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 성령론

로이드 존스의 성령론(완결)|

새벽지기1 2016. 5. 20. 22:19


6. 성령의 은사들


1) 은사들은 구분 기준들

로이든 존스는 성령의 세례를 다른 것을 보는 사람들과 또 다르게 그 은사들을 이해한다. 첫 번째로 성령의 은사들은 자연적인 은사들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점을 말한다. 사람들은 모두 자연적인 은사들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그것이 성령의 은사가 아니라 라고 그는 말을 한다. 그러면서 성령의 은사들은 이 자연적인 은사들과 전혀 다르다고 말한다. 성령님에 의해서 주어진 은사들은 직접적인 은사들입니다.1) 지연적인 재능과 성령의 은사를 구분한다.

그는 계속하여 영적인 은사들이란 “어떤 그리스도인을 구별하여 그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교회를 섬길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능력들로 이것을 받을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영혼에서 역사하시는 성령님에 의한 신적 은혜의 능력이기 때문이다.”고 정의한다.2) 교회를 섬기는 목적으로 주어진다고 그는 주장한다.


두 번째로 은사들이 성령님에 의해서 주권적 방법으로 우리에게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성령님은 자신의 주권의 능력 안에서 어떤 사람에게 어떤 은사를 주실 것인가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또한 그렇게 주시기로 계획하시고 시행하신다는 이것이 성령님의 특권이다.3)


세 번째로 이 은사는 각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져 소유되고 있는 선물이다. 고전 12장 7, 11절을 통하여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의 모든 참된 각 지체는, 한 성령으로 그리스도의 몸 안으로 세례를 받은 참된 모든 그리스도인은 어떤 특별한 영적 은사를 소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네 번째로 은사의 중요성에서 차이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고전 12장14절의 말씀과 같이 몸은 한 지체뿐이 아니요 여럿이니(12:14) 라고 말을 하지만 28절에서 하나님이 교회 중에 몇을 세우셨으니 첫째는 사도요 둘째는 선지자요 셋째는 교사요 그 다음은 능력이요, 그 다음은 병 고치는 은사와 서로 돕는 것과 다스리는 것과 각종 방언을 하는 것이라 라고 인용하면 은사들이 그 중요성에 있어서 다양하다는 분명한 가르친다. 그리고 14장 18-19절을 통해서 " 내가 너희 모든 사람보다 방언을 더 말하므로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그러나 교회에서 네가 남을 가르치기 위하여 깨달은 마음으로 다섯 마디 말을 하는 것이 일만 마디 방언으로 말하는 것보다 나으니라" 더 중요한 것이 있음5)을 말합니다.


다섯 번째로 모든 은사들은 항상 사랑 안에서 사용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바울은 13장을 통하여 "은사는 사랑 안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과 단순히 그런 이름들은 가진 은사들은 소유하고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영성을 평가 혹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6)이다.


마지막으로 만약 우리가 어떤 특별한 은사를 소유하거나 나타내지 못한다면, 우리를 향하여 성령에 의해서 세례를 받지도 혹은 성려의 어떤 충만함도 알지 못한다고 비난하려는 사람들이 있다.7) 이러한 가르침은 거짓된 가르침이다.


  2) 일시적인 은사

은사들에 대하여 이 모든 은사들이 교회에서 항상 있다고 볼 수 있는가? 고전 12장의 은사들이 초대교회에만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오늘날의 교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일까? 이런 것들은 일시적인 것일까? 영속적인 것일까? 이런 모든 은사들에게 이런 원칙 중 어떤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을까? 아니면 그 은사들을 나누어야 할까?8)로 질문을 하면서 은사에 대하여 고찰한다.


로이드 존스는 은사에 관하여 이렇게 말합니다. 이러한 은사적인 이해를 기준으로 가지고 은사들을 구분합니다. 그는 은사들 중에 일시적인 은사가 있고 계속적으로 있는 영속적인 은사가 있다고9) 말을 한다.


