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류현모교수 95

가설과 추정으로 가득한 진화론

다윈은 1859년 그의 책 을 통해 진화의 가설을 주장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에 의해 ‘ 종’ 이 분화될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한 것이다. ‘ 종’은 생물분류표에서 형태에 따른 ‘ 계-문-강-목-과-속-종’의 분류에서 가장 모양이 비슷하며 교배했을 때 생식이 가능한 후손을 낳을 수 있는 것들의 집합이다. 생물분류표는 1735년 스 웨덴의 린네가 형태로만 나눈 동물과 식물의 분류를 다윈 시대뿐 아니라 과학이 더 발달한 현재에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멘델의 유전의 법칙이 1866년경 발표되었으나 유전의 개념이 실제로 받아들여진 것은 진화론이 다 정착되 난 1900년 이후였다. 20세기에 밝혀진 유전자나 염색체의 개념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진화론이 탄생한 것이다. 유전의 원리를 미리 알..

진화론은 과학이 아니다

기독교인은 자신의 믿음을 굳건히 하고 신앙을 변호하기 위해서 진화론의 허구성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현대의 자연주의자들은 과학을 ‘직접 관찰하거나 실험적 재현을 통해 자연의 원리를 밝혀내는 학문’으로 정의한다.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의해 증명할 수 있는 것만이 과학적이라는 주장이다. 이 정의에 합당한 것을 실험과학(operational science)이라 부른다. 이에 반해 과거에 신학이나 철학이 다루어 왔던 우주와 생명의 기원은 현재 시점에서 다시 관찰할 수 없고, 실험적으로 재현할 수 없다. 비록 과학의 대상인 우주와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역사과학(historicalscience)이라는 이름으로 다루고 있지만, 진화론은 과학이 아니라 존재의 기원을 다루는 형이상학이 분명하다. 현대의 인본주의 사..

윤리학, 약자 보호가 윤리의 기준이 될 때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도덕률의 기준 설정에 세속적 인본주의자들만큼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모든 분야에 대해 변증법적 유물론과 계급투쟁이라는 통일된 접근방식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들은 우리 사회를 포함한 우주의 모든 것이 정과 반의 투쟁을 통해 합을 이루는 변증법적 변화 중에 있다고 믿고 있다. 이들이 세계관의 근본으로 생각하는 것은 경제 체제이다. 자본주의 체제 속의 부르주아(정)와 프롤레타리아(반)의 투쟁을 통한 변증법적 결론인 사회주의(합)를 거쳐 공산주의로 이행하는 것이 변증법적 상향발전이라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이와 함께 진화론을 모든 존재의 기본이념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도덕성의 기준도 변증법적 변화의 상태에서 진화해 가고 있다고 여긴다. 절대적 도덕률을 무시하고 폭력혁명을 일으킨 공산주의..

윤리학, 상대적 도덕률의 문제

윤리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누가 도덕률을 만드는가?”이다. 신인가, 아니면 신의 자리를 차지한 인간인가? 유신론에 서는 신, 인본주의에서는 인간이 만든다고 할 것이다. 유신론과 인본주의의 가장 큰 차이는 도덕률의 근원을 어디에 의존하느냐이다. 인본주의자는 기독교가 제시하는 절대적 도덕률을 거부한다. 초자연적 존재가 제시하는 십계명과 같은 도덕률이 인간의 원초적 욕구를 너무 억압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1933년, 1973년, 2003년 세 번에 걸쳐 발표된 ‘ 인본주의자 선언-I, II & III’ 을 통해 그들은 인본주의가 윤리적임을 주장하였다. 절대적인 도덕률의 기반이 없는 도덕성이 과연 가능할까? 인본주의자들은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라는 책에서 그들은 절대자 없이 보편적 도덕성을 정의하려..

윤리학, 절대적 도덕률이 있는가?

윤리학은 선악의 기준이 무엇이며, 그 기준이 어떻게 정립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는 학문이다. 기독교와 이슬 람같이 일신론적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은 절대적인 도덕률이 있다고 믿는다. 절대자인 신에서 유래한 변치 않고 명확한 기준이 있다고 믿는 것이다. 반면 범신론 혹은 다신론 세계관에서는 상대주의를, 무신론에서는 절대적 윤리기준의 근거 없이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기준을 제시하려 노력하고 있다. 예수님은 자신을 향해 ‘ 선한 선생님이여’라고 부르는 사람에게 “하나님 한 분 외에 선한 이가 없느니라”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이 윤리의 절대적인 기준이심을 알려주신다.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하나님께서 선함의 기준이기 때문에 기독교의 도덕률은 절대적이고 변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이슬람에..

