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타협하지 않는 믿음만이 누리는 은혜
1. 느부갓네살이 꿈에서 본 신상이 그의 마음에 계속 남아있었는지 모르지만, 그는 높이 30m 넓이 3m에 이르는 거대한
금신상을 만들어 평지에 세우고 바벨론 제국의 모든 관리를 다 불러서 낙성식을 거행한다. 여기에 다니엘이 등장하지 않
는 이유는 알 길이 없다. 모인 모든 관리들과 함께 바벨론의 도를 관할하던 다니엘의 세 친구들도 모이게 되었다. 모두가
금신상에게 절하게 되어 있었고 만일 절하지 않는다면 타는 풀무 속에 던져진다는 경고가 있었다(6). 이런 위협에도 불구
하고 믿음을 지키려는 다니엘의 세 친구는 절을 하지 않았고 이 일은 곧 왕에게 전달되었다(8). 왕 앞에 선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는 변명이나 사과를 할 필요가 없다고 담대히 말하면서, 자신들은 하나님만을 섬기며 그 하나님은 설령 풀무 속
이라 해도 능히 구하시는 전능하신 분이시며 혹 ‘그리 아니하신다고 하더라도’ 자기들은 그 하나님만을 섬기고 신상에게
는 절하지 않을 것임을 제국의 주권자 앞에서 단호하게 밝혔다(16~18).
이들의 말은 느부갓네살의 분노를 일으켰고 풀무를 평소보다 7배나 뜨겁게 달구라는 말과 함께 그들은 결박 당하여 풀무 속으로 던져지게 되었다. 놀라운 일은 여기서 부터 일어났다. 세 사람을 풀무에 던져 넣던 용사들이 타 죽었을 뿐 아니라(22), 결박 당하여 풀무 속에 떨어진 세 사람은 결박이 풀어진 채 그 안에서 걸어 다니고 그들 외에 느부갓네살왕의 표현을 빌면 ‘신들의 아들과 같은’ 사람의 형상도 볼 수 있었다(25). 결국 이 믿음의 사람들은 풀무에서 나오게 되는데, 머리털 하나 그슬리지 않은 모습이었다(27). 느부갓네살은 그들의 하나님을 찬양하고 바벨론 제국에 조서를 내려그들이 섬기는 하나님을 두려워하게 하였으며, 이 세 사람을 더욱 존귀하게 높였다(28~30).
2. 이 세 사람이 보여주는 믿음은 어떤 것인가? 만일 구조될 것이 확실하다면 우상숭배를 거절하는 일은 쉬웠을 것이다.
그들의 믿음은 구조되지 않고 태워 죽임을 당한다고 해도 그 하나님을 섬기겠다는 믿음이었다. 스펄전의 말을 주목해보
자. “당신의 의무는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이고 그 결과는 하나님이 감당하십니다. 비록 하늘이 무너져도 옳은 일을 행하고, 어떤 결과가 오더라도 그리스도의 명령을 따르는 것이 당신과 나의 할 일입니다. 당신은 결과에 신경을 쓰십니까? 그것이 우리들과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하늘이 무너져 내려도 선한 사람은 자신의 주님께 순종하고 그분의 진리에 충성합니다. 오, 하나님의 사람이여! 의로운 자가 되고 두려워 마십시오. 결과는 하나님의 일이지 당신의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런 경건한 논리와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서 사는 자들은 심히 적다. 많은 사람들은 세상의 압력에 굴복하여 타협하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타협과 온갖 압력을 거절하고 믿음을 지킬 때 그들은 불 속에서도 살든지 죽든지 은혜를 체험하게 되어있다. 사드락, 메삭 그리고 아벳느고가 얻었던 은혜의 축복은 성육신하시기 전의 주님과 그들이 교제하는 특권을 누렸다는 것이다. 바로 믿음을 지키려고 들어간 풀무 불 속에서 말이다. 풀무 속의 제4의 인물은 천사로 이해할 수 있지만, 성육신 전의 주님의 현현으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 하나님은 세속과의 타협을 거절하고 살아가는 자녀들에게 백만 가지 위로를 주신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전례 없이 뜨거운 그 풀무 불은 전례 없는 구주와의 교제의 장소가 되었다!
3. “하나님 아버지, 저희에게 타협하지 않는 믿음을 주셔서 저들이 경험했던 놀라운 은혜를 체험하며 살게 하옵소서. 세상
이 주는 위로가 아니라 믿음을 지키는 자녀에게 주시는 백만 가지 위로를 주님께로부터 얻어 누리며 살게 하옵소서.”
'좋은 말씀 > 김형익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니엘 5장 '하나님께 영광 돌리지 않는 삶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알라' /김형익목사 (0) | 2016.04.02 |
---|---|
다니엘 4장 '위에 계신 주권자를 바라보라' / 김형익목사 (0) | 2016.04.01 |
다니엘 2장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는 것이다' / 김형익목사 (0) | 2016.03.30 |
다니엘 1장 '어떤 불신 세속 문화 속에서도 믿음을 지키고 살 수 있다' /김형익목사 (0) | 2016.03.29 |
하나님을 알기를 전심으로 구하십시오 / 김형익목사 (0) | 2016.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