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묵상 131 (롬 7:11-12) [정성욱교수]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나를 속이고 그것을 나를 죽였는지라 이로 보건대 율법도 거룩하며 계명도 거룩하며 의로우며 선하도다" (롬 7:11-12) 죄는 우리를 선으로 이끌게 할 계명을 통해서 우리를 속이고, 우리를 죽음으로 이끕니다. 뭐 뭐 하지 말라고 하는 계명이 죄로 인하..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26
로마서 묵상 130 (롬 7:10) [정성욱교수] "생명에 이르게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롬 7:10) 율법은 생명에 이르게 합니다. 율법은 거룩하고 의롭고 선하기에 율법을 온전히 지키고 이루면 생명을 얻습니다. 그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이 원칙은 율법을 근본적으로 지킬 수 있는 능력자..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25
로마서 묵상 129 (롬 7:9) [정성욱교수] "전에 법을 깨닫지 못할 때에는 내가 살았더니 계명이 이르매 죄는 살아나고 나는 죽었도다" (롬 7:9) 여기서 "전에"라는 말이 어떤 때를 의미하느냐에 따라 7장 전체에 대한 해석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전에"는 결국 "법을 깨닫지 못할 때" 입니다. 법을 깨닫지 못할 때란 결..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24
로마서 묵상 128 (롬 7:8-9) [정성욱교수] "그러나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내 속에서 각양 탐심을 이루었나니 이는 법이 없으면 죄가 죽은 것임이니라" (롬 7:8) 바울은 죄가 기회를 탔다고 말합니다. 죄를 의인화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죄가 기회를 잡았다는 것입니다. 어떤 기회입니까? 계명 즉 율법 때문에 생긴 기..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23
로마서 묵상 127 (롬 7:7) [정성욱교수]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하리요 율법이 죄냐 그럴 수 없느니라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곧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으리라" (롬 7:7) 위에서 계속 우리가 율법에서 벗어났다고 말하고 의문의 묵은 방식을 성령의 새 방식..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22
로마서 묵상 126 (롬 7:6) [정성욱교수]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의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찌니라" (롬 7:6)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우리를 얽어맸던 율법에 대하여 죽었습니다. 즉 율법과 무관한 자가 되었습니다. 율..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21
로마서 묵상 125 (롬 7:5) [정성욱교수]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에는 율법으로 말미암는 죄의 정욕이 우리 지체 중에 역사하여 우리로 사망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였더니" (롬 7:5)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란 말은 우리가 예수님 알지 못하고 죄의 종이 되어 있을 때를 뜻합니다. 여기서 "육신"이란 말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여..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19
로마서 묵상 124 (롬 7:4) [정성욱교수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다른이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우리로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히게 하려 함이니라" (롬 7:4) 그리스도의 몸으로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다는 말은 무슨 뜻일..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18
로마서 묵상 123 (롬 7:2-3) [정성욱교수] "남편 있는 여인이 그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 바 되나 만일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났느니라 그러므로 만일 그 남편 생전에 다른 남자에게 가면 음부라 이르되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자유케 되나니 다른 남자에게 갈찌라도 음부가 되지 아니하느니라" (롬 7:2-3..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17
로마서 묵상 122 (롬 7:1) [정성욱교수] "형제들아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너희는 율법이 사람의 살 동안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롬 7:1) 여기서 법 아는 자들이란 유대교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을 의미합니다. 유대교 출신의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예수 믿음으로 충분하지 않고 할례를 지키거나 안식일을 기..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