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씀/-매일 묵상

사순절 영성(4) / 정용섭목사

새벽지기1 2024. 8. 29. 05:00

셋째, 사순절 기간에 신자들은 구제와 선행에 힘을 썼다. 바로 위에서 두 번째로 언급한 금식이 식욕이라는 인간 본능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구제와 선행은 자기와 자기 가족만을 위한 생존 본능을 제어하는 신앙 태도다. 말하자면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차원으로 영적인 시야를 넓히는 것이다. 이를 성만찬 영성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하나의 빵과 하나의 잔을 형제애로 나눈다는 것은 사람들이 이 세상에서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더불어 살아가려면 결국 ‘너’와 공동체를 배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로 자신의 소유를 나눠야 한다.

 

신자유주의라고 일컬어지는 21세기의 시대정신은 오직 개인의 경쟁력만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기심만이 사회의 동력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런 시대정신에서 ‘너’는 더불어 살아가야 할 이웃이 아니라 극복해야 할 대상에 불과하다. 마틴 부버가 지적했듯이 이제 ‘너’는 인격적인 대상이 아니라 ‘그것’이라는 사물이 되고 말았다. 오늘 한국교회는 이웃을 향해 개방적인지, 사회적인 소수자와의 연대에 진지한지 질문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회가 자신의 소유를 얼마나 포기하고 있는지도 물어야 한다. 이런 질문 없이 사순절 영성은 공허하다. 수백억 원, 수천억 원짜리 교회당 건축이 큰 고민 없이 시도되는 한국교회가 사순절 영성을 말한다는 것은 속과 겉이 이중적이라는 뜻이 아니겠는가.

 

     위에서 언급한 사순절에 대한 세 가지 전통은 기본적으로 자기부정을 가리킨다. 고난의 영성이라 해도 좋으리라. 재를 이마에 바르는 것이나 금식과 구제는 모두 다소간 자기를 부정하며, 이로 인한 고난을 담보한다. 고난의 영성! 말은 좋다. 솔직하게 묻자. 이것이 우리 기독교인의 삶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가능한가, 적실한가? 오늘과 같은 소유와 소비와 풍요를 신처럼 떠받드는 시대에 이런 부정의 영성, 고난의 영성이 신자들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갈 것인가? 아무도 자신 있게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 일반 신자만이 아니라 소명을 받았다고 자처하는 목사들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사순절 영성은 말 그대로 교언영색(巧言令色)이란 말인가? 아니다. 기독교 신앙은 결코 말장난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능력이다. 사순절 영성도 삶의 능력이다. 이 안으로 한 걸음 더 들어가자