고 혹은 자주 빛 또는 다른 빛으로 보였습니다. 성령의 열매도 하나인데 그 환경을 따라서 아홉 가지 방면으로 나타납니다. 또 이 아홉 가지를 세 가지로 나누어 기억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인간의 심령 속에 맺히는 성령의 열매요. 둘째는 다른 사람을 위하여 맺히는 성령의 열매가 있고, 셋째는 어려운 환경을 당할 때에 맺히는 성령의 열매가 있습니다.
첫째로, 우리 심령 속에 맺히는 열매가 셋이 있습니다. 그것은 곧 사랑과 희락과 화평입니다. 이 말들은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여기 사랑은 하나님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사랑스러워 사랑하고 그렇지 못해도 사랑합니다. 나와 의견이 같아도 사랑하고 달라도 사랑합니다. 곧 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성령으로 충만한 이의 마음속에는 이러한 사랑이 있습니다. 다음에는 희락 곧 기쁨입니다. 이 기쁨도 보통 세상 사람이 가지는 종류의 기쁨은 아닙니다. 「나의 기쁨을 너희에게 주노니」곧 그리스도의 기쁨입니다. 그리고 또 화평입니다. 이 화평도 무슨 좋은 환경이나 외적 여건에서 오는 것이 아니고「나의 평안을 너희에게 주노니」하는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화평입니다. 세상이 빼앗을 수 없는 오직 성령의 충만한 사람만이 체험할 수 있는 내적 화평입니다.
그리고 둘째로, 사람에게 대하여 나타나는 성령의 열매 세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 입니다. 성령이 충만한 사람은 대인관계에 있어서 그 열매가 이렇게 나타납니다.
첫째는, 인내입니다. 보통 인내가 아니고 오래 참는 인내입니다. 성나는 일이 있어도 시끄러운 일이 있어도 괴로운 일이 있어도 무리한 대우를 받아도 같이 성 내지 아니하고 싸우지 아니하고 참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인내입니다.
둘째는 자비입니다. 참을뿐더러 죄인이라도 불쌍히 여기고 죄를 사하여 주는 마음 성입니다.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자기를 못 박는 자를 위한 기도는 곧 자비의 표현입니다. 오직 성령이 충만한 만이 이러한 기도를 할 수 있습니다. 스데반은 성령이 충만하였음으로 그도 순교할 때에 이런 기도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셋째는 양선 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이러한 죄인을 불쌍히 여길뿐더러 한 거름 더 나아가 선을 행하는 마음입니다. 선한 자와 악한자의 밭에 비를 같이 내리시는 하나님의 하시는 일을 그대로 본 받아 행하는 것입니다. 오직 성령으로 충만한 사람만 이런 양선을 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세 가지 열매, 어려운 환경에서 맺는 세 가지 열매를 기억합시다. 그것은 곧 충성, 온유, 절제입니다. 성령으로 충만한 이는 어려운 때일수록 자기 맡은 일에 충성을 다합니다. 교회에서나 사회에서나 위기를 당할 때에 생명을 걸고 충성을 합니다. 그리고 성령이 충만한 가람은 어려운 일을 당하여도 온유합니다. 반항하지 아니합니다. 원망하지 아니합니다. 거칠어지지 않습니다. 하나님께 대하여도 온유하며 아무리 어려워도 하나님을 원망하지 아니합니다. 사회에 대하여도 온유하며 다른 이들을 원망하거나 저주하지 아니합니다. 이 온유는 결코 약한 것을 의미하지 아니합니다. 외유내강을 의미합니다. 그리하여 끝까지 견디어 마지막에는 승리하여 땅을 차지합니다.
그리고 셋째는 절제입니다. 절제는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것을 절제한다는 의미만은 아니고 모든 방면에 절제를 의미합니다. 성령이 충만한 사람은 무슨 일을 당하든지 감정을 절제할 줄 알아 감정이 폭발되지 아니합니다. 말을 절제할 줄 알아 혀를 제어합니다. 행동의 절제가 있어 도에 넘치는 그릇된 행동에 빠지지 아니합니다.
신앙생활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이 성령의 열매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무슨 일, 무슨 봉사, 혹 교회활동을 한다고 하여도 우리 마음과 품격에 이 성령의 열매가 없으면 그것은 다 소리나는 구리의 울리는 꽹과리와 같습니다.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잎만 무성한 무화과나무 잎입니다. 열매 없는 나무는 찍어 불에 던 지우라고 주님은 경고하셨습니다.「자기의 육체를 위하여 심는 자는 육체로부터 썩어진 것을 거두고 성령을 위하여 심는 자는 성령으로부터 영생을 거두리라」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우리 마음과 생활 속에 이 성령의 열매가 있는가 스스로 살핍시다. 좋은 무화과를 우리 주님은 기대하시는데 그것이 없으면 어찌할 것입니까? 사실 교회에 오래 출석한다고 다 성령의 열매를 맺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성경에 성령을 근심케 하지 말라는 경고가 있습니다. 믿기는 믿으면서도 항상 성령을 거슬려 성령으로 근심케 하며 눈물을 흘리게 하는 이는 없습니까? 또는 성령을 소멸케 하지 말라는 경고도 있습니다. 전에 사울 왕이 말년에 성령이 그을 떠났다고 하였습니다. 그 결과가 어떻게 된 것을 우리는 압니다. 사실 지금도 二十년 혹은 三十년 신앙생활을 한 후에 아주 타락하여 멸망하는 이들을 혹 볼 수 있습니다. 성령을 근심케 하다가 소멸한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다윗은「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옵소서」하고 간절히 기도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령을 충만히 주시기를 원하십니다. 오직 마음의 문을 여십시오. 이 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기로 약속하신 선물입니다.
이 오순절 주일에 제一세기 그리스도인들과 같이 성령을 충만히 받아 성령의 풍성한 열매를 맺게 하시기 바랍니다. (一九七二년 五월 二十一일)
?-36 첫 어린이날 ( 마가복음 十장 十三- 十七절)
『예수께서 보시고 분이 여겨 이르시되 어린아이들의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어린 자의 것이니라 (막 十·十四)
본 교회에서는 오늘을 어린이 주일로 지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흔히 五월 五일을, 외국에서는 흔히 六월 둘째 주일을 꽃 주일이라 하여 어린이 날로 지킵니다. 어느 날이든 일년에 한 번씩 특별히 어린이를 생각하여 기도하며 예배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입니다. 우리 주님은 산상보훈에서『들에 백합화가 어떻게 자라는가 보라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같지 못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오늘 읽은 본문에도 어린아이들이 내게로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주님은 꽃을 사랑하고 또 어린이를 사랑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자연계에는 아름다운 꽃을 주시고 우리 가정에는 아름다운 어린이를 주셨습니다. 우리는 꽃을 사랑하고 어린이를 사랑하여 꽃을 가꿀 줄 알고 어린이들을 바로 키울 줄 알아야 합니다. 오늘 읽은 마가복음 十장 十三-十六절의 내용은 이 어린이날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를 알려줍니다. 사실 이 세계에 이 꽃 주일 혹은 어린이날이 있게 된 것은 예수 님께서 어떤 날 어린이들을 영접하며 그들을 안고 머리에 손을 얹어 축복하여 주심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오늘 아침이 첫 어린이날에 된 일을 잠깐 묵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를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사람들이 예수의 만져 주심을 바라고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오매』이렇게 시작하였습니다. 어린이날은 부모들이 어린이들을 예수께 데리고 옴으로써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어린이날에 부모들의 의무를 찾아봅시다. 어른들 자신만 오지 아니하고 어린이들을 데리고 주께 왔습니다.
① 먼저 어린이들을 데리고 주께 나오십시오. 혼자 교회에 나오는 것도 물론 좋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어린이들까지 데리고 나와 축복을 받아야 합니다. 성경에 보니 한 아버지는 간질병 앓는 아이를 주님께 데리고 나와 고침을 받았습니다. 기도의 어머니 한나는 어린 사무엘을 성막에 데리고 와서 하나님께 바쳤습니다. 성모 마리아도 예수를 성전에 데리기고 와서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엘리사벳도 요한 을 성전에 데리고 와서 드렸습니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을 데리고 교회에 나오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입니다. 아기 세례를 할 수 만 있으면 난지 一년 내에 받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영아부, 유치부, 유년부 등에 입학하도록 지도할 의무가 있습니다.
② 외양으로만이 아니고 중심으로 어린이들을 하나님께 받쳐야 합니다. 한나는 중심에서 우러나 어린 사무엘을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엘리사벳도 어린 요한 을 중심으로 드렸습니다. 이것은 어린이들의 장례에 대한 지도, 교육 일체를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 중에 몇 분이나 집안 어린이들에게 주기도 또는 사도신경을 가르칩니까? 다른 공부를 힘써 시키는 것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어린 마음의 밭에 심기를 힘쓰는지요?
③ 『네 아들이 어디에 잇느냐』고 하신 말씀을 생각해 보십시오. 부모는 성전에 있으나 지금 우리의 자녀는 어디 있는가? 어떤 자리에 있는가?
부모는 어린이들을 맡은 청지기입니다. 부모는 자녀를 하나님께로 인도할 책임이 있습니다. 전에 어진 어머니 모니카는 자기 아들 어거스틴이 참으로 회개하기까지 눈물이 그 눈에서 마르지 아니하였습니다.
첫 어린이날에 부모들이 다 어린이들을 예수 님께 대리고 왔습니다. 오늘 이런 축복이 우리 모든 부모 된 이들에게 있기를 바랍니다.
둘째, 부모들은 이렇게 아이들을 데리고 왔는데 주님의 제자들은 그들을 꾸짖었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제자들은 어린이들이 주께 오는 것을 환영하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방해하였습니다. 꾸짖기까지 하였습니다. 이것을 보시고 예수 님은 분히 여기시면서 어린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지금도 문자 그대로 교회에서 어린이들을 혹은 부모들을 꾸짖는 이가 간혹 있습니다. 물론 거기에는 이유가 있는 줄로 생각합니다. 너무 떠든 다든지 혼란을 막기 위함인 줄 생각합니다. 그러나 교회에서 어린이들을 대할 때에 언제나 조심해야 합니다. 제가 몇 해전에 어떤 청년을 만나 얘기할 때에 그는 말하기를 자기는 어렸을 때에는 주일학교에 나갔는데 한번은 선생에게 매를 맞고 그 다음부터 나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주일학교 선생은 물론 권사 님 집사 님들도 어린이들을 잘 용납할 줄 알아야 합니다. 또 넓은 의미에서 어른들은 어린이들이 주께 나옴에 방해되는 모든 행동을 삼가야 합니다. 여기 성경을 보니 예수 님께서 분이 여기셨다고 하였습니다. 예수 님은 사소한 일에 분을 내시는 이가 아닙니다. 그런데 여기에 분을 내신 것을 보니 주님께서는 어린이들을 이렇게 막는 것을 아주 중대한 과오로 생각하였습니다.
첫째는 우선 어린이들을 경시하는 당시의 사상을 못 마당 하게 생각하신 것입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어린이들을 경시하고 천대하고 귀중히 여길 줄 모르는 이들이 적지 아니합니다. 그리하여 어린이들을 학대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어린이들을 얼마나 귀중히 여기며 그들이 옳게 자라기 위하여 배려를 하는가 하는 것은 실로 그 사회 그 나라의 문화의 척도가 되는 것입니다. 문화가 높을수록 어린이들을 우대하고 그들의 필요한 장난감을 비롯하여 모든 시설을 갖춥니다.
둘째로는 또 어린이들이 반드시 주께 나와 주님의 축복을 받고 주를 배워야 합니다. 어린이들이 학교에 가서 여러 가지 지식과 기술을 배웁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것들을 바로 쓸만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바른 사람이 되려면 꼭 주님께 나와 주님을 배워야 합니다.
셋째로 주님은 모든 사람이 사랑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별히 어린이들을 사랑하십니다. 모든 양을 사랑하시나 특별히 어린양을 더 사랑하십니다. 그러므로 베드로에게 내 어린양을 먹이라고 제일 먼저 부탁하셨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예수 님의 이 심정으로 어린이를 대하여야 합니다.
셋째, 주님은 이렇게 어린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금하지 말라고 하시면서『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아이와 같이 받들지 않는 자는 결단코 들어가지 못 하리라』고 의미심장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여기에 첫 어린이날 모든 장성한 사람들에게 주신 주님의 엄숙한 교훈이 있습니다. 예수 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와 어린이들이 긴밀한 공통되는 점을 여기서 보여주십니다 천국에 들어가려면 먼저 어린아이와 같이 되라고 하셨습니다. 어린아이들에게서 배울 점들이 있습니다.
첫째는 그 천진 성입니다. 곧 천진난만한 그 성품입니다. 어린이들은 참되고 담박하여 외식과 가장이 없습니다. 물론 권모술수도 모릅니다. 문자그대로 무시기합니다. 맑은 눈동자 처럼 그 마음도 맑습니다. 내 일찍이 이북에 있을 때에 어떤 가정에 심방을 가니 그 어머니가 어린 딸에게 말하기를 네 아버지가 옆집에 간 것 같으니 가서 오시라고 하여라 하시더군요. 그 어린이가 갔다와서 하는 말이「아버지가 없다고 하래」하였습니다. 어린이들은 진실합니다. 어른들이 배워주기 전에는 거짓말을 안 합니다.
둘째는 겸허(謙虛)성입니다. 어린이들에게는 교만이 없습니다. 금전의 교만, 지위의 교만, 지식의 교만을 모릅니다. 그래서 어린이들은 가난한 집 아이나 부잣집 아이나 잘 사귀어 놉니다. 어른들은 별로 교제가 없어도 어린이들은 같이 잘 놉니다. 어린이들의 사회는 실로 민주주의 사회며 평등의 사회입니다. 전에 어떤 두 농부가 두 집 사이에 있는 시내로 인해 말썽이 생겨 재판을 하며 서로 원수가 되었는데도 두 집 아이들은 늘 같이 잘 놀았습니다. 그런데 한 아버지가 그것을 보고 노하여 자기 아들을 떼어 오니 다른 농부도 역시 자기 아이를 떼어 가고 같이 놀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그랬더니 그 애들이 다 병이 났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다시 사의 좋게 놀도록 허락하였다고 합니다. 이 일이 있은 후 부모도 감화를 받아 피차에 회개하였다고 합니다.
셋째는 어린이들의 신뢰성입니다. 어린이들은 남의 말을 그대로 꼭 믿습니다. 더욱이 부모의 말은 꼭 그대로 믿습니다. 전에 들으니 미국의 한 대학생은 대학에 가서도 산타클로스가 정말 있는 줄 믿더라고 합니다. 왜냐고 물으니 어머니의 말씀이니까 믿는다고 하더랍니다. 이러한 믿는 마음이야말로 천국에 들어갈 이의 필수조건입니다. 이런 믿음으로 천국을 받아들여야, 하나님을 믿어야 한다고 주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은 어린이가 부모를 전적으로 믿고 의지하는 것과 같습니다. 자식이 어찌 부모를 의심할 수 있으랴!. 어린이가 부모를 전적으로 믿고 의지하는 것과 같이 우리가 하나님을 믿을 때 우리는 천국을 소유할 수가 있습니다. 어떤 책을 보니 사진은 물론 없지만 성 프랜시스의 얼굴은 어린이의 얼굴과 같았다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첫 어린이날을 생각하면서 다음 세 가지 교훈을 명심하십시다.
첫째, 어린이들을 꼭 주님께 인도하도록 합시다. 이것이 부모의 첫째 사명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모든 방면에 부모의 책임을 다하였다고 할지라도 이 점에 실패하면 그 부모는 부모로서의 최고의 책임을 저버린 것입니다. 어린이들을 인도하고 어린이들을 온전히 주님께 바칩시다. 태만하여 아기세례를 미루지 마십시오. 태만하여 아이들을 교회학교로 인도함을 잊지 마십시오.
둘째는 어린이들이 주께 나옴을 꾸짖지 마십시오. 방해하지 마십시오. 어린이들을 범죄로 인도하는 것은 가장 큰 죄악입니다. 마태복음 十八장 六절에 주님은 말씀하시기를「누구든지 나를 믿는 이 소자 중 하나를 실족케 하면 차라리 연자 맷돌을 그 목에 달리 우고 깊은 바다에 빠뜨리우는 것이 나으니라」고 경고하셨습니다. 어린이들을 유혹이나 범죄로 유도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삼가야 합니다.
셋째로는, 어린이들에게 배워야합니다. 그 진실을 배워야 합니다. 그 겸손을 배워야 합니다. 전적으로 믿고 의지하는 그 신뢰성을 배웁시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예술가가 대리석으로 예수의 조상을 조각하려고 二년간이나 수고하여 만든 후에 자기 어린 딸에게 보여 그가 누구냐고 물어보았습니다. 그 어린이말이 아주 유명한 사람이겠군요 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실망했습니다. 다시 二년간을 수고하여 만든 조상을 보이며 누구냐고 물었습니다. 그 딸의 대답이 아주 재주 많은 사람 같군요 라고 하자 그는 또 실망했습니다. 다시 二년간 수고하여 조각한 후에 그 딸에게 물으니 그때에는 우리 주님이군요 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그때에야 그는 만족하여 조각을 마치었다고 합니다. 어린이들이 예수를 바로 봅니다. 신앙에 대하여는 어린이들을 못 소깁니다. 여러분의 어린이들이 여러분들을 어떻게 보는지를 생각해 보았습니까?「우리 어머님은 참 믿음이 있어」이렇게 생각하는 지요. 그렇게 생각하리 만큼 참된 신앙을 가진 부모들이 되십시오. (一九七二년 六월 四일)
?-37 신앙생활과 분노의 감정 (마태복음 五장 二十一- 二十六절)
『옛 사람에게 말한바 살인치 말라 누구든지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 되리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 마다 심판을 받게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라 하는 자는 공회에 잡히게 되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게 되리라』(마 五·二十一-二十二)
산상보훈에서 주님은 모세의 율법을 폐하려 온 것이 아니고 온전케 하기 위하여 오신 것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모세의 율법은 밖에 나타나는 행동을 금지 시켰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님은 그 행동에 대한 내적 근원을 금지하십니다. 제일 먼저 든 예로서 여섯째 계명은 곧『살인하지 말라』에 대한 교훈을 주셨습니다. 모세는 다만 살인하지 말라,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되리라 하였으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라 하는 자 곧 욕설을 하는 자는 곧 공회에 다시 말하면 대법원에 잡히게되고, 이러한 놈이라 하는 곧 인격을 멸시하는 악한 언행을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리라고 하셨습니다. 주님은 첫째 노는 살인의 근원인 것을 지적하고, 둘째 노가 멸망의 원인 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그러므로 노를 삼가라고 교훈 하십니다.
오늘 아침 주님의 이 엄숙한 교훈을 중심 하여『신앙생활과 분노의 감정』에 대하여 성경의 교훈을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 노의 위험성을 생각해 봅니다. 분노의 감정은 매우 위험합니다. 여기 주님은 분노야말로 살인의 근원이 됨을 지적하십니다. 우리는 창세기 四장에 잇는 인류 역사상 첫 살인 사건을 기억합니다. 아담의 두 아들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입니다. 아벨은 양치는 자였고 가인은 농사 짓는 자였습니다.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드렸고 아벨은 양의 첫 새끼로 제물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아벨의 제물은 하나님께 열납(悅納)되었으나 가인의 제물은 열납 되지 않았습니다. 그때에 가인은 심히 분하여 그 안색이 변하더니 그 후 아벨이 들에 있을 때에 그를 쳐죽였다고 합니다. 이 첫 살인 사건은 분노로 말미암아 발생했습니다. 어떤 책을 보니 살인 사건의 약 八十%가 분노를 참지 못하는 데서 일어난다고 합니다. 미국 같은 나라에서도 五세미만의 어린이들이 매년 약 六만이나 부모 혹은 어른들의 분노로 말미암아 희생된다고 합니다. 한국 같은 사회에서는 그 비례가 더 클는지도 모릅니다. 거이 매일 같이 신문에 실리는 치정살인 사건, 폭행, 방화 등은 거이 다 분노의 결과로 일어나는 흉악한 범죄들입니다.
노는 이렇게 위험합니다. 해방 전 신의주에서 어떤 해 섣달 마지막 날 밤에 채소 거리에 큰불이 일어나서 수백 동이 희생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어떤 가난한 젊은 부부가 신의주에 들어와 갖은 고생을 하면서 조금 살게되니 그 남편이 몰래 첨을 얻었습니다. 그날 저녁도 밤새도록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다가 그만 분김에 자기 집에 불을 질렸다고 합니다. 옛날 알렉산더 대제가 어떤 날 저녁 자기 부하들과 같이 연회를 하다가 술 취한 중에 사소한 말다툼으로 성이 나서 자기 일생의 친구요 전쟁터에서 몇 번이나 자기를 구해준 유명한 대장 클리터스를 창으로 찔러 죽인 사건은 너무나 유명한 역사의 이야기입니다. 알렉산더가 며칠이나 음식을 전폐하고 후회하였으나 후회막급이라고 별 수 없었습니다. 분노는 이렇게 위험합니다. 분노는 이렇게 뜻하지 않은 일이 돌아옵니다.
그러므로 노를 삼가야 합니다. 영어에는 흔히 노한 사람을 메드(mad)라고 합니다. 곧 미쳤다고 하는 예깁니다. 사실 사람이 분노하게 되면 일시적으로는 미칩니다. 바로 보지 못하고 사리를 분별치 못하고 무슨 것이나 할 수 있습니다. 분노는 이렇게 위험합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경고합니다.『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되고』라고 노를 삼가도록 엄히 경계하십니다.
둘째, 노의 우준(愚蠢)성을 생각하여 봅시다. 전도서 七장 九절에『급한 마음으로 노를 발하지 말라 노는 우매(愚昧)자의 품에 머무름이니라』라고 하였습니다. 노는 우매자의 품에 머무른다고 하였습니다. 곧 어리석은 자의 품에 노는 머무릅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땅을 지나갈 때에 모압왕 발락이 두려워서 당시 선지자였던 발람에게 뇌물을 많이 주고 청하면서 와서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하여 달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발람이 나귀를 타고 모압왕에게 가는 도중에 갑자기 나귀가 발을 멈추고 가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앞에 여호와의 사자가 칼을 들고 길을 막는 까닭이었습니다. 이것을 모르고 발람은 성이 나서 채찍으로 나귀를 때리다가 나귀에게 책망을 받은 이야기는 너무나도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이때에 발람은 나귀에게 분풀이를 하였으나 실상 근본 원인은 자기에게 있는 것입니다. 선지자로서 안갈 길을 가다가 길이 막힌다고 공연히 노하여 나귀만 때렸습니다.
이런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무엇이 잘 안되면 자기의 허물을 생각지 않고 공연히 남을 원망하며 분노를 발할 때가 있습니다. 탕자의 비유에 맏아들이 들에서 돌아오다가 크게 잔치하는 소리를 듣고 크게 노하여 집에 돌아가지를 않았습니다. 이러한 분노도 역시 어리석은 분노입니다. 공연히 자기도 고통을 받고 부친의 마음도 괴롭혔습니다. 이런 분노도 역시 자기 잘못에서 기인하는 분노입니다. 옛날 선지자 요나가 노하였을 때에 하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시기를『너의 성냄이 어찌 합당하냐』고 하였습니다. 합당치 않게 성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어떤 분은 말하기를 두 사람이 변론할 때에 어느 편이 옳은지를 알려면 누가 먼저 성내는지 보라고 하였습니다. 흔히 변론하다가 말문이 막히면 성을 냅니다. 이런 것들은 다 어리석은 품안에 일어나는 분노의 감정입니다. 분을 함부로 냄으로 말미암아 오랜 우정을 깨드리는 이도 있고 여러 해 쌓은 공적을 하루아침에 허무는 이도 많고 성공할 수 있는 사업을 실패로 마치는 이도 많고 분을 함부로 냄으로 말미암아 가정의 평화를 깨뜨리는 이도 많고 심지어는 교회의 평화를 깨뜨리는 이도 있습니다. 분노는 어리석은 일입니다. 분노를 삼가야 합니다.
셋째, 노의 보편성을 봅시다. 이상에서 지적한 대로 노가 이렇게 위험하고 어리석은 데도 불구하고 우리가 다 이 점에 자주 실패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실수 가운데 하나입니다. 또 성경과 역사를 보면 이 분노의 감정으로 말미암아 큰 인물도 허물을 남긴 예가 한 둘이 아닙니다.
이미 말한 대로 요나는 온 니느웨성을 다 회개시킨 위대한 선지자이나 편협한 민족적 감정으로 이러한 분노 때문에 그의 생활에 큰 오점을 찍었습니다. 위대한 지도자 모세도 백성들이 물이 없다고 불평을 할 때에 반석 한번 치라는 것을 성이 나서 두 번 쳤음으로 그러한 위대한 일을 하고도 가나안 복지에는 들어가지 못하였다고 성경은 지적합니다. 이러한 위대한 인물들도 실수를 하는데 하물며 우리 같은 보통인물이야 어떻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더욱 노를 발하지 않도록 삼가야 합니다. 조심해야 합니다.
넷째. 그러면 마지막으로 이 분노의 감정에 대책은 무엇입니까? 성경의 교훈을 좀더 구체적으로 찾아봅시다. 야고보서 一장 十九절에는『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를 더디 하라 사람이 성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 합이니라』기록 하였습니다. 잠언 十六장 二十二절에는『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 보다 나으니라』
① 첫째, 이 두 구절이 다 노를 더디 하라, 마음을 다스리라, 곧 노를 참으라고 권합니다. 무슨 불쾌한 말을 들어도 성내지 않도록 우리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다. 성내기를 더디 해야 합니다. 더욱이 노를 발표해서는 안됩니다. 성나게 되면 흔히 입에는 욕설로 발표가 되고 마지막에는 주먹으로 발표가 되어 싸움이 되고 맙니다. 모든 감정을 제어 할 줄 알아야 하지만 특별히 분노의 감정을 제어할 줄 아는 것이 참된 그리스도인의 품격입니다. 이것이 곧 믿음으로 인한 수양입니다. 더욱이 분을 관계없는 딴 사람에게 옮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밖에서 불쾌한 일을 당하고 집에 돌아와 죄 없는 아내에게 분풀이를 하는 남편이 혹 있습니다. 남편에게 꾸지람을 듣고 공연이 죄 없는 자식을 때리는 어머니도 있습니다. 옛날부터『시어머니 역정에 개 옆구리를 찬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옛날 동양의 성현도「군자는 불천노(不遷怒)」라고 하였습니다. 분노를 옮기지 맙시다. 분노를 잘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또 어떤 이는 조심하지 않음으로 쉽게 성내는 이도 있습니다. 조심하지 아니하면 성나는 것도 습관이 됩니다. 한 번 성내면 그 다음에는 더 쉽게 성을 내게됩니다. 이런 이는 실로 불행합니다. 왜냐하면 이런 이에게는 누구나 가까이 하기를 꺼려하며 함께 일하기를 싫어합니다. 성냄을 더디 하고 성난 후에도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② 둘째, 에베소서 四장 二十六-二十七절에『분을 내여도 죄를 짖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마귀로 틈을 타지 못하게 하라』고 분을 내어도 죄를 짖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라고 전합니다.『해가 지도록』하는 말은 다음 날까지 품지 말라는 말입니다. 옛날 유대 풍속에는 해가 지면 새 날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곧 분을 마음속에 품고 있으면 우선 자기에게 크게 해롭습니다. 심리적, 육체적 질환으로 나타납니다. 흔히 화병이라고 하는 것은 이런 원인에서 나는 병입니다. 또 그리고 분을 품고 마음속에 억눌러만 두면 이것이 기회만 있으면 갑자기 화산처럼 폭발하여 큰 범죄를 범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믿는 사람들이 남에 대하여 속에 이 분을 품고 있으면서 또 원한과 증오심을 그냥 가지고 있으면 절대로 안 됩니다. 이렇게 되면 우선 자기가 은혜를 받지 못하고 그런 마음에서는 성령이 떠나십니다. 그러면 분한 일을 당하였는데 이 일을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오직 이해와 용서가 꼭 필요합니다. 예수 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자기를 십자가에 못 박는 이들을 위하여『아버지여 이들의 죄를 사하여 주시옵소서 이들이 자기의 하는 일을 알지 못함이니이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에 이해와 용서가 있습니다. 사실 그 당시에 그를 십자가에 못 박는 이들은 자기의 하는 일을 알지 못하였습니다. 그들이 사실 예수가 메시아요 하나님의 아들이신 줄 알았다면 그런 일을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의 눈에는 예수는 하나님을 훼방하는 한 거짓 선지자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누가 무슨 욕설을 한다고 하여도 그것이 사실이 아니면 그는 다만 몰라서 그런 것뿐입니다. 그러니 노할 것 없습니다. 또 사실이면 내가 회개하야 합니다. 그리고 마음의 분을 풀어버려야 합니다.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기도가 필요합니다. 쉬지 말고 기도하라고 하였는데 이런 때에 꼭 기도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성령의 감화를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마귀가 틈을 타지 못합니다.
예수께서 야고보와 요한의 형제를『우뢰의 아들』이라고 불렀습니다. 아마 성품이 급하여 노하기를 잘하는 모양입니다. 사실 예수께서 사마리아를 지나가실 때에 한 동리에서 하루저녁 유숙을 거절하는 것을 보고 그들을 격노하여 하늘로서 불을 내려 멸망시키자고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예수 님께 책망을 받은 일도 있습니다. 성품이 이러하던 요한 이 요한 서를 기록하였습니다. 기도와 성령의 역사와 간단없는 신앙의 노력으로 분노의 감정도 다스릴 수 있습니다. 우리가 혹 과거에 이 점에 실패하였다고 할지라도 결코 낙심하지 맙시다. 계속하여 주안에서 장성합시다. (一九七二년 六월 一八일)
?-38 진리와 자유 (요한 복음 八장 三十一- 四十절)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찌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요 八·三十一-三十二)
이 말씀은 주님께서 당시 믿는 유대인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진리를 알 터이요 또 진리가 너희를 자유 캐 하리라고 하셨습니다. 진리가 있는 곳에 자유가 따릅니다. 주님께서 가르치신 진리가 무엇인가 생각해 봅시다. 간단히 말해서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하나님에 대한 진리입니다. 그의 존재와 그의 능력과 그의 사랑, 그의 공의, 천지를 지으신 아버지에 대한 진리입니다. 주님은 하나님에 대하여 이렇게 친히 가르치실 뿐 아니라 그 자신이 곧 이 진리의 성육신으로서 진리를 친히 보여 주셨습니다.
둘째는, 인간에 대한 진리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으심을 받은 육을 소유한 영혼으로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은 만물의 영장입니다. 우리 주님은 또한 인간으로서의 생 활로서 참 인간 본래의 모습을 보여주셨습니다.
셋째는, 그러나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타락하여 그 인간성이 부패하므로 영원한 멸망을 받게 되었으나 하나님께서는 그 독생자를 보내셔서 누구든지 저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는 구속의 진리를 또한 우리 주님은 가르치셨습니다. 이상 세 가지 진리 곧 하나님에 대한 진리, 인간에 대한 진리, 그리고 구속에 대한 진리를 알면 그에게는 참 자유가 반드시 따릅니다.
① 첫째는 죄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얻었습니다. 인간은 다 죄의 종이 되었습니다. 정욕의 죄, 탐심의 죄, 허영의 죄, 거짓의 죄 등 온갖 악한 습관의 종이 되었습니다. 주님의 진리를 알고 그를 믿는 이는 제일 먼저 이 모든 죄에서 해방되어 영적 자유, 도덕적 자유를 얻습니다.
② 둘째는 주님의 진리를 참으로 아는 이는 온갖 무지와 미신에서 해방을 받아 참된 자유를 얻습니다. 무지와 미신에서 오는 온갖 우상 숭배, 모든 공포심에서 해방을 받아 인간으로서의 지적 자유를 향유하게 됩니다.
③ 그리고 셋째는 주님의 교훈 하시는 진리를 알아 영적, 도덕적, 지적 자유를 얻는 이는 인간이 다른 인간을 구속하는 모든 세력에서도 결국은 해방되어 자유의 인간이 됩니다. 곧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인 모든 구속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중심 한 민주 국가를 이룩하고야 마는 것입니다. 이것이 교회의 역사요 온 세계 역사의 걸어온 길입니다. 그리스도께서 교훈 하시는 진리가 가는 곳에 영적, 도덕적, 지적, 정치적, 경제적 모든 자유가 따릅니다. 성경의 말씀과 같이『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 함이 있느니라』하며 주님의 말씀과 같이『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하였습니다.
첫째, 오늘이 바로 六·二五요 바로 주일입니다. 二十二년 전에 맞은 六·二五요 또 주일을 우리는 회상하게 됩니다. 二十二년전 오늘이 북한 공산당의 남침으로 말미암아 수 백만 동포의 피가 이 강산을 물들였고 몇 十만의 고아, 불구자, 과부, 무의무탁한 노인으로 이 땅을 덮게 한 사실은 생각만 하여도 소름이 끼칩니다. 더욱이 남, 북한을 통하여 납치 혹은 학살된 교역자와 성도들의 수는 오직 하나님만이 아실 것입니다. 왜 다 같은 혈육의 배달민족으로서 이러한 포악하고 잔인한 행동을 그들이 감행하였는가! 한 마디로 말하면 그들은 우주와 인간의 깊은 진리를 모릅니다. 성경 말씀 그대로『어리석은 자는 그 마음에 이르기를 하나님이 없다 하도다 저희는 부패하고 소행이 가증하여 선을 행하는 자가 없도다』한 그대로입니다.