철학, 진리란 무엇인가?

철학은 진리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학교의 기능은 진리의 탐구에 있다고 한 다. 많은 대학들의 교훈이나 건립이념에 ‘ 진리’ 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 일 것이다. 그렇다면 진리란 무엇인가? 세속학문과 각 세계관이 말하는 진리의 정의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 세계관의 차이를 비교해 보겠다. 진리를 정의할 때는 ‘ 넓은 의미의 진리’ 와 ‘ 좁은 의미의 진리’ 로 나눌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진리는 어떤 명제가 옳으면 참 혹은 진리, 옳지 않으면 거짓 혹은 비진리라고 구분할 때의 진리이다. 학교시험에서 “다음 문장 중에 옳은 것은 T(true), 옳지 않은 것은F(false)를 표시하라”와 같은 진위 문제의 답을 고르는 것과 같다. “현재 대한민국의 ..

철학과 과학

신학과 철학은 존재의 근본과 기원에 대한 지식에서 시작한다. 우리는 신의 존재와 기원에 대해 논의하면서 과학적 방 법론이 접근할 수 없는 한계를 발견한 바 있다. 진화론은 ‘신이 존재하지 않음’ 을 믿음에서 시작하는 것이요, 창조론은 ‘신이 존재함’ 을 믿음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지식의 근본이 되는 형이상학적 토대를 과학적 방법론으로 증명할 수 없기에 모든 지식은 어떤 믿음을 근거로 발전한다. 현대의 과학은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사람들에 의해 학문적 체계가 만들어졌다. 프란시스 쉐퍼는 “세상이 합리적인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관찰자로서 자신과 관찰의 대상 사이에 연관성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기반이 없었다면 현대 서양과학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주장한..

철학의 인식론

철학이란 지식의 근원과 지식을 추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오랜 역사를 통해 사람들은 자연과 물질적인 부 분에 대해서는 나름의 방법론으로, 비물질적이며 초자연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또 다른 방법론으로 지적 탐구를 지속해왔다. 근대에 접어들어 과학이 발달하면서 자연과 그것을 구성하는 물질에 대해 과학자들이 탐구의 방법론에 대한 주도 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들은 초자연에 대한 지식까지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초자연을 부정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과학자들의 종교비판을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앨빈 플랜팅가는 “기독교 믿음의 반대자이든 옹호자이든 모두 자신들 견해의 기반을 증명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우주 혹은 신의 존재 그 기원에 대해 유신론자와 무신..

무신론 신학

존재론, 기원론과 인식론을 다루다 보면 모든 세계관에 종교적 선언이 있음을 알게 된다. 기독교와 이슬람에서는 “태초에 신이 계셨다”, 인본주의, 공산주의와 포스트모던에서는“태초에 신이없었다”, 뉴에이지에서는 “모든 것이 신”이라고 말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관점은 그외 몇 가지 요소로 인해 종교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주장한 변증법적 유물론은 사물 에 신의 속성을 부여한다. 구스타프 A.베터는 그의 저서 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한다.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서는 지극히 높은 존재를 부인하지 않는다. 세상은 지속적인 발전 과정 속에 있는데 그 과정은 무한을 향해 나아간다. 따라서 유물론에서 물질에 가해지는 무한한 변증법적 변화는 물질에 정신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신성마저부여할 수 있게 된다.” ..

인식론, 신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나?

존 듀이를 비롯한 많은 인본주의자들은 1933년 인본주의자 선언1에서 “우주는 그 자체로 존재하고 창조되지 않았다” 고 주장하며 유신론의 시대는 갔다고 선포한다. 그로부터 40년 뒤 1973년 인본주의자 선언2와 2000년 개정된 인본주의자 선언3에서도 “초자연의 존재를 믿기에는 증거가 불충분하다. 초자연은 인류의 생존과 완성에 어떤 의미도 없다. 유신론자가 아닌 우리는 신이 아닌 자연으로부터 출발한다”고 그들의 존재와 기원의 근거를 분명히 규정하였다. 그런 까닭에 무신론자들은 ‘ 신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나?’ 라는 질문 자체를 부정한다. 그렇다면 신의 존재를 긍정하는 유신론적 세계관에서는 신이 존재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일신론의 각 종교에는 그들의 경전이 있고, 그 경전에는 신 존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