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사귐의 소리

예레미야서 35장: 구별됨의 명령

새벽지기1 2021. 11. 7. 07:12

해설:

여호야김 왕(1절)은 유다의 마지막 세 번째 임금입니다. 그러니까 35장에 서술된 이야기는 34장의 사건보다 훨씬 이전에 일어난 일입니다. 

 

주님께서는 예레미야에게 레갑 사람들을 찾아 성전의 한 방으로 데리고 와서 포도주를 마시게 해 보라고 하십니다(2절). “레갑 사람”은 모세의 장인의 후손으로서(대상 2:55) 가나안 정착 이후에 이스라엘 백성으로 편입된 사람들입니다.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에 사는 레갑 사람들을 모두 불러 성전의 한 방으로 안내하고 포도주를 권합니다(3-5절). 그러자 그들은 레갑의 아들 요나답이 정한 가문의 전통에 따라 포도주를 마실 수 없다고 사양합니다. 그들은 요나답의 명령대로 2백 년이 넘도록 포도주를 금하고 유목 생활을 해 왔습니다(6-10절). 그들이 지금 예루살렘 안에서 살고 있는 것은 바빌로니아의 침략으로 인해 더 이상 유목 생활이 불가능 해졌기 때문입니다(11절).

 

그 때 주님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합니다(12절). 주님은, 레갑의 후손들은 조상 요나답의 명령을 2백 년이 넘도록 철저히 지키며 살고 있는데, 유다 백성과 예루살렘 주민은 주님이 주신 명령을 듣지 않았다고 책망하십니다(13-14절). 예언자들을 보내어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복을 누리는 길이라고 거듭 알려 주어도 그들은 듣지 않았습니다(15절).

 

유다 백성은 레갑의 자손들이 조상 요나답을 존중하는 것 만큼도 하나님을 존중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님은 유다를 심판에 부치실 것입니다(16-17절). 주님은 예레미야를 통해 레갑 사람들에게, 주님을 섬기는 사람들이 그들의 후손에서 끊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해 주십니다(18-19절).

 

묵상:

 

모세의 장인은 겐족으로서 광야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사람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정착할 때 모세의 장인을 통해 겐족의 일부가 이스라엘 백성과 섞이게 되었습니다. 그 중 한 사람이 레갑입니다. 가나안 땅에 정착한 이후에 레갑의 아들 요나답은 겐족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후손들에게 겐족의 전통을 따라 유목 생활을 하도록 명령 했고, 포도주 마시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놀랍게도, 그의 후손들은 2백 년이 넘도록 그 전통을 따라 살았습니다. 땅을 사서 정착하여 편안하게 살고 싶은 유혹과 끌리는 대로 먹고 마시고 깊은 유혹에 넘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로 인해 그들은 그들만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주님께서 모세에게 율법을 주신 이유는 제사장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라는 뜻이었습니다. 레위기 11장에 나오는 여러가지 음식 규정은 위생을 위한 것도, 건강을 위한 것도 아닙니다.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거룩한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라는 뜻이었습니다. ‘거룩함’을 뜻하는 히브리어 ‘카도쉬’는 ‘구별됨’을 의미합니다. “내가 거룩한 것처럼 너희도 거룩하여라”(레 11:44)라는 말씀은 이 땅에서 구별되게 살라는 뜻입니다. 불행하게도, 이스라엘 백성은 구별됨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제사장의 나라로서 구별되게 살기보다는 이방 민족처럼 살기를 택했습니다. 

 

레갑 사람들은 조상의 유언을 따라 2백 년이 넘도록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서 겐족의 정체성을 지켜 왔는데, 이스라엘 백성은 조상의 유언보다 더 무거운 하나님의 명령을 무시하며 살았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조상의 유언만도 못하게 취급한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