얼마 전 뉴욕타임스 부 편집국장 솔즈베리 기자가 북한을 다녀와서 보고하는 말이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고독한 나라요, 또 가장 자유가 없는 나라인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혹 무엇을 물어도 상관에게 먼저 문의하기 전에는 대답을 하지 못 하더라고 하였습니다. 사실 지금의 북한은 입이 있어도 말을 하지 못하고 눈이 있어도 마음대로 보지 못하고 귀가 있어도 자유로 듣지 못하는 곳입니다. 일찍이 공산국가 루마니아에서 十四년간이나 옥고를 격은 범브란트(Richard Wumbrand)목사의 최근 저서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북한에서는 휴일을 즐기는 자들은 거이 없습니다. 그들은 정월 초하루부터 섣달 그믐날까지 하루도 쉬지 않고 노동합니다. 혁명기념일에도 생산 증가라는 구호로 축하할 뿐입니다. 병에 걸렸을 때라야 집에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약 四만 명의 노동자들이 일하는 어느 큰 탄광에서 매 일요일마다 一,二○○명이나 되는 환자가 발생된 사실이 나타났습니다. 당국자들은 이에 의심을 품고 조사에 나섰는데 그 결과 그들은 비밀 집회를 가지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들은 조용히 찬송가를 읽고 기도하고 흩어 졌다고 합니다. 이들의 전도자로 생각되는 四十五명의 신도들이 처형을 당하였습니다』하는 구절이입니다. 북한에 신앙의 자유가 있을 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기억하십시오. 그리스도의 참 몸이 되는 지하교회는 있습니다. 지하성도는 있습니다.
둘째, 왜 북한 사회가 이렇게 되었습니까? 그것은 그 곳에서 지금 권력을 잡고 있는 공산당들의 그릇된 사상입니다. 곧 유물론적 사상입니다. 이 사상에 중독 된 그들은 이 우주에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고 인간에게서 영혼의 존재를 부인합니다. 이렇게 될 때에 인간과 짐승의 차이는 없어집니다. 유물론적 인간관이 있는 곳에 유물론적 윤리가 생깁니다. 결국 인간을 한 짐승으로 대우하게 됩니다. 이러한 유물론적 사회사상과 사회체제를 만들게 합니다. 곧 공산주의자들이 만들어 놓은 독재사회는 미안한 말이지만 동물원과 비슷합니다. 동물원에 있는 짐승들도 잘 곳은 있고 먹을 것은 있습니다. 그러나 자유는 하나도 없습니다.
몇 해전 서 백림에 갔다가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한번은 동 백림에서 개 한 마리 가 백림으로 넘어왔습니다. 서 백림 개가 만나서 묻기를 네가 왜 넘어왔느냐 먹을 것이 없더냐 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그 대답이 그곳에도 굶어 죽지는 않는다고 하여 그러면 잘 곳이 없느냐고 물었더니 잘 곳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왜 넘어왔느냐고 물었더니 그곳에서는 도무지 짖을 수가 없어서 넘어왔다고 대답하였습니다.』라는 우스운 얘기들이 한간에 떠돌았습니다
왜 북한이 저렇게 전혀 자유가 없는 사회가 되었습니까? 그 근본 원인은 진리를 무르는 까닭입니다. 우주와 인간의 진리를 모릅니다. 하나님도 모르고 인간도 모릅니다. 그 결과는 전혀 자유가 없는 암흑한 사회의 구조를 이릅니다.『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고 하였듯이 진리가 있는 곳에 자유가 있습니다.
셋째, 오늘 우리는 북한 동포 자유화 촉진 예배로 모였습니다. 자유와 촉진의 비결이 무엇입니까? 자유의 원천이 되는 오직 진리의 전파 뿐 입니다. 북한 동포들에게도 자유의 근원이 되는 그리스도의 진리를 전파해야 합니다. 공산당들에게 이 진리를 전파해야 합니다. 이 진리가 가는 곳에 반드시 자유의 물결이 일어나고야 맙니다.
그러면 어떻게 현재의 상황 아래에서 북한 동포에게 진리를 전파할 수 있습니까? 몇 가지 길이 있는 줄 생각합니다. 첫째는 전파를 통하여 진리를 전파하여야 합니다. 전파에는 三八선이 없습니다. 각 방송국을 통하여 진리의 전파의 방송을 강화해야 합니다. 휴전선 넘어 에 있는 인민군 청년들에게 꼭 복음의 진리를 전파합시다. 둘째는 三八선 이북으로 성경 곧 복음과 전도 문서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많이 보내야 합니다. 그들은 허위와 악담이 가득한 문서를 우리 남한에 보내고 있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그런 문서 대신 진리와 사랑과 자유와 평화의 문서를 이북으로 적극적으로 많이 보내야 합니다. 셋째는, 三八선에 연하여 높이 십자가를 종종 세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진리와 자유와 사랑과 평화의 상징인 십자가를 인민군들에게 좀 줍시다! 지금 철원에 있는 필승교회 위에 이런 십자가가 하나 세워졌습니다. 이런 십자가가 좀 많이 세워지기를 바랍니다.
이상 세 가지 방법으로 보음진리를 북한 동포에게 전파하려면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꼭 실행할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기도해야 합니다. 북한 동포와 성도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북한 선교를 위하여 먼저 기도합시다. 둘째로는 나의 시간, 재능, 물질을 북한 선교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받칩시다. 전도 지를 쓰는 이도 있어야 하겠고 자금을 대는 이들이 있어야 합니다. 셋째로, 북한 선교를 위한 범 교회 적 기구를 만들어야 합니다. 오늘 이 연합예배가 북한 선교운동의 새로운 시발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방금 이 시간에도 북한에 있는 지하 성도들은 눈물로서 기도합니다. 기도의 향연은 간단없이 보좌에 상달합니다. 그들의 기도를 반드시 응답하실 때가 있습니다. 수 없는 순교자의 피가 이 강산을 붉게 물들였습니다.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종자입니다. 이 종자가 싹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을 때는 반듯이 옵니다. 진리는 반듯이 승리합니다. 자유화의 물결은 오고야 맙니다. 한 조각 검은 구름이 청천 백일을 가리울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잠깐입니다. 진리는 반드시 승리하고 진리는 반드시 북한에도 자유를 가져오고야 맙니다. 조만간 백두산 산 상봉에 태극기가 휘날리고 북한 방방곡곡에 십자가를 높이 세운 예배당이 세워지고 남북한 전역을 통하여 자유의 종이 크게 울릴 때는 반드시 오고야 맙니다. 다만 시간이 문제입니다. 또 이런 때가 얼마나 속히 오느냐 하는 문제에 대하여는 오늘 남한에 있는 크리스천들의 기도와 헌신과 노력에도 관계가 있는 줄 생각합니다.
(一九七二년 六월 二五일)
?-39 하늘에서 보이신 것 (사도행전 二十六장 十三- 二十三절)
『아그립바 왕이여 그러므로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내가 거스리지 아니하고』(행 二十六·十九)
바울이 가이사랴에서 수감 중에 아그립바 왕 앞에서 말한 연설의 한 구절입니다. 이 간단한 구절에서 우리는 사도 바울의 그 위대한 생의 비결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에게는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또 그는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스르지 아니하였습니다. 곧 그대로 순종하였습니다. 우리는 사도행전을 통하여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무엇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아시는 바와 같이 그는 본래 기독교를 핍박하던 광신적인 바리새 청년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예수를 믿는 이들을 구속하기 위하여 다메섹을 향하여 가던 도중에 갑자기 큰 빛이 두루 비치고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나타나셨습니다.『사울아 사울아 네가 왜 나를 핍박하느냐』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면서 일어나라고 하시면서『네가 나를 본 일과 내가 네게 나타날 일에 너도 사환과 증인을 삼으려함이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때에 바울은 두 가지를 분명히 보게 되었습니다. 첫째는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보고 그를 만났습니다. 둘째는 그리스도로부터 그의 일생의 사명 곧 이방의 사도로 명하심을 받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그 다음부터 언제나 그리스도를 더 알기 위하여 힘썼고, 그 받은 바 사명을 다 하기 위하여 자기의 모든 것을 바쳤습니다. 그는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지 아니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순종하였습니다. 일생을 통하여 순종하였습니다. 오늘 아침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 곧 하늘의 비전을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시길 바랍니다.
첫째, 모든 위대한 생의 배후에는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성경을 읽는 우리는 성경을 펼 때에 아마 누구보다도 먼저 아브라함의 생활을 보게 됩니다. 아브라함이 어떻게 믿음의 조상이 되었습니까? 그의 생의 배후에는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었습니다.『네 고향과 친척과 본토를 떠나 내가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고 하는 하늘에서 보이신 것에 그가 순종함으로서 그의 위대한 생은 시작합니다. 우리는 또 이스라엘의 가장 위대한 영도자라고 불리 우는 모세의 생애를 잘 압니다. 그의 위대한 생은 어떻게 시작되었습니까? 그는 미디안 광야에서 양을 치는 한 불우한 망명의 외로운 목자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어떤 날 시내산 기슭에서 불붙는 떨기나무를 보았고, 그 곳에서『양을 칠 것이 아니라 곧 애굽으로 돌아가 거기 백성을 그 노예 중에서 해방하라』는 하늘에서 보이신 것 곧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되었습니다.
모세의 위대한 생애도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으로 시작됩니다. 모세뿐만 아니라 이사야는 성전에서, 에스켈은 그발 하수 가에서 그리고 모든 선지자들도 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봄으로 그러한 생활을 한 것입니다.
선지자뿐만 아닙니다. 세계 역사를 통하여 사실 영원한 가치 있는 위대한 생의 배후에는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입니다.
청년 프랜시스가 왜 부유한 자기 집을 뛰쳐나와 거지와 옷을 바꿔 입으며 일생을 청빈(淸貧)과 전도와 봉사의 생활을 하였는가? 그 이유는 오직 하나입니다. 그가 젊었을 때에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보았습니다. 왜 청년 월리암 케리가 고국을 떠나 당시에는 매우 위험하던 인도로 갔으며 왜 청년 리빙스턴이 고향을 떠나 암흑의 대륙 아프리카로 갔으며 왜 청년 신학박사이며 의학박사인 슈바이처가 고국을 떠나 아프리카에 가서 일생토록 흑인의 상처를 싸매어 주었습니까? 모두 한마디로 말하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순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종교방면만 아니라 문학, 예술, 음악, 심지어는 과학 방면에까지 가장 위대한 생의 배후에는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단테, 라파엘, 헨델 번연, 콜롬버스 등 이런 이들의 전기를 읽어보십시오. 이들의 배후에도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위대한 생의 배후에는 하늘의 비전이 있었습니다.
둘째, 사도 바울은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지 아니하였습니다. 인간 생활의 비극 중의 하나는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는 떼입니다. 곧 순종치 아니하는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손가락이 분명히 가르치는 일을 인간의 무지, 편견, 우둔 혹은 여러 가지 죄악으로 순종치 않는 때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자기에 상당한 보응(報應)을 받는 때도 있습니다.
우리는 요나의 생애를 잘 기억합니다. 그는 하나님의 선지자로서 니느웨에 가서 회개의 복음을 전파하라는 하늘의 명을 받았으나 그의 편협한 민족적 편견과 고집으로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려 반대 방향인 다시스로 가는 배를 탄 것입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는 모든 자의 길이 평탄할 수는 없습니다. 그는 조금 가다가 큰 풍랑을 만나 바다에 던 지워졌으며 곧 물고기뱃속까지 들어가는 등 갖은 고난을 겪었습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는 모든 자의 앞길은 다 이러합니다. 그들의 앞길은 오직 실패와 절망과 패망이 있을 뿐입니다. 가룟 유다 같은 이는 하늘에서 보이신 것에 처음에는 순종하여 예수의 제자까지 되었으나 三년 후에는 거슬러서 아주 멸망하고 말았습니다.
끗까지 순종해야 합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게 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유다 같은 이는 세상 곧 탐심과 허영이 그 원인이 된 듯하며 요나 같은 이는 편견과 고집이 그 원인이었고, 데마 같은 이도 역시 그 이유가 세상 곧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인 듯 합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은 꼭 순종해야 합니다. 고로 동양의 성현도『순천 자는 흥하고 역천자는 망하느니라』고 하였습니다. 하늘을 거슬러서는 아니 됩니다.
셋째, 신앙생활은 곧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에 순종하는 생활입니다. 신앙생활은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봄으로 시작됩니다. 요한 복음 一장 十四절에『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고 하였습니다. 바울이 다메색 도상에서 그리스도의 얼굴을 봄으로 그 신앙생활이 시작된 것처럼 우리도 성경 가운데서 그리스도의 얼굴을 봄으로서 우리의 신앙생활이 시작됩니다 우리는 복음을 통하여 은혜와 진리가 충만한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그리스도의 얼굴을 바라봅니다. 그의 마음, 그의 성품, 그의 사랑, 그의 은혜와 진리가 충만한 생활, 그의 십자가, 그의 부활, 그의 승천 아니 영원히 살아 계시는 그리스도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 그 그리스도를 통하여 살아 게신 하나님 아버지를 또한 알게 되고 그를 만나게 됩니다.
그리스도는 하늘에서 우리 모든 인간들에게 보여주신 참 하나님과 참 사람의 모습입니다. 그리하여 이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그에게 순복하고 그를 따르는 것이 곧 신앙 생활입니다. 그는『나를 따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갈릴리에도 예루살렘에도 겟세마네도 골고다에도 아니 부활과 영원한 낙원에 이르도록 그를 따르라는 것이 곧 신앙 생활입니다. 그리고 사도 바울이 그의 받은 바 사명에 충성한 것과 같이 우리도 그의 명령에 순종하여 살며『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라』는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 곧 신앙 생활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가 신앙 생활 하는 중에 성령의 지도로『영감의 순간』이 있습니다. 무엇을 하라 무엇을 하지 말라 하는 성령의 지도 곧 하늘에서 보이시는 것이 있습니다. 여기에 순종하는 것이 참된 신앙 생활입니다. 바울이 드로아에 갔을 때에 한 환상을 보았습니다. 곧 마개도니아 사람이 와서 우리를 도우라고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울과 그 일행은 곧 이 하늘에서 보이신 것에 순종하여 마게도니아로 건너갔습니다. 이리하여 유로바에 복음이 전파되었고 역사를 통하여 큰 열매를 맺게 되었습니다. 개인으로나 교회로나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꼭 순종해야 합니다. 인간 일생에 어느 때라도 이 하늘에서 보이시는 것을 순종하려니와 할 수 있으면 일찍이 인생의 아침 곧 젊었을 때에 이 하늘에서 보이신 예수를 분명히 보고 그를 따름은 아주 귀한 일입니다. 그리하면 그는 그 생을 조금도 낭비하지 아니하고 일생을 통하여 바른 길을 가며 많은 열매를 맺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청년시대에 하늘에서 보이신 그리스도를 분명히 보고 그를 따르시기를 바랍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지 마십시오. 개인으로도 하늘에서 보이신 것은 꼭 순종해야 합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처음 애굽에서 나올 때에는 하늘에서 보이신 가나안 복지를 바라보며 광야까지는 잘 나왔으나 광야에서 여러 가지 유혹과 죄로 말미암아 끝까지 순종하지 못하고 광야에서 쓰러진 사람이 많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큰 교훈이 됩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복음을 듣고 주를 따르기를 시작하였으나 광야 같은 이 험한 세상에서 여러 가지 유혹과 시험에 빠져 하늘에 보이신 것을 거슬려 중도에서 패망하는 이가 적지 아니합니다.
오늘 특별히 학습을 서고 세례를 받는 이들은 깊이 들으십시오. 여러분은 지금 하늘에서 보이신 거룩한 생명의 길을 걷기 시작합니다. 하늘에서 보이신 것에 끝까지 순종하여 바울과 같이 내가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지 아니하고 이렇게 노년시대에 간증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미 믿는 여러분들도 깊이 들으십시오.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는 행동은 없는가? 믿기는 믿는 다고 하면서 요나처럼 딴 방향으로 가지는 않는지, 마가, 요한처럼 전도 도중에서 사명을 포기하고 뒤로 돌아가는 이는 없습니까? 감사한 것은 요나나 마가 요한 이 다 같이 일시 거슬렸으나 곧 회개하고 다시 순종하는 길을 걸음으로 마지막에는 많은 열매를 맺게 했습니다. 여러분 가운데도 한 분이라도 일시라도 하늘에서 보이신 것에 거슬려 가는 이가 있으면 이 시간 곧 회개하고 돌아오십시오. 가룟 유다나 데마처럼 아주 망하는 자가 되지 마십시오.
또 교회에도, 교회를 향하여도 종종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 국내에 일어나는 전군 신자 화 운동, 또 一九六五년부터 일어난 전군 복음 화 운동이 모두가 하늘에서 우리 한국교회에 보여주신 것입니다. 우리는 이 비전에 순종해야 합니다. 적극적으로 힘써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국가에게도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곧 이 땅위에 자유를 중심 한 평화롭고 번영의 통일된 민주 한국을 이룩하는 것입니다.
우리 개인 개인에게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또 우리 교회에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국가에도 하늘에서 보이신 것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거슬리지 맙시다. (一九七二년 七월 一일)
?-40 거리낌없는 양심 (사도행전 二十四장 十-二十三절)
『이것을 인하여 나는 하나님과 사람을 대하여 항상 양심에 거리낌이 없기를 힘쓰 노라』(행 二十四·十六)
사도 바울이 일찍이 로마 총독 벨릭스 앞에서 변론한 말씀 가운데 일절 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가운데 바울이 얼마나 하나님과 사람을 대하여 양심에 거리낌이 없는 생활을 힘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또한 예루살렘 공회 앞에서도『내가 범사에 양심을 따라 하나님을 섬겼노라』선언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또한 그의 사랑하는 제자 디모데에게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라고 권하였습니다. 인간이 옳게 살려고 하면 거리낌이 없는 양심을 가지도록 힘써야 합니다. 특별히 옳은 신앙생활을 하려면 더욱 그러합니다.
오늘 거리낌없는 양심에 대한 성경의 교훈을 생각할 때에 우리에게 축복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먼저 양심이 인간생활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를 잠깐 생각하여 봅시다.
옛날부터 양심은 마음의 등불이란 일컬음을 받아 왔습니다. 그것은 양심은 어두운 마음을 밝혀 주는 까닭입니다. 다시 말하면 양심은 범사에 옳고 그른 것을 우리에게 가르칩니다. 옳은 결과 그릇된 길을 지적합니다. 그러므로 로마서 二장 十五절에는 양심은 마음에 새긴 율법이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이 옳은 방향을 알고 올게 가기 위하여 우리 마음속에 그의 율법을 새겨 주셨으니 그것이 곧 양심입니다. 그러므로 양심은 배의 마치 나침반과 같습니다. 아무리 캄캄한 밤이라도 선장은 나침반을 보고 방향을 알아 배를 바로 운항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아무리 캄캄한 세상이라도 우리는 양심의 지시를 따라 옳게 살 수 있습니다. 양심은 이렇게 귀한 존재입니다. 그런데 사실 양심은 나침반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곧 양심은 우리에게 방향을 가르쳐 줄뿐더러 한 거름 더 나아가 우리가 옳게 갈 때에 칭찬하여주고 잘못 갈 때에 책망까지 합니다. 이것을 양심의 가책이라고 합니다.
가룟 유다는 三十냥에 예수를 팔고 양심의 가책으로 자살까지 하였습니다. 이러한 예는 옛날이나 오늘이나 종종 보는 일입니다. 이렇게 양심은 우리를 칭찬 혹은 책망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옳은 길로 가게 합니다. 이렇게 생각할 때에 양심이 얼마나 귀하며 인간 생활에서 양심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둘째는, 이 양심문제에 대하여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사실은 이렇게 귀한 양심이 혹 타락 될 수 있습니다. 나침반에도 혹 고장이 나듯이 양심에도 혹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만일 나침반에 고장이 나면 그 배의 운명이 어떻게 되겠습니까? 한 마디로 파선되기 쉽습니다. 우리 인간의 양심에 고장이 나면 그 생애가 어떻게 되겠습니까? 한 마디로 역시 파멸되기 쉽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양심에 고장이 생기지 않도록 언제나 바로 지키기를 힘써야 합니다.
그 방법은 그 원인을 미리 알아 항상 조심하여 타락을 예방합니다. 여기에도 예방이 필요합니다.
양심 타락의 원인 중 하나는 강한 욕심의 물결입니다. 전에 어떤 배 위에 많은 철재(鐵材)를 나침반 한편에 실었더니 그 나침반이 그 옆에 잇는 철재 때문에 그 방향이 그편으로 좀 기울어졌다고 합니다. 이렇게 큰 물질이 인간의 양심을 그릇되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내려오는 글귀에「항금은 흑사심(黃金黑士心)」이란 말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황금이 선비의 마음을 검게 한다고 합니다. 여기 마음은 양심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전에 아간이 큰 범죄를 하고 멸망한 것도 이 물욕 때문에, 이미 말한 대로 유다 의 멸망도 역시 물욕 때문에 양심이 흐려지는 까닭입니다.
물욕뿐만 아닙니다. 어떤 이는 강한 정욕의 물결 때문에 부부의 의의를 잊어버리고 간음죄를 지으며, 어떤 이는 강한 권세욕 때문에 전의 수양대군처럼 양심이 흐려져 큰 범죄를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강한 욕심의 물결에 부딪칠 때에 양심은 위기에 봉착하는 것을 미리 알고 경계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안 중 근 의사( 安重根義士) 는 여순 감옥에서 견리사의(見利思義)라는 큰 글자를 써서 오고 오는 세대에 큰 교훈을 준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범사에 양심의 음성에 순복해야 합니다 그렇지 아니하고 양심의 명령을 계속하여 불 순종하면 그 양심은 점점 약하여져서 그만 마비가 됩니다. 이러한 양심을 성경에는『화인 맞은 양심』이라고 기록하였습니다. 몸에 화인을 맞아 마치 뜸질처럼 되면 그 피부는 그만 감각이 없어집니다. 양심이 이렇게 마비되면 정말 큰 일입니다.
옛날이나 오늘이나 이런 이들이 큰 범죄를 인류사상에 남겼습니다. 옛날 바로 황제를 비롯하여 오늘의 히틀러, 스탈린에 이르기까지입니다. 이런 큰 범죄자 이외에도 오늘날 우리 사회에 양심이 마비된 이들의 수는 적지 않을 것입니다. 가령 절도 상습범, 소위 날치기 배에서부터 뇌물을 의레히 받을 줄 아는 공무원에 이르기까지 각 방면에 양심의 마비자가 상당히 많을까 염려됩니다. 또 누구나 어떤 면에서는 양심이 마비된 이가 많습니다.
셋째는, 그러므로 우리는 언제나 우리의 양심을 살펴 내 양심을 스스로 진단해 보아야 합니다. 내 양심에는 고장이 없는가? 스스로 종종 반성해야 합니다. 이제 몇 가지 면에서 우리의 양심을 각각 살펴보고자 합니다.
첫째로, 나의 민족적 양심이 어떠합니까? 전에 일제시대에는 이 민족적 양심이 마비된 소위 친일파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크게는 이완용을 비롯하여 적게는 형사, 비밀 앞잡이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자기 개인의 일시 이익을 위하여 독립운동 자를 잡아주며 애국동포들을 일본의 세력을 얻어 압제까지 하였습니다. 해방된 후에는 북한 공산당들이 자기 계급만 알고 민족적 양심을 저버려 소의 계급투쟁이라고 하여 같은 동포들을 숙청하고 살해하며 심지어 동족상잔의 六·二五사변의 참극까지 일으켰습니다.
지금 평화통일을 모색하며 남북대화가 열리기를 바라는 때인데 이 五천만이 염원하는 평화통일이 사실 실현되려면 그들이 무엇보다도 먼저 가장 고귀한 민족적 양심을 회복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민족적 양심의 악화 혹은 마비된 이들은 북한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남한에도 있습니다. 누구나 우리 민족 전체의 대의를 잊어버리고 자기 사리사욕만 좇는 자는 다 이 민족적 양심이 마비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둘째로, 반성할 것은 사회적 양심입니다. 오늘 우리 남한이 당면하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사회혁신의 문제입니다. 어떻게 빈부의 격차를 줄이며 도시인과 농촌인 들이 다 같이 균형 된 생활을 하며 모든 도시인들이 경제발전의 혜택을 입으며 살게 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여기에 아주 중요한 것은 정치인이나 경제인이나 일반 국민은 물론하고 다 같이 맑은 사회적 양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런 양심이 결여됨으로 소위 도둑 촌이 생기며 평화시장 사건 이 생긴 것입니다. 요사이도 어떤 회사의 여직공들이 二∼三만원의 퇴직금을 받지 못하여 사회에 호소하는 호소문을 읽어보았습니다.『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하는 말씀대로 우리의 사회적 양심이 좀 더 날카롭고 맑으면 우리 사회에서 소위 부정부패도 적어지고 더 명랑한 사회가 될 것입니다. 오늘 우리 사회에 아주 조급한 문제 중에 하나는 이 사회적 양심의 부활입니다.
셋째는, 인도적 양심입니다. 사회적 양심이란 말과 비슷하나 다소 다른 면이 있습니다. 인도적 양심이란 인도적 면에서 우리의 양심이 어떠합니까? 요사이 한 사회문제로 화한 가난한 구급환자를 큰 병원에서 치료를 거부한 사건들은 인도적 양심의 문제입니다. 불쌍한 인간들에 대하여 우리의 양심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겠습니까? 또 요사이 가족계획 운동으로 낙태수술이 상당히 많은 모양인데 이것 역시 인간 생명에 대한 문제로서 인도적 양심의 문제입니다. 또 한국사회에도 남녀간의 불륜관계로 일어나는 기아의 수가 나날이 증가되는 이런 것들은 모성애의 마비, 생명의 천대 등 모두 인도적 양심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거리에서 헤 매이는 고아, 정신병자, 정신박약아, 걸인 등 모두 인도적 문제들에 대하여 우리의 양심은 어떠합니까? 과연 얼마나 예민합니까? 깊이 성찰할 문제입니다.
넷째로, 우리 신자로서 특별히 한 가지 더 살필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곧 신앙 양심의 문제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믿음으로 하나님과의 약속이 있습니다. 세례를 받을 때에도 하나님 앞에서 엄숙히 서약하고 세례를 받았습니다. 무슨 직분을 받을 때에도 엄숙히 서약하고 성직을 받았습니다. 우리 신자들이 엄숙한 하나님과의 서약을 얼마나 양심적으로 지키고 있습니까? 우리 주님은 일흔 번씩 일곱 번이라도 용서하고 서로 화평하며 서로 사랑하고 하나가 되라고 간곡히 권하였습니다. 이러한 부탁에 대하여 우리가 얼마나 양심적으로 실천하기를 힘씁니까? 우리의 신앙 양심은 어떠합니까? 스스로 살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타락된 양심도 회복할 수 있고 또 약화 된 양심도 강화될 수 있습니다. 히브리서 九장 十四절에『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 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못하겠느뇨』하였습니다. 우리 더러워지고 약하여지고 마비된 양심이라도 그리스도의 보혈로 깨끗이 씻을 수 있습니다. 주님께 나아와 솔직히 내 양심을 내어놓고 회개하며 기도하는 중에 성령의 역사로 우리의 양심은 부활되고 회복됩니다.
이러한 시간이 우리 신앙생활에 꼭 필요합니다. 항상 성경 말씀으로 우리 양심이 북돋음을 입어 장성하고 강하여 지고 맑아져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항상 성경을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언제나 그리스도의 말씀과 그 행동으로 우리의 신앙을 조정하며 우리의 양심을 건전히 지켜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 항상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거리낌없는 양심을 가지도록 힘썼습니다. 우리 다 같이 힘씁시다. 세상에 가장 행복 된 이는 거리낌이 없는 양심의 소유자입니다. 가장 담대한 이도 거리낌이 없는 양심의 소유자입니다. 이런 양심만 있으면 죽을 떼에도 담대히 또 기쁘게 세상을 떠날 것입니다. (一九七二년 八월 二十일)
?-41 네가 어디 잇느냐 (창세기 三장 一 十二절)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잇느냐』(창 三·九)
인류의 시조 아담과 해와가 어떻게 범죄하고 타락한 사실은 많은 신비에 쌓인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 가운데 몇 가지 분명한 진리는 나타납니다. 곧 범죄의 배후에는 악마의 유혹이 있습니다. 악마는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나게 하고 불신케 합니다. 또 죄는 처음에는 먹음직도 하고, 불만도 하고, 지혜롭게 할만큼 탐스럽기도 합니다. 사도 요한 의 말씀대로『육체의 정욕』『안목의 정욕』『이생의 자랑』을 통하여 유혹은 들어옵니다 아담과 해와도 이런 경로를 통하여 큰 범죄를 하였습니다. 이렇게 범죄 한 그들은 공포와 수치에 싸이게 되어 하나님이 동산에 나타났을 때에 피하여 그 자신들을 나무숲에 숨겼습니다. 죄는 언제나 이러합니다. 범죄자는 공포와 불안과 수치에 싸이고 하나님을 파하게 되고 광명보다는 암흑을 택하여 하나님을 멀리하게 됩니다. 이렇게 타락한 인간을 하나님께서는 버리지 아니하시고 아담을 부르시며『네가 어디 잇느냐』하였습니다. 이 말씀은 첫 범죄자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처음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간단하나 이런 의미에서 그 뜻은 의미심장합니다.
오늘 아침 첫 죄인에게 주신 하나님의 첫 말씀을 생각할 때 하나님께서 이 말씀을 통하여 은혜 주시기 바랍니다.
첫째로『네가 어디 잇느냐』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잃어진 인간을 찾아 부르시는 하나님의 음성입니다. 죄지은 아담과 해와는 하나님을 피하여 숨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을 찾으시며 부르셨습니다. 죄지은 인간이 하나님을 찾아 부른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이 먼저 범죄한 인간이라도 찾아 부르셨습니다. 이것이 전 신구약성경을 통하여 가르치는 큰 기독교의 진리입니다.
사실 하나님은 인류가 범죄 한 후에 인류의 전 역사를 통하여 범죄 한 인류를 찾으시고 부르십니다.『네가 어디 잇느냐』하나님이 부르시는 음성은 전 인류 역사에 사무칩니다. 범죄 한 인류는 하나님을 멀리하고, 피하고, 숨고, 심지어 하나님의 존재까지 부인하나 하나님은 이러한 죄인이라도 찾으시고 가까이 오셔서 부르십니다. 여기에 범죄한 인간의 소망이 있습니다. 죄인을 부르시기 위하여 하나님께서는 많은 선지자들을 보내셨습니다. 마지막에는 독생자까지 보냈습니다. 그리고도 계속하여 많은 사도들과 하나님의 종들을 보내셨습니다. 죄인들을 부르시기 위하여 하나님의 말씀 곧 성경을 주셨습니다. 이사야 一장 十八절 말씀에『오라 우리가 서로 변론하자 너희 죄가 주홍같이 붉을 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진홍같이 붉을지라도 양털같이 되리라』하였습니다. 또한 마태복음 十一장 二十八절에『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말씀하셨습니다. 요한 계시록 二十二장 十七절에도『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 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기록되어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하나님은 온 성경을 통하여 죄인을 부르십니다.『네가 어디 잇느냐』
누가복음 十五장에는 우리 주님께서 죄인을 찾아 부르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세 가지 비유로 보여 주십니다.
첫째는, 잃은 양을 찾는 목자의 모습입니다. 아흔 아홉 마리를 우리에게 두고 잃은 양 하나를 찾으려고 목자는 산과 들을 헤매 입니다. 여기에서 특별히 성자 예수의 활동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둘째는, 잃은 드라크마 곧 은전을 찾는 여인의 모습입니다. 열 닢 중에 잃어진 하나의 은전을 찾으려고 여인은 등불을 밝히고 온 집안을 쓸며 찾았습니다. 여기에는 특별히 성령이 역사 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셋째로는, 돌아오는 탕자의 비유입니다. 멀리 나간 아들을 매일 같이 문간에서 기다리다가 죄로 말미암아 거지가 되어 돌아오는 그 아들을 두 팔을 벌려 환영합니다. 여기에 특별히 잃어진 전 인류를 찾아 부르신 성부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오직 하나의 참된 기독교의 진리가 분명히 나타납니다. 모든 이교(異敎), 곧 다른 종교들은 죄인들이 하나님을 찾으려고 애씁니다. 죄인이 하나님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런고로 그들의 모든 노력은 결국 절망으로 끝납니다. 그러므로 딴 종교에는 사실 구원이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이 죄인을 찾을 떼에 죄인에게 소망이 있습니다. 구원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죄인이라도 사랑하셔서 죄인을 구하기 위하여 지금도『네가 어디 잇느냐』죄인을 부르십니다. 이 음성을 여러분은 듣습니까? 이 음성은 전 인류 역사와 이 우주에 사무칩니다.
둘째로,『네가 어디 잇느냐』 이 말씀은 범죄 한 아담을 또한 깨우치는 말씀입니다. 그 때에 아담은 숨어 있습니다. 그런 곳에 있었어야 되겠느냐? 하는 뜻도 있습니다. 또 네 심령이 어디 잇느냐? 어떤 위치에 잇느냐? 하는 말씀으로 압니다. 그 때에 아담과 해와는 공포와 불안과 수치와 고독에 싸여 있었습니다.『네가 어디 잇느냐?』너 있는 곳을 분명히 알라, 네 위치 곧 네 영혼의 주소가 어디냐고 묻는 것입니다. 바다에 뜬 배가 아무리 광풍에 밀러가다가도 그의 위치를 바로 알면 다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어떤 이는 복잡한 서울 거리에 나갔다가 그만 그 길을 잃습니다. 그런 때에도 제일 중요한 것은 자기가 어디 있는 것을 먼저 알아내는 것입니다. 그러하면 자기 집을 다시 찾아 올 수 있습니다. 나의 있는 곳이 어디입니까? 이것을 분명히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물론 여기 앉은 여러분의 육신의 주소는 아마 대부분 서울특별시 어느 곳일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내 영혼의 주소는 어디인가 생각하여 보았습니까? 네 영혼이 실상 어디 있습니까? 살펴보아야 합니다.
