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프란시스 쉐퍼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

새벽지기1 2016. 5. 11. 15:09


화란 개혁주의[신 칼빈주의] 사상

칼빈과 개혁주의자들의 사상과 청교도들의 이러한 사상은 현대의 대표적인 후예들인 화란의 개혁주의자들에게서 동일하게 발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별히 현대 개혁사상을 대표하는 네 사람의 모습을 통하여 프란시스 쉐퍼가 어떻게 이들의 사상의 흐름 속에 있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도 주제에 일관하게 이들의 사회 개혁적인 사상의 형성을 간략하게 다룰 것이다.

1.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

개혁주의 혁명사상의 기본을 마련한 인물인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는 신 칼빈주의의 사회개혁사상에 엄청난 영향을 가져온 사람이었다.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는 근대 칼빈주의 운동의 부흥을 가져온 사람이라고 할 수있다. 그는 역사가요 교육자요 법률가로서 19세기 네덜란드의 칼빈주의 운동의 선봉장이 되었다.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의 시대의 유럽의 정치적 상황은 전쟁과 혁명으로 얼룩져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은 흐룬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흐룬은 이러한 파멸과 불행이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전해 내려온 자유주의의 유토피아적 이상주의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의 사상은 프랑스 혁명의 근본정신을 해부한 『불 신앙과 혁명[Unbelief and Revolution]』에 잘 나타나있다. 종교성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혁명을 해석하는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인간성의 신격화가 민주주의의 영적 열정이다. 인간성의 신격화는 프랑스 혁명의 숨결 그 자체이다. 인간성의 숭배라는 한 종교가 성립한 것이다.”
흐룬은 그의 책 불 신앙과 혁명의 결론 부에서 말하기를

①그리스도인들은 정치를 포함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경이 가르치는 규범에 입각하여 살아야하며
②그리스도인은 어떤 지역이고 고립된 문제들을 가지고 싸울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하며
③그리스도인은 성경이 가르치는 사회 정의를 위하여 투쟁하며 복음의 전 포괄성을 증거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하나님의 주권을 드러내는 영역주권사상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칼빈의 사상을 좀더 구체적인 모습으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정치적인 영역도 역시 예외가 아님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Gron van Prinsterer는 주장하기를 “복음과 혁명” 현대세속 문화 속에서 기독교 신앙을 방어하기 위한 두 번째 국면은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은총, 이 양자가 활동하고 있는 일반 은총의 영역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이해,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 모든 것에 대한 그리스도의 주되심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을 발전시켜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흐룬의 사상은 당대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뒤이은 개혁자들에 의하여 흐룬의 개혁사상을 부활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M. R. Langley는 흐룬의 개혁사상은 카이퍼와 바빙크 그리고 스킬더 메이첸, 반틸, 쉐퍼, 로크마커등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었다고 본 것이다. 정성구는 쉐퍼의 문화의 세속화에 대한 기독교적 비평은 바로 흐룬의 사상과 일맥상통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흐룬의 사상은 그를 이은 걸출한 사상가요 학자이며, 목사인 아브라함 카이퍼에 의하여 영향력이 증가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