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즉 선한 것이 내게 사망이 되었느뇨 그럴 수 없느니라 오직 죄가 죄로 드러나기 위하여 선한 그것으로 말미암아 나를 죽게 만들었으니 이는 계명으로 말미암아 죄로 심히 죄되게 하려 함이니라" (롬 7:13)
그렇다면 이런 질문이 가능합니다. 즉 선한 것 즉 율법이 내게 사망이, 죽음이 되었는가? 라는 질문입니다. 바울은 명확하게 답합니다. "그럴 수 없느니라" 다시 말하면 선한 것은 선한 것으로 항상 남는다는 것입니다. 선한 것이 악한 것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율법은 결코 악한 기능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죄가 비록 율법을 악용한다 하더라도 율법은 여전히 선하고, 거룩하고, 의로운 것입니다.
율법은 죄를 죄로 드러나게 한다는 것입니다. 죄를 노출시키고, 밝히 드러내고, 폭로한다는 것입니다. 즉 죄가 죄로 드러나게 하기 위해서 선한 그것 즉 율법이 나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것입니다. 즉 율법은 죄에 대하여 죽음을 선포한다는 것입니다. 죄의 삯은 사망이라고...
율법과 계명은 죄로 심히 죄되게 합니다. 그것은 죄의 본질을 적나라하게 폭로한다는 것입니다. 즉 죄가 선하고 의롭고 거룩한 율법을 악용하는 것을 볼 때 죄의 죄스러움 즉 죄의 사악성이 심히, utterly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율법은 우리가 죄인임을 깨닫게 할 뿐 아니라 죄의 죄스러움을 근본에서 밝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율법은 정말로 선하고, 거룩하고, 의롭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할렐루야! 여기서 우리는 모든 반율법주의를 일격에 거부할 수 있습니다. 율법을 지켜 구원을 얻으려는 율법주의도 심각한 문제이지만 구원과 믿음의 이름으로 율법을 무시하고 폐기하려고 하는 반율법주의도 심각한 오류인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구약의 성도들이 하나님의 율법을 사랑하고 사모한 것은 너무도 당연하고, 아름다운 삶의 모습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율법과 계명을 선하고, 의롭고, 거룩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사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율법이 우리 삶에 체화되는 것은 오직 성령의 능력뿐임을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좋은 말씀 > -로마서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서 묵상 134 (롬 7:16-7) [정성욱교수] (0) | 2016.06.29 |
---|---|
로마서 묵상 133 (롬 7:14-15) [정성욱교수] (0) | 2016.06.28 |
로마서 묵상 131 (롬 7:11-12) [정성욱교수] (0) | 2016.06.26 |
로마서 묵상 130 (롬 7:10) [정성욱교수] (0) | 2016.06.25 |
로마서 묵상 129 (롬 7:9) [정성욱교수] (0) | 2016.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