옛날 삼손이라는 사람은 본래 나실 인으로서 그 몸과 마음을 온전히 하나님께 바친 이스라엘인입니다. 그러나 그가 자기 백성의 원수 블레셋 여인인 들릴라를 사랑하여 블레셋에 있는 그 집에 가서 그 무릎에 누어 자다가 마지막엔 그 머리도 깍이우고 결박을 당하여 감옥에 갇히고 두 눈까지 뽑혀 소경이 되어 짐승과 같이 연자 맷돌을 돌리다가 비참한 최후를 마치었습니다.『네가 어디 잇느냐』하나님은 우리의 영혼의 주소를 묻습니다.
전에 다윗 왕이 큰 범죄를 한 후에 자기의 충복 우리아를 최전선에 내 보내어 죽게 만들고 그 아내 밧세바를 취하여 자기 아내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그 때까지도 그 자신이 어디 있는가를 깨닫지 못하였습니다. 그후 선지자 나단이 다윗에게 나아가 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한 동리에 두 집이 있는데 한 집은 부자로써 우양(牛羊)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 집은 가난하여 암 양 새끼 하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부자 집에 손님이 오니 그 부자 주인이 자기의 소와 양은 아껴 그대로 두고 그 이웃 가난한 집의 암 양 새끼를 빼앗아 가지고 잡아서 손님을 대접하였습니다. 이 말을 들은 다윗은 크게 노하여 그 부자는 죽어 마땅하다고 말하였습니다. 그 때에 선지자 나단은 다윗을 가리키며「대왕 당신이 곧 그 사람입니다」우리아와 밧세바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그 때 다윗이 비로소 자기 영혼이 어디 있는가를 깨닫고 곧 회개하였습니다. 내 영혼의 주소가 어디입니까? 분명히 살핍시다. 영적 세계에는 중립국은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나라와 사탄의 나라뿐입니다. 내 시민권이 어디 나라에 있습니까? 하나님의 나라입니까. 그렇지 않으면 어디 있는 가를 분명히 깨달아야 합니다. 헬라의 철인 소크라테스는 항상 청년들에게「네 자신을 알라」고 권하였습니다. 내 자신이 있는 곳을 알아야 합니다.『네가 어디 잇느냐』영혼의 주소를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셋째로,『네가 어디 잇느냐』 이 하나님의 말씀은 곧 회개하고 돌아오라는 뜻입니다. 목자가 잃은 양을 찾아 산과 들을 헤 매일 때에 그 눈은 사방으로 살피며, 그러나 그 마음속에는 항상『네가 어디 잇느냐』『어린양아 네가 어디 잇느냐』속삭인 줄 생각합니다.
은전을 잃은 여인이 잃어버린 은전을 찾을 때에도 한 손에는 등을 들고 방안을 쓸면서, 그러나 마음속에는『네가 어디 잇느냐』부르짖은 줄 생각합니다.
아들을 멀리 보낸 그 아버지도 그 눈은 항상 멀리 앞산을 바라보나 그 미음 속에는 계속하여『네가 어디 잇느냐 내 아들아 네가 어디 잇느냐』부르짖은 줄 생각합니다.
『네가 어디 잇느냐』하는 하나님의 음성은 죄인을 향하여 어서 돌아오라고 부르짖는 말씀입니다. 요엘 二장 十二절 이하의 말씀에『여호와의 말씀에 너희는 이제라도 금식하며 울며 애통하고 마음을 다하여 내게로 돌아 오라 하셨나니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지어다』또한 에스겔 十八장 三十절에『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이스라엘족속아 내가 너희 각 사람의 행한 대로 국문 할 찌라 너희는 돌이켜 회개하고 모든 죄에서 떠날 찌어다』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은 죄인을 향하여 돌아오라고『네가 어디 잇느냐』지금도 부르십니다.
신문을 읽으면 사람 찾는 광고가 많습니다.「아무개야 어디 잇느냐 돌아오너라」선경은 천국의 신문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 신문에도 돌아오라는 광고가 많습니다.
지금 잃은 가족을 찾기 위하여 남북 적십자 회담이 계속되는 중에 있습니다. 해방이후 분단된 한반도(韓半島) 안에서 가족을 잃은 외로운 이들이『네가 어디 잇느냐』부르짖는 음성은 이 삼천리 강산에 사무칩니다.
내가 바라기는 사실 북한 공산당들이 이 가련한 음성을 듣고 이 회담을 통하여 잃은 가족들이 서로 돌아와 만나는 때가 속히 오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보다도 더 심각한 죄로 말미암아 잃어진 인간을 도로 찾기 위하여『네가 어디 잇느냐 네가 어디 잇느냐』하는 이 애절한 하나님의 음성이 우주에 사무친 것을 분명히 들어야 합니다.
오! 죄에 묻힌 인간들이여, 이 음성을 듣습니까? 들었으면 곧 하나님께로 돌아옵시다. 우리 가운데 혹 아담처럼 그 영혼이 하나님을 피하여 숨은 이는 없습니까? 몸은 이 자리에 있으나 실상 그 영혼은 탕자처럼 아버지를 멀리 떠나 이방사람의 돼지를 치는 자 없습니까? 그리고 팔 껍질로 연명하는 이는 없습니까? 혹 우리 가운데도 잃은 양처럼 갈 길을 잃고 허둥지둥하는 이 없습니까? 요나처럼 위대한 사명을 받고도 잠자는 이 없습니까? 내 영혼이 주소는 어디입니까? 하늘나라입니까? 아니면 그렇지 못합니까?
오! 이 시간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아버지께로 돌아오십시오. 여호와를 만날만한 때에 찾으십시오. 가까이 계실 때에 그를 부르세요. 악인은 그 길을, 불의한 자는 그 생각을 버리고 여호와께로 돌아오십시오. 그리하면 긍휼히 여기십니다. 우리하나님께로 나오십시오. 그가 널리 용서하십니다.
간증주일을 주신 것도 죄인들을 부르시기 위함입니다. 우리는 이 간증주일을 통하여 널리 이 하나님의 음성을 전합시다. (一九七二년 九월 十일)
?-42 오직 나의 신으로 (스가랴 四장 一-六절)
『만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 (슥 四·六)
이는 하나님께서 일찍이 예루살렘에 돌아와 성전을 재건하던 스룹바벨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순금 등대와 감람나무에 대한 환상은 우리가 잘 기억합니다. 등대에 불이 밝아짐은 감람나무에서 기름이 흘려 등잔에 들어가는 까닭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환상을 예언자 스가랴에게 보여주시면서 말씀하시기를 스룹바벨에게 이 말씀을 전하라 말씀하셨습니다.『만 군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 존 칼빈이 이 구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여기 오직 하나님의 능력만이 교회를 보전하는 데 넉넉하며 다른 도움이 필요가 없는 것을 분명히 가르치십니다. 여기에 하나님의 영과 모든 세상에 속하는 도움을 대조하면서 하나님은 교회를 보존하는 데 다른 도움을 빌리지 않는 사실을 분명히 하십니다. 그 까닭은 오직 그에게 모든 축복이 풍성하신 까닭입니다.』
첫째는, 먼저 우리가 기억할 것은 오직 하나님의 성령만이 교회를 세우시는 사실입니다. 제一세기에 예루살렘에 교회가 처음으로 세워진 것도 오직 오순절에 성령이 당시 다락방에 모여서 기도한 一二○명 성도 위에 임하신 까닭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본래 못박은 예루살렘성은 이 새로 세워진 교회에 대하여 온갖 핍박을 더한 것입니다. 의심으로 가득 찬 바리새인들, 세속적인 사두개인들, 우상숭배의 로마정부, 인본주의의 헬라문화 등 다 원수들이었습니다. 교회는 마치 많은 이리 가운데 한 어린양 같았습니다. 그러나 이 어린양이 생명을 보존하였을 뿐더러 점점 확대되어 이 모든 원수를 정복하고 역사의 방향을, 결국은 변하게 하였습니다. 어떻게 변하게 하였는지 어십니까?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능으로 되지 아나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오직 하나님의 영으로 된 것입니다.
둘째, 초대 예루살렘교회의 이야기는 전 세계를 통하여, 또한 기독교 역사의 이야기입니다. 이 험악한 세계역사의 파도 가운데서 이린 양 같은 하나님의 교회가 세워지고, 보존되고, 확대되어 지금까지 내려오며 하나님 구속의 능력의 발휘함은 무슨 인간의 힘이나 지혜가 아니고 오직 그 속에 불타는 성령의 역사가 잇는 까닭입니다.
선교 복음이 한국에 들어온 이후에 이 복음이 점점 확포(擴布)되어 교회가 설립되고 지금부터 바로 六十년 전 一九一二년 평양에 대한 예수교 장로회 제一회 총회가 모이게 된 것도 오직 성령의 역사입니다. 특별히 一九○七년 평양 장대재교회에서 사경회 때에 큰 성령의 역사가 나타났고 따라서 一九一○년에 백만 명 구령운동이 일어난 것입니다. 한국교회 역사를 돌아볼 때에도 우리는『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도느니라』하는 말씀을 회상하게 됩니다.
셋째는, 어느덧 六十년이란 세월이 흘러 오늘 우리는 이 수도 서울에서 총회 창립 六十주년 기념예배로 모였습니다. 옛날과 같이 오늘도 우리를 에워싼 원수들은 강합니다. 특별히 三八선으로 말미암아 북한에 세워졌던 교회는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고 남한에 있는 교회도 그렇게 큰 기회의 문을 열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소한 이유들로서 분규와 분열로써 교회의 모습은 많은 상처를 입었습니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오늘 교회가 이 만큼 발전된 것은 어느 인간의 힘이 아니고 오직 성령의 역사입니다.
一九七二년 하반기에 처한 한국교회는 십 수년 후에 선교 一○○주년을 맞는 바 우리교회의 민족과 국가에 대한 사명은 실로 중대합니다. 이미 익어 희어진 추수를 기다리는 곡식은 학원에서, 공장에서, 군대에서, 도시와 농촌에서 또한 한국 도처에서 낫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유물주의와 무신론 사상에 그 영이 주릴 대로 주리고, 매 마른 대로 매 마른 一四○○∼一五○○만의 북한 동포도 역시 생명수를 기다리고 또 기다리고 있습니다. 대화 있는 대결의 시대에 돌입 한 우리 민족과 나라는 이 땅에서 자유를 수호하며, 사회를 혁신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모든 방면에 우위를 유지하여 장차 평화통일의 기수가 되기를 우리 교회에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때에 우리 한국교회의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오직 성령의 충만함을 받는 것입니다.『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다 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총회 六十주년을 맞으며 우리 겸손히 과거의 죄를 자복하며 성령으로 새롭게 기름 부음을 받기 위하여 간절히 기도합시다. 우리 교회마다 다락방이 되게 합시다.
『이는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신으로 되느니라』
(一九七二년 九월 二十四일)
?-43 사랑의 의무 (요한一서 四장 七-十六절)
『사랑하는 자들아 하나님이 이 같이 우리를 사랑하였은즉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요一서 四·十一)
요한一서는 주님의 제자 사도 요한 의 글입니다. 사도 요한 은 고령에 이르기까지 에베소에서 목회를 한 사도로서 이 서신은 그가 매우 연로하던 때에 당시 여러 신자들, 특별히 새로이 일어나는 새 세대 교인들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오늘 읽은 본문에 그는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께로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하는 자들아 하나님이 이같이 우리를 사랑하였은즉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
사도 요한 은 당시 교인들을 부를 때에『사랑하는 자들아』혹은『소자들아』하고 불렀습니다. 모두 그의 사랑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또 늙은 사도로서 젊은이들에게 그의 애정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그는 여러 신자들을 생각할 때에 오직 사랑이 가의 마음에 충만하였던 것입니다. 우리가 같이 주를 믿는 교우들을 대할 때에 오직 윌 마음속에 사랑이 가득한 이는 참 성도일 것입니다. 이 사랑으로 충만한 노사도 요한 이 당시 여러 교우들을 향하여『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권면하십니다. 여기 사랑은 특별히『서로 사랑하자』곧 믿는 이들이 서로 사랑하자는 의미입니다. 그러면서 꼭 서로 사랑하여야 할 의무를 여러 가지로 설명하십니다. 오늘 이 말씀이 우리에게 축복이 되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여기에 사도 요한 은『하나님은 사랑이시다』설명합니다. 과연 그러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므로 이 우주와 인간을 창조하셨습니다. 사랑은 사랑의 대상을 요구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므로 인간을 지으시되 자유의지의 소유자로 창조하셨습니다. 자유의지의 사랑이 아니면 그것은 참 사랑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므로 인간이 이 우주 안에서 살 수 있을 만큼 모든 준비를 하셨습니다. 해와 달과 별과 자연계의 삼라만상과 공기와 물과 오곡백과를 주신 것입니다. 따스한 가을 양기에도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납니다. 아름다운 국화의 향기 속에도 하나님의 사랑은 나타납니다. 이 우주의 중심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있습니다. 이 우주의 중심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랑은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독생자를 보내시고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기 위하여 십자가 위에서 그 몸을 화목제로 드리신 데 나타났습니다. 십자가는 하나님의 사랑의 화목제 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요한 은 하나님이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셨으니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 하였습니다. 과연 그러합니다. 우리가 이렇게 사랑을 입어 구원을 받았으니 우리가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둘째는, 우리가 이렇게 하나님께로 나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으니 우리가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습니다. 신자가 되는 것은 깊은 의미에서 성령으로 거듭나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이들은 하나님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므로 우리가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로 나오면 우리도 그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우리가 서로 사랑하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요 안다는 증거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만일 서로 사랑하지 않으면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을 모르는 증거입니다. 또 하나님께 속하지 아니하였다는 표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신자들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사도 요한 은 가르칩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 주님도 친히 요한 복음 十三장 三十四~三十五절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이렇게 예수 님께서는 잡히시기 전날 밤에 우리 믿는 이들에게 새 계명을 주셨습니다. 그것은 곧 우리 믿는 이들이『서로 사랑하라』는 계명입니다. 주님의 어느 교훈인들 위하지 아니하리 오 마는 이 계명은 특별히 우리 주님이 죽으시기 전날 밤에 주신 가장 엄숙한 유언과 같은 계명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의 재자가 사실 되었다면 반드시 서로 사랑함이 마땅합니다. 또한 사도 요한 은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어느 때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만일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나님이 우리 안에 거하시고 그의 사랑이 우리 안에 온전히 이루느니라』다시 말하면, 과거 어느 때나 하나님을 육신의 눈으로 본 사람은 없으나 만일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나님의 우리 안에 거하시므로 세상 사람들이 우리를 통하여 하나님을 볼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
다시 말하면 사랑이 충만한 교회를 통하여 세상이 하나님을 볼 수 있으리라는 뜻입니다. 우리 믿는 이들이 서로 사랑하므로 화평하고 하나가 된 교회는 이 세상에서 하나님을 보여줄 수 있는 거룩한 교회입니다. 사실 교회마다 이렇게 사랑이 충만하여 이 어두운 세상에 사랑의 빛을, 곧 하나님을 나타낼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창세기 十三장에는 아브라함과 그의 조카 롯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때에 아브라함의 목자와 롯의 목자가 목장 때문에 서로 다투었습니다. 그 때에 아브라함은 롯에게 우리는 골육이니 서로 다투지 말자고 하며 또 이 땅에는 가나안사람과 브리스사람도 거한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아브라함과 롯이 서로 다투지 아니해야 할 이유는 두 가지였습니다. 하나는 골육 지친 인 까닭입니다. 또 하나는 외인 앞에서 하나님의 선민이 서로 싸울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오늘날도 우리 믿는 이들이 서로 사랑하여 다투지 아니해야 할 이유는, 우리가 다 사랑의 근본이신 하나님의 자녀가 될뿐더러 또 하나는 이 세상에는 믿지 아니하는 사람들이, 또는 우리 교회의 원수들이 우리 교회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 교회에 주신 큰 사명, 곧『너희는 온 천하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라』하는 주님의 명령을 생각할 때에 우리들 믿는 사람들은 서로 사랑하고, 화평하고, 단결해야 할 것입니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글에 천시불여질, 지리불여인화(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란 말이 있습니다. 전쟁에 제일 귀한 것은 천시보다도 지리보다도 인화란 뜻입니다. 전도는 신령한 전쟁입니다. 마귀의 나라와 싸움을 의미합니다 전국 복음 화 운동, 혹은 세계 복음 화 운동에 가장 귀한 것은 인화입니다. 곧 믿는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고 화목하며 단결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다 한 곳을 향하여 나아가야 합니다. 곧 하나님이 계신 나라를 향하여 갑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그 나라는 사랑의 나라입니다. 사랑의 하나님을 뵙고 사랑의 나라에 같이 들어갈 준비를 하는 우리로서 가장 먼저 할 것이 무엇입니까? 그것은 서로 사랑하기를 배워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교회 생활에서 피차에 사랑하기를 꼭 배워야 합니다. 사실 서로 사랑하라는 이 권면을 한 사도 요한 도 처음부터 그러한 사랑의 인물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주님께서는 그에게「우레의 아들」이란 별명을 준 것을 보아서 그의 본래 성품은 아주 과격하였던 모양입니다. 예수 님을 영접하지 아니하는 사마리아 동리에 곧 하늘로 불을 내려서 멸망케 하자는 말을 한 이도 이 요한 입니다. 그러나 그는 그리스도와 오래 동행하는 가운데서 사랑을 배웠고, 하나님은 사랑인 것을 깨닫고 마지막에는 사랑의 사도가 된 것입니다. 기억하세요,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 우리는 하나님께로 난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우리는 이 하나님에 사랑의 성품을 받아 왔습니다.
신앙생활이란 날마다 사랑의 주님과 동행하여 사랑을 배워 서로 사랑하며, 사랑 가운데서 장성하며, 사랑의 열매를 맺는 데 있습니다. 사랑은 인력과 같습니다. 이 우주에는 인력이 있어서 질서가 유지됩니다. 이 지구를 하나로 묶어 질서가 있게 하고 인간이 살 수 있게 하는 것은 이 지구에 인력이 있는 까닭입니다. 이 인력이 잠시라고 없어진다면 지구 위의 모든 것은 사방으로 이 넓은 공간에 흩어질 것입니다. 이렇게 하나님의 사랑의 인력이 이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이 사랑의 인력이 교회를 하나로 만들고 모든 역사를 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랑할 때에 하나님의 사랑의 인력이 우리를 통하여 나타납니다.
사랑은 햇볕이 없으면 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말하였습니다.『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내가 예언하는 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했습니다.
아무리 다른 큰 은혜를 받았다고 할지라도 형제를 사랑할 줄 모르면 그 은혜는 쓸데없게 됩니다. 우리는 사랑 중심의 신앙 생활을 합시다. 사랑은 최고의 은혜요, 제일 좋은 길입니다. 과거의 모든 위대한 성도들이 다 사랑 중심의 생활을 하였습니다. 바울이 그리했고, 베드로가 그리했고, 요한 이 그러했고, 세기를 통하여 모든 성자들이 그러했습니다. 아마 우리가 사는 이 二十세기에 가장 존경을 받는 분은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와 가가와(賀川豊彦)일 것입니다. 다 사랑 중심의 생활을 하였습니다.
그러면 사랑은 무엇입니까?『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이와 같이 살 의무가 있습니다. (一九七二년 十월 十四일)
?-44 쉬지 말고 기도하라 (데살로니가 전서 五장 十六-十八절)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살전 五·十六-十八)
여기 주옥같이 귀한 세 권면이 있습니다. 곧『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 세 가지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생활의 특색입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항상 기뻐하고, 범사에 감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생활의 중심은 곧 쉬지 말고 기도하는 생활입니다. 끊임없는 기도가 없이 항상 기뻐하며 범사에 감사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시간 특별히『쉬지 말고 기도하라』하는 권면을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는, 먼저 이 권면에 대하여 오해하지 마십시오. 쉬지 말고 기도하라 하니까 아무 일도 하지 아니하고, 살림도 하지 않고, 사업도 하지 않으면서 산에 가서, 혹은 기도원에 가서 엎디어 큰 소리로 기도만 하라는 뜻은 아닙니다. 이 권면을 쓴 사도 바울도 그렇게는 기도 생활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흔히 늘 여행하면서 또 손으로 장막을 치는 일을 하면서 회당과 거리에서 가르치면서, 전도하면서 기도 생활을 하였습니다.
몇 해 전에 어떤 장로가(우리 교회 장로는 아닙니다) 저를 찾아와서 크게 염려하며 자기의 집안 사정을 말한 적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그의 부인이 어떤 집단에 따라 다리면서 기도하기를 시작한 후에 아이들도 살림도 전혀 돌아보지 아니하니 이 일을 어찌합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사실 이렇게 기고 생활을 하려고 하는 이들이 지금도 더러 있는 모양입니다. 쉬지 말고 기도하라는 뜻은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또 어떤 이들은 기도를 하되, 똑똑한 정신으로 기도하지 않고 기도하다가 반드시 무슨 아무 뜻 없는 소리를 내며 어떤 때에는 정신을 아주 잃어 넘어지며 소위 입신이라 하여 이렇게 기도해야 은혜 받는 기도인 줄 아는 이들이 있는 듯합니다. 성경은 정신을 차리고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 성경은 깨어 기도하라고 하였습니다.『깨달은 마음으로 다섯 마디 기도하되, 말을 하는 것이 일만 마디 방언으로 말하는 것 보다 나으니라』하였습니다. 또 어떤 이들은 기도하되, 반드시 손으로 주무르고 잡아뜯어야 병이 낫는 줄 생각합니다. 이것은 일종의 안마요법이지 믿음만으로 하는 기도는 아닙니다. 쉬지 말고 기도하라고 하는 뜻은 그런 의미는 아닙니다. 우선 이 성경 말씀을 오해하지 맙시다.
둘째는, 쉬지 말고 기도하라는 뜻은 무슨 뜻입니까? 어떻게 쉬지 말고 기도할 수 있습니까? 여기에 몇 가지 생각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는 기도하다가 쉬지 말라 하는 뜻입니까? 기도하다가 더러 쉬는 이들이 있습니다. 어려운 환경, 혹은 환난 때에 열심히 쉬지 않고 기도생활을 하던 이들이 모든 환난이 지나가고 평안하여질 때에는 기도를 쉬는 이들이 혹 있습니다. 병중에 있을 때에는 열심히 쉬지 않고 기도하다가 그 병이 나은 다음에는 기도를 쉽니다. 생활이 곤란할 때에는 열심히 기도생활 하던 이가 사업이 잘 되어 생활이 넉넉하여질 때에는 기도를 쉬는 이들이 더러 있습니다. 우리 가운데 三八선을 넘어온 이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공산당의 눈을 피하여 三八선을 넘어올 때에는 아마 발걸음마다 기도한 줄 생각합니다. 지금은 어떠합니까? 혹 쉬는 이는 더러 없습니까?
六·二五사변 후 서울이 수복되어 다시 돌아온 어떤 자매는 자기가 사변 때에 이남으로 피난 가던 경험을 말하면서 그저 차에 앉아서 기도만 하였다고 했습니다. 지금 그 자매의 기도 생활이 어떠한지 알고 싶습니다.
가령 어떤 분이 한 가난한 친척이 있어서 매일 같이 와서 무엇을 구하다가 생활이 좀 나아진 후에는 전혀 찾아보지도 않으면 그 친척은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우리가 환난의 날에 간구의 기도를 많이 하였다고 하면 평안한 날에도 감사의 기도를 드려야 합니다. 배부를 때에 하나님을 잊지 말라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괴로울 때나, 가난한 때나, 부할 때나 기도를 쉬지 맙시다.
둘째로 어떤 이들은 기도 생활을 하다가 낙심이 되어서 기도를 쉬는 이들이 혹 있는 듯 합니다. 전에 내가 신의주에 있을 때에 들으니 그 남편들은 아직도 믿지를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그 두 여인은 남편을 회개하게 하여 달라고 기도하자고 피차에 약속하고 기도를 계속하였다고 합니다. 수년 후에 과연 한 여자의 남편은 회개하였습니다. 잘 믿을뿐더러 교회 봉사를 잘하여 교회의 집사가 되고 장로까지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 여자의 남편은 그 때까지도 회개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이 여자는 크게 낙심이 되어 애 타는 말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기도가 속이 응답되지 않을 때에 낙심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기도를 쉬어서는 아니 됩니다. 예수 님께서 바로 이런 이들을 위하여 불의 한 법관의 비유를 말씀한 것입니다.
어떠한 곳이 하나님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사람도 두려워하지 아니하는 불의 한 법관이 있었는데 한 외로운 과부가 억울한 일을 당하고 신원 하여 달라고 호소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들은 체도 아니하였습니다. 그렇지마는 계속하여 매일 가서 부르짖으니 마지막에는 너무 시끄러워서 이 불의 한 법관이라도 그 소원을 이루어 주었다고 합니다.『하물며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그 택함을 입은 자녀들이 밤낮 구할 때에 이루어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반드시 이러리라』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기도하다가 낙심하지 맙시다. 쉬지 말고 기도합시다. 三八선이 속히 열리지 않는다고 낙심하지 맙시다. 평화통일을 위하여 계속 기도합시다.
셋째로, 쉬지 말고 기도생활을 하려면 기도의 시간을 정하고 그 시간에는 아무리 바빠도 꼭 기도를 해야 합니다.
전에 다니엘은 하루 세 번씩 기도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사자 굴에 들어갈 것을 알면서도 그는 그 기도 시간을 지켰습니다. 포악하고 음란한 파사제국 조정에서 그러한 경건한 생활을 한 비결이 여기 있었습니다. 우선 일정한 기도시간이 필요하고 또 그 기도 시간은 꼭 지켜야 합니다. 어느 때나 형편을 따라 시간을 작정할 것이나, 아침에 일어나서 또는 저녁에 자기 전 시간은 실로 기도하기에 제일 좋은 시간입니다. 아침을 기도로 시작하여 하루를 기도로 마칩니다. 할 수 있으면 새벽 기도회에 나오면 더욱 좋습니다. 우리가 건전한 신앙생활을 하려면 몇 가지 거룩한 습관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곧 일정한 시간에 기도하는 습관, 메일 성경 읽는 습관, 십일조 드리는 습관, 주일을 거룩이 지키는 습관 등입니다. 쉬지 말고 이 시간들을 지켜 기도합시다. 벽에 거는 큰 시계는 매일 틀어 주어야 시계가 바로 갑니다. 우리 신앙생활도 매일 은혜 받는 시간이 있어야 그 날 하루를 바로 삽니다.
넷째로, 쉬지 말고 기도하라 함은 에베소서 六장 一八절에 말씀과 같이『무시로 성령 안에서 기도함』을 의미합니다.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무시로』간단한 기도를 우리는 계속하여 드릴 수 있습니다. 길을 갈 때에도 드릴 수 있습니다. 밤을 지을 때도 기도할 수 있습니다.
전에 느헤미야가 자기 섬기는 왕이 무엇을 물을 때에 곧 마음에 기도하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성령 안에서 무시로 기도하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쉬지 말고 기도합시다.
다섯째로, 기도에는 감사와 고백과 간구와 여러 가지 요소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하나님과 교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얼굴을 우리의 마음 눈이 앙망 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언제나 우리 심령으로는 하나님과의 연락이 끊어지지 아니해야 합니다. 곧 우리는 언제나 기도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합니다. 기도하는 정신, 이것이 곳 쉬지 않고 기도하는 생활입니다. 이렇게 우리의 전 생활이 기도로 화해야 합니다. 우리의 생각도 기도로 화해야 하고, 우리의 말도 기도로 화해야 하고, 우리의 모든 행동이 기도로 화해야 합니다. 주님의 말씀과 같이 기도는 구하는 것뿐이 아니고 찾는 것입니다. 찾는 것은 곧 활동을 의미합니다. 기도는 역시 문을 두드리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마음으로도 기도하고 입술로도 기도하고 우리의 모든 활동도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곧 쉬지 않고 기도하는 생활입니다. 곧 기도의 사람이 됩시다.
마지막으로, 왜 이렇게 쉬지 말고 기도하여야 하는가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하여 봅시다.
첫째는 우리의 영이 살기 위하여 쉬지 말고 기도해야 합니다. 기도는 하나님과 교통하는 우리 영혼의 호흡입니다. 숨쉬는 것입니다. 숨쉬지 않고 어떻게 살겠습니까? 고기가 물을 떠나 살수 없음 같이 우리의 영은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과의 교통이 없이는 살 수 없습니다.
둘째로 기도를 통하여 우리 영혼이 장성합니다. 우리의 영혼이 더욱 아름다워집니다. 풀이 햇볕을 볼 때에 아름다워지는 것처럼, 우리의 영이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과 접촉할 때에 아름다워지고, 깨끗하여지고, 장성하고, 사랑과 기쁨과, 화평과, 모든 성령의 열매를 맺습니다.
셋째로 이렇게 기도를 쉬지 않을 때에 우리의 심령이 강건하여집니다. 또한 시험에 들지 아니합니다. 악한 마귀는 항상 우리를 유혹에 빠뜨리려고 하나 쉬지 않고 기도하는 심령은 감히 시험을 하지 못합니다. 우리가 무릎을 꿇고 기도할 때에 악한 마귀는 놀라서 달아납니다.
넷째는 이렇게 쉬지 않고 기도하는 이에게는 모든 시험을 이기고, 난관도 돌파하고, 질고도 이기고 분노도 이기고, 모든 원수를 이겨내는 큰 능력을 주십니다. 힘을 얻습니다. 그러므로 쉬지 말고 기도해야 합니다. 오직 기도만이 모든 악의 권세를 정복하고 승리의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기도는 반드시 응답됩니다.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구하라 주실 것이요 찾으라 만날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열릴 것이니라』마태복음 七장 七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하나님은 예레미야 三十三장 三절에『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비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말씀하셨습니다. 또한 시편 五0편 一五절 말씀에『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로다』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특별히 오늘의 국제정세, 국내사정, 교회의 모든 형편을 볼 때에 우리는 깨어 기도할 때입니다. 쉬지 말고 기도합시다. 정신을 차려 쉬지 말고 기도합시다. 나라를 사랑하는 여러분, 쉬지 말고 기도합시다. 교회를 사랑하는 여러분, 쉬지 말고 기도합시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할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一九七二년 十월 二十九일)
?-45 청년과 성경 (시편 一一九편 一-十六절)
『청년이 무엇으로 그 행실을 깨끗케 하리이까 주의 말씀을 따라 삼갈 것이니이다』(시 一一九·九)
청년시대에 당면하는 문제는 여러 가지입니다. 어디에 취직을 할까, 누구와 결혼을 할까 등 모두 중요한 문제들입니다. 그런데 여기 누구나 당면하는 아주 심각한 도덕적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청년이 무엇으로 그 행실을 깨끗케 하리요』어떻게 하면 청년시대에 깨끗하고 고결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까? 청년시대는 인간의 일생을 통하여 제일 위험한 시기입니다. 혈기는 가장 성한 때요, 따라서 유혹이 매우 많은 때입니다. 만면에 또한 경험은 적습니다. 청년시대는 사실 인간 일생의 분기점입니다. 혹은 분수령입니다. 일생의 성공과 실패, 행복과 불행, 사실 생명과 사망의 기로(岐路)입니다.
나는 일찍이 아프리카 나이로비에 있는 동물원 구경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 동물원의 한 가지 특색은 넓은 울타리 안에 여러 가지 동물이 자유롭게 모여 삽니다. 그러니까 호랑이, 사자, 곰 등이 있는가 하면 한 모퉁이에 가 보니 어린 꽃사슴이 외로이 서 있었습니다. 이러한 험악한 세상에 한 외로운 청년이 처음으로 발걸음을 내디디는 그 모습을 연상케도 합니다. 이렇게 이 세상은 험악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세상에서 어떻게 깨끗하고 맑은 고귀한 생활이 가능할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청년이 무엇으로 그 행실을 깨끗케 하리요』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는 이 시인은 아마 그의 관찰, 혹은 그의 경험에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써 보았으나, 결국은 실패한 그 쓴 경험을 기억하면서 묻는지 모릅니다. 혹은 결심도 하여 보고 혹은 교육도 받아보고 혹은 스스로 수양도 하였으나 결국은 깨끗한 생활에 이르지 못하고 그 마음이 상한 가운데서 이런 물음을 묻는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이렇게 실패하였으니, 이미 더러워졌으니 깨끗한 길이 어디 있는가 탄식하면서 이 물음을 묻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사실 청년시기에 물을 수 있는 최고의 문제중의 하나는『청년이 무엇으로 그 행실을 깨끗케 하리요』하는 이 문제입니다. 우리 가운데도 청년들이 많습니다. 여러분이 당면하는 여러 문제 중의 하나는 아마 이 문제일 것입니다.『청년이 무엇으로 그 행실을 깨끗케 하리요』
오늘 잠깐 이 문제를 묵상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그 길을 분명히 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첫째로, 먼저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 문제는 현재 여러 청년만 당하는 문제가 아니고 과거의 여러 청년들도 이미 당한 문제입니다. 여기 앉아 있는 노인들도 한번은 여러분과 같이 홍안 흑발의 아름다운 청년들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이들도 과거에 이런 문제에 당면하였습니다. 현대에 사는 인간들만 아니고 과거 수 백, 수 천년 전에 사는 이들도 한 번은 다 이런 문제에 당면하였었습니다.
