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시편 20편에 이어 21편도 왕을 위한 기도 즉 ‘제왕시편’입니다. 기도자는 먼저 왕의 기도를 들어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1-7절). 20편의 기도가 왕을 위한 중보 기도였다면, 21편의 기도는 그 기도를 들어 주신 하나님께 대한 감사의 기도입니다. 하나님께서 왕의 기도를 들어 주시고 왕의 소원을 들어 주시며 승리와 영광을 안겨 주신 것에 대해 감사를 드립니다.
하나님께서 왕에게 그러한 호의를 베푸신 이유는 “왕이 오직 주님을 의지하고, 가장 높으신 분의 사랑에 잇닿아 있”(7절)기 때문입니다. 그런 왕이기에 백성은 그를 위해 마음 다해 중보하고 하나님은 그에게 승리와 번영을 안겨 주십니다. 그로 인해 왕과 백성은 모두 기뻐합니다.
왕이 성소에서 하나님을 찾으며 그분의 사랑에 잇닿아 있기를 힘쓰며 하나님의 마음으로 백성을 사랑한다면 그는 아무 것도 두려워할 것이 없습니다(8-12절). 하나님께서 그 왕을 지켜 주실 것이며 온 백성은 그 왕을 사랑하고 그에게 충성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왕이 두려워할 것은 원수의 공격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겸손하고 신실하며 백성을 충심으로 사랑하는 마음을 잊는 것입니다. 그 마음을 지킨다면 두려워할 것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살아 계셔서 그를 도우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기도자는 다시 하나님께 눈을 돌려 주님을 사랑하는 왕을 지켜 주시기를 기도하면서 자신들은 “주님의 힘을 기리며, 노래하겠습니다”(13절)라고 고백합니다. 개역개정은 “노래하고 찬송하게 하소서”라고 번역했습니다. 왕이 아무리 큰 일을 이루었다고 해도 그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왕은 경배와 찬송의 대상이 아닙니다. 왕은 백성과 같은 자리로 내려와 오직 하나님만을 높이고 찬송해야 합니다.
묵상:
자신의 지도자로 인해 이렇게 감사의 기도를 드릴 수 있는 백성은 행복합니다. 그것이 한 나라의 대통령일 수도 있고, 한 회사의 대표일 수도 있으며, 한 공동체의 지도자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왕노릇 하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 진정한 왕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자신의 왕노릇에 도취하여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줍니다. 하지만 영원하신 왕을 인정하는 사람은 왕의 자리에서 내려와 하나님 앞에 섭니다. 그리고 그분의 뜻을 따라 자신에게 주어진 힘을 사용합니다. 그렇게 되면 그 힘은 그의 영향권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단비와 햇볕처럼 은혜의 도구로 작용합니다.
오늘의 시편을 읽으며 우리는 두 가지를 기도합니다. 하나는 나 자신을 위한 기도입니다. 나에게도 왕노릇하려는 본성이 남아 있습니다. 나에게 주어진 자리가 어떻든지 “오직 주님을 의지하고, 가장 높으신 분의 사랑에 잇닿아”(7절) 있기를 힘쓰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그럴 때 나의 영향권 안에 있는 이들이 나로 인해 은혜를 입을 것입니다. 그럴 때 그들은 나로 인해 하나님께 감사의 기도를 드릴 것입니다. 나의 작은 행동으로 인해 누군가가 하나님께 눈물 겨운 감사의 기도를 드리고 있는 광경을 상상해 보십시오. 그처럼 좋은 일이 또 어디에 있겠습니까? 또 하나는 나보다 큰 혹은 높은 권세를 가진 이들을 위한 중보의 기도입니다.
시편의 편집자가 20편과 21편을 묶어 놓은 이유는 지도자를 위한 중보 기도가 응답된다는 것을 믿으라는 뜻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게 믿고 지도자를 위해 중보하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좋은 말씀 > -사귐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23편: 지극한 사랑 (0) | 2021.12.28 |
---|---|
시편 22편: 메시아의 고난 (0) | 2021.12.26 |
시편 20편: 기름 부음을 받은 이 (0) | 2021.12.24 |
시편 19편: 전임 예배자의 삶 (0) | 2021.12.23 |
시편 18편: 성공과 번영 중에 드리는 기도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