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존 오웬

내 안의 죄죽이기(2) / 존 오웬

새벽지기1 2016. 7. 11. 11:56


1. 육체적 행위를 죽이는 일

 

이 글의 토대는 롬 8:13이다.

“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

이 말씀에 함축된 위대한 복음의 진리와 신비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로마서 8장 서두(1-3)에서 사도 바울은 이신칭의의 교리와 그 은혜에 참여한 자들의 축복을 재요약해서 말한 후, 그것을 더욱 확대설명하면서 성도들이 갖는 거룩과 위로에 초점을 맞춘다. 거룩을 위한 바른 동기들을 주장할 때, 바울은 13절에서 죄의 반대편 관점에서 그 중 하나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여기서 ‘육신대로 살면’이라는 말과 ‘죽는다’라는 말은 확실히 성도가 추구해서는 안되는 삶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 의미는 13절 하반절의 말씀과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

 

이 책의 기초가 되는 13절 후반부를 분석하면, 첫째 우리가 행해야 할 의무에 대해 먼저 말한다. 즉, ‘몸의 행실을 죽이는 일’이다. 그리고 둘째로 그러한 의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자격 조건을 언급한다. ‘너희들’. 셋째로 그 의무를 수행할 때 어떤 약속이 따르는지를 보여준다. ‘그렇게 되면 산다는’ 약속이다. 넷째로 이 의무 수행의 원천과 수단은 성령이라고 말한다. ‘영으로써’. 다섯째로 여기서 제시되는 명제는 모두 조건부라는 점이다. ‘만약--한다면’.

 

“그러나 만약”

 

첫째, 약속의 조건으로 제시된 의무를 수행하는 당사자의 입장에서 볼 때 그 의무를 수행하여 약속을 받는 일은 매우 불확실하다. 그가 약속을 받기 위해서는 의무 조항을 절대적으로 충족시켜야 하는데, 실상 그에게는 그런 의무 충족을 확실히 보장해 줄 수 있는 원천이나 힘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8장1절에서 이 의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더 이상 정죄함이 없는’ 사람들로 묘사했다. 이들은 확실히 그 의무를 충족시켜 약속을 성취하는 자들인 것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조건으로 제시된 의무와 약속 사이에는 논리적 응집력이 있어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몸의 행실을 죽이는’ 의무와 ‘산다’는 약속 사이에 확실한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 약을 먹는다면, 병이 낫게 될 것이다’와 같다.

하지만 죄를 죽이는 것과 사는 것 사이의 관계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아니다.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롬6:23)고 말하면서 영생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말하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의 관계는 수단과 목적의 관계이다. 하나님은 자유롭게 약속한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그 수단을 미리 정하신 것이다. 수단은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결국 그것은 자유로운 약속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종속물에 지나지 않는다. 만약 은사를 얻는 것이 사람의 행동에 달려 있다면, 그 상관관계는 일관적이지 못하고 불확실한 것이다. ‘죄를 죽이는 것과 영생 사이에는 절대적으로 확실한 연관관계가 있다’. 당신이 이 수단을 사용한다면 그 목적을 선물로 얻게 된다. 의무에는 이런 동기와 효력이 있다.

 

“너희가”

 

그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당사자들이다. 성도들을 가리킨다. ‘더 이상 정죄함이 없는’ 사람들로서 육신에 있지 않고 영에 있는(5절) ‘그리스도의 영에 의해 살려진(10-11절) 자들이다. 이 의무를 성도가 아닌 사람들이 억지로 수행한다면 그 결과는 이 세상에 만연된 미신과 자기 의로 귀착될 것이다. 즉, 복음을 외면하고 경건하려는 사람들의 인간적 업적으로 끝나고 마는 것이다(롬10:3-4, 요 15:5).

결국 이 책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나의 논점은 죄의 지배에서 자신이 해방되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는 아무리 훌륭한 성도일지라도, 그는 마음 속에 거하는 죄의 힘을 극복하기 위해 항상 전력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으로써”

 

이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원천은 성령이다. 이 영은 11절에 언급한 ‘그리스도의 영’, 즉 우리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의 영(9절)이다. 이 영을 통해 우리가 다시 사는 것이다(11절). 또한 이 영은 ‘양자의 영’(15절)으로 우리를 위해 중보기도를 드리는 영(26절)이다. 성령 외에 다른 방법으로 죄를 죽이는 것은 헛된 일이다. 다른 모든 것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직 성령을 통해서만 이 의무를 성취할 수 있다. 다른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스스로 고안한 방법을 가지고 자신의 힘으로 죄를 죽이고자 하는 노력은 세상의 모든 거짓된 종교의 본질이며 그것은 결국 자기 의이다.