오늘 본문을 기록한 이 거룩한 시인은 그 자신의 경험과 다른 이들의 경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주의 말씀을 따라 삼갈 것이니이다』곧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삼가는 참된 신앙생활을 의미합니다. 지금 말로 바꾸면 성경 말씀을 기초로 한 참된 신앙생활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성경 말씀을 쫓아 삼가며 그대로 준행(遵行)하는 신앙생활을 할 때에 우리는 깨끗한 생활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생활이 곧 주의 말씀을 중심 한 생활이 여러 청년들에게 반드시 돈을 많이 모으게 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이러한 생활이 여러 청년들에게 반드시 많은 지식이나 높은 지위나 명성을 가져오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 확실한 보장이 한 가지 있습니다. 곧 여러 청년들이 과연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삼가며 참된 신앙생활을 하면 여러분의 일생은 확실히 세상에 물들지 않는 깨끗한 고귀한 생활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과거와 현재의 모든 성도의 생활이 이 사실을 증명합니다. 이미 오래 전에 살은 청년 요셉에게 물어 보십시오.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그는 소년시대에 불행이 애굽에 종으로 팔려가서 당시 시위대장관 보디발의 집에서 외로운 노예생활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런 가운데서도 충성되고 깨끗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심지어 보디발의 아내를 통한 큰 정욕의 유혹도 용감히 물리쳤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후 애굽의 총리대신이 되어 그 큰 권세를 한 손에 잡고도 또 조정의 퇴폐 한 분위기 가운데서도 그의 생활은 청결하고 깨끗하였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입니까? 물어 보십시오 그는 곧 대답할 것입니다.「주의 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입니다.」
혹은 일찍이 바벨론의 포로로 잡혀가 바벨론과 하사조정에서 높은 지위에 있던 다니엘에게 물어 보십시오. 그러한 이교 문화와 환경 가운데서 어떻게 우상의 제물도 먹지 아니하고, 술도 마시지 아니하고, 하루 세 번씩 기도하는 것 이외에는 흠을 잡을 수 없으리 만치 깨끗하고 고귀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그의 대답 역시 매우 간단할 것입니다.「주의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입니다」라고 할 것입니다. 신약시대에 와서 바울의 제자 중 하나인 후계자가 된 청년 디모데에게 물어 보십시오.「당신이 어떻게 청년의 모든 유혹을 이기고 세상의 헛된 부귀도 버리고 오직 일생을 가난한 사도 바울을 따라 갖은 고생을 하며 그러나 깨끗하고 고귀한 생활을 하였습니까?」물론 그의 대답도 아주 간단할 것입니다.「나는 어려서부터 성경을 배워 그 말씀을 따라 산 까닭입니다.」성경시대의 성도들만이 아닙니다. 전 교회의 역사를 통하여 모든 성도들의 대답이 또한 동일합니다.
교회사 초기의 아마 제일 유명한 성경학자요 선교자인 오린겐에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는 본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일생을 성경연구와 복음전파에 바친 위대한 학자입니다. 그의 생활은 당시 극도로 퇴폐 한 로마사회에서 실로 백로같이 깨끗하고 고귀하였습니다. 우리는 그에게 그 비결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선생의 그 고귀한 생활의 비결이 무엇입니까?」물으면 그의 대답도 매우 간단할 것입니다.「주의 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입니다.」혹은 중고시대에 산 성 프랜시스에게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그 역시 부유한 가정에서 났으나 모든 가산을 초개같이 버리고 일생을 빈민과 고아와 병자를 봉사하며 복음을 전파한 중고시대의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는 별명을 얻은 분입니다. 우리는 그에게 그러한 생활의 비결이 무엇인가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의 대답도 역시 아주 간단할 것입니다.「주의 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입니다」대답할 것입니다.
一九세기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정치가로 인정을 받는 아브라함 링컨에게 역시 그의 흑노에 대한 깊은 동정심과 그의 일생을 통한 정치가로서의 깨끗하고 경건한 생활의 비결이 무엇인가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의 대답도 아주 간단할 것입니다.「나는 어려서부터 교회에 나가 성경을 배웠고 항상 그 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이었습니다.」
둘째는, 주의 말씀은 이 성경 가운데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 성경을 통하여 우리 하나 하나에게 그의 뜻을 나타냅니다. 이 말씀을 읽는 가운데서 우리는 인생의 행로를 바로 갈 수 있습니다.『주의 말씀은 내 발의 등불』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성경을 읽으며 인생 길을 걸을 때에는 넘어지지 아니합니다. 왜냐 하면, 이 밝은 등불이 우리 길을 비추어 밝게 하는 까닭입니다. 구렁텅이에 빠지지 아니합니다. 위험한 곳을 미리 봅니다. 원수를 미리 살핍니다. 그러므로 성경을 읽으면 인생 길을 걷는 이들은 실족하지 아니합니다. 넘어지지 아니합니다. 또 성경 말씀은 좌우에 날 센 검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씀으로 모든 원수를 쳐 부서 이깁니다. 우리 주님께서도 광야에서 시험을 받으실 때에 이 말씀으로 승리하셨습니다. 우리도 이 말씀이 마음속에 가득 할 때에는 어떠한 유혹이 들어올지라도 이겨냅니다. 성경 말씀은 성령의 검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는 이 성경 가운데서 인간생활의 최고 목표가 무엇임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 최고의 목표는 오직 하나입니다. 언제나 곧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언제나 이 최고 목표를 그 심령 속에 두고 사는 사람은 세상의 헛된 무엇이 유혹을 하지 못합니다. 그러한 이들은 깨끗이 삽니다. 그리고 우리는 성령 가운데서 인간생활의 최고 표준을 또한 발견합니다.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 되시는 그리스도의 생활을 보십시오. 이러한 최고 표준을 다라 사는 사람의 생활은 자연히 날마다 향상하고 저 높은 곳을 향합니다. 날이 갈수록 그와 같이 고결하여집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우리는 성경 가운데서 내 죄를 대속하신 죄인의 구주 되시는 그리스도를 만납니다. 그리하여 설사 과거의 죄로 말미암아 우리의 생활이 더럽혀졌어도 그의 십자가 보혈로 깨끗이 씻음을 받습니다.『그리스도의 보혈이 너희 모든 죄를 깨끗이 씻으리라』우리 모든 죄를 씻어 주십니다. 그러므로 성경을 읽으며 십자가로 대속하신 예수를 만나 그를 따르는 사람만이 사실 깨끗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청년들, 깨끗하고 고귀한 생활을 사실 원합니까? 발의 등불이 되는 성경을 읽으십시오. 모든 시험을 이기게 하는 성령의 검인 성경을 읽으십시오. 인간생활의 최고 목표를 보여주며 십자가로 대속하신 예수를 만나 그를 따르는 사람만이 사실 깨끗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군인이 언제나 회중(懷中) 성경을 품고 다녔는데 한번은 이 군인이 일선에서 싸우다가 적탄을 맞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적탄이 성경에 맞아 그 생명이 구원되었다고 합니다. 문자 그대로 성경은 그의 육신 생명을 구하였습니다. 사실 우리가 우리 마음속에 하나님의 말씀을 품고 다니면 어떤 유혹의 화살이 들어올지라도 우리의 영적 생명은 안전합니다. 가장 안전한 생활은 하나님의 말씀을 언제나 품고 사는 생활입니다. 그러므로『복 있는 자는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읽으십시오.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합시다.
아마, 여러분들 중에는 바울티호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이가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一七九0년에 영국정부에서 어떤 섬에 고무나무를 심기 위하여 바울티호라고 하는 배로 수 십명 청년을 보냈다고 합니다. 이 영국 청년들이 그 곳에 있는 토인 여자들과 방탕한 생활을 하며 결국은 그 배에서 반역을 일으켜 그 선장을 조그마한 배에 태워 망망한 바다에 쫓아보내고, 그들은 그 배를 타고 피트카른이라는 섬에 가서는 그 배를 불사르고, 본래 무인고도이었던 그 섬에서 자기들이 데리고 온 토인 여자들과 같이 살고 있었습니다. 약 一년 후에 그들의 하나가 어떤 풀뿌리를 썩혀서 술을 만드는 법을 알아냈습니다. 그 다음부터 이 반역 군인들은 술만 마시고 방탕한 생활을 하며 자기네끼리 싸움이 나서 서로 죽여 마지막에는 백인남자는 하나만 남고 토인 여자들과 그 여자들에게서 난 아이들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쟌 아담스라고 하는 청년이 하루는 어떤 보따리에서 성경책을 찾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 성경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는 회개의 사람이 되었고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여러 해 후에 그 섬에 가보지 그 부락 가운데는 예배당이 지어졌고 어른들과 아이들이 다 모여 찬송을 부르며 예배를 드렸다고 합니다.
청년들이 무엇으로 그 행실을 깨끗케 하리요, 주의 말씀을 따라 삼갈 것이니라. 무엇으로 우리 가정을 깨끗케 하리요, 주의 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입니다. 무엇으로 우리사회를 깨끗케 하리요 주의 말씀을 따라 삼가는 신앙생활입니다. (一九七二년 一二월 一0일)
?-46 채 무 감 (로마서 一장 八-十七절)
『헬라인이나 야만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 다 내가 빛 진자라』(롬 一·一四)
『다 내가 빛 진자라』여기 부채자의 의식 혹은 간단히 채무(債務)감에 눌린 분이 있습니다. 그는 곧 사도 바울입니다. 그는 모든 사람에 대하여 채무 감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는 무슨 빛을 그렇게 많이 졌습니까? 돈을 많이 졌습니까? 물론 아닙니다. 그러면 무슨 빛입니까? 돈 이외에도 빛이 많습니다. 신령한 빛이 있습니다. 이제 그의 채무 감을 잠깐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이 시간 우리에게 은혜 주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사도 바울의 채무 감에 대한 내용을 생각하여 봅시다. 사도행전 九장 二十二절, 二十六절을 읽으면 거기에 사도 바울이 어떻게 다메석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 회개한 기록이 있습니다. 그는 본래 맹목적인 청년 바리새인으로서 처음에 기독교를 핍박하여 많은 예루살렘 신자들을 괴롭혔고, 다메석에도 그리스도인들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그들을 잡으려고 대제사장의 공문을 가지고 가던 중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다메석에 거의 가서 홀연히 밝은 빛이 두루 비침과 같이 부활하신 주님을 대하게 되었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하늘에서 보이신 것, 곧 복음을 모든 이방인들에게 전파하라는 사명을 받았습니다. 곧 이방의 사도가 되었습니다.
오늘 읽은 본문에『헬라인이나 야만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라 함은 이방인 전체를 의미합니다. 당시 로마사회에서는 헬라인은 문화인의 대표요, 문화를 모르는 이들은 다 야만인으로 여겼습니다. 지혜 있는 자 역시 교육을 받은 이를 의미함이요, 어리석은 자는 교육을 받지 못한 이들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사도 바울은 다메석 도상에서 회개하고 구원을 얻었을 뿐더러 전 이방인에게 복음 전도의 사명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가 친히 기록한대로 그는 본래 훼방 자, 핍박 자, 포행(暴行)자이었으나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죄를 사하실 뿐더러 이방의 사도직을 맡겼습니다. 그는 이방인들을 생각할 때에 언제나 이 영적 채무 감에 눌림을 받은 것입니다. 여기 로마서에서도 그는 이방인, 로마인들에게 편지를 하면서 이런 표현을 하였습니다. 사실 빛이란 갚아야 하는 것입니다. 빛은 마음이 있으면 갚고, 마음이 없으면 안 갚는 것이 아닙니다. 빛을 졌으면 언제나 꼭 갚아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 이 복음전파에 대하여 꼭 이렇게 느꼈습니다. 그러므로 고린도 전서 九장 十六절에는『내가 복음을 전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을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임이로다』하였습니다. 이 강한 채무 감은 그로 하여금 일생을 통하여 복음 전파에 온전히 헌신케 하였습니다. 그는 복음전파를 위 하여는 어디나 가기를 주저하지 아니하였습니다. 험한 길이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넓은 바다 가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어느 때나 복음을 전하였습니다.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전하였습니다. 그는 어디서나, 회당에서나, 거리에서도, 집에서도, 감옥에서도 또 누구에게나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실로 그는 이 영적 채무 감에 눌려 일생을 살고 또 죽었습니다.
둘째는, 사도 바울 뿐이 아닙니다. 예수를 믿는 이들은 누구나 다 이 영적 채무 감이 있어야 합니다. 복음의 채무 감 뿐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우리는 다 빛을 많이 졌습니다.
첫째로 먼저 우리는 다 하나님께 많은 빛을 졌습니다. 일월성신, 산천초목, 대자연계를 비롯하여 우리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질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먼저 하나님께 빛을 지지 않은 이가 없습니다.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우리의 육신이 사는 것도 역시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선물로 우리에게 그저 주셨습니다. 그리고『말로 다 할 수 없는 선물』곧 그리스도까지 우리에게 보내셨습니다. 우리의 많은 죄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사함을 받았습니다. 사실 우리의 영과 육이 지금까지 보존된 것도 다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주님의 한 비유에 있는 말씀과 같이 우리는 다 문자 그대로 일만 달란트의 빛을 진 종들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우선 하나님께 대하여 다 빚진 자들입니다. 이 빚을 만분지일이라도 갚아보려는 생각을 하여 본 적이 있습니까? 우리는 하나님께 대하여 먼저 채무 감이 있어야 합니다.
둘째로 이 뿐만 아닙니다. 우리는 많은 다른 사람에게도 빛을 지고 삽니다. 인간이 이 세상에 작은 핏덩이로 태어나서 지금까지 살았다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빚을 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엇보다도 어머니의 빛을 졌습니다. 아버지의 빚을 졌습니다. 의사의 빚을 졌습니다. 간호원의 빚을 졌습니다. 먹을 것을 생산하기에 수고하는 농부의 빚을 졌습니다. 학교에 가서는 선생들의 빚을 졌습니다. 교회에 와서는 주일학교 교사들의 빚을 졌습니다. 현재에 사는 이들에게만 빚을 진 것이 아닙니다. 이미 세상을 떠난 이들의 빚도 많이 졌습니다. 과거의 많은 과학자, 철학자, 발명가, 신앙의 선배, 애국자, 다시 말하면 우리가 문화적, 사회적, 역사적으로 생각하여 볼 때에 우리는 수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빚을 지고 사는 빚진 자들입니다. 우리가 이 채무 감을 느끼고 있습니까?
셋째로 나는 이런 문제를 생각하면서 나의 과거를 잠깐 회상하여 보았습니다. 부모님에게 진 빚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내가 나기 三, 四년 전에 우리 동네에 작은 농촌 교회가 설립되었습니다. 듣는 대로 그 교회는 초대 선교사 가운데 하나인 마 목사가 와서 세웠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나는 어렸을 적부터 그 교회에 나가 찬송을 배우고 성경을 배웠습니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나는 그 교회를 세운 마 목사와 그 교회로부터 진 빚을 다 갚을 길이 없습니다. 그 교회에서 진광학교란 작은 국민학교를 세웠습니다. 그리하여 나는 글방 곧 서당에 가지 아니하고 학교에 가서 기독교 교육과 신문학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그 학교와 그 때의 선생님의 은혜를 잊을 수 없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많은 빚을 졌습니다. 그리고 그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정주 오산학교에 갔는데 이 학교 역시 내가 세운 학교는 아니고 그 때에 애국지사인 남강 이승훈 선생이 세웠고, 역시 애국적 교육가인 고당 조만식 선생이 교장으로 철저한 기독교 교육을 시켰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얼마나 많은 빚을 졌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 후에 평양에 있던 숭실대학에 가서 공부하였는데 이 학교 역시 내가 세운 학교가 아니고 외국에서 오신 선교사들, 곧 베위량, 마포삼열, 나도래 같은 이들이 세우고 철저한 애국적인 기독교 교육을 하였습니다. 나는 그들에게도 얼마나 많은 빚을 졌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미국에 가서도 엠포리아 대학, 프린스턴 신학교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세운 것이 아니고 다른 이들이 세웠습니다. 나는 그저 가서 공부만 하였습니다. 얼마나 많은 빚을 그들에게 졌는지 말로 다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생각해 보니 실로 나는 빚을 많이 진자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내가 중병에 걸렸을 때에도 내가 세우지 않은 병원에서 二년간이나 무료 치료를 받았습니다. 나는 언제나 그 많은 빚을 갚을 길이 없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그 후에 한국에 돌아와서 평양에서, 신의주에서, 그리고 이 서울에서 지내온 과거 四十년간의 생활을 회고할 때에 내가 하나님과 사람들에게 진 빚을 생각하면 실로 태산보다도 높아 무엇으로 다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예배당 위에 새길 성경 말씀 두 절을 택할 때에 하나는 요한 복음 三장 十六절이요, 다른 한 절은 시편 一백一六편 一二절입니다. 여러분 그 구절을 기억하십니까?『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모든 은혜를 무엇으로 보답할꼬』사실 나는 빚진 괴수입니다.
넷째로 여러분 나만 이렇게 빚진 자가 아닙니다. 여러분 역시 과거를 회상하면 다 이렇게 빚진 자인 것을 스스로 고백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다 하나님과 사람에게 빚을 많이 진자들입니다.
셋째는 이렇게 채무 감이 있는 이는 어떤 방법으로든지 그 빚을 갚으려고 할 것입니다. 사도 바울이 그 빚을 갚기 위하여 그 일생을 전도와 봉사에 바쳤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전도나 교육이나 봉사에 힘쓰는 것도 이 빚을 갚으려는 동기가 있는 줄 생각합니다.
우리는 왜 남에게 전도를 해야 합니까? 내가 남의 전도를 받아 구원을 얻은 까닭입니다. 내가 왜 교회학교에서 어린이들을 잘 가르쳐야 합니까? 그것은 역시 다른 이들에게 어렸을 적에 배운 이유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왜 개척 교회를 세우고 도와주어야 합니까?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우리도 역시 일찍이 작은 농촌에서 은혜를 받은 까닭입니다. 우리가 왜 학교를 세우려 교육사업을 도와야 합니까? 그것은 우리도 역시 일찍이 남이 세운 학교에서 공부한 이유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왜 외국에도 선교사를 보내야 합니까? 그것은 외국의 교인들이 일찍이 우리 나라에 선교사를 보내어 복음을 전파한 이유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왜 특별히 북한 전도를 힘써야 합니까? 그 이유는 우리 가운데 많은 이들이 일찍이 북한에서 은혜를 받은 까닭입니다. 다시 말하면 빚진 자들은 그 빚을 갚아야 합니다. 빚은 꼭 갚아야 하는 것입니다. 특별히 연말은 빚을 갚는 때입니다.
마지막으로, 사실 이 영적 채무 감은 인격과 신앙의 척도입니다. 인격이 고상할수록 이 채무 감이 강합니다. 신앙이 독실할수록 이 채무 감이 강합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외쳤습니다.『헬라인이나 야만이나 나는 빚진 자로라』『내가 복음을 전파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으리로다』하였습니다. 어떤 이가 효자입니까? 부모의 은혜를 깨달아 이 채무 감에 눌린 이들입니다. 어떤 이가 애국자입니까? 국가의 은혜를 깨달아 이 채무 감에 눌린 이들입니다. 어떤 이가 제일 봉사를 많이 합니까? 하나님과 사람에게로 받은 은혜를 깨달아 이 채무 감에 눌려 사는 이들입니다. 누가 전도를 제일 열심히 합니까? 바울과 같이 이 복음의 채무 감에 눌려 일하는 이들입니다. 이렇게 이 채무 감은 전도와 봉사의 척도가 됩니다. 채무 감에 눌려 일하는 이들은 원망이 없습니다. 남이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원하여 합니다.
예레미야 같이 입을 다물고 가만히 있으려면 그 속에 불덩이가 있어 견딜 수가 없습니다. 이렇게 채무 감에 눌려 일하는 이들은 언제나 감사한 마음으로 충만합니다. 수고를 아끼지 아니합니다. 오직 기쁨과 감사가 있을 뿐입니다. 이 기쁜 성탄 계절에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깨달아 이 채무 감에 불타는 그리스도인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一九七二년 十二월 二四일)
?-47 깊은 밤에 기쁜 소식 (누가복음 二장 八-十四절)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땅에서는 기뻐하심을 입은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눅 二·十四)
팔레스틴의 밤은 깊었습니다. 작은 촌 베들레헴도 고요히 잠들었습니다. 들에서 양 치던 목자들도 졸고 있었습니다 그 때에 홀연히 주의 사자가 곁에 서고 주의 영광이 저희를 두루 비치었습니다.『천사가 이르되 무서워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날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첫째는 깊은 밤, 어두운 밤에 주의 영광이 두루 비치었습니다.『보라 어두움이 땅을 덮을 것이며 캄캄함이 만민을 가리우리라』지금도 이 세상은 어두움이 땅을 덮었습니다. 캄캄한 세계입니다. 무지의 흑암(黑暗)이 아직도 세계를 덮고 있습니다. 과학이 발전되어 달세계를 내왕하나 아직도 인생의 깊은 뜻을 알지 못하는 무지가 이 땅을 덮고 있습니다. 아직도 인생이 어디로 왔으며 어디로 가며 무엇 하러 왔는지 모릅니다. 어두움이 만민을 가리웠습니다. 그리고 죄악의 검은 구름이 아직도 온 땅을 덮었습니다. 음란과 방탕, 사기와 횡령, 절도와 강도, 살인과 방화, 비행기 납치 등 죄악의 검은 구름은 아직도 세계를 덮고 있습니다. 이렇게 흑암으로 덮인 깊은 밤에 기쁜 소식이 전하여졌습니다.『오늘날 다윗 성에 한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어두운 세상에 빛이 임하셨습니다. 진리의 빛, 사랑의 빛, 성결(聖潔)의 빛 되시는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임하셨습니다.
둘째는, 이 흑암의 세계는 또한 슬픔의 세계입니다. 눈물과 탄식과 슬픔의 깊은 밤입니다. 무지는 슬픔을 가져오고 죄악은 애통을 가져옵니다. 나는 이 땅에서 七0평생을 살아 보았습니다. 一0살이 채 넘기 전에 망국의 슬픔을 맛보았고, 일제 압박 三十六년간의 자유 없는, 나라 없는 민족의 슬픔을 국내 국외에서 뼈저리게 느껴 보았고, 一九四五년 해방 후에는 모순의 말 같으나 해방의 슬픔도 체험하여 보았습니다. 곧 三八선의 슬픔, 六·二五의 슬픔, 가족분산의 슬픔, 민족상자의 슬픔, 혁명의 슬픔, 선거의 슬픔, 온갖 슬픔을 맛보았습니다. 수 없는 고아의 슬픔, 미망인의 슬픔은 말하여 무엇하겠습니까? 이 슬픔 많은 세상에 내가 만일 주님을 몰랐다면 아마 지금까지 이 잔명(殘命)이 보존되었을지 모릅니다.『기쁘다 구주 오셨네 만 백성 맞으라』 이 슬픔의 세계에 위로의 메시야가 오셨습니다. 이사야의 예언과 같이『모든 슬픈 자를 위로하되 슬퍼하는 잔에게 환관을 주어 그 재를 대신하고 희락의 기름으로 그 슬픔을 대신하며 찬송의 옷으로 그 근심을 대신하기 위하여 주는 오셨다』하였습니다.
셋째는, 이 어두움과 슬픔의 세계는 또한 절망의 깊은 밤입니다. 어떤 이는 말하기를 二十세기의 상징은「버섯의 구름」이라고 하였습니다. 무슨 뜻입니까? 원자탄이 폭발되면 공중에 그 불과 연기가 버섯모양으로 퍼졌다가 땅 위에 쏟아져 내려옵니다. 원자탄은 과학문명의 자랑도 되지만 또한 현대문명의 절망의 상징도 됩니다. 이 버섯 같은 검은 구름은 날이 갈수록 점점 커져 가기만 합니다.
전 세계 인류는 안타깝게도 평화를 갈망하나 월남전의 양상은 더욱 처참하게 될 뿐입니다. 성지 근방에도 포성은 그치지 않습니다. 전 세계 인류가 그렇게도 자유를 갈망하나 이 세계에는 아직도 도처에 억압, 폭력, 구속, 독재는 계속됩니다. 이 세계는 절망의 깊은 밤입니다. 이 절망의 밤하늘에 크리스마스의 별은 빛납니다. 소망의 별은 비추입니다. 이 절망의 세계에 그리스도는 오셨습니다. 오직 그리스도의 의와 사랑과 용서의 길만이 인류의 소망임을 밝게 비치어줍니다.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인류의 갈망하는 평화와 자유가 이루어집니다.
넷째는, 이 어두움과 슬픔과 절망의 세계는 또한 사망의 깊은 밤입니다.「사람의 사후 길 노소 없이 뫼로 가」무덤으로 간다는 뜻입니다.「공수래 공수거」입니다. 또한『낙양성동 심리 허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며 절대가인이 누구누구』옛 노래의 일 절과 같이 영웅호걸이면 무엇하고 절대가인이면 무엇합니까? 다 무덤으로 갑니다.『네 생명이 무엇이뇨, 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사라지는 안개입니다.『우리의 평생이 일시간에 다하였나이다』갑자가 끊어집니다. 이것이 인생입니까? 인생이 이것뿐입니까? 이 사망의 깊은 밤에 생명의 주는 임하셨습니다.『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누구든지 저를 믿으면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으리라』영생의 주님이 오셨습니다. 또한『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사람은 죽어도 살겠고』했습니다. 예수를 믿는 이는 죽어도 삽니다. 영원히 삽니다. 그러므로『주안에서 죽는 자는 복이 있도다』하는 하늘의 음성이 들립니다.
여러분, 이 깊은 밤에 가장 기쁜 소식을 듣습니까? 이 어두움과 슬픔과 절망과 사망의 깊은 밤에 기쁜 소식을 듣습니까? 빛 되신 주, 기쁨의 주, 소망의 주, 생명의 주를 만났습니까? 이런 구주가 오셨는데 아직도 어두움에서 헤 매이는 이가 있습니까? 아직도 슬픔에 잠긴 이가 있습니까? 아직도 절망에 빠진 이가 있습니까? 아직도 사망에 얽매인 이가 있습니까?
오! 사랑하는 五천만 동포 여러분, 이 즐거운 크리스마스 새벽에 생명의 주를 만나십시다.
『기쁘다 구주 오셨네 만백성 맞으라』다 같이 주를 영접합시다.
(一九七二년 十二월 二十五일)
?-48 날로 새로워지는 은혜 (고린도 후서 四장 七-十一절, 十六-十八절)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고후 四·十六)
이 말씀을 새 번역에는『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겉 사람은 낡아지고 있으나 속 사람은 나날이 새로워지고 있습니다』이렇게 번역하였습니다. 여기에 사도 바울은 자기의 체험을 말하고 있습니다. 사실 그의 겉 사람 곧 육체는 점점 후패(朽敗)하여 갔습니다. 그 원인은 몇 가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선 그는 항상 과로로 인하여 그 몸이 지쳐 있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그는 그 몸에 가시 곧 그를 괴롭히는 병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 위에 그는 또한 종종 핍박으로 말미암아 그 몸에 상처를 입은 적도 한 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또한 그는 점점 늙어가니 쇠약하여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모든 결과는 그의 겉 사람은 후패 하여졌으나 그는 낙심하지 않았습니다. 왜? 그의 속 사람 곧 그의 심령은 나날이 새로워진 까닭입니다.
그는 날로 후패 하여지는 육신 가운데서도 날로 새로워지는 은혜를 받는 것입니다. 우리도 이러한 은혜를 받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첫째로, 이 새로워진다는 말은 생명을 연상케 합니다. 산 것이 새로워집니다. 산 풀에 새싹이 납니다. 산 나무에서 새 잎이 돋습니다. 산 꽃이 더 새로와 집니다. 죽은 것이 새로워질 수는 없습니다. 우리의 심령이 날로 새로워지려면 먼저 죄와 허물의 죽음 가운데서 다시 살아야 합니다. 영적으로 부활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주님은 먼저 거듭나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도 에베소 四장 二十二절에『너희는 유혹의 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구습을 좇는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고린도 후서 五장 十七절에『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다시 말하면 새로워지는 은혜는 먼저 온전히 거듭나서 새 사람 혹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 피조물이 됨으로 시작됩니다.
날로 새로워지는 은혜를 받으려면 먼저 온전히 과거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믿음으로 거듭나서 새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날로 새로운 은혜를 받는 첫 계단입니다.
둘째로, 이 새롭다는 말은 아침을 연상케 합니다. 아침에는 만물이 새로워집니다. 어떻게? 그것은 아침 햇빛이 비취는 까닭입니다. 동편에 아침해가 돋을 때에 어두움의 그늘은 사라지고 만물이 빛나고 새롭게 됩니다. 시편 二七편 一절에『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하였습니다. 하나님은 빛의 근본이요 우주를 비추는 빛이십니다. 주님 역시『나는 세상의 빛』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렇게 하나님의 빛이 혹은 그리스도의 빛이 우리 심령의 지평선 위에 솟을 때에 우리의 심령은 새로워집니다. 어둠은 걷히고 새로운 빛이 비취는 것입니다. 모든 것이 새로워져서 새마음, 새 기쁨 새소망을 주십니다. 그러므로 이사야 四0장 三十一절에『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의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하지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치 아니하리로다』하였습니다.
우리 심령 위에 날마다 하나님의 빛 곧 그리스도의 빛이, 다시 말하면 그 진리의 빛, 생명의 빛이 우리 심령 위에 비출 때에 우리의 속 사람은 날로 새로워집니다. 고로 성경은 쉬지 말고 기도하라고 가르쳤고 기도의 창(窓)을 통하여 하나님의 빛이 우리 속 사람을 비출 때 우리의 속 사람은 새로워지는 것입니다.
셋째로, 이 새롭다는 말은 맑은 샘물을 연상케 합니다. 뜨거운 여름날 매 마른 사막 길을 걷던 나그네가 길가의 오아시스를 만나 그 맑은 샘물을 마시게 되면 그는 모든 것이 새로워집니다. 새로운 원기를 회복합니다. 새 힘을 얻습니다. 주님은 일찍이 사마리아에 있는 수가라고 하는 동네 야곱의 우물가에서 마침 물 길러 나온 한 사마리아 여인에게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말씀을 하셨습니다.『이물을 먹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토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
이 세상은 사막과 같이 메마른 곳입니다. 이런 곳을 지나가는 인간들은 다 피곤하고 쇠약하여집니다. 그러나 주를 믿고 기도를 통하여 그와 항상 교통하는 이들에게는 시원한 생명수 곧 성령을 충만히 받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심령은 아무리 피곤한 인생행로를 걸으나 그 심령은 날로 새로워집니다. 새 힘을 얻고 새 용기를 얻습니다. 그러므로 날마다 기도생활이 필요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생활이 필요합니다.
넷째로, 새로워진다는 말은 안식을 연상케 합니다. 편안히 쉬어야 육체는 새로워집니다. 하룻저녁 잠을 잘 잔 후에도 그 이튿날 아침 새로워집니다. 그러므로 주님은『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편히 쉬게 하리라』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베드로는『너희 모든 염려를 다 주께 맡겨 버리라』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바울은『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하였습니다. 우리가 무거운 짐들을 스스로 지려고 하지 말고 믿음으로 다 주님께 맡기고 우리의 심령이 편히 쉴 때에 우리의 속 사람은 날로 새로워집니다. 더 아름다워집니다. 장성합니다. 열매를 맺습니다. 하나님의 동산에 곧 푸른 풀밭과 잔잔한 물가에 우리의 심령이 쉴 때에 날로 새로워집니다. 그러므로 이 의지하는 믿음 안에서야 새로워집니다.
다섯째로, 영양이 좋아야 새로워집니다. 꽃은 물과 비료를 주어야 날로 새로워집니다. 곡식도 옥토에 심고 좋은 비료를 주어야 날로 새로워집니다. 어린아이들도 우유와 좋은 음식을 먹어야 날로 자라고 새로워집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심령도 날마다 새로운 생명의 양식이 필요합니다.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 있을 때에 만나를 날마다 새롭게 주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날마다 하나님의 말씀을 새롭게 먹어야 우리의 심령이 새로워집니다. 그러므로 성경을 날마다 읽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늘 하는 말이지마는 매일 기도하고 매일 성경을 읽는 거룩한 습관이 형성되어야 신앙생활을 바로 할 수 있고 우리의 심령이 날마다 새로워져 새 힘으로서 맡은바 책임을 바로 감당할 수 있습니다
여섯째로, 사도 바울의 말씀대로 사실 믿음이 있는 이는 겉 사람이 후패 하여질수록 그 반비례로 속 사람은 더욱 새로워집니다. 그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겉 사람인 육신이 점점 후패하여 허약하게 되면 이 육신을 근거로 하던 온갖 추한 욕심이 사라집니다. 곧 정욕, 물욕, 권세욕 등이 사라집니다. 세상에 붙은 온갖 허영심도 없어집니다. 따라서 남에게 대한 시기, 질투, 분노, 증오심과 같은 악감정도 사라집니다. 그리하여 남을 용서하게 되고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옛날 동양의 글에도『人之將死, 其言也善』이란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의 소망이 끊어지게 되니 하나님께 소망을 드립니다. 세상보다도 하나님을 더 사랑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겉 사람이 아주 후패 하여질 때에 그리고 육신의 눈이 더욱 밝아져서 하늘 나라를 바라보며 육신의 귀는 어두워 세상의 음성을 듣지 못하나 신령한 귀는 더욱 밝아져서 하늘의 음성을 듣게 됩니다. 이렇게 겉 사람인 육체가 아주 무너질 때에는 새로워진 그 심령은 옛집은 버리고 하나님이 준비하신 새 집으로 가는 것입니다.
