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프란시스 쉐퍼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4)-사무엘 러더포드

새벽지기1 2016. 5. 6. 09:10


사무엘 러더포드 [SAMUEL RUTHERFORD]

1600년 스코틀랜드 남부에서 태어난 러더포드는 스코틀랜드의 개혁주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었다.

[1600년대는 스코틀랜드에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시기이다. 왜냐하면 동시대에 Thomas Goodwin이 태어났으며, 1611년엔 Robert Leighton,1615년에 Richard Baxter,1616년 John Owen,1628 John Bunyan, 1630년 John Howe 등이 하나님의 준비아래 태어난 시대이다. 이들은 모두 스코틀랜드 뿐 아니라 청교도의 위대한 스승이 되었다. [Alexander Whyte, "SAMUEL RUTHERFORD AND SOME HIS CORRESPONDENTS LECTURES DELIVERED FREE CHURCH IN EDINBURGH" OLIPHANT ANDERSON AND FERRIER, 30st.mary street,edinburgh,and 24 old bailey, LONDON 1984 pp.1]

사무엘 러더포드는 그의 대표적인 책인 『왕과법(Lex Rex)[1644]』에서 낙스의 사상을 뒤이어 개혁주의 사상을 더욱 곤고히 하였다.

러더포드는 1637년 찰스1세가 스코틀랜드에서 장로교회를 폐지하고 성공회 예배를 드릴 것을 명하자,1644년에 『왕과법(Lex Rex)』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시민 불복종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책에서 러더포드는 먼저 정부의 기원과 목적에 대하여 논하고, 정부의 형성에 대하여 진술하였다.

그에 의하면 정부는 인간의 간교한 꾀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의하여 세워졌고, 권선징악을 위하여 세워진 것이다. 그리고 통치자는 하나님의 사자로서 권선징악을 시행하므로 하나님과의 계약 관계를 집행하고, 악한 세력으로부터 백성을 보호하므로 백성과의 계약을 집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통치자는 백성과 하나님이라는 계약 대상을 가진다.

백성이 법을 어길 때 법에 의하여 제재를 받는 것과 같이 통치자도 계약을 깰 때에 법에 의하여 제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백성이나 통치자 모두 법에 의하여 권세를 제한 받는다. 만일 통치자가 법을 어겼다면 계약을 파기한 것이므로 백성은 그에게 복종 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오덕교 “종교개혁의 유산으로서 청교도 운동 이해: 정치개혁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제479주년 종교 개혁제 세미나 1996.10.29 pp.23

러더포드는 인민과 군주 사이의 계약 관계에 관한 당시 이미 익숙한 주장을 펼치고 있었다. 그는 자연법의 근거에서 뿐 아니라 성경적 근거에서 왕의 절대권에 관한 모든 주장을 부인하였다. 그는 로마법의 원리인 “국민 복지가 최상의 법이다”를 내 세웠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 이 복지, 혹은 안전은 백성의 주권에 달려있다. 권력은 하늘로부터 곧바로 그것을 사용하는 자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하나님으로부터 백성들에게 하나의 생득적 권리[birthright]로 주어지며 백성이 그것을 빌려주는데

“어떤 사람이 그것에 취해 있으면” 백성은 그것을 철회 할 수 있다. 러더포드는 제한 군주제와 책임 정부를 옹호했던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러더포드의 이러한 개혁 정신은 스코틀랜드는 물론 대륙의 사상에도 영향을 미치었으며 특별히 세속 철학자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었다. 쉐퍼는 이러한 영향이 현대 앵글로색슨족은 거의 잊어 버렸지만 그의 작품과 그 작품이 나타낸 전통은 미합중국 헌법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 있다

그 첫 번째 영향은 존 위더스푼[1723-1794]을 통해서이다. 그는 장로교인으로서 사무엘 러더포드의 『왕과법(Lex Rex)』을 곧바로 따라 그것의 원리를 헌법 작성 그리고 형식과 자유의 명문화에 연결 시켰다. 위더스푼이 독립 선언문에 서명한 유일한 목사였으며, 의회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러더포드의 영향을 받은 것은 장로교인이 아닌 세속 철학자였다. 그 매개자는 바로 존 로크[1632-1704]였다. 쉐퍼는 존 로크가 비록 장로교 전통을 세속화 하기는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전통에서 많은 것을 끌어다 썼다고 말한다.

“그는 불가 양도권, 합의 정치, 권력 분립 그리고 혁명권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것들의 성경적 기반은 러더포드의 작품에서 발견된다. 이런 성경적인 배경이 없으면 그의 전 체계가 근거 없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쉐퍼는 말하기를 로크가 이러한 사상을 말하고는 있지만 그가 러더포드의 기독교적 기반을 가져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사상은 내적인 모순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로크의 인간 오성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에서 나타나 있는 그의 경험론을 따르면 ‘자연권’이 들어설 여지는 사실상 없다. 경험론에 따르면 모든 것이 경험에 의존한다. 그러나‘자연권’은 인간 본성에 원래 있었던 것으로 경험에 근거하지 않는 것이거나[그래서 경험론과 상충함] 아니면 인간 경험이 아닌 다른 적합한 기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로크의 가장 큰 난점이다. 결국 그는 기독교의 가르침을 세속화를 하였다는 것이다..

사무엘 러더포드는 근대 역사 특별히 미국 역사에 직간접인 영향을 준 인물이었다. 그는 누구보다도 낙스의 사상에 가장 충실한 개혁자였으며 그를 넘어선 개혁자였다. 사무엘 러더포드의 시민 불복종 운동에 대한 좀더 실천적인 모습은 쉐퍼가 20세기에 반영하고 있는 시민의 한계선 시민 불복종 운동을 다룰 때 자세히 살펴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