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장 | 10장 | 11장 |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본심 | 왜 이스라엘을 유기하셨는가! | 이스라엘과 이방인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 |
①바울의 고통과 근심(1-3) ②진정한 아브라함의 자손(4-13) ★하나님의 주권(예정)론(11-13) ③하나님이 주권(토기장이 비유) (14-24) ④하나님의 주권과 이방인(25-29) | ①행위로 의를 구했기 때문! (9:30-33) ②그리스도를 거부했기 때문! (10:1-15) ③선지자들을 거부했기 때문! (16-21) | ①이스라엘의 남은자의 구원(1-10) ②이방인의 구원과 자만경고(11-24) -아무쪼록 시기케 하여(14) ③이스라엘에 대한 구원약속(25-32) ★이스라엘 유기의 기간: 이방인의 충만한 수가 들어오기까지(25) |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의(의의 변론) |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부르리라!
(롬9:25-29 하나님의 주권과 이방인)
▶본문
25.호세아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치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
26.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저희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부름을 얻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27.또 이사야가 이스라엘에 관하여 외치되 이스라엘 뭇자손의 수가 비록 바다의 모래 같을찌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얻으리니
28.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사 필하시고 끝내시리라 하셨느니라
29.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시지 아니하셨더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해석과 설명
☀롬9:25-29절은 이방인의 구원과 관련하여 구약성경을 인용한 보충 설명이다. 즉 이방인의 구원도 수많은 이스라엘 민족 중 소수의 남은 자의 구원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절대 주권에 의해 비롯된 것임을 다시금 강조한 것이다.
◦‘호세아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치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25절)
호세아서는 심히 타락한 북왕국 이스라엘에 대한 예언이다.
그리고 본 절은 호세아2:23절에서 인용한 글이 분명하다.
“내가 나를 위하여 그를 이 땅에 심고 긍휼히 여김을 받지 못하였던 자를 긍휼히 여기며 내 백성 아니었던 자에게 향하여 이르기를 너는 내 백성이라 하리니 그들은 이르기를 주는 내 하나님이시라 하리라 하시니라”
호세아서의 강조점을 정리하면 호1:6에서 하나님께서 호세아에게 고멜의 딸 이름을 ‘로루하마’로 부르도록 하셨다. 그 뜻은 ‘자비를 입지 못한 자’다. 그런데 호2:1에서 ‘로루하마’가 ‘루하마(자비를 입는 자)가 된다. 사도 바울은 이 원리를 지금 인용해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절에서 ‘내 백성 아닌 자’는 구약에서 선택받지 못한 이방인을 가리키며, ‘사랑치 아니한 자’ 역시 이방인을 가리킨다. 이는 바울이 호세아서를 인용 구약시대에 하나님의 선택을 받지 못해 하나님의 계시로부터 멀어져 긍휼을 입지 못했던 이방인들이 하나님의 긍휼을 입었다는 사실을 강조한 내용이다.
<참고-새 번역 성경> "나는, 내 백성이 아닌 사람을 '내 백성'이라고 하겠다. 내가 사랑하지 않던 백성을 '사랑하는 백성'이라고 하겠다."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저희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부름을 얻으리라 함과 같으니라‘(26절)
여기서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이란 두 해석이 있다.
첫째, 이스라엘이 이국인의 대우를 받던 모든 곳으로서 당시 유대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비두니아등을 의미한다는 견해다.
둘째, 원래 하나님을 알지 못했던 이방 땅의 백성들이 살던 곳을 가리킨다는 견해다.
문맥상 본문이 유대인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첫 번째 해석이 유력하다. 따라서 본절은 유대인들이 흩어져 있는 모든 장소에서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신 것처럼, 자신을 전혀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여길 권리가 없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불리우게 되었다는 말이다.
<참고-새 번역 성경>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다' 하고 말씀하신 그 곳에서, 그들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자녀라고 일컬음을 받을 것이다."
◦‘또 이사야가 이스라엘에 관하여 외치되 이스라엘 뭇자손의 수가
비록 바다의 모래 같을찌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얻으리니
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사 필하시고 끝내시리라 하셨느니라‘(27-28절)
27-28절은 사10:22-23을 인용한 것으로 그 내용은 북왕국 이스라엘에 대한 앗수르의 침략에 관한 예언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한 때는 바다의 모래같이 번성하던 민족이 앗수르의 침략으로 수많은 백성들이 소멸되고, 후에 이를 하나님의 징계로 여기고 회개하고 돌아온 소수의 남은자만이 겨우 돌아오게 될 것을 예언한 내용이다.