사도 요한 이 반모 섬에 유배되어 홀로 굴속에 앉았을 때에 그의 겉 사람은 늙고 병들어 후패 하여졌습니다. 그러나 그의 속 사람은 아주 새로워졌습니다. 그의 신령한 눈은 아주 밝아져서 영원한 장래를 미리 볼 수 있었고 지극히 높은 하늘나라의 영광을 분명히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의 신령한 귀는 아주 밝아져서 천군 천사들의 노래와 수 없는 구원받은 성도들의 화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영락 교우 여러분! 신앙생활이란 날로 새로워지는 생활입니다. 이런 생활에 들어가기 위 하여는 먼저 새 생명을 얻어야 합니다. 날마다 주님의 밝은 빛을 우리의 심령이 알아야 합니다. 날마다 맑은 샘물 같은 세상에 인생 길을 가는 이들로써 누가 피곤치 아니하리 오 마는 모든 염려와 걱정을 주님께 맡기고 날마다 안식의 비결을 배워야 합니다. 그리고 날마다 신령한 만나 인 하나님의 말씀으로 우리의 주린 심령을 채워야 합니다. 이렇게만 하면 우리의 겉 사람은 아무래도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점 후패 할 것이나 우리의 속 사람은 그 반비례로 날로 새로워질 것입니다. 새 힘을 얻을 것입니다. 새 기쁨, 새사랑, 새소망, 새용기, 새 열매 그리고 장성할 것입니다. 一九七三년 새해를 맞이하여 우리는 이렇게 날로 새로워지는 은혜를 받아 새 열심과 충성으로 주를 봉사하며, 나라는 위하여 봉사하여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내 자신만 새로워질 것이 아니고 내 가정도 날로 새로워지고, 그리고 우리 나라도 참으로 유신이 되어 새로워져야 하겠습니다. 계시록 二十一장 五절에 보면『보좌에 앉으신 이가 가라사대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하였습니다. 만물을 새롭게 할 때가 옵니다. 온 우주가 새롭게 될 때가 옵니다. 눈물과 죄악과 전쟁과 압박이 없는 새 세계가 될 것입니다. 이 새 세계를 유업으로 받을 우리 성도들은 날로 새로워지는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이 새해에 은혜를 받읍시다. (一九七三년 一월 十일)
?-49 기독교신앙과 애국심 (로마서 九장 一-五절)
『나의 형제 곧 골육의 친척을 위하여 내 자신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질지라도 원하는 바로라』(롬 九·三)
여기서 우리는 신앙 인으로서의 애국자 바울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곧 그는 자기 민족의 구원을 위 하여는 자기의 영원한 생명까지 희생하기를 원하는 그의 심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제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사랑이 없다』고 예수 님은 일찍이 말씀하셨습니다. 여기 사도 바울은 자기 골육 지친, 곧 민족을 위 하여는 자기 생명까지 버릴 각오를 했습니다. 기독교 신앙은 한 글자로 표시하면 곧 사랑입니다.
첫째는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요, 둘째는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깊은 기독교 신앙에 젖은 심령은 자연히 민족을 사랑하고 나라는 사랑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성경을 읽어보면 모든 위대한 신앙 가들은 또한 위대한 애국 애족의 인물이었음을 발견합니다. 모세, 여호수아를 비롯하여 엘리야, 엘리사,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라, 느헤미야 그리고 바울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다 위대한 신앙 가인 동시에 또한 위대한 애국자들이었습니다. 성경 역사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세계 역사를 상고해 보면 기독교 복음이 전파되는 곳마다 위대한 종교가만 난 것이 아니고, 위대한 애국자, 사회개혁가, 또한 과학자들이 배출된 것을 발견합니다. 한국에도 복음이 전파됨으로 말미암아 종교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서재필, 안창호, 이승만, 김 구, 남강, 그리고 오늘 우리가 특별히 추모하는 고당선생 같은 위대한 애국자들이 또한 배출된 것입니다.
첫째는, 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고 못된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는다고 예수 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먼저 좋은 애국자가 될 수 있습니다. 기독교 신앙은 사람으로 하여금 죄의 회개와 중생을 통하여 좋은 사람을 만듭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사회에 대한 공헌은 각 방면에 좋은 사람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정계뿐만 아니고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방면에 빛과 소금이 될만한 인물을 제공합니다. 그러므로 독실할 기독교 신앙을 가진 이들이 위대한 애국자가 됨은 당연한 일입니다.
둘째는, 기독교신앙은 올바른 애국심을 주어 바른 애국자들을 만듭니다. 열렬한 애국자들이 빠지기 쉬운 유혹 가운데 하나는 국가와 민족을 너무 사랑하는 가운데 국가를 우상화, 혹은 민족을 우상화하기 쉽습니다. 무솔리니 나, 히틀러도 자기 나름대로 애국자이었음은 틀림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국가와 민족을 우상화하여 민족지상주의, 국가지상주의 그릇된 사상에 빠짐으로 결국은 오히려 민족과 국가를 망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그릇된 애국사상은 어디서 옵니까? 한 마디로 말하면 지극히 높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잊어버리는데서 온 것입니다. 국가가 아무리 귀하나 지상은 아닙니다. 하나님만이 높으신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언제나 국가나 민족을 우상화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곧 올바른 애국심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뜻 아래에서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신앙은 올바른 애국자를 배양하며 올바른 애국심을 주어 나라는 바로 사랑하게 합니다.
셋째는, 기독교신앙은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바른 형태의 국가를 형성하는 데 큰 공헌을 합니다.
얼마 전 뉴욕타임(New York Times)지는 세계인구 三七억 중에 아직도 二五억이란 대다수의 인류가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사실을 지적하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모든 국민이 자유와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다시 말하면 참된 자유민주국가를 형성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오늘 세계의 당면한 큰 문제입니다. 우리가 다 상식적으로 아는 바와 같이 자유, 평등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주의는 그 배후에 인간 존엄성에 대한 신념에 있는 것입니다. 또한 이 신념은 인간은 짐승이 아니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아 이성과 양심과 불멸의 영혼의 소유자라는 확신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이 근본적인 인간에 대한 기독교 신념이 무너질 때 참된 자유민주주의는 기대할 수 없게 됩니다. 유물론적 인간관과 우주관을 가진 이들이 지배하는 국가의 자유를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당연한 결과입니다.
기독교신앙은 인간의 존엄을 강조하는 동시에 또한 인간의 타락과 제한성을 또한 지적합니다. 그리하여 인간은 아무리 탁월하다 할지라도 실수하기 쉽고 약하므로 무슨 권력이나 어떤 개인에게 집중되는 것을 항상 경계합니다. 인간은 약하므로 권력이 너무 집중될 때 부패하기 쉬운 것을 또한 지적합니다.『절대의 권력은 절대로 부패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이렇게 기독교 신앙은 모든 애국자들로 하여금 인간에 대한 바른 이해를 주어 바른 국가를 이룩할 수 있게 만듭니다.
오늘 우리는 고당 조만식 선생을 추모하지 위하여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고당 선생께서는 일찍이 독실한 기독교 신앙가로서 우리 민족을 사랑하고 우리 민족의 잃었던 독립을 다시 찾으며 또 해방 후에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이룩하기 위하여 용감히 싸운 어른이십니다. 세계 정세 또는 우리 五천만 민족의 장래를 생각할 때에 실로 이러한 신앙가, 이러한 애국자가 아쉽습니다. (一九七三년 二월 一일)
?-50 하나님의 때 (고린도후서 六장 一-一0절)
『가라사대 내가 은혜를 베플 때에 너를 듣고 구원의 날에 너를 도왔다 하셨으니 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고후 六·二)
여기『은혜 받을만한 때』,『구원의 날』이란 문구가 있습니다. 이사야 五五장 六절에는『여호와를 만날만한 때에 찾으라 가까이 계실 때에 그를 부르라』하는 말씀이 있습니다.『여호와를 만날만한 때』 이 말씀은 가까이 계실 때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전도서 三장에는『범사의 때』가 있음을 또한 가르칩니다. 심을 때, 거둘 째, 사업할 때, 봉사할 때가 있습니다.
옛날부터 우리 동양에는 천시(天時)란 말이 있습니다. 곧 하늘의 때는 의미합니다. 이 천시를 바로 포착해야 전쟁에도 승리를 거두고, 사업에 성공도하고, 국가도 부강케 하고, 민족도 중흥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그러합니다. 이 시간「하나님의 때」에 대하여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는, 먼저 개인적 생활에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여호와를 만날만한 때, 은혜를 받을만한 때, 구원을 얻을만한 때 곧 회개할만한 때가 있습니다. 이 하나님의 때 곧 천시를 놓치지 아니해야 우리가 회개하고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몰론 하나님은 언제나 가까이 계시고, 우리를 부르시고 구원하시기를 힘쓰십니다. 그러나 인간의 경험에 있어서는 특별히 가까이 계실 대, 또는 만날만한 때가 있습니다.
① 첫째로 인간의 일생을 통하여 보면 특별히 청소년시대는 하나님을 만날만한 때입니다. 유년시대는 너무 어리고, 중년시대는 흔히 세상과 재리(財利)의 가시덤불이 덮이기 쉽고, 노년시대는 사상과 생활습관에 굳어져서 새 길을 걷기 힘듭니다. 그러나 청소년시대는 대체로 그 마음 밭이 옥토입니다. 양심이 맑고 이상이 높으며 인생의 깊은 뜻을 탐구하여 영원을 사모하는 때입니다.
그러므로 종교사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이 청년시대에 하나님을 만나고 일생의 소명을 받습니다. 이사야, 예레미야, 아니 과거의 모든 선지자들이 그러하였고, 베드로, 요한, 아고보, 예수 님을 따르던 제자들이 다 청년시대에 주를 따랐으며, 신약시대 뿐만 아니고 전 교회사를 통하여 많은 위대한 영계의 거장들이 모두 이 청소년시대에 하나님을 만나 소명을 받아 일생을 통하여 위대한 봉사를 한 것입니다. 청소년들이여! 이 하나님을 만날만한 때에 그를 만나 회개하고 새사람이 되고 일생의 갈 길을 바로 찾으십시오. 청소년기는 특별히 은혜 받을만한 하나님의 때임을 기억합시다.
② 둘째로 우리 인간은 이 거칠은 세상을 살 때 종종 생의 위기를 당합니다. 환난, 재난, 실패, 질고, 슬픔, 생의 풍파를 겪을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역경 혹은 생의 위기는 흔히 예고 없이 우리를 엄습합니다. 오늘은 건강하나 내일 아침에 병상에 누울 수도 있고, 지금은 평안하나 다음 순간에 무슨 어려운 일을 당할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과거의 역사와 현대의 많은 성도들의 경험을 보면 흔히 이러한 인생의 어두운 밤에 광명한 하늘의 빛을 받는 이가 많습니다. 성프란시스, 로욜라, 파스칼 같은 위대한 신앙의 용사들이 다 병상에서 하나님을 만났고 중고시대의 위대한 종교가 피터 왈도(Peter Waldo)같은 이는 자기의 사랑하는 친구가 연회석상에서 갑자기 세상을 떠나는 큰 슬픔의 체험이 회개의 기회가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생의 위기, 혹은 환난은 물론 반가운 일은 아니나 이러한 암흑의 밤이 오히려 하늘의 광명한 진리의 빛을 받을만한 하나님의 때인 것을 기억하고 꼭 하나님을 만나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③ 셋째는 이렇게 신앙생활을 시작하는 때도 하나님의 때가 있는 것과 같이 주를 위하여 또는 사회와 국가를 위하여 여러 가지 봉사를 함에도 역시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건강할 때는 봉사할 때입니다. 평안할 때도 봉사할 때입니다. 자유로울 때도 봉사할 때입니다. 젊을 때도 봉사할 때입니다. 이 봉사에도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기억하고 우리는 모든 봉사를 게을리 하지 아니해야 합니다. 이 봉사의 때도 제한이 있습니다. 젊었을 때에, 힘있을 때에 봉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님도 낮에 일하라고 권하였습니다. 밤이 오면 일하지 못한다고 또한 경고한 것입니다. 여러분! 봉사와 전도에도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기억하고 기회 주실 때에 열심히 일해야 후회가 없을 것입니다.
둘째는, 지금까지 개인의 생활에 있어서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생각하였습니다. 우리는 민족적 역사에도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민족적 역사에도 은혜를 받을만한 때, 구원을 얻을만한 때가 있습니다. 가령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를 보면 모세와 여호수아의 시대, 곧 출애굽기의 시대는 과연 그 민족이 은혜를 받고 민족적으로 해방과 구원을 얻은 하나님의 때였습니다. 가나안 복지를 쟁취한 큰 승리의 시대이었습니다. 그리고 다윗과 솔로몬 시대가 또한 큰 민족적 부흥의 하나님의 때였습니다. 그 때에 이스라엘 민족은 사방에 있는 모든 원수를 굴복시키고 민중은 평화를 누렸으며 튼튼한 예루살렘성과 아름다운 솔로몬의 성전을 화려하게 건축한 황금시대였습니다 그 후에 불행하게도 국가의 분열과 우상숭배와 온갖 죄악으로 이스라엘과 그리고 유대까지 결국은 멸망하는 민족적 암흑의 밤이 왔으나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는 그 민족이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해방을 받아 다시 예루살렘에 돌아오는 은혜의 시대였습니다. 구원의 날이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뿐 아니고 신약시대와 그 이후 교회사를 통독하면 과거 二천년간에도 종종 특별한 은혜의 날 혹은 구원의 시대가 있는 것입니다. 세례 요한이 광야에서 외치고, 우리 주님이 친히 이 세상에 오신 오순절에 三천명이 회개하고 세례를 받은 큰 은혜의 날이었음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 큰 구원의 시대는 二, 三세기를 계속하여 결국은 당시 세계를 다스리던 전 로마제국이 기독교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루터, 쯔윙글리, 칼빈이 종교개혁을 이룩한 一六세기야말로 또한 큰 은혜의 시대, 구원의 날이었습니다. 그리고 과거 一八, 一九세기를 통하여 또한 하나님께서는 많은 위대한 신앙의 용사들을 보내어 전세계에 복음이 전파케 하였습니다. 이렇게 역사에 있어서도 특별히 은혜 받을만한 때, 구원의 날 곧 하나님의 때가 있습니다.
셋째는, 우리가 사는 二0세기는 어떠합니까? 이 세기야말로 우리가 알고 또한 경험하는 대로 모순과, 혼란의 세기입니다. 광명과 암흑, 희망과 절망, 생명과 사망이 뒤섞인 세기입니다. 고도의 물질문명의 발전으로 인간의 외적 생활에도 큰 변혁을 가져왔고 심지어 달나라까지 내왕할 수 있는 우주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인심은 극도로 타락하여 세계 제一차대전, 二차대전, 나치스운동, 공산당 혁명, 열전, 냉전의 계속으로 이 二십 세기야말로 과거 어느 세기보다도 피비린내 나는 세기요 이 땅을 붉은 피로 물들인 불안과 공포의 세기입니다.
그러나 성경 말씀대로 죄가 많은 곳이 하나님의 은혜가 더욱 풍성하여 이러한 세기에서도 하나님께서는 그 백성을 잊지 않으시고 복음을 계속적으로 온 세계에 확포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더욱이 작년부터 소위 냉전이 점점 쉬고 화해의 무드가 점차로 조성되는 것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또한 금년 초에 그렇게 갈망하던 월남에 평화가 이루어진 것도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축복이라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금년 一九七三년을 맞이하여 영적 견지에서 이 세계를 전망하면 어떠합니까? 미국에서는 과거 六0년대에 대체로 교회가 침체된 모양이었으나 수 년 전부터 교회 내에서 새로운 복음주의 신앙운동이 일어나는 가운데 청년들의 예수혁명이 일어나서 큰 전도운동을 벌이기 시작하였고 듣는 대로 금년에는 전 교회가 총동원하여 미국의 모든 가정을 축호(逐戶)방문전도 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이렇게 볼 때에 금년이야말로 미국에 있어서 큰 은혜의 해가 될 줄 믿습니다.
또한 아프리카에서 오는 소식을 들으면 동부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나이지리아, 리베리아 여러 나라에서 작년부터 크게 부흥운동이 일어났으며 에티오피아에서도 작년 일년내 한 도에서 三만 명이 세례를 받았고 백여 교회가 신설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볼 때에 一九七三년은 아프리카에도 계속하여 큰 은혜가 될 것이 분명합니다. 또한 아시아에서는 특별히 인도네시아에서 과거 수년간에 교세가 배가되어 현재는 기독교도 수가 六, 七백만에 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나라에도 금년이 큰 은혜의 해가 될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전쟁에서 가장 큰 참화를 입은 월남과 캄보디아에서도 새로운 부흥운동이 이미 일어났다고 합니다. 지금은 평화가 회복되었으므로 금년이야말로 큰 은혜의 해가 될 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자! 그러면 좀 더 가까이 와서 우리가사는 이 땅은 어떠합니까? 우리는 특별히 작년부터 이 땅에서 일어나는 몇 가지 사실을 주의 깊게 볼 수 있습니다.
① 남북 적십자를 통하여 일어난 잃은 가족 찾기 운동과 七·四성명을 통하여 시작된 남북의 대화입니다.
② 작년 이후 군대에서 일어난 전군 신자 화 운동, 일시에 수백 명, 수 천명이 세례를 받는 영적 부흥입니다.
③ 수년 내로 우리 한국교계 안에서 점점 화해와 상호 협력의 정신이 조성되는 점입니다.
④ 세계적 대부흥사 빌리 그래함 박사가 금년 五월에 한국에 오셔서 서울뿐만 아니라, 지방 六개 대도시에서 집회를 하여 전국적 부흥운동을 일으키는 사실 등입니다.
이상 몇 가지를 주의깊이 생각할 때에 금년 一九七三년이야말로 하나님의 크신 은혜의 해요, 구원의 날임이 틀림없습니다. 여러분! 근면이야말로 우리 五천만 동포를 복음 화 할 수 있는 하나님의 때입니다. 이 기회에 다음 五월에 열릴 전도대회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장소는 여의도 五·一六광장으로 정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五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저녁 집회에는 서울의 전 교회가 협력하여서 적어도 매일 밤 一0만명 이상 五0만 명, 六0만 명을 예상합니다. 또한 성가대원도 약 六000명이 동원됩니다.
다음 몇 가지를 기억하십시다.
첫째, 이 전도대회야 말로 우리 五천만 동포에게 그리스도를 전파하여 이 땅 위에 자유 민주국가의 기초를 굳게 정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둘째, 이 전도대회를 통하여 전국 교회가 은혜를 받아 부흥하고 배가(倍加) 삼배(三倍)로 될 것은 물론이요 한국 교회는 일치 단결하는 교회로 한국과 세계에 나타날 것입니다.
셋째, 우리는 어떠하든지 이 전도대회를 위하여 최대의 협력을 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그 방법은 무엇입니까?
첫째는 기도입니다.
둘째는 협력과 봉사입니다. 곧 성가대원으로 방문대원으로, 안내원으로 헌신해야 합니다.
셋째는 한 사람 이상씩 불신자를 꼭 이번 대회에 인도하여 전도해야 합니다.
넷째는 이 대회를 위하여 물질도 바쳐야 합니다.
본 대회의 경비는 그들이 자담하고 옵니다. 수십 명이 오므로 그 경비도 상당합니다. 그런데 이곳에서 나는 경비는 우리가 담당합니다. 五·一六광장에서 집회를 하기 위하여 그 시설비만 하여도 六,000명 성가대 석, 조명장치, 확성기 가설 등 계산만 하여도 약 二천六백 만원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 교회에서는 특별히 봉투를 나누어 드렸습니다. 다음 주일에 정성껏 이 은혜의 날을 위하여 물질을 바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기억하십시다. 하나님의 때는 항상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회를 잃으면 다시 찾지 못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이「하나님의 때」 이 은혜의 기회를 잃을 수는 없습니다. 잃으면 우리에게 화가 올 것입니다. 우리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이 때에 기도와 전도와 봉사와 헌금으로 온 정성을 다 바쳐 우리 민족을 구원하며 금생과 내생에 영원한 축복을 받는 나라를 이루어야 합니다. 아멘. (一九七三년 二월 十一일)
?-51 부활과 이적 (고린도 전서 十五장 一-十一절)
『내가 받은 것을 먼저 너희에게 전하였노니 이는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시고 장사 지낸 바 되었다가 성경대로 사흘만에 다시 살아나사』(고전 一五·三-四)
이 기쁜 부활주일 아침에 하나님의 크신 축복이 여러분 위에 임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제가 지난 달 태국에서 집회를 할 때에 질의 시간에 어떤 분이『당신은 부활과 이적을 믿는가? 믿으면 그 이유를 설명하라』하는 질문을 적어온 이가 있습니다. 아마 학생이나 혹은 청년인줄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나는 이 부활과 이적에 대하여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 우리 가운데도 이런 질문을 하고 싶은 이가 있을 듯 합니다. 그러므로 이 시간 이「부활과 이적」의 문제를 잠깐 생각하고자 합니다.
사실 부활과 이적은 동일한 문제입니다. 부활은 가장 큰 이적인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이 시간에 예수 님의 부활을 중심 하여 생각하고자 합니다. 사실 어떤 이는「나는 예수 님의 산상보훈은 믿으나 예수 님의 이적과 부활은 믿기 어렵다」합니다. 나는 그러한 심리를 충분히 이해합니다. 二0세기와 같은 과학시대에 사는 이들로서 이러한 생각을 물론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가볍게 생각하여 넘길 문제가 아니고 좀 더 깊이 생각하여 해결을 지어야 합니다.
첫째, 먼저 이러한 문제는 그 가능성(可能性)을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사는 이 우주에 부활과 이적이 가능할 것이냐 하는 문제입니다. 이것은 철학의 문제입니다. 과학의 문제는 아닙니다. 우리는 오늘 아침도 사도행전을 같이 외웠습니다.『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우리는 다 전능하셔서 천지 곧 이 우주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믿습니다. 이 하나님은 이 우주를 만드시리 만큼 그 능력이 무한하십니다. 이러한 하나님이 원하시면 물론 부활과 이적을 행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존재를 이 우주에서 부인하는 무신론자나 유물론자가 아니면 누구나 부활과 이적의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선 우리는 부활과 이적은 있을 수 있다고 결론을 지을 수밖에 없습니다. 또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자연법칙의 이념 때문에 의심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기억할 것은 살아 있는 것은 언제나 자연법칙을 거슬려서도 무엇을 할 수 있습니다. 물은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 자연법칙입니다. 그러나 산에 있는 나무는 속에서는 땅속에 있던 물이 위로 올라가 잎이 피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습니다. 시계는 산 시간에 六0분씩 가는 것이 자연법칙일 것입니다. 그러나 먼 여행을 다녀 본 이는 다 경험하는 대로 세계를 부득이 몇 시간씩 단번에 돌릴 수박에 없는 때가 있습니다. 표준시간이 변하는 까닭입니다. 자연 법칙도 하나님께서 지으신 것을 기억한다면 이 자연법칙을 초월하는 부활과 이적도 물론 하나님께는 가능합니다. 주님의 말씀과 같이 인간으로서는 할 수 없으나 하나님으로서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이 부활과 이적의 가능성을 긍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둘째는, 그 개연성(蓋然性)을 검토하여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런 일이 있었을 듯 하냐, 혹은 그럼 즉 하냐 하는 문제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수 님의 부활이 있었을 듯 하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예수 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셔서 죽은 사실을 부인하는 이는 없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죽으신 예수 님이 다시 살았을 듯 하느냐 하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하여는 예수 님이 어떤 분이었는가를 생각하면 자연히 해답이 됩니다.
우리는 다 요한 복음 三장 一六절을 기억합니다.『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예수 님은 만민을 죄악 가운데서 구원하시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이 세상에 보내신 그의 독생자이십니다. 예수 님의 신분은 이러한 분입니다. 또 우리는 가이사랴 빌립보에서 있은 베드로의 고백을 잘 기억합니다.『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고백했습니다. 주님은 그리스도 곧 하나님께서 보내신 메시야, 곧 만민의 구주이십니다. 또 우리는 주님이 친히 하신 말씀을 기억합니다.『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말씀하셨습니다. 또한 빌립에게 친히 말씀하시기를『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했습니다. 더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보통 다른 사람이 부활하였다고 하면 물론 믿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님, 곧 하나님의 독생자요, 진리와 생명이 되시는 예수 님이 만민의 죄를 대속하기 위 하야 비록 십자가에 못 박히셔서 죽으셨으나 만민에게 영생이 있음을 보여 주시기 위하여 의레히 부활하셨을 것입니다. 이런 분이 아주 죽을 수는 없습니다. 정녕 사망의 권세를 이기시고 부활하였을 것입니다. 과연 예수 님의 부활의 개연성은 충분합니다. 이렇게 우리는 이 부활의 개연성도 긍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는, 이와 같이 부활의 가능성과 개연성이 인정된다면 그 다음은 그 사실성(事實性)을 찾아볼 것뿐입니다. 이것은 역사 문제이요 여러 가지 역사적 증거를 상고하여 사실 여부를 판단할 것뿐입니다.
① 우리가 성경을 읽는 가운데 발견하는 엄연한 사실 몇 가지가 있습니다. 그 하나는 예수 님께서 악한 무리에게 붙잡혀 십자가로 끌려가실 때에 제자들은 사방으로 흩어졌고 베드로까지도 예수를 모른다고 세 번씩이나 부인하였습니다. 주님이 못 박히신 후에는 이들은 어떤 방에 모여 두려워 문을 걸고 떨고 있었습니다. 그러하던 이들이 며칠 후에는 갑자기 용기를 얻어 예수께서 부활하셨다고 증거하기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생겼습니까? 그들은 부활한 예수를 만났다고 간증하였습니다. 여기에 역사적 문제가 있습니다. 만일 예수 님이 부활하지 않았다면 이 제자들이 어떤 경험에서 그러한 용기를 얻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아닌게 아니라 어떤 이들은 그들의 체험을 단순히 심리적 어떤 현상, 곧 그들이 환상을 보았다고 설명하려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설명은 역시 심리학적 견지에 서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환상이란 개인적으로는 혹 있을 수 있으나 많은 사람이 동시에 볼 수는 없습니다. 오늘 아침 읽은 대로 예수 님은 제자들에게 일시에도 나타나시고 五00여 명에게 같이 나타나신 적도 있습니다.
② 다음은 빈 무덤의 사실입니다. 예수 님의 무덤은 지금도 비어 있습니다. 성지를 순례하는 이는 지금도 빈 무덤만 보고 옵니다. 만일 예수 님이 부활하지 않으셨다면 그 시체는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두 가지 설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그 제자들이 훔쳐다가 어디 묻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이론은 도저히 설 수 없습니다. 이 이론이 옳다면 제자들은 아 거짓 사람들입니다.
거짓말이란 자기에게 유익할 때에 할 수는 있으나 자기 생명까지 바치면서 거짓말을 하는 이는 없습니다. 또한 어떤 이는 원수들이 훔쳐 갔다고 하는 이도 있습니다. 이 이론도 서지 못할 것이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 시체를 반증으로 제자들에게 제시하였을 것입니다. 이렇게 부활의 증거를 막았을 것입니다.
③ 또 하나는 왜 안식일이 변하여 이레 중 첫날, 곧 일요일을 예배일고 지키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제자들은 다 유대인이었습니다. 이들은 모세의 율법대로 토요일로 지켰습니다. 그런데 왜 일요일을 지키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단순한 대답은 예수께서 일요일에 부활하신 까닭입니다. 초대 교인들이 예수 님의 부활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레 중 첫날에 모이게 되었습니다. 또 이날을 주의 날, 곧 주일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부활주일뿐만 아니고 모든 주일이 예수의 부활을 증거 합니다.
④ 기독교회 자체가 예수의 부활을 증거 합니다. 만일 주님이 부활하시지 않았던들 오순절이 없었을 것이요 또한 교회도 이 역사에 나타나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역사적 교회 자체가 주님의 부활을 웅변으로 증거 합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 기독교는 어제, 오늘의 종교가 아닙니다. 수 천년간의 역사적 종교입니다. 역사적 사실에 기초를 둔 종교입니다. 천지를 지으신 전능하신 하나님은 만민을 죄악 가운데서 건지기 위하여 때가 되었을 때에 그 독생자를 이 세상에 보내셨습니다. 이는 역사적 사실입니다. 또한 주님은 만민의 죄를 대속하시기 위하여 십자가 위에서 고난을 받으시고 죽으셨습니다. 이것도 역사적 사실입니다. 역사적으로 모든 성도는 이 사실들을 믿고, 대속하시고 부활하신 주님을 믿는 가운데서 구원을 얻고 금생과 내생에 축복을 받았습니다. 베드로도 그렇게 믿었고, 요한 도 믿었고, 바울도 그렇게 믿었고, 어거스틴도 프랜시스도 루터도 칼빈도 언더우드도 마펫 목사도 그렇게 믿고 일하고 구원을 얻은 것입니다.
우리도 이 사실을 믿음으로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이 부활주일을 당하여 우리 모든 믿는 사람들은 다 같이 목소리를 높여「할렐루야! 우리 주님은 부활하셨다」고 선포하는 것입니다. 부활 주일은 이 슬픔과 사망과 절망과 무덤 속에서 헤 메이는 모든 인간들에게 무덤이 인간의 마지막이 아니고 영원한 생명이 있음을 선포합니다. 부활주일은 이 불의와 죄악과 악마의 세력이 팽팽한 이 세계에서 진리와, 공의와, 자유가 최후 승리를 얻는 사실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이 부활주일은 사망의 권세를 이기신 우리 주님이 지금도 살아 계셔서 죄인을 구원하시고 인류의 역사를 다스리시며 천국의 최후 승리를 위하여 일하고 계심을 또한 선포하는 것입니다. 누구나 일시적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습적으로 회의주의자가 되지 맙시다. 의심하는 자가 무슨 일을 이룬 예는 없습니다. 과거에 모든 성도, 모든 성자, 모든 신앙의 용사들은 다 이 부활의 주님을 믿고 깨끗이 살며 용감히 싸우며 민족과 조국을 위하여 크게 봉사하였습니다. 의심하지 말고 믿읍시다. 부활하신 주님을 오늘 아침 마음속에 영접합시다. 부활하신 주님과 동행합시다. 살아 계신 주님을 모시고 용감히 싸우며 일합시다. 이것이 참된 신앙생활입니다. (一九七三년 四월 二二일)
?-52 마음과 영을 새롭게 하라 (에스겔 十八장 二十五-三十二절)
『너희는 돌이켜 회개하고 모든 죄에서 떠날지어다 그리한즉 죄악이 너희를 패망케 아니하리라 너희는 범한 모든 죄악을 버리고 마음과 영을 새롭게 할지어다 이스라엘 족속아 너희가 어찌하여 죽고자 하느냐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죽는 자의 죽는 것은 내가 기뻐하지 아니하노니 너희는 스스로 돌이키고 살지니라』(겔 一八·三十-三十二)
오늘은 새해 둘째 주일입니다. 새해에는 흔히 새 희망을 가집니다. 복된 해가 되기를 희망하고 서로 기원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깊이 생각할 것은 희망한다고 다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 읽은 본문에『너희는 돌이켜 회개하고 모든 죄에서 떠날지어다 그리한즉 죄악이 너희를 패망케 아니하리라 너희는 범한 죄악을 버리고 마음과 영을 새롭게 하라』고 하였습니다. 그리하면 살겠다고 하였습니다.
새해에 축복 받는 길을 여기에 분명히 보여 주십니다. 곧 돌이켜 회개하라고, 죄를 버리고 마음과 영을 새롭게 하라고 하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오늘 아침 이 말씀이 우리에게 큰 축복이 되시기 바랍니다.
첫째는, 에베소서 四장 二二절에『너희는 유혹의 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구습을 좇는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했습니다. 여기에도『심령으로 새롭게 되어 새 사람을 입으라』고 하셨습니다. 로마서 一二장 二절 말씀에『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하셨습니다. 여기에도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으라고 하셨습니다.
에스겔 三六장 二六절에도『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말씀하셨습니다. 여기 새 영과 새 마음을 주시되 굳은 마음이 변하여 부드러운 마음이 되게 하겠다고 하셨습니다. 문자 적으로 번역하면 여기 굳다는 말은 돌과 같이 굳다는 뜻입니다. 부드럽다는 말은 살과 같이, 곧 아이 살과 같이 부드럽다는 뜻입니다. 여기 하나님께서 우리의 마음이 어떻게 새로워져야 할 것은 구체적으로 가르치셨습니다. 곧 독과 같이 굳은 마음이 부드러운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강퍅한 마음이 온유한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교만한 마음이 겸손한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더러운 마음이 깨끗한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음란한 생각으로 가득 찬 마음이 거룩한 생각으로 가득 찬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이 새해에 우리의 마음이 다 이렇게 새로워지면 새해에는 과연 축복의 새해가 될 것입니다. 마음은 삶의 원천입니다. 불의 한 마음이 의롭게 되고 미움으로 가득 찬 마음이 사랑으로 충만케 되고 간사하고 거짓된 마음이 진실과 정직한 마음으로 변하고 분노로 가득 찬 마음이 화평한 마음으로 새로워질 때 이 새해에는 과연 새로운 축복의 해가 될 것입니다.
