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7장에 보면 주님께서 예레미야에게 성전문에 서서 들고 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예언을 전하라고 하십니다. 26장은 그 때의 일을 전합니다. 그가 전한 메시지는 단순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따라 살면 심판을 피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유다는 심판 받을 것이고 하나님의 눈동자로 불리던 예루살렘 성전은 실로처럼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1-7절).
실로는 성막을 두었던 곳인데 제사장들과 백성들의 악행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예루살렘이 실로처럼 되리라는 예언은 유다 백성에게는 끔찍한 소리로 들렸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유다의 지도자들과 백성은 예레미야의 예언을 듣고 분개하여 그를 죽이려 합니다(7-9절).
예레미야로 인해 성전 입구에서 소동이 일어나자 고관들이 찾아와 정식 재판을 시작합니다(10절). 재판이 시작되자 제사장들과 예언자들이 예레미야를 고소합니다(11절). 예레미야는 고관들 앞에서 자신을 변호하면서 다시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합니다(12-15절). 예레미야의 말을 다 들은 고관들은 예레미야의 무죄를 선언합니다(16절). 그 때 지방의 장로들 가운데 몇 사람이 히스기야 시대에 예언했던 미가(‘미가서’의 미가)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그도 역시 예루살렘이 심판 받을 것이라는 예언을 전했는데, 히스기야 왕과 백성은 회개하여 재앙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17-19절).
편집자는 이 지점에서 예언자 우리야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 넣습니다. 그도 역시 예레미야처럼 유다에 대한 심판을 예언했는데, 여호야김 왕이 그를 죽이려 하자 이집트로 도피합니다. 왕은 밀정을 이집트로 보내어 그를 체포해 왔고 그를 살해하여 평민의 공동묘지에 유기합니다(20-23절). 예레미야도 우리야와 같은 운명에 처할 뻔했으나, 사반의 아들 아히감이 보호해 주었기 때문에 죽음을 면할 수 있었습니다(24절). 사반은 요시야 왕의 서기관으로서 요시야 왕의 종교 개혁을 가능하게 해 준 인물입니다. 아히감은 아버지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았던 사람이었으므로 예레미야를 보호해 줄 수 있었습니다.
묵상:
예레미야의 예언을 듣고 그를 처형하는 일에 앞장 섰던 사람들은 제사장들과 예언자들이었습니다. 제사장들에게 성전은 삶의 터전이었고 성전 제사는 권력과 이권의 도구였습니다. 그들은, 예레미야가 불길한 예언으로 제사 드리러 오는 사람들의 마음을 헤집어 놓는 것을 두고 볼 수 없었습니다. 또한 성전이 폐허가 된다는 사실도 상상하기 싫었습니다.
예레미야를 고소했던 예언자들은 거짓 예언자들입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받은 적도 없으면서 “평안하다”, “안전하다”, “문제없다”고 설교했습니다. 그들에게 예레미야는 눈엣가시처럼 보였을 것입니다. 자신들이 가짜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까닭에 예레미야는 주님의 말씀을 전한 일로 인해 고난을 겪어야 했습니다. 또 다른 예언자 우리야는 실제로 순교를 당했습니다.
이런 까닭에 예수님은 스스로 의롭다고 자부하고 있던 율법학자들과 바리새파 사람들에게 “너희에게 화가 있다. 너희는 예언자들의 무덤을 만들고, 의인들의 기념비를 꾸민다. 그러면서, ‘우리가 조상의 시대에 살았더라면, 예언자들을 피 흘리게 하는 일에 가담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너희는 예언자들을 죽인 자들의 자손임을 스스로 증언한다”(마 23:29-31)라고 하셨습니다. 그들은 예레미야 시대의 유다 백성과 동일하게 행동하면서도 자신들은 그들과 다르다는 헛된 자의식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예수님이 이런 말씀으로 그들의 허위와 위선을 지적하셨기 때문에 그들이 그분을 죽이는 일에 앞장 섰던 것입니다.
오늘 이 글을 읽으면서 혹시나 속으로 ‘나는 예언자들을 죽인 자들과는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에게 자문해 봅니다. 내 마음에 거북하게 들리는 말씀에 귀를 막고 어떻게든 내 마음대로 살아보려는 마음이 있다면, 나도 예언자들을 죽인 자들과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겸손히 인정합니다.
'좋은 말씀 > -사귐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레미야 28장: 누가 진짜냐? (0) | 2021.10.30 |
---|---|
예레미야서 27장: 느부갓네살을 종으로 사용하시는 주님 (0) | 2021.10.29 |
예레미야서 25장: 진노의 잔 (0) | 2021.10.27 |
예레미야서 24장: 썩은 무화과와 좋은 무화과 (0) | 2021.10.26 |
예레미야서 23장: 주님께 부담이이 된 존재 (0)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