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시스 쉐퍼의 사상의 여정
많은 사람들이 쉐퍼를 이해하기를 문화 사역자나 기독교 문화 이론의 선구자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쉐퍼를 너무 모르는 무지에서 나온 것이다. 쉐퍼의 목적과 관점은 분명하였다.
제1장 쉐퍼의 신학 사상
제1절 성경 무오사상
쉐퍼의 신학 사상을 아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쉐퍼의 학문의 기간들은 모두 개혁주의 신학교에서 수학하였다는 것이다. 그의 신학은 개혁주의 신학이었고 본인 스스로가 장로교임을 자랑스럽게 여기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를 규정할 수 있는 말은 “그는 성경의 사람이었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실은 그의 회심의 사건에서도 분명히 알 수 있고 그의 목회사역 그리고 그의 라브리사역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그는 성경의 진리를 믿고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당시대의 성경 유오설자들과 맞섰으며 성경무오설을 믿고 고백하는 이들과 함께 그 유명한 시카고 선언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쉐퍼는 온 전한 성경관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지 않는 한 복음주의는 철저하게 복음주의가 될 수없다고 말하였다.]프랜시스 쉐퍼,No Final Conflict (궁극적 모순은 없다) 김원주역 [서울:생명의 말씀사 1995]pp .48
특별히 그는 로잔대회의 연설에서 우리가 확고하고 강경한 성경관을 고수해야 하는 이유를 두 가지로 말하였다.
“첫째는 성경을 확고하게 고수 하는 것만이 성경이 스스로에 대해 가르치는바와 또 그리스도께서 성경에 대해 가르치신 바를 충실히 따르는 길이다. 그리고 둘째는 이제 앞으로 우리는 어려운 시대를 맞이하게 될것이다. 우리와 우리의 영적 자녀와 육적 자녀에게 말이다. 그런데 확고한 성경관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한 우리는 앞으로 닥칠 어려운 시대에 대해 준비를 하지 못할 것이다.“]ibid.,pp.41
성경에 대한 분명한 입장이 없는 한 상대주의 세상에 기독교는 아무것도 줄 수 없을 것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그는 확고한 성경관만이 상대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세워진 영향력이 있는 문화의 압력을 버틸 수있다.그러므로 확고한 성경관을 위하여 하나가 되어 싸우자고 외쳤다.
쉐퍼는 기독교 신앙이란 하나님의 객관적인 계시인 성경에 근거해야 하며 이런 중생을 체험한 이후에야 일생을 통해 계속되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경험하는 것]L.G. PARKHUST,프란시스 쉐퍼,pp.71 이라고 하였다. 또한 쉐퍼는 기독교인으로서 우리는 성경의 약속에 근거하여 생각하고 행동하며, 하나님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세상을 위하여 우리의 삶속에서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시키며 열매를 맺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L.G. PARKHUST,프란시스 쉐퍼,op.cit.,pp.71
고 하였다. 그는 확고한 성경의 .사람이었다.
'좋은 말씀 > 프란시스 쉐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퍼의 문화 변증(1) (0) | 2016.04.27 |
---|---|
프란시스 쉐퍼 사상의 여정 - 개혁적 복음주의 신학 /신동식 (0) | 2016.04.26 |
쉐퍼가 키에르케고르를 비판한 대목에 관한 궁금증/김태완 (0) | 2016.04.23 |
프란시스 쉐퍼 들여다 보기(5) '라브리의 메세지' / 신동식 (0) | 2016.04.22 |
프란시스 쉐퍼 들여다 보기(4) '라브리 사역' /신동식 (0) | 2016.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