「마음과 영이 새로워지라」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재촉하십니다. 모든 죄를 회개하고 먼저 새로운 마음을 가지라고 권고하십니다. 시기와 질투로 가득 찬 마음이 있습니까? 그것을 버리고 관용과 사랑의 마음을 가지라고 재촉하십니다. 고집불통의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까? 이 새해부터는 좀 더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라고 재촉하십니다. 독선주의에 사로잡힌 마음이 있습니까? 이 새해부터는 자기 잘못도 깨달을 줄 아는 겸허한 마음을 가지라고 말씀하십니다.
자기 욕심만 채우는 도둑의 마음을 가진 이가 있습니까? 새해부터 남의 사정을 알고 도울 줄 아는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얼음처럼 냉정한 마음이 변하여 동정과 사랑의 따스한 마음으로 새로워져야 합니다. 그래야 새해에 새로운 축복을 받습니다. 편협 된 마음이 아량 있는 마음으로, 의뢰심으로 가득 찬 마음이 자립정신의 마음으로, 비겁한 마음이 담대한 마음으로, 미련한 마음이 지혜와 명철이 있는 마음으로 변하여 마음과 영이 새로워질 때 이 새해에는 과연 축복의 해가 될 것입니다.
一九七四년은 여러 가지로 전망이 밝지 못하고 흐리게 보인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이 새로워져서 우리 민족이 다 새사람이 되면 많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축복의 해가 또한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새해에 우리 민족이 새로운 은혜를 받아 게으르던 이들이 부지런한 사람이 되고, 도둑질하던 이들이 내 손으로 선한 생업을 하고, 뇌물을 주고받던 이들이 정직한 사람들이 되고, 물건을 속여 팔던 이들이 양심적 인물이 되고, 분쟁과 분열을 일삼던 이들이 서로 협동하고 회평하여 하나가 되게 되면 여러 가지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불구하고 이 해가 축복의 해로 전환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새해에 각각 내 마음을 살펴 회개할 것을 회개하고 마음과 영이 새로워지는 축복을 받아야 합니다.『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예수의 마음을 품는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의 온유와 겸손의 마음을 배워야 합니다. 이것이 이 새해로 하여금 축복의 해로 전환시키는 길입니다.
사랑하는 교우 여러분, 이 교회에 들어올 때는 어떠한 마음으로 오셨든지 나가실 때는 새로워진 마음으로 나갑시다.
둘째는, 이 새해에 야고보서 一장 十五절을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여기 경고의 말씀이 있습니다. 욕심을 삼가야 합니다. 그래야 죄를 짓지 아니하고 사망 대신에 축복을 받습니다. 욕심이란 분수에 넘는 혹은 도에 지나치는 욕망을 의미합니다. 아담과 하와가 그 아름다운 에덴 동산에서 평안히 살며 그 많은 맛있는 과실들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선악과 하나만 먹지 말라고 경고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하와와 아담은 뱀의 유혹을 받아 그것까지 먹고 싶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욕심입니다. 그 욕심으로 말미암아 그만 죄를 짓고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이야기는 우리가 잘 아는 일화입니다.
욕심 가운데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제일 큰 욕심은 세 가지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첫째로 정욕 혹은 음욕입니다. 이것 때문에 옛날이나 오늘이나 범죄하고 쓰러진 이들이 많습니다. 각종 범죄와 치정 살인사건이 우리 사회에서도 매일같이 일어납니다.
구약 인물 중에도 삼손 같은 이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었으나 이 정욕에 끌려 이방여인을 사랑하고 마지막에는 패망하고 말았습니다. 이 정욕을 삼가야 합니다. 이것을 오래 품지 않아야 합니다. 곧 잉태가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그래야 죄에 빠지지 않습니다.
둘째로 탐욕 혹은 물욕입니다. 이것 때문에 범죄 하는 이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사회가 얼마나 어지럽게 됩니까? 성경 인물 가운데도 가룟 유다 같은 이는 이 욕심 때문에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이었으나 결국은 멸망하였습니다.『돈을 사랑하는 것이 일만 악의 뿌리』라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우리 한국에서 내려오는 속담에도『사람의 욕심이 땅보다도 더 두껍다』고 합니다. 이 욕심을 삼가야 죄에 빠지지 아니합니다.
셋째로 권력욕 혹은 지위 욕입니다. 이 욕심 때문에 사람이 모인 곳, 다시 말하면 어떤 단체나, 기관이나, 조직이나, 회사나, 학교나, 관청을 불문하고 온갖 시기와 쟁투와 분열의 소동이 일어납니다. 이조 오 백년 사를 읽어보십시오. 이 욕심 때문에 얼마나 많은 추태와 골육상쟁(骨肉相爭)과 유혈의 비극이 있었습니까? 성경 역사에도 압살롬 같은 자는 아버지 다윗 왕의 위를 빼앗기 위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망하고 말았습니다.
새해에 축복을 받으려면 이런 모든 욕심을 삼가야 합니다.『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는다』고 하였습니다. 욕심은 죄의 알입니다. 이 알을 오래 마음속에 품고 있으면 마지막에는 알이 까서 결국은 죄를 낳고 맙니다. 이 뱀의 알과 같은 욕심을 삼가는 것이 축복을 받는 길입니다.
셋째는, 베드로 전서 五장 八절 말씀에『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 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게 하여 저를 대적하라』하였습니다. 금년에 축복 받는 생활을 하려고 하면 졸지 아니해야 합니다. 깨어 있어야 합니다. 우리 원수 마귀는 자지 아니합니다. 자지 않고 다니며 삼킬 자를 찾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신앙의 무장을 튼튼히 하고 믿음을 굳게 하여 저를 대적하여야 합니다. 졸다가, 자다가 마귀에게 삼 키운 영혼들이 많습니다.
어떤 자가 잠자는 약을 먹이고 물건을 도둑질하여 갔다는 말이 있습니다. 자다가는 영혼을 도적 당하기 쉽습니다. 유혹은 예고 없이 옵니다. 갑자가 침노합니다. 그러므로 깨어 있으라고 성경은 항상 경고합니다. 인간은 약합니다. 또 누구나 특별히 약한 방면이 있습니다. 그 방면은 미리 알고 항상 깨어 튼튼히 방어해야 합니다.
옛날 에서 같은 이는 그 약한 면이 특별히 먹는데 있었습니다. 그 면을 잘 막지 못하였으므로 팥죽 한 그릇에 그만 장자의 권리를 팔았습니다. 전에 노아 같은 이도 역시 그 약점이 먹는데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만 술을 많이 먹고 자다가 큰 수치를 당하였습니다. 솔로몬 같은 이는 그 약한 면이 정욕입니다. 그러므로 이것 때문에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전에 롯 같은 이는 그 약한 면이 푸른 풀밭, 곧 물욕이었습니다. 이 방면을 잘 막지 못한 때문에 그만 소돔성에서 살다가 큰 재난을 입고 아내까지 잃었습니다.『누구나 지옥에 가는 사다리가 있다』하는 속담이 있습니다. 항상 개어 내 자신의 약점을 미리 알고 이 방면을 침입하는 모든 유혹과 시험을 막아야 합니다. 내 약점이 무엇인가 스스로 살펴 이 방면으로 범죄하지 않도록 깨어 기도합시다.
그리고 이미 말한 대로 우리 인간은 약함으로 할 수만 있으면 우리를 유혹으로 인도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혹으로 인도하는 환경, 친구, 사업, 오락, 음악, 책, 거리, 무엇이나 유혹으로 가는 길이면 멀리 하는 것이 지혜롭습니다. 낚시 미끼에 뱅뱅 도는 고기는 위험합니다. 물기 쉽습니다. 잡히기 쉽습니다. 특별히 피하려고 하여도 부득이 그런 환경에 설 때가 혹 있습니다. 가령 부득이한 객지생활, 좋지 못한 환경, 직장 등 이러한 환경에 처할수록 더욱 깨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一九七四년이야말로 개인적으로 보나, 국가적으로 보나 근신하고 깨어 있을 때입니다. 원수 마귀와 간첩들은 자지 아니합니다.
이 새해를 당하여 마음과 영이 새로워지는 은혜를 받읍시다. 그리고 우리는 매일 새로워지는 은혜를 계속하여 받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매일 읽는 가운데 우리의 마음이 늘 새로워집니다. 매일 무시로 항상 하나님께 기도하는 가운데 우리의 마음이 새로워집니다. 그리고 기도를 통하여 성령을 충만히 받는 가운데 그리스도와 동행할 수 있고 이런 생활을 통하여 우리의 마음이 날로 새로워집니다. 또한 우리는 특별히 일상생활에서 욕심을 삼가고 항상 깨어서 유혹과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아주 중요한 것은 새로운 마음과 영으로 주님을 적극적으로 봉사합시다. 곧 복음을 전파하며, 교회 안에서 각 방면으로 봉사하며, 우리 지역사회와 우리 이웃들을 위하여 모든 방면에 헌신하며, 우리 나라를 바르게 세우고 튼튼히 세우는 모든 애국운동에 헌신하고 노력할 때에 과연 一九七四년은 우리 개인이나, 가정이나, 교회로나, 국가적으로 축복의 해가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러한 이들을 반드시 축복하십니다. (一九七四년 一월 十三일)
?-53 한국교회와 외국선교 (사도행전 十三장 一-五절)
『주를 섬겨 금식할 때에 성령이 가라사대 내가 불로 시키는 일을 위하여 바나바와 사울을 따로 세우라 하시니』(행 十三·二-三)
안디옥 교회는 처음으로 세계 선교를 시작하였습니다. 바울과 바나바를 당시 세계인 로마제국을 향하여 보냈습니다.
제一세기 기독교회는 물론 처음에 예루살렘에서 시작되었으나 즉시 온 세계에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예수 님 제자들도 유대뿐만 아니고 온 세계를 향하여 복음을 들고 나갔습니다. 이리하여 마태와 안드레는 파사에, 도마는 인도에, 마가는 애굽에까지 친히 선교를 하였습니다.
첫째는, 기독교는 본질적으로 세계적인 종교입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셨는데 그 목적은 물론 이스라엘 민족만을 구원하고자 함이 아니요 전 세계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큰 목적이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처음에 아브라함을 부르신 것도 그와 그 자손만 구원하고자 함이 아니었습니다.
창세기 十二장 三절 말씀에『땅에 있는 모든 족속들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받으리라』하셨습니다. 모든 족속 곧 세계 인류를 뜻합니다. 창세기 二十六장 四절에도 하나님께서 이삭에게 말씀하시기를『네 자손을 인하여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창세기 二十八장 十四절에도 하나님께서 야곱에게『땅의 모둔 족속이 너와 네 자손을 인하여 복을 얻으리라』하셨습니다. 이사야 四十五장 二十二절에『땅 끝의 모든 백성아 나를 앙망하라 그리하면 구원을 얻으리라』말씀하셨습니다. 이 모든 구절은 모두 기독교의 세계적 사명을 명시합니다.
구약뿐이 아닙니다. 신약도 역시 그러합니다. 누가복음 二장 十절에 천사가 목자들에게 이르기를『무서워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하였습니다. 그 소식은 다른 소식이 아니고 다윗의 동네에 그리스도께서 나셨다는 기쁜 소식입니다.
요한 복음 三장 十六절에『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하셨는데 여기 세상이라는 말은 곧 세계란 말입니다. 온 세계를 가리킵니다. 온 세계를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셨습니다. 요한 복음 八장 十二절에『너희는 세상의 빛이니』하였는데 이것도 역시 세계의 빛이란 뜻입니다. 곧 우리는 온 세계에 빛을 비칠 의무가 있습니다. 마가복음 十六장 十五절에는 주님께서 친히『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명령하셨습니다.
사실 사도행전은 이 명령대로 사도들이 준행(遵行)한 세계 선교의 역사입니다. 그리고 신약에 수록된 많은 서신들이 세계 각처에 산재한 교회에 보낸 서신들입니다.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로마서, 고린도 전후서, 갈라디아서 여러 서신들이 있습니다. 또한 신약전서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 七장 九절에는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아무라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흰옷을 입고 손에 종료 가지를 들고 보좌 앞과 어린 양 앞에 서서』이러한 구절이 있습니다. 이것은 세계적 구원이 장차 성취될 예언이기도 합니다. 기독교는 이렇게 처음부터 세계적 이상을 가지고 세계적 목표, 곧 전 일류의 구원을 향하여 전진하는 종교입니다.
둘째는, 기독교의 본질이 그러하므로 교회가 이 사명에 충성하여야 교회 자체가 은혜를 받습니다.
처음 三세기 가에는 교회가 이 사명에 충성하였으므로 핍박과 환난 중에서도 하나님의 은혜가 충만하였고 진흥하고 발전하여 결국은 당시의 전 로마제국 영적으로 정복하였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가 된 이후로는 이 세계적 사명을 잊어버리게 되었고 따라서 교회는 세속화되고 교회 내부는 분쟁과 분열이 계속되었고 결국은 무력한 교회로 화하였습니다. 세계 선교의 비전이 없는 교회는 결국 스스로 부패하여지는 것입니다. 또한 근세 수 세기간 서구와 동구의 기독교를 비교하여 보면 서구에서는 신구 양 교파가 같이 세계 선교에 매진하였으므로 교회는 계속 발전하였으나 동구의 교회, 곧 희랍정교회는 세계 선교에 거의 관심이 없습니다. 따라서 교회는 내부적으로 점점 부패하여 대중으로부터 외면을 당하게 되었고 二十세기에 접어들면 서는 이 지역 교회는 대부분 공산당에게 거의 파멸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은 우연이 아닙니다. 교회는 세계 선교의 비전을 잃으면 결국은 그 자체의 부패와 파멸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복음은 옛날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를 지날 때에 특별한 은혜로 받은 식량인 만나 와 같아서 그냥 두면 썩어지고 맙니다. 등불을 말 아래 두면 역시 꺼지고 맙니다.
한국교회가 一九一二년 제一회 총회가 시작될 때에 중국 산둥성에 선교사 三명을 파송(派送)한 것은 실로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서 당시 현명한 지도자들의 큰 공헌이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한국교회는 그 위대한 전통을 올바로 계승하지 못하였습니다. 물론 여러 가지 사정도 없지 않으나 해방 후 남한에서 이만큼 교세 발전을 보면서 아직도 세계선교에 대한 눈을 분명히 뜨지 못한 것은 실로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현재 우리 통합 측 장로교회에서 실지로 외국인들에게 전도하기 위하여 파송된 선교사는 五, 六명에 불과합니다. 인도네시아 三인, 월남 一인, 대만 二인, 그러나 대만에 있는 우리 선교사들은 그곳 한국인에게도 역시 전도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회가 선교 一00주년을 앞두고 스스로 돌아볼 때에 아직 위대한 외국 선교사가 일어나지 못한 것은 실로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개인도 그러한 것과 같이 교회도 내향적인 교회가 되어서는 아니 됩니다. 외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발전합니다.
우리는 물론 우리 민족을 구원할 큰 의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五천만 복음 화 운동이 일어나는 것은 감사한 일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만 그치면 아니 됩니다. 우리는 넓은 밭을 보아야 합니다. 넓은 아시아, 제 三세계, 아니 전 세계의 넓은 밭에 나가 복음의 씨를 뿌려야 합니다. 한국의 교역자들은 이 넓은 밭의 비전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한국교회가 우리 민족도 구원하고 전 세계 인류도 구원하는 하나님의 밝은 진리의 등대가 될 것입니다. (一九七四년 一월 三十一일)
?-54 억지의 십자가 (마가복음 十五장 二十一-三十二절)
『마침 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비인 구레네 사람 시몬이 시골로서 와서 지나가는데 저희가 그를 억지로 같이 가게 하여 예수의 십자가를 지우고』(막 十五·二十一)
오늘 읽은 성경 본문은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우리 주님께서 빌라도 법정에서 불의 한 정죄(定罪)를 받고 군사들에게 끌려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로 올라가는 장면입니다.
요한 복음에 의지하면 주님께서 처음에 십자가를 홀로 지고 언덕길을 걸어서 올라가기를 시작하였으나 여러 번 쓰러지셨습니다 오래 가지 못하고 끌려 다니며 많은 육체적 심리적 고난을 받은 까닭인 줄 생각합니다.
이렇게 군사들이 주님께 십자가를 메우고 골고다로 올라갈 때에 물론 많은 사람들이 길 좌 우편에 몰려 왔습니다. 그 가운데는 주님을 아는 이들도 더러 있었지만 대부분 알지 못하는 무리 인 줄 생각됩니다. 그 무리 가운데 멀리 아프리카 북방 구레네 지방에 사는 유대사람 시몬이라고 하는 이가 있었습니다. 아마 이 분은 비록 멀리 외지에 살지만 경건한 유대인으로 유월절을 예루살렘에서 지키기 위하여 올라온 모양입니다. 그리하여 그 날 아침 아마 성전에 올라가기 위하여 여관에서 나와 길을 가다가 많은 무리가 모인 것을 보고 구경하려 잠깐 멈추어 예수 님 행렬 가까이 왔던 모양입니다. 그 때에 로마군인 하나가 갑자기 그를 붙들고 억지로 예수 님의 십자가를 지우고 같이 가기를 명령하였습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로마의 식민지 백성으로 로마군인들이 언제나 마음대로 강제 부역을 시키던 때입니다.
그리하여 이 구레네 시몬은 그 무거운 십자가를 대신 지고 골고다에까지 올라갔습니다. 이렇게 억지로 남의 십자가를 대신 지고 올라가는 시몬의 심정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는 속으로 매우 불평하였을 것입니다.『오늘 참 재수 없는 날이다』하고 탄식하였을 것입니다. 수고도 수고려니와 당시에 십자가를 진다고 하는 것은 실로 패역(悖逆)무도한 죄수들만 지는 것으로서 부끄럽기가 한량없었을 것입니다. 더욱이 성전에도 가지 못하고 그런 일을 당하게 되었으니 생각할수록 분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할 수 없이 그 무거운 십자가를 땀을 흘리며 지고 골고다에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러나 그 후에 어떻게 되었습니까?
오늘 읽은 마가복음에 기록한 대로 그는 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버지라 하였습니다. 이렇게 쓴 것을 보니 담시 교회 안에서 알렉산더와 루포를 잘 알던 모양입니다. 또한 로마서 十六장 十三절에는 바울이 로마교회에 편지할 때에『루포와 그 어머니에게 문안하라 그 어머니는 내 어머니라』하였습니다. 이 구절로 미루어 보면 그의 아들 루포는 그 때에 로마에 살았으며 잘 믿을뿐더러 그 어머니는 바울을 잘 도운 여인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사도행전 十三장 一절에 보면 안디옥 교회에 선지자들과 교사들이 있어서 금식하며 기도하는 가운데 바나바와 사울을 따로 택하여 전도하려 보내라는 성령의 지시를 받고 그들을 안수하여 보내었는데 그 선지자와 교사 가운데 둘째로 쓰여진 이름이 니게르라 하는 시므온입니다. 이 시므온은 시몬과 같은 임물이요 니게르라 하는 뜻은 검다는 뜻인데 구레네는 아프리카 북방이므로 열대지방이어서 시몬은 그 얼굴이 다른 이들보다 좀 검었던 모양입니다. 다시 말하면 여기 이 시몬은 독 예수 님의 십자가를 대신 진 시몬이라고 학자들이 생각하며 또한 믿을만한 전설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억지로 주님의 십자가를 진 시몬은 잘 믿는 독실한 그리스도인이 되었습니다. 그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이 주를 믿게 되었습니다. 그가 예수 님의 십자가를 대신 지고 가면서 그는 주님의 모습을 자연히 살폈을 것입니다. 자기를 위하여 우는 여자들을 향하여『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하여 울지 말고 너와 너의 자녀를 위하여 울라』하는 주의 음성도 들었을 것입니다. 더욱이 십자가 위에서 자기를 못 박는 이들을 위하여『이들이 알지 못하여 이런 일을 하오니 이들의 죄를 사하여 주옵소서』하는 기도도 들었을 것입니다. 또한『다 이루었다』하는 말씀과 같이 해가 어두워지며 바위가 터지는 큰 징조도 목도하였을 것입니다. 이 모든 경험은 그로 하여금 자기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구주로 믿게 하였습니다.
믿은 후에 그가 억지로 진 십자가를 어떻게 생각하였겠습니까? 한 마디로 감사히 생각하였을 것입니다. 주님이 자기 죄를 위하여 십자가를 지셨는데 그도 주님을 도와 잠깐이라도 십자가를 진 것이 얼마나 감격 히 생각되었을 것입니까! 그 때에는 실로 굴욕적이었으나 그 후에는 얼마나 큰 영광된 일이었습니까! 사실 구레네 사람 시몬은 한 무명의 순례자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십자가를 졌으므로 말미암아 문자 그대로 그는 불멸의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억지와 굴욕의 십자가는 감사와 영광의 십자가로 변한 것입니다.
첫째는, 성경을 읽으면 억지로 십자가를 진 이들은 구레네 시몬만은 아닙니다. 구약에서도 더러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가령 우리는 요셉의 이야기를 잘 기억합니다. 그는 행복 된 가정에 태어나 부모의 총애를 받으며 편안히 단락 한 가정에서 자라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소년시절에 형들의 시기를 받아 갑자기 큰 억지의 십자가를 지게 되었습니다. 일조에 종으로 팔려서 멀리 애굽으로 어린 몸이 그려가게 되었습니다. 가정에서 온갖 사랑을 받던 소년은 갑자기 남의 집에 종이 되어 새벽부터 저녁까지 여러 가지로 고역을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요셉도 물론 처음에는 마음에 큰 불평과 분노를 가졌을 줄 생각합니다. 그러나 가는 하나님을 의지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꾸준히 시위대 장관 보디발의 집에서 종노릇을 잘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수 년 후에는 주인의 심임을 얻어 그 가정의 모든 일을 관리하는 가정 총무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호사다마라고 그 때에 보디발의 아내를 통하여 젊은 요셉에게는 큰 정욕의 시험이 들어왔습니다.
그러나 그는 오직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신앙으로 담대히 이겼습니다. 불행하게고 그 결과는 음란과 투기로 가득 찬 여인의 미움을 받고 억울한 누명을 쓰고 그만 감옥에까지 던짐을 받았습니다. 말하자면 두 번째 억지의 십자가를 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믿음으로 모든 것을 참으며 죄수로서 가장 착한 죄수가 되었습니다. 마지막에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갚아 주신 것을 여러분이 잘 아시는 바입니다.
요셉도 역시 억지의 십자가를 두 번씩이나 졌으나 그는 믿음으로 굴욕과 고통의 십자가를 축복과 영광의 십자가로 바꾸었습니다.
요셉뿐이 아닙니다. 우리는 동방의 의인 욥의 이야기를 압니다. 그는 실로 다복한 분이었습니다. 재산도 많았고 자녀도 십 남매나 되었습니다. 그러나 가는 갑자기 일조에 큰 환난을 당하여 재산도 사라졌고 그 아름답던 자녀들까지 잃게 되었습니다. 보통 십자가가 아니라 실로 인간으로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고통의 십자가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가운데서도 낙심하지 아니하고 반항하지 아니하고 많은 번민(煩悶)과 고뇌(苦惱) 가운데서도 끝까지 신앙을 지키며 하나님을 탐구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이 말할 수 없는 고통을 통하여 마지막에는 하나님의 음성을 친히 들었고 그 심령이 하나님을 뵙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모든 다른 방면의 축복도 갑절이나 받았습니다. 욥이 진 억지의 십자가도 결국은 감사와 영광의 십자가로 변하였습니다.
둘째로, 인생항로에는 억지의 십자가를 질 때가 있습니다. 어떤 이는 평소에 건강하였으나 불의의 사고를 만나 가령 자동차 사고 등을 만나 크게 부상하여 그만 오랫동안 자리에 누워서 치료를 받을 수밖에 없게 됩니다. 어떤 이는 불치의 병으로 말미암아 혹 일생을 불구의 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어린이들은 어렸을 때에 부모를 잃고 일생을 고아로 살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젊은 자매들은 젊어서 남편을 읽고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홀로 고생하면서 살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이들은 늙어 기력은 쇠약하여졌는데 부양할 자녀가 없습니다. 어떤 이들은 남달리 고독의 십자가를 지고 살아갑니다. 또한 어떤 이들은 큰 슬픔의 십자가를 지니고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개인뿐만 아니라 우리는 민족적으로, 국가적으로 또한 남달리 억지의 십자가를 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민족은 남달리 三八선이라는 진실로 무거운 억지의 십자가를 모두 지고 살수밖에 없습니다. 이 三八선의 십자가로 말미암아 얼마나 많은 눈물, 얼마나 많은 피가 이 땅을 적시었는가는 오직 하나님만 아실 뿐입니다. 이 억지의 십자가는 지금도 모든 방면으로,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군사적으로 우리 어깨를 무겁게 누르고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중동사태 이후로 우리 나라뿐만 아니고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유류 파동과 물가고와 거기에 따르는 모든 무거운 짐을 지고 허덕이고 있습니다. 실로 이것도 억지의 십자가입니다. 중동사태가 사실 우리 나라와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그러나 세계는 이미 좁아졌습니다. 지구 한 모퉁이에서 되는 일이 온 세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오늘의 인류는 개인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모두 이 억지의 십자가 아래서 심음하고 있습니다.
셋째는, 여러분 오늘 우리가 인간으로서 당하는 가장 큰 문제 중에 하나는 우리가 이 억지의 십자가를 어떻게 지느냐, 어떤 태도로 질 것인가, 무엇으로 질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이미 말하였지마는 욥의 가정에 큰 환난의 십자가가 미칠 때에 욥의 아내는 욥에게 이렇게 말하였습니다.『당신이 그래도 자기의 순전을 굳게 지키느뇨,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하였습니다.
여기 십자가를 지는 데 대한 욥의 아내의 태도가 있습니다. 곤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 다시 말하면, 욥의 아내는 낙심하였습니다. 또한 분노하여 반항하였습니다. 사실 억지의 십자가가 누를 때에는 이렇게 대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불평하며 낙망하여 자포자기하고 반항합니다. 또한 어떤 이들은 자살까지 합니다. 이런 이들을 볼 때, 우리는 실로 양해할 수 있고 동정할 수 있고 민망히 여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기억할 것은, 이것은 신앙의 태도가 아닙니다. 이러한 태도로 나가면 결국은 내 자신이 파멸을 당할 것뿐입니다. 이것은 개인도 그러하고 한 민족도 그러합니다. 이런 태도는 분명히 잘못된 태도입니다.
그러면 이 억지의 십자가를 옳게 지는 길은 무엇입니까? 욥의 아내의 말에 욥이 대답한 말을 분명히 들으세요.『그가 이르되 그대의 말이 어리석은 여자 중 하나의 말 같도다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재앙도 받지 아니하겠느뇨』하고 이 모든 일에 욥의 입술로 범죄 치 아니하였습니다. 욥은 그런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믿는 신앙으로 그 무거운 십자가를 진 것입니다.
곧 우리가 어찌하여 무거운 십자가를 져야 되는지 깨닫지는 못하지만 그러한 가운데서도 오직 하나님의 섭리와 경륜을 믿고 그의 공의와 사랑과 자비를 의지하면서, 이 신앙으로 오는 힘으로 그 십자가를 꾸준히 지고 가야 합니다. 우리는 곧 신앙과 인내와 용기로서 꾸준히 그 무거운 십자가를 지고 가야 합니다. 이것이 욥 뿐만 아니고 모든 성도들과 성자들과 순교자들이 가진 태도이었습니다. 또 하나님께서는 이와 같은 성도들에게 금생에 그렇지 않으면 내생에 반드시 이 고통의 십자가가 변하여 기쁨과 행복과 영광의 십자가로 바꾸어 주십니다.
오늘 우리 가운데도 남달리 무거운 억지의 십자가를 지고 가는 이들이 계신 줄 압니다. 낙심하지 말고 반항하지 말며 나를 위하여 십자가를 질뿐더러 십자가에 달려서 고난을 받으신 주님의 모습을 바라보고 인내와 용기로서 주님 주시는 능력으로서, 꾸준히 주님의 말씀과 같이『십자가를 지고 그를 따라』하야 하겠습니다.
십자가를 지고 가는 길은 주님도 가신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다.
(一九七四년 二월 十일)
?-55 오천만 복음화를 위한 새로운 헌신 (이사야 六장 一-八절)
『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은즉 이르시되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 그때에 내가 가로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사 六·八)
오늘 저녁 읽은 성경 본문은 선지가 이사야의 소명과 헌신에 대한 기록입니다. 선지자 이사야는 자기가 젊었을 때에 가졌던 영적 체험을 여기에 기록한 것입니다.
오늘 저녁 이사야 선지자의 소명과 헌신을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축복하여 주시기를 빕니다.
첫째는, 그의 비전입니다.『웃시야왕이 죽던 해에 본즉』이렇게 회고하였습니다.
웃시야왕은 유대 역대 제왕 중에 매우 유능한 왕으로서 五十여 년간 오래 다스린 왕입니다. 그는 불행하게도 말년에 한 가지 실수로 최후에는 문둥이가 되어 죽었으나 국민들에게는 충격이요 국가적으로는 큰 손실이었습니다. 바로 그 해 곧 주전 七四0년에 청년 이사야는 성전에 올라가서 아마 조용히 기도하는 중에 한 큰 비전을 보았습니다. 여기 기록한 대로『주께서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신 것을 보았다』고 했습니다.
또한 사도 요한 은 요한 복음 十二장 四十一절에『이사야가 이렇게 말한 것은 주의 영광을 보고 주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하였습니다. 곧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사야는 삼위일체의 한 분이신 그리스도, 곧 세상에 강림하시기 전 그 영광의 모습을 본 것입니다. 주께서는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신 것입니다. 곧 주님은 하늘과 땅 그 위에 모든 것보다도 더 높으시고 시간과 공간과 모든 변천을 초월하시는 하나님, 또한 보좌에 앉으셔서 온 우주와 인간을 다스리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으로 나타나셨습니다. 그리고『그 옷자락은 성전에 가득하였다고』하였습니다. 그의 옷자락은 곧 그의 능력을 온 성전, 곧 우주에 미친 것입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스랍들이 모여 섰는데 각기 여섯 날개가 있어 그 둘로는 얼굴을 가리었고 그 둘로는 그 발을 가리었고, 그 둘로는 날았다고 하였습니다. 스랍이란 뜻은 불타는, 빛나는 아들이란 뜻입니다. 곧 빛나는 천사들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두 날개로 얼굴을 가리우고 두 날개로 발을 가리운 것은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서 그들도 감히 얼굴을 드러내지 못하는, 곧 경외하는 뜻인 줄 압니다. 그러면서 이 스랍들이 창화(唱和)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곧『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 군의 여호와여 그 영광이 온 땅에 충만(充滿)하도다』하였습니다. 여기 세 번 거룩하다는 뜻도 있거니와 또 삼위일체를 각각 찬양하는 의미도 있다고 합니다. 거룩하다는 뜻은 본래 베인다는 곧 온전히 갈라진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은 속된 것과 온전히 성별(聖別)되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거룩하다는 뜻은 가장 순결하고, 가장 완전하고, 가장 깨끗함을 의미합니다. 하나님께서는 한 점의 흠도 없습니다. 오직 거룩합니다.
그리고 여기 만 군의 여호와라고 찬양하였습니다. 그 뜻은 하나님을 천군 천사, 우주만물, 모든 권세를 통할 지휘하시는 여호와이심을 의미합니다. 그리고『그 영광이 온 땅에 충만하도다』하였습니다. 이 말씀은 현재에도 사실이거니와 장차 올 새 하늘과 새 땅도 의미함인 줄 압니다. 현재의 땅은 혹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우는 곳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장차 그 영광이 온 땅에 충만할 때는 반드시 옵니다. 여기에 우리 신자들의 소망이 있습니다.
이 스랍들의 이러한 웅장한 찬송으로 말미암아 문지방의 터가 요동하며 집에 연기가 충만하였다고 합니다. 곧 이 우주는 하나님께 대한 찬양으로 충만하며 하나님은 또한 어디나 임재하는 진리를 가르칩니다. 이렇게 이사야는 신령한 눈으로 지극히 높고, 거룩하시고, 영광스럽고 전능하신 주 하나님을 뵙게 된 것입니다.
둘째는, 얼른 생각하면 이러한 하나님을 뵙게 되었으니 얼마나 기쁘고 감사할 것인가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사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러하신 하나님 앞에 서게 될 때에 그는 큰 공포에 쌓이게 되었습니다. 왜냐 하면 그는 이러하신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살필 때에 그는 자기의 죄를 깨달은 것입니다. 그리하여 그는 외쳤습니다.『화로다 나여 망하게 되었도다』이렇게 부르짖었습니다. 큰 두려움이 곧 사망의 두려운 생각이 되어 그의 마음에 사무쳤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자기의 죄를 솔직히 고백하였습니다.『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입술이 부정한 백성 중에 거하면서 만 군의 여호와이신 왕을 뵈었음이로다』했습니다. 그는 특별히 자기의 입술이 부정함을 고백하였습니다. 물론 마음과 모든 행실이 다 부정한데 육체 어느 부분보다도 입술로서 먼저 죄를 짓기 쉬운 까닭인 듯 합니다.
지극히 거룩하신 하나님을 신령한 눈으로 보는 사람은 누구나 이렇게 자기의 죄를 먼저 깨닫고 고백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예수 님의 비유 가운데 두 사람이 성전에 들어와 기도를 합니다. 하나는 바리새인이요 하나는 세리였습니다. 바리새인은 기도를 하면서도 자기 자랑만 하였습니다. 나는 안식일을 잘 지키고 십일조를 그리며 세리와 같지 않다고 감사하였습니다. 한마디로 이 바리새인은 기도하러 성전에 들어왔지마는 사실 그는 하나님을 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 앞에서도 제 자랑만 하였습니다. 그러나 세리는 감히 가까이 오지 못하고 멀리 서서 기도한 것도 그는 그 신령한 눈으로 하나님을 본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감히 얼굴을 들지 못하고 손으로 가슴을 치며 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시옵소서 부르짖은 것입니다.
