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새로운 전환점 - 믿음의 동역자를 만난 청년기.
쉐퍼의 인생에 있어서 새로운 전환점은 청년기에 있어서의 믿음의 동역자들과의 만남이었다. 쉐퍼는 기독교인이 된 이후에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하였다. 쉐퍼는 성령의 힘으로 감화되었고 자신의 미래의 선택을 위하여 하나님께 간구하였다.ibid.,pp.35
쉐퍼는 예수를 믿고 난 후에 그의 삶은 날마다 주님과 동행하며 기도하는 사람이었다. 그의 기도의 삶은 그의 사역의 기반이었다. 기독 지성인들이 범하기 쉬운 영적인 삶에 대하여 그는 균형 잡힌 삶을 살았다. 그의 기도의 삶은 그가 믿는 진리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확신이었고 확신에 찬 행위였던 것이다. 그것은 바로 라브리 사역의 기본원리이기도한 것이다
쉐퍼는 자신을 향하신 하나님의 뜻을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다. 하나님을 위한 헌신이 바로 쉐퍼에게 온 것이다. 그러나 쉐퍼의 부모는 외아들의 목사가 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쉐퍼는 이 사실을 부모님에게 알리었고 부모님의 심한 반대를 당하였다. 그러나 그는 목회의 길을 설명하고 집을 나왔다. 그로부터 1년후 쉐퍼의 부모는 기독교인이 되었다. 쉐퍼는 1931년에 버지니아 햄든 시드니대학에 들어갔고 1935년에 학급에서2등으로 졸업하였다. 그는 대학 생활중에 종교적 확신을 갖는 학생들을 학대하는 기숙사에 자진하여 들어갔고 그리고 문학연구회 회장, 기독학생연합회 임원이었고, 목회협회 임원이었다. 또한 그는 테파 카파 누 형제회의 회원을 역임하였다. ] 그러나 그는 이후에 세상의 조직들에는 가담하지 않기로 결심하였다. 그 이유는 세상의 조직들은 기독인의 삶과 신앙 에 갈등을 준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
아러한 쉐퍼의 활동적인 삶은 그의 후기의 사역에 있어서 좋은 못자리가 되었음은 분명한 일이다.
쉐퍼에게 있어서 기독교는 어떤 지적인 이론도 ,재미를 위한 게임도 아니었다. 기독교는 생활 그 자체이며 주님을 사랑하고 섬기는 것이며 가능한 널리 전해야 할 메시지 였다. 그의 이러한 삶의 실체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일관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1931년 그가 겨우 열아홉살일 때도 그는 가난한 흑인 아이들에게 성경을 가르치려고 매주 숲을 지나서 걸어 다녔다. 그는 그리스도안에서는 인종이나 피부색의 장벽이 없다고 생각했다. 당시의 시대적으로 흑인들에게 많은 편견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쉐퍼는 편견 없는 마음으로 일관하였다. 쉐퍼의 이런 관심은 어떠한 배경에서건 하나님의 모든 자녀들에 대한 사랑이 쉐퍼의 모든 사역의 원동력이었다.]L.G.파커스트,op.cit.,pp.40-41
마치 제네바시를 다스리기 위한 칼뱅의 법학 공부를 통한 준비처럼 쉐퍼의 활동적인 삶은 곧 바로 그의 목회 사역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준비뿐 아니라 쉐퍼의 학창시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평생동역자를 만났다는 것이다. 1932년6월26일 제일장로교회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부정하는 일신론자와의 토론이 있었다. 이때에 일신론자가 자신이 어떻게 무신론자가 되었는가의 입장에 대하여 에디스라는 한 젊은 여학생이 일어나 일신론자의 어리석음에 대하여 논박하였고 이어서 쉐퍼가 일어나서 에디스와 같은 입장에서 일신론자를 논박하였다. 에디스와 쉐퍼는 이때 만남을 통하여 지적인 문제에 관하여 깊은 토론을 하였고 쉐퍼가 대학을 마칠 때까지 매일 편지를 나누었다. 에디스의 권유로 그레셤 메이쳔의 [기독교와 자유]를 읽고 나누었다. 이러한 지적 전쟁터에서의 만남은 라브리 사역을 위한 평생동역자로서의 출발이었던 것이다. 그들은 떨어져 있을때도 성경적이며 영적인 공감대를 갖기 위해서 날마다 [매일의 빛]을 읽었다. 그리고 드디어 1936년6월 두 사람은 결혼하게 되었다. 바로 쉐퍼가 메이쳔 교수가 있는 “웨스터 민스터”신학교에 입학한 후였다.
이러한 에디스와의 만남은 쉐퍼의 사역에 강력한 힘이 되었다. 에디스는 1914년11월3일 중국에서 태어났다. 중국내지 선교회에서 부친의 선교사역을 살펴보며 언어를 배웠고, 가정이라는 문화의 가치를 발견했다. 에디스의 다양한 삶의 여정은 쉐퍼의 다양한 사역에 특히 동양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하였다. 특별히 에디스의 부친 조지.H. 세빌은 프린스턴 신학교의 교수였던 로버트 딕 윌슨과 그례섬 메이쳔과 같은 위대한 지도자들과 친분을 나누었다. 이러한 에디스집안의 환경은 쉐퍼의 신학의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좋은 말씀 > 프란시스 쉐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란시스 쉐퍼 들여다 보기(4) '라브리 사역' /신동식 (0) | 2016.04.21 |
---|---|
프란시스 쉐퍼 들여다보기(3) '초기 목회 사역' / 신동식 (0) | 2016.04.20 |
프란시스 쉐퍼 들여다보기 (1) / 신동식 (0) | 2016.04.15 |
프란시스 쉐퍼의 삶과 사상(5) / 신동식 (0) | 2016.04.11 |
프란시스 쉐퍼의 삶과 사상(4) / 신동식 (0) | 2016.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