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교도들의 사회개혁참여 운동
성경 밖에서 만나는 성경적인 사람들을 청교도라고 부른다. 특별히 이들은 대륙의 개혁주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나 오히려 스코틀랜드 특유의 신학을 만들어낸 사람들이다. 그러기에 장로교회의 첫 모습은 이들에게서 발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의 저항운동은 대륙의 그것보다 더욱 과격해졌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스코틀랜드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이들은 많은 면에서 오해되어왔지만 그러나 그 어떤 신앙인 보다 더욱 적극적이고 아름다운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청교도 신학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존 낙스의 사상을 통하여 그리고 후예들의 모습을 통하여 사회개혁의 모습을 살필 것이다.
1. 존 낙스[JOHN KNOX]의 과격한 저항
낙스가 처해있던 상황은 매우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첫째 정치적으로는 스코틀랜드 내에서 귀족들이 친영파, 친불파로 나뉘어 있는 상황이었다. 즉 종교개혁 직전의 스코틀랜드는 영국과 프랑스가 스코틀랜드를 자국의 목적에 맞게 이용하려는 속셈으로 스코틀랜드내의 귀족들을 부추겨서 친영파, 친불파로 갈라놓는 알력관계가 지속되는 정치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둘째 사회적으로는 새로운 종교사상의 유입으로 스코틀랜드 내에서 박해 속에서도 프로테스탄트 사상이 비밀리에 발효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었다. 수많은 개혁자들이 화형에 처해있었고 백성들은 복음에 목말라 하고 있었다.]W. S. Reid., "Trumpeter of God : A:Bigraphy of John Knox. [New York:Charles Scribner's Son,1974] pp 12. 따라서 15세기에 개시되었던 상업, 공업, 정치, 사회조직등의 진보와 개발은 16세기에 들어와 더욱 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스코틀랜드는 이에 영향을 입었고 이로 인해 새로운 사상들이 점차 스며들고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많은 학생들이 유럽에서 수학하고 있었다. 따라서 1517년 루터의 개혁이 시작되자 복음적인 책들과 팜플렛들이 스코틀랜드 항구를 통해 스며들기 시작했다. 1525년 8월에 제임스 5세는 에버딘샤이어 (Aberdeenshire)의 경찰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에버딘 주교가 이곳에 루터란 서적들을 유입해 들여온 외국인들에 대해 불평하였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있다. 관헌들은 즉시 이러한 이단자들을 체포하고 이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국왕에게 귀속시키라고 명하고 있다. [ Ibid., pp. 34.]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죽거나 망명하였다. 그러나 놀라운 사실은 바로 스코틀랜드의 개혁지도자가 없는 그때에도 개혁사상은 각계각층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 사실을 장모인 보우스 부인에게 편지로 알렸다. 즉, 1555년 낙스가 몇 개월간 모국 방문차 제네바에서 귀국했을 때 무수한 군중이 복음에 갈급해 있는 것을 보고 감개무량했던 것이다.
“그들은 밤낮으로 생명의 떡을 먹으려고 흐느끼며 신음하고 있습니다. 제가 제 눈으로 모국에서 목격하지 않았다면 믿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이런 때에 하나님께서 그들의 갈증을 조금이라도 해갈시켜 주시기까지 저는 떠날 수 없습니다.” David Lang (ed),The Works of John Knox, Vol II.pp. 217-218 ; A. M. Renwick,
op.cit.,pp.69.재인용.
낙스가 느낀 이 운동은 상류층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선조들이 “롤라드”의 교훈에 깊이 감동을 받았던 서부의 평민들도 개혁신앙을 수호하기 위해 수천명이 봉기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셋째 종교적으로는 스코틀랜드내의 고위 성직자들의 극에 달한 부패로 영적 부패기에 접어든 상황이었다. 저명한 스코틀랜드 교회사가인 플레밍 (David Hey Fleming)교수는 로마 카톨릭 교회 지배하에 있었던 종교개혁 이전의 스코틀랜드 교회의 전반적인 상태에 관하여 생생하게 기술하고 있다.
“당시 국가의 사법권의 지배를 받지 않고 있었던 성직자들은 횡포와 부도덕한 생활로 치욕적인 행동이 심했고 많은 성직자들은 문맹에 가까울 정도로 무식했다.” D. Hey Fleming, Reformation in Scotland (Edinburgh,1910),p.42.김득룡,op.cit., pp.3.에서 재인용.
목회자로서 성직자들이 교인들을 보살피고 지도하는 봉사적 역할의 사명은 망각하고 도리어 민중을 집어 삼켜 희생시키는 이리 떼와 같이 되었다.그런 모든 상황은 개혁이 얼마나 절실했던가를 깨닫게 하였다. 이때 존 낙스가 혜성과 같이 등장하였던 것이다.
