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개의 검을 본 후에 명검(名劍)을 안다
“자기에게 쓸모 있는 책을 정독하는 것이야말로 지혜의 첩경이다.
그런데 좋은 책인지, 쓸모 있는 책인지는 대체 어떻게 판단한단 말인가.
결국 많은 책을 읽어 보는 수밖에 없다.
쓸모 있는 책, 좋은 책을 고르는 탁월한 안목은
‘많이, 그리고 골고루’ 읽지 않고는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독(多讀)의 비효율성은 다독이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단언할 만큼 많은 책을 읽어본 사람만 주장할 수 있다.”
임사라 저(著) ‘내 아이를 책의 바다로 이끄는 법’(비룡소, 2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에머슨은 ‘지혜로운 사람은 많은 것을 아는 자가 아니라 쓸모 있는 것을 아는 자’라고 말합니다.
이 진리는 책에도 적용됩니다. 자기에게 쓸모 있는 책을 정독하는 것이야말로 지혜의 첩경입니다.
그런데 어떤 책이 좋은 책인지, 쓸모 있는 책인지는 결국 많은 책을 읽어봐야 압니다.
5세기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에 유협이 쓴 ‘문심조룡(文心雕龍)’은 동양을 대표하는 최고 최대의 문학이론서입니다.
소설가 이문열도 초년 시절 ‘문심조룡’을 자신의 문학 수원지(水源池)라고 소개한 적이 있을 정도입니다.
문심조룡에는 독서에 대한 좋은 권면이 있습니다.
“천 개의 곡조를 다룬 후에야 음악을 알게 되고, 천 개의 칼을 본 후에야 명검(名劍)을 알게 된다.”
그렇습니다. 쓸모 있는 책, 좋은 책을 고르는 안목은 광범위한 다독(多讀)에서 나옵니다.
독서 세계에서 흐르는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책을 하나도 안 읽은 사람보다도 한 권 읽은 사람이 더 위험하다.”
책 한 권 읽고 필(feel)을 받아 모든 판단의 잣대를 그 한 권에 두는 사람이 위험합니다.
“다독(多讀)의 비효율성은 다독이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단언할 만큼 많은 책을 읽어본 사람만 주장할 수 있다.”
참 옳은 주장입니다. 독서의 힘은 많이 읽은 가운데 맛보아 알 수 있습니다.
기도도 그러합니다. 기도의 양(量)은 기도의 질(質)에 많이 비례합니다.
기도를 많이 해 본 사람이, 어떤 기도가 신앙적이고 어떤 기도가 미신적인가를 체험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예배를 많이 드리고, 기도를 많이 하고, 성경을 많이 읽은 사람이 그 생명의 향기를 깊이 맛보아 알 가능성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