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묵상 111 (롬 6:7) [정성욱교수] "이는 죽은 자가 죄에서 벗어나 의롭다 하심을 얻었음이니라" (롬 6:6)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는 길은 믿음 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주님과 연합합니다. 세례는 믿음을 공식적으로 표현하는 예식입니다. 믿음이 없이는 세례의 효력도 없습니다. 예수님이 나의 죄를 처리하..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05
로마서 묵상 110 (롬 6:6) [정성욱교수]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힌 것은 죄의 몸이 멸하여 다시는 우리가 죄에게 종 노릇하지 아니하려 함이니" (롬 6:6) 주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신 목적에 대한 말씀입니다. 구원하신 목적 중 하나가 바로 우리가 죄에게 종노릇하지 않게 하시는 것입니다. 그..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04
로마서 묵상 109 (롬 6: 5) [정성욱교수]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을 본받아 연합한 자가 되었으면 또한 그의 부활을 본받아 연합한 자가 되리라" (롬 6:5)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진리를 다시금 요약해 줍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우리가 주님의 죽으심을 본받아 연합한 자가 되었으면, 즉 주님과 더불어 함께 죽고 장사되..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03
로마서 묵상 108 (롬 6:4) [정성욱교수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니라" (롬 6:4) 한 가지 여기서 우리가 기억할 것은 세례라는 의식에 참여하..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02
로마서 묵상 107 (롬 6:3) [정성욱교수]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뇨" (롬 6:3) 로마서 5장에서는 구원론의 주요 주제들 중 하나인 화해에 대해 설명했다면 6장에서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요. 바울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상징하는 ..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6.01
로마서 묵상 106 (롬 6:1-2) [정성욱교수]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하리요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뇨 그럴 수 없느니라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가 어찌 그 가운데 더 살리요" (롬 6:1-2)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넘친다고 했으니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를 더 짓자꾸나! 라고 생각하며 방자하게 살아가는 율법폐기론자, 도..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5.31
로마서 묵상 105 (롬 5:21) [정성욱교수] "이는 죄가 사망안에서 왕 노릇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니라" (롬 5:21) 죄는 사망안에서 왕노릇합니다. 즉 죄가 통치자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죄는 사망이라는 권세를 몰고 다니면서 죄인들을 지배합..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5.30
로마서 묵상 104 (롬 5:20) [정성욱교수] "율법이 가입한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 (롬 5:20) 모세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것은 여러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율법으로 죄를 깨닫게 하시려는 목적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를 의인이라..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5.29
로마서 묵상 103 (롬 5:18-19) [정성욱교수] "그런즉 한 범죄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른 것 같이 의의 한 행동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렀느니라 한 사람의 순종치 아니함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 된 것 같이 한 사람의 순종하심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되리라" (롬 5:18-19) 바울은 지금까지의 논의를..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5.28
로마서 묵상 102 (롬 5:17) [정성욱교수]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사망이 그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왕 노릇하였은즉 더욱 은혜와 의의 선물을 넘치게 받는 자들이 한 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생명 안에서 왕노릇 하리로다" (롬 5:17) 아담의 범죄는 사망의 지배와 통치를 가져왔습니다. 여기서 사망이란 생물학적 죽음보다 .. 좋은 말씀/-로마서묵상 2016.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