로이드 존스는 일시적인 은사로는 첫째로 사도직의 은사입니다. 사도직은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단 한번으로 영원합니다.10)사도직의 은사와 관련이 있는 예언의 은사11)와 사도적 치유의 은사12)는 일시적인 것입니다. 이것은 성령님에 의해서 주어진 직접적인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성도가 환자를 위하여 기도하며 기도의 결과로 환자가 치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어떤 영적인 자들과 어떤 이들이 치유의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고 말지만 성령님의 치유의 은사는 사도들과 함께 끝났다고 그는 보고 있다13)고 로이드 존스는 보고 있다. 더나가 기적들14)과 영을 분별하는 은사와 방언의 은사들까지 그는 일시적인 것으로 끝났다15)고 본다.


  3) 항존적인 은사

로이드 존스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항존적인 은사에 대하여 이렇게 말합니다. 

고린도전서 12장에서 나오는 은사들 중에 항존 하는 은사 목록들을 제시합니다. 지혜의 말씀, 지식의 말씀, 교육의 능력과 섬김과 돕는 은사, 집행과 통치의 은사, 집사와 장로 그리고 다른 직분자들이 소유한 능력, 복음 전파의 능력, 목회를 위한 능력, 권면의 은사와 9절에서 나오는 믿음의 은사 - 여기서 이것은 주님을 믿는 믿음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특별한 사역을 수행했던 사람들에게 볼 수 있는 그런 방법으로 하나님을 신뢰하게 하며 그런 일들을 수단으로 그리고 그것들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영광과 능력을 나타내는 것- 이다16)


  4) 방언에 대하여

로이드 존스는 오순절에 사도들이 했던 방언은 언어로 15개국의 언어 들려 졌다. 그리고 고린도에 나타나는 방언을 어떤 사람들이 이해됨이 없는 단지 소리나 말들로 일종의 무아지경 속에서의 외침일고 말하는데 이것은 그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면서 로이드 존스는 사도행전과 고린도 전서에 나오는 방언의 차이는 오순절 날, 고넬료의 집 그리고 에베소에서 완전함과 영광으로 모두에게 행해졌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린도에서 볼 수 있는 차이는 방언을 말하는 자신조차도 자신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알지 못했으며,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것은 해석할 수 있는 자들을 새로운 술에 취했다고 생각했던 자들을 볼 때 예루살렘에서도 모든 사람이 이해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고린도에서는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석할 수 있었던 해석자들이 있었다.17)

로이드 존스는 방언의 은사가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18)


로이드 존스는 사도적인 은사는 그쳐졌다고 말하고 이 사도적 은사와 연관되어 있는 은사들은 그쳐졌고 더불어 교회를 세우고 교회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은사들은 항존적인 은사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결   론:

로이드 존스의 성령론이 개혁주의에서 벗어나서 펜타코스트의 길로 약간 기울어졌다고 말한다. 그런 면이 있다. 그러나 그는 목회자이다. 그는 설교와 목양에 힘쓴 목회자이다. 그래서 그는 목회적 관점에서 그 누구보다 설교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설교자가 이 성령 세례(기름부음, 인침)를 받아야 한다. 설교자는 설교를 할 때 권능을 입고 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교회적인 부분에서 이러한 성령 세례(인침, 기름부음)가 있음으로 부흥과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의미와 관점에서 성령의 기름부음 즉 성령 세례의 중요성은 특별하게 주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주장하면서 초대교회와 같은 그러한 일(성령의 기름부음)들이 교회 회복의 유일한 소망임을 필역하고 있는 것입니다. 더불어 그가 펜타코스트주의 자가 될 수 없는 것은 은사 면에서 그들과 전혀 다른 면을 보이고 개혁주의 측면의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성령세례는 사역적인 면과 설교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비정상적인 은사 운동에 대하여서는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은사의 유용성이 자신에게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교회를 세우는데 목적이 있음을 주장한다. 이런 면에서 한국교회에서 비정상적인 은사운동들이 횡행하고 있는데 그러한 경향에 대하여 일침을 가하지 않나 생각된다. 은사라는 것이 자신의 영광과 명예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회를 세우고 섬기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성령이 주권적으로 은사들을 주신다는 것을 통해서 인위적인 것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를 세우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그러한 은사들이나, 마치 자신이 사도와 같은 권위의 은사가 있음을 주장하며 사람들을 미혹하는 자들의 교만함이 사악함을 드러내 주고 있는 듯하다.


그러므로 로이드 존스의 성령에 대한 이해를 단지 논쟁으로 이해하려고 하기보다 목회자로서 그리고 성경을 연구하는 자로서 그리고 사역에 놓인 우리의 사역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이해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 많을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