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의 주권
예배는 국가의 결정으로 드려지는 것이 아닙니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국가는 예배에 관한 결정 권한이 없습니다. 예배는 철저하게 교회에 속하여 있습니다. 이것이 종교의 자유를 정하고 있는 헌법의 정신입니다. 국가의 한계선은 공정하게 사회를 다스리고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을 보호하고 예배를 보호하는 일입니다. 국가가 이 한계선을 넘으면 전체국가나 왕정국가로 전락합니다.
예배는 교회의 영역입니다. 교회가 공동체 예배를 할 것인지, 가정 예배를 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국가가 예배의 영역에 참여한다든지, 교회의 소리를 재갈 먹이려고 할 때 국가는 한계선을 넘은 것입니다. 예배는 교회만이 그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배에 대한 강제와 압박을 통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 국가는 자신의 권한에서 이탈하는 일이 됩니다. 예배는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교회가 결정합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그런데 많은 그리스도인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기독신문의 의식조사를 보면 국가는 종교의 자유가 헌법에 보장되어 있어도 제한할 수 있다는 답변이 58.9%였습니다[2020, 9월 8일 기독신문]. 이번 코로나 상황을 겪으면서 의식의 변화가 있었는지 아니면 이러한 생각이 평시에 가지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 생각은 매우 위험합니다. 국가는 최소한 권력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헌법 위에 군림하는 것은 법치주의 국가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국가가 교회의 예배에 대하여 권고 사항을 요청할 때는 전체적인 전염병 혹은 천재지변에 의한 위기 상황 등입니다. 그것도 법안에서 최소한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럴 때 교회는 국가의 권고 사항을 유념합니다. 권고내용이 성경적이고 합리적일 때 적극적으로 협력합니다. 특별히 이웃을 사랑하고 섬기는 자세로 결정합니다.
그러나 국가의 결정이 비합리적이고 반성경적일 때 협력하지 않습니다. 신사참배와 황제숭배와 같은 반 성경적인 일을 요구할 때 교회는 불복종합니다. 하나님을 망령되게 하는 일에 동원되는 것보다는 고난의 길에 서는 것이 합당합니다.
그리스도인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예배함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국가주의 신앙입니다. 국가를 신으로 여기는 행위입니다. 국가의 명령과 압박에 따라 예배의 유무를 따르는 것은 성경이 말하는 신앙과는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예배는 오직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합니다. 다른 어떤 명령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때론 힘이 없어서 예배당이 폐쇄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랜 시간 동안 예배를 드릴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정치적인 압박으로 예배를 드리지 못한 역사는 수두룩합니다. 그러나 정치적 회유에 따라 예배가 드려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인은 국가의 권고가 성경의 가르침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예배를 결정합니다.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공정하고 그것이 이웃을 사랑하는 행위가 분명할 때 잠깐 공동체로 모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기준은 성경과 교회의 결정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북한의 그리스도인들은 공동체로 모여 예배할 수 없습니다. 이들은 가정과 토굴에서 예배합니다. 북한은 공식적으로 종교를 인정합니다. 그래서 모여서 예배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예배하지 않습니다. 국가가 모이라고 하여도 모이지 않습니다. 모임으로 이웃을 해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가정교회도 국가 교회인 삼자교회로 전환하지 않고 불복종합니다. 예배는 국가의 명령이라고 따르는 것이 아닙니다.
예배는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교회가 결정합니다. 다만 국가의 권고를 면밀하게 살피고 협력합니다. 이웃에 큰 해를 입힐 때 교회는 잠깐의 예배를 멈출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이 공동체 예배로 드리는 것이 성경이 명령하는 이웃사랑에 해가 될 때 임시로 가정 예배하는 것이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국가가 자신의 한계선을 지키지 않으면 역사에서 자연스럽게 퇴출당합니다. 특별히 정권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권력을 소유할 때는 힘이 있는 것 같아도 한계선 안에서 작동해야 합니다. 그래야 역사에 살아남게 됩니다.
국가의 한계선, 그리스도인의 한계선을 서로 잘 지켜야 합니다. 예배는 오직 하나님을 대면하여 신령과 진리로 드립니다. 지금 국가의 권고 사항이 합리적이라 교회가 협력합니다. 그러나 교회가 불합리하게 느낀다면 협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불복종한 교회에 관한 판단은 권력과 사법의 판단과 역사에 맡깁니다. 국가는 강력한 공권력으로 압박하고 고소할 수 있습니다. 교회는 그 고소에 저항하거나 투항하거나 타협할 수 있습니다. 시민 불복종은 성경과 역사의 산물입니다. 어느 정부, 어떤 상황에도 같습니다. 그리고 공정한 불복종이었는지는 역사의 심판을 받습니다. 3.1운동, 4·19혁명 5.18 민주화운동 등 역사의 판단을 받았습니다. 이 사실을 잊으면 안 됩니다.
성도는 그 중심이 성경이고 부족하지만 합심하여 기도한 교회의 결정을 존중해야 합니다. 그것이 바른 신앙을 가지고 교회를 세우는 일이고, 국가를 존중하는 일입니다. 국가는 사라져도 신앙은 영원합니다. 그러므로 성경과 교회사의 가르침에 충실하여야 합니다.
'좋은 말씀 > 신동식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인이 누리는 복 - 겸손 (0) | 2020.09.17 |
---|---|
캄보디아의 역사에서 나를 보다 (0) | 2020.09.15 |
죄의 자리에서 도망칩시다. (0) | 2020.09.13 |
의인의 복을 즐깁시다.(1) (0) | 2020.09.12 |
거룩한 교회였는가? (0) | 202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