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헤르만 도에 벨트[Herman Dooyeweerd]
아브라함 카이퍼의 뒤를 이어 전통적인 개혁사상가로서 기독교 철학 방면에서 많은 활동을 하였던 기독교 철학자이자 법학자인 헤르만 도예 벨트[Herman Dooyeweerd]의 사상은 여러 면에서 현대 개혁주의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볼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우주 법적 이념철학을 통하여 칼빈으로부터 이어오던 영역주권에 대한 개혁주의자들의 사상을 이론화시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헤르만 도예 벨트[Herman Dooyeweerd]의 사상은 프란시스 쉐퍼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본다. 특별히 그의 영역주권으로서의 국가와 사회문제 그리고 서양사상사에 대한 그의 논지는 쉐퍼의 사고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헤르만 도에벨트[Herman Dooyeweerd]는 참된 기독교적 국가관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구속된 인류의 초시간적인 뿌리 공동체에 입각해있다고 본다. 그리고 인간 사회의 여러 가지 제도나 구조들과 관련하여 첫째로 그 구조들에 대한 하나님의 창조시의 의도를 상정하고 둘째로 그것을 하나님의 뜻대로 시간 내적인 역사 현실 속에서 구현할 보편적인 그리스도의 교회를 상정하고 셋째로 그 그리스도의 교회가 역사와 사회 속에서 구현하는 하나님의 원래 의도하셨던 사회의 모습을 상정하고 있다.
헤르만 도예 벨트[Herman Dooyeweerd]는 모든 시간 내적인 사회 관계들은 초시간적이며 불가견적인 그리스도의 교회의 드러남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은 하나님의 통치가 전 포괄적으로 나타나는 하나님의 나라를 선언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나라에 대한 이 기본적인 기독교 사상만이 기독교적인 국가사상을 위한 유일한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나라의 사상에 힘입어 각각의 사회적 관계들은 그 자체의 생존을 위한 구조와 법칙을 하나님에게서 받으며, 그 자신의 영역에서는 주권을 갖는 것이다.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에서 빛을 받는 기독교의 세계관과 인생관은 이교의 전체주의적 사상에 대립하여 시간 내적인 삶의 영역주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특히 사회영역에서의 영역주권의 의미를 상정하기를
"영역주권은 국가가 사회 영역의 내적 본질과 삶의 법칙을 보장한다. 그리고 이 보장과 함께 그것은 어떤 다른 영역의 권위로부터 유래되지 않고, 하나님의 주권적 권위로부터 직접 유래되는 권위와 권한의 영역에 기초를 제공한다"
헤르만 도예 벨트[Herman Dooyeweerd]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과 은총의 영역의 이원론적인 이해와 루터의 복음과 율법의 대립 속의 이원론적인 이해를 거부하고 칼빈의 성경적인 법 개념을 중요시하였다. 또한 그는 서구문화발전에 여러 가지 종교적 근본 동인들에 의하여 통제되어 왔다고 본다. 이 동인들이 여러 세기에 걸쳐 역사의 과정속에서 지속적으로 주도권을 행사해온 어떤 문화적 힘들을 통하여 인류의 역사발전에 관해 그 중심적인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 힘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첫 번째 동인인 고대 그리스-로마의 정신을 지배한 형상과 질료동인, 둘째는 중세 로마 카톨릭 정신을 지배한 자연과 은혜동인, 그리고 근대 휴머니즘 정신을 지배한 자연과 자유동인 .그리고 마지막 동인인 성경적 근본동인인 창조,타락,그리고 성령의 교제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이라는 동인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사실상 종교 개혁의 원리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화사에 대한 반정립의 모델로서 보는 것은 흐룬과 카이퍼의 반혁명모델을 이어받은 모습으로 볼 수있다. 또한 이러한 구분은 개혁주의 사상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다. 이러한 헤르만 도에벨트[Herman Dooyeweerd]의 사상은 많은이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 중에 예술사분야의 뛰어난 학자이며,프란시스 쉐퍼의 절친한 한스 로크마커[H.R.Rookmaaker]가 있다.
