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8편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집중하여 찬양했는데, 9편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원수들을 심판하신 것에 대해 찬양한다. 9편은 3편부터 7편까지 이어진 탄원시에 대한 응답의 기도라 할 수 있다. 이것도 “다윗의 노래”로 되어 있고, “뭇랍벤”이라는 가락에 맞추어 부르게 되어 있다.
먼저 다윗은 주님께 감사 드리며 그분의 놀라운 행적을 널리 전하겠다고 고백 한다(1-2절). “공정하신 재판장”께서 “공정하고 정직한 판결”(4절)을 내려 주셔서 원수들이 모두 도망 갔기 때문이다(3절, 5-6절).
이 경험을 통해 다윗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깨닫는다. 그분은 영원한 심판자로서 정의와 공정으로 세상을 심판하신다(7-8절). 그분은 억울한 자들, 고난 받는 자들이 의지할 피난처다(9절). 그분은 당신을 찾는 사람들을 결코 버리지 않으신다(10절). 다윗은 억울하게 고난 당하는 사람들에게,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행사를 모두에게 알리라고 권한다(11절). 그분은 공의와 정의로 다스리시기 때문이다(12절).
그런 다음 다윗은 다시 하나님께 기도 올린다. 그에게는 아직도 원수들에게 받는 고통이 남아 있다. 그것마져 없애 주셔서 주님을 더욱 찬양하고 그분의 이름을 모든 민족에게 전하게 해 달리고 기도한다(13-14절). 주님께서 공정한 심판을 행하실 때 악을 꾀하던 나라들은 자신이 판 함정에 빠질 것임을 믿는다(15-16절). 그분의 다스림으로 인해 악인들은 멸망할 것이지만 가난하고 억눌린 사람들은 구원 받을 것이다(17-18절). 이 믿음에 근거하여 다윗은 다시금 악인들과 이방 나라들을 심판해 주시기를 호소한다(19-20절).
묵상:
하나님은 머리로 알 분이 아닙니다. 체험으로만 제대로 알 수 있습니다. 믿음의 여정이란 체험을 통해 하나님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에베소 교인들을 위해 기도하면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이신 영광의 아버지께서 지혜와 계시의 영을 여러분에게 주셔서, 하나님을 알게 하시고”(엡 1:17)라고 기도했습니다. “하나님을 알게 하시고”라는 말은 “체험으로 하나님을 더 많이, 더 깊이 알게 하시고”라는 의미입니다.
다윗은 3편에서 7편에 이르는 여러 시편에서 토로한 바와 같이 원수들로부터 많은 고난을 받았습니다. 떄로는 아무 이유 없이 모욕과 비난을 받았고, 때로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고난 당하기도 했습니다. 그 모든 상황에서 다윗은 하나님께 호소했고, 그분이 모든 것을 바로잡아 주시기를 간구했습니다. 그 때마다 그는 하나님께서 응답해 주시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하나님의 응답이 늦어져서 “주님, 언제까지입니까?”라고 호소한 적도 있었지만, 결국 응답해 주셨습니다.
그런 경험을 통해 다윗은 하나님께서 공정과 정의로 다스리시는 분이며, 억울하고 고난 당하는 사람들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는 분임을 깨달았습니다. 교만하여 악을 행하는 사람들을 반드시 심판하신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뿐 아니라, 그는 억울하고 고난 당하는 사람들에게 눈길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3편부터 7편까지의 간구의 기도에서 다윗은 오직 원수들과 자신만을 생각했습니다. 9편에서 다윗은 처음으로 자신처럼 억울하게 고난 당하는 사람들 즉, “억울한 자들“(9절), 억울하게 죽어간 사람들”과 “고난 받는 사람”(12절), “가난한 사람”과 “억울한 자”(18절)을 생각합니다. 고난이 그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의 고난과 아픔을 공감하는 사람으로 만들어 준 것입니다. 하나님을 더 많이, 더 깊이 안다는 말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감의 능력이 커진다는 뜻입니다.
'좋은 말씀 > -사귐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이 흔들릴 때 (시편 11편) / 김영봉 목사 (2) | 2024.12.27 |
---|---|
회의와 의문이 들 때 (시편 10편) / 김영봉 목사 (0) | 2024.12.26 |
하늘을 잊은 죄 (시편 8편) / 김영봉 목사 (0) | 2024.12.24 |
재앙의 씨앗 (시편 7편) / 김영봉 목사 (1) | 2024.12.22 |
기도로 얻는 평화 (시편 6편) / 김영봉 목사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