 

“몸의 행실을 죽이는”

 

여기서 세 가지 질문을 할 수 있다. ‘몸’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몸의 행실’이라는 뜻을 무엇인가? ‘죽인다는 것’(극복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첫째, ‘몸’은 상반절에 있는 ‘육신’이라는 말과 동의어이다. 몸은 우리의 타락한 품성과 관련해서 우리 속에 그것이 자리잡고 있는 좌소이며 도구를 뜻한다. 몸의 지체는 불의를 섬기는 종들이라고 할 수 있다(롬6:19). 결국 몸이 하는 것은 타락한 육체 또는 정욕으로서 우리 속에 거하는 죄의 속성이다. 몸은 ‘옛사람’과 ‘죄의 몸’(롬6:6)과 같은 뜻이다. 그것은 타락한 인간의 전인적 모습으로 정욕과 병적인 감정이 거하는 곳이다.


둘째, 몸의 행실. ‘행실’은 외적인 행동으로 갈5:19에서 현저하다고 명명한 ‘육체의 일’을 가리킨다.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여 있다.” 육체의 행실을 죽이기 위해서는 그 행실의 원인부터 잘라내야 한다. 바울은 그 원인들을 육신의 정욕이 지향하는 행동들로 묘사했다. 정욕은 인간을 속이고 거짓된 것으로 우리로 하여금 완벽하게 죄를 짓도록 만든다. 바울은 로마서 7장과 8장에서 서두에서 죄의 정욕이 죄의 행동의 토대이자 원리라고 바울은 지적한다. ‘몸의 행실’은 ‘육신의 생각’(롬8:6)과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행실은 육체의 열매와 행동의 원천이 되는 ‘육체의 정과 욕심’(갈5:24)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 몸에 대해서 롬8:10은 그 ‘몸은 죄로 인하여 죽은 것’이라고 말한다.


셋째, ‘죽인다.’ 이 비유적 표현은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죽음의 상태로 놓는다는 뜻을 함축한다. 그 힘과 활력의 원리들을 제거해서 더 이상 행동하거나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바울은 우리 속에 거하는 죄를 살아 있는 인격체인 옛 사람으로 비유한다. 그 옛 사람은 자신만의 기능, 자질, 지혜, 기술, 통찰력, 힘을 가지고 있다.

바울에 의하면, 우리는 이 옛 사람을 죽여서, 즉 죽음의 상태로 놓아서, 그것을 극복해야 한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옛 사람을 완전히 죽이고 극복한 모범적인 예이다. 그래서 바울은 그 옛 사람이 “십자가에 못박혔다”라고 말하고(롬6:6), 우리 자신이 주님과 함께 죽었다고 지적한다(롬6:8). 그 결과 비록 우리 마음속에 부활에 반대하는 파괴적인 소욕들이 여전히 공존하지만(갈5:17), 성도인 우리는 이제 주님의 부활에 처음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롬6:3-5). 이 부활의 완성은 점진적으로 우리의 일생을 통해 성취되어 간다. 롬8:13은 우리의 썩어질 몸에 거하는 죄들을 죽여서 더 이상 육신의 행실을 하지 못하도록 그 힘과 능력을 제거하는 일이 성도들의 의무임을 보여주고 있다

 

“살리니”

 

이 의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생명의 약속이 주어진다. 앞에 언급된 죽음의 위협과 대조를 이룬다. “자기 육체를 위하여 심는 자는 육체로부터 썩어질 것을 거두고”(갈6:8). ‘썩어진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멸망의 심판을 뜻한다. 약속한 생명은 영생을 의미할 뿐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누리는 영적인 생명을 뜻한다. 신분상의 변화에서 파생되는 기쁨, 위로, 그리고 활력을 강조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너희가 주 안에 굳게 선즉 우리가 이제는 살리라”(살전3:8). 한마디로 “너희가 살리니”라는 말은 여전히 이 세상에 있으면서도 선하고 활력있는 안락한 영적인 삶을 살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저 세상에서 영생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육신의 행실을 죽일 때 우리는 영적 삶의 활력, 힘 그리고 위안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이 의무 수행의 동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