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롬! 찬미예수
오늘도 똥 철학입니다. ㅎㅎㅎ
도올의 똥 철학 (펌글)
입에는 혀라는 미각의 감지체계가 있어 맛을 알듯이 똥구멍에서도 세밀한 미각이 있다.
똥구멍처럼 민감하고 영민하며 강인한 것이 없다.
항문 괄약근이나 직장, S결장은 단지 근육의 체계가 아니다.
몸이라는 소우주에서 대우주로 나가는 출구를 의미하며 그 출구는 인간의 모든 희로애락과 느낌을 담고 있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똥에는 다섯 가지 조건이 있다.
첫째는 냄새(Smell)다. 똥을 눌 때 제일 먼저 感知되는 것은 냄새다.
좋은 똥, 맛있는 똥일수록 냄새가 나지 않는다.
악취가 강할수록 일단 좋지 않은 똥으로 간주해야 한다.
좋은 똥은 냄새가 은은하며 그 은은한 냄새는 나의 체질에 맞게 조율되어 있는 것이므로 전혀 불쾌감이 없다.
악취는 악취의 형태에 따라 내가 지난날 무엇을 했으며 무엇을 먹었는가, 잘 생각해보면 그 특성이 분류가 될 것이다.
하여튼 냄새가 나지 않는 똥이 좋은 똥이다.
둘째는 색깔(Color)이다.
색깔 역시 그 사람의 체질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샛노랗거나 시꺼멓지 않은 그 누리끼리한 中庸의 색이 좋은 똥이다.
한마디로 황금색 똥이 좋다.
똥이 암흑색이 되어 나올 때는 출혈을 의심해야 하다.
張景岳은 변혈에 近血과 遠血이 있다했는데 近血이란 항문근처나 직장에서 나오는 피로 피 색이 유지되는 것이나
遠血이란 항문에서 먼 곳, 위나 십이지장, 소장 등에서 나오는 출혈로서 그 피가 장을 통과하는 동안 소화된 것이다.
그래서 시꺼멓게 된다. 변혈을 시험해보는 손쉬운 방법은 새까만 똥 위에 옥시풀(과산화수소)을 떨어뜨려보아
상처에 바른 것처럼 부글부글 끓으면 그것은 出血이 있다는 증표가 되는 것이다.
왜 빨간 홍당무를 먹으면 빨간 똥이 안 나올까?
왜 노란 호박을 먹으면 노란 똥이 안 나올까?
사실 모든 음식의 색색대로 똥도 색색으로 나온다면 똥 눋기도 조금 재미있을 것인데 왜 모두 먹은 것과 관계없이 같은 누런색이 되어 나오는가?
그 이유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결정적인 것이 담즙(bile juice)이다.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담즙이 모든 음식을 누런 색깔로 만들어 버리는 장본인인 것이다.
셋째는 농도(Density)다.
똥이 묽은 것을 우리는 설사라 하고 똥이 아주 된 것을 우리는 변비라 한다.
체내의 수액대사와 대장의 수분흡수와 관련 있는 복잡한 매카니즘의 결과일 것이다.
농도 역시 중용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나 체질에 따라 좀 묽은 것이 정상인 사람, 좀 된 것이 정상인 사람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체질을 불문하고 아주 묽거나 아주 된 것은 다 좋지 않은 것이다.
자기 몸에 맞는 똥의 농도를 잘 측정해 두어야 한다.
건강하고 액티브한 삶일수록 똥은 마른 편에 가깝다. 묽은 것은 좋지 않은 것이다.
넷째는 형태(Shape)다.
똥은 어떠한 경우에도 잘게 째질, 째질 빠져나오는 똥은 좋지 못한 것이다.
똥의 가장 아름다운 형태는 흰떡방아에서 굵은 떡가래가 일정하게 길게 쭈욱 쭉 빠져나오듯이 끊어지지 않고
두꺼우며 그 농도가 적당하고 누리끼리하며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이다.
다섯째 조건은 공복의 느낌(Feeling of Emptiness)이다.
똥은 반드시 눋고 난 다음에 직장이 깨끗이 비워졌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똥을 눋고 나면 허리가 우선 가쁜 해지고 열이 있을 때는 열이 가시며, 골치 아플 때는 머리가 개운해지고,
삭신이 쑤실 때는 삭신 쑤시는 것이 사라진다.
관절염의 증후에도 똥이 깨끗이 빠지면 무릎 아픈 것이 한결 가벼워진다.
그리고 이 공복의 느낌은 밑 닦는 현상과 관련이 있는데, 똥이 아름다운 형태로 깨끗하게 빠지고 끊어지지 않으면서
배에 공복감을 줄 때는 대체적으로 밑 닦을 필요가 없다.
항문에 똥이 지질지질 묻는다는 사실은 그 똥이 아름답지 못하고 맛있지 못하다는 증거인 것이다.
개나 고양이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똥을 눋고 밑을 닦지 않는다.
밑을 닦는다는 행위는 문명의 소산인 것이다.
똥은 똥으로서 완결되는 것이며 항문의 오돌 도톨 한 최후근육은 똥이 묻지 않고 빠질 수 있도록 원래 설계된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인간은 밑을 닦아야 한다.
그것은 의상에 똥이 묻기 때문인데 결국 의상이 생기고 난후 인간은 밑 닦는 동물로 변모한 것이며
아마도 이것은 화식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밑 닦을 필요 없이 완벽하게 빠지면서 공복감을 주는 똥, 이런 똥이야말로 존재하는 기쁨의 극상일 것이다.
완벽한 섹스도 인간에게는 중요한 기쁨이지만 완벽한 배변이야말로 완벽한 섹스보다 더 어려운 몸의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섹스는 배변에 비해 문명의 장난이 더 개재되는 것이다.
결론
대나무가 힘이 있는 것은 그 속이 비어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中, 下焦가 힘이 있으려면 直腸이 비어야 한다.
직장이 비어있을 수록 인간의 허리는 강해지는 것이다.
아름다운 여인들이여! 얼굴을 치장하려 하지마라! 그대의 항문을 치장하라!
그대의 뱃속과 항문을 아름답게 가꿀 것이다.
그리하면 화장품이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똥의 최종결론은 中庸이다.
신 목사
'좋은 말씀 > 신권인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든 신앙인 (0) | 2016.09.23 |
---|---|
똥 신학 (0) | 2016.09.16 |
똥 예찬 (0) | 2016.09.02 |
참 안식을 누리는 삶 (0) | 2016.08.25 |
여름이 비켜선 가을 초입에 (0) | 2016.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