존 낙스는 이러한 스코트랜드의 역사적 상황가운데 그 어느 개혁자보다 과감하고 혁신적인 개혁을 일으킨 것이었다. 낙스는 초기부터 과격한 개혁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환경이 낙스가 무력 저항의 개혁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상황으로 급격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국의 종교 탄압 그리고 스코틀랜드의 메리 스튜어가 프랑스인과 결혼약정, 그리고 프랑스의 군대유입과 그에 따른 무력탄압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Richard Kyle, The Mind of John Knox [Lawrence:Colorado Press,1984],pp266 ; 양낙흥,개혁주의 사회윤리와 한국 장로교회,op.,cit.pp.52 재인용
여기에 교회 권력자들의 박해와 귀족들의 이기심 등이 낙스로 하여금 개혁의 강도를 높이게 하였다. 낙스는 『스코틀랜드 귀족들과 의회에 보내는 상소』에서 종교문제를 다루고 나서 세속권력, 특히 왕권에 대한 저항의 문제를 다루었다. 왕이 전제[독재]를 할 때 신하들은 “엄한 권고와 충고”로써 하나님의 말씀에 저촉되는 것은 무엇이든지 “교정하고 억제해야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왕들이 선하든 악하든 우리는 그들에게 순복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그렇게 명하셨기 때문이다“라는 주장은 낙스에게는 신성 모독적인 발언으로 들렸던 것이다.]양낙홍,개혁주의 사회윤리와 한국 장로교회,op.,cit.pp.55
이렇게 낙스는 불의한 정권에 대해서 매우 강경하면서 분명한 선을 그었던 것이다. 낙스의 이러한 강경한 저항사상은 칼빈의 사상 그리고 베자의 입장보다 더 진일보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낙스는 어느 누구나 압제하는 독재자에 항거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표현하였던 것이다. 낙스는 말하기를 불의한 명령에 순종하는 자는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불의한 권력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자가 하나님의 상을 받게 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저주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양낙흥,개혁주의 사회윤리와 한국 장로교회,op.,cit.pp.55
낙스는 그의 망명 기간 대륙의 개혁자들 특히 불링거와 제네바의 칼빈의 영향을 누구보다 강하게 받았다. 낙스는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개혁을 일으키고 장로교를 세운 것은 바로 칼빈의 사상을 이상이 아닌 현실의 모습으로 단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낙스는 그의 정치사상이나 사회개혁의 프로그램을 칼빈보다 더욱 적극적이고 진보적인 관점에서 시행하였던 것을 볼 수 있다. 낙스는 신명기13장의 말씀을 액면 그대로 적용하였다.
“첫째는 누구든지 백성들을 우상 숭배로 인도하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사형에 처해야 한다. 만일 왕들이 우상 숭배자로 판명되면 그들도 처형되어야 한다. 둘째, 우상 숭배자의 처형은 고위 공자들에 의해서 뿐 아니라 ”백성들 전체“와 ”그들 각각“에 의해서도 집행 될 수 있었다.”
낙스의 이러한 관점은 칼빈과 베자가 사사로운 시민은 그 어떤 경우에서라도 자기의 합법적인 최고 권위자에 대하여 저항해서는 안된다는 입장보다 한층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낙스는 『The Second Blast of Trumpet against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에서 매우 광범위한 저항 사상을 말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첫째, 주권적 통치자의 정통성은 단지 혈통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거를 통해 확인되는 하나님의 규례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둘째, 공직은 분명한 우상 숭배자나 하나님의 율례를 깨뜨리기로 악명 높은 자들에게서 주어져서는 안된다. 셋째, 국민들이 맹세를 하고 서약을 한 뒤에라도 폭군에게 불순종하고 그를 제거하는 것은 합법적이다. 넷째, 만일 국민들의 조급함이나 무지로 말미암아 최고 주권자의 자리에 앉기에 합당치 않은 자가 통치자로 선출되었다 하더라도 나중에 국민들이 그를 폐위하고 벌주는 것은 정당한 일이다.]양낙흥,개혁주의 사회윤리와 한국 장로교회,op.,cit.pp.59
낙스는 메어리 스튜어트와의 대화에서도 분명한 어조로 말하기를 “만일 군주들이 자기 분수를 넘어서 행동한다면 신민들은 그에게 무력으로도 저항할 수 있음이 물론입니다”]Ibid.,pp.60 낙스는 자기에게 영향을 준 칼빈보다 더욱 강력한 개혁을 하였고 낙스의 이러한 개혁의 성과는 후대의 개혁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양낙흥은 이러한 낙스의 관점을 논의하면서 낙스의 하나님은 현실주의적이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는 말하기를 낙스는 “무릇 많이 받은 자에게는 많이 찾을 것이요, 많이 맡은 자에게는 많이 달라 할 것이니라”[눅12:48]의 원리를 적용한 현실주의자였다는 것이다.]Ibid.,pp62
쉐퍼가 낙스를 기독교 저항 운동의 태두로 말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Michael R.Gilstrap "존 칼빈의 시민 불복종 이론“ 박희석역 [서울 :실로암 1989] pp. 258
프란시스 쉐퍼는 그의 기독교 선언에서 종교개혁의 역사속에 불복종운동의 한 인물로서 낙스를 칭하면서 그에 대한 지면을 많이 할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쉐퍼는 낙스의 사상은 마틴 루터나 존 칼빈 같은 개혁가들처럼 민중지배자에 대한 거역만을 주장한대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평민들에게도 성경에 위배된 정치를 하는 관리에 대해 거역하고 저항 할 권리가 있다”고 하는 주장하였으며,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께 거역하는 일이 된다고 하였다.]프란시스 쉐퍼, 기독교 선언(Christian Manifesto), 김정훈역 [서울:보이스사1982].pp.111
그의 시민 불복종 운동의 결실로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는 확고하게 세워 졌던 것이다.
낙스의 이러한 사상의 흐름은 언약도 운동들 그리고 청교도 사상의 중요한 뿌리가 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인의 사상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사무엘 러더포드의 『왕과법(Lex Rex)』의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었다.
'좋은 말씀 > 프란시스 쉐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청교도의 개혁주의 사상 (0) | 2016.05.08 |
---|---|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4)-사무엘 러더포드 (0) | 2016.05.06 |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2]-베자 (0) | 2016.05.03 |
쉐퍼의 사회개혁 운동의 교회사적 배경(1) -칼빈 (0) | 2016.04.30 |
프란시스 쉐퍼 이해- 사회 개혁가 (0) | 2016.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