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한재욱목사

지금

새벽지기1 2019. 4. 19. 11:53


지금
 

“가장 훌륭한 시는 아직 쓰여지지 않았다.

가장 아름다운 노래는 아직 불러지지 않았다.

최고의 날들은 아직 살지 않은 날들.

가장 넓은 바다는 아직 항해 되지 않았고,

가장 먼 여행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불멸의 춤은 아직 추어지지 않았으며,

가장 빛나는 별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별.”
터키의 시인 나짐 히크메트의 ‘진정한 여행’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과거에 퓰리처상을 받았더라도, 그의 가치는 그가 가장 마지막에 쓴 기사가 말합니다.

물레방아는 과거의 물이 아니라 지금 현재의 물로 돌아갑니다.

시인 황동규는 2007년 7월 ‘월간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를 아는 사람들이 ‘꽃의 고요’가 최고라고 하더군요.

저는 아니라고 했어요. 다음에 나올 시집이 최고라고 말했습니다.

이미 쓴 시는 관심이 없어요, 앞으로 쓸 시가 문제지”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라 일컬어지는 피터 드러커도

자신의 최고의 저서는 지금 쓰고 있는 책이요, 앞으로 쓸 책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시대 좋은 시인 이성복 교수도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인을 포함한 여러 ‘무당’류의 예술가들에게

‘한번 해병이면 영원한 해병이다’는 식의 종신 호칭은 허락되지 않는다.

시인은 그가 시인인 순간만 시인이다.”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지만, 한번 시인이 영원한 시인은 아닙니다.

시인은 그가 떨림과 울림이 있는 시인인 순간만 시인입니다.

살아 있는 나침반의 초침은 무엇이 그리도 경외스러운 지 늘 떨면서 남극과 북극을 가리킵니다.

바늘이 떨고 있는 한 그 나침반은 믿을 만 합니다.

사랑에 대한 모독도 “사랑했었어”입니다.

“지금 사랑하느냐?”가 사랑의 코어(core)입니다.

신앙은 더욱 그러합니다.

어느 한 순간의 발작적 믿음으로 헌신했던 신앙의 추억으로는 안 됩니다.

계속적으로 은혜를 받고, 계속 성령충만해, 계속 헌신하며 생명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성령충만은 현재 시점입니다. 지금이 구원의 날입니다.

가장 훌륭한 시는 지금 쓰여져야 합니다.

“이르시되 내가 은혜 베풀 때에 너에게 듣고 구원의 날에 너를 도왔다 하셨으니

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 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 (고후6:2)


 

'좋은 말씀 > 한재욱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아내  (0) 2019.05.11
신앙 없는 천재 재능 없는 신자  (0) 2019.04.28
지푸라기 하나로 코끼리를 쓰러 뜨리는 법  (0) 2019.04.16
점, 선, 면, 입체  (0) 2019.04.10
천둥같은 첫 문장  (0) 2019.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