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을 향해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 합니다. 주님께서는 먼저 당신이 이스라엘을 얼마나 아꼈는지 회상합니다(2-3절).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 등을 돌리고 우상숭배에 빠졌고 그로 인해 타락과 멸망의 나락으로 떨어졌습니다. 주님께서는 그들을 이집트에서 해방시키시고 광야에서 인도하셨는데, 그들은 그 하나님을 기억조차 하려 하지 않습니다(5-6절). 주님께서는 그들을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셨는데, 그들은 그 땅을 더럽혀 놓았습니다. 제사장도, 왕들도, 예언자들은 본분을 망각하고 우상숭배에 앞장 섰습니다(7-8절). 그래서 주님은 그들을 심판하십니다. 그들은 두 가지 죄를 범했는데, 첫째는 생수의 근원인 주님을 버린 것이고, 둘째는 물이 고이지 않는 새는 웅덩이를 판 것입니다(9-13절).
이 즈음에 요시야 왕은 앗시리아를 돕기 위해 출정한 이집트 왕 느고에게 맞서 싸우다가 죽음을 당합니다. 이 상황을 두고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해, 유다가 그런 재앙을 만난 것은 주님을 떠나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주님께서는 유다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주변 강대국들에게 도움을 호소하는 것을 책망하십니다. 그들이 행한 배신이 그들 자신을 향한 것이라고 하십니다(14-19절).
하나님은 그들을 좋은 포도나무로 심으셨는데, 들포도나무로 바뀌었다고 하십니다. 그들의 죄가 얼마나 심한지, 잿물로 몸을 씻고 비누로 닦아도 지워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발정기를 맞은 나귀에 비유하십니다. 그들이 우상숭배에 대한 욕망에 완전히 사로잡혔다는 뜻입니다(20-25절). 그러면서도 그들은 어려움을 당하면 하나님을 찾습니다. 하나님께 등을 돌리고 있으면서도 얼굴은 하나님을 향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그들의 치맛 자락은 가난한 사람들의 피로 흥건함에도 자신들은 죄를 짓지 않았다고 뻔뻔하게 말합니다. 그러니 심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26-35절).
주님께서는 유다 왕실이 이집트의 위협을 막기 위해 앗시리아와 동맹을 맺었다가 바벨론의 위협을 대처하기 위해 이집트와 동맹을 맺는 것을 두고 책망하십니다. 하나님은 유다가 의지했던 앗시리아와 이집트를 버리실 것입니다. 그러니 유다도 함께 버림 받을 것입니다(36-37절).
묵상:
하나님께서는 여러가지 표현을 사용하여 우상숭배의 어리석음을 강조하십니다. 그것의 본질은 1) 생수의 근원을 버리는 것이요 2) 물이 새는 웅덩이를 샘으로 삼는 것입니다(13절). 참된 생명은 그분에게서 흘러나옵니다. 우상숭배는 하나님에게서 흘러나오는 생수를 버리고 자기 손으로 샘을 파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샘이 아니라 구덩이일 뿐입니다. 비가 오면 잠시 물이 고였다가 금새 말라 버립니다. 또한 그 샘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고인물입니다. 고인물에는 불순물과 세균이 번식합니다. 갈증을 잠시 잊게 해 주지만 더 깊은 갈증을 유발하고 때로는 병들게 합니다.
우상숭배는 다만 종교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우상숭배는 온갖 불행을 끌어 들입니다. 먼저, 우리의 존재를 피폐하게 합니다. 우리의 존재를 살게 하는 것은 하나님에게서 흘러 나오는 생수입니다. 우리의 존재가 피폐해지면 온갖 죄악에 빠지게 됩니다. 우상숭배는 윤리적인 타락으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 개인의 윤리적 타락은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지고, 사회적 혼란은 국력의 쇠퇴로 이어집니다. 이런 까닭에 하나님은 우상숭배를 그토록 경계하시고 질책하시는 것입니다.
우상숭배는 눈에 보이는 우상을 만들어 섬기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자리에 다른 무엇을 두고 섬긴다면 어느 것이든 우상숭배가 됩니다.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하나님을 도구로 삼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 한다면 그것도 우상숭배입니다. 우리는 모두, 언제라도, 방심하면 우상숭배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알고 보면 너무도 어리석은 잘못인데, 너무도 쉽게 일어나는 것이 우상숭배입니다.
'좋은 말씀 > -사귐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레미야서 6장 : 옛길을 떠난 불행 (0) | 2021.10.09 |
---|---|
예레미야서 5장: 심판을 피할 수 없는 이유 (0) | 2021.10.08 |
예레미야서 4장: 다가올 재앙을 보다 (0) | 2021.10.07 |
예레미야서 3장: 영적 음행과 영적 간음 (0) | 2021.10.06 |
예레미야서 1장: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다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