이렇게 이사야도 하나님을 뵈올 때 자기가 죄인임을 깨닫고 그 죄를 고백하였습니다. 감사한 것은 죄를 고백하자마자 그 스랍의 하나가 화저(火箸)로 단에서 취하여 핀 숯을 손에 가지고 와서 그것을 그 입에 대며 말하기를『보라 네 악이 제하여졌고 네 죄가 사하여졌느니라』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죄를 고백하자 사죄의 축복을 받았습니다. 그 축복은 하나님의 제단으로부터 온 은혜입니다. 이 하늘의 제단은 세상 사람들의 죄를 지고 간 어린양의 제단인 것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곧 속죄는 어린양이신 예수그리스도와 십자가로 말미암아 지극히 거룩하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그 신령한 눈으로 보았고 또한 그의 죄의 고백과 같이 사죄의 축복을 받아 새 사람이 된 것입니다.
넓은 의미에서 누구나 오직 이런 경험을 통하여 새 사람이 되고 거듭나고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입니다. 곧 하나님에 대한 비전을 먼저 보아야 합니다. 그 앞에서 내 자신을 살펴 죄를 고백하고 오직 하나님의 다들인 예수를 믿음으로 죄 사함을 받아야 합니다.
셋째는, 이렇게 새로워진 청년 이사야는 그 신령한 귀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명심하세요. 이렇게 새 사람이 된 후에야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은 즉 이르시되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높이 들린 보좌로부터 거룩하신 하나님의 음성이 들려왔습니다. 일터를 놓고 일꾼을 부르는 음성입니다. 내가 누구를 보낼까,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까 여기 우리란 말은 여러 천사들과 같이 의논하는 이도 있고 또는 삼위일체간에 곧 성부, 성자, 성신을 의미한다고도 해석합니다. 하여간 여기 일꾼을 부르는 하나님의 간절한 음성이 있습니다. 분명한 부름이 있습니다. 긴급한 복음입니다.
여러분, 우리가 사실 신령한 눈으로 하나님을 뵈옵고 또 그 앞에서 죄 사함을 받아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으면 그 다음에는 신령한 귀가 열립니다. 전에 듣지 못하던 하나님의 음성, 곧 하나님의 부르시는 음성을 듣게 됩니다.
일찍이 모세도 시내산 기슭 가시덤불에서만 본 것이 아닙니다. 불타는 가시덤불을 통하여 하나님의 임재를 직감할 때에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그 음성은 간단히 애굽에 돌아가 내 백성을 구하라 함이었습니다.
사도 바울도 다메석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의 얼굴만 뵌 것이 아닙니다. 주의 부르시는 음성을 들었습니다. 한 마디로 이방의 사도가 되어 복음을 전하라 함이었습니다.
우리가 다 신령한 눈으로 하나님을 뵈었습니까? 주님의 보혈로 죄 사함을 받아 새사람이 되었습니까? 그러면 우리도 신령한 귀가 열러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할 것입니다.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여기 하나님의 일이 있습니다. 이 일터를 놓고 일꾼을 부르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지금 우리가 사는 이 땅, 이 삼천리강산을 내려다보시면서 일꾼을 부르십니다. 이 땅에 하나님의 일이 많습니다. 할 일이 많습니다 치산치수(治山治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산에 나무를 심어야 하겠고, 하천도 개수하여야 합니다. 길도 닦고, 다리도 놓으며 촌토(寸土)라도 개척하여 식량도 증산하여야 하겠습니다. 더욱 더 三八선도 철폐하고 통일도 가져와야 하겠습니다. 실로 할 일이 많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이것이 다 할 일이나 제일 먼저 하나님께서 이 땅에서 꼭 하시기를 원하는 일이 무엇인가 생각하여 보세요. 그것은 이 땅위에서 죄를 없이하고 이 백성을 깨끗케 하여 그 불멸의 영혼을 구하는 일입니다. 그러므로『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 의를 구하라』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의 첫째 사명은 복음전파입니다.『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하셨습니다. 먼저 예루살렘에서 시작하고 온 유대에 미쳐야 합니다. 그러므로 먼저 우리는 五천만 복음 화의 기치를 높이 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목적으로 특별히 이 한국에 전도의 문을 크게 열어 놓으시고 일꾼을 부르십니다. 교회만이 아니고 학교, 공장, 군대, 감옥, 거리, 어디서나 크게 복음의 문을 열어 주셨습니다. 이렇게 큰 일터를 마련하여 놓고 지금 하나님은 일꾼을 부르십니다.『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느니라』무르익은 가을 밭을 보여 주면서 일꾼을 부르십니다.『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부르십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 이사야의 대답을 들으세요『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이사야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만 하지 아니 하였습니다. 곧 대답하였습니다. 내가 여기 있다고 대답하였습니다. 대답만 하지 아니하였습니다.『나를 보내소서』이렇게 이사야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그 부름에 따라 그 몸을, 그 일생을 온전히 하나님께 헌신하였습니다.
여러분 우리가 다 주님이 부르시는 이 음성을 듣습니까? 우리의 대답은 어떠합니까? 혹 목사님이 갈 수 있겠습니까? 하는 이는 없습니까? 혹 권사 님들이 잘 갑니다 하는 분은 없습니까? 이사야는 그렇게 대답하지 아니하였습니다.『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대답하였습니다. 혹 우리 가운데「갈 마음은 있으되 며칠 후에 가겠습니다. 혹 몇 달 후에 가겠습니다.」이렇게 대답하는 이는 없습니까? 이사야는 그렇게 대답하지 아니하였습니다.『내가 여기 있나이다』곧 그 뜻은 내가 지금 여기 있나이다. 나를 곧 보내소서 대답하였습니다.
이사야는 청년시대에 이 대답을 하고 헌신하였습니다. 우리 가운데는 청년들도 많습니다. 청년시대에 이 대답을 하고 온전히 헌신하십시오. 우리 신교에서 중요하게 강조하는 진리 가운데 하나는 평신도와 교직자의 구별이 없다는 것입니다. 누구나 다 제사장입니다. 넓은 의미에서는 누구나 다 하나님의 일꾼입니다. 우리는 어떤 직업을 가졌으나 그 직장에서 헌신하는 복음전파자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헌신이란 온 몸과 몸에 속하는 모든 것을 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도는 말하자면 현대 전쟁과 비슷합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우선 공군이 동원되어 적진을 넓게 폭격합니다. 이러므로 적을 혼란시킨 다음에 해군이 동원되어 적의 해안에 있는 요새들을 집중하여 함포(艦砲)사격을 합니다. 이렇게 하여 그 요새를 파괴하여 버립니다. 그러나 이렇게 하였다고 완전한 승리를 거둔 것은 아닙니다. 완전한 승리를 공군과 해군의 공격이 있은 후 곧 육군이 상륙하여 일보일보 적의 진지를 점령하여야 완전한 승리를 거두는 것입니다.
전도전선에 있어서 공군과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곧 메스콤 전도입니다. 다시 말하면 라디오, T.V방송, 문서전도 등입니다. 이런 전도를 통하여 복음의 폭탄을 던집니다. 또한 해군의 공격과 비슷한 전도가 있습니다. 곧 대 집회전도입니다. 작년 빌리 그래함 전도대회와 같이 백여 만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일시에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마치 함포사격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일반전쟁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완전히 승리를 거두지 못합니다. 전도에도 보병이 필요합니다. 곧 십자군의 보병이 들어가서 생명 하나 하나를 붙잡아 개인전도하며, 교회로 인도하여 계속하여 도와주어야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다 빌리 그래함과 같은 전도자는 되지 못합니다. 그러나 우리 하나 하나가 십자군의 보병은 될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영적 전쟁에도 완전한 승리는 이 보병이 거두는 것입니다.
「천사같이 말못하고 바울 같이 못하나 네 집 근처 다니면서 건질 죄인 많도다」하는 찬송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 그리스도의 십자군의 보병이 되어야 합니다. 이사야의 대답과 같이『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대답해야 합니다. 헌신해야 합니다.
五천만 복음과 전선에서 우리 하나 하나는 십자군의 보병으로서 헌신합시다.
한국에 기독교인의 수가 四백 만이라고 합니다. 금년에 우리가 다 십자군의 보병이 되어 한 사람씩만 전도하면 명년에는 八백 만이 됩니다. 또 한 사람씩만 전도하면 내 후년에는 천六백 만이 될 것입니다. 이 천六백 만의 신도가 한 사람씩만 전도하면 三년 후에는 三천 三백 만, 곧 남한 전 인구가 복음 화될 것입니다. 이것을 복음의 연쇄반응이라고 합니다. 이 연쇄반응은 우리 하나 하나가 모두 헌신하며『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할 때에 이루어질 것입니다. 이 연쇄반응은 먼저 처음으로 시작하는데 있어야 합니다. 이 연쇄반응은 오늘 저녁 이 곳에서 일어나야 하겠습니다. 그렇게 되려면 여기 앉은 하나 하나가『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하고 헌신하여야 하겠습니다. (一九七四년 二월 二十二일)
?-56 자다가 마땅히 깰 때 (로마서 一三장 八-一四절)
『또한 너희가 이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으니』(롬 一三·一一)
이 구절 외에도 깨라고 재촉하는 교훈이 성경에 많습니다.『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 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게 하여 저를 대적하라』베드로 전서 五장 八절에 있는 말씀입니다. 또한 이사야 五二장 一절에『시온이여 깰 찌어다 깰 찌어다 네 힘을 입을 찌어다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여 내 아름다운 옷을 입을 찌어다』하는 말씀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에베소서 五장 一四절에도『잠자는 자여 깨어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어나라 그리스도께서 네게 비취시리라』하셨습니다.
잠자는 것은 육체의 피곤을 풀기 위하여 필요합니다. 그러나 영적으로 또는 도덕적으로 잠을 자서는 아니 됩니다. 또 육신의 잠도 잘 때가 있고 깰 때가 있습니다. 깨야 할 때에는 마땅히 깨어 일어나야 합니다. 오늘 자다가 깰 때라는 이 성경의 교훈을 묵상할 때에 하나님께서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성경을 읽노라면 잠을 자다가 실패한 예가 종종 있습니다. 유두고라 하는 청년은 창문턱에 앉아 밤에 바울의 설교를 들으면서 그만 졸다가 상층의 다락에서 떨어져 죽을 뻔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의 기도로 회생하였다고 합니다. 예배 볼 때에 유두고의 후손들은 오늘날 우리 한국교회에도 더러 있는 줄 생각합니다. 아마 우리 교회에도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예배당은 잠자는 곳이 아닙니다. 깨어서 예배하는 곳입니다.
전에 요나 라고 하는 선지자는 니느웨에 가서 전도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고 다시스로 가는 배를 타고 배 밑에서 자다가 큰 봉변을 당하였습니다. 결국은 큰 물고기 배속으로 삼키었습니다. 하나님의 사명을 잊어버리고 자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그러나 그 후손은 오늘날 우리 교회에도 더러 있는 줄 생각합니다. 우리 교회에는 이런 이가 없기를 바랍니다.
전에 삼손이란 청년은 이방여인 드릴라를 사랑하여 그 무릎에서 자다가 머리를 깎기 우고 비참한 최후를 마쳤습니다. 이렇게 정욕의 잠을 자다가 그 일생을 망치는 삼손의 후손도 적지 않습니다. 특별히 청년들은 경계해야 합니다.
전에 노아는 믿음이 있는 사람으로 방주까지 지어 온 가족과 같이 큰 홍수에서 구원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말년에 하루는 포도주를 많이 마시고 취하여 벗은 몸으로 자다가 아들들에게 큰 창피를 당하였습니다. 이렇게 말년에 주의하지 못하다가 젊은 자손들에게 부끄러움을 당하는 노아의 후손은 지금도 적지 아니합니다. 잠자는 것은 조심해야 합니다.
둘째는, 오늘 본문에 너희가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다고 경고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 시기, 혹은 이 시대는 과연 어떠한 시기입니까. 현대에 사는 우리로서 마땅히 생각하여야 할 문제입니다.
지금 세계적으로 또한 국내적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유류 문제일 것입니다. 소위 에너지파종은 많은 나라를 괴롭히고 있습니다. 사실은 유류 뿐만이 아닙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이 지구의 자원이 고갈되어 가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치솟는 물가고로 고통을 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대로 가면 주후 二000년대에는 세계 인구가 六0억에 도달하리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소위 인구 폭발 문제도 역시 하나의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 많은 인구가 살아가려면 각 방면으로 산업이 발전되어 생산을 하여야 할 터인데 이 산업발전과 같이 또한 공해문제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공장으로 말미암아 공기가 오염되고 물이 오염됩니다. 강물이 오염되고 바닷물이 오염되니 결국은 인간이 바다에서 식물을, 곧 물고기를 얻지 못하게 됩니다. 실로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 뿐만 아닙니다. 우리가 사는 이 시기야 말로 실로 도덕적 파산 시기로써 부도덕적 시대라고 하기보다 반 도덕적시대가 되었습니다. 지금 중공에서는 五천년 전의 공자까지 숙청하는 모양입니다. 따라서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각종 범죄, 살인, 강도, 특별히 청소년의 폭력과 범죄는 날이 갈수록 심하여져서 양민이 마음을 놓고 살 수 없는 시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二0 시기를 비행기 시대라고 합니다. 이제는 어디를 가나 거의 비행기를 타고 다닙니다. 그러나 팔레스틴의 게릴라, 일본의 적군파 등 때문에 비행기 여행은 날로 괴로워져 가고 위험하여집니다. 바다에는 해적이 있고 공중에는 공적이 만하졌습니다. 사회가 점점 이렇게 되어가니 소위 현대인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병이 날로 늘어갑니다. 그것은 신경계통의 각종 질환입니다. 노이로제, 정신분열증 환자는 나날이 늘어갑니다. 이것이 우리가 사는 이 시대의 현상입니다.
소위 그 뿐만 아닙니다. 화해 무드라고 하지만 사실 핵무기는 나날이 산적되고 있습니다. 원자탄, 수소탄, 미사일 등 각종 무서운 무기가 인류를 위협하고 언제나 공포와 불안에 몰아넣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현대에서 주목되는 현상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사람을 속이는 소위 사이비종교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한국도 많이 있습니다. 성경대로 말하면 예수의 이름을 파는 적 그리스도가 일어나서 순수한 백성들을 속이고 있습니다. 더욱이 우리 한국적인 상황 속에서는 백령도 근처 공해 상에서 일어난 북한 공산당의 어선격침 또는 납치사건까지 일어나고 보니 실로 성경의 말씀대로 지금은 고통의 날이요 말세입니다. 성경에서만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다고 경고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은 사회학자, 자연과학자, 많은 현대 사상가들이 인류의 종말, 문명의 종말, 혹은 세계의 종말이라는 말들을 쓰고 있습니다. 실로 지금이야말로 마귀가 최후 발악을 하는 시대인 듯 합니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바로 이러한 때입니다.
셋째는 이러한 시기에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겠습니까? 그것은 성경의 말씀대로 지금이야말로 자다가 마땅히 깰 때입니다. 깨어서 살아야 합니다.
① 우리는 우선 주님의 말씀과 같이 깨어 기도하여 내 자신이 시험에 들지 아니해야 합니다. 겟세마네 동산에서 잠자던 예수 님의 제자들과 같이 하여서는 아니 되겠습니다. 깨어서 나를 위하여, 내 가정을 위하여, 우리 교회를 위하여, 우리 나라와 세계를 위하여 기도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베드로 사도는『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권하였습니다. 유두고의 잠을 자지 말라, 삼손의 잠을 자지 말라, 시험에 들지 말라, 유혹에 빠지지 말라고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② 우리는 깨어서 내 책임을 바로 감당해야 합니다. 요나처럼 자기의 사명을 잊어버리고 잠을 자지 말고 개어 있어야 합니다. 내 직장에서나 교회에서나 내가 맡은 책임과 충성을 다하여 수행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누구나 파수꾼의 책임이 있습니다. 자유의 파수꾼이요, 진리의 파수꾼이요, 옳은 민주사상의 파수꾼입니다. 어디서나 이 파수꾼의 책임을 감당하여야 합니다.
③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우리 국민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우리가 근검과 절약을 어느 때나 실천하지 아니하리 요 마는 바로 이러한 때에 우리는 꼭 이런 생활로 모범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어떤 신문(조선일보)을 보니 한 사람이 하루에 쌀 한 숟갈씩만 아끼면 한 해에 二백九십 二억 원이 남는다고 합니다. 한 집에서 전등 하나씩만 끄면 一백一八억 원이 한 해에 남는다고 합니다. 하루에 TV 한 시간 씩만 덜 보면 한 해에 十二억 원이 절약된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양말 한 켤레씩만 줄여도(곧 기워 신고) 一년에 三백六십억 원이 남는다고 합니다.
사실 지금이야말로 수도도 절약해야 되겠고, 모든 음식물 곧 쌀, 잡곡, 설탕, 채소뿐이 아니고 각종 음료수 특별히 외국에서 수입해 오는 커피나 음료 등을 아주 끊어버려야 할 때입니다. 일일이 예를 들 수는 없지만 하여간 지금은 모든 것을 절약할 때요, 이 전에 있어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솔선 수범해야 합니다.
넷째는, 요사이 신물을 보면 여러 가지 면에서 절약을 강조하면서도 가장 큰 낭비가 되는 술과 담배에 대해서는 아무 말이 없습니다.
사실 절약을 말하는 이들도 담배는 그냥 피우고 앉아 있습니다. 하루에 담배 한 갑을 피우면 한 달에 약 四천 五백원이 된다고 하는데 그 돈이면 적은 가족이 한달 동안에 먹는 쌀 값이 된다고 합니다.
一九七三년 통계를 보면 一년 동안에 담배는 五백 一억七천四백六십五만八천 본을 만들었는데 그 판매액이 一천三백二십四억一천八객만 원이라고 합니다. 또한 특권층은 소위 양담배를 핀다고 하는데 작년에 전매청이 압수한 것만 九십八만八천四백九십六본으로 시가는 七백四십一만三천七백五십 원이라고 합니다. 실지로 피워진 양담배 수량은 여기 약 십 배로 추측이 되는데 그 가격은 七천여 만원일 것입니다. 꼭 먹고살아야 할 쌀도 조금 먹자고 하면서 먹지 않아도 좋은 담배는 왜 피웁니까? 이 뿐만 아닙니다. 담배 심는 밭에 곡식을 심으면 그만큼 식량이 증산될 것이요, 또 담배는 폐암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것은 현대 의학계에서 인정된 사실인 모양인데 그래도 그냥 피워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국세청에 알아본즉 작년에 우리 나라의 술 생산량이 二,二二八,五三一키로릿터가 된다고 합니다. 그 가격은 약 一천억 원이라고 합니다. 나는 물었더니 술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탁주, 맥주, 청주, 과실주, 고량주 등이 있습니다. 작년 一그년 동안에 우리 국민이 이렇게 여러 종류의 술을 一천억 원치를 마셨다고 합니다. 그 외에 외국에서 들어오는 양주도 마셨는데 그 수입액이 四백五십만 달라요, 또 몰래 수입한 수량은 거의 三배로 추산됩니다. 그러니 양주를 또 약 二천만 달라 치를 마셨습니다. 커피와 콜라도 가급적 피 하자면서 아무 쓸데없는, 아니 사실은 육체적으로 사회적으로 큰 해독을 주는 술을 그냥 마셔야 합니까? 이 술은 무엇으로 만듭니까? 곡식으로 만듭니다. 식량이 부족하여 외국에서 매년 수억 딸라 의 식량을 수입 해다 먹으면서 이게 무슨 짓입니까?
다른 방면에는 절약하자고 하면서 이 방면에는 잠잠하면 옳은 지도자라고 할 수 있는가, 나는 사실 우리 사회의 술과 구 술에 미치는 해독을 너무나 많이 보아서 술을 마시는 사람들을 볼 때에 분노를 느끼게 됩니다. 술 먹고 음란한 일을 하며, 술 마시면서 뇌물을 주고 받습니다. 술 먹고 교통사고, 기계사고를 나게 합니다. 술 먹고 죄 없는 아내를 때립니다. 술로 말미암아 파탄된 인격, 파탄된 가정, 파탄된 사업도 너무나 많습니다.
탈무드라는 책에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홍수 후 노아가 포도 원을 만들 때에 악마가 몰래 와서 양, 사자, 돼지, 원숭이의 피를 비료로 주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사람이 술을 먹으면 처음에는 양같이 순하여지고, 다음에는 사자같이 포악하여지고, 그 다음에는 돼지같이 미련하여 지고 마지막에는 원숭이같이 별 노릇을 다합니다.
우리 믿는 이들은 이런 사회, 이런 시대에서 금주와 단연(斷煙)으로 절제의 모범을 우리 민족에게 보여 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시대에 우리 믿는 사람들이 깨어서 무엇보다도 힘쓸 일은 곧 전도입니다. 오 천만 복음 화 운동입니다.
그 이유는 인간의 가장 귀한 영혼을 구원할뿐더러 우리 동포가 다 그리스도인이 되면 이상 말한 대로 모든 문제는 자연히 해소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깨어서 기도하며 모든 생활에 모범을 보여 줄 뿐더러 만나는 사람마다 복음을 전파하여 우리 나라가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도록 힘써야 하겠습니다.
지금은 자다가 마땅히 깰 때입니다. 깨어 일할 때입니다. (一九七四년 二월 二四일)
?-57 아골 골짜기 (호세아 二장 十四-二三절)
『거기서 비로소 저의 포도원을 저에게 주고 아골 골짜기로 소망의 문을 삼아 주리니 저가 거기서 웅대하기를 어렸을 때와 애굽 땅에서 올라오던 날과 같이 하리라』(호 二·十五)
하나님께서 예언자 호세아를 통하여 옛날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다시 위로하며 포도 원을 주고 아골 골짜기로 소망의 문을 삼아 주겠다는 약속의 말씀입니다. 이 시간 특별히 아골 골짜기로 소망의 문을 삼아 주신다는 말씀을 생각하고자 합니다.
첫째는, 아골이라는 글자의 뜻은「괴로움 혹은 고통」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을 건너 점령한 첫 성읍 여리고 는 사해에서 가까운 곳으로 매우 낮은 지대입니다. 지중해보다 약 삼천 척이나 낮다고 합니다. 이 여리고 평지에서 높은 가나안 언덕에 올라가려면 이 아골 골짜기가 있습니다. 아골 골짜기는 매우 깊고 험하여 경사가 심한 언덕길입니다. 좌우는 높은 절벽으로 막혀 있습니다. 사실, 예수 님의 비유 중에 착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 가운데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불한당을 만나 큰 고난을 당한 곳이 바로 이 아골 골짜기입니다. 이 골짜기는 험하고 또 위험한 곳입니다.
나는 몇 해 전 성지를 순례할 때에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갈 때와 또 다시 돌아올 때에 두 번 자동차로 이 골짜기를 통과하여 보았습니다. 물론 옛날에는 자동차 길은 없었습니다. 이 골짜기가 이렇게 험하고 위험하나 요단 평지에서 가나안 땅으로 올라가려면 부득이 이 골짜기를 지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천성을 향하여 가는 길에도 때로는 괴로움의 골짜기, 곧 아골 골짜기를 지날 때가 있습니다. 인생행로, 특별히 신앙행로에도 이 아골 골짜기가 있습니다. 좌우에 높은 절벽이 있고 앞에는 큰 바위가 가로막는 좁고 험한 언덕길을 걸을 수밖에 없습니다.
시편 二三편에 있는 말씀과 같이『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지날 때가 있습니다. 어둡고, 음침하고, 불안하고, 위험한 골짜기를 지날 때가 있습니다. 또한 시편 八四편에 있는 말씀과 같이 신앙의 순례자의 길에는 때로는 골짜기, 곧 애통과 슬픔의 골짜기를 지날 때가 있습니다. 환난의 골짜기, 실패의 골짜기, 중병의 골짜기, 번뇌와 고통의 골짜기, 사실 마지막에는 죽음의 어두운 골짜기도 있습니다. 이런 골짜기에 들어서면 우리는 앞을 내다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러한 깊은 골짜기에서도 위에서도 위는 열려 있습니다. 위에는 푸른 하늘이 있습니다. 위에는 밝은 태양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때때로 위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권면합니다.『위에 것을 찾으라 거기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시느니라 위에 것을 생각하고 땅의 것을 생각하지 말라』고 권면합니다. 또한『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의 날개 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비치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치 아니하리로다』했습니다. 곧 우리가 어느 때에 위를 바라보지 아니하리 오 마는 이런 아골 골짜기를 지날 때에는 더욱 눈을 들어 위를 향하여 하나님을 앙망하고 그리스도를 바라볼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어두운 골짜기를 지나갈 때야말로 신앙의 눈을 들어 주님을 바라보며 주님을 의지할 때이며 간절히 기도하여 위로 내리는 새 힘을 얻어야 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에게는 그 골짜기가 아무리 험하고 어둡지마는 소망의 문이 넓게 열릴 것입니다.
아골 골짜기를 지나갈 때에는 특별히 신앙과 기도로 좇아오는 소망을 든든히 붙잡아야 합니다.
우리 가운데 남달리 이 아골 골짜기를 지나가는 이가 있습니까? 이럴 때일수록 그리스도를 앙망하고 의지하시기 바랍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깊은 아골 골짜기는 골고다이었습니다. 이 골고다의 아골 골짜기를 통과하시고 승리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볼 때에 우리에게는 새 용기와 소망이 올 것입니다.
둘째는, 우리가 이 아골 골짜기에 대하여 꼭 기억해야 할 사실 한 가지가 있습니다. 여호수아 七장을 읽어보면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을 건너 여리고 성을 점령한 후에 가나안에 있는 한 작은 성, 아이 성을 정복하려가다 그만 이스라엘 군대가 패전하여 상당한 수가 죽고 쫓겨왔습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백성의 사기가 저상(沮喪)되었습니다.『백성들의 마음이 녹았다』고 탄식하고 성경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시의 지도자 여호수아는 크게 놀라 하나님께 엎드려 기도를 드렸습니다. 그 때에 하나님께 엎디어 탄식하며 기도를 드렸습니다. 그 때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시기를『왜 엎드려만 잇느냐 너희 가운데서 죄를 없이 하여라. 너희 가운데 마땅히 하나님께 성물을 도둑질한 자가 있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를 떠나노라』하였습니다.
여호수아는 곧 일어나 자기 백성 가운데 이런 범죄한 자를 찾아내기를 힘썼습니다. 그리하여 결국 갈미의 아들 아간이 여리고 성을 점령할 때에 모두 하나님께 바치라는 노략 물 중에 옷 한 벌과, 은 이 백 세겔과, 금 오십 세겔을 훔쳐 자기 장막 속에 묻어 둔 것을 찾아내었습니다. 여호수아는 부득이 모세의 율법대로 아간과 그 일족을 돌로 쳐서 전멸시켰습니다. 곧 문자 그대로 이곳이야말로 괴로움과 애통의 골짝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죄를 온전히 제거하고 깨끗한 백성이 된 후에 하나님께서 이 백성과 같이 하시니 깨끗함을 입은 이 백성은 새 용기를 얻어 아이 성을 다시 공격하여 일거에 온 성을 점령할 뿐만 아니라 온 가나안을 정복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아골 골짜기가 있었으므로, 비록 고통스러우나 죄를 씻은 새로운 민족이 된 후 온 가나안 복지를 정복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아골 골짜기는 또한 가나안 정복의 소망의 문이 된 것입니다. 깊은 의미에서 사실 우리는 누구나 아골 골짜기를 통과하여 하늘 나라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전에 사도 베드로가 예수를 세 번씩 모른다는 죄를 지은 후 깊은 밤에 밖에 나아가 심히 통곡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은 곧 베드로에게 있어서는 아골 골짜기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고통스러운 아골 골짜기를 통하여 베드로는 새로워졌고 장차 오순절에 삼천 명씩이나 회개시키게 하는 큰 능력의 사도가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산상보훈에서『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죄를 애통하게 회개하고 새 사람이 되며 새 용기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누구나 회개의 아골 골짜기를 통과하여야 신령한 가나안의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앙생활에 있어서 우리에게 실패를 가져오는 제일 큰 원인은 언제나 우리 마음속에 혹은 우리 생활 속에 아간이 있는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영적 패배를 당할 때에 언제나 내 속에 혹 아간이 잠재하지 않는가 깊이 반성하고 마음속에 혹은 생활 속에서 도적을 박멸해야 합니다. 탐심의 아간, 혹은 교만의 아간, 혹은 혈기의 아간, 혹은 증오심의 아간, 혹은 정욕의 아간 등이 도사리고 있지 아니한가 스스로 살펴 이 아간 들을 박멸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와 같이 하시고 그리스도께서 우리 속에 오셔서 우리로 하여금 승리자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렇게 개인생활에서나 가정생활에서 이 아간을 없이 하고 우리의 영혼이 깨끗하여질 때에 소망의 문이 우리 앞에 크게 열립니다. 천성을 능히 쟁취할 수 있습니다.
셋째는, 이 진리는 개인생활 뿐만 아니고 한 민족은 운명에도 적용되는 줄 생각합니다. 사실 이스라엘 백성이 민족적으로 이 고통의 아골 골짜기, 죄를 멸하는 곧 회개의 아골 골짜기를 통과한 후에 가나안 복지를 쟁취하였습니다.
나는 지난 九월에 동해안 속초로부터 서해안 문산 까지 三八선 일대에 주둔한 국군 장병을 방문하면서 이 三八선이야말로 우리 민족의 아골 골짜기라 하는 것을 깊이 느꼈습니다. 이 三八선으로 말미암아 얼마나 많은 우리 민족의 피가 흘려졌으며, 얼마나 많은 눈물을 과거에 흘렸으며 또 지금도 흘리고 있습니까? 실로 三八선은 괴로움과 고통의 골짜기이며 우리 민족의 아골 골짜기입니다.
얼마 전에도 백령도 근처에서 우리 어선이 하나는 격침되고 또 하나는 납치되어 이 아골 골짜기에서 우리 민족의 피와 눈물은 아직도 계속하여 흐르고 있습니다. 실로 三八선은 우리 민족의 비통한 아골 골짜기입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이 골짜기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우리가 이 골짜기를 어떻게 통과하여야 소망의 문이 열립니까? 한 마디로 우리 민족도 우리 속에 도사리고 있는 아간을 먼저 멸해야 합니다. 악한 사상의 아간을 없애야 합니다. 탐심의 아간, 부정 부패의 아간, 사기의 아간, 온갖 죄악의 아간을 멸하여야 우리 앞에도 소망의 문이 열릴 것입니다.
역대하 七장 十四절에『내 이름으로 일컫는 내 백성이 그 악한 길에서 떠나 스스로 겸비하고 기도하여 내 얼굴을 구하면 내가 하늘에서 듣고 그 죄를 사하고 그 땅을 고칠찌라』말씀하셨습니다. 스스로 겸비하고 악한 길에서 떠나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하면 하나님께서는 그 백성의 죄를 사하여 주시고 그 땅까지 고쳐 주시겠다고 하였습니다.
우리 민족의 상황 속에서 이 구절을 해석하면 우리 민족도 이 아골 골짜기를 지나가면서 죄를 회개하여 새로운 민족이 되고 스스로 겸비하여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하면 하나님께서는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실 뿐더러 이 땅까지 고쳐서 곧 남북통일도 주실 것이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사랑하는 우리 동포 여러분, 우리 민족이 이 아골 골짜기를 지나가면서 무엇보다도 먼저 할 일은 회개운동입니다. 복음을 통하여 우리 민족 안에서 모든 종류의 아간을 박멸하고 깨끗하고 새로운 민족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모두 마음을 합하여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할 때에 우리가 지나는 이 아골 골짜기 속에서도 소망의 문이 크게 열리겠고 우리 민족이 염원하는 자유를 중심 한 평화통일도 가능할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 오후에도 남산 야외 음악당에서 조국을 위하여 우리 온 그리스도인들이 기도합니다.
세계 제二차대전 초기에 독일이 선제 공격을 하여 처음에는 크게 승리하였습니다. 불란서가 패망하는 바람에 불란서에 파병되었던 영국 군대는 본토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불란서와 영국 사이에는 도버해협이 있습니다. 곧 바다 가 가로 놓여 있고 독일 공군은 또한 우세하였습니다. 이런 국가적 큰 위기에 있어서 영국 정부는 전 국민에게 기도일(祈禱日)을 선포하고 일제히 하나님께 기도하게 하였습니다. 기적적으로 그날은 도버해협 위에 캄캄한 안개가 껴서 영국군대가 무사히 본토로 후퇴하였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영국 국민들은 민족적 아골 골짜기를 당하여 하나님께 죄를 회개하며 기도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 기도를 응답하셨습니다.
우리도 이 三八선의 아골 골짜기를 지나갈 때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 자신에서 또는 사회에서 아간을 멸하는 회개운동과 마음을 합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간절한 기도입니다.
우리가 과연 우리 나라를 사랑합니까? 그러면 복음을 전파하여 회개운동을 일으켜야 하겠고 또 언제나 자유를 중심 한 평화 통일을 위하여 간절히 기도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말하겠습니다만 우리 개인생활에도 때때로 아골 골짜기가 있습니다. 또 우리는 민족적으로 모두 이 三八선의 아골 골짜기를 지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때에 언제나 위를 바라보며 전능하신 하나님을 의지하고 죄를 회개하고 간절히 기도할 것입니다. 그리하면 우리의 아골 골짜기에도 소망의 문이 크게 열린 것입니다.
