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사귐의 소리

예레미야서 17장: 안식일 계명의 의미

새벽지기1 2021. 10. 18. 05:04

해설:

주님께서는 유다의 죄가 아무도 부인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다는 사실을 비유를 들어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들의 죄악에 대해 이민족을 통해 심판하실 것입니다. 그 때가 되면 유다 백성은 이방 땅으로 끌려가 포로로 살 것입니다(1-4절). 주님을 믿고 의지하며 의를 행하는 사람은 복을 받겠지만, 주님을 멀리하고 사람들에게서 도움을 찾는 사람들은 저주를 받을 것입니다(5-8절). 사람의 마음 속을 아시는 분은 오직 하나님 뿐입니다. 그렇기에 그분의 심판은 언제나 정당합니다(9-11절).

 

유다 백성은 재앙과 심판을 예언하고 다니는 예레미야를 미워하고 없애려 합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호소합니다. 그에게는 그런 대접을 받을만한 아무런 잘못이 없습니다. 그는 주님의 부르심을 회피하지 않았고, 백성이 미워해도 주님의 말씀을 받은 그대로 전했습니다. 심판은 하나님이 정한 것이지 예레미야가 그렇게 해 달라고 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유다 백성은 예레미야 때문에 그런 불행이 오는 것처럼 생각하고 그를 미워합니다. 그래서 예레미야는 주님께 자신을 보호해 주시고 원수들을 징계해 달라고 기도합니다(12-18절).

 

주님은 예레미야가 구한 것에 대해 답하지 않으십니다. 그 대신, 유다의 왕들이 출입하는 문과 예루살렘의 모든 성문에 서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라 하십니다(19-20절). 그동안에는 그들의 우상숭배를 책망 하셨는데, 이번에는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지 않는 죄에 대해 책망 하십니다. 안식일에는 제사 드리는 것 외에는 어떤 일도 하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안식일 계명을 하찮게 여기고 금지된 일들을 거침 없이 행했습니다. 주님께서는 안식일을 신실하게 지키면 그들을 복되게 하시겠지만 안식일 계명을 어긴다면 유다와 예루살렘을 심판하실 것이라고 경고 하십니다(21-27절).

 

묵상:

안식일 계명을 어기는 것은 그 의미에 있어서 우상숭배와 다르지 않습니다. 안식일에 모든 일을 멈추라고 하는 이유는 우리 삶의 주인이 우리 자신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 하라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삶의 주인은 온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며,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구원해 내신 하나님이십니다. 그래서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주실 때 하나님은 당신의 안식을 언급 하셨고(출 20:8-11절),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다시 설명할 때에는 이집트에서 구원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언급 했습니다. ‘천지창조’와 ‘출애굽’은 하나님이 우주와 역사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가장 강력하게 증명한 사건입니다. 안식일 계명은 그 사실을 몸으로 고백하고 살라는 뜻입니다. 

 

우상숭배는 하나님을 부정하는 행동입니다. 하나님의 자리에 다른 무엇을 세우는 일입니다. 안식일 계명을 지키지 않는 것도 역시 하나님을 부정하는 행동입니다. 자신이 인생의 주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무상으로 베풀어 주시는 은혜에 눈 멀면 이렇게 생각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고는 한 순간도 살 수 없는 존재임을 망각한 것입니다. 안식일에 모든 일을 멈추고 하나님을 예배 하며 가진 것을 나누어 먹고 감사하는 것은 하나님을 진정한 인생의 주인으로 인정하고 고백하는 행위입니다. 그렇게 할 때 자신의 인생을 에워싸고 있는 한량 없는 은혜에 눈 뜨게 됩니다. 모든 것이 그분의 은혜임을 알게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우리는 안식일보다 주일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주님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심으로 안식의 의미를 완성 하셨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출애굽’이 제일 중요한 사건이었다면,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부활’이 제일 중요한 사건입니다. 주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고 감사하는 날입니다. 주일에 우리는 먹고 사는 일을 멈출 뿐 아니라 함께 모여 예배 함으로 주님만이 우리 삶의 왕이심을 고백하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