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든 신앙
가을이 자꾸만 깊어간다.
우리는 한 해를 말할 때 달력으로는 1월에서 시작하여 12월로 마친다.
그러나 자연으로 느끼는 삶으로는 봄에서 시작하여 가을로 마친다.
그래서 춘추(春秋)라는 말이 생겼을 것이고,
나이를 춘추로 물으며 한 사람의 인생을 향년으로 표시한다.
우리말의 ‘철’은 계절이나 절기 또는 시절을 뜻하는 낱말인데,
이 말로 사람의 성장이나 성숙의 정도를 가늠하기도 한다.
‘철부지’라는 말은 때가 왔지만 이를 알지 못한다는 것이고,
‘철들었다’는 말은 제 때를 알 정도로 자랐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철이 들었다.’ 라는 뜻은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때맞춰 지을 수 있을 만한 나이가 되었다는 의미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물론 ‘철’이라는 것은 고유한 우리나라 말로서 농사를 지으려면
모내기철, 김매기 철, 추수철과 같은 뜻으로 때(철)에 맞춰 행동해야 된다.
결국 철이 들었다는 것은 자신이 인생의 어느 계절에 와 있는지를 깊이 깨닫고
그 속에서 진정한 아름다움과 성숙을 맛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한해 한해를 봄철로 시작하여 여름을 보내고
가을로 접어들어 가을걷이를 통해 한 해를 마감한다.
이런 마감을 몇 번 했느냐가 곧 그 사람의 나이가 되고,
그리고 그 나이는 몇 번의 철이 들었느냐는 물음에 한 답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가을은 철이 드는 계절이다.
새싹에서 봄의 기운을 느끼고 청록에서 여름의 색감을 맛본다.
청록(靑綠)은 하늘과 바다와 숲의 푸르름을 함께 아우르는 색깔이다.
세계적 자랑거리인 고려청자가 빚어내는 색이 바로 그것이다.
어린 가지에서 막 돋아나오는 연두 빛 잎사귀들이 짙은 초록으로 바뀌면서
숲은 넉넉한 어머니의 품이 된다.
그러나 이런 푸름도 그 빛을 다하고 시들어 퇴색되어 청록은 황금색으로 누렇게 바뀐다.
가을의 들과 산은 온갖 형형색색으로 물들어감에서 어떤 성적 교감을 얻는다.
성의 색깔은 밝고 화려해서 누구라도 좋아하는 그런 빛만은 아니다.
오히려 다소 어둡고 탁한 빛으로 드러난다.
성을 넓이나 높이 보다는 ‘깊이’로 말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깊이 있는 색들은 어두운 색이 깃들여져 나타내게 마련이다.
검을 색을 검붉다, 오묘하다, 심오하다, 신묘하다, 깊다,
고요하다 등으로 확장되어 더욱 중후한 자태를 갖춘다.
그렇다면 신앙적으로 믿음의 철이 든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는 것을 말한다.
믿음의 철은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깨닫고
감사와 찬양이 깊어지며 적 성숙에 이르는 것이다.
하나님의 은혜를 깨달을 때,
견고한 믿음이, 아름다운 믿음이, 감사하고 감격하는 믿음이 자란다.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을 때,
고난에 동참하는 신앙이, 예수를 위해 살고 예수를 위해 죽는 믿음이 생겨난다.
그 사랑을 깨달을 때 이기심, 교만, 게으름과 안일함이 사라진다.
믿음과 신앙의 철이 든다는 것은 결국 사람이 철드는 만큼 함께 성숙해지는 것이리라.
이는 모든 것은 또한 하늘 소산의 은총의 산물임을 아는 것이리라.
“내 혼을 담은 인생의 사계절” 원제(THE SEASONS OF LIFE)의 저자
짐론의 책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글을 발췌해 본다.
봄은 기회, 우정, 사랑, 생각을 활용할 수 있는 시기다.
뿌린 대로 거둔다는 것은 봄이 주는 약속이다.
여름은 보호하고 성장하는 시기요,
가을은 봄의 노동에 따른 열매를 수확하는 시기로서
토양도 씨앗도 모두 씨앗을 뿌린 사람이 고른 것,
수확물에 한 책임은 상황이 아니라 씨앗을 뿌린 사람에게 있다.
그리고 겨울은 과거의 후회가 아닌 감사를 모두에게 나눠주는 시기로
계절의 겨울 뿐 아니라. 절망, 고독, 실망, 실패라는 인간의 겨울도 반드시 찾아온다.
인생을 좀 먹는 잡초는 자신감을 의심으로, 신뢰를 의혹으로, 인내를 초조함으로,
노력을 게으름과 염려로 바꿔 마침내 패배하게 된다.
자연과 언쟁하느라 귀중한 시간을 허비하지 마라.
인생의 잡초, 벌레, 돌 그리고 폭풍우는
자신들의 존재에 해 불공평 하다고 거세게 비난하면서 시간을 허비하는 사람들을 비웃는다.
뿌린 씨앗을 쪼아 먹으려고 달려는 새나, 앞으로 거둘 수확물을 먹어 치우려고
기다리는 벌레들을 쫓는데 귀한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
부지런히 씨를 뿌리고 그것을 지키고자 노력하는 사람에게는
어떠한 새나 벌레, 그밖에 다른 걸림돌도 지난봄에 기울인 모든 노력을 파괴할 수 있을 만큼
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모든 선한 의지는 공격 받기 마련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고 자각하라.
그것은 스스로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만들 줄 아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기 위한 자연의 방법이다.
역경을 예상하고 미소를 지어라.
역경에 해 감사하라. 인간의 혼은
역경을 통해 성장한다.
인간의 인격은 시련이 없을 때가 아니라
시련에 대한 우리의 반응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은 과거에 심은 씨앗의 결과이다.
어떤 경우든 현재의 태도, 환경, 생활방식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에
한 시각이 모여 우리 ‘자신’을 이룬다.
현실을 직시하고 자기계발에 힘쓰라.
자신을 인지하는 그 이미지가 바로 인생의 질을 결정하
기 때문이다.
'좋은 말씀 > -'낮은 곳에서 부르는 생명의 노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은 화의 계절이다 (0) | 2020.01.19 |
---|---|
떨어짐의 미학 (0) | 2020.01.18 |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세월 (0) | 2020.01.16 |
인생은 여행이며 축제라고 말하리라 (0) | 2020.01.15 |
갈등 가운데 피는 꽃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