(一九七四년 三월 九일)
?-58 나의 자랑은 오직 십자가 (갈라디아 六장 十一-十八절)
『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리라』(갈 六·一四)
당시 유대인들 가운데는 육체를 따라 혹은 육체에 속하는 것들을 자랑하는 이들이 있었습니다.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자손임을 자랑했고, 날 때에 할례 받은 것을 자랑했고, 바리새파에 속함을 자랑했고, 율법을 잘 지킨다고 자랑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사실 바울고 육체를 따라 자랑하려면 그들 보다 못한 것이 없었습니다. 그도 난지 八일만에 할례를 받았고 베냐민의 지파요, 바리새인이요, 율법을 지킴도 그들보다 손색 될 것이 없었습니다.『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육체에 속하는 것을 자랑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문벌을 자랑하고, 학식을 자랑하고, 재주를 자랑하고, 기술을 자랑하고, 심지어 집, 옷, 다이아몬드 반지를 자랑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사실 바울도 당시에 이런 방면으로도 자랑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그가 태어난 곳 길리기아 다소에서 헬라문화를 배웠고 유명한 가마리엘의 문하에서 유대 율법을 배웠으며 특별히 당시 모든 식민지 백성들의 선망이 되었던 로마 시민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말합니다.『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
지금은 십자가에 대한 인상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그러나 사실 바울 시대에는 십자가라고 하면 가장 악한 흉악범을 사형에 처하는 처형(處刑)대(臺)였습니다. 그러므로 사실 그때에 사도 바울이 친히 말씀한대로『십자가의 도는 유대인에게는 거리낌이 되었고, 이방인들에게는 미려한 것처럼 보였습니다』.그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도 바울은 담대히 말합니다.『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여기 결코 란 말을 주의하세요. 보통으로 하는 말이 아닙니다.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는 결코, 곧 결단코, 혹은 절대적으로 자랑할 것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왜 이렇게 말하였습니까? 왜 나의 자랑은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뿐이라고 했습니까? 그 이유는 어디 있습니까? 사실 이 문제에 대한 대답은 이 갈라디아서에서뿐만 아니고 그의 기록한 모든 서신이 그 이유를 설명하여 줍니다.
오늘『나의 자랑은 오직 십자가』뿐이란 이 말씀을 잠깐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성령으로 우리를 도우셔서 우리도 이 십자가의 뜻을 깨달을 수 있기 바랍니다.
첫째는, 오늘 읽은 본문이 있는 이 갈라디아서 二장 二十절에 사도 바울은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했습니다. 여기에 사도 바울은 자기의 옛 사람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그 대신 그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다는 것을 증언하며 그러나 그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그의 말대로『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여기 자기 몸을 버리셨다는 말은 물론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의미합니다.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은 그를 사랑하여 죽으셨다고 말합니다. 곧 사도 바울은 십자가를 생각할 때마다 그를 사랑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생각하며 독생자를 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하였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물론 우주에 사무칩니다. 아침 햇빛과 저녁 노을에도 하나님의 사랑이 빛납니다. 산천초목, 오곡백과, 자라나는 풀, 피는 꽃 노래하는 새들 가운데도 하나님의 사랑이 풍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주 어느 곳에, 역사상 어느 시점에 하나님의 사랑이 가장 빛나게 집중적으로 나타났습니까? 그것은 골고다 위에 우리 주님이 달리신 십자가이었습니다.『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사랑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우리 주님은 십자가 위에서 친구뿐만이 아닙니다. 원수들까지도 위하여 그 목숨을 버리신 것입니다.
『성자의 귀한 몸 날 위하여 버리신 그 사랑 고마워라, 내 머리 주 앞에 조아려 하는 말 나 무엇 주님께 바치리까』이렇게 십자가 위에서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났습니다. 만민을 위한 주님의 사랑이 폭발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말합니다.『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
둘째는, 이사야 五十三장 五절에 기록한대로『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라고 했습니다. 또한 갈라디아서 三장 十三절에는『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贖良)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네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고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우리의 죄를 지시고 죽으심으로 우리는 죄 사함을 받았습니다. 곧 십자가는 전 인류의 속죄 소입니다. 하나님의 어린양은 만민의 죄를 지시고 대신 죽으심으로 그 죄를 속량하여 주셨습니다.
이렇게 십자가에서 흘린 그 보혈은 우리의 모든 죄를 깨끗이 씻어주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도『나의 죄를 씻기는 예수의 피 밖에 없네 다시 정케 하기도 예수의 피 밖에 없네』혹은『내 주의 보혈은 정하고 정하다 내 되를 정케 하신 주 날 오라 하신다』라고 찬송을 부릅니다.
사도 바울이 친히 기록한대로 그는 본래 훼방(毁謗)자요, 핍박(逼迫)자요, 포행(暴行)자이었으나 곧 죄인의 괴수이었으나 그리스도의 보혈로 깨끗이 씻음을 받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외칩니다.『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
셋째로,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렇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온갖 더러운 죄를 씻어 버리고 깨끗한 사람을 만드는 하나님의 능력인 것입니다.
사도 바울 뿐이 아닙니다. 일곱 귀신이 들렸던 막달라 마리아도 이 십자가로 말미암아 깨끗한 하나님의 딸이 되었고, 부정부패의 세리였던 삭개오도 이 십자가로 말미암아 정직한 공무원이 되었고, 또한 같이 십자가에 달렸던 살인강도까지도 주님의 십자가의 보혈로 씻음을 받아 낙원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십자가는 개인적으로도 인간개조의 능력이 되었고, 또한 사회혁신의 도덕적 능력이 되었습니다.
어떻게 죄인이 변하여 성자가 될 수 있습니까? 윤리적 강연으로 가능합니까? 개인적 수양으로 가능합니까? 국민 교육으로 가능합니까? 강력한 법률로 가능합니까? 아닙니다. 죄인이 눈물을 흘리고 죄를 회개하고 새사람이 되게 하는 것은 오직 십자가의 복음뿐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 있을 때에 나무 위에 높이 달린 구리 뱀을 바라볼 때에 하나님의 크신 능력을 받아 회개하고 새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지난 十八세기에 독일의 스톤벅이라고 하는 유명한 미술가가 있었습니다. 그는 그가 회개한 후에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달리신 모습을 그리고 그 그림 아래『내 너를 위하여 몸 버려 피 흘려 네 죄는 속하여 살길을 주었다 너 위해 모을 주건만 날 위해 무엇 주냐』라는 글귀를 적었다고 합니다. 그 그림이 독일 듀셀돌프 박물관에 걸려 있었는데 한 번은 독일의 한 귀족의 젊은 아들이 그 박물관에 들어와 구경을 하다가 이 그림 앞에 와서는 오래 머물러 서서 그 그림을 주목하여 보고 그 아래 쓴 글을 읽었다고 합니다. 그 청년은 그때부터 온전히 변하여 귀족의 모든 호화스러운 생활을 버리고 그 일생을 복음전파에 바쳤습니다. 그가 곧 유명한 모라비아 교단의 창립자이기도한 독일의 진젠돌프 백작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하였습니다.
넷째는, 이렇게 십자가는 전 인류의 소망이 됩니다.
물에 빠져 들어가는 이가 스스로 나올 수 있습니까? 누가 건져야 합니다. 중병환자가 스스로 고칠 수 있습니까? 어느 의사가 도와주어야 합니다. 전 인류는 물에 빠져 들어가는 이들과 같습니다. 또한 중병 환자와도 같습니다. 이러한 인류를 죄악 가운데서 건져내실 이는 오직 십자가를 지신 그리스도뿐입니다.
우리가 사는 二十세기는 과학, 지식, 기술, TV, 비행기, 자동차, 온갖 문명의 이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심은 나날이 악화되어 갑니다. 도덕적 파탄 시기라기보다도 발광시대, 무도덕시대, 반 도덕시대로 흉악한 죄악의 구렁텅이로 나날이 빠져 들어가고 있습니다. 때로는 옛날 폼페이의 멸망 전야를 연상케 합니다.
어떻게 이 二十시게 인간들이 그 죄에서 구원함을 얻을 수 있습니까? 십자가 위에서 죄를 소멸하신 오직 그리스도뿐이십니다. 그러므로 십자가는 이 암흑한 세기에 광명(光明)한 소망의 새벽 별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외쳤습니다.『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노라』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도 바울에게는『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다』고 하였습니다. 곧 사도 바울에게는 세상이라는 것, 세상의 향락, 세상에 붙은 모든 정욕은 십자가에 못 박힘이 되었습니다. 곧 죽어버렸습니다. 빌립보서에는 이런 것들을 분토(糞土) 같이 버렸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사도 바울 같은 이는 세상 편에서는 또한 죽은 것과 같습니다. 쓸데없는 사람이 되고 말았습니다. 오직 그는 십자가의 사람이 된 것입니다. 이 십자가를 사랑하고, 이 십자가를 자랑하고, 이 십자가를 전파하고, 이 십자가를 위하여 살고, 이 십자가를 위하여 죽었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어떠합니까? 우리는 어떤 눈으로 십자가를 바라봅니까? 우리는 무엇을 자랑합니까?
전에 화란의 유명한 예술가 렘브란트라고 하는 분이, 사람들이 예수를 못 박는 십자가의 광경을 그렸는데 그 그림을 자세히 보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는 사람들 가운데 자기 자신의 얼굴도 있습니다. 곧 렘브란트는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시게 된 것은 자기의 죄도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예수 님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자기 죄도 속량하신 것을 깨달았습니다. 우리가 다 이것을 깨닫습니까? 그는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몸을 버리신 것입니다. 곧 여기 앉은 우리 하나 하나, 곧 자신을 위하여 십자가에서 우리 주님은 피를 흘리셨습니다.
이 사순절에 십자가의 깊은 뜻을, 특별히 내 자신과의 관계를 좀 깨달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一九七四년 三월 二十三일)
?-59 내 몸에 예수의 흔적 (갈라디아서 六장 十一-十八절)
『이 후로는 누구든지 나를 괴롭게 말라 내가 내 몸에 예수의 흔적을 가졌노라』(갈 六·十七)
당시에 바울을 괴롭게 한 이들이 더러 있습니다. 예수를 믿는다고 하나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유대교적 보수주의자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바울이 그리스도의 참 사도가 아니라고 공경하였으며 바울이 전하는 복음은 참 복음이 아니라고 비난하고 할례까지 받으며 그 밖에 옛날부터 내려오는 유대 풍속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사실 이런 그릇된 지도자들에게 미혹되지 않기 위하여 흔히 기독교 자유의 대헌장이라고 하는 갈라디아 서신을 기록하였습니다. 이 서신 가운데 사도 바울은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받는 큰 진리를 분명히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말하기를『이제 후로는 누구든지 나를 괴롭게 하지 말라고 하면서 나는 내 몸에 예수의 흔적을 가졌노라』고 하였습니다. 여기 흔적이란 말은 화인이 찍힌 자리(stigmata)라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새 번역에는『예수의 낙인이 찍혔다』고 하였습니다. 옛날 노예 지도가 성행되었을 때에는 종의 몸에 주인의 이름을 화인으로 찍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어느 주인에게 속한다는 확실한 증거로써 어디를 가든지 종 된 표적이었습니다.
여기 사도 바울의 뜻은 누가 무어라고 나를 비난하든지 나는 내 몸에 예수 님의 화인이 찍힌 종이라고 솔직히 고백합니다. 과연 그는 예수 님의 충성된 종이었습니다. 사도 바울이 이렇게 말씀하게 된 이유도 있습니다. 그것은 그 몸에 사실 그가 예수를 믿고 복음을 증거 하는 중에 그 몸에 많은 상처를 입었습니다. 여러 번 태장(笞杖)으로 맞았습니다. 루스트라에서는 돌에 맞아 정신까지 잃은 적이 있습니다. 그 많은 상처야말로 그는 자기가 그리스도의 종으로써 그 몸에 지닌 흔적 곧 낙인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오늘 이 예수의 흔적 혹 낙인을 잠깐 묵상할 때에 하나님께서 은혜 주시기를 바랍니다.
교회사를 읽노라면 어떤 성자의 손과 발에는 문자 그대로 못 자국이 나타났고 또 옆구리에는 창에 찔린 자국이 나타났다 하는 전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가령 성 프랜시스는 오래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고난을 묵상하고 기도하는 중에 그의 손과 발에 못 자국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 그 옆구리에도 창에 찔린 흔적이 보였다고 합니다. 또 시에나의 성 카더린도 오래 기도하고 성찬을 받은 후에 그런 자국이 보였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전설뿐인지 사실인지 그 여부를 알 수 없으나 하여간 이들이 십자가를 오래 묵상하는 가운데 자기 자신들도 고난의 체험을 하였고 더욱 주님의 사랑을 깨닫게 된 것만은 사실입니다.
현대의 믿는 사람들에게도 이런 것들이 그 육체에 나타나기를 기다릴 것은 없으나 지금도 우리가 십자가를 깊이 묵상하는 가운데서 그리스도의 몸소 받은 고생을 좀 더 깊이 깨달아 우리 마음속에 이런 못 자국이 생기는 신령한 생활에 들어가도록 힘쓰는 것은 바람직한 일인 줄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십자가의 사랑에 대한 감격 가운데 살며 내게 붙은 정욕, 허영심, 욕심은 온전히 십자가에 못 박고 새 사람이 되어 나도 주님의 십자가를 대신 지고 그를 따르는 생활이야말로 얼마나 귀한 일이겠습니까!
한국의 성도들 가운데도 문자 그대로 그 몸에 예수의 흔적을 지니고 사는 이들이 더러 있는 줄 생각합니다. 그것은 한국의 신자들 가운데는 옛날 사도 바울과 같이 신앙으로 말미암아 핍박을 받다 매를 맞고 몸에 상처를 가진 이들이 상당히 있는 줄 생각합니다. 옛날 일제 시대에 일본 관헌들에게 매를 맞아 이러한 상처를 입은 이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또 해방 후에는 악한 공산당에게 핍박을 받아 피를 흘리며 순교를 당한 이들도 많고 거기까지는 이르지 아니하였으나 매를 맞은 자리 혹은 총에 맞은 자리를 몸에 지니고 사는 성도들이 남 북한에 아직도 상당히 많은 수가 남아 있는 줄 생각합니다. 이 매 맞은 자리는 문자 그대로 예수의 흔적입니다. 예수의 종이 되었다는 확실한 표적입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주를 위하여 고난을 받은 이들은 옛날 바울과 같이 항상 감사히 생각할 것입니다. 또 이런 흔적이야말로 영광된 일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문자 그대로의 예수의 흔적을 그 몸에 누구나 지닐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신령한 의미로서의 예수의 흔적은 그리스도인은 누구나 그 몸에 지녀야 할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신자는 누구나 예수의 참된 종이 되어야 하며 또 그 종 된 표적이 그 몸과 생활에 나타나야 할 것입니다.
一, 우리 마음에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는 메고 나를 배우라』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마음속에 이 온유와 겸손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는 상한 갈대도 꺾지 아니하시고 꺼지는 등불도 끄지 아니하셨습니다. 믿는 자의 성품에도 이러한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二, 신령한 의미에서 윌 신자들은 그 얼굴에도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미국 어떤 곳에 높은 산 위에 있는 바위의 모습이 멀리서 보면 한 큰 사람의 얼굴과 같이 보인다고 합니다. 이 바위에 대하여 한 전설이 있습니다. 그 산아래 사는 한 어린이가 항상 그 바위를 바라보며 언제나 그 바위에 나타난 얼굴과 같은 위대한 인물을 만나 보기를 원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는 일생을 지내도록 그런 위대한 인물을 만나보지 못하여 결국은 실망하였다고 합니다. 그런 실망 중에 그는 점점 늙어 어느덧 노인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그 동네 사람들이 그 노인의 얼굴을 자세히 바라보니 그의 얼굴이 큰 바위에 나타나는 그 얼굴과 같아졌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야기의 뜻은 이 노인이 일생토록 그 바위를 바라보는 중에 그 자신의 얼굴이 변화하였다는 뜻일 것입니다. 물론 예수 님의 얼굴을 지금은 볼 수 없습니다. 그때에는 사진술도 없었고 또 직접 주님의 얼굴을 보고 그린 초상화도 없습니다. 지금 성화에 나타나는 주님의 얼굴은 모두 예술가들의 상상화입니다. 호프만의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는 예수의 얼굴을 흔히 생각하는 이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비록 주님의 얼굴을 직접 보지 못하였으나 우리가 오래 신앙생활을 하면 그의 얼굴에도 예수의 흔적이 남아야 할 것입니다. 예수 님의 얼굴에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치었다고 하였습니다. 우리 신자들의 얼굴에도 어딘가 모르게 그 성스러운, 고귀한, 경건한, 거룩한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어떤 어진 어머니가 매일 저녁 자기 전에 자기 어린 딸에게 예수의 이야기를 읽어주고 재웠다고 합니다. 그런데 하루 아침은 이 어린 딸이 깨어서 하는 말이『엄마, 나는 어젯밤 꿈에 예수 님을 보았어요. 그런데 그 얼굴이 꼭 어머니 얼굴과 같았어요』하였다고 합니다.
三, 신령한 의미에서 우리 신자는 그 눈에도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얼굴에 제일 중요한 것은 눈입니다.
성 프랜시스의 눈은 비둘기의 눈과 같았다고 전하여 옵니다. 눈 가운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백안, 냉안, 혈안 등등이 있습니다. 독사의 눈 같은 눈도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당시에 목자 없는 양같이 고생하고 유리 하는 무리를 민망히 보셨다고 하였습니다. 뱃새다 들에서 말씀을 사모하나 그러나 배고픈 대중을 보시고 불쌍히 여기셨다고 하였습니다. 나사로가 병들었다는 소식을 듣고 베다니에 오니 모두 우는 것을 보시고 그도 같이 우셨다고 하였습니다. 주님의 눈은 긍휼, 연민, 동정의 눈이었습니다. 간음하다가 붙잡혀 온 여자에 대하여 당시 바리새인들의 눈초리와『나도 너를 정죄 하지 아니하니 돌아가 다시는 죄를 짓지 말라』하시는 예수의 눈을 상상하여 보세요!
우리 눈에도 예수의 흔적이 있는가. 우리는 이 세상을 어떤 눈으로 보며 특별히 불쌍한 대중을 어떻게 보는가. 바라기는 우리 나라 지도층에 있는 이들의 눈가에도 이 예수의 흔적이 있기를 바랍니다.
四, 신령한 의미에서 우리의 신자의 손에도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일찍이 나사렛에서 손으로 물을 길어 어머님을 도우셨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또 나타나시기 전까지는 친히 손으로 목수 일을 하셨습니다. 그후 사방으로 다니시며 문둥병 자도 손으로 어루만지시고, 친수(親手)로 떡을 떼어 나눠 五천 명도 먹이셨고, 친수로 제자들의 발을 씻기셨고, 친수로 떡과 포도즙을 나누어 성찬식도 거행하셨고, 어린이들 머리 위에 손을 얹어 축복하시고 다시 말하면 거룩하신 그 손으로 모든 봉사를 하셨습니다. 이미도 말하였지마는 어머니의 손에는 예수의 흔적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의사의 손, 간호원의 손에는 문자 그대로 예수의 흔적이 있습니다.
저는 얼마 전에도 어떤 상가에 가서 어떤 집사 님이 입관을 마치고 땀을 흘리며 나오셔서 손을 씻는 것을 보았습니다. 상례부원들의 손에는 문자 그대로 예수의 흔적이 있습니다.
주님의 손은 친교의 손이요, 봉사의 손이요, 축복의 손입니다. 우리 신자들의 손위에 이러한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五, 그리고 또한 신자의 어깨와 등에도 신령한 의미에서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십자가를 어깨에 메시고 골고다로 올라가셨습니다. 그는 만민의 죄, 슬픔, 고통, 질고를 모두 어깨에 지시고 고난을 받으셨습니다. 구래네 시몬의 어깨에는 문자 그대로 예수의 흔적이 있은 줄 생각합니다. 그는 친히 주님의 십자가를 잠깐 대신 진 것입니다.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주의 짐을 같이 져야 주님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갈라디아서 六장 二절에『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 그리고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고 하였습니다. 장로의 짐, 집사의 짐, 교사의 짐, 권찰의 짐, 교인으로서의 짐. 다시 말하면 나의 짐을 잘 지킬뿐더러 한 걸음 더 나아가 고아의 짐, 미망인의 짐, 환자들의 짐, 빈궁한 동포들의 짐, 불신자들을 인도하는 짐, 이 모든 짐을 지는 가운데 우리는 주님을 더 가까이 모시게 됩니다.
우리 신자들은 누구나 그 어깨에 남의 짐을 지는 이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합니다.
六, 마지막으로 우리 신자는 신령한 의미에서 그 무릎에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합니다.
성화 중에 제일 유명한 그림은 예수께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는 그림일 것입니다. 예수 님은 기도를 많이 하셨습니다. 세례 받으신 직후에도 광야에서 四十일간을 기도하셨고, 종일 일하신 후에도 밤에 홀로 산에서 기도하셨고, 변화 산에서도 기도하셨고, 겟세마네 동산에서도 기도하셨습니다. 우리 무릎에 이 기도의 흔적이 있어야 합니다. 성경에『쉬지 말고 기도하라』『기도하다가 낙심하지 말라』『깨어 기도하여 시험에 들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우리 무릎에 예수의 흔적이 있는가!
요한 계시록에 보면 택함을 받고 구원받은 이들에게는 어린양의 이름이 그 이마에 있다고 하였습니다. 반면에 악한 이들의 이마에는 짐승의 이름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기억하세요! 우리 몸에 예수의 흔적이 없으면 짐승의 흔적이 있습니다. 우리 신자 하나 하나는『내 몸에 예수의 흔적』이 있어야 합니다. (一九七四년 五월 二四일)
?-60 영혼의 방향 (시편 一二一편 一-八절)
『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꼬 나의 도움이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시 一二一·一-二)
『하늘에 계신 주여 내가 눈을 들어 주께 향하나이다』(시 一二三·一)
『여호와여 나의 영혼이 주를 우러러보나이다』(시 二十五·一)
이 세 구절은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그 심령이 여호와를 바라봅니다. 유대나라에는 한국과 같이 산이 많습니다. 산은 말하자면 하늘과 땅이 만나는 곳입니다. 이 경건한 심령들은 산을 바라볼 때에 천지를 지으신 하나님을 생각하였습니다. 이들의 심령의 방향 혹은 각도를 주목하여 보십시오. 그들의 심령이 위를 향하여 있습니다. 사실 모든 시편 기자들의 그 영혼의 방향은 언제나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앙망(仰望) 하였습니다. 평안할 때나, 괴로울 때나, 슬플 때나, 이 세상에서의 인간의 경험은 시시각각으로 변하나 그들의 영혼의 방향은 언제나 변함이 없었습니다. 곧 어느 때나 위를 향한 것입니다. 영혼의 방향이 어디로 기울어지는가 하는 것은 인간생활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이 시간 이 영혼의 방향에 대한 문제를 잠깐 생각할 때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축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첫째는, 방향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모든 일에 그 방향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길을 갈 때에는 방향을 바로 잡아야 그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습니다. 배를 타고 바다를 갈 때에도 그 방향을 바로 잡아야 원하는 항구에 무사히 갈 수 있습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이들이 방향을 조금 잘못 잡으면 충돌 혹은 추락사건 등 불행한 사고를 일으킵니다. 비행기도 역시 그러합니다. 특별히 비행기가 오르고 내릴 때에 방향을 옳게 잡아야 무사히 이륙할 수 있고 착륙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은 가서 볼 수는 없지만 한국의 제일 높은 산인 백두산 위에는 천지(天池)라고 하는 큰못이 있습니다. 이 못에는 두 큰 강이 흘러내립니다. 하나는 서편으로 흘러 서해에 들어가는 압록강(鴨綠江)이고 다른 하나는 동편으로 흘러 동해에 들어가는 두만강(頭滿江)입니다. 천지에 있던 물은 본래 한 곳에 있었으나 며칠 후에는 수 천리 다른 거리에 있게 됩니다. 왜냐 하면 물이 흐르는 그 방향이 다른 까닭입니다.
예수 님의 열두 제자 중 베드로와 유다 가 있었습니다. 모두 주님의 부름을 받아 주님을 따르며 주님께 배우며 주님을 봉사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마지막을 보면, 베드로는 하루에 삼천 명을 회개시키는 사도가 되었고, 가룟 유다 는 예수를 팔고 스스로 목매어 죽는 비참한 최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왜냐 하면 같이 주를 따랐으나, 같이 주를 배우느라고 하였으나 그 영혼의 방향이 조금 달랐던 탓입니다. 처음에는 그 다른 방향의 각도가 심히 좁았으나 근본적으로 그 방향이 그르므로 그 사이가 점점 넓어져서 마지막에는 천양지간인 다른 최후를 마치었습니다.
내 영혼의 방향이 어디를 향하는가, 하늘을 향하는가 혹은 땅을 향하는가 깊이 스스로 살펴야 할 문제입니다.
둘째는, 영혼의 방향은 위를 향하여야 합니다.
골로새서 三장 十二절에『그러므로 너희가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리심을 받았으면 위엣 것을 찾으라 거기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시느니라, 위엣 것을 생각하고 땅엣 것을 생각지 말라』하였습니다. 여기『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리심을 받았으면』곧 영적으로 부활하여 새 사람이 되었으면 위엣 것을 찾으라고 하셨습니다. 위엣 것을 생각하고 땅엣 것을 생각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영혼의 새로운 방향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참으로 과거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를 내 구주로 믿어 성령으로 중생 하여 새사람이 되었으면 그 영혼의 방향이 달라집니다. 새사람이 되었다고 아주 무슨 허물이나 죄를 짓지 않는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 영혼, 곧 그 삶의 방향이 달라져야 합니다. 여기 위엣 것이라는 말은 그리스도와 그 나라에 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참으로 중생 하였으면 그 영혼이 항상 그리스도와 그 나라에 속하는 것을 앙망 합니다. 벌레가 변하여 나비가 된 후에는 언제나 위로 날아갑니다. 벌레 때에는 항상 땅 속으로 기어 들어갔으나 나비로 변한 후에는 그 생의 방향이 달라집니다.
인간생활에 있어서 범사에 위엣 것이 있고 아래 것이 있습니다. 밝은 것이 있고 우두운 것이 있습니다. 깨끗한 것이 있고 더러운 것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에게 속하는 것이 있고 그와 그 나라에 반대되는 어두운 것들이 있습니다. 참으로 영적으로 부활한 사람은 그 영혼의 방향이 위엣 것, 곧 밝은 것, 깨끗한 것을 찾습니다.
누구나 음악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음악 가운데도 위에 속하는 음악이 있고 땅에 속하는 음악이 있습니다. 한번 들으면 인간의 마음을 새롭게 하고, 깨끗케 하고, 평화롭게 하고, 곧 인간의 심령을 저 높은 곳으로 이끌어 올리는 음악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반면에 한 번 들어서 사람의 마음을 해이케 하고 들어서 사람의 마음을 타락시키는 추한 음악이 있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음악을 찾습니까? 우리 영혼의 방향이 어떠한 음악으로 기울어집니까?
음악뿐만이 아닙니다. 모든 예술 방면이 다 그러합니다. 영화 가운데도 두 가지 종류의 영화가 있습니다. 위에 속하는 영화, 반면에 땅에 속하는 영화가 있습니다. 그림 가운데도 두 가지 종류의 그림이 있습니다. 위에 속하는 그림, 또 반면에 땅에 속하는 그림, 문학 혹은 소설 가운데도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위에 속하는 문학과 소설, 또한 반면에 땅에 속하는 문학과 소설이 있습니다. 예술뿐만이 아닙니다. 사교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위에 속하는 친교, 또는 땅에 속하는 친교가 있습니다. 순결, 고귀, 신의, 참된 사랑의 친교가 있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정욕, 탐심, 자기 이익을 중심 하는 악마적 교제가 있습니다. 구원에 이르는 교제가 있고 파멸에 이르는 교제가 있습니다. 우리 영혼의 방향이 어떤 교제로 기울어집니까?
친교뿐만이 아닙니다. 어떤 직업, 어떤 일을 하든지 위에 속하는 것이 있고 반면에 땅에 속하는 것이 있습니다. 똑 같이 정치활동, 경제활동, 사회활동을 하나 한 사람은 참된 애국심과 민족중흥의 위대한 사명감에서 할 수 있고, 그러나 다른 한 사람은 오직 자기중심, 자기이익, 자기권세, 자기지위만을 중심 하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우리 영혼의 방향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어떤 방면에서든지 오직 위에 있는 것을 찾습니까? 혹은 땅에 있는 것을 찾습니까?
셋째는, 이렇게 영혼의 방향이 위로 향하는 이는 그 영혼의 눈이 역시 밝아집니다. 멀리 봅니다. 장래까지 봅니다. 아니 내세까지도 봅니다. 높이 봅니다. 하늘나라도 봅니다. 또한 하나님의 보좌도 봅니다. 그 보좌 곁에 앉으신 그리스도도 봅니다. 그리하여 무엇이나 이 밝은 눈으로 보고 그 가치를 판단합니다. 무슨 일이나 영원한 견지에서, 또는 하늘나라의 견지에서 보고 그 가치를 판단합니다. 이렇게 영혼의 방향이 위로 향하는 이는 새로운 표준으로 모든 일에 가치를 판단하게 됩니다. 위를 향한 눈으로 보게 되면 현재 그렇게 귀하게 보이는 것도 실상은 그리 귀한 것이 못 되는 것도 많습니다. 소위 부귀영화를 세상 사람들이 그렇게 탐하나 이 영원한 세계, 하늘나라의 견지에서 볼 때는 그렇게 탐할 것들이 못됩니다. 왜냐 하면 이런 것들은 다 풀과 같고 그 위에 피는 꽃과 같아서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질 대가 쉬이 오는 것입니다.
이러한 영원한 견지에서 볼 때에는 사실 무엇을 얻는 것보다 주는 것이 더 귀하고, 대접을 받는 것보다 봉사를 하는 것이 더 귀하고, 원수를 갚는 것보다 용서하는 것이 더 귀합니다. 불의 한 재물보다 맑은 빈곤한 생활이 더 귀하고, 세상의 헛된 명예보다 하나님 앞에서 맑은 양심이 더 귀합니다. 육신의 향락보다도 영혼의 구원이 더 귀합니다.
넷째는, 영혼의 방향이 위로 향하면 어떠한 생의 위기라도 돌파할 수 있습니다. 이사야 四十장 三十一절에『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의 날개 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비(困憊)치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치 아니하리로다』하였습니다. 영혼의 방향이 위로 향하여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위로부터 새 힘을 얻습니다. 그러므로 앞에 태산준령이 가로막을지라도 독수리와 같이 믿음으로 날아 넘어갈 수 있고, 달음박질 할 수밖에 없는 생의 위기를 당하여도 믿음의 능력으로 극복할 수 있고, 피곤한 매일 매일의 임무도 위로부터 주시는 인내의 힘으로 능히 감당할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이 비록 로마 감옥에 갇혀 있으나 그 영혼의 문은 항상 위를 향하여 열러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그러한 환경에서도 외쳤습니다.『주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했습니다. 사도 요한 이 비록 밧모섬에 유배되었으나 위를 향한 그 영혼의 눈은 열려 하늘나라의 영광과 권세를 보았고, 그의 신령한 귀는 천군 천사들의 할렐루야 찬송을 들은 것입니다. 그 내용을 기록한 것이 요한계시록입니다.
집사 스테반은 돌에 맞아 순교하는 그 순간에도 문자 그대로 그 영혼의 눈은 위를 향하여 하나님 보좌 우편에 서신 그리스도를 보았고 그 얼굴은 천사의 얼굴과 같이 빛났습니다. 하늘의 영광이 그 얼굴에 비친 까닭입니다.
여러분, 하늘의 문은 언제나 열러 있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환경, 생의 막다른 골목을 당할 지라도 우리 영혼의 방향이 위로 향하면 우리는 언제나 위로부터 내리는 위로와 능력과 새로운 용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질병의 막다른 골목, 어떠한 생의 위기를 당할지라도 우리 영혼의 방향이 외로만 향한다면 그 위기에서 적절한 은혜를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주시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내 영혼의 방향이 어떠합니까? 내 영혼의 눈이 위를 향합니까? 혹은 아래로 향합니까? 분명히 살펴야 합니다. 우리가 참으로 그리스도인이 되었다면 우리의 영혼의 방향은 위로 향하여야 합니다. 위엣 것을 찾아야 합니다. 땅엣 것을 생각하지 말고 위엣 것을 생각하여야 합니다. 꽃들이 해를 바라보는 것처럼 우리 영혼이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리하면 생의 어떠한 위기를 당할지라도 낙심하지 아니합니다. 절망하지 아니합니다. 인내와 용기로서 최후 승리를 거두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앞을 바라볼 수 없을 때에 위를 바라봅시다. 인간의 지혜가 부족할 때에 하나님의 지혜를 얻습니다. 인간의 능력이 부족할 때에 하나님의 권능을 받습니다.
『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꼬 나의 도움이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 (一九七四년 六월 九일)
<한경직 목사 설교집 제11권 끝>
출처 : 그리스도의 제자들
글쓴이 : 청지기 원글보기
메모 :
'좋은 말씀 > 한경직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 그릇 (예레미야 18:1-10) (0) | 2017.01.29 |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12) (0) | 2017.01.28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10) (0) | 2017.01.28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9) (0) | 2017.01.28 |
[스크랩] 韓景職牧師說敎全集(7) (0) | 2017.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