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다른 복음

종교 다원주의/정승원 교수

새벽지기1 2016. 3. 14. 13:16

종교 다원주의나 타종교간의 대화 문제는 최근에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포스트모던 시대에 들어와서 어느 때보다 더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 전에는 타종교를 어느 정도까지 인정하느냐 혹은 어떤 것이 다르고 어떤 것이 비슷하냐 식의 생각을 해왔다. 즉 한 쪽 종교 입장에서 다른 쪽을 바라보았다. 그러나 종교 다원주의에서는 한 쪽 입장에서 다른 입장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들 입장에서 자신의 종교만을 보는 것을 요구한다. 즉 다른 종교를 판단할 권리가 없다는 것이다. 나름대로의 모든 종교들의 정당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 종교의 관점에서 다른 종교들을 보는 것은 스스로 우월성 내지는 절대성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 다른 종교들은 그 한 종교처럼 돼야 한다는 것이 전제된다. 그것은 바로 다원성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포스트 모던이즘의 특징 중 하나는 어떤 한가지 절대적 진리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다. 또한 텍스트에 내재하는 고유의 의미를 부정한다. 어떤 초-설화적(meta- narrative) 의미를 부정한다. 이러한 특징은 바로 종교 다원주의에도 연결이 된다. 한 종교의 절대적 진리란 있을 수 없고, 한 종교의 고유의 의미란 없고, 다른 종교들이 따라야 할 초 설화적 혹은 초 신학적 가르침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의 유일성 혹은 하나님 되심은 종교 다원주의의 No. 1 敵인 것이다. 한마디로 다원주의는 어떤 동질성(consensus)을 찾는 것이 아니라, 이질성(dissensus)을 인정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tolerance)을 주창하는 것이 종교 다원주의인데 이 관용이란 한 쪽 편에서 다른 쪽을 관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둘 다 관용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절대적 진리로 관용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님이 참 신이라는 기독교의 가르침과 알라가 참 신이라는 이슬람의 가르침은 둘 다 관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두 주장은 절대적 진리는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어떤 면에서는 종교 다원주의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보다는 다원주의라는 것이 절대적이라는 일종의 교조주의적 색채가 있다고 하겠다.

종교 다원주의 대표 주자인 죤 힉(John Hick)은 기독교의 성육신의 교리야말로 다원주의의 최대의 걸림돌이라고 말한다. 그는 주장하기를 모든 종교가 궁극적 실재 (ultimate reality), 즉 신을 추구하고 있다고 한다. 단지 문화적 역사적 배경만 달랐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모든 종교가 정당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예수-중심의 모델에서 하나님-중심의 모델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윌리암 스미스 (William C. Smith)는 진리란 객관적이 아니라고 한다. 더욱이 진리란 명제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하나님은 어떤 객관적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이란 의미는 단지 각 사람에게 개인적으로 또한 인격적으로 다가오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는 주장하기를 '종교의 진리 혹은 실재가 무슨 뜻이었냐' 라는 역사적 질문은 현재의 진리와 실재에 대한 신학적 질문과 다르다고 한다. 즉 역사적 질문을 버리게 되면 참다운 종교 다원주의가 성립할 수 있으리라고 주장한다. 그는 또 주장하기를 만약 하나님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나타났다면 그것은 하나님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내게 나타난 것이라고 한다.