바울이 본문을 인용한 것은 하나님의 약속은 다수가 아니라 하나님이 긍휼히 여기신 소수의 남은 자들을 통해 성취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즉 바울의 남은 자 사상은 이스라엘의 민족적 회복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롬9-11장의 주제는 이스라엘이 영적인 시련기를 거친 후 하나님께 돌아오게 될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진정한 남은 자는 이스라엘의 지경을 넘어 이방인에게로 확대된 의미로 진정한 영적 이스라엘을 말한다.
한편 28절 ‘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사 필하시고 끝내시리라’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매우 난해한 구절이다. 다만 27절에서 남은 자의 구원이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언급된 것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절대 주권을 가지신 하나님의 말씀은 결코 변개됨이 없으며, 이스라엘 가운데 남은자가 반드시 구원받을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사야가 말한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시지 아니하셨더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29절)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시지 아니하셨더면’
본절은 사1:9의 70인역을 인용한 것이다. 그런데 70인역을 히브리 원본과 비교할 때 ‘그렇게 적은 남은 자(히브리 원본)’란 표현이 ‘씨(70인역)’으로 고쳐진 것인데, 본 절에서 ‘씨’는 이것을 바울이 인용한 것이다. 바울은 7-8절에서도 이 ‘씨’를 동일한 의미로 인용했다.
한편,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는 말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완전히 파멸하게 된 성읍인 소돔과 고모라(창18장)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남은 자가 하나님의 철저한 멸망의 진노 가운데서도 보존 된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27절에서는 ‘많은 수의 이스라엘 가운데에서도 제한 남은 자만 구원을 얻을 것이 강조된 반면, 본절은 이처럼 심각한 심판 가운데에서도 남은 자는 구원을 얻을 것이라는 사실을 특징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교훈과 적용
◦우리는 원래 사랑받을 자격이 없었던 존재였음을 잊지 말라!
본문은 이방인의 구원과 관련하여 호세아서와 이사야서를 인용한 보충 설명이다.
우선 주목되는 부분은 호세아서다.
하나님께서 호세아에게 고멜의 딸 이름을 ‘로루하마’(호1:6)로 부르도록 하셨다.
‘로루하마’는 ‘자비를 입지 못한 자’라는 뜻이다.
그런데 호2:1에서 그 이름이 ‘루하마(자비를 입는 자)가 된다.
본문 25절에서 ‘내 백성 아닌 자’ ‘사랑치 아니한 자’는 이방인을 가리킨다.
이는 바울이 호세아서를 인용 구약시대에 하나님의 선택을 받지 못해
하나님의 계시로부터 멀어져 긍휼을 입지 못했던 이방인(우리)들이
하나님의 긍휼을 입었다는 사실을 강조한 내용이다.
한편 바울은 본문 29절에서 이사야서(1:9)를 인용한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완전히 파멸하게 된 성읍인 소돔과 고모라를 비교하여
남은 자가 하나님의 철저한 멸망의 진노 가운데서도 보존 될 것을 강조한 것이다.
27절은 ‘제한 남은 자만 구원을 얻을 것이 강조된 반면,
28절은 심각한 심판 가운데에서도 남은 자는 구원하실 것을 강조했다.
이는 누구도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에 대해 인간은 이의를 제기할 수 없으며,
다만 선택된 자에게 베푸신 크신 은혜를 잊지 말아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우리는 원래 ‘하나님의 백성’도 ‘사랑을 받을 자격’도 없는 자들이었음을 잊지 말라!
“호세아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치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롬9:25) 아멘!
'좋은 말씀 > 리민수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에 의지하지 않고 행위에 의지했기 때문! (롬9:30-33 이스라엘을 유기한 이유①) (0) | 2019.03.26 |
---|---|
반석위에 집을 지으라! (마7:24-27) (0) | 2019.03.23 |
오직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았다! (롬9:14-24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 (0) | 2019.03.19 |
하나님의 능하신 손 (삿6:1-16) (0) | 2019.03.17 |
육신의 자녀가 아니라, 약속의 자녀! (롬9:4-13: 진정한 약속의 자녀) (0) | 201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