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에서는 기독교 신앙과 정치는 아무 상관없는 실재로 간주하는 반면에 다른 한쪽에서는 매우 긴밀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긴다. 아주 간략이 구분해서, 전자의 입장에 서 있는 사람들을 보수적이라고 한다면 후자에 속한 사람들은 진보적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옳다거나 다른 한쪽이 틀렸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서로의 관점이 서로 다르기도 하지만 각각의 주장이 성서나 기독교 역사에서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빌라도 앞에서 심문 당하시던 예수님은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내 왕국은 이 세상 것이 아니다. 만일 내 왕국이 이 세상 것이라면 내 부하들이 싸워서 나를 유다인들의 손에 넘어 가지 않게 했을 것이다. 내 왕국은 결코 이 세상 것이 아니다.”(요 18:36). 예수님은 정치질서나 경제질서에 의해서 작동되는 국가를 세우시려는 목적을 갖고 있었던 게 아니라 그것과 전혀 다른 나라를 선포하셨을 뿐이라는 사실을 전제한다면 오늘도 교회는 공연히 정치 세력과 경쟁할 필요는 전혀 없다. 반드시 예수님의 말씀을 인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인간이 성취한 정치제도를 통해서 인간 구원이 가능하지 않다는 이 세상의 이치를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신앙과 정치의 다른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힘을 그런 정치 문제에 소진시킬 게 아니라 예수님이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에 기울여야한다는 대답이 나온다.
반면에 우리는 기독교 신앙이 정치의 영역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주장을 부정할 수 없다. 사회, 국제 정치적 주제를 예언의 대상으로 삼은 구약의 예언자들만이 아니라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이 곧 로마의 정치법에 의한 결과였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정치적 성격을 배제하면 안 된다. 예수님이 정치적 헤게모니를 획득하려는 목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세력이 예수님을 그런 위협으로 판단했다는 것은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 운동에 정치적 성격이 비록 은폐의 방식이라고 하더라도 내재해 있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또한 로마의 일부 황제들이 초기 기독교인들을 그렇게 잔인한 방식으로 다룬 이유는 그들의 신앙을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에 위협적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바로 이 대목에 미묘한 긴장이 있다. 명시적으로는 전혀 정치적 의도가 없었던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 선포와, 마찬가지로 오직 예수님의 재림만을 손꼽아 기다리던 초기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그렇게 신경질적이고 야만적인 정치적 반발을 불러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런 문제를 충분히 해명하려면 신학석사 학위 논문 정도는 써야하겠지만, 여기는 그 단초만 간단히 제시하는 것으로 만족하려고 한다.
기독교 신앙은 형식적으로는 전혀 정치적이지 않지만 내면적으로는 철저하게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는 게 바로 그 대답이다. 예수님이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는 정치 질서를 통해서 완성되지 못하지만, 또한 그렇기 때문에 정치 질서를 철저하게 상대화한다. 그래서 정치는 그런 기독교 신앙의 태도를 용납하지 못한다.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만 우리에게 실현될 수 있는 그 나라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이 땅의 정치와 경제 질서를 상대적인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그것을 절대화하는 사람들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 기독교 신앙의 토대인 하나님 나라는 배타적인 성격이 있다. 즉 “회개하라.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이르렀다”는 예수님의 말씀이 하나님의 나라가 인간의 노력으로 성취되거나 획득되는 게 아니라 오직 ‘회개’만으로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한다면, 하나님의 나라는 철저하게 배타적이다. 이런 주장은 율법을 통해서 어떤 것을 성취해온 사람들인 바리새인들에게는 매우 불만스러운 것일 수밖에 없다. 절대적인 것이 졸지에 상대적인 것으로 떨어져버리는 이 모욕을 참을 수 없었던 그들은 결국 예수님을 모함하고 죽게 했다. 이 사람은 신성모독자라고.
하나님 나라의 절대성, 또는 배타성은 기독교 역사에서 세 가지 현상으로 나타났다. 물론 세세한 갈래까지 계산에 넣는다면 수없이 많겠지만 크게 보아서 그렇다.
첫째는 하나님 나라를 완전히 이원론적인 차원에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하나님의 나라를 초월적인 관점에서만 받아들임으로써 이 세상의 정치, 경제와 단절한 채 살아갔다.
둘째는 4세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종교가 된 이후 나타난 현상으로서 형식적으로는 교회를 정치와 구별하면서도 실제로는 매우 밀접하게 연결시켰다. 이들의 논리에 따르면 신앙과 정치는 서로 침범할 수 없는 다른 질서로서 서로 존중하는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거스틴의 ‘하나님의 도성’에서 이런 문제를 다루고 있다.
셋째는 기독교 신앙을 정치 질서보다 우위에 두는 입장이다. 주로 칼빈으로 대표되는 이들은 이 세속질서를 철저하게 교회 질서 안에 편입시키려고 했다.
오늘 명시적으로 정치적이지 않은 기독교 신앙이 정치 세력을 불안하게 만드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는데, 다음 기회로 미루자. 다만 우리는 정치적이지 않은 형식과 정치적인 내용 사이의 긴장을 허투루 허물어 버리지 말고 지속시켜나가야만 한다는 사실만은 분명히 해두자. 그 긴장이 유지되지 못할 때 교회는 한편으로는 어용종교가 되든지 아니면 역사 낙관론적 혁명주의가 될 수 있다. 오늘 우리의 현실에서는 어용종교의 위험성이 훨씬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
'좋은 말씀 > -신학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계인과 종말론 (0) | 2016.09.24 |
---|---|
우리는 기도할 수 있는가? (0) | 2016.09.23 |
설교와 하나님의 나라 (0) | 2016.09.20 |
소극적으로 성서읽기 (0) | 2016.09.17 |
하나님 경험은 어둠이다. (0) | 2016.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