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바이올린
남편의 친구가 어느날 우리 집을 방문했다.
그는 얼굴도 잘 생겼으며 건강해 보였고 모든면에서 뛰어난 사람처럼 보였다.
남편과 같이 있는 동안 그는 아름다운 목소리로 시를 읊기도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그의 부드러운 목소리에 매혹된 나는 "악기도 다룰 줄 아세요?" 하고 물어 보았다.
그러자 그는 "악기요...?" 하더니 한참 무언가를 망설이던 그는 입을 열었다.
"실은 바이올린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울지 않는 바이올린이 되었지요."
나는 왜 그만 두셨냐고 물었다.
"실은 결혼 당시 제 아내한테 바이올린을 켜주었을 때,
제 바이올린 솜씨가 형편없다고 하지는 않았지만
자기는 바이올린을 정말 잘하는 사람 몇 명을 안다고 말하더군요.
무슨 뜻이었는지 알수 있었죠."
그 후로 그는 20년 동안 단 한번도 바이올린을 잡은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런 사람 같아 보이지 않았는데 자기 아내가 무심코 던진 한마디에 20년 동안이나 바이올린을 잡은 적이 없다고 생각하니, 인간이란 참 상처받기 쉬운 존재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나의 남편도 얼마나 많은 <울지 않는 바이올린>을 숨기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그 사람은 노래를 아주 잘 했다.
그런데 그는 자기집에서 편한 마음으로 노래를 할 수 없다고 했다.
아이들도 싫어하고, 아내는 너무 시끄럽다며 싫어한다고 한단다.
나는 진정으로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이렇듯 정감있고 사랑이 넘치는 노래를 어째서 그 사람의 아내와 아이들은 들어주지 않는지 이상 할 정도였다.
설사 자기의 남편이 노래를 음정을 틀리게 부른다 해도 가슴에 사랑이 있다면
기꺼이 들어주고 만족해 하는게 도리가 아닐까...?
언젠가 남편이 쉬는날 집에서 조그만 의자를 만들었다.
값 비싸고 고급스런 의자와는 달랐지만 나는 그것이 나름대로 큰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 내 마음을 전해주는 방법은 그저 아무 말 없이 그 의자에 앉아서 기뻐해 주는 것이 전부였다.
남편이 직장에서 있었던 일을 자랑삼아 얘기할 때,
그것이 다소 지루할지라도 조금은 감탄하며 들어주는 것, 역시 그에 대한 작은 사랑이자 배려라고 생각해 왔다.
이렇듯 가정이란 별 것아닌 작은 이야기도 자랑삼아 나눌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다정하고 관대한 곳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볼품 없고 조잡한 의자는 당신이나 앉으라."는 말로 남편을 무안하게 만들 필요가 있을까?
그런 의미없는 말들은 남편의 가슴에 "울지 않는 바이올린"을 하나 더 보태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그 사람이 돌아간 후
나의 남편은 내게 이런 말을 했다.
"당신은 울지 않는 바이올린을 울게 만들어 주는 사람이라고..."
내가 울지 않는 바이올린을 울게 해 주었다는 남편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있는 한~
"내 마음 속에도 역시 울지 않는 바이올린이란 없을 것이다."
베스트셀러 '빙점' 저자 ㅡ 森浦陵子( 미우라 아야꼬) ㅡ
연못에 무심코 던진 돌멩이에 개구리가 맞아 죽고,
무심코 뱉은 한 마디가 평생 가슴에 지울 수 없는 못이 될 수 있다는 말이 있듯이
三思一言, 사려 깊은 한마디, 말의 중요성을 옮겨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