데이비드 트레이시(David Tracy)는 주장하기를 인간의 모든 지식은 제한적이며 다각적(perspectival)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대화는 이러한 제한적이고 다각적인 특징을 인지한 포스트모던 지식 소통이며 취득 방법이고 대화는 언어와 역사의 애매성을 해석하는 하나의 방편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종교가 대화에 있어서 우월한 입장에 있던지 대화를 일방적으로 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 다원주의를 실재로 받아들이고 그 실재를 텍스트로 놓고 대화를 해석의 방편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종교의 해석을 절대적인 것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웨슬리 아리아라자(S. Wesley Ariarajah)는 주장하기를 기독교를 다른 종교보다 우월하게 보는 것은 영적 테러리즘이라고 한다. 그는 배타적 성경 구절들을 재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절대적 의미의 진리란 어느 누구도 알 수 없는 것이니, 단순히 바울이나 성경이 그렇게 말했다고 예수가 절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도 자신들이 믿는 기준에 의해 비슷한 주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의 절대적 주장은 단순히 상대적일 뿐이라고 아리아라자는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 다원주의가 풀어야 할 두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는 여러 종교가 어떻게 다 정당 혹은 타당(legitimate)할 수 있는가? 즉 다원성을 위하여 각 개체성 (particularity)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둘째로 어떤 개체성이 주어진다고 해도 상호 연관성이(consensus)가 없으면 상대주의에 빠지게 될 수 있지 않은가? 즉 서로간의 아무런 관계없이 개인적 특수성만을 가지면 페쇄적이 될 수 있고, 아니면 너도 맞고 나도 맞고 하는 무관심적 상대주의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으려면 어떤 절대적 기준이나 추구하는 바가 있어야 하거나, 아니면 모든 종교가 중립적인 열림(openness)을 순수하게 유지해야 한다. 다원주의는 결코 어떤 절대적인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순수한 열림이 가능한 것인지 의심할 만하다. 왜냐면 그 열림을 유지하는 데는 어떤 기준이나 조건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종교 다원주의는 모든 종교가 관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말은 절대적이지는 않아도 나름대로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legitimacy)을 모든 종교들이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어떤 모양이든 각 종교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다원주의가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각 종교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은 다른 종교를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나 허용되는 것이다. 각 종교들의 유일성 혹은 절대성은 불허한다 하면서도 다원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각 종교들이 어떤 식으로든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성을 부정하지만 한편 상대적 차원에서 자기 종교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다원주의를 위해 각 종교의 상대적 진리성 내지는 정당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 진리성 혹은 정당성이 가능한지 의심스럽다. 즉 모든 종교들이 다원주의 아래에서 나름대로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사실 ‘상대적 진리성’이라는 말 자체가 모순인 것이다. 왜냐면 진리성이란 절대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당성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떤 종교 다원주의자들은 이러한 모순을 탈피하기 위해 각 종교들의 진리성보다는 다원주의 자체가 진리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도 어떤 근거가 있어야 한다. 만약 근거가 없다면 ‘다원주의 자체가 진리다’라는 말이나 ‘다원주의는 진리가 아니다’라는 말의 차이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 다원주의 자체가 진리라는 것을 어떤 식이든 증명해 보였다 하더라도 그것 자체는 많은 종교적 신념들 중에 한가지 일 뿐이다. 이러한 신념은 상대적 신념이 아니라 절대적 신념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다원주의가 정죄한 절대주의를 스스로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 다원주의도 일종의 한 종교의 모습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 다원주의가 진리이기 위해서는 그것의 절대성이 주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이 상대주의를 주장하는 다원주의도 어떤 절대적 기준이나 신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다원주의가 원하는 ‘100% 순수한 열림’이란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종교가 다 옳을 수는 없는 것이다. 결국 다원주의는 무의미한 상대주의에 빠지던가 아니면 다원주의를 포함해서 각 종교들이 자신들만의 절대성을 주장함으로 서로간의 어떤 반위성(antithesis)을 가질 수밖에 없다. 기독교와 불교가 반위적이고 불교와 이슬람교이 반위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다원주의가 ‘궁극적 실재’ 혹은 진리라고 주장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반위적 특징을 지닌 종교적 신념 일 뿐이다. 혹 다원주의적 발상에서 모든 종교는 진리라고 주장한다면 굳이 진리를 위한 대화를 할 필요가 있겠는가? 즉 다원주의를 굳이 주장할 필요가 있겠는가? 어떤 면에서는 반위적 종교의 모습이 더 종교적이라 할 수 있다. 다원주의라는 미명아래 모든 종교를 사로잡으려는 것은 오히려 나름대로 절대성을 추구하려는 각 종교들의 진지한 종교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또한 종교들의 고유성을 파괴하는 것이다(물론 우리가 믿는 신앙은 다른 종교들과 같은 범주에 속한 것이 아니다).

종교 다원주의는 새로운 사상이 아니다. 이것은 일종의 다신론주의이며, 구약이나 신약 당시 사회에서도 다원주의적 종교의 세계였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성경은 이러한 것을 우상으로 정죄하고 있다. 또한 다원주의에서 추구하는 궁극성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어떤 나름대로의 ‘초월적 절대성’이다. 이러한 절대성은 인간이 추론(postulate)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다원주의는 모든 것을 관용하는 것 같지만, 다원주의를 믿지 않는 자는 가차없이 정죄한다. 기독교에서처럼 사랑이라는 것이 없다. 기독교는 절대적 진리를 주장하는 동시에 모든 자를 사랑한다. 그러나 다원주의는 다른 모든 종교가 다원주의가 되기를 원하면서 그 다원주의(즉 다원주의라는 종교)는 다른 종교가 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는 독단을 갖고 있다. 다원주의는 ‘상생(相生)’이 아니라 사실은 ‘독생(獨生)’인 것이다. 이런 독단적인 발상은 인간의 자율성을 기초로 한 인본주의에 근거한 것에 불과하다.

고후2:14-16에 “항상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우리는 구원 얻는 자들에게나 망하는 자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 이 사람에게는 사망으로 좇아 사망에 이르는 냄새요 저 사람에게는 생명으로 좇아 생명에 이르는 냄새라 누가 이것을 감당하리요”라고 말씀한다. 복음은 구원 얻는 자들에게만 향기가 아니다. 망하는 자들에게도 향기가 된다. 그리스도의 복음은 다른 종교들에게는 악취요 우리에게만 향기가 아니라 모두에게 향기가 되는 것이다.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이 향기가 사망에 이르는 냄새가 되는 것이다.


우리 기독교 진리 자체가 타종교를 망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기독교 진리는 그들에게도 구원의 소식인 것이다. 단지 그들은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그들 스스로 멸망을 쌓고 있는 것이다. 모든 종교들의 희망은 종교 다원주의가 아니다. 복음뿐이다. 참 진리의 향기를 맡는 길뿐이다. 진리 자체가 동시에 악취이며 향기일 수가 없다. 진리는 언제나 향기일 뿐이다. 문제는 종교 다원주의자들에게 있는 것이지 기독교 진리에 있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과 벨리알이 동시에 참 신이 될 수 없다. 동시에 둘이 참 신이라고 하는 것은 참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향기를 타종교에도 전해야 한다. 이것만이 그들이 살길인 것이다. 이것이 없다면 상생(相生)이 아니라 전멸(全滅)인 것이다.

기독교는 우리만 살자는 것이 아니다. 다 같이 살자는 것이다. 그리스도만이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