4.한스 로크마커[H.R.Rookmaaker]
한스 로크마커[H.R.Rookmaaker]는 프란시스 쉐퍼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1949년에 쉐퍼는 미래의 라브리와 연관된 가장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다 그것이 바로 미술사가인 화란 학생 한스 로크마커[H.R.Rookmaaker]를 만났던 것이다. 그리고 쉐퍼와 로크마커는 함께 아브라함 카이퍼의 사상을 나누게되었다. 그들은 어떻게 하면 예술이 일반적인 사회철학의 창이 될 수 있을까를 함께 토론하였다. 이것이 미술 역사의 전문가로서의 한스 로크마커와 서구사회의 몰락의 그림을 보여주는 쉐퍼에게 있어서 특징[trademark]가 되었다. 일년 후에 쉐퍼는 룩마커를 국제적으로 소개하였다. 한스 로크마커와 프란시스 쉐퍼는 각기 Theodore Prescott와 같은 젊은 복음주의 예술가들을 각각 고무시켰으며, 미술 역사학자인 Marry Leigh Morbey 와 E. John Walford of Redeemer 그리고 Wheaton 대학에서 도와주며 영적인 각성을 주었다. 쉐퍼와 로크마커의 아름다운 우정은 1977년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있기까지 계속되었다. 아브라함 카이퍼와 도예벨트의 영향아래에서 예술을 통한 사회인식을 연구하였던 그는 쉐퍼에게 있어서 매우 귀중한 동역자였다. 그는 현대 예술과 문화의 죽음[modern &the death of a culture]에서 에술 분야의 모습을 통하여 현대 세계를 조명하고 그러한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소명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그는말하기를
"첫째 우리는 자유를 수호하는 편에 서야한다. 둘째는 인간성 수호의 책임 또한 우리의 몫이다. 셋째는 이 시대를 비판하는 것 또한 우리의 소명이다. 즉 그리스도인들은 오직 체제 유지 자체를 위해 존립할 뿐인 기존 질서에 편승하거나 순응하는 의미에서 보수적이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비판적일 수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저항해야 할 곳에서 저항 할 줄 아는 것 또한 우리의 소명에 속한다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저항의 정신은 사랑으로서 해야함을 말하였다. 특별히 그는 이러한 입장을 견지하고, 현재 있는 자리에서 우리의 소명에 응답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를
"그것은 우리의 그리스도인 됨을 드러내기를 두려워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에 의해 구원받았다는 사실을 말함으로써뿐 아니라 우리의 견지, 생활방식, 상황에 대한 선지자적 분석 등을 통해 우리의 그리스도인 됨을 드러내야 한다. 그러자면 우리의 뿌리이신 그리스도께로 되돌아가는 일이 절대적으로 불가피하다. 그리스도인 됨은 우리가 하는 모든 일, 활동을 결정할 뿐 아니라 중립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그리스도의 통치를 벗어나 있는 것 또한 아무것도 없다는 인식을 수반한다"
화란 개혁주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자신의 분야에서 개혁주의 사상을 보여준 한스 로크마커와 프란시스 쉐퍼와의 만남은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이었던 것이다. 쉐퍼의 사회 개혁사상에는 이렇게 놀라운 사상적 뿌리가 있었던 것이다. 다른 시대에 살았지만 동시대에 함께있는 것과 같은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은 이들의 열정의 뜨거움을 느끼기 때문이 아닌가 하다. 그러나 쉐퍼의 사회개혁운동의 원인은 시대의 변화도 개입되었던 것이다.
'좋은 말씀 > 프란시스 쉐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퍼의 생명윤리 (2) /박 종 훈 (0) | 2016.05.17 |
---|---|
쉐퍼의 생명윤리(1) / 박 종 훈 (0) | 2016.05.15 |
프란시스 쉐퍼의 시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아브라함 카이퍼 (0) | 2016.05.12 |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 -흐룬 반 프린스터[G.Gron van Prinsterer] (0) | 2016.05.11 |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청교도의 개혁주의 사상